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503A - 가변용량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용량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503A
KR20020001503A KR1020010022970A KR20010022970A KR20020001503A KR 20020001503 A KR20020001503 A KR 20020001503A KR 1020010022970 A KR1020010022970 A KR 1020010022970A KR 20010022970 A KR20010022970 A KR 20010022970A KR 20020001503 A KR20020001503 A KR 2002000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rive shaft
chamber
radial bear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822B1 (ko
Inventor
쿠보히로시
후카누마테츠히코
무라세마사카즈
나카야마오사무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2002000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구동축의 탄성스프링을 생략하고, 구동축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돌출단과 반대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의 양호한 윤활을 유지 가능하게 한다.
실린더블록 (12) 에는,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 (19) 이 장비된 수용구멍 (18) 에 일단이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타단이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로 폐색된 수용실 (40) 이 형성되고, 수용실 (40) 과 흡입실 (31) 과는 통로로 연이어 통하여 있다. 수용실 (40) 내에 구동축 (16) 이 리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39) 가, 수용실 (40) 을 통로 (41) 의 개구측 영역 (A) 과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 (B) 으로 구획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는, 통상의 압축운전시에는 규제부재 (39) 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존재하고, 크랭크실내의 압력의 급격한 상승시에는 극간이 제로로 되어 구동축 (16) 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에는 양 영역 (A, B) 을 연이어 통하는 구멍 (43) 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용량 압축기{variable capacity type compressor}
이 본발명은, 예를 들면, 자량 등의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편두피슨톤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가변용량 압축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의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이하 단지 압축기라 한다) 가 존재한다. 이압축기는, 외부 구동원인 차량의 엔진 (Eg) 과의 사이의 동력전달기구에 동력전달을 차단가능한 전자클러치 (101) 를 구비함과 동시에, 저냉방부하시에는 전자클러치 (101) 가 빈번하게 온 오프 되지 않도록, 토출용량을 작게 할 수 있도록 용량가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용량가변기구는, 피스톤 (102) 에 슈 (102a) 를 통하여 연결된 사판 (103) 이, 구동축 (104) 에 고정된 회전지지체 (105) 에 대하여, 힌지기구 (106) 를 통하여 경사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사판 (103) 이 수용된 크랭크실의 압력을 적극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이 압력과 피스톤 (102) 을 수용하는 실린더보어 (108) 의 압력과의 피스톤 (102) 을 통한 차압을 변경하여, 사판 (103) 의 경사각도 (구동축 (104) 의 직교하는 평면과 사판 (103) 과의 이루는 각도) 를 변경한다. 사판의 경사각도가 변경되면, 피스톤의 스트로크량도 변하여 토출량이 변경되게 된다.
예를 들면, 크랭크실 (107) 의 압력이 상승하여 실린더보어 (108) 의 압력과이 차가 크게 되면, 사판 (103) 의 경사각도가 감소하여 압축기의 토출용량은 작게 된다. 도면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사판 (103) 은, 구동축 (104) 에 설치된 최소경사각도 규정부 (109) 에 맞닿아 규제된 최소경사각도 상태에 있다. 반대로 크랭크실 (107) 의 압력이 저하하여 실린더보어 (108) 의 압력과의 차가 작게 되면, 사판 (103) 의 경사각도가 증대하여 압축기의 토출용량은 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통상, 냉매가스의 압축시의 피스톤 (102) 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에 의해 이 피스톤 (102), 사판 (102), 힌지기구(106), 회전지지체 (105) 및 구동축 (104) 의 일체물이, 도면좌우에서 하우징 (110) 의 내벽면에 스러스트베어링을 통하여 억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에 있어서는, 전자클러치 (101) 가 오프된 때에는, 차회의 전자클러치 (101) 의 온이 오프로부터 바로 행하여 졌다고 하여도, 압축기의 기동이 부하토크의 가장 적은 최소 토출용량상태로 되도록, 크랭크실 (107) 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급가속시에 있어서는, 엔진 (Eg) 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서, 냉방부하에 관계없이 토출용량을 최소로 하는, 소위 가속컷트가 행하여 지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클러치 (101) 의 오프나 가속컷트에 의해 크랭크실 (107) 의 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켜 토출용량을 최소로 하는 경우, 크랭크실 (107) 의 압력의 과대한 상승이나, 경사각도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사판 (103) 의 기세에 의해, 경사각도를 최소로 한 사판 (103) 이 최소경사각도 규정부 (109) 에 과대한 힘으로 억압되거나, 힌지기구 (106) 를 통하여 회전지지체 (105) 를 리어측으로 강하게 인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 (104) 이 축선 L 후방 (도면우방) 측으로 향하는 강한 힘을 받아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 가속컷트 시, 구동축 (104) 이 축선 L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이 구동축 (104) 에 회전지지체 (105), 힌지기구 (106) 및 사판 (103)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102) 이, 실린더보어 (108)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그 사점 (死点) 이 밸브ㆍ포트형성체 (112) 측으로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102) 이상사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밸브ㆍ포트형성체 (112) 에 대하여 충격적으로 충돌하여, 이 충돌에 기인하여 진동이나 경음이 발생하거나, 피스톤 (102) 또는 밸브ㆍ포트형성체 (112) 가 파손된다.
