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50B1 -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50B1
KR100256150B1 KR1019930703804A KR930703804A KR100256150B1 KR 100256150 B1 KR100256150 B1 KR 100256150B1 KR 1019930703804 A KR1019930703804 A KR 1019930703804A KR 930703804 A KR930703804 A KR 930703804A KR 100256150 B1 KR100256150 B1 KR 10025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odium
beverage compositio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사 다카이치
도시히코 오카모토
요시히데 아주마
요시나리 와타나베
도시아키 마쓰모토
가쓰야 미야타
수이치 사카모토
히로시 오카마쓰
메구미 구메무라
Original Assignee
오쓰까 아끼히꼬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쓰까 아끼히꼬,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쓰까 아끼히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6Finished or semi-finishe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paste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0Effervescence-genera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4Low calorie, low sodium or hypoallerg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슈크로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락토슈크로스가 난소화성이기 때문에 저칼로리이머 동시에 부패산물의 장내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부패산물이 촉진제로 될 수 있는 각종 암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장내 부패산물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신규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스카톨, 인돌, p-크레졸 및 4-에틸페놀 등은 트립토판, 티로신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장내 부패산물이며 각종 암의 촉진제임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성분이 장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억제시킬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장내에서 유해한 부패산물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내 부패산물의 생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 성분의 분해를 억제시키고 유효 성분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장내 부패산물의 생성 억제용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려고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락토슈크로스의 섭취에 따라 대변 속에서 p-크로졸, 스카톨, 인돌 등의 부패산물의 생성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들 부패산물의 생성에 관여하는 균의 검출율이 대변속에서 대폭적으로 저하된다는 놀랄만한 사실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락토슈크로스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장내 부패산물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락토슈크로스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장내 부패산물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락토슈크로스는 올리고당이며, 장내 비피더스균의 증식을 촉진시킴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부패산물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락토슈크로스는 난소화성이므로 칼로리가 대단히 낮으며 따라서, 저칼로리 식품에 적합하다. 또한 락토슈크로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미각, 후각 및 섭취감 등도 충분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락토슈크로스는 하기 일반식의 O-β-D-갈락토피라노실-(1→4)-O-α-D-글루코피라노실-(1←2)-β-D-플럭토푸라노사이드이다.
이러한 물질은 종래의 공지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예를 들면, I) 아에로박터(Aerobacter)속 균의 기원인 레반슈크라제를 슈크로스와 락토스의 용액에 작용시키는 일본국 특허공보 제(소)57-58905호에 기재된 방법, ii) 특정한 스포로볼로마이세스(sporobolomyces)속 균의 균체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4-85090호에 기재된 방법 및 iii) 로넬라(Rohnella)속 균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제(평)2-35095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방법으로 제조된 락토슈크로스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써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괴상(block), 액상, 시럽상 및 분말상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량제, 감미제, 비타민 및 비피더스균 등의 균체 등을 적절하게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로부터 예를 들면, i) 시럽과 같은 액상 내지 설탕과 같은 분말상의 감미료, ii) 청량음료나 유제품 음료 등의 음료, iii) 빵, 쿠키, 고형 영양식품[예 : 오쓰카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표 “칼로리메이트(Calorie Mate)”]과 같은 블록 과자, iv) 캔디 등의 사탕류 및 v) 건강 식품 등의 음식물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기타 영양보급용 음료, 정제 및 발표제 등의 식품 형태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인 락토슈크로스의 함유량은, 유해한 부패 산물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 식품으로서의 맛이나 냄새 및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식품 조성물 100g당 0.5 내지 70g 정도 범위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락토슈크로스의 함유량은 사용되는 형태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개개의 식품마다 상기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음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락토슈크로스를 음료 100ml당 0.5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g의 비율로 함유시킨다.
또한 음료의 경우, pH가 4 이하인 산성 음료가 많으므로 여기에 락토슈크로스를 배합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락토슈크로스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pH가 4이상인 중성 음료에서는 락토슈크로스가 서서히 분해되나, 락토슈크로스의 자기분해에 따라 pH가 저하되므로 일정한 시점에서부터는 분해 반응이 촉진된다.
