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126A - 플렉시블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126A
KR20020022126A KR1020010045533A KR20010045533A KR20020022126A KR 20020022126 A KR20020022126 A KR 20020022126A KR 1020010045533 A KR1020010045533 A KR 1020010045533A KR 20010045533 A KR20010045533 A KR 20010045533A KR 20020022126 A KR20020022126 A KR 2002002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lexible wiring
wiring board
wiring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우찌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구리다 히데유키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리다 히데유키,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리다 히데유키
Publication of KR2002002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1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1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 H05K3/461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characterized by laminating only or mainly similar single-sid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63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 H05K1/0265High current adaptations, e.g. printed high current conductors or using auxiliary non-printed means; Fine and coarse circuit patterns on one circuit board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or details of the printed conductors, e.g. reinforced conductors, redundant conductors, conductor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66Polymeric layer used for special processing, e.g. resist for etching insulating material or photoresist used as a mask during plasma et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64Conductor shape
    • H05K2201/0367Metallic bump or raised conductor not used as solder bu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36Varying thickness of a single conductor; Conductors in the same plane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69Etching selective parts of a metal substrate through part of its thickness, e.g. using etch resi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4Related to the order of processing steps
    • H05K2203/1476Same or similar kind of process performed in phases, e.g. coarse patterning followed by fine patter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7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5K3/002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iquid 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by forming conductive walled aperture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전기 저항값이 작고 또한 폭이 좁은 배선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은 제 1 배선막 (21) 과 제 2 배선막 (22) 을 갖고 있으며, 이들 배선막 중 제 1 배선막 (21) 의 두께는 제 2 배선막 (22) 보다 크기 때문에 제 1, 제 2 배선막 (21,22) 의 폭이 거의 동일한 경우라도 그 두께가 큰만큼 제 1 배선막 (21) 의 단면적과 전기 저항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선막 (21) 은 폭넓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대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어 플렉시블 배선판 (10) 의 고밀도화가 쉬워진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FLEXIBLE WIRING BOARD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FLEXIBLE WIRING BOARD}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전류를 흘려보내는 데에 적합한 배선막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원하는 형상으로 패터닝된 배선막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판은 많이 사용되어 왔다.
도 12 의 부호 (110) 는 종래 기술의 플렉시블 배선판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렉시블 배선판 (110) 은 제 1 수지막 (117), 제 1 수지막 (117) 표면에 배치된 제 1, 제 2 배선막 (121,122) 및 제 1, 제 2 배선막 (121,122) 상에 형성된 제 2 수지막 (125) 을 갖고 있다.
제 1, 제 2 배선막 (121,122) 은 각각 두께는 동일하지만, 제 1 배선막 (121) 은 제 2 배선막 (122) 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배선막 (121) 의 단면적은 제 2 배선막 (122) 의 단면적에 비해 커진다.
단면적이 큰 제 1 배선막 (121) 은 제 2 배선막 (122) 에 비해 전기 저항이 작아서 더 큰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플렉시블 배선판의 고밀도화에 따라 각 배선막의 미세화가 요구되지만, 상기와 같은 폭넓은 제 1 배선막 (121) 은 미세화의 장해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작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저항이 작고 미세한 패턴의 배선막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 는 본 발명의 제 1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의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 내지 도 2j 는 본 발명의 제 1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의 중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k 내지 도 3m 은 본 발명의 제 1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의 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하여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의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하여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의 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 1 배선막과 다른 플렉시블 배선판의 배선막의 위치관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과 다른 플렉시블 배선판을 접속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는 종래 기술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70,80,90 : 플렉시블 배선판 17,76,86,96 : 제 1 수지막
