KR20020072783A - 원본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원본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783A
KR20020072783A KR1020020012813A KR20020012813A KR20020072783A KR 20020072783 A KR20020072783 A KR 20020072783A KR 1020020012813 A KR1020020012813 A KR 1020020012813A KR 20020012813 A KR20020012813 A KR 20020012813A KR 20020072783 A KR20020072783 A KR 20020072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detector
sensor
sta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132B1 (ko
Inventor
후지이다까유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6Illumination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7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part of a loop, e.g. using a retur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H04N1/00575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 H04N1/0058Inverting the sheet prior to refeeding using at least one dead-end path, e.g. using a sheet eject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1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from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Removing sheets from a stack or inputting media
    • H04N1/00623Selectively inputting media from one of a plurality of input sources, e.g. inpu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94Presence or absence in an input t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2Position
    • H04N1/00705Position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locations, e.g. as a sheet is fed through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5Detecting the leading or trailing ends of a moving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55Detecting an interruption of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2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an entity which is controlled, adjusted or changed by a control process, i.e.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24Document property detectors

Abstract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에 의해 원본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는 원본 공급 장치로서, 센서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기와,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가능 상태와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없는 검출 불가능 상태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절환될 수 있는 제2 검출기가 제공되고, 제2 검출기는 원본의 존재가 제1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때 검출 불가능 상태로 절환된다.

Description

원본 공급 장치{Original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본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갖는 원본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에 장착되는 일부 종래의 원본 공급 장치는 복수의 센서 및 복수의 모터를 갖는다. 최근에, 원본 트레이 상 및 원본 운반 경로에 제공되는 센서로서, 발광 요소 및 수광 요소가 배열되어 발광 요소로부터 방사된 광이 원본에 의해 반사된 후 수광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센서 또는 발광 요소로부터 수광 요소로의 광이 원본에 의해 차단되는 센서가 사용되어 왔다. 원본과 같은 종이가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 사이에 존재하는 형태의 센서에서는, 발광 요소 또는 수광 요소 상에 종이 분말이 쉽게 축적되므로, 수광 요소의 수광량이 종이 분말의 영향으로 감소되는 경우에는 발광 요소의 발광량이 증가되는 방법으로 제어가 된다.
그러나, 전력이 원본 공급 장치로 공급되는 동안, 발광 요소의 발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높은 전류가 흘러야 하므로, 그 결과 발광 요소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제2000-289885호는 발광 요소 및 수광 요소를 포함하는 센서를 갖는 원본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원본 공급 장치에는 센서를 포함하는 논리형 전력공급기와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형 전력공급기가 제공되고, 동력형 전력공급기는 원본이 원본 트레이 상에 놓여지지 않을 때는 꺼진다는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논리형 전력공급기는 항상 켜져 있으므로, 전력 소비에 대한 효과가 우수한 경우에도 수명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가 해결되는 원본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하는 제1 검출기와,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가능 조건과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없는 검출 불가능 조건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절환될 수 있는 제2 검출기와, 제1 검출기가 검출 가능 조건에 있을 경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조건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트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본의 존재/부재를 검출하는 제1 검출기와, 원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가능 조건과 원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없는 검출 불가능 조건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절환될 수 있는 제2 검출기와, 제1 검출기가 검출 가능 조건에 있을 경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조건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트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3은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4는 원본 공급 장치의 센서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원본 공급 장치의 운반 경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원본 공급 장치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원본 공급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인 도7a 및 도7b를 포함하는 도면.
도8은 원본 공급 장치의 센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원본 공급 장치
200 : 화상 판독기
300 : 프린터 유닛
301 : 프린터 제어 유닛
306 : 감광 드럼
400 : CPU 회로
405 : 화상 신호 제어 유닛
410 : 화상 처리 유닛
먼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판독기(200), 프린터 유닛(300), 폴더(folder)(500), 마감기(600)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로 구성된다. 원본 공급 장치(100)는 화상 판독기(200) 상에 장착된다.
