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336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336B1
KR100408336B1 KR10-2001-0011564A KR20010011564A KR100408336B1 KR 100408336 B1 KR100408336 B1 KR 100408336B1 KR 20010011564 A KR20010011564 A KR 20010011564A KR 100408336 B1 KR100408336 B1 KR 10040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cam plate
compressor
pist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397A (ko
Inventor
구라까께히로따까
이노우에요시노리
와끼따토모히로
스이또켄
타루따니토모지
오따마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1009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압축기 전체 길이의 단축화 (소형화) 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소형화에 의한 회전지지체의 강도 및 이 회전지지체와 구동축의 고정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구동축 (7) 에 러그플레이트 (11) 를 일체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힌지기구 (13) 를 통해 경사판 (12) 을 일체회전 가능하게 또한 구동축 (7) 과의 각도를 변경가능하게 러그플레이트 (11) 에 작동연결한다. 경사판 (12) 에는 실린더보어 (1a) 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한 피스톤 (17) 을 작동연결하고, 구동축 (7) 의 회전에 따라 냉매를 흡입토출함과 동시에, 경사판 (12) 의 상기 각도변경에 의해 피스톤 (17) 의 스트로크를 변경가능하게 한다. 전측 래디얼 베어링 (9B) 을 러그플레이트 (11) 의 보스부 (11A) 의 외주에 배치하고, 경사판 (12) 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 (16) 을 러그플레이트 (11) 의 리어측에 형성한 스프링수납부 (11C) 에 수납한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힌지기구를 사용해서 캠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경할 수 있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조회로에 사용되는 용량가변 압축기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크랭크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이 차량엔진에 회전구동되어 냉매를 흡입토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구성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에는 실린더보어가 형성되며, 이 실린더보어내에는 피스톤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에는 일체회전 가능하게 회전지지체로서의 러그플레이트가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러그플레이트에는 경사판이 작동연결되어 있다. 상기 러그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판의 작동연결은, 힌지기구를 통해 경사판이 러그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체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구동축과의 각도가 변경가능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외주부에는 상기 피스톤이 작동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여 냉매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실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경사판의 상기 구동축에 대한 각도가 변경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변경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서는,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경사판이나 상기 러그플레이트를 통해 레이디얼 및 스러스트의 양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하중을 받는 베어링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에서는 압력이 달라지는 점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의 극간을 밀봉하는 시일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경사판을 항상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상기 경사판과 상기 러그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에 감겨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베어링, 시일부재 및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로 인해, 압축기는 그 전체 길이가 길어져서 좁은 엔진룸에 탑재할 때의 설치위치의 자유도가 작아졌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12529 호에 개시된 구성의 압축기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디얼방향의 하중을 받는 베어링을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러그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러그플레이트에 상기 구동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시일부재를 상기 오목부에 수용하여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과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60587 호에 개시된 구성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러그플레이트에 상기 구동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한 오목부내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용하고, 이 코일스프링을 압축기의 전방측으로 시프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12529 호에 개시된 구성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베어링과 상기 시일부재의 