21,71,81,91 : 제 1 배선막 22,72,82,92 : 제 2 배선막
25,77,87,97 : 제 2 수지막 42a,74a,84a,94a : 제 1 개구부
42b,74b,84b,94b : 제 2 개구부 43,78,88,98 : 제 3 개구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제 1 수지막, 바닥면이 상기 제 1 수지막 내에 삽입된 제 1 배선막 및 바닥면이 상기 제 1 수지막 표면에 밀착된 제 2 배선막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1, 제 2 배선막은 표면이 균일하게배치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1, 제 2 배선막 표면에는 제 2 수지막이 형성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2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 개구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2 수지막의 상기 제 2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2 개구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1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3 개구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1 개구부 중 하나이상 개구부에 금속범프가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2 개구부 중 하나이상 개구부에 금속범프가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으로, 상기 제 3 개구부 중 하나이상 개구부에 금속범프가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판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으로, 금속박을 두께방향으로 도중까지 에칭하여 상기 금속박 표면에 소정 패턴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금속박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표면에 제 1 수지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오목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를 갖는 레지스트층을 상기 금속박 뒷면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박 중 상기 개구가 위치하는 부분을 에칭하고, 상기 금속박의 오목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제 1 배선막과 상기 오목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제 2 배선막을 분리하는 공정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 1 수지막의 상기 제 1, 제 2 배선막이 배치된 측의 표면에 제 2 수지막을 형성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 1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 2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은 홈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 1, 제 2 배선막을 갖고 있다. 제 1 배선막은 제 1 수지막에 삽입된 분량만큼 제 2 배선막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배선막의 단면적은 막두께 분량만큼 크기 때문에 제 1 배선막의 폭을 제 2 배선막과 동일하게 한 경우라도 제 1 배선막의 전기 저항값을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금속박에 소정 패턴의 오목부를 형성한 후 이 오목부가 형성된 면에 수지액을 도포하면 오목부가 그 수지액으로 충전된다. 이어서, 전체를 건조, 소성시키면 표면이 평탄한 제 1 수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속박을 패터닝하고 형성된 각 배선막 표면에 수지액을 도포하면 각 배선막 사이에 배치된 홈은 그 수지액으로 충전되고, 이어서 건조, 소성시키면 표면이 평탄한 제 2 수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제 2 배선막 표면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제 2 배선막 상에 상기 제 2 수지막을 형성한 경우, 제 1 배선막 상의 제 2 수지막의 두께와 제 2 배선막 상의 제 2 수지막의 두께가 거의 동일해지기 때문에 에칭으로 제 2 수지막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 에칭 진행에 따라 개구부 바닥면으로 제 1, 제 2 배선막 표면을 거의 동시에 노출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 1e, 도 2f ∼ 2j, 도 3k ∼ 3m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 1 예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1a 를 참조하며 먼저 금속박 (11 : 여기에서는 두께 32㎛ 의 구리박을 사용함) 표면에 보호필름 (13) 을 접합한다. 이어서, 금속박 (11) 뒷면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이것을 노광, 현상하고 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한다.
도 1b 의 부호 (15) 는 상기 공정에서 패턴닝된 레지스트층을 나타내고 있다. 이 레지스트층 (15) 에는 패터닝으로 가늘고 긴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 (16) 바닥면에 금속박 (11) 이 노출되어 있다.
이어서, 전체를 에칭액 중에 침지시키고 개구부 (16) 바닥면에 노출된 금속박 (11) 을 20㎛ 에칭하면 도 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박 (11) 에는 개구부(16) 와 동일한 평면형상으로 깊이가 20㎛ 인 오목부 (40) 가 형성된다.
그 결과 금속박 (11) 에는 레지스트층 (15) 으로 보호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후막부 (11a) 와 오목부 (40) 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박막부 (11b) 가 형성된다. 후막부 (11a) 의 두께는 금속박 (11) 의 원래 두께와 동일하다. 한편, 박막부 (11b) 는 오목부 (40) 의 깊이 분량만큼 후막부 (11a) 보다 두께가 작아져 있다. 여기에서는 박막부 (11b) 의 두께는 12㎛ 이다.
이어서, 금속박 (11) 표면의 레지스트층 (15) 과 금속박 (11) 뒷면의 보호필름 (13) 을 박리하고 (도 1d), 금속박 (11) 의 오목부 (40) 가 형성된 면에 박막부 (11b) 와 후막부 (11a) 가 매몰될 때까지 폴리이미드 수지의 원료액을 도포하면 금속박 (11) 의 오목부 (40) 는 이 원료액으로 충전된다. 그 상태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소성시키면 도 1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이 평탄한 폴리이미드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1 수지막 (17) 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제 1 수지막 (17) 의 평탄한 표면에 보호필름 (27) 을 접합하고 금속박 (11) 의 제 1 수지막 (17) 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면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그 레지스트층을 노광, 현상으로 패터닝하고 도 2f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박 (11) 의 박막부 (11b) 상에 복수의 개구부 (19) 를 갖는 레지스트층 (18) 을 형성한다. 개구부 (19) 바닥면에 금속박 (11) 의 박막부 (11b) 가 노출되어 있다.