⊙ 전자클러치 (101) 의 오프상태에서 구동축 (104) 이 축선 L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이 구동축 (104) 과 고정관계에 있는 전자클러치 (101) 의 아마춰 (101a) 가 로우터 (101b)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아마춰 (101a) 와 로우터 (101b) 와의 사이의 클리어린스를 삭감하여, 아마춰 (101a) 가 회전상태에 있는 로우터 (101b)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이음이나 진동을 발생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동력전달을 허용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는, 하우징 (110) 과 구동축 (104) 과의 사이의 구동축 탄성스프링 (113) 을 개재시켜, 이 구동축 탄성스프링 (113) 에 의해 구동축 (104) 을 축선 L 전방 (도면좌방) 측으로 탄성지지 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62824호 에는 구동축을 탄성스프링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변환하여, 구동축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돌출단과 반대측의 단부 (후단) 측이 삽입통과 됨과 동시에 흡입실에 연이어 통과된 빈곳에 연이어 통과하는 구멍내에, 구동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장치에서는 구동축의 후단측이 삽입통과 된 구멍을 통하여 크랭크실과 상기 빈곳과의 연이어 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동축 (104) 의 축선 L 후방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동축 탄성스프링 (113) 에 스프링력이 큰 것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동축 탄성스프링 (113) 으로부터의 큰 하중을 받는 스러스트베어링 (111) 의 내구성의 저하나, 이 스러스트베어링 (111) 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동력손실의 증대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압축기에 있어서는 동력손실의 증대는 차량 (엔진(Eg)) 의 연료소비량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62824호 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탄성스프링이 없기 때문에, 탄성스프링의 존재에 의한 상기 불합리는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동축의 제 2 단부 (후단) 측이 삽입통과 된 구멍내에 실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의 제 2 단부측을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의 윤활이 불충분하게 된다.
본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동축의 탄성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고, 더구나, 구동축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돌출단과 반대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의 양호한 윤활을 유지할 수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의 형태의 가변용량 압축기의 단면도.
도 2 의 (a) 는 부분확대 단면도, (b) 는 경로의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모식 단면도.
도 3 의 (a) 는 제 2 실시의 형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b) 는 (a) 의 Ⅲ-Ⅲ선단면도.
도 4 는 경로의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모식 단면도.
도 5 의 (a) 는 별도의 실시의 형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b) 는 (a) 의 V-V 선단면도.
도 6 은 경로의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 모식단면도.
도 7 의 (a) 는 별도의 실시의 형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b) 는 별도의 실시의 형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8 은 종래 기술의 가변용량 압축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우징을 구성하는 프론트하우징
12 동일하게 구성하는 실린더블록 13 동일하게 리어하우징
12a 실린더보어 14 밸브ㆍ포트형성체
14a 밸브플레이트 14b 흡입밸브형성판
14c 돌출밸브형성판 15 크랭크실
16 구동축 18 수용구멍
19 레이디얼베어링 21 피스톤
25 캠플레이트로서의 사판 (斜板)
26 경사각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힌지기구 31 흡입실
32 토출실 33 흡입포트
34 흡입밸브 35 토출포트
36 토출밸브
38 경사각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어밸브 39 규제부재
40 수용실 43,44,49 경로로서의 구멍
45,46 경로를 구성하는 구멍 47 동일하게 오목부
50 경로로서의 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1 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흡입실 및 토출실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획형성된 크랭크실과, 제 1 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실린더보어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실린더보어를 폐색하도록 장비되고, 상기 실린더보어에 대응한 흡입포트, 흡입밸브, 토출포트 및 토출밸브를 갖는 밸브ㆍ포트형성체와,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편두형의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실내에 수용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기 피스톤과 작동연결된 캠플레이트와, 상기 크랭크실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캠플레이트의 경사각을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수반하는 상기 실린더보어로부터 상기 토출실로의 토출용량을 변화시키는 경사각 제어수단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구동축의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이 장비된 수용구멍에 일단이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로 폐색된 수용실이 형성되고, 이 수용실과 상기 흡입실과는 통로로 연이어 통하고, 이 수용실내에 상기 구동축이 그 제 2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이 수용실을 상기 통로의 개구측 영역과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또한 통상의 압축운전시에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규재부재 또는 상기 규제부재와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실내의 압력의 급격한 상승시에는 상기 극간이 제로로 되어 상기 구동측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규제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개구측 영역과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을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축의 회전운동이 캠플레이트를 통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냉매가스의 압축동작이 행하여 진다. 경사각 제어수단에 의해 캠플레이트의 경사각이 변경되어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변경된다. 크랭크실내의 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켜 토출용량을 최소로 하는 경우나, 전자클러치를 통하여 구동축에 동력전달을 행하는 타입의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의 오프시에, 구동축을 제 2단부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여도, 구동축은 규제부재의 작용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고,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에 밸브ㆍ포트형성체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자클러치의 오프시에, 로우터와 아마춰와의 슬라이딩이 회피되어, 이음이나 진동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통상 압축운전시에는 구동축과 규제부재 또는 규제부재와 밸브ㆍ포트형성체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규제부재와 구동축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구동축의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의 윤활은, 크랭크실로부터 수용실로 향하는 냉매가스 중의 미스트상의 윤활유에 의해 행하여 진다. 상기 극간은 작기 때문에, 이 극간 만으로는 크랭크실로부터 레이디얼베어링을 거쳐 수용실로 향하는 냉매가스의 량이 적고, 레이디얼베어링의 윤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규제부재에 의해 구획된 개구측영역과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을 연이어 통하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실로부터 레이디얼베어링을 거쳐 수용실로 향하는 냉매가스의 양이 레이디얼베어링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하는 데에 충분하게 된다.