원본 공급 장치(100)에서, 원본 트레이(105) 상에 놓여지는 원본들은 첫 페이지에서 마지막 페이지까지 연속적으로 하나씩 공급되고, 공급된 원본은 만곡된 통로를 통해 플래튼(platen) 유리(205) 상으로 운반된다. 원본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스캐너 유닛(206) 상에서 원본을 이동시킴으로써 판독된다. 그후, 판독된 원본은 배출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된다.
렌즈(207)를 통해 화상 센서(208)에 의해 판독된 원본 상의 화상은 화상 처리를 받은 후, 하드 디스크(413)(도3 참조)에 저장되고 프린터 제어 유닛(301)을 거쳐 노출 제어 유닛(305)으로 보내진다. 노출 제어 유닛(305)은 화상 신호에 응답하여 레이저 비임을 출력한다. 레이저 비임이 감광 드럼(306) 상에 조사될 때,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306) 상에 형성된다. 감광 드럼(306)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307)에 의해 현상되고, 감광 드럼 상의 현상제(현상된 화상)는 전사부(312)에서 카세트(308), 카세트(309), 수동 삽입 공급부(310) 및 양면 운반 통로(311)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된 시트 상으로 전사된다.
현상제가 전사된 시트가 정착 유닛(313)으로 보내질 때, 현상제 정착 공정이 수행된다. 시트가 정착 유닛(313)을 통해 운반된 후, 시트는 (도시되지 않은) 플래퍼(flapper)에 의해 통로(351)로부터 통로(314)로 일시적으로 유도되고, 시트의 후단부가 통로(315)를 지난 후, 시트는 통로(316)로부터 한 쌍의 배출 롤러(317)로 시트를 유도하도록 뒤로 돌려지게 된다. 이런 식으로, 시트는 (현상제가 전사되는) 화상 표면이 하향으로 면하면서(겉면을 아래로 함) 한 쌍의 배출 롤러(317)에 의해 프린터 유닛(300) 밖으로 배출된다. 이는 역전 배출로 불려진다.
이런 식으로 겉면을 아래로 하는 방식으로 시트를 배출함으로써, 원본 공급 장치(100)가 사용되거나 또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화상이 프린터될 때는, 화상은 첫 페이지부터 적절한 순서로 형성된다.
또한, 화상 형성이 수동 삽입 시트 공급부(310)로부터 전달된 OHP 시트와 같은 하드 시트에 수행될 때는, 시트는 상기 시트가 통로(315)로 유도되지 않고 상향으로 면하는(겉면을 위로 하는) 화상 표면을 가지면서 한 쌍의 배출 롤러(317)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화상이 시트의 양면에 형성될 때는, 시트는 정착 유닛(313)으로부터 통로(315, 314)로 유도되고, 시트의 후단부가 통로(315)를 벗어난 직후, 시트는 뒤로 돌려지게 되어 (도시되지 않은) 플래퍼에 의해 양면 운반 통로(311)로 유도된다. 양면 운반 통로(311)로 유도된 시트에서, 정전 잠상(현상된 화상)은 전사부(312)에서 다시 시트 상으로 전사되고 화상은 정착 유닛(313)에서 정착된다.
쌍으로 된 배출 롤러(317)에 의해 배출된 시트는 폴더(500)로 보내진다. 폴더(500)는 Z자 절첩 방식으로 시트를 접기 위한 공정을 수행한다. A3 및 B4 크기를 갖는 큰 시트에 대하여 절첩 공정 지시가 내려지면, 절첩 공정이 폴더(500)에서 수행된 후 시트는 마감기(600)로 보내진다. 그러나, 다른 시트는 그대로 마감기(600)로 보내진다. 마감기(600)는 제책(bookbinding) 공정, 스테이플링 공정 및 천공 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전방 커버 또는 전/후방 커버를 마감기(600)로 공급하도록 인서터(inserter)(700)가 마감기 상에 제공된다.