따라서 락토슈크로스를 함유하는 상기한 음료의 경우, pH의 저하를 억제하고 락토슈크로스를 장시간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완충액을 배합하여 pH를 4.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의 범위로 유지시킨다. pH가 너무 낮으면 락토슈크로스의 분해가 일어나는 한편, pH가 높아지면 음료에 대한 관능적인 상쾌함이 결여되기 때문에 pH를 상기 범위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산을 가하면 상쾌함이 증가되는 동시에 가열 온도 및 시간과 같은 살균 조건이 완화되므로 락토슈크로스의 안정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완충액으로서는 완충 능력을 갖는 약산 및 이의 염의 혼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약산 및 이의 염은 음료 조성물이 목적하는 pH를 갖도록 음료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약산으로서 예를 들면,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탄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약산의 염으로서 예를 들면, 시트르산나트륨, 타르타르산나트륨, 말산나트륨, 락트산칼슘, 락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 약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완충액은 상기한 pH 범위에서 음료 조성물의 pH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완충액의 배합량은 음료 조성물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바람직하네는 0.03 내지 2중량%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3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는 락토슈크로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한, 통상적인 음료의 경우와 같이 각종의 당질이나 감미료가 첨가될 수 있다. 당질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i) 글루코스, 프럭토스 등의 단당류 및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이당류를 포함하는 각종 당류, ii)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및 iii)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솔비톨 등의 당알콜류가 포함된다. 또한, 감미료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감미료(소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글리시린진산 등), 합성 감미료(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당질 성분이나 감미료는 통상적으로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하의 비율로 배합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한 각 성분 이외에 i) 자몽, 사과, 오렌지, 레몬, 파인애플, 바나나, 배, 포드 등의 과즙(농축 과즙), ii) 아미노산(예 :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등), iii) 광물원으로서의 무기 전해질(예 :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및 염화칼슘 등), iv) 비타민 및 v) 향료 등도 필요에 따라 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정량의 락토슈크로스를 함유하는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은 무기 전해질 성분과 유기산 성분을 함유하며, 또한 락토슈크로스를 음료 조성물 100ml 당 0.5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g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고, 스테비아 추출물을 무기 전해질 성분 중의 무기 전해질 양이온의 mEq/ℓ당 2 내지 15mg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러한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은 락토슈크로스를 함유하므로 장내에서 부패산물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락토슈크로스가 난소화성 올리고당이므로 저칼로리이다. 또한 감미료로서 스테비아 추출물을 배합하는 경우, 천연 당질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이의 사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은 칼로리가 상당히 저하될 수 있는데, 즉 음료 조성물 100ml 당 25kcal 이하, 바람직하게는 15kcal 이하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은 삼투압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투압이 160 내지 300mOsmol,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70mOsmol의 범위내 이도록 하며, 이러한 삼투압하에서는 흡수성이 양호하다.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과 배합된 무기 전해질 성분은 발한으로 인해 손실된 무기 전해질 양이온 및 음이온을 제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전해질 성분으로는,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음료 조성물에 사용되던 각종 무기 전해질 성분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NaCl, KCl, MgCl2, MgSO4, MgCO3, CaCl2, CaSO4, Na2SO4, K3PIO4, Ca3[PO4]2, K2HPO4, KH2PO4및 CaHPO4등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무기산염을 포함한다. 여러 유형의 이들 물질의 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나트륨염 및 칼륨염과 함께 마그네슘염 및/또는 칼슘염을 배합할 수 있다. 무기 전해질 성분은 무기 전해질 양이온과 함께 무기 전해질 음이온으로서 염화물 이온, 인산염 이온 등의 공급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무기 전해질 양이온은 무기 전해질의 형태로서 뿐만 아니라 유기산염의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산 염으로서 예를 들면, 시트르산, 락트산, L-글루탐산, 석신산, 아스파르트산, 알긴산, 말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염을 열거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슘, 락트산나트륨, 락트산칼슘, 석신산나트륨, 석신산이나트륨, L-글루탐산나트륨, 아스파르트산나트륨, 아스파르트산칼슘, 알긴산나트륨, 말산나트륨 및 글루콘산칼슘 등을 포함한다.
무기 전해질 성분이나 상기한 유기산염은 방한으로 인해 손실된 무기 양이온 및 음이온을 제공급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배합량은 통상적인 음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음료 조성물 1000ml는 무기 양이온 약 10 내지 약 40mEq,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mEq 및 무기 음이온 약 10 내지 약 25mEq을 함유한다.