배치에 한정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한 압축기의 전체길이 단축화의 저해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60587 호에 개시된 구성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코일스프링, 상기 베어링 및 상기 시일부재는 모두 상기 구동축상에 병렬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압축기의 전방측으로 깊게 한 경우에는 러그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축의 고정부 강도가 부족해지기 쉬워지는 등 압축기 전체길이의 단축화에 대해서는 배려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전체 길이의 단축화 (소형화) 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소형화에 의한 회전지지체의 강도 및 이 회전지지체와 구동축의 고정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일실시형태의 압축기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X-X 선 모식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블록 1a : 실린더보어
2 : 프런트하우징 2A : 시일부재
3 : 밸브형성체
4 : 리어하우징 (1, 2, 3 및 4 는 하우징을 구성한다)
6 : 크랭크실 7 : 구동축
9B :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11 : 회전지지체로서의 러그플레이트
11A : 보스부 11B : 시일수납부
11C : 스프링수납부 12 : 캠플레이트로서의 경사판
13 : 힌지기구 14 : 지지아암
14A :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구멍 15 : 핀으로서의 가이드 핀
16 : 코일스프링 17 : 피스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에 실린더보어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보어내에는 피스톤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구동축에 일체회전 가능하게 회전지지체를 고정하고, 캠플레이트를 일체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과의 각도를 변경가능하게 상기 회전지지체에 연결하는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회전지지체와 상기 캠플레이트를 작동연결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상기 피스톤을 작동연결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여 냉매의 흡입 및 토출을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캠플레이트의 상기 구동축에 대한 각도의 변경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체에 형성한 보스부의 외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캠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상기 캠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체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에 감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지지체의 상기 보스부와 반대측에 형성한 스프링수납부내에 삽입하고, 상기 보스의 상기 외주의 직경을 상기 스프링수납부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레이디얼 베어링과 코일스프링을 구동축의 축선방향으로 근접하여 배치하여도,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은 스프링수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보스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지지체와 상기 구동축의 끼워맞춤 고정을 위하여 필요한 양자간의 접촉면적을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즉, 상기 회전지지체와 상기 구동축의 끼워맞춤 고정의 강도를 필요강도로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그리고,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을 설치한 보스부의 외주와 상기 스프링수납부가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지지체 그 자체의 강도를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의 축선방향에 대한 압축기의 소형화 (압축기 전체길이의 단축화) 가 쉽게 가능해진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를 상기 캠플레이트에 압입한 핀과, 상기 회전지지체의 상기 캠플레이트측에 돌출설치한 지지아암에 형성한 가이드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캠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체를 작동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상기 핀보다 상기 회전지지체측에 배치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코일스프링과 핀은 구동축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중복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핀을 상기 구동축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축에 근접하도록 배치하여도 상기 코일스프링의 배치공간을 침범하는 일이 없으므로, 이 이동으로 인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지지작용에 지장이 미치는 일이 없다. 즉, 상기 핀의 상기 구동축으로의 근접배치가 용이해진다. 