도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전체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은 주로 CPU 회로(400)로 구성된다. CPU 회로(400)는 CPU(401), 롬(ROM)(402) 및 램(RAM)(403)을 포함한다.
롬(402)에 저장되고 CPU(401)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과 작동 유닛(102)의 설정에 따라서, CPU 회로(400)는 원본 공급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 공급 제어 유닛(101), 화상 판독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화상 판독기 제어 유닛(201),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 프린터 유닛(3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제어 유닛(301), 절첩 장치(500)를 제어하기 위한 폴더 제어 유닛(501), 마감기(600)를 제어하기 위한 마감기 제어 유닛(601) 및 외부 중개장치(I/F)(406)를 제어한다.
램(403)은 제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영역 및 제어에 관한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외부 I/F(406)는 외부 컴퓨터(407)에 대한 중개장치이고 외부 컴퓨터(407)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터를 화상으로 현상하고 화상을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화상 판독기 제어 유닛(201)은 화상 판독기(208)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하고,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노출 제어 유닛(305)으로 입력된다.
도3은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화상 신호 제어 유닛(405)은 화상 처리 유닛(410), 라인(line) 기억장치(411), 페이지 기억장치(412) 및 하드 디스크(413)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유닛(410)에서는, 작동 유닛(102)에서의 설정에 따라서 화상 수정 처리 및 판(edition) 처리가 수행된다. 라인 기억장치(411)에서는, 주 스캔 방향에서의 화상을 변환하기 위한 거울상 처리가 수행된다. 라인 기억장치(411)로부터의 화상은 페이지 기억장치(412)를 거쳐서 프린터 제어 유닛(301)으로 출력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되는 페이지 순서가 변환될 필요가 있을 때 하드 디스크(413)가 사용되고, 페이지 기억장치(412)의 화상은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다.
도4 내지 도6은 원본 공급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로킹 모터(83)을 구동함으로써, 시트 공급 롤러(5)는 상향으로 면하는(겉면이 위로 가는) 원본의 전방 표면을 갖는 원본 트레이(105) 상에 적층된 원본들 중 최상부 것의 상부 표면 상으로 내려지게 된다. 분리 모터(80)를 구동함으로써, 시트 공급 롤러(5) 및 분리 운반 롤러(8)는 원본 적층부의 최상부 것부터 하나씩 플래튼 유리(205)의 판독 위치로 원본을 운반하도록 구동된다.
원본 트레이(105)와 플래튼 유리(205) 사이에는 원본 운반 통로[(A), (B), (C)]가 제공된다. 이러한 원본 운반 통로[(A), (B), (C)]는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 운반 통로[(D)]로 연결되도록 (하향으로) 만곡된다. 원본 운반 통로[(A)]는 분리부에서 분리된 원본이 분리 운반 롤러(8)에 의해 하류로 운반되는 통로이다. 역전 운반 통로[(H), (F), (I)]는 원본 운반 통로[(B)]에서 연장된다. 역전 운반 통로[(H), (F), (I)]는 원본이 플래튼 유리로 운반되기 전에 전면에서 후면으로 원본을 뒤집기 위해 사용된다. 역전 운반 통로[(H), (F), (I)]에 의해 역전된 원본은 후면으로 전환되어 원본 배출 통로(E)를 통해 플래튼 유리(205)로 운반된다.
단일면 원본 모드의 경우, 원본은 원본 운반 통로[(B), (C), (D)]를 통해 운반된다. 양면 모드의 경우에는, 원본은 원본 운반 통로[(B)]로부터 역전 운반 통로[(H), (F), (I)]로 운반된 후, 원본 통로[(E), (D)]로 운반된다. 이런 식으로, 원본 트레이(105) 상에 놓여진 원본의 후면이 판독되는 상태가 설정된다. 원본 운반 통로[(B)] 후, 예비 역전(pre-reversal) 플래퍼 솔레노이드(88)를 구동하여 예비 역전 플래퍼(22)를 절환시킴으로써, 원본은 운반 통로[(C)] 또는 운반 통로[(H)]로 유도된다. 또한, 원본 운반 통로[(G)]는 역전 운반 통로[(F)]로부터 분기되어 원본 운반 통로[(B)]로 연결된다. 운반 통로[(E), (F), (G), (C)]를 이용함으로써, 플래튼 유리(205)로부터의 원본은 뒤로 전환 및 역전되어, 다시 플래튼 유리(205) 상으로 복귀된다.