청구항 2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그 냉매가스의 통과저항이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에 있어서의 통과저항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크랭크실로부터 레이디얼베어링을 거쳐 수용실로 향하는 냉매가스가 경로을 통과하기 쉽게 되어, 레이디얼베어링의 윤활이 보다 양호하게 행하여 진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고, 타단에 있어서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와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규제부재가 밸브ㆍ포트형성체와 맞닿음으로써, 구동축의 밸브ㆍ포트형성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규제부재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실린더블록이나 밸브ㆍ포트형성체를 가공하지 않고, 경로가 형성된 규제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의 윤활과 구동축의 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3 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를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밸브ㆍ포트형성체의 가공시에 경로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 경로의 가공이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 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는 밸브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흡입밸브형성판 및 토출밸브형성판이 중첩되고, 상기 경로는 상기 실린더블록과 대향 배치되는 상기 흡입밸브형성판 만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프레스형을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흡입밸브형성판의 가공시에 경로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져, 경로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 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는 밸브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흡입밸브형성체 및 토출밸브형성체가 중첩되고, 상기 경로는 상기 밸브플레이트 및 상기 실린더블록과 대향 배치되는 상기 흡입밸브형성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규제부재는 밸브ㆍ포트형성체에 맞닿은 상태로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할 때에, 규제부재가 밸브ㆍ포트형성체에 형성된 상기 경로와 걸어맞춤하지 않도록 이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용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경로는 실린더블록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구동축에 규제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가공이나 밸브ㆍ포트형성체의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어, 실린더블록의 가공 만으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제 1 실시의 형태)
이하, 본발명을 차량용 공조장치에 이용되는 가변용량 압축기에 구체화한 제 1 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및 도 2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하우징 (11) 은 실린더블록 (12) 의 전단에 접합되어 있다. 리어하우징 (13) 은, 실린더블록 (12) 의 후단에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다. 프론트하우징 (11), 실린더블록 (12) 및 리어하우징 (13) 은, 관통볼트 (도시안함) 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압축기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 의 좌방을 압축기의 전방으로 하고, 우방을 후방으로한다.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는, 밸브플레이트 (14a) 의 전면에 흡입밸브형성판 (14b) 이, 후면에 토출밸브형성판 (14c) 이, 토출밸브형성판 (14c) 의 후면에 리테이너 (14d) 형성판이 각각 중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는, 흡입밸브형성판 (14b) 의 전면에 있어서 실린더블록 (12) 에 적합되어 있다.
크랭크실 (15) 은, 프론트하우징 (11) 과 실린더블록 (14b) 과의 사이에 구획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16) 은 크랭크실 (15) 을 관통함과 동시에 제 1 단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프론트하우징 (11) 과 실린더블록과 (12) 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가설지지되어 있다. 구동축의 제 1 단부측은, 프론트하우징 (11) 에 레이디얼베어링 (17) 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실린더블록 (12) 의 대략 중심부에는 수용구멍 (18) 이 관통형성되고,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는 수용구멍 (18) 에 장비된 레이디얼베어링 (19) 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 (16) 의 제 1 단부측에는 축밀봉장치 (20) 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 (도면에는 하나만 나타낸다) 의 실린더보어 (12a) 는, 구동축 (16) 을 등각도 간격으로 에워 쌓듯이 실린더블록 (12) 에 형성되어 있다. 펀두형의 피스톤 (21) 은, 각 실린더보어 (12a) 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보어 (12a) 의 전후개구는,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및 피스톤 (21) 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실린더보어 (12a) 내에는 피스톤 (21) 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체적변화하는 압축실 (22) 이 구획되어 있다.
회전지지체로서의 러그플레이트 (23) 는, 크랭크실 (15) 에 있어서 구동축(16) 의 제 2 단부측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러그플레이트 (23) 는 스러스트베어링 (24) 을 통하여 프론트하우징 (11) 의 내벽면 (11a) 에 맞닿아 있다. 내벽면 (11) 은 피스톤 (21) 의 압축반력에 의해 축하중을 지지하여, 구동축 (16) 의 축방향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면으로서 기능한다.
캠플레이트로서의 사판 (25) 은, 관통구멍에 구동축 (16) 이 관통된 상태에서 크랭크실 (15) 내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기구 (26) 는, 러그플레이트 (23) 와 사판 (25) 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사판 (25) 은, 힌지기구를 통한 러그플레이트 (23) 와의 사이에서의 힌지연결 및 구동축 (16) 의 지지에 의해, 러그프레이트 (23) 및 구동축 (16) 과 동기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구동축 (16) 의 축선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이동을 수반하면서 구동축 (16) 에 대하여 경사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러그플레이트 (23) 및 힌지기구 (26) 는 경사각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피스톤 (21) 은 슈 (27) 를 통하여 사판의 둘레가장자리에 계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 (16) 의 회전에 수반하는 사판 (25) 의 회전운동이, 슈 (27) 를 통하여 피스톤 (21) 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최소 경사각규정부 (28) 는, 구동축 (16) 에 있어서 사판 (25) 과 실린더블록 (12) 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최소경사각 규정부 (28) 는, 링상의 부재가 구동축 (16) 의 외주면에 외부 삽입고정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사판 (25) 의 최대 경사각은, 러그플레이트 (23) 와의 맞닿음에 의해 규정된다.