개구부 (19) 는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레지스트층 (18) 은 개구부 (19) 에 의해 복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부호 (18b) 는 금속박 (11) 의 후막부 (11a) 표면에 배치된 레지스트층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18a) 는 금속박 (11) 의 박막부 (11b) 표면에 배치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전체를 에칭액에 침지시키면 금속박 (11) 중 개구부 (19) 바닥면에 위치하는 부분이 에칭된다. 금속박 (11) 이 박막부 (11b) 의 두께만큼 에칭될때까지 에칭한 후 레지스트층 (18) 을 박리한다.
도 2g 는 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부호 (41) 는 에칭에 의해 금속박 (11) 에 형성된 홈을 나타내고 있으며, 홈 (41) 은 레지스트층 (18) 의 개구부 (19) 와 동일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 (41) 바닥면에는 제 1 수지막 (17) 이 노출되어 있으며, 홈 (41) 에 의해 금속박 (11) 이 복수로 분리되어 있다.
도 2g 의 부호 (21) 는 분할된 금속박 (11) 중 두께부 (11a) 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제 1 배선막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면의 부호 (22) 는 박막부 (11b) 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제 2 배선막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배선막 (21) 과 제 2 배선막 (22) 바닥면은 제 1 수지막 (17) 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2 배선막 (22) 바닥면은 제 1 수지막 (17) 표면에 위치되어 있으나, 제 1 배선막 (21) 바닥면은 제 2 배선막 (22) 바닥면보다 깊게 위치되며 제 1 수지막 (17) 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 1 배선막 (21) 표면의 높이와 제 2 배선막 (22) 표면의 높이는 동일하며 이들 표면은 균일하게 위치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배선막 (21) 은 제 2 배선막 (22) 보다 제 1 수지막 (17) 에 삽입된 분량만큼 두꺼워져 있다.
이어서, 제 1 수지막 (17) 의 제 1, 제 2 배선막 (21,22) 이 형성된 측의 면에 제 1, 제 2 배선막 (21,22) 이 매몰될 때까지 폴리이미드 수지의 원료액을 도포하면 제 1, 제 2 배선막 (21,22) 사이의 홈 (41) 은 원료액으로 충전된다. 이어서, 전체를 건조, 소성시키면 표면이 평탄한 폴리이미드필름으로 이루어진 제 2 수지막 (25) 이 형성된다 (도 2h).
계속해서, 제 2 수지막 (25) 표면에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된 레지스트층을 형성한다. 도 2i 의 부호 (28) 는 제 2 수지막 (25) 표면에 형성된 레지스트층 (28) 을 나타내고 있으며, 레지스트층 (28) 에는 패터닝으로 소정 위치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의 부호 (29a) 는 제 1 배선막 (21) 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원형 개구를 상기 도면의 부호 (29b) 는 제 2 배선막 (22) 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원형 개구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각 원형 개구 (29a,29b) 바닥면으로는 제 2 수지막 (25) 이 노출되어 있다.
이어서, 레지스트층 (28) 표면에 알칼리액을 분무하여 레지스트층 (28) 의 원형 개구 (29a,29b) 바닥면에 노출된 제 2 수지막 (25) 을 에칭한다.
제 1 배선막 (21) 상의 제 2 수지막 (25) 의 두께와 제 2 배선막 (22) 상의 제 2 수지막 (25) 의 두께는 동일하기 때문에 에칭 진행에 따라 제 1 배선막 (21) 과 제 2 배선막 (22) 표면은 거의 동시에 노출된다.
이어서, 레지스트층 (28) 을 제거하면 도 2j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선막 (21) 과 제 2 배선막 (22) 상에 원형 개구 (29a,29b) 와 동일 직경으로 패터닝된 제 1, 제 2 개구부 (42a,42b) 를 얻을 수 있다.
제 1 수지막 (17) 표면의 보호필름 (27) 을 박리한 후, 제 1 배선막 (21) 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수지막 (17) 표면의 소정 부분에 원형 개구 (39) 를 갖는 레지스트층 (37) 을 형성하고, 제 2 수지막 (25) 표면에 새로운 보호필름 (30) 을 접합한다 (도 3k).
이어서, 그 레지스트층 (37) 표면에 알칼리액을 분무하면 원형 개구 (39) 바닥면으로 노출된 제 1 수지막 (17) 이 에칭된다.
