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899A -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함유식품 - Google Patents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함유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899A
KR20020035899A KR1020027004659A KR20027004659A KR20020035899A KR 20020035899 A KR20020035899 A KR 20020035899A KR 1020027004659 A KR1020027004659 A KR 1020027004659A KR 20027004659 A KR20027004659 A KR 20027004659A KR 20020035899 A KR20020035899 A KR 2002003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potassium
low potassium
cation exchange
exchan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노시타유코
기노시타도시오
가타무네고지
고토다쿠시
다키자와도시오
하부토아키나카
이이누마가쯔하루
후지키히로아키
호리이가즈오
이가라시스스무
야마무로무네히로
에노모토고이치
Original Assignee
이이누마 카즈하루
메이지 세이카 가이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931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03945A/ja
Application filed by 이이누마 카즈하루, 메이지 세이카 가이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이누마 카즈하루
Publication of KR2002003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8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ion-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의 칼륨함량을 1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칼슘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저칼륨쥬스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칼륨쥬스는 낮은 칼륨함량을 가질 뿐 아니라 개선된 풍미 및 영양 밸런스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맛있게 섭취할 수 있다. 더구나, 저칼륨쥬스를 원료로서 함유하는 분말쥬스와 젤리, 캔디 및 구미와 같은 식품이 제공된다. 음료 및 식품은 신부전환자와 같이 신장기능이 저하되고, 칼륨의 섭취가 제한되는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Description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함유식품 {Low potassium juice,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food containing the same}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의 세포에서는, 칼륨은 주로 세포내액에 존재하여, 주로 세포외액에 존재하는 나트륨과 쌍을 이루어, 산염평형의 주된 인자의 하나로서 생체의 항상성(homeostasis)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신부전환자는 칼륨의 배설기능 및 혈중 이온밸런스 유지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고칼륨혈증(hyperkalemia), 고인산혈증(hyperphosphatemia), 저칼슘혈증(hypocalcemia)을 일으키기 쉽다. 과도한 혈청 칼륨레벨의 상승은, 심장의 기능정지를 유발하여 최악의 경우는 생명의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신부전환자는 칼륨의 섭취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고, 특히 칼륨을많이 함유하는 과일이나 야채 등을 마음대로 섭취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부전환자는 고인산혈증 또는 저칼슘혈증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에게는 탄산칼슘의 투여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서는, 과일 및 야채등의 섭취가 제한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식사내용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영양밸런스의 유지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쥬스의 처리 자체는 옛부터 알려진 기술이다. J. Sci. Food Agric. (1966), 17(11), 488-90에는, 포도쥬스의 아골(argol)의 침전방지 및 산도(acidity)의 조정에,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쥬스 중의 칼륨이온을 조정하는 시도도 보고된 바 있다(일본국 특개소61-209573호 공보, BR 공개 9704147호 공보, EP 공개 0339540호 공보).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이온 교환 수지로 칼륨이온을 감량하도록 조제한 식품은, 건강관리, 풍미, 텍스쳐(texture), 영양밸런스 등의 면에서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일본국 특개소61-209573호 공보에서는, 칼륨 함량을 저하시키면 쥬스의 풍미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탈칼륨량은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의 90%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즉 적어도 약 10%의 칼륨을 남김으로써 풍미가 유지된다. 그 이상의 칼륨감량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일본에서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 3회의 투석에 의한 유지 혈액 투석환자(patients under maintenance blood dialysis)의 경우, 칼륨의 섭취가 1.5 g/일로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이 경우, 신부전환자의 음용에 적합할 때까지 과일 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 중의 칼륨량을 줄이면, 산도가 과도하게 커지고, 풍미가 극도로 나빠져서 쥬스로서의 적합한 풍미를 가지는 음료를 얻을 수 없었다.
BR 공개 9704147호 공보 및 EP 공개 0339540호 공보는, 상기의 풍미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수용성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탈칼륨쥬스의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다. BR 공개 9704147호 공보에서는,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쥬스의 칼륨이온과 나트륨이온을 칼슘이온으로 교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는, 그 조정에 필요한 수용성 칼슘염의 함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대량의 칼슘이온의 교환은 비현실적이며, 일반음료에 포함되어 있는 것처럼 미량의 수용성 칼슘이온을 포함한 쥬스를 제공하는 것만이 가능했다.
이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EP 공개 0339540호 공보에서는, 신규한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저칼륨 쥬스의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디비닐벤젠으로 80% 가교된, 설폰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수지로 된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칼슘 함유 쥬스의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칼륨이온의 제거량,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교환용량 등의 기술적인 벽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처리 전의 쥬스에 포함된 전체 칼륨이온량의 대략 30% 정도의 칼륨이온을 포함하는 쥬스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더욱이, 이온 교환기술이 크게 진보된 현재에는, 이온 교환막에 의한 쥬스의 탈양이온법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형분이 많은 쥬스의 경우는, 막의 막힘을 유발하기 때문에 원료 쥬스에 함유되는 양이온의 5분의 1 정도로 이온량을 줄이는 것이 한계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칼륨이온의 제거하고 선택적으로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로 칼슘을 부가한 쥬스의 제공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풍미를 유지한 채, 충분한 양의 칼륨을 제거하는 것 및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대량의 칼슘이온을 교환시키는 데에는, 기술상의 한계가 있었다.