구동축 (16) 은, 동력전달기구 (29) 를 통하여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30) 에 작동연결되어 있다. 동력전달기구 (29) 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제어에 의해 동력의 전달/차단을 선택가능한 클러치 (예를 들면 전자클러치) 이어도 되고, 또는 그와 같은 클러치기구를 갖지 않은 상시 전달형의 클러치리스 기구 (예를들면) 타입의 동력전달기구 (29) 가 채용되어 있다.
흡입실 (31) 은, 리어하우징 (13) 의 중앙부에 구획형성되어 있다. 토출실 (32) 은, 리어하우징 (13) 에 있어서 흡입실 (31) 의 외주측에 구획형성되어 있다.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는 각 실린더보어 (12a) 에 대응하여, 흡입포트 (33), 동 포트 (33) 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34), 토출포트 (35), 및 동 포트 (35) 를 개폐하는 토출밸브 (36)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포트 (33) 를 통하여 흡입실 (31) 과 각 실린더보어 (12a) 가 연이어 통하고, 토출포트 (35) 를 통하여 각 실린더보어 (12a) 와 토출실 (32) 이 연이어 통하여 있다. 흡입실 (31) 과 토출실 (32) 과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냉매회로로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블록 (12) 및 리어하우징 (13) 에는 크랭크실 (15) 과 토출실 (32) 을 연이어 통하는 급기통로 (37) 가 형성되고, 급기통로 (37) 의 도중에는, 경사각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어밸브 (38) 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밸브 (38) 는 공지의 전자밸브로 이루어지고, 밸브실이 급기통로 (37) 상에 형성되고, 솔레노이드 (38a) 의 여자에 의해 급기통로 (37) 가 개방되고, 솔레노이드 (38a) 의 여자전류의 크기에 의해 개방도 (開度) 가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구멍 (18) 의 후측 대략 절반은, 구동축 (16) 이 그 제 2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39) 를 수용하는 수용실 (40) 을 구성하고 있다. 즉, 수용실 (40) 은 일단이 수용구멍 (18) 에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타단이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로 폐색되어 있다. 수용실 (40) 과 흡입실 (31) 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형성된 통로 (41) 로 연이어 통하여 있다. 통로 (41) 는 구동축 (16) 의 대략 중심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16) 에는 수용실 (40) 과 크랭크실 (15) 을 연이어 통하는 연통구멍 (42) 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멍 (42) 은 입구 (42a) 가 레이디얼베어링 (17) 으로부터 제 2 단부측으로, 출구 (42b) 가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단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멍 (42), 수용구멍 (18), 수용실 (40) 및 통로 (41) 가 크랭크실 (15) 과 흡입실 (31) 을 연이어 통하는 추기통로를 구성하고, 통로 (41) 는 조임부의 기능을 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는 통형상체로 구성되고, 일단에 있어서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에 끼워맞춤고정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는 외경이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에 형성된 소경부 (小徑部) 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는, 통상의 압축운전시에는 규제부재 (39) 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 (a : 도 2 (b) 에 나타냄) 이 존재함과 동시에, 크랭크실 (15) 내의 압력의 급격한 상승시에는 상기 간극이 제로로 되어 구동축 (16) 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극은 예를 들면 0.1mm 정도로 매우 작고, 상사점위치에 있는 피스톤 (21) 과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 사이의 클리어런스보다 작은 값이다. 즉, 규제부재 (39) 는 수용실 (40)을 통로 (41) 의 개구측 영역과 레이디얼베어링측 (19) 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극간 (a) 만을 통하여 영역 B 측으로부터 영역 A 측으로 냉매가스가 통과 할 때의 통과저항은, 레이디얼베어링 (19) 에 있어서의 통과저항 즉, 냉매가스가 크랭크실 (15) 로부터 레이디얼베어링 (19) 을 거쳐 수용실 (40) 측으로 이동할 때의 통과저항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에는 영역 A 와 영역 B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로서의 구멍 (43) 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구멍 (43) 은 냉매가스의 통과저항이 레이디얼베어링 (19) 에 있어서의 통과저항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축 (16) 의 회전에 수반하여 러그플레이트 (23) 및 힌지기구 (23) 를 통하여 사판 (25) 이 일체로 회전되고, 사판 (25) 의 회전운동이 슈 (27) 를 통하여 각 피스톤 (21) 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 구동의 계속에 의해 압축실 (22) 에서는,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외부냉매회로에서 흡입실 (31) 로 공급된 냉매는, 흡입포트 (33) 를 통하여 압축실 (22) 로 흡입되어, 피스톤 (21) 의 이동에 의한 압축작용을 받은 후, 토출포트 (35) 를 통하여 토출실 (32) 로 토출된다. 토출실 (32) 에 토출된 냉매는 토출통로를 지나서 외부냉매회로에 송출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밸브 (38) 의 개방도, 즉 급기통로 (37) 의 개방도가 냉방부하에 따라서 조정되어, 토출실 (32) 과 크랭크실 (15) 과의 연이어 통하는 상태가 변경된다.