또한 유기산 성분은 상술한 유기산염의 형태 또는 유리산의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유기산과 이의 염을 동시에 배합할 수 있다. 유기산 또는 이의 염으로서는 유기산과 유기산염으로 열거한 이의 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 성분의 배합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음료 조성물중에 배합되는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필요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기산 성분을 음료 조성물 1000ml에 대해 1.3 내지 2.5g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은 무기 전해질 성분 및 유기산 성분과 함께, 감미료로서 스테비아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인 스테비아로부터 추출한 감미료이며 예를 들면, 미심사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제(서)52-83731호 및 특허공보 제(소)58-56628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들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통상의 각종 스테비아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레바우디오사이드 D 레바우디오사이드 E 및 글리코실스테비오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고 이중에서도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무기 전해질 양이온의 mEq/ℓ당 2 내지 15mg,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mg의 양으로 배합된다. 이러한 범위내에서 스테비아 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무기 전해질 양이온으로부터 오는 쓴맛, 나쁜맛 및 떫은 맛 등의 나쁜 뒷맛이 해소될 수 있으므로, 만족스럽게 맛이 양호해지고 또한 양호한 맛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양호한 맛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슈크로스, 글로코스 및 프럭토스 등의 천연 당질 성분을 상기한 칼로리 및 삼투압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 조성물 100ml 당 30g 이하, 바람직하게는 25g 이하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이외에 자몽, 사과, 오렌지, 레몬, 파인애플, 바나나, 배 등의 각종 과즙(농축 과즙) ; 비타민류 ; 향료 ; 아미노산(예를 들면,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나트륨 등), 식물 함유(예를 들면, 폴리덱스트로오스, 펙틴, 크산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 알긴산 등) ; 맛을 내는 성분(예를 들면, 글루탐산, 이노신산 등) ; 및 올리고당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락토슈크로스, 폴리덱스트로오즈 및 카로티노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 건강 음료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특히, 이러한 건강 음료 조성물은 건강 음료 조성물 100ml당 락토슈크로스 0.5 내지 10g, 폴리덱스트로오스 1 내지 20g 및 카로티노이드 0.5 내지 30mg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건강 음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이외에 건강 음료 조성물 100ml당 비타민 E 0.5 내지 20mg, 비타민 C 10 내지 1000mg 및 당질 1 내지 15g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건강 음료 조성물은 카로티노이드 및 폴리덱스트로스와 함께 섭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규칙한 식생활의 개선, 건강 상태의 개선, 비만 예방, 성인병 발병의 예방, 발암 위험성이 회피, 면역 증강, 자외선 예방 및 변비 개선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락토슈크로스의 존재에 따라서 장내 부패산물의 생성량이 저하되므로, 발암 예방 및 면역계 증강에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맛, 냄새 및 섭취감 등도 충분히 만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현대인의 건강 유지에 유익하며, 특히 외식의 기회가 많은 사람, 야채를 먹을 기회가 적은 사람, 건강을 지향하는 사람 및 변비가 있는 사람들에게 대단히 적합하다. 또한, 본 건강 음료 조성물은 손쉽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바쁜 현대인에게 적합하며 또한 노인이나 성인벙 환자 등 투병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영양 보급 음료로서도 적합하다.
상기한 카로티노이드로는 종래부터 식품이나 의약품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각종 물질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물질[야자 카로틴, 두날렐라(dunalella) 카로틴 등]을 정제하여 수득한 카로틴 또는 이의 합성 물질일 수 있으며, 또한 정제품에 한하지 않고, α-, β, γ-카로틴, 리코펜, 루테인, 칸타키사틴 등의 카로티노이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함유하는 각종 동식물의 분말이나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β-카로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로티노이드는 음료 조성물 100ml 중에 0.5 내지 30m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mg의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카로티노이드의 배합량이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풍미가 나빠지거나 카로티노이드의 분산 및 가용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카로티노이드는 오일에 가용성이므로, 이를 용해시키기 위한 오일(식용성 오일 재료) 및 이를 유화시키기 위한 유화제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오일 및 유화제로는, 각종 식품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오일 및 유화제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로는 예를 들면 대두 오일, 평지 오일, 쌀겨 오일, 면실 오일, 잇꽃 오일, 참깨 오일, 옥수수 오일, 낙화생 오일, 해바라기 오일 및 팜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화제로는 예를 들면,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의 슈크로스 및 대두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폴리덱스트로오스로는 예를 들면, 화이자 센트랄 리서치 래보라토리즈(Pfizer Central Reseach Laboratories)에서 발견한 일련의 폴리사카라이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산 및 가소제로서 제공되는 폴리올의 존재하에 글루코스를 열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사카라이드는 이미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덱스트로스는 통상적으로 음료 조성물 100ml 당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g의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폴리덱스트로스의 배합량이 이러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풍미가 악화되고, 점도가 상승함에 따라 삼키기가 어려워지고, 설사가 일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한 락토슈크로스, 폴리덱스트로스 및 카로티노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한, 기타 성분에 관하여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적인 음료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각종 감미료나 당질과 배합시킬 수 있다. 당질으로는 예를 들면 i) 글루코스, 프럭토스 등의 단당류 및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이당류와 같은 각종 당류, ii)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및 iii) 크실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류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감미료로는 상기한 당질 이외에, 천연 감미제[소마틴, 상기한 스테비아 추출물(리바우디오사이드 A 등), 글리시리진 등] 및 합성 감미제(사카린, 아스파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당질의 배합량은 통상적으로 음료 조성물 100ml당 약 1 내지 약 15g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2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각종 영양소, 비타민, 광물(전해질류), 합성 내지 천연 향료, 착색제, 풍미 물질(치즈, 쵸콜렛 등), 펙틴산 또는 이의 염, 알긴산 또는 이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물질로서의 증점제, pH 조정제, 안정제, 방부제, 글리세롤, 알콜, 탄산 음료용 발포 성분 등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음료 조성물을 과즙 음료나 야체 음료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천연 과즙이나 과육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주로 음료 조성물 100부에 대해 0 내지 20중량부 정도일 수 있다.