일반적인 쥬스의 동결건조법에 대해서는, (주)아사쿠라서점 1997년 10월 1일 발행 「최신 과일쥬스/과일음료사전」287페이지(ISBN 4-254-43060-4)에 피건조물의 Bx와 동결건조 온도와의 관계, 작은 결정으로 구성된 얼음 생성의 필요성 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저칼륨 쥬스의 구체적인 처리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어서, 젤리(jelly) 및 구미(gummy)의 일반적인 제법에 대해서는, (주)아사쿠라서점, 2000년 5월 20일 발행, 「과자사전」 397~400 페이지(ISBN 4-254-43063-9)에 배합과 제법을 기술하고 있지만, 저칼륨 쥬스를 함유한 제품의 언급은 없다. 또한, 일반적인 캔디에 대해서는, 상기 「과자사전」 386~392 페이지에 각종 배합과 제법이 기술되어 있지만,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저칼륨 쥬스를 함유한 제품에 대한 언급은 없다. 더욱이, 주출구 부착 파우치(a soft container equipped with a mouthpiece having a cap)에 열간충전(hot filling)하고, 밀봉한 젤리에 대해서는,일본국 특개평11-75726에 콜라겐펩티드(collagen peptide)와 복숭아쥬스 함유 젤리상태의 음료(jelly-like fluid drink)을 개시하고 있지만, 저칼륨 쥬스를 함유한 제품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된 바 없다.
풍미가 본 발명에 따른 음식의 중요한 요소인 것은 물론 말할 필요도 없다. 단순히 칼륨만을 제거한 음식은 장기간 식이제한을 강요받는 만성 신부전환자에게 있어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그러나, 사람의 풍미의 감각에 대해서는, 충분한 과학적 해명이 행해져 있지 않아, 신규한 식품, 신규한 풍미는, 식료기술자의 무작위 스크리닝이나 막대한 노력에 의해 개발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저칼륨 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좋은 풍미를 가진 저칼륨 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저칼륨 쥬스를 원료로 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칼륨쥬스의 풍미는 칼륨 농도를 감소시키고 거기에 칼슘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개선된다. 더 나아가서 본발명은 칼륨의 섭취가 제한되어, 탄산칼슘의 투여가 필요한 신부전(kidney failure) 환자에 적합한 저칼륨 쥬스 및 그것을 이용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칼륨량을 저하시킴은 물론 풍미나 영양밸런스를 개선하여 신부전환자와 같이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이 맛있게 섭취할 수 있는,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은 저칼륨 쥬스 및 그것을 원료로 하여 분말 저칼륨 쥬스, 젤리, 구미, 캔디 등의 각종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신부전환자의 치료, 예를들어 저칼슘증 및 고인산혈증의 탄산칼슘에 의한 개선 및 방지는 물론 혈중 칼륨이온의 조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중증 신부전환자에게 있어서는, 통상의 쥬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량조차도, 그것을 배설하는데 많은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칼륨의 섭취도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의료현장에서는, 제한된 수분섭취를 위한 기호품으로서 환자에게 단지 얼음조각 또는 각얼음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수분 함유량이 비교적 적고, 당질 유래 에너지의 보충적인 섭취도 가능한 저칼륨식품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에 나타내는 저칼륨 쥬스를 함유하는 각종 식품의 개발에도 성공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기에 이르렀다.
먼저, 저칼륨 쥬스를 얻기 위해, 각 방면의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이온 교환 수지로 칼륨함량을 낮추면, 산도가 과도하게 강해져, 풍미를 잃은 저칼륨 과일쥬스 및/또는 저칼륨 야채쥬스가 얻어졌다. 그러나, 상기 쥬스에 고형의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함으로써, 산도가 중화되고, 풍미가 개선되어, 맛있게 섭취할 수 있었다. 이어서, 저칼륨쥬스를 원료물질로 하는 상기 기재된 각종 식품은 신부전환자의 치료, 체내중의 혈중 칼륨이온과 인산이온의 밸런스 유지의 목적 및 저칼륨 쥬스 함유 각종 식품에 필연적으로 첨가된 당질에 의한 체내로의 에너지 공급의 목적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으로, 산도의 중화에는 염기성 화합물의 첨가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쥬스로부터 제거된 칼륨 또는 나트륨을 포함하는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는 것은 칼륨 또는 나트륨의 섭취가 제한되어 있는 신부전환자용 쥬스에는 받아들일 수 없다. 칼슘형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종래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거되는 칼륨량이나 교환되는 칼슘이온의 용량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한편, 탄산칼슘은 물에 불용성인 화합물로, The Merck Index(12판, Merck & Co., Inc., pp271-27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칼슘이온의 보충제, 항산화제로서 사람이나 동물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아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산의 흡수억제를 위해 신부전환자에게 폭넓게 투여되고 있어, 그것을 첨가한 쥬스 또는 그것을 원료로 한 각종 식품은 환자가 섭취하더라도 안전할 뿐 아니라, 그것으로 인산의 흡수억제 효과도 기대된다.