나아가서는 이 근접배치에 의한 캠플레이트의 소형화가 용이해져서 압축기의 상기 구동축의 직경방향에 대한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3 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의 극간을 밀봉하는 시일부재를, 상기 보스부에 형성한 시일수납부에 수납하고, 상기 시일수납부의 직경을 상기 보스부의 외주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레이디얼 베어링과 시일부재를 구동축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향에 대한 압축기의 소형화가 더욱 가능해진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의 내경을 상기 시일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레이디얼 베어링을 하우징측에 조합한 후에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의 내주측을 통과시켜 시일부재를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 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 (C) 는 실린더블록 (1) 과, 그 전단에 접합된 프런트하우징 (2) 과, 실린더블록 (1) 의 후단에 밸브형성체 (3) 를 통해 접합된 리어하우징 (4)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실린더블록 (1), 프런트하우징 (2), 밸브형성체 (3) 및 리어하우징 (4) 은 복수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의 관통볼트 (5) (도 1 에서는 도시를 생략. 도 2 참조) 에 의해 서로 접합고정되어 압축기 (C) 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실린더블록 (1) 과 프런트하우징 (2) 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크랭크실 (6) 이 구획되어 있다. 크랭크실 (6) 내에는 구동축 (7) 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블록 (1) 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오목부내에는 스프링 (8), 후측 레이디얼 베어링 (9A) 및 후측 스러스트 베어링 (10A) 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크랭크실 (6) 에 있어서 구동축 (7) 상에는 회전지지체로서의 러그플레이트 (11) 가 일체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 고정되고, 러그플레이트 (11) 와 프런트하우징 (2) 의 내벽면 사이에는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및 전측 스러스트 베어링 (10B) 이 설치되어 있다. 일체화된 구동축 (7) 및 러그플레이트 (11) 는 스프링 (8) 으로 전방으로 탄성지지된 후측 스러스트 베어링 (10A) 과 전측 스러스트 베어링 (10B) 에 의해 스러스트방향 (구동축 축선방향) 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프런트하우징 (2) 의 내벽면과 구동축 (7) 사이에는 양자의 극간을 밀봉하는 시일부재 (2A) 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 (7) 의 전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외부구동원으로서의 차량엔진에 작동연결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제어에 의해 동력의 전달/차단을 선택할 수 있는 클러치기구 (예컨대, 전자클러치) 여도 되고, 또는 이와 같은 클러치기구를 갖지 않는 상시전달형 클러치리스기구 (예컨대, 벨트/풀리의 조합) 여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리스타입의 동력전달기구를 채택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실 (6) 내에는 캠플레이트로서의 경사판 (12) 이 수용되어 있다. 경사판 (12) 의 중앙부에는 삽입통과 구멍이 관통형성되며, 이 삽입통과 구멍을 관통하여 구동축 (7) 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 (12) 은 힌지기구 (13) 를 통해 러그플레이트 (11) 및 구동축 (7) 에 작동연결되어 있다. 힌지기구 (13) 는 러그플레이트 (11) 의 리어면에서 돌출설치된 2 개의 지지아암 (14) (1 개만 도시) 과, 경사판 (12) 의 프런트면에서 돌출설치된 2 개의 핀으로서의 가이드 핀 (15) (1 개만 도시)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지아암 (14) 에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구멍 (14A) 이 형성되며, 각 가이드 핀 (15) 은 각 가이드구멍 (14A) 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지지아암 (14) 과 가이드 핀 (15) 의 연계 및 경사판 (12) 의 중앙 삽입통과 구멍내에서의 구동축 (7) 과의 접촉에 의해, 경사판 (12) 은 러그플레이트 (11) 및 구동축 (7) 과 동기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구동축 (7) 의 축방향으로의 스러스트이동을 수반하면서 구동축 (7) 에 대하여 경사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러그플레이트 (11) 와 경사판 (12) 사이에 있어서 구동축 (7) 의 주위에는코일스프링 (16) 이 감겨 있다. 이 코일스프링 (16) 은 경사판 (12) 을 실린더블록 (1) 에 접근하는 방향, 즉 경사판 (12) 의 경각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본건에서는 경사판 (12) 의 경사각도 (경각) 를 구동축 (7) 에 직교하는 가상평면과 경사판 (12) 이 이루는 각도로 하고 있다.
실린더블록 (1) 에는 구동축 (7) 을 둘러싸며 복수의 실린더보어 (1a) (도 1 에서는 1 개만 도시) 가 형성되며, 각 실린더보어 (1a) 의 리어측단은 상기 밸브형성체 (3) 로 폐색되어 있다. 각 실린더보어 (1a) 에는 편두형 피스톤 (17) 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각 실린더보어 (1a) 내에는 피스톤 (17) 의 왕복운동에 따라 체적변화하는 압축실이 구획되어 있다. 각 피스톤 (17) 의 전단부는 1 쌍의 슈 (18) 를 통해 경사판 (12) 의 외주부에 계류되고, 이들 슈 (18) 을 통해 각 피스톤 (17) 은 경사판 (12) 에 작동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판 (12) 이 구동축 (7) 과 동기회전함으로써, 경사판 (12) 의 회전운동이 그 경각에 대응하는 스트로크로의 피스톤 (17) 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밸브형성체 (3) 와 리어하우징 (4) 사이에는 중심영역에 위치하는 토출실 (21) 과, 이것을 둘러싸는 흡입실 (22) 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밸브형성체 (3) 는 흡입밸브형성판 (3A), 포트형성판 (3B), 토출밸브형성판 (3C) 및 리테이너형성판 (3D) 을 중합(重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각 형성판은 볼트 (3E) 및 너트 (3F) 에 의해 중합고정되어 있다. 이 밸브형성체 (3) 에는 각 실린더보어 (1a) 에 대응하여 흡입포트 (23) 및 동일 포트 (23) 를 개폐하는 흡입밸브 (24) 그리고 토출포트 (25) 및 동일 포트 (25) 를 개폐하는 토출밸브 (26) 가형성되어 있다. 흡입포트 (23) 를 통해 흡입실 (22) 과 각 실린더보어 (1a) 가 연이어 통하고, 토출포트 (25) 를 통해 각 실린더보어 (1a) 와 토출실 (21) 이 연이어 통한다.