냉방부하가 큰 경우는 급기통로 (37) 의 개방도가 감소되어, 토출실 (32) 로부터 크랭크실 (15) 에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유량이 감소한다. 크랭크실 (15) 에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양이 감소하면, 연통구멍 (42) 등을 통한 흡입실 (31) 로의 냉매가스의 도망에 의해, 크랭크실 (15) 의 압력이 점차로 저하한다. 그 결과, 크랭크실 (15) 의 압력과 실린더보어 (12a) 의 압력과의 피스톤 (21) 을 통한 차가 작게 되기 때문에, 사판 (25) 이 최대 경사각측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피스톤 (21) 의 스트로크양이 증대하여, 토출용량이 증대된다.
반대로, 냉방부하가 작게 되면, 제어밸브 (38) 의 개방도가 증대되어, 토출실 (32) 로부터 크랭크실 (15) 에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유량이 증대한다. 크랭크실 (15) 에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양이, 연통구멍 (42) 을 통한 흡입실 (31) 로의 냉매가스의 놓치는 양을 상회하면, 크랭크실 (15) 의 압력이 점차로 상승하여 간다. 그 결과, 크랭크실 (15) 의 압력과 실린더보어 (12a) 의 압력과의 피스톤 (21) 을 통한 차가 커지기 때문에, 사판 (25) 이 최소경사각측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피스톤 (21) 의 스트로크양이 감소하여, 토출용량이 감소된다.
피스톤 (21) 에 작용하는 냉매가스의 압축하중은, 슈 (27), 사판 (25), 힌지기구 (26), 러그플레이트 (23) 및 스러스트베어링 (24) 을 통하여, 프론트하우징 (11) 의 내벽면 (11a) 에 의해서 받아진다. 통상 압축운전시에는, 상기 압축하중의 작용에 의해, 구동축 (16), 사판 (25), 러그플레이트 (23) 및 피스톤 (21) 등의 일체물 (一體物) 의 축선 L 전방측으로의 슬라이드이동은, 러그플레이트 (23) 및 스러스트베어링 (24) 을 통하여, 프론트하우징 (11) 의 내벽면 (11a) 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재 (39) 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사이에 극간 (a) 이 존재한다. 따라서, 규제부재 (39) 는 구동축 (16) 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가속컷트가, 압축기의 최대 토출용량 상태로부터 행하여지면, 제어밸브 (38) 는 전개상태에 있는 급기통로 (37) 를 급격하게 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토출실 (32) 의 고압인 토출냉매가스가 급격하게 크랭크실 (15) 로 공급되어, 추기통로 (연통로 (42) 등) 가 냉매가스의 급격한 유입분을 놓치지 않기 때문에, 크랭크실 (15) 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크랭크실 (15) 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면, 크랭크실 (15) 의 압력이 과대하게 상승하거나, 사판 (25) 이 경사각도를 감소시키는 기세가 과대하게 되기도 한다. 그 결과, 경사각을 최소로 한 사판 (25) (도 1 에 있어서 2 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이 최소 경사각규정부 (28) 에 과대한 힘으로 억압되거나, 힌지기구 (26) 를 통하여 러그플레이트 (23) 를 리어측으로 강하게 인장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구동축 (16) 이 축선 L 후방측으로 향하는 강한 힘을 받아 슬라이드이동한다. 이 때, 구동축 (16) 은 규제부재 (39) 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맞닿는 것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피스톤 (21) 이 상사점에 도달하였을 때에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축 (16) 의 회전중, 크랭크실 (15) 내의 압력과 흡입실 (31) 내의 압력차에 의해, 냉매가스의 일부는 연통구멍 (42) 으로부터 수용실 (40) 을 통하여 통로 (41) 로부터 흡입실 (31) 에 방출 (추기) 된다. 이 냉매가스에 미스트상으로 포함되는 윤활유에 의해, 스러스트베어링 (24), 레이디얼베어링 (17) 등의 윤활이 행하여진다.
또한, 크랭크실 (15) 내의 냉매가스의 일부는, 레이디얼베어링 (19) 을 거쳐 수용실 (40) 의 영역 B 에 도달한다.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윤활은, 크랭크실 (15) 로부터 수용실 (40) 로 향하는 냉매가스 중의 미스트상의 윤활유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압축기의 통상운전중,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부재 (39) 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사이에 극간 (a) 이 존재하지만, 상기 극간 (a) 은 매우 작다. 따라서,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부분이 극간 (a) 만의 경우는, 영역 B 에서 영역 A 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지지 않고, 레이디얼베어링 (19) 를 통과하는 냉매가스의 양이 적어져,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윤활이 불충분하게 된다. 특히 클러치리스타입의 경우, 오프운전시, 즉 최소 용량운전시의 윤활이 불충분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규제부재 (39) 에 구멍 (43)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재 (39) 에 의해서 구획된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 B 에서 개구측영역 A 측으로의 냉매가스의 통과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그 결과, 크랭크실 (15) 로부터 레이디얼베어링 (19) 를 거쳐 수용실 (40) 로 향하는 냉매가스의 양이,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윤활을 양호하게 하는 데 충분하다.
이 실시의 형태는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갖는다.