종래기술에서는, 풍미의 문제를 수용성 칼슘이온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것을 시도해왔다. 반면, 본 발명자 등은 비수용성 탄산칼슘 또는 난수용성 수산화칼슘을 고체상태로 첨가함으로써, 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각종 쥬스는 과일 또는 야채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입에서의 감촉(mouth feel) 및 풍미를 느끼면서 섭취되며, 이 경우에는 탄산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고체상태로 첨가하여,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과도한 산도를 중화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칼륨함량은 과일이나 야채를 착즙하여 얻은 원래의 원료쥬스(original raw material juice)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저칼륨 쥬스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의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함량에 적합한 양이온 교환 수지량과 접촉시간을 고려하였고, 그 과정에서 충분한 양의 칼륨을 제거한,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량을 10분의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춘 저칼륨 쥬스를 이용한 상기한 각종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더욱이, 본 발명자는 신부전환자의 상태에 맞춰 탄산칼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종래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커다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과일이나 야채쥬스를 충분히 탈칼륨하여 얻어진 풍미가 떨어진 쥬스에, 탄산칼슘또는 수산화칼슘을 고체상태로, 신부전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양을 첨가함으로써, 풍미의 문제는 물론, 신부전환자를 위한 각종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인산의 체내 축적은 신부전환자에게 있어 중대한 문제로, 인산함유 식품의 섭취제한 및 인산의 흡수억제가 일상의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즉, 미국의 일반적인 의사 매뉴얼인 The Merck Manual(제5판, Merck Sharp & Dohme Research Laboratories, pp 1551-1652, esp. pp 1573, (1987))에 의하면, 신부전환자에 있어서 혈중에서 칼슘이온, 인산이온, 파라티로이드호르몬(parathyroid hormone) 및 비타민 D 대사의 이상이 발생하며, 아무런 조치없이 방치하면, 저칼슘혈증과 고인산혈증을 야기하며, 따라서, 신부전환자의 일상 식이요법에 있어서는 칼륨 함유음식을 피해야 하고, 고인산혈증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인산의 흡수억제제인 탄산칼슘을 섭취해야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여 얻은 저칼륨의 쥬스에 탄산칼슘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인산 흡수억제에 의한 고인산혈증의 치료에는, 종래, 수산화알루미늄과 탄산알루미늄이 사용되어 왔다. 현재에는 독성을 피하기 위해, 탄산칼슘(0.5-1.5 g/일)이 경구 투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더욱이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쥬스에 첨가하여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column treatment) 또는 배치처리(batch treat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더욱이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제4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은, 제5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은,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쥬스에 첨가하고, 유기산을 첨가하여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은, 제7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비타민 C, 구연산, 사과산 및 젖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은, 제7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은, 제7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은,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춘 후,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고, 부형제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 처리하여 얻어진 분말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은, 제1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은, 제1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은,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은,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겔화제(gelling agent), 증점제(thickener) 및 당질(carbohydrate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로서의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6 태양은,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겔화제 및 당질로 된 식품의 가열혼합물을 주출구 부착 파우치에 열간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로서의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7 태양은, 제1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젤라틴, 당질, 유기산 및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로서의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8 태양은,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당질 및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디로서의 저칼륨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9 태양은,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칼슘화합물을 0.5~20 g/k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환자용 저칼륨 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칼륨을 함유한 통상의 쥬스, 소위 원래의 원료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해당 쥬스에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비타민 C, 구연산, 사과산, 젖산 등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풍미가 좋고, 또한 영양밸런스를 유지한 신부전환자용 저칼륨 쥬스, 해당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 및 해당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으로서, 예를 들면 분말 쥬스, 넥타, 젤리, 무스, 잼, 푸딩, 캔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은 (1)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상기쥬스에 첨가하여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 (2)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 (3)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고, 비타민 C, 구연산, 사과산, 젖산과 같은 유기산을 첨가하여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 (4)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제거하고,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고, 부형제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 처리하여 얻어진 분말 저칼륨 쥬스, (5) 상기 저칼륨 쥬스 또는 분말 저칼륨 쥬스를 함유하는 식품, (6)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칼슘화합물을 0.5~20 g/k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환자용 저칼륨 쥬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래의 원료쥬스로서는, 야채를 착즙하여 얻은 쥬스, 과일을 착즙하여 얻은 쥬스, 그들을 혼합한 쥬스 등 모든 종류의 쥬스를 포함한다. 또한, 사전에 농축한 쥬스에 대해서는, 원래의 원료쥬스의 농도 또는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이온 교환 처리가 가능한 농도까지 희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는, 시판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의 어느 것이더라도 좋고, 이것은 통상의 방법으로 H+형으로 조정된다.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로서는, 배치식이나 컬럼식을 들 수 있다. 배치식으로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원래의 원료쥬스 1,000 g 당 약 20~1,000 g 정도의 건조한 양이온 교환 수지를 준비하여, 이것을 원료쥬스에 가하고 20분 이상, 통상은 30분 정도 교반한 후, 여과한다.
한편, 컬럼식으로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원료쥬스 1,000 g 당 중량(g) 또는 부피(mL)로 85~500 정도의 양이온 교환 수지로 충전된 컬럼을 준비하고, 원래의 원료쥬스를 여기에 충전하고, 0.5~2.0시간에 걸쳐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는, 원래의 원료쥬스 중의 칼륨 함량을 원래함량에 비해 10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칼륨함량은 원료쥬스의 종류, 사용된 양이온 교환 수지의 양, 쥬스가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는 접촉시간 및 다른 요소등에 따라, 원래함량에 비해 20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생산성 및 이온 교환의 효율의 관점에서, 컬럼식에 의한 처리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를 행하여 칼륨함량을 낮춘 쥬스에,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0.5~2.0 g/kg, 바람직하게는 원료쥬스의 pH값으로 완전히 돌아오지 않을 정도로 가하여 원래의 원료쥬스와 같은 보존안정성 및 풍미를 유지시키고, 필요하다면 비타민 C, 구연산, 사과산, 젖산 등을 가함으로써, 풍미, 산도 및 영양이 개선된 저칼륨 쥬스를 제조할 수 있다.
신부전환자의 혈중 인산이온농도 및 칼륨이온농도간의 밸런스에 따라, 1일당 0.5~1.5 g의 탄산칼슘을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저칼륨 쥬스는, 필요에 따라, 신장기능에 악영향이 관찰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비타민, 당질, 색소(dyestuffs), 향료 등을 배합하여, 풍미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물론, 쥬스는 그 자체 음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농축, 건조 및 조립(agglomeration)공정을 부가하여,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조할 수 있다. 분말 또는 과립상 제품은, 그대로 섭취하더라도 좋고, 물을 가하여 액상으로 하여도 좋고, 다른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양이온 교환수지는 아래의 과정에 의해 미리 조정된 시판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 Dowex 50W-X4 또는 SK1B(미쯔비시다이아이온사제)였다.