토출실 (21) 과 크랭크실 (6) 은 급기통로 (30) 로 접속되어 있다. 급기통로 (30) 의 도중에는 제어밸브 (31)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실 (22) 과 크랭크실 (6) 은 추기통로 (32) 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밸브 (31) 는 솔레노이드부 (33) 와, 솔레노이드부 (33) 에 로드를 통해 작동연결된 밸브체 (34) 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컴퓨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회로가 출력하는 전류에 의해 솔레노이드부 (33) 가 구동되어 밸브체 (34) 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급기통로 (30) 의 열림정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어밸브 (31) 의 열림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급기통로 (30) 를 통한 크랭크실 (6) 로의 고압가스의 도입량과 추기통로 (32) 를 통한 크랭크실 (6) 로부터의 가스도출량의 밸런스가 제어되어 크랭크압 (Pc) 이 결정된다.
리어하우징 (4) 에는 토출실 (21) 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는 토출통로 (21A) 와, 흡입실 (22) 로 냉매를 도입할 때의 입구로 되는 흡입통로 (22A)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통로 (21A) 와 흡입통로 (22A) 는 외부냉매회로 (40) 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 (9B) 은, 프런트하우징 (2) 의 내벽면에서 리어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원통형상부 (2B) 와, 러그플레이트 (11) 의 보스부 (11A) 의 프런트측 근방의 외주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 (7) 의 프런트측은 러그플레이트 (11) 의 보스부 (11A) 를 통해 압축기 (C) 의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스부 (11A) 의 프런트측 내주측에는 시일수납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수납부 (11B) 에는 시일부재 (2A) 가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과 중첩되도록 삽입배치되어 있다. 시일수납부 (11B) 는 보스부 (11A) 의 프런트측에 형성된 단면원형상의 오목형상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일부재 (2A) 는 상기 오목형상부분과 구동축 (7) 의 외주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홈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러그플레이트 (11) 의 보스부 (11A) 와 반대측, 즉 리어측에는 스프링수납부 (11C) 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납부 (11C) 에는 코일스프링 (16) 의 일부가 삽입배치되어 있다. 스프링수납부 (11C) 는 단면원형상의 오목형상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스프링 (16) 은 상기 오목형상부분과 구동축 (7) 의 외주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홈내에 배치되게 된다. 보스부 (11A) 외주의 직경은 시일수납부 (11B) 및 스프링수납부 (11C) 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판 (12) 의 프런트면에는 2 개의 핀 지지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핀 (15) 은 각 핀 지지부 (12A) 에 형성된 압입오목부에 압입고정된다. 코일스프링 (16) 은 경사판 (12) 에 형성된 스프링받이부 (12B) 에 맞닿아 경사판 (12) 을 실린더블록 (1)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스프링받이부 (12B) 는 코일스프링 (16) 을 가이드 핀 (15) 보다 러그플레이트 (11) 측에 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핀 지지부 (12A) 는 상기 핀 지지부 (12A) 와 코일스프링 (16) 이 구동축 (7) 의 직경방향 및 축방향에 있어서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동축 (7) 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차량엔진으로부터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구동축 (7) 으로 동력이 공급되면, 구동축 (7) 과 함께 경사판 (12) 이 회전한다. 경사판 (12) 의 회전에 따라 각 피스톤 (17) 이 경사판 (12) 의 경각에 대응한 스트로크로 왕복운동되며, 각 실린더보어 (1a) 에 있어서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순차 반복된다.