상기한 비타민으로는 각종의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 예를 들면, 레티놀 팔미테이트, 비스벤티아민, 리보폴라빈,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시아노코발아민, 나트륨아스코르베이트, 니코틴아미드, 칼슘판토테이트, 엽산, 비오틴, 콜레칼시페롤 및 콜린 비타르트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항산화작용으로 인해 항암작용이 기대되는 비타민 E 및/또는 비타민 C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광물(전해질 미량 원소)로는 통상의 광물,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글리세로인산칼슘, 시트르산제일철나트륨, 황산망간, 황산구리, 황산아연, 요오드화나트륨, 솔빈산칼륨,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물의 배합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을 동시에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카로티노이드를 미리 오일중에 용해시키고 이렇게 용해된 카로티노이드, 폴리덱스트로스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시켜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로티노이드를 오일중에 용해시킨 용액을 물과 적합한 유화제의 혼합액에 가하여 유화시킨 다음, 수득된 유화액과 폴리덱스트로스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혼합 공정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약간의 승온 조건하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유화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합한 유화기, 예를 들면, 호모 믹서, 고압 균질화기 등을 사용하여 완전 통과 방식(perfect passing system) 또는 순환 방식(cycling system)으로 실시될 수 있다.
유화후 수득된 유액은 이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여과하고 수득되는 여액을 적당한 용기에 채우고 멸균시킴으로써 원하는 음료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멸균은 가열 멸균 또는 무균 모두 양호하다. 또한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한 유액에 탄산가스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압 투입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발포제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발포 제제속의 락토슈크로스량은 약 20 내지 약 50중량%가 바람직가다.
이러한 발포 제제는 발포 성분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과 중화제(예 : 유기산)을 함유한다. 발포 성분의 배합량은 발포 제제의 형상과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으나, 양호한 발포성을 수득하기 위하여는 발포성분을 통상 8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중량%로 배합할 수 있다. 특히, 탄산나트륨 8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중량%로 배합할 수 있다. 특히, 탄산나트륨 9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중량%를 배합함이 바람직하다.
중화제로서 제공되는 유기산은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및 말산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개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중화제의 배합비는 발포 성분의 농도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되며, 통상적으로 발포 제제중에서 중화제는 1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중량%이며, 특히 탄산수소나트륨 등에 대해 등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포 성분 및 중화제(유기산)을 배합하여 수득한 본 발명의 발포 제제는 물에 용해될 때 용액의 pH가 산성이 되어 양호한 가용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탄산가스가 충분히 발생되어 수용액의 맛도 좋아진다.
본 발명의 발포 제제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각종 약제, 예를 들면, 비타민, 철염, 기타의 무기염 및 당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약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결합제, 부형제, 윤활제, 중점제, 계면활성제, 삼투압조절제, 전해질, 감미료, 향료, 착색물질 및 pH 조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제제는 통상적인 발포 제제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직접 분말 압착법, 건식 또는 습식 과립 압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포 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정제 이외에 수중에서 용해 분산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 예를 들면, 과립제, 산제 및 캡슐제 등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발포 제제를 수중에 용해시키는 경우, 수득되는 용액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음료 형태가 된다. 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또는 발포 제제를 섭취하는 생체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 정도 등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으나, 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물 100 내지 300ml에 용해된 발포 제제 약 1.5 내지 약 6g을 일회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운동, 에어로빅스, 사이클링, 마라톤, 3종 경기 및 스파르타트론(Spartathlon) 등의 육체 운동 후 적절이 섭취되는 고단백질 및 고점성 영양 보급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은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올리고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음료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드롭(씹을 수 있는 것) 과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드롭(씹을 수 있는 것) 과자에 적용하는 경우, 입상에서 펠렛상까지 각종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롭 과자는 락토슈크로스 10 내지 70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2 내지 5g의 드롭은 락토슈크로스를 약 0.1 내지 약 3g 함유한다.