계속해서, 보호필름 (30) 과 레지스트층 (37) 을 박리하면 도 3l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선막 (21) 상에 원형 개구 (39) 와 동일 직경으로 패터닝된 제 3 개구부 (43) 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전체를 전해 도금액에 침지시키고 전류를 흘러보내면 제 1, 제 2, 제 3 개구부 (42a,42b,43) 바닥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이 성장하여 금속피막 (45) 이 형성된다.
도 3m 의 부호 (10) 는 금속피막 (45) 이 형성된 상태의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플렉시블 배선판 (10) 의 제 1 배선막 (21) 과 제 2 배선막 (22) 의 폭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배선막 (21) 의 두께는 제 2 배선막 (22) 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그 두께가 큰 분량만큼 제 1 배선막 (21) 의 단면적이 커진다.
이어서, 상기 공정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에 다른 플렉시블 배선판을 접합시켜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 4a ∼ 4c,도 5d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a 의 부호 (501) 와 도 4c 의 부호 (502)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과의 접합에 사용되는 단일층 구조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플렉시블 배선판 (501,502) 의 공통되는 부재는 각각 첨자 (1,2) 를 붙여 구별한다.
이들 플렉시블 배선판 (501,502) 은 베이스필름 (511,512), 베이스필름 (511,512) 상에 배치된 복수의 구리배선 (531,532) 및 구리배선 (531,532) 상에 형성된 커버필름 (551,552) 을 각각 갖고 있다. 커버필름 (551,552) 은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구리배선 (531,532) 표면에는 금속범프 (591,592) 가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금속범프 (591,592) 의 선단 부분은 각각 커버필름 (551,552)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 배선판 (501,502) 과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을 접합시켜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장의 단일층 구조의 플렉시블 배선판 (501) 의 금속범프 (591) 를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의 제 2 수지막 (25) 의 제 1, 제 2 개구부 (42a,42b) 쪽에 배치한다.
이어서, 이들 금속범프 (591) 를 제 1, 제 2 개구부 (42a,42b) 바닥면으로 노출된 금속피막 (45) 에 각각 맞닿게 하면 플렉시블 배선판 (10,501) 의 제 2 수지막 (25) 과 커버필름 (551) 은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체를 가열시키면서 누르면 가열에 의해 커버필름 (551) 의 열가소성 수지가 접착성을 발현한다. 금속범프 (591) 표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땜납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어 전체를 다시 가열하면 그 땜납 도금층이 용해된다.
이어서, 전체를 냉각시키면 용해된 땜납 도금층이 고화되고, 고화된 땜납 도금층을 사이에 두고 금속범프 (591) 와 제 1, 제 2 배선막 (21,22) 이 접속됨과 동시에 커버필름 (551) 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판 (10,501) 끼리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계속해서, 도 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의 제 1 수지막 (17) 의 제 3 개구부 (43) 쪽에 다른 단일층 구조의 플렉시블 배선판 (502) 의 금속범프 (592) 를 배치한다.
이어서, 그 금속범프 (592) 를 제 3 개구부 (43) 바닥면의 금속피막 (45) 에 맞닿게 하면 제 1 수지막 (17) 은 커버필름 (552) 에 밀착된다. 그 상태에서 전체를 누르면서 가열시킨 후 냉각시키면 금속범프 (592) 가 도시되지 않은 도금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배선막 (21) 에 접속됨과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판 (10,502) 끼리그 커버필름 (552) 을 사이에 두고 접합된다.
도 5d 의 부호 (5)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양면에 단일층 구조의 플렉시블 배선판 (501,502) 이 각각 접합되어 형성된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 (5) 에서는 구리배선 (531,532) 이 제 1, 제 2 배선막 (21,22) 에 금속범프 (591,592) 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어 있다.
도 6 은 하나의 제 1 배선막 (21) 과 다른 플렉시블 배선판 (501) 의 구리배선 (531) 의 위치관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세개의 구리배선 (531) 이 나타나 있다. 각 구리배선 (531) 은 폭넓은 부분과 폭좁은 부분을 갖고 있으며, 폭넓은 부분의 표면에는 금속범프 (591) 가 배치되어 있다.
각 금속범프 (591) 는 도시되지 않은 도금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배선막 (21) 상의 금속피막 (45)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배선막 (21) 과 복수의 구리배선 (531)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배선막 (21) 은 각 구리배선 (531) 보다 두께가 크고 그 두께 분량만큼 단면적이 크다. 따라서, 단면적이 큰만큼 제 1 배선막 (21) 의 전기 저항값은 각 구리배선 (531) 보다 낮아서 복수의 구리배선 (531) 에서 제 1 배선막 (21) 으로전류가 흘러들어간 경우에도 제 1 배선막 (21) 은 작은 전압 강하에서 그 전류를 흘러보낼 수 있다.