즉, 양이온 교환 수지 500 g에 정제수를 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수지를 충분히 세척했다. 물을 빼낸 수지에 에탄올 500 mL를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에탄올을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에탄올에 의한 세척조작을 3회 반복한 후, 에탄올을 정제수로 바꾸어 세척했다. 물로 세척한 수지에 1M 수산화나트륨용액 500 mL를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수지를 여과에 의해 회수했다.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처리조작을 5회 반복한 후, 세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 수지를 물로 씻었다.
그뒤, 세척된 수지를 컬럼내에 충전하고, 3M 염산용액 2,500 mL를 통과시키고 세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 컬럼을 물로 세척했다. 상기 조작 이후에, 그 상태대로 또는 흡인여과에 의해 수지를 충분히 건조하여 H+형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공했다.
원래의 원료쥬스의 양에 따라 사용된 양이온 교환 수지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서 에탄올, 정제수, 1M 수산화나트륨 및 세정 등의 양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1
배치식 제법
원료쥬스로서 시판되는 100% 오렌지쥬스, 100% 사과쥬스, 100%의 포도과즙쥬스 및 100% 포도쥬스 각각 1,000 mL에 건조한 H+형 양이온 교환 수지를 표1에 나타낸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여 칼륨을 흡착시켰다. 그 후, 여과후의 각각의 쥬스에 표1에 나타낸 양의 탄산칼슘을 고체상태로 첨가했다. 더욱이 각 쥬스에 적정법에 따라 측정된 처리 전 쥬스의 농도와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비타민 C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여 첨가제를 용해함으로써, 최종제품인 저칼륨 쥬스를 제조했다.
쥬스중의 칼륨의 농도는 Automated Electrolyte Analyzer EA05(A and 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쥬스의 pH는 비타민 C를 첨가하지 않고 양이온 교환 수지의 처리전과 후 시판되는 pH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륨 함량을 당초의 10분의 1 또는 20분의 1로 줄인 쥬스를 제조할 수 있었다.
표1. 각종 쥬스의 이온 교환 수지처리의 결과
오렌지쥬스 사과쥬스 포도과즙쥬스 포도쥬스
원료쥬스 (mL) 1,000 1,000 1,000 1,000
사용된 수지의 양 (g) 50 40 50 25
칼륨농도 (mmol/L) 처리전 48.0 25.7 38.6 7.6
처리후 2.5 0.8 2.1 0.6
칼륨제거비 0.950 0.962 0.947 0.923
pH 처리후 3.81 4.05 3.30 3.00
처리전 2.18 2.28 2.02 2.07
첨가된 탄산칼슘의 양 (g/L) 2.61 2.08 3.65 1.56
시험예 1
실시예 1에 준한 방법으로 조제한 칼륨농도 2.5 mmol/L의 저칼륨 오렌지쥬스 200 mL를, 동일한 투석요법을 받고 있는 신부전환자 각각에게, 투석시 및 비투석시에 각각 1회 지급하였다. 섭취 전후에서의 환자의 혈중 칼륨레벨의 변화를 Automated Electrolyte Analyzer EA05(A and T)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표2에 얻어진 측정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저칼륨 오렌지쥬스는, 신부전환자가 섭취하였을 때에 혈중 칼륨농도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바, 신부전환자에게 안전하게 지급할 수 있다.
표2. 저칼륨 오렌지쥬스 급여시의 혈중 칼륨레벨의 변화
환자 혈중칼륨레벨 (mmol/L)
투석시 비투석시
섭취 1시간전 섭취 1시간후 섭취 1시간전 섭취 1시간후
A 5.5 3.5 5.5 5.5
B 4.9 4.3 4.9 4.9
C 4.5 3.3 4.5 4.5
실시예 2
배치식 제법
시판되는 녹황색 야채쥬스(원료: 셀러리, 파슬리, 물냉이, 양배추, 무, 시금치, 트레포일(trefoil)) 1,000 mL에, 양이온 교환 수지 700 g을 첨가하여,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칼륨을 흡착에 의해 제거한 야채쥬스를 얻었다.
이어서, 이 야채쥬스에, 표3에 나타난양의 탄산칼슘을 고체상태로 첨가한 후, 야채쥬스에 적정법에 따라 측정된 처리 전 쥬스의 농도와 동일한 농도가 되도록 비타민 C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여 첨가제를 용해함으로써, 최종제품인 저칼륨 쥬스를 제조했다.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 전 및 비타민 C의 첨가 전에, 쥬스 중의 칼륨농도 및 쥬스의 pH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륨 함량을 당초의 20분의 1로 줄인 녹황색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표3. 야채쥬스의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결과
사용된 쥬스의 양 (mL) 1,000
사용된 수지의 양 (g) 700
칼륨농도 (mmol/L) 처리전 128.7
처리후 6.2
칼륨제거율 0.952
pH 처리후 4.01
처리전 0.99
첨가된 탄산칼슘의 양 (g/L) 13.3
실시예 3
컬럼식 제법
먼저, 5배 농축 오렌지쥬스 500 kg에 탈이온수 2,000 kg을 가하여 잘 교반, 혼합하여, 원심분리기로 탈펄프(depulping) 처리를 행했다. 상기 탈펄프한 100% 오렌지쥬스 1,250 kg을 채취, 계량했다.
또한, 7배 농축 투명 사과쥬스 180 kg에 탈이온수 1,080 kg을 가하여, 잘 교반, 혼합함으로써 100% 사과쥬스를 조제했다.
더욱이, 6배 농축 당근착즙 85 kg, 10배 농축 토마토착즙 7 kg, 6배 농축 시금치착즙 10 kg, 상기 100% 오렌지쥬스 190 kg, 7배 농축 투명 사과쥬스 43 kg, 4배 농축 혼탁 사과쥬스 31 kg 및 탈이온수 884 kg을 잘 교반, 혼합함으로써 혼합쥬스를 조제했다.