냉매부하가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컴퓨터는 상기 구동회로에 대하여 솔레노이드부 (33) 로의 공급전류치를 크게 하도록 지령신호를 발한다. 이 신호에 의거한 상기 구동회로로부터의 전류치의 변화에 의해 솔레노이드부 (33) 는 밸브체 (34) 가 급기통로 (30) 의 열림정도를 보다 작게 하도록 탄성지지력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밸브체 (34) 가 이동하여 급기통로 (30) 의 열림정도가 작아진다. 그럼으로써, 토출실 (21) 에서 급기통로 (30) 를 경유하여 크랭크실 (6) 로 공급되는 고압냉매가스의 양이 적어져서 크랭크실 (6) 의 압력이 저하되고, 경사판 (12) 의 경각이 커져서 압축기 (C) 의 토출용량이 커진다. 급기통로 (30) 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되면, 크랭크실 (6) 의 압력이 크게 저하되어 경사판 (12) 의 경각이 최대로 되며 압축기 (C) 의 토출용량은 최대로 된다.
반대로, 냉방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부 (33) 는 밸브체 (34) 가 급기통로 (30) 의 열림정도를 크게 하도록 탄성지지력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밸브체 (34) 가 이동하여 급기통로 (30) 의 열림정도가 커진다. 그럼으로써, 크랭크실 (6) 의 압력이 상승하고, 코일스프링 (16) 의 탄성지지력과 함께 경사판 (12) 의 경각이 작아져서 압축기 (C) 의 토출용량이 작아진다. 급기통로 (30) 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되면, 크랭크실 (6) 의 압력이 크게 상승하고, 경사판 (12) 의 경각이 최소로 되어 압축기 (C) 의 토출용량은 최소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러그플레이트 (11) 의 보스부 (11A) 의 프런트측 근방의 외주에 설치하고, 코일스프링 (16) 을 러그플레이트 (11) 의 리어측에 형성한 스프링수납부 (11C) 에 삽입배치하고,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설치한 보스부 (11A) 의 상기 외주의 직경을 스프링수납부 (11C) 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그럼으로써,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 (9B) 과 코일스프링 (16) 을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보다 근접하여 배치하여도, 러그플레이트 (11) 와 구동축 (7) 의 끼워맞춤 고정을 위하여 필요한 양자간의 접촉면적을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즉, 러그플레이트 (11) 와 구동축 (7) 의 끼워맞춤 고정의 강도를 필요강도로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그리고,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설치한 보스부 (11A) 의 상기 외주와 스프링수납부 (11C) 가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러그플레이트 (11) 그 자체의 강도를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방향에 대한 압축기 (C) 의 소형화 (단축화) 가 쉽게 가능해진다.
(2) 코일스프링 (16) 을 스프링받이부 (12B) 에 맞닿게 하여 경사판 (12) 을 실린더블록 (1)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받이부 (12B) 를 코일스프링 (16) 이 가이드 핀 (15) 보다 러그플레이트 (11)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하였다. 즉, 코일스프링 (16) 과 가이드 핀 (15) 을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였다. 그럼으로써, 가이드 핀 (15) 을 구동축 (7) 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축 (7) 에 근접하도록 배치하여도 코일스프링 (16) 의 배치공간을 침범하는 일이 없으므로, 이 이동으로 인해 상기 코일스프링 (16) 의 탄성지지작용에 지장이 미치는 일이 없다. 즉, 가이드 핀 (15) 의 구동축 (7) 으로의 근접배치가 쉬워진다. 나아가서는 이 근접배치에 의한 경사판 (12) 의 소형화가 쉬워진다.
(3)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외주에 설치한 보스부 (11A) 의 내주측에 시일수납부 (11B) 를 형성하고, 이 시일수납부 (11B) 내에 시일부재 (2A) 를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과 중첩되도록 배치하였다. 그럼으로써,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대한 압축기 (C) 의 소형화 (압축기의 전체길이의 단축화) 가 더욱 쉽게 가능해진다.
(4)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의 내경을 시일부재 (2A) 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프런트하우징 (2) 의 원통형상부 (2B) 에 조합한 후에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의 내주측을 통과시켜 시일부재 (2A) 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이 향상된다.