양면 원본 모드에서는, 후면이 판독된 후 원본이 전면을 판독하도록 역전될 때, 원본은 운반 통로[(E), (F), (G), (C)]를 통해 유도된다. 운반 통로[(F)] 후, 역전 플래퍼 솔레노이드(87)를 구동하여 역전 플래퍼(21)를 절환시킴으로써, 원본은 운반 통로[(I)] 또는 운반 통로[(G)]로 유도된다. 화상 판독이 종료된 후,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은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 운반 통로[(D)] 및 원본 배출 통로[(J)]를 통해 배출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된다.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 운반 통로[(D)]로부터 원본 배출 통로[(J)]로 원본을 유도하기 위해, 원본은 플래튼 유리(205)로부터 위로 파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배출 플래퍼(23)는 배출 플래퍼 솔래노이드(89)를 구동하여 내려지게 된다.
개방가능/폐쇄가능 수동 삽입 원본 트레이(14)는 원본 공급 장치(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수동 삽입 원본 트레이(14) 상에 놓여진 원본(단일 원본)은 수동 삽입 운반 통로[(K)]를 통해 플래튼 유리(205)로 공급된다.
화상 판독이 종료된후,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은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 운반 통로[(D)] 및 원본 배출 통로[(J)]를 통해 배출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된다.
도7a 및 도7b는 원본 공급 장치(100)의 회로 배열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원본 공급 장치(100)는 CPU(90), 램(91), 제어 순차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롬(92), 화상 형성 장치(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IC(93)를 포함한다. 전체 원본 공급 장치(100)는 통신 IC(93)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되고, 원본 공급 장치(100)의 상태가 항상 전송된다. 다양한 부하 및 센서 신호용의 구동 회로는 CPU(90)의 I/O 포트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리 모터(DC 브러시 모터)(8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 및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의 회전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시계 및 온/오프 신호는 CPU(90)로부터 제어기로 입력된다.
역전 모터(스텝 모터)(81) 및 벨트 모터(스텝 모터)(82)는 (도시되지 않은) 스텝 구동기에 의해 일정한 전류로 구동된다. 위상 여자 신호 및 모터 전류 제어 신호는 CPU(90)로부터 각 구동기로 입력된다.
로킹 모터(스텝 모터)(83)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에 의해 일정한 전압으로 구동된다. 배출 모터(DC 브러시 모터)(84)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및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스토퍼(stopper) 솔레노이드(85), 분리 클러치(86), 역전 플래퍼 솔레노이드(87), 예비 역전 플래퍼 솔레노이드(88) 및 배출 플래퍼 솔레노이드(89)는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구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모든 구동기는 CPU(90)의 I/O 포트와 통신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분리 센서(30), 대각선(diagonal) 검출 센서(31), 정합(registration)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종이 토출 센서(36), 문서(원본) 시트 설정 센서(37), 문서 시트 후방 에지(후단부) 검출 센서(38), 문서 단부 검출 센서(39), 시트 수동 공급 설정 센서(40), 종이 공급 롤러 홈(home) 센서(42), 시트 폭 검출 센서(44), 커버 개방/폐쇄 검출 센서(45) 및 DF개방/폐쇄 검출 센서(46)가 CPU(90)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원본(문서)의 수행과 장치의 다양한 부하의 수행을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는 원본이 원본 트레이(105) 상에 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원본 트레이(105) 상에 제공된다. 수동 공급 시트 설정 센서(40)는 원본이 수동 삽입 원본 트레이(14) 상에 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수동 삽입 원본 트레이(14) 상에 제공되다. 또한,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및 종이 토출 센서(36)가 원본 운반 통로에 제공된다.