원료물질로서 사용되는 조제한 쥬스를 건조 H+형 양이온 교환 수지 SK1B(미쯔비시다이아이온사제) 303 kg으로 채운 높이 2 m, 직경 55 cm의 원통형컬럼에 상부로부터 1시간에 걸쳐 통과시킨 후 표4에 나타난 양의 고형의 탄산칼슘을 첨가함으로써, 최종제품인 저칼륨 쥬스를 제조했다.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 전과 처리 후 쥬스중의 칼륨농도를 편광 지만 원자흡수광 광도계 Z-5300(Polarized Zeeman atomic-absorption spectrometer Z-5300)(히타치제작소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4에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륨 함량을 당초의 100분의 1 이하로 낮춘 저칼륨 쥬스를 제조하였다.
표4. 각종 원료쥬스의 컬럼식 이온 교환 수지의 처리결과
오렌지쥬스 사과쥬스 혼합쥬스
원료쥬스 (kg) 1,250 1,250 1,250
사용된 수지의 양 (kg) 303 303 303
칼륨농도 (mmol/kg) 처리전 80.5 29.7 59.5
처리후 0.16 0.05 0.15
칼륨제거량 0.998 0.998 0.998
pH 처리전 3.80 3.68 4.29
처리후 1.97 2.30 1.79
탄산칼슘의 첨가후 3.07 3.22 3.52
탄산칼슘의 첨가량 (g/kg) 2.7 0.8 2.5
시험예 2
실시예 3에서의 공정 중 제조된 최종품으로 얻어진 각종 저칼륨쥬스에 대해서, 탄산칼슘의 첨가 전후에 관능시험(organoleptic test)을 행했다. 풍미 식별능력이 우수한 전문패널(20명)에 의해 테스트를 실시했다. 평점은, 다음과 같았다.
+ 2 : 풍미가 강하게 느껴졌다.
+ 1 : 풍미가 약간 느껴졌다.
0 : 풍미가 느껴지는지 분명하지 않았다.
- 1 : 풍미가 그다지 느껴지지 않았다.
- 2 : 풍미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얻어진 평가를 평균값으로 나타낸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표5. 탄산칼슘 첨가 전후의 풍미 평가
쥬스의 종류 첨가전 첨가후
오렌지쥬스 -1.4 +1.6
사과쥬스 -1.8 +1.7
혼합쥬스 -1.7 +1.4
실시예 4
탄산칼슘을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의 방법에 준하여 조제한 저칼륨 오렌지쥬스(pH 2.05) 1,250 kg에, 고형의 수산화칼슘 2.8 kg을 첨가함으로써, 최종제품인 저칼륨 오렌지쥬스(pH 3.25)를 제조했다.
제조된 저칼륨 오렌지쥬스에 대해서, 시험예 2의 전문패널에 의한 평가와 동일한 시험을 행했다. 그 결과, 이 쥬스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산칼슘이 첨가되어 있는 저칼륨 오렌지쥬스와 유사한 풍미를 갖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5
7배 농축 투명 사과쥬스 28.6 kg과 4배 농축 혼탁 사과쥬스 200.0 kg에 탈이온수 771.4 k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잘 교반, 혼합함으로써 원료 사과쥬스를 조제했다.
원료 사과쥬스를 실시예 3의 방법으로 1 g 중의 칼륨함량을 측정한 바, 1.10 mg이었다. 이어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컬럼식 이온 교환 수지 처리를 행하여, 저칼륨 사과쥬스를 얻어,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쥬스 1 g 중의 칼륨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0.05 mg이었다.
이 저칼륨 사과쥬스 10 kg에, 부형제로서 DE8 덱스트린 1 kg 및 탄산칼슘 10.0 g을 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탄산칼슘 함유 저칼륨 쥬스를 얻었다. 해당 쥬스를 스테인레스스틸 트레이에 두께가 1 cm가 되도록 충전했다. 이 트레이를, -25℃에서 8시간 급속 동결처리한 후, 26.7 Pa에서 통상의 동결건조를 행하여 저칼륨 분말 쥬스를 얻었다.
비교예 1
비교를 위해,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이온 교환 수지 처리를 행하지 않고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얻어진 원료 사과쥬스에 덱스트린을 가하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스테인레스스틸 트레이에 두께가 1 cm가 되도록 충전했다. 이 트레이를, -25℃에서 8시간 급속 동결처리한 후, 26.7 Pa에서 통상의 동결건조를 행하여 통상의 분말 쥬스를 얻었다.
시험예 3
실시예 5에서 얻은 저칼륨 분말 쥬스와 비교예 1에서 얻은 분말 쥬스를, 각각 100% 상당의 천연쥬스 농도로 복원하여 유의수준 5%에서 2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한 양자 택일 선택률에 의한 기호조사를 행했다. 그 결과, 저칼륨 분말 쥬스를 선호한 사람 40%, 통상의 분말 쥬스를 선호한 사람 60%로, 검정 결과, 유의한 차는 없었다.
실시예 6
6배 농축한 당근착즙 6.83 kg, 10배 농축 토마토착즙 0.5 kg, 6배 농축 시금치 착즙 0.83 kg, 실시예 3에서 얻은 100% 오렌지 쥬스 15 kg, 7배 농축 투명 사과쥬스 3.43 kg, 4배 농축 혼탁 사과쥬스 2.5 kg 및 탈이온수 55.15 kg을 잘 교반,혼합함으로써 통상의 혼합쥬스를 조제했다. 이어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컬럼식 이온 교환 수지 처리하여, 저칼륨혼합쥬스를 얻었다. 이 저칼륨혼합쥬스를 진공농축기로 Bx13.3까지 농축했다.