이상은 플렉시블 배선판 (10) 의 제 1 내지 제 3 개구부 (42a,42b,43) 바닥면으로 금속피막 (45) 을 노출시킨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7 의 부호 (70), 도 8 의 부호 (80) 및 도 9 의 부호 (90)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플렉시블 배선판 (70,80,90) 은 도 3m 에 나타낸 플렉시블 배선판 (10) 과 동일하게 제 1 수지막 (76,86,96), 제 1 수지막 (76,86,96) 상에 형성된 제 1, 제 2 배선막 (71,72,81,82,91,92) 및 제 1, 제 2 배선막 (71,72,81,82,91,92) 표면에 형성된 제 2 수지막 (77,87,97) 을 각각 갖고 있으며, 제 1 배선막 (71,81,91) 과 제 2 배선막 (72,82,92) 은 홈 (73,83,93) 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 제 1 수지막 (76,86,96) 에는 제 3 개구부 (78,88,98) 가, 제 2 수지막 (77,87,97) 에는 제 1, 제 2 개구부 (74a,74b,84a,84b,94a,94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렉시블 배선판 (70,80,90) 중 도 7 에 나타낸 제 2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 (70) 에서는 제 3 개구부 (78) 바닥면으로 제 1 배선막 (71) 바닥면에 형성된 금속피막 (75) 이 노출되어 있으며, 제 1, 제 2 개구부 (74a,74b) 에는 각각 금속범프 (79)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금속범프 (79) 는 각각 제 1, 제 2 의 배선막 (71,72) 표면에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금속범프 (79) 의 선단 부분은제 2 수지막 (77)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낸 제 3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 (80) 에서는 제 1, 제 2 개구부 (84a,84b) 각 바닥면으로 각각 제 1, 제 2 배선막 (81,82) 표면에 형성된 금속피막 (85) 이 노출되어 있으며, 제 3 개구부 (88) 내에는 제 1 배선막 (71) 바닥면에 직립하여 형성된 금속범프 (89)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금속범프 (89) 의 선단 부분은 제 2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 (70) 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 1 수지막 (86)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낸 제 4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 (90) 에서는 제 1, 제 2 개구부 (94a,94b) 내에 제 1, 제 2 배선막 (91,92) 표면에 직립하여 형성된 금속범프 (99) 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금속범프 (99) 의 선단 부분은 제 2 수지막 (97)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제 3 개구부 (98) 내에는 제 1 배선막 (91) 바닥면에 직립하여 형성된 금속범프 (99) 가 배치되어 있으며, 금속범프 (99) 의 선단 부분은 제 1 수지막 (96)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제 2 내지 제 4 예의 플렉시블 배선판 (70,80,90) 의 각 금속범프 (79,89,99) 의 선단 부분에는 금속피막 (75,85,95)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과 다른 플렉시블 배선판 (50) 을 접속시켜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 (5) 을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0 의 부호 (6) 는 도 7, 도 8 의 부호 (70,80) 로 나타낸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과 도 3m 의 부호 (10)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을 접속시켜 이루어진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70,80) 을 사용하여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 (6) 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 1, 제 2 수지막 중 하나이상의 수지막에 열가소성 수지를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접합에 사용되는 다른 플렉시블 배선판의 수지막에 열가소성 수지를 갖는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접합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배선판 중 어느 수지막도 열가소성을 갖지 않는 경우도 본 발명에는 포함된다.
도 11 의 부호 (50) 는 도 4 의 부호 (501,502) 에 나타낸 플렉시블 배선판과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커버필름 (55) 을 구성하는 수지가 열가소성을 갖지 않는 플렉시블 배선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플렉시블 배선판 (50) 과 부호 (10)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배선판 (10,50)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필름 (23 : 접착 필름) 을 배치한 상태에서 금속범프 (59) 가 제 1, 제 2 개구부 (42a,42b) 와 대향하도록 위치맞춤을 한다 (도 11a).