도8은 원본 공급 장치(100)의 센서 회로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센서(34), 종이 토출 센서(36), 문서(원본) 시트 설정 센서(37), 문서 시트 후방 에지(후단부) 검출 센서(38), 문서 단부 검출 센서(39), 시트 수동 공급 설정 센서(40), 종이 공급 롤러 홈 센서(42), 시트 폭 검출 센서(44), 커버 개방/폐쇄 검출 센서(45) 및 DF 개방/폐쇄 검출 센서(46)가 도8에 도시된 회로로 구성된다. 각 센서는 LED(발광 요소)(301) 및 광트랜지스터(수광 요소)(30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03)의 온/오프는 CPU(90)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 센서 온/오프 신호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발광 요소의 에너지화 및 탈에너지화가 절환된다. 즉, 온/오프 신호의 출력이 끊어지면, LED(발광 요소)(301)는 발광하지 않고, 이러한 경우 CPU(90)는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그러나, CPU는 발광 요소가 항상 광을 방출하도록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 및 수동 공급 시트 설정 센서(40)로 온(on) 신호를 항상 출력한다. CPU가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 및 수동 공급 시트 설정 센서(40)로 온(ON) 신호를 출력하지만, CPU는 적어도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종이 토출 센서(36)에 대해서는 온/오프 신호를 오프(off)하여, 이러한 센서들이 검출 불가능 상태가 되도록 한다.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 또는 수동 공급 시트 설정 센서(40)로부터의 센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원본이 놓여진 것이 판단되는 경우, CPU(90)는 적어도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종이 토출 센서(36)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온(on)하여, 검출 불가능 상태에서 검출 가능 상태로 상술한 센서들과는 다른 모든 센서를 절환한다. 작동이 개시되지 않고 원본이 그대로 있으면, 온/오프 신호는 계속 켜져 있다. 또한, 원본 공급 장치(100)의 전력공급기가 켜지면, 원본 공급 장치(100)의 구동부들(분리 모터(80), 역전 모터(81), 벨트 모터(82), 로킹 모터(83), 배출 모터(84), 스토퍼 솔레노이드(85), 분리 클러치(86), 역전 플래퍼 솔레노이드(87), 예비 역전 플래퍼 솔레노이드(88) 및 배출 플래퍼 솔레노이드(89))이 초기화된다. 그러나,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로 변하면, 원본 공급 장치(100)의 구동부들의 초기화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소음이 방지되고, 장치는 짧은 시간동안 작동된다.
원본 트레이(105) 또는 수동 삽입 원본 트레이(14) 상에 놓여진 원본 화상의 판독이 시작된 후, 트레이 상에 놓여진 원본 모두가 배출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종이 토출 센서(36)를 위한 온/오프 신호는 꺼지게 된다. 그에 따라, 센서 발광 요소의 전원은 끊어지게 된다(검출 불가능 상태가 됨). 또한, 원본이 트레이 상에 놓여지고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 또는 수동 공급 시트 설정 센서(40)가 원본을 검출하지 않도록 꺼진 후 판독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사실에 응답하여, 적어도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및 종이 토출 센서(36)를 위한 온/오프 신호는 꺼진다. 그에 따라, 센서 발광 요소의 전원은 끊어지게 된다(검출 불가능 상태가 됨).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분리 센서(30), 대각선 검출 센서(31), 정합 전방 센서(32), 정합 후방 센서(33), 역전 센서(34) 및 종이 토출 센서(36)를 위한 온/오프 신호가 꺼지고 센서 발광 요소의 전원이 끊어지게 됨으로써(검출 불가능 상태가 됨), 센서의 수명은 연장되고,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오프 상태가 만족될 때의 아날로그 값이 온 상태가 만족될 때의 값보다 작게 되도록 온/오프 신호를 바꿈으로써, 센서 발광 요소의 발광량은 감소되어, 센서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플래튼 유리(205) 상에 놓여진 원본(원본 공급 장치(100)로부터 운반된 원본이 아닌)의 화상이 화상 판독기(200)(북(book) 모드)에 의해 판독될 때, 판독이 종료한 후, 플래튼 유리(205) 상의 원본이 원본 공급 장치(100)의 개방/폐쇄에 기초하여 제거 또는 제거되지 않은 것이 판단될 수 있다. 