(5)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구동축 (7) 보다 큰 직경의 보스부 (11A) 의 외주에 설치하였다. 즉,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구동축 (7) 상에 직접 설치한 베어링보다 큰 직경의 것으로 하였다. 즉, 베어링을 구동축 (7) 상에 직접 설치한 경우에 비교하여 구동축 (7) 에 가해지는 레이디얼방향의 하중에 대한 부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하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을 축선방향으로 단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 (C) 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는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 태양으로 하여도 된다.
○경사판 (12) 의 스프링받이부 (12B) 를 코일스프링 (16) 과 가이드 핀 (15) 이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압축기 (C) 의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는 가능하다.
○러그플레이트 (11) 에 시일수납부 (11B) 를 설치하지 않고, 시일부재 (2A) 를 시일부재 (2A) 와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이 구동축 (7) 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도록 러그플레이트 (11) 의 프런트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러그플레이트 (11) 를 주조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하고, 보스부 (11A) 의 외주에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의 내륜으로서 기능하는 부시를 끼워맞춰도 된다. 이 경우, 러그플레이트 (11) 의 기계가공부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전측 레이디얼 베어링 (9B) 의 내경은 시일부재 (2A) 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가이드 핀 (15) 을 핀 지지부 (12A) 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용접이나 나사고정 등, 압입 이외의 방법에 의해 조합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핀 (15) 과 핀 지지부 (12A) 를 별도부재로 하지 않고, 가이드 핀 (15) 을 경사판 (12) 에 일체형성하여도 된다.
○힌지기구 (13) 를 경사판 (12) 에 설치한 제 1 아암과, 러그플레이트 (11) 에 설치한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아암 중 일측 아암에 형성한 안내구멍과, 타측 아암에 형성한 부착구멍과, 이 부착구멍을 관통함과 동시에 돌출부를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한 핀을 구비한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청구항에 기재한 발명 이외의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그 효과와 함께 다음에 기재한다.
(1)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체를 주조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보스부의 상기 외주에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의 내륜으로서 기능하는 부시를 끼워맞춘다. 이 경우, 회전지지체의 기계가공부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의 전체길이의 단축화 (소형화) 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소형화에 의한 회전지지체의 강도 및 상기 회전지지체와 구동축의 고정강도의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에 실린더보어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보어내에는 피스톤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구동축에 일체회전 가능하게 회전지지체를 고정하고, 캠플레이트를 일체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기 구동축과의 각도를 변경가능하게 상기 회전지지체에 연결하는 힌지기구를 통해 상기 회전지지체와 상기 캠플레이트를 작동연결하고, 상기 캠플레이트에 상기 피스톤을 작동연결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하여 냉매의 흡입 및 토출을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캠플레이트의 상기 구동축에 대한 각도의 변경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체에 형성한 보스부의 외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지지를 실행하고,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캠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상기 캠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체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에 감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지지체의 상기 보스부와 반대측에 형성한 스프링수납부내에 삽입하고,
    상기 보스의 상기 외주의 직경을 상기 스프링수납부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를 상기 캠플레이트에 압입한 핀과, 상기 회전지지체의 상기 캠플레이트측에 돌출설치한 지지아암에 형성한 가이드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캠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체를 작동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상기 핀보다 상기 회전지지체측에 배치한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의 극간을 밀봉하는 시일부재를, 상기 보스부에 형성한 시일수납부에 수납하고, 상기 시일수납부의 직경을 상기 보스부의 외주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한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의 내경을 상기 시일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한 압축기.