이어서, 플렉시블 배선판 (10,50) 사이에 수지필름 (23) 을 끼우면 금속범프 (59) 의 선단이 수지필름 (23) 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체를 누르면서 가열시키면 수지필름 (23) 이 가열에 의해 연화되고 누름에 의해 금속범프 (59) 가 연화된 수지필름 (23) 을 밀어 금속범프 (59) 의 선단이 제 1, 제 2 개구부(42a,42b) 바닥면의 금속피막 (45) 에 맞닿게 되어 플렉시블 배선판 (10,50)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수지필름 (23) 은 가열에 의해 접착성을 발현하므로 플렉시블 배선판 (10,50) 은 기계적으로도 접속되어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 (8) 을 얻을 수 있다 (도 11b). 또, 수지필름 (23) 대신에 수지필름 중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 소위 이방 도전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 내지 4c, 도 5 에서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과의 접합에 사용되는 단일층 구조의 플렉시블 배선판 (501,502) 의 금속범프 (59) 의 선단 표면에 땜납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금속범프의 선단 표면에 땜납 도금층을 갖지 않는 플렉시블 배선판이어도 이 플렉시블 배선판과 본 발명의 플렉시블 배선판 (10) 을 도 4a, 4b 의 공정에서 기계적으로 접속시킨 후 초음파를 인가하며 금속범프와 배선막을 초음파로 접속할 수도 있다.
폭이 좁아도 전기 저항값이 낮은 배선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막을 갖는 플렉시블 배선판은 고밀도화가 쉽다.

Claims (13)

  1. 제 1 수지막,
    바닥면이 상기 제 1 수지막 내에 삽입된 제 1 배선막 및
    바닥면이 상기 제 1 수지막 표면에 밀착된 제 2 배선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배선막은 표면이 균일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배선막 표면에는 제 2 수지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1 개구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막의 상기 제 2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 2 개구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제 3 개구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부 중 하나이상 개구부에 금속범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 중 하나이상 개구부에 금속범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개구부 중 하나이상 개구부에 금속범프가 배치된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
  10. 금속박을 두께방향으로 도중까지 에칭하여 상기 금속박 표면에 소정 패턴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금속박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측의 표면에 제 1 수지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오목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를 갖는 레지스트층을 상기 금속박 뒷면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박 중 상기 개구가 위치하는 부분을 에칭하고,
    상기 금속박의 오목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제 1 배선막과 상기 오목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제 2 배선막을 분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막의 상기 제 1, 제 2 배선막이 배치된 측의 표면에 제 2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막의 상기 제 1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배선막이 위치하는 부분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KR1020010045533A 2000-07-27 2001-07-27 플렉시블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KR200200221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6445A JP4459406B2 (ja) 2000-07-27 2000-07-27 フレキシブル配線板製造方法
JPJP-P-2000-00226445 2000-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126A true KR20020022126A (ko) 2002-03-25

Family

ID=1872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533A KR20020022126A (ko) 2000-07-27 2001-07-27 플렉시블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18631B2 (ko)
JP (1) JP4459406B2 (ko)
KR (1) KR20020022126A (ko)
CN (1) CN1191000C (ko)
TW (1) TW501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8953B1 (en) * 2000-06-27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the use of user-specific software features
DE10205592B4 (de) * 2002-02-11 2008-01-03 Ksg Leiterplatten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lbzeugs für Leiterplatten
US7287068B1 (en) * 2002-12-13 2007-10-23 Bmc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evices that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program directly from nonvolatile storage
TWI309962B (en) * 2004-02-24 2009-05-11 Sanyo Electric Co Circuit devic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347353A (ja) * 2004-05-31 2005-12-15 Sanyo Electric Co Ltd 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7354A (ja) * 2004-05-31 2005-12-15 Sanyo Electric Co Ltd 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13131B2 (ja) * 2004-11-19 2011-06-29 株式会社マルチ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TWI253714B (en) * 2004-12-21 2006-04-21 Phoenix Prec Technology Corp Method for fabricating a multi-layer circuit board with fine pitch
GB0505826D0 (en) * 2005-03-22 2005-04-27 Uni Microelektronica Ct Vsw Methods for embedding of conducting material and devices resulting from said methods
JP2006310689A (ja) * 2005-05-02 2006-11-09 Nippon Mektron Ltd ダブルアクセス型可撓性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100664500B1 (ko) * 2005-08-0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돌기부를 갖는 메탈 랜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제조방법
CN101518163B (zh) * 2006-09-21 2011-06-08 株式会社大昌电子 刚挠性印刷电路板及该刚挠性印刷电路板的制造方法
JP2008192878A (ja) * 2007-02-06 2008-08-21 Shinko Electric Ind Co Ltd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588046B2 (ja) * 2007-05-31 2010-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55673A (ko) * 2007-11-29 200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0056099A (ja) * 2008-08-26 2010-03-11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5512562B2 (ja) * 2010-03-29 2014-06-0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多層配線基板