별도로, 한천 31.5중량%, 크산탄 검(xanthan gum) 5중량%, 로카스토빈 검(locust bean gum) 5중량%, 포도당 58.5중량%로 된 겔화제 혼합물과, 크산탄 검 40중량%, 로카스토빈 검 40중량% 및 포도당 20중량%로 된 증점제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어서, 설탕 99 g, 겔화제 혼합물 8 g 및 증점제 혼합물 0.4 g에 주입수(stock water) 514.5 g을 가하고 충분히 혼합, 분산시킨 후, 90℃에서 용해, 혼합하여 당액(sugar solution)을 조제했다.
한편, 상기 저칼륨혼합쥬스 376 g에 고형의 탄산칼슘 0.24 g과 향료 1.6 g을 가하고, 더욱이 상기 당액 전량을 가하여 60℃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80 g씩 플라스틱 용기에 충전하고, 개구부를 적절한 포장재로 봉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살균함으로써 젤리를 얻었다.
비교예 2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실시예 6의 방법에 준하여 얻어진 통상의 혼합쥬스 376 g에 구연산(1.5 g)을 가하여 실시예 6의 제품의 pH와 동일하게 하였다. 더욱이 향료 1.6 g을 가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양의 당액을 가하여 60℃에서 가열하였다. 그 후, 80 g씩 플라스틱 용기에 충전하고, 개구부를 적절한 포장재로 봉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살균을 함으로써 통상의 젤리를 얻었다.
시험예 4
실시예 6에서 얻은 저칼륨혼합쥬스 함유 젤리 100 g 중의 칼륨량을,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바, 6.46 mg이었다. 한편, 비교예 2에서 얻은 통상의 혼합쥬스를 함유하는 통상의 젤리 100 g 중 칼륨량은 132.09 mg이었다.
이어서, 실시예 6에서 얻은 저칼륨혼합쥬스 함유 젤리와 비교예 2에서 얻은 통상의 혼합쥬스로 된 통상의 젤리를, 각각 유의수준 5%에서, 2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한 양자 택일 선택률에 의한 기호조사를 행했다. 그 결과, 저칼륨혼합쥬스 함유 젤리를 선호한 사람 45%, 통상의 혼합쥬스로 된 젤리를 선호한 사람 55%로, 검정 결과, 유의한 차는 없었다.
실시예 7
7배 농축 투명 사과쥬스 28.6 kg과 4배 농축 혼탁 사과쥬스 200.0 kg에 탈이온수 771.6 k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잘 교반하고 혼합함으로써 원료 사과쥬스를 조제했다. 이어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컬럼식 이온 교환 수지 처리하여, 저칼륨 사과쥬스를 얻었다. 이 저칼륨 사과쥬스를 진공농축기로 Bx13.3까지 농축했다.
별도로, 한천 31.5중량%, 크산탄 검 5중량%, 로카스토빈 검 5중량%, 포도당 58.5중량%로 된 겔화제 혼합물과, 크산탄 검 40중량%, 로카스토빈 검 40중량% 및 포도당 20중량%로 된 증강제 혼합물을 조제했다.
이어서, 설탕 85 g, 겔화제 혼합물 9 g, 증점제 혼합물 0.4 g 및 주입수531.3 g을 충분히 혼합, 분산한 후, 90℃에서 용해, 혼합하여 당액을 조제했다. 한편, 상기 저칼륨혼합쥬스 375 g에 탄산칼슘 0.35 g 및 향료 1.0 g을 가하고, 더욱이 상기 당액 전량을 가한 후, 92℃에서 가열하였다. 그후, 150 g씩 주출구 부착 파우치에 열간충전, 밀봉하여 젤리를 얻었다. 이 제품의 pH는 3.8이었다.
비교예 3
이온 교환 수지 처리를 행하지 않고 실시예 7의 방법에 준하여 얻어진 통상의 사과쥬스 375 g에 향료(1.0 g)을 가하고, 더욱이 실시예 7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조제한 당액을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양으로 가한 후, 92℃에서 가열하였다. 그 후, 150 g 씩 주출구 부착 파우치에 열간충전, 밀봉하여 젤리를 얻었다. 이 제품의 pH도 3.8이었다.
시험예 5
실시예 7에서 얻은 저칼륨 사과쥬스 함유 젤리 100 g 중의 칼륨량을,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5.08 mg이었다. 한편, 비교예 3에서 얻은 통상의 사과쥬스로 된 통상의 젤리 100 g 중의 칼륨량은 57.84 mg이었다.
각 제품중의 칼슘 함량에 대하여, 실시예 7에서 얻은 저칼륨 사과쥬스 함유 젤리는 13 mg, 비교예 3에서 얻은 통상의 사과쥬스로 된 통상의 젤리는 3 mg이었다.
이어서, 실시예 7에서 얻은 저칼륨 사과쥬스 함유 젤리와 비교예 3에서 얻은통상의 사과쥬스로 된 통상의 젤리를, 각각 유의수준 5%에서, 20명에 의한 양자 택일 선택률에 의한 기호조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저칼륨사과쥬스 함유 젤리를 선호한 사람 50%, 통상의 사과쥬스로 된 통상의 젤리를 선호한 사람 50%로, 검정결과 유의한 차는 없었다.
또한, 시판되는 3종류의 다른 브랜드의 통상의 과즙젤리의 칼륨 함량은,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내용물 100 g 당 각각 54.8 mg, 47.3 mg, 62.3 mg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얻은 저칼륨 사과쥬스를 진공농축기에 의해, Bx13.3까지 농축했다. 해당 쥬스에 0.035중량%의 고형 탄산칼슘을 첨가했다.