KR10-2001-0011564A 2000-04-20 2001-03-06 압축기 KR100408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9313A JP2001304108A (ja) 2000-04-20 2000-04-20 圧縮機
JP2000-119313 2000-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397A KR20010098397A (ko) 2001-11-08
KR100408336B1 true KR100408336B1 (ko) 2003-12-06

Family

ID=1863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564A KR100408336B1 (ko) 2000-04-20 2001-03-06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11296B2 (ko)
EP (1) EP1148240A3 (ko)
JP (1) JP2001304108A (ko)
KR (1) KR100408336B1 (ko)
CN (1) CN1318692A (ko)
BR (1) BR01015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8137B2 (en) * 2000-12-01 2003-05-06 Tecumseh Products Company Reciprocating piston compressor having improved noise attenuation
JP3960117B2 (ja) * 2001-08-02 2007-08-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及び異音抑制方法
JP4103806B2 (ja) * 2003-11-14 2008-06-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EP1831561B1 (en) * 2004-12-29 2012-05-16 Aspen Compressor, LLC. Miniature rotary compresso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7444921B2 (en) * 2006-08-01 2008-11-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wash ring compressor
EP1970566A2 (en) * 2007-03-12 2008-09-17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5519193B2 (ja) * 2009-06-05 2014-06-11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CN109530589B (zh) * 2018-12-11 2020-11-06 重庆世潮机械有限公司 一种滚丝轮半自动清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81A (ko) * 1993-11-05 1995-06-16 이소가이 지세이 클러치리스 편측피스톤식 가변용량압축기
JPH08312529A (ja) * 1995-05-12 1996-11-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における回転軸の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043A (en) * 1982-08-02 1985-09-24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3137248B2 (ja) 1992-08-26 2001-02-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3186322B2 (ja) 1993-04-14 2001-07-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H08284835A (ja) * 1995-04-18 1996-10-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片頭ピストン圧縮機
JP3282457B2 (ja) 1995-08-21 2002-05-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JP2000088023A (ja) * 1998-09-10 2000-03-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ネ端の位置決め構造及びその位置決め構造を備えた圧縮機
JP4123393B2 (ja) * 1998-09-16 2008-07-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JP2000199479A (ja) * 1998-10-30 2000-07-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0186668A (ja) * 1998-12-22 2000-07-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構造
EP1026397A3 (en) * 1999-02-01 2001-02-0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Control valv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352416B1 (en) * 1999-03-15 2002-03-0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0265949A (ja) * 1999-03-18 2000-09-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4035922B2 (ja) * 1999-04-02 2008-01-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81A (ko) * 1993-11-05 1995-06-16 이소가이 지세이 클러치리스 편측피스톤식 가변용량압축기
JPH08312529A (ja) * 1995-05-12 1996-11-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における回転軸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1531A (pt) 2001-11-20
US6511296B2 (en) 2003-01-28
JP2001304108A (ja) 2001-10-31
KR20010098397A (ko) 2001-11-08
CN1318692A (zh) 2001-10-24
EP1148240A2 (en) 2001-10-24
US20010033798A1 (en) 2001-10-25
EP1148240A3 (en)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641B (zh) 螺线管控制阀和包括该螺线管控制阀的可变容量压缩机
EP0809025A1 (en) Reciprocating pistons of piston-type compressor
US4960366A (en) Slant plate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100428822B1 (ko) 가변용량 압축기
US6283722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KR100408336B1 (ko) 압축기
JP2002031050A (ja) 圧縮機
US6203284B1 (en) Valve arrangement at the discharge chamber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5255569A (en) Slant plate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20040265144A1 (en) Hybrid compressor
US8215924B2 (en) Oil separating structur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206615B1 (ko) 용량 가변형기구를 구비한 사판식 압축기
KR10173164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6679077B2 (en)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fluid machine
US20040202551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WO2021015116A1 (ja)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弁
JPH109146A (ja) 可変容量圧縮機
CN110770440B (zh) 可变容量压缩机的控制阀
JP2002005026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0515285B1 (ko) 이중 가이드를 가지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N110869611B (zh) 可变容量压缩机
JP2005188328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2087676B1 (ko) 가변 사핀식 압축기의 최소 사판각 유지장치
KR20220019520A (ko) 전자식 제어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EP1092871A2 (en) Hollow swash plate compressor piston with b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