락토슈크로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제한 물질로서 단독 사용할 수 있으나, 또한 제조 공정중에서 미반응된 단당류, 이당류 및 올리고당류 등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드롭 과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윤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의 예로는 슈가-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활석, 합성 규산알루미늄, 미립자 산화규소, 전분, 나트륨 라우틸 설페이트, 붕소, 산화마그네슘,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마크로골(macrogol), 규소 및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윤활제의 배합량은 드롭 과자에 대하여 0.3 내지 3중량%가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으로서 비타민류, 향료, 감미료, 과즙 등을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특히, 드롭 과자는 입안에서 상쾌감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1-멘톨, 계피, 레몬향 및 오렌지향 등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발포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드롭 과자는 입안에서 한층 더 상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롭 과자는 상기한 성분을 혼합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직접 분말 압착법, 과립 압착법 및 습식 성형법 등 통상적인 수단에 적용시킴으로써 정제의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하루에 체중 1kg당 락토슈크로스 약 0.03 내지 0.6g을 섭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락토슈크로스를 함유하므로 체내 섭취시 비피더스균의 증가를 촉진시켜 장내에서 생성되는 부패산물인 p-크레졸, 스카톨, 인돌, 4-에틸페놀 등의 장내 생성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들 부패산물이 촉진제가 될 수 있는 각종 암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중 유효 성분인 락토슈크로스는 난소화성 올리고당류이며 칼로리가 매우 낮으므로 저칼로리 식품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참고 예로써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시험 실시예]
하기의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락토슈크로스 투여에 따른 대변속의 부패산물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피시험물]
원료물질로서 슈크로스의 락토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들 혼합물에 β-프락토프락시다제를 작용시킨 다음, 탈색, 탈염, 여과 및 건조의 각 공정을 거쳐 락토슈크로스 59.0중량%을 함유하는 분말 제제(이하, LS55P라 함)를 제조한다. LS55P는 락토슈크로스 59.0중량%, 락토스 22.7중량%, 슈크로스 8.4중량%, 프럭토스 1.6중량%, 글루코스 0.8중량%, 기타 당 6.8중량% 및 수분 0.8중량%를 함유한다.
[피시험자]
55세 이상의 장기 입원중인 뇌경색, 당뇨병 등의 기초 질환을 앓고 있는 만성 변비증 고령자 13명을 피시험자로 한다. 피험자 13명중 11명은 시험개시 전부터 완하제를 상용하고 있었다. 시험 기간중에는 피시험자의 생리 작용을 매우 정확하게 하기 위해 완하제의 용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피시험물의 섭취]
시험 기간은 연속 4주간으로 한다. 최초 일주일 동안을 피시험물을 섭취하지 않는 대조 기간으로 하고, 후속 3주일 동안을 피시험물의 섭취 기간으로 한다. LS55P의 일일 섭치량은 0.32g/kg, B.W로 한다. 피시험물의 섭취 기간중에 일일에 섭취할 피시험물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약 100ml의 수돗물에 용해시키고 오전 10시 및 오후 3시에 각각 섭취하도록 한다.
[분석]
배변후에 대변과 소변을 각각 서로 분리하고 바로 대변 전량을 회수하여 대변 중량을 측정한다. 대변을 잘 반죽해서 균질화시킨 다음, -30℃이하의 조건에서 보존하고 부패산물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시험 기간중에 배설된 모든 대변에 대해 수행한다.
대변속의 부패산물 함유량과 대변의 배설량은 이원 배치의 분산 분석을 실시한 후에 투케어(Tukey)의 다중 비교법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시험한다.
[측정법 및 결과]
대변속의 부패산물, 즉 p-크레졸, 4-에틸페놀, 인돌 및 스카톨을 아래 방법으로 분석한다.
약 2g의 대변을 정확히 저울에 단 후에 200ml들이 케르달 플라스크(kjeldahl flask)내에 넣고, 정제수 약 10ml을 가하며 충분히 현탁시킨다. 수득된 현탁액에 2N 수산화나트륨 용액 적량을 가하고 pH를 8.5 내지 9.0으로 조정한 후에 이 용액을 수증기 증류시켜 증류액 약 95ml를 수집한다. 이러한 증류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총량을 정확하게 100ml로 한 다음, 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계(시미즈세이사쿠쇼(주) 제조의 GC-MS QP 1000EX 질량 분광광도계가 연결된 GC-14A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부패산물을 분석한다. 분석 조건을 하기에 기재한다.
이온화법 : EI
이온화 전압 : 70eV
분리기 온도 : 270℃
이온원 온도 : 250℃
컬럼 : 시마즈(SHIMAZU) HiCap CBP1-M25-025
캐리어 가스 : 헬륨 0.75kg/㎠
주입구 온도 : 250℃
컬럼 온도 : 50 내지 200℃(30℃/분)
대변중의 부패산물을 분석한 후에 대조 기간, 섭취 1주일째, 2주일째 및 3주일째의 부패산물의 총량을 산출하고 이것을 대변속의 부패산물 배설량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부패산물 배설량과 각 시험 기간 동안의 대변의 총 중량으로부터 대변중의 부패산물의 농도를 계산한다. 대변속의 부패산물 함량 및 부패산물 배설량의 변화를 표 1에 기재한다.
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며, 대조 기간의 값에 대한 유의 차이 P를 *:P<0.05, **:P<0.01, ***:P<0.001로 표시한다.
표 1에 대변 1g당 부패산물 함량을 상단에 기재하고 일주당 대변속의 부패산물물 배설량을 하단에 기재한다.
[표 1]
[실시예 1 내지 6]
[저칼로리 음료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6 각각에서, 표 2에 기재된 성분을 갖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적합한 향료 및 비타민을 음료 조성물과 배합한다. 각 음료 조성물의 총량이 1000ml가 되도록 물을 가한다.