① 구동축 (16) 의 리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39)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 (19) 를 통과하는 냉매가스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개구측 영역 A 와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 B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 (구멍 (43)) 를 형성하는 것으로 회피하였다. 따라서, 구동축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아도, 구동축 (16) 의 리어측으로의 슬라이드이동에 수반하는 피스톤 (21) 과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충돌에 기인하는 불량을 해소할 수 있고, 더구나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윤활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한, 구동축 탄성스프링을 형성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스러스트베어링 (24) 에 작용하는 하중이 저감되어, 기계손실이 저감되고 압축기의 동력손실도 저감되어, 차량 (엔진 (30)) 의 연료소비량에 좋은 영향을 준다. 클러치리스타입의 압축기의 경우에 의해 효과가 커진다.
② 상기 경로가 규제부재 (39) 에 형성된 구멍 (43) 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블록 (12) 이나 밸브ㆍ포트형성체 (14) 를 가공하지 않고, 구멍 (43) 이 형성된 규제부재 (39) 를 사용 하는 것으로, 간단히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윤활과 구동축 (16) 의 리어측으로의 이동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멍 (43) 의 수나 구멍직경의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③ 규제부재 (39) 는 일단이 구동축 (16) 에 고정되고, 타단에서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재 (39) 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④ 규제부재 (39) 는 구동축 (16) 에 끼워맞춤고정 되어 있다. 따라서, 조합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⑤ 규제부재 (39) 는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조립시에 규제부재 (39) 를 구동축 (16) 에끼워맞춤고정한 상태로 소정위치에 조합할 수 있어, 조합이 더욱 간단하게 된다.
⑥ 규제부재 (39) 의 수용실 (40) 이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 (후단부) 를 수용하는 수용구멍 (18) 과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구동축 탄성스프링을 수용하는 데 사용하고 있던 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어, 규제부재 (39) 를 형성하는 스페이스의 확보가 간단하고, 압축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⑦ 구동축 (16) 에 형성된 연통구멍 (42) 이 크랭크실 (15) 내의 냉매가스를 흡입실 (31) 에 놓치는 추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여, 냉매가스가 스러스트베어링 (24) 및 레이디얼베어링 (17) 을 통과하기 때문에, 스러스트베어링 (24) 및 레이디얼베어링 (17) 의 윤활이 양호하게 행하여진다.
(제 2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 2 실시의 형태를 도 3 및 도 4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통하는 경로의 구성이 상기 실시의 형태와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같다. 따라서,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로는 규제부재 (39) 에 형성되지 않고,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밸브형성판 (14b) 에 경로로서 대략 십자형상의 구멍 (44) 이 형성되어 있다. 십자형상의 구멍 (44) 은 흡입밸브형성판 (14b) 을 프레스가공하는 프레스형을 변경하여, 동일한 프레스작업으로 흡입밸브 (34) 의 가공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이 실시의 형태로서는 도 3 (b)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재 (39) 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대향하는 부분의 극간이, 구멍 (44) 이외의 부분에서는 제 1 실시의 형태의 극간 (a) 과 같지만, 구멍 (44) 과 대향하는 부분에서는 극간 (a) 과 흡입밸브형성판 (14b) 의 두께 (t) 와의 합이 된다. 그 결과,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B 에서 영역 A 로의 냉매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1) 및 (3) ∼ (7) 의 효과를 갖는 것 외에 다음 효과를 갖는다.
⑧ 흡입밸브형성판 (14b) 의 프레스형을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흡입밸브형성판 (14b) 의 가공시에 구멍 (44) 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고,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고, 구멍 (43) 을 규제부재 (39) 에 드릴 등으로 가공하는 비용에 비교하여 저비용으로 상기 경로를 가공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데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형성하는 경우, 흡입밸브형성판 (14b) 만을 가공하는 구성 대신에, 흡입밸브형성판 (14b) 과 밸브플레이트 (14a) 를 가공하는 구성으로 한다. 예컨대, 도 5 (a), (b)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밸브형성판 (14b) 에는 통로 (41) 와 동심이고 규제부재 (39) 의 내경보다 소경의 원형의 구멍 (45) 과, 규제부재 (39) 와 맞닿을 수 있는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4개) 의 구멍 (46) 을형성한다. 밸브플레이트 (14a) 에는 흡입밸브형성판 (14b) 과 대향하는 면에, 구멍 (45) 과 각 구멍 (46) 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타원형상의 오목부 (47) 가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멍 (45, 46) 및 오목부 (47) 가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구성한다. 구멍 (45,46) 은 흡입밸브형성판 (14b) 에 흡입밸브 (34) 을 형성할 때의 가공시에 동시에 형성되고, 오목부 (47) 는 밸브플레이트 (14a) 에 흡입포트 (33) 및 토출포트 (35) 등을 형성할 때의 가공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2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각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 2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서는, 규제부재 (39) 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맞닿은 상태로 규제부재 (39) 의 단면이 구멍 (44) 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교차하여 직접 접촉하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일이 없다. 즉, 규제부재 (39) 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맞닿은 상태로 구동축 (16) 과 일체로 회전할 때에, 규제부재 (39) 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형성된 경로와 걸어맞춤하지 않도록 상기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 원통형의 규제부재 (39) 를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에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를 소경으로 하여 규제부재 (39) 를 외부에서 끼우는 대신에, 연통구멍 (42) 의 출구 (42b) 를 대경으로 하여 규제부재 (39) 를 연통구멍 (42) 에 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 원통형의 규제부재 (39) 를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에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구동축 (16) 에 형성하여도 된다.