고형 탄산칼슘 함유 쥬스 2.9중량%, 설탕 48.5중량% 및 맥아당화물엿(high maltose corn syrup)(물 25중량% 함유) 48.5중량% 및 향료 0.1중량%의 배합에서, 설탕과 맥아당화 물엿 및 설탕의 3분의 1량의 물을 가하여 160℃로 가열한 후, 150℃로 냉각했다. 이어서, 향료와 상기 얻은 고형 탄산칼슘 함유 쥬스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성형하여, 캔디를 얻었다.
이 캔디의 칼륨 함량을,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0.002 mg%였다. 칼슘 함량을 실시예 3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1.143 mg%였다.
비교예 4
이온 교환 수지 처리를 행하지 않은 실시예 5의 원료 사과쥬스를 진공농축기로 Bx13.3까지 농축했다. Bx13.3의 농축 사과쥬스를 사용하여, 탄산칼슘을 가하지 않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상의 캔디를 얻었다.
이 캔디의 칼륨 함량을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4.505 mg%였다. 또한, 칼슘 함량을 실시예 3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0.075 mg%였다.
시험예 6
실시예 8에서 얻은 캔디와 비교예 4에서 얻은 통상의 사과쥬스로 된 통상의 캔디를, 각각 유의수준 5%에서, 20명에 의한 양자 택일 선택률에 의한 기호조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8의 캔디를 선호한 사람 45%, 통상의 캔디를 선호한 사람 55%로, 검정결과, 유의한 차는 없었다.
실시예 9
실시예 5에서 얻은 저칼륨 분말쥬스 5.4중량%, 설탕 47.0중량% 및 맥아당화 물엿(물 25중량% 함유) 47.0중량%의 배합에서, 설탕, 맥아당화 물엿 및 설탕의 3분의 1량의 물을 가하여 160℃로 가열한 후, 150℃로 냉각했다. 이어서, 저칼륨 분말 쥬스, 향료 0.1중량%, 구연산 0.5중량%를 첨가, 혼합한 후 성형하여, 캔디를 얻었다.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캔디의 칼륨 함량은 0.15 mg%였다. 또한, 칼슘 함량을 실시예 3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12 mg%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5에서 얻은 탄산칼슘 함유 저칼륨 사과쥬스를 진공농축기로 Bx14.4까지 농축했다. 해당 쥬스 77.040중량%, 설탕 28.240중량%, 분말 소르비톨 5.780중량%, 산당화물엿(acid converted glucose syrup)(물 25중량% 함유) 49.906중량%, 젤라틴 6.437중량%, 구연산 1.134중량%, 사과산 0.341중량%, 색소 0.306중량% 및 향료 0.144중량%의 배합에서, 설탕, 소르비톨, 포도당시럽 및 설탕의 3분의 1량의 물을 가하여 혼합하고, 125℃로 가열하여 끓인 당액을 얻었다.
한편, 젤라틴을 1.5배 부피량의 물로 팽윤시켰다. 이어서, 상기 농축한 탄산칼슘 함유 저칼륨 사과쥬스, 끓인 당액 및 팽윤한 젤라틴을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연산, 사과산, 색소 및 향료를 혼합하여, Bx79의 구미반죽(gummy base)을 얻었다.
이어서, 스타치몰드(starch mold)에, 이 구미반죽을 흘려 넣어, 하루동안 방치한 후, Bx82의 성형 구미를 얻었다. 이 제품의 칼륨 함량을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0.8 mg%이고, 칼슘 함량을 실시예 3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6.3 mg%였다.
비교예 5
이온 교환 수지 처리를 행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원료 사과쥬스를 진공농축기로 Bx14.4까지 농축했다. Bx14.4의 농축 사과쥬스를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방법으로 통상의 구미를 얻었다.
이 제품의 칼륨함량을,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8.65 mg%이고, 칼슘량을 실시예 3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3.3 mg%였다.
시험예 7
실시예 10에서 얻은 구미와 비교예 5에서 얻은 통상의 구미를, 각각 유의수준 5%에서 20명에 의한 양자 택일 선택률에 의한 기호조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0의 구미를 선호한 사람 40%, 통상의 구미를 선호한 사람 60%로, 검정결과, 유의한 차는 없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칼륨함량을 천연함량에 비해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춘 저칼륨 쥬스, 해당 쥬스의 제조방법 및 해당 쥬스를 함유하는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저칼륨 쥬스는, 탄산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고체상태에서 첨가함으로써 풍미가 개선되어 있다.
해당 저칼륨 쥬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분말 쥬스, 젤리, 캔디, 구미 등은, 통상적인 식품과 동등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저칼륨 쥬스는 칼륨의 섭취가 제한되어 있는 신부전환자와 같은 신장기능의 저하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칼륨 쥬스 및 그의 함유 식품은 신부전환자의 고인산혈증의 억제를 위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9)

  1.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original raw material juice)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더욱이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쥬스에 첨가하여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
  2.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batch treat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3.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4.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더욱이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쥬스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의 제조방법.
  7.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더욱이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쥬스에 첨가하고, 유기산을 첨가하여 얻어진 풍미를 개선한 저칼륨 쥬스.
  8. 제7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비타민 C, 구연산, 사과산 및 젖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9. 제7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10. 제7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11.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원료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첨가하고, 부형제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결건조 처리하여 얻어진 분말 저칼륨 쥬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가 컬럼처리 또는 배치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저칼륨 쥬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가 H+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저칼륨 쥬스.
  14.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
  15.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겔화제, 증점제 및 당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로서의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
  16.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겔화제 및 당질로 된 식품의 가열혼합물을 주출구 부착 파우치(soft container equipped with a mouthpiece having a cap)에 열간충전(hot filling)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로서의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
  17. 제1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젤라틴, 당질, 유기산 및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미로서의 저칼륨 쥬스 함유 식품.
  18. 제1항 또는 제7항의 저칼륨 쥬스 또는 제11항의 분말 저칼륨 쥬스, 당질 및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디로서의 저칼륨 함유 식품.