원본이 원본 공급 장치(100)에 놓여지지 않고 개방/폐쇄 상태가 개방/폐쇄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술한 판단이 수행되지 않아서,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와 마찬가지로 개방/폐쇄 센서(46)에서 센서 발광 요소는 개방/폐쇄 상태를 검출하도록 항상 전원이 공급된다. 원본 공급 장치의 검출된 개방/폐쇄 상태는 통신 IC(93)를 통해 화상 형상 장치(300)로 항상 알려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문서 시트 설정 센서(37) 뿐만 아니라 문서 시트 후방 에지 검출 센서(38) 및 문서 단부 검출 센서(39)도 원본의 존재/부재가 이러한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원본의 존재가 센서들 중 어느 것에 의해 검출될 때는, 온/오프 신호는 모든 센서를 검출 가능 상태로 절환하도록 켜질 수 있다. 또한, 원본의 부재가 모든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때는, 온/오프 신호는 다른 센서들을 검출 불가능 상태로 절환하도록 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에 의해 원본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는 원본 공급 장치에 있어서, 센서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Claims (12)

  1.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기와,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가능 상태와 시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없는 검출 불가능 상태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절환될 수 있는 제2 검출기와,
    상기 제1 검출기가 검출가능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2. 원본의 존재/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기와,
    원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가능 상태와 원본의 존재/부재를 검출할 수 없는 검출 불가능 상태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절환될 수 있는 제2 검출기와,
    상기 제1 검출기가 검출가능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원본이 놓여지는 원본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기는 원본이 상기 원본 트레이에 놓여 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트레이로부터 공급되어 화상 판독을 받게 되는 원본이 놓여지는 배출 트레이와 원본이 상기 원본 트레이로부터 상기 배출 트레이로 운반되는 운반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기는 상기 운반 통로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원본의 존재가 상기 제1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가능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트레이로부터 공급되어 화상 판독을 받게 되는 원본이 놓여지는 배출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기가 검출 가능 상태로 변환된 후, 상기 제어기는 화상 판독 작업이 개시되기 전에 원본의 부재가 상기 제1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트레이로부터 공급되어 화상 판독을 받게 되는 원본이 놓여지는 배출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출기가 검출 가능 상태로 변환된 후, 상기 제어기는 상기 원본 트레이에 놓여지는 모든 원본들이 상기 배출 트레이 상으로 배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기는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상태로 변환시킬 때 상기 발광 요소의 발광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기는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검출기를 검출 불가능 상태로 변환시킬 때 상기 발광 요소의 발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공급 장치의 개방/폐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3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검출기는 상기 제1 검출기에 의한 원본의 검출에 관계없이 개방/폐쇄 상태를 항상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를 화상 형성 장치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기는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요소는 LED이고, 상기 수광 요소는 광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본 공급 장치.