⊙ 규제부재 (39) 를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에 일체로 성형하여도 된다. 즉,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가 직접,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에 맞닿는 구성으로 하여, 제 2 단부에 구멍 (43) 을 형성한다. 그러나, 규제부재 (39) 를 별체로 형성하여 구동축 (16) 에 끼워맞춤하는 것이 제조나 가공이 간단하게 된다.
⊙ 규제부재 (39) 를 구동축 (16) 에 고정하는 구성 대신에, 수용실 (40) 에 압입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예컨대 도 7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재 (39) 를 구동축 (16) 이 압축반력에 의해서 제 1 단부측 (프론트측) 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 2 단부와의 사이에 극간 (a) 이 존재하도록 고정한다. 규제부재 (39) 는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수용실 (40) 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재 (39) 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에 구멍 (48) 이 형성되고, 둘레가장자리부에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로서의 구멍 (49) 이 복수형성된다. 이 경우, 구동축 (16) 에 규제부재 (39) 를 고정하기 위한 가공이나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의 가공이 불필요해져, 규제부재 (39) 의 가공만으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 규제부재 (39) 를 수용실 (40) 에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 영역 B 와 영역 A 를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규제부재 (39) 에 형성하는 대신에, 도 7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 (12) 에 경로로서의 홈 (50) 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경로를 규제부재 (39) 에 형성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경로의 크기의 자유도가 커짐과 동시에, 실린더블록 (12) 의 형성시에 경로 (홈 (50)) 를 동시에 형성할수 있고, 규제부재 (39) 의 가공의 수고가 적어진다.
⊙ 추기통로를 겸한 연통구멍 (42) 을 구동축 (16) 에 형성하지 않고, 추기통로 (도시생략) 를 실린더블록 (12) 에 형성한다. 이 경우, 수용실 (40) 은 레이디얼베어링 (19) 의 윤활을 하기 위한 냉매가스의 흐름을 생기게 하기위해서 흡입실 (31) 과 연이어 통한다.
⊙ 구동원에서 구동축 (16) 으로의 동력전달에 전자클러치를 통하는 구성으로 채용하여도 된다. 그 경우, 오프상태에 있는 전자클러치의 로우터와 아마춰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는, 규제부재 (39) 와 밸브ㆍ포트형성체 (14) 사이 또는 규제부재 (39) 와 구동축 (16) 의 제 2 단부 단면과의 끼워맞춤의 극간 (a) 보다 크기 때문에, 극간 (a) 의 값을 변경하지 않아도, 전자클러치의 오프시에 상기 로우터와 아마춰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불량이 생기는 염려는 없다.
⊙ 캠플레이트 (사판(25)) 가 구동축 (16) 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성 대신에, 캠플레이트가 구동축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요동하는 와블타입의 압축기에 적용하여도 된다.
⊙ 급기통로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제어밸브 (38) 는 전자제어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3281호에 개시된 제어밸브와 같이, 흡입압력을 검지하여 변위하는 다이어그램과, 다이어그램의 변위에 의해 급기통로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밸브기구를 구비한, 소위 내부 제어밸브이어도 된다. 그러나, 클러치리스타입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외부에서 제어가능한 전자밸브가 바람직하다.
⊙ 구동원은 엔진 (30) 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기자동차에 장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로부터 파악되는 청구항기재 이외의 기술적 사상에 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크랭크실의 압력을 흡입실로 방출하는 추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이어 통하는 통로는 상기 추기통로의 조임부를 구성한다.
(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극간은 상사점위치에 있는 피스톤과 밸브ㆍ포트형성체와 사이의 클리어런스보다 작은 값이다.
이상 상술하였듯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의 탄성스프링을 삭제할 수 있고, 더구나 구동축을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의 양호한 윤활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흡입실 및 토출실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획형성된 크랭크실과,
    제 1 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실린더보어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실린더보어를 폐색하도록 장비되어, 상기 실린더보어에 대응한 흡입포트, 흡입밸브, 토출포트 및 토출밸브를 갖는 밸브ㆍ포트형성체와,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편두형의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실내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기 피스톤과 작동연결된 캠플레이트와,
    상기 크랭크실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캠플레이트의 경사각을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수반하는 상기 실린더보어로부터 상기 토출실로의 토출용량을 변화시키는 경사각 제어수단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구동축의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베어링이 장비된 수용구멍에 일단이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로 폐색된 수용실이 형성되고, 이 수용실과 상기 흡입실과는 통로로 연이어 통하고, 이 수용실내에 상기 구동축이 그 제 2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이 수용실을 상기 통로의 개구측영역과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또한 통상의 압축운전시에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규재부재 또는 상기 규제부재와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실내의 압력의 급격한 상승시에는 상기 극간이 제로로 되어 상기 구동측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규제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개구측 영역과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측 영역을 연이어 통하는 경로를 형성한 가변용량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그 냉매가스의 통과저항이 상기 레이디얼베어링에 있어서의 통과저항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고, 타단에 있어서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와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규제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에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는 밸브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흡입밸브형성판 및 토출밸브형성판이 중첩되고, 상기 경로는 상기 실린더블록과 대향 배치되는 상기 흡입밸브형성판 만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는 밸브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흡입밸브형성체 및 토출밸브형성체가 중첩되고, 상기 경로는 상기 밸브플레이트 및 상기 실린더블록과 대향 배치되는 상기 흡입밸브형성판의 양자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밸브ㆍ포트형성체와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상기 수용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경로는 실린더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규제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가변용량 압축기.