[표 2]
[실시예 7]
[발포 제제]
(성분) (중량%)
LS55P 34
L-아스코르브산 21
L-타르타르산 20
감미제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1
염화나트륨 적당량
탄산칼륨 0.5
향료·착색제 소량
100(전량 5g)
상기한 성분을 혼합하고 직접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상기한 성분을 혼합하고 칭량하여 분리 포장함으로써 산제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청량하여 과립화하고 건조한 후에 분리 포장하여 입제를 제조한다.
하기에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 제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8]
[발포 제제]
(성분) (중량%)
LS55P 40
L-아스코르브산 10
L-타르타르산 23
감미제 적량
탄산수소나트륨 22
염화나트륨 적량
탄산칼륨 0.4
향료·착색제 소량
100(전량 5g)
[실시예 9]
[발포 제제]
(성분) (중량%)
LS55P 40
L-아스코르브산 11
L-타르타르산 23
감미제 적량
시트르산철암모늄 0.8
탄산수소나트륨 22
시아노코발아민 소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탄산칼륨 0.4
향료·착색제 소량
100(전량 4.6g)
[실시예 10]
[발포 제제]
(성분) (중량%)
LS55P 40
L-타르타르산 29
감미제 적량
시트르산철암모늄 3.6
탄산수소나트륨 24
시아노코발아민 소량
탄산칼륨 0.5
향료·착색제 소량
100(전량 4g)
[실시예 11 내지 18]
[발포 제제]
실시예 7 내지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3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발포 제제를 제조한다.
[표 3]
[실시예 19 내지 30]
[고-단백 및 고-점성 영양 공급 식품]
카세인나트륨, 카세인칼슘, 젤라틴 및 LS55P를 수중에 투입하여 수득된 수용액을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에 NaCl과 같은 광물 등을 수용액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시켜 A액을 제조한다.
한편, 카세인을 물에 용해하고 여기에 NaOH를 가하며 NaOH를 용해하여 중화시킨 후에 MgSO4와 같은 광물, 비타민 및 오일을 이 용액을 가하고 각 용액을 교반하여 용해시켜 B액을 제조한다.
수득된 A액과 B액을 혼합하고 교반한 후에 수득되는 혼합물의 양을 조정하고 이 혼합물을 비타민, 향 등을 가하고 유화시킨다.
다음, 수득된 유액 80ml를 튜브형 용기에 충전시키고 멸균하여 제품화한다.
표 4에 각 성분과 상기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배합량을 기재한다. 사용한 비타민 및 광물의 유형과 배합량을 아래와 같다.
[비타민]
(유형) (배합량)
비타민 A 1155IU
비타민 B10.92mg
비타민 B20.92mg
비타민 B60.92mg
비타민 B122.77㎍
비타민 C 34.64mg
비타민 D 92.36IU
비타민 E 6.93IU
판토텐산 4.62mg
나아신 9.24mg
엽산 184.72㎍
비오틴 138.54㎍
비타민 K 69.27㎍
콜린 115.45mg
[광물]
(유형) (배합량)
Ca 230.90mg
PO4230.90mg
Mg 92.36mg
Na 323.26mg
K 600.34mg
Cl 461.80mg
Fe 7.39mg
Zn 3.69mg
Cu 0.46mg
Mn 9.24mg
I 34.64mg
[표 4]
[실시예 31 내지 33]
[올리고펩타이드 음료]
미심사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 3-272694호 공보 기재의 올리고펩타이드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 5에 나타낸 각 성분을 1ℓ의 물에 용해하여 올리고펩타이드 음료를 제조한다.
[표 5]
[실시예 34 내지 43]
[음료]
실시예 34 내지 43 각각에서, 표 6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100ml로 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한다. 표 6에서 “LS75P”란 락토슈크로스를 75중량% 함유한 분말 제제를 의미한다(이하 동일).
[표 6]
[실시예 44 내지 50]
[씹을 수 있는 정제]
각각의 실시예 44 내지 50에서, 표 7의 성분을 혼합하고 수득되는 각각의 혼합물을 직접 분말 압착법에 적용시켜 드롭(씹을 수 있는 정제)을 제조한다.
[표 7]
[실시예 51 내지 59]
[건강 음료 조성물]
각각의 실시예 51 내지 59에서, 표 8의 성분을 혼합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100ml로 함으로써 건강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8]
[실시예 60 내지 70]
[음료 조성물]
각각의 실시예 60 내지 70에서, 표 9의 각 성분을 혼합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100ml로 함으로써 건강 음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9에서 각각의 가스 용적치는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나타내는 지침이므로, 수치가 클수록 이산화탄소 함유량이 많아진다. 더욱 특히, 가스 용적치는 용액이 용액의 용량과 동일한 용적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경우 1이다.