KR10-2002-0012813A 2001-03-12 2002-03-11 원본 공급 장치 KR100473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8473 2001-03-12
JPJP-P-2001-00068473 2001-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783A true KR20020072783A (ko) 2002-09-18
KR100473132B1 KR100473132B1 (ko) 2005-03-09

Family

ID=1892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813A KR100473132B1 (ko) 2001-03-12 2002-03-11 원본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647240B2 (ko)
EP (1) EP1251407B1 (ko)
KR (1) KR100473132B1 (ko)
CN (1) CN1249536C (ko)
DE (1) DE6023829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320A (ja) 2002-06-21 2004-01-29 Canon Inc シート厚検知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シート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3687634B2 (ja) * 2002-07-26 2005-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
JP4072495B2 (ja) * 2003-12-15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出装置
JP4351932B2 (ja) * 2004-02-27 2009-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63457A (ja) * 2004-03-19 2005-09-29 Canon Inc 後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0382556C (zh) * 2004-11-12 2008-04-16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具有红外线感应器的进纸器
US7455286B2 (en) 2005-06-28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separation using two torque motors
JP4654809B2 (ja) * 2005-07-21 2011-03-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3423B2 (ja) 2008-06-18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サータ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331775B2 (ja) * 2010-10-28 2013-10-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送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439186B1 (ko) * 2011-11-09 2014-09-12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원고 반송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6452421B2 (ja) 2014-12-08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5415B2 (ja) * 2017-09-28 2022-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記録装置
JP7148867B2 (ja) * 2018-11-30 2022-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搬送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128A (en) * 1973-08-31 1975-09-30 Xerox Corp Control logic for changing a multi-mode copier/duplicator from one mode to another
JPS5526156A (en) 1978-08-14 1980-02-25 Ricoh Co Ltd Sheet condition detecting method
US4740686A (en) 1986-09-09 1988-04-26 The Perkin-Elmer Corporation Optical sensor circuitry
US5283424A (en) 1992-10-19 1994-02-01 Xerox Corporation Optical paper sensor having alterable sensitivity and illumination intensity
JP3026917B2 (ja) 1994-09-30 2000-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491868B2 (ja) 1996-07-20 2004-01-26 株式会社リコー 原稿検知装置
JP3745045B2 (ja) 1996-09-30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表裏反転装置を備える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021305A (en) 1996-09-30 2000-02-0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original conveying apparatus for duplex copying
DE69725824T2 (de) 1996-11-18 2004-08-05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JP3332799B2 (ja) * 1997-05-26 2002-10-07 株式会社東芝 画像読取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H11109798A (ja) * 1997-10-07 1999-04-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091927A (en) * 1997-11-17 2000-07-18 Ricoh Compan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document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canner, or the like
KR19990049391A (ko)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인쇄기기의 기록지 공급장치
JPH11212425A (ja) 1998-01-27 1999-08-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原稿給送装置および用紙搬送装置
JP3463915B2 (ja) * 1998-02-19 2003-11-05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2000289885A (ja) 1999-04-01 2000-10-17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058754A (ja) * 1999-06-08 2001-03-06 Ricoh Co Ltd シート仕分け装置及びシート排紙装置
JP4571326B2 (ja) 2001-03-27 2010-10-27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1407A2 (en) 2002-10-23
CN1249536C (zh) 2006-04-05
KR100473132B1 (ko) 2005-03-09
DE60238290D1 (de) 2010-12-30
US20020127037A1 (en) 2002-09-12
EP1251407A3 (en) 2002-10-30
US6952537B2 (en) 2005-10-04
EP1251407B1 (en) 2010-11-17
US6647240B2 (en) 2003-11-11
CN1375748A (zh) 2002-10-23
US20040047008A1 (en)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905B1 (ko)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
KR100473132B1 (ko) 원본 공급 장치
US6493113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US20110229240A1 (en) Connection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07150909A (ja) 原稿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7774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571436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センサ電源の供給制御方法
JP2006115428A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9764B2 (ja) 原稿給送装置
JP4369826B2 (ja) 用紙反転装置及び該用紙反転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309798B1 (ko)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034123A (ja) 後処理装置、機能ユニット無効化方法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10268442A (ja) 画像読取装置
JP20062591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2599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3890133B2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該シート材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49595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794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67831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636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18829A (ja) 紙葉類搬送装置
JP2006124125A (ja)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1146349A (ja) 電子写真装置
JPH06332272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08936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該シート材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