  19.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착즙한 쥬스의 칼륨 함유량을 10분의 1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의 1 이하로 낮추고, 칼슘화합물을 0.5~20 g/kg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환자용 저칼륨 쥬스.
KR1020027004659A 1999-10-12 2000-09-18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함유식품 KR20020035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931499A JP2001103945A (ja) 1999-10-12 1999-10-12 風味を改善した低カリウムジュースの製造法
JPJP-P-1999-00289314 1999-10-12
JP2000050918 2000-02-28
JPJP-P-2000-00050918 2000-02-28
PCT/IB2000/001318 WO2001026487A1 (en) 1999-10-12 2000-09-18 Low potassium juice,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food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99A true KR20020035899A (ko) 2002-05-15

Family

ID=2655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659A KR20020035899A (ko) 1999-10-12 2000-09-18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함유식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20622A1 (ko)
JP (1) JP4590145B2 (ko)
KR (1) KR20020035899A (ko)
AU (1) AU7032700A (ko)
CA (1) CA2382639A1 (ko)
WO (1) WO20010264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43B1 (ko) * 2006-05-24 2007-10-09 박민경 비타민 강화 기능성 과일잼
KR20200027811A (ko) 2018-09-05 2020-03-13 이신복 저칼륨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음료 변환 키트
KR20210066600A (ko) * 2019-11-28 2021-06-07 농업회사법인 도향 주식회사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3352B2 (ja) * 2006-09-25 2010-11-17 ハウス食品株式会社 エネルギー補給用ゼリーの製造方法
JP5534235B2 (ja) * 2011-04-20 2014-06-25 株式会社 伊藤園 トマト含有飲料の製造方法
JP5816077B2 (ja) * 2011-12-28 2015-11-17 オルガノ株式会社 液体食品もしくは飲料の調整方法
GB201211114D0 (en) * 2012-06-25 2012-08-01 Coressence Ltd Novel use
WO2016132485A1 (ja) * 2015-02-18 2016-08-25 株式会社クレアテラ 低カリウム食品、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キット
MX357998B (es) * 2015-03-20 2018-07-11 Antonio Hernandez Miramontes Jorge Una mezcla de acidos carboxilicos, especificamente acido citrico, acido succinico, acido fumarico y acido malico para el tratamiento de pacientes con insuficiencia renal cronica, insuficiencia renal aguda, hepatopatias agudas o cronicas que cursen con hiperamonemia, enfermedades congenitas con alteraciones enzimaticas en el ciclo de la urea, asi como condiciones clínicas que cursen con balance nitrogenado negativo.
WO2020021641A1 (ja) * 2018-07-24 2020-01-30 株式会社クレアテラ 液体状の食品から塩類を除去する装置、方法、及び塩類が除去された液体状の食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9573A (ja) * 1985-03-12 1986-09-17 Nippon Terupen Kagaku Kk 脱カリウム飲料
JP2542515B2 (ja) * 1987-05-28 1996-10-09 日清製油株式会社 治療用食品
DE3814572C1 (ko) * 1988-04-29 1989-05-11 Rainer 8634 Rodach De Moebus
BR9704147A (pt) * 1997-08-13 1999-04-06 Coelho Antonio Carlos Duart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sucos industrializados sem potássio nem sodio e enriquecido de cálcio e/ou outro cátion cuja absorção por via oral é de interesse alimentar e/ou clínico
JP2000069947A (ja) * 1998-08-28 2000-03-07 Meiji Seika Kaisha Ltd 風味と栄養を改善した低カリウムジュースの製造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43B1 (ko) * 2006-05-24 2007-10-09 박민경 비타민 강화 기능성 과일잼
KR20200027811A (ko) 2018-09-05 2020-03-13 이신복 저칼륨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음료 변환 키트
KR20210066600A (ko) * 2019-11-28 2021-06-07 농업회사법인 도향 주식회사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0145B2 (ja) 2010-12-01
JP2003511052A (ja) 2003-03-25
CA2382639A1 (en) 2001-04-19
WO2001026487A1 (en) 2001-04-19
EP1220622A1 (en) 2002-07-10
AU7032700A (en) 200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50B1 (ko)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CA1306687C (en) Calcium-iron mineral supplements
EP1006816B1 (en) Solid composition for reducing tooth erosion
US20220288008A1 (en) Juice beverag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nal stones
CN108719555A (zh) 一种蓝莓凝胶夹心糖果及其制备方法
KR20020035899A (ko) 저칼륨쥬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함유식품
CN102823874A (zh) 一种石榴泡腾片及其制备方法
CN111466502A (zh) 虾青素抗疲劳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070626A (zh) 酸马奶水果饮料及其制备方法
CN110771836A (zh) 一种枸杞钙果果酱及其制备方法
KR20140082015A (ko) 산양삼경옥고 및 이의 제조방법
US6387425B1 (en) Method for producing low potassium juice with improved taste and product thereof
CN115669822A (zh) 一种富含胶原三肽果味饮品及其加工工艺
RU23701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жема из мор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JP2001103945A (ja) 風味を改善した低カリウムジュースの製造法
JP2900070B2 (ja) 食品用カリウム補給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57363A (ja) 昆布エキス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この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海藻飲料
KR100628534B1 (ko) 가열취가 제거된 다시마 농축 소재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생산된 농축 소재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605326B1 (ko) 임산부를 위한 비타민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RU2538121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залкогольного напитка "со вкусом маракуйи"
CN108936182A (zh) 一种含维c果蔬活性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JP2000069947A (ja) 風味と栄養を改善した低カリウムジュースの製造法
KR101061933B1 (ko) 비타민 영양제의 제조방법
CN1136898A (zh) 人参果保健饮品及其生产方法
CN116326708A (zh) 补充人体微量元素和能量的块状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