[표 9]

Claims (2)

  1. 0.5 내지 30g/100ml양의 락토슈크로스 및 조성물을 pH가 4.0 내지 6.5 범위로 조정되도록 가해진 완충액을 함유하는 장내 부패산물 생성 억제용 음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액이 완충 작용을 갖는 약산과 이의 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19930703804A 1992-04-10 1993-04-02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KR100256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8592 1992-04-10
JP92-91185 1992-04-10
PCT/JP1993/000436 WO1993020718A1 (en) 1992-04-10 1993-04-02 Food composition which inhibits formation of intestinal putrefaction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150B1 true KR100256150B1 (ko) 2000-07-01

Family

ID=1401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804A KR100256150B1 (ko) 1992-04-10 1993-04-02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55235A (ko)
EP (1) EP0593774B1 (ko)
KR (1) KR100256150B1 (ko)
AU (1) AU657405B2 (ko)
CA (1) CA2110993C (ko)
DE (1) DE69312851T2 (ko)
ES (1) ES2106329T3 (ko)
WO (1) WO1993020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311B1 (ko) 2005-06-24 2013-12-1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야채 및/또는 과실 음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1259B1 (fr) * 1997-11-21 2000-01-28 Nutriset Aliment complet ou supplement nutritionnel stable vis a vis de l'oxydation, a haute valeur energetique, basse osmolalite, faible teneur en eau,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WO1999061038A1 (en) * 1998-05-29 1999-12-02 Adams Food Ltd. Composition having therapeutic and/or nutritionally active substituent
DE19836339B4 (de) 1998-08-11 2011-12-22 N.V. Nutricia Kohlenhydratmischung
US6706309B1 (en) 1998-11-25 2004-03-16 William F. Aftoora Liquefied water soluble acidity-reducing formulation for food and beverage products
JP2001064181A (ja) * 1999-08-27 2001-03-13 Otsuka Pharmaceut Co Ltd 免疫賦活組成物
KR20020046863A (ko) * 2000-12-15 2002-06-21 김영창 기포제를 이용한 즉석차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50581A (ko) * 2000-12-21 2002-06-27 김영창 기포제를 이용한 즉석차의 제조 방법
US6811801B2 (en) * 2001-12-12 2004-11-02 Abbott Laboratori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brightening the color of thermally processed nutritionals
FI20020078A (fi) * 2002-01-15 2003-07-16 Danisco Immuunijärjestelmän stimulointi polydextroosilla
DK1526779T3 (da) 2002-07-25 2008-01-28 Ricola Ag Konfekturevarer på basis af krydderurteblandinger
US6793193B2 (en) * 2002-08-20 2004-09-21 Dart Industries Inc. Adjustable mold for forming shaped food
FI119429B (fi) * 2002-09-17 2008-11-14 Danisco Hiilihydraattien uusi käyttö ja koostumukset
US20050008685A1 (en) * 2003-07-07 2005-01-13 Mitchell Cheryl R. Oral rehyd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liposomes
US20050100637A1 (en) 2003-11-12 2005-05-12 Robert Murray Carbohydrate and electrolyte replacement composition
EP1597978A1 (en) 2004-05-17 2005-11-23 Nutricia N.V. Synergism of GOS and polyfructose
EP1600060A1 (en) * 2004-05-25 2005-11-30 Cognis IP Management GmbH Oral and/or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rebiotics and fatty acid
EP1600062A1 (en) * 2004-05-25 2005-11-30 Cognis IP Management GmbH Oral and/or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rebiotics and sterols
US8252769B2 (en) 2004-06-22 2012-08-28 N. V. Nutricia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EP1614357A1 (en) * 2004-07-10 2006-01-11 Cognis IP Management GmbH Dietary supplements comprising prebiotics and fatty acid
FR2886154B1 (fr) * 2005-05-27 2010-03-26 Cothera Composition pour retarder le developpement de la maladie d'alzheimer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WO2007143088A2 (en) * 2006-06-02 2007-12-13 Abbott Laboratories Protein ingredient with improved sensory quality and nutritionals with improved flavor containing same
EP2044945A4 (en) * 2006-07-19 2012-05-30 Hayashibara Biochem Lab IMMUNOMODULATING AGENT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WO2008058249A1 (en) * 2006-11-09 2008-05-15 Puricore, Inc.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toring, dispensing, and reconstituting materials
KR100877189B1 (ko) * 2007-06-01 2009-01-07 리뉴얼라이프(주) 식이섬유가 함유된 기능성 식품제조방법 및 기능성식품