DE102012216926A1 (de) * 2012-09-20 2014-03-20 Jumate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iterplattenelements sowie Leiterplattenelement
JP2015065224A (ja) * 2013-09-24 2015-04-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717850B (zh) * 2013-12-12 2017-12-12 深南电路有限公司 一种局部厚铜电路板的制作方法和局部厚铜电路板
CN104902700B (zh) * 2014-03-05 2018-06-26 深南电路有限公司 内层厚铜电路板的加工方法和内层厚铜电路板
US9408301B2 (en) * 2014-11-06 2016-08-0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ubstra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397017B2 (en) * 2014-11-06 2016-07-1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ubstra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016207916A (ja) * 2015-04-27 2016-12-08 東和プリント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20170023310A (ko) * 2015-08-20 2017-03-0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임베디드 회로 패턴을 가지는 패키지 기판,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70050192A (ko) * 2015-10-29 2017-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JP6803249B2 (ja) * 2017-01-30 2020-12-2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879171A (zh) * 2017-03-07 2017-06-20 深南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台阶导体柔性电路板及其加工方法
CN111295056B (zh) * 2020-03-16 2024-03-15 深圳市实锐泰科技有限公司 一种阶梯线路柔性板的制作方法
JP7437993B2 (ja) * 2020-03-26 2024-02-26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を用いた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31701B1 (ko) * 2021-06-21 2023-05-12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프리 몰드 기판 및 프리 몰드 기판의 제조 방법
CN114206013A (zh) * 2021-12-06 2022-03-18 博罗县精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阶梯线路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52A (ja) * 1984-06-15 1986-01-0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フイルム状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6094B2 (ja) * 1986-03-31 1995-02-2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配線板の製造法
JPS6366993A (ja) * 1986-09-08 1988-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多層配線基板
US5723822A (en) * 1995-03-24 1998-03-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Structure for fabricating a bonding pad having improved adhesion to an underlying structure
JP3234757B2 (ja) * 1995-12-05 2001-12-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879570A (en) * 1997-01-14 1999-03-09 Seagate Technology, Inc. One piece flexure for a hard disc file head with selective nickel plating
FR2766618B1 (fr) * 1997-07-22 2000-12-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 film conducteur anisotrope a inserts conducteurs
JP3506002B2 (ja) * 1997-07-28 2004-03-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TW512467B (en) * 1999-10-12 2002-12-01 North Kk Wiring circuit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1056340A1 (fr) * 2000-01-28 2001-08-02 Sony Chemicals Corp. Piece de materiau substrat, plaquette de circuits imprimes flex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02368370A (ja) * 2001-06-07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合構造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86920B2 (en) 2007-03-06
CN1359256A (zh) 2002-07-17
JP2002043699A (ja) 2002-02-08
CN1191000C (zh) 2005-02-23
TW501210B (en) 2002-09-01
JP4459406B2 (ja) 2010-04-28
US20020011348A1 (en) 2002-01-31
US6718631B2 (en) 2004-04-13
US20040163844A1 (en)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2126A (ko) 플렉시블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의 제조방법
EP0469308B1 (en) Multilayer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43946B1 (en) Method of forming an interlayer connection structure
JP2009081342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1111227A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9140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9115A (ja) 配線基板製造用金属部材と、それを用いた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8042724B2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contact of a microelectronic component on a circuit board or substrate
JP2008016817A (ja) 埋立パターン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9773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circuit boards with bumps and method for forming bumps
US4064357A (en) Interconnected printed circuits and method of connecting them
US6809267B1 (en)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nd its production method
JPH11204943A (ja) 電子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0696A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EP1173051B1 (en)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nd its production method
JPH0745923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複合基板
JP3414653B2 (ja) 多層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基板
KR100934678B1 (ko) 회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JP2001111195A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3008204A (ja) 両面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H0312792B2 (ko)
JP2005260012A (ja) 両面配線基板及び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736251B2 (ja) フィルムキャリア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9081B1 (ko) 다층 배선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103716A (ja) 多層配線基板、多層配線基板用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