KR10-2001-0022970A 2000-06-28 2001-04-27 가변용량 압축기 KR100428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4658 2000-06-28
JP2000194658A JP2002013474A (ja) 2000-06-28 2000-06-28 可変容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03A true KR20020001503A (ko) 2002-01-09
KR100428822B1 KR100428822B1 (ko) 2004-04-28

Family

ID=1869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970A KR100428822B1 (ko) 2000-06-28 2001-04-27 가변용량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3355B2 (ko)
EP (1) EP1167764A3 (ko)
JP (1) JP2002013474A (ko)
KR (1) KR100428822B1 (ko)
CN (1) CN1133811C (ko)
BR (1) BR0102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352A (ko) * 2002-03-20 2003-09-26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압축기
KR101107049B1 (ko) * 2010-10-12 2012-01-25 (주) 이더 피엘씨 실습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5516B2 (ja) * 2000-11-07 2009-12-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JP4824265B2 (ja) * 2000-11-23 2011-11-30 ルーク ファールツォイク・ヒドラウリ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コンプレッサ
JP2004124876A (ja) * 2002-10-04 2004-04-22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3858814B2 (ja) * 2002-12-05 2006-12-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転機械の調整方法
JP4438811B2 (ja) * 2003-01-16 2010-03-24 株式会社デンソー 圧縮機
US8197231B2 (en) 2005-07-13 2012-06-12 Purity Solutions Llc Diaphragm pump and related methods
US7611335B2 (en) 2006-03-15 2009-11-03 Delphi Technologies, Inc. Two set-point pilot piston control valve
JP4820269B2 (ja) * 2006-10-25 2011-11-24 サンデ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JP2009209910A (ja) * 2008-03-06 2009-09-17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KR100986943B1 (ko) * 2008-08-13 2010-10-12 주식회사 두원전자 사판식 압축기의 토출용 체크밸브
JP5391648B2 (ja) * 2008-10-28 2014-01-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WO2011078547A2 (ko) * 2009-12-23 2011-06-30 두원공과대학교 용량가변형 압축기
JP5999622B2 (ja) 2012-02-06 2016-09-28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US9610392B2 (en) 2012-06-08 2017-04-0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edical fluid cassett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6136906B2 (ja) * 2013-12-11 2017-05-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US20170067457A1 (en) * 2015-09-09 2017-03-0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Variable compressor
JP7213700B2 (ja) * 2019-01-29 2023-01-27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
JP7213709B2 (ja) * 2019-02-06 2023-01-27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
KR20210105565A (ko) * 2020-02-19 2021-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670A (en) * 1994-04-15 1996-12-1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8109880A (ja) * 1994-10-11 1996-04-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の動作制御システム
KR100202784B1 (ko) * 1995-03-30 1999-06-15 이소가이 치세이 가변용량 압축기
JPH08338362A (ja) * 1995-06-08 1996-12-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H10131850A (ja) * 1996-10-25 1998-05-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10169557A (ja) * 1996-12-06 1998-06-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10169558A (ja) * 1996-12-09 1998-06-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片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H1162824A (ja) 1997-08-08 1999-03-05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
JPH1182667A (ja) 1997-09-11 1999-03-26 Sanden Corp 動力伝達装置
JPH11241681A (ja) * 1997-12-26 1999-09-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におけるシール機構の保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352A (ko) * 2002-03-20 2003-09-26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압축기
KR101107049B1 (ko) * 2010-10-12 2012-01-25 (주) 이더 피엘씨 실습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13474A (ja) 2002-01-18
EP1167764A3 (en) 2003-08-13
EP1167764A2 (en) 2002-01-02
KR100428822B1 (ko) 2004-04-28
CN1133811C (zh) 2004-01-07
US6663355B2 (en) 2003-12-16
CN1332321A (zh) 2002-01-23
BR0102736A (pt) 2002-02-13
US20020018722A1 (en)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822B1 (ko) 가변용량 압축기
KR100860739B1 (ko)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US5823294A (en) Lubrication mechanism in compressor
EP1918583B1 (en) Suction throttle valve of a compressor
EP1167762B1 (en) Lubrication system for swash plate compressor
JPH11257217A (ja) 片側可変容量型圧縮機
KR0144387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
JP2002031050A (ja) 圧縮機
EP1336757A2 (en) Control devic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US6045342A (en) Refrigerant compressor
US6203284B1 (en) Valve arrangement at the discharge chamber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193911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363406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6544004B2 (en) Sing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US5704769A (en) Noise suppressing mechanism in piston-type compressor
JPH09242667A (ja) 往復動型圧縮機
KR100408336B1 (ko) 압축기
JPH11294323A (ja) 可変容量圧縮機
WO2007086261A1 (ja) 可変容量型クラッチレス圧縮機
KR20060096379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H11324910A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2005010A (ja) 可変容量圧縮機
CN112313413B (zh) 可变容量压缩机
WO2020158344A1 (ja) 圧縮機
US20040202553A1 (en) Swash plate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