CN102046027B (zh) * 2008-05-02 2013-06-2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含具有β-呋喃果糖苷键的非还原性寡糖以及还原性糖的糖浆状甜味剂的着色抑制方法及其利用
RU2487644C2 (ru) * 2008-08-29 2013-07-20 Тропикана Продактс, Инк. Натурально подслащенные соковые продукты
RU2469608C2 (ru) * 2008-08-29 2012-12-20 Тропикана Продактс, Инк. Натурально подслащенные соковые продукты с бета-глюканом
US8435590B2 (en) 2008-11-24 2013-05-07 Stokely-Van Camp, Inc. Use of novel carbohydrates and carbohydrate blends to provide a sports beverage with increased absorption
JP2019129769A (ja) * 2018-01-31 2019-08-08 大塚製薬株式会社 天然高甘味度甘味料を含有する低カロリー飲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377B1 (ko) * 1970-08-07 1974-01-31
US3730737A (en) * 1971-04-01 1973-05-01 Meditron Inc Coated mouthpiece construction
JPS5283731A (en) * 1976-01-01 1977-07-12 Ajinomoto Co Inc Rebaudiosides
JPS585695B2 (ja) * 1977-08-15 1983-02-01 株式会社クロイスタ−ケミカルズ 発泡錠剤の製法
JPS55131370A (en) * 1979-02-23 1980-10-13 Yakult Honsha Co Ltd Preparation of food and drink containing bacteria of genus bifidobacterium
US4678661A (en) * 1983-09-28 1987-07-07 Gerhard Gergely Effervesc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04269A (en) * 1985-06-11 1987-11-03 Hudson Pharmaceutical Corporation Effervescent antacid and analgesic compositions
JPS62220169A (ja) * 1986-03-18 1987-09-28 Yakult Honsha Co Ltd 流動性食品
US4859488A (en) * 1987-09-15 1989-08-22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Liquid food for curing constipation: polydextrose and oligosaccharide
US4783331A (en) * 1987-06-29 1988-11-08 Miles Inc. Method for solubilization of aspartame in effervescent aqueous systems; and composition
AU624065B2 (en) * 1987-09-08 1992-06-04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Liquid food
EP0362396B1 (en) * 1988-02-03 1994-06-1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rotein-rich nutrient food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NL194959C (nl) * 1988-10-04 2003-09-02 Otsuka Pharma Co Ltd Preparaat voor het toedienen van ijzer.
KR0161531B1 (ko) * 1990-03-08 1998-11-16 하야시바라 겐 락토수크로오스 고함유 분말의 제조방법과 그 분말의 용도
JP3125099B2 (ja) * 1990-04-07 2001-01-1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ラクトスクロース含有粉末の製造方法とその粉末の用途
JP2834871B2 (ja) * 1990-08-07 1998-12-14 塩水港精糖株式会社 フラクトース含有オリゴ糖の製造法
JPH0499472A (ja) * 1990-08-20 1992-03-31 Asahi Breweries Ltd β―カロテン含有清涼飲料
US5294458A (en) * 1992-04-03 1994-03-15 Maruha Corporation Pet food
JP2654529B2 (ja) * 1992-03-27 1997-09-17 大塚製薬株式会社 健康飲料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W FOOD INDUSTRY VOL.33, NO.9(199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311B1 (ko) 2005-06-24 2013-12-1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야채 및/또는 과실 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3774A4 (en) 1994-02-22
WO1993020718A1 (en) 1993-10-28
DE69312851D1 (de) 1997-09-11
AU3768793A (en) 1993-11-18
CA2110993C (en) 2002-02-05
EP0593774B1 (en) 1997-08-06
CA2110993A1 (en) 1993-10-28
DE69312851T2 (de) 1998-01-08
EP0593774A1 (en) 1994-04-27
US5455235A (en) 1995-10-03
ES2106329T3 (es) 1997-11-01
AU657405B2 (en) 199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50B1 (ko) 장내 부패산물 생성을 억제시키는 음료 조성물
KR100272487B1 (ko) 건강 음료 조성물
US4786510A (en) Calcium-iron mineral supplements
US4786518A (en) Iron mineral supplements
US5817351A (en) Calcium fortified low pH beverage
US6037375A (en) Nutrient composition
CN115211549A (zh) 掺入了莱苞迪苷n的甜味剂组合物和经甜化的组合物
CA1319612C (en) Iron-calcium mineral supplements with enhanced bioavailability
CN105307502A (zh) 莱鲍迪苷e以及用莱鲍迪苷e增甜的食品
KR0151138B1 (ko) 조롱박 분말 조성물
CA1332307C (en) Mineral supplements with sugar alcohol
TW200410702A (en) Agent for inhibiting rise in blood glucose level, agent for inhibiting body fat accumulation and edible material
KR20060113339A (ko) 당 및 당알콜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조성물
JPH0638707A (ja) 腸内腐敗産物生成抑制食品組成物
JPH06327435A (ja) 栄養補給組成物
JP2005179279A (ja) 腸内機能改善剤
CA2127445C (en) Nutrient composition
JP2006342061A (ja) ミネラル含有水溶液組成物
JPH11302182A (ja) 抗水虫組成物
JP2006320223A (ja) ビタミンc強化チアミン類含有食品
JP2005002089A (ja) 腸管機能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