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706A -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706A
KR20010110706A KR1020017012328A KR20017012328A KR20010110706A KR 20010110706 A KR20010110706 A KR 20010110706A KR 1020017012328 A KR1020017012328 A KR 1020017012328A KR 20017012328 A KR20017012328 A KR 20017012328A KR 20010110706 A KR20010110706 A KR 2001011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sheet
hydroxy
photosensitizer
sheet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968B1 (ko
Inventor
나카무라도루
시바노도미시
Original Assignee
쇼지 고메이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지 고메이,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지 고메이
Publication of KR2001011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10T428/1457Silic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박리시트는 기질과 같은 시트 및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구조로 제조되어 위치된 경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층은 α-히드록시 케톤(예를 들어 2-히드록시-1-(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및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시페닐 케톤) 및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예를 들어 벤질디메틸 아세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구조층을 열처리함으로써 형성된 후, 자외선조사 처리된다; 박리시트 제조방법은 고생산성으로 상기 박리시트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상기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은 기질에 대해 탁월한 접착성 및 부동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박리시트는 우수한 박리성과 이례적인 고평활성을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RELEASING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박시시트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및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된 종이시트 같은 기질 및 이 위에 있고 기질의 적어도 한면에 대해 실리콘을 박리제로 코팅한 후 수지를 경화하여 형성된 박리처리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리제는 접착 라벨, 수지시트 제조시의 캐리어 시트, 보호시트, 세라믹 그린시트의 필름을 형성하는 캐스팅 필름 등으로 사용된다.
상술된 박리 시트는 예를 들어 적절한 박리성, 실리콘의 부동성,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성, 고평활성, 적절한 표면조도(거칠기), 수지, 압력감지 접착물, 세라믹 슬러리 등으로부터의 필름 형성시의 코팅력 및 유사 기능을 포함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야 한다.
박리처리제의 예를 들면 열경화 부가반응형, 열경화 응축형, 실온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전자빔 경화형, 열-자외선 경화형 등의 실리콘으로 구성된 박리제가 있으며, 주로 열경화 부가반응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박리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안정한 경화필름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열경화 부가반응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박리제가 140℃ 이상의 고온에서 경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열수축 또는 주름이 기질상에서 발생되는 경향이 크다는 점이 문제이며 특히 열저항이 낮은 기질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이는 열이 박리처리 과정에서 기질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평활성을 갖는 박리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된다.
상기 조건하에서, 필름 기질 혹은 양측면 각각에 열저항성 폴리에틸렌을 적층한 종이시트에 열경화 부가반응형 실리콘을 이용하여 박리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열수축 또는 주름 및 폴리에틸렌 발포화를 최대로 저지하기 위해 저온(110 내지 130℃)에서의 공정처리율을 저하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 공정처리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경화가 충분하지 않으며 실리콘의 부동성 및 박리 안정성 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열경화 응축형 및 실온 경화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박리제는 경화반응율이 낮으며 실리콘의 저부동성 등의 특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및 열-자외선 경화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박리제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박리제로, 높은 처리율은 물론 저온에서의 경화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박리제를 이용하여 박리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생산성 증강이 요구된다. 열-자외선 경화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종래의 박리제를 이용한 박리시트의 생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박리 처리공정이 더욱 고속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고속처리를 위해서, 실리콘으로 구성된 상기 박리제의 경화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여기에 부착될 적절한 광증감제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의 경화층이 기질에 대해 뛰어난 접착성 및 부동성을 가지며; 종래의 시트로는 구현할 수 없는 탁월한 박리성 및 고평활성을 구비하고; 레이블 및 압력 감지 접착테이프에 사용되며 또한 세라믹 그린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캐스팅 필름으로 사용되는 잇점이 있는 박리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박리시트를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적절하다.
상기 환경에서, 본 발명은 기질에 대해 탁월한 접착성 및 부동성을 갖는 실리콘 경화층을 포함하고; 종래 시트에서는 구현될 수 없었던 우수한 박리성 및 고평활성; 생산성의 극대향상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박리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기에 기술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상술된 탁월한 기능을 갖추며 생산성이 강화된 박리시트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및 조사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 및 지식을 발견하였다.
열-자외선 경화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종래의 박리제는 열경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박리제에 광증감제를 추가함으로써 제조되고, 열처리 및 자외선 조사로써 상기 박리제를 경화한다. 이에 따라 광증감제로써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트리메틸실릴벤조페논, 프로피오페논, 3-메틸아세토페논, 4-메틸아세토페논, 벤조인 에틸 에테르와 또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양 말단에 대해 에테르 결합된 벤조인을 함유한 화합물, 4-알릴아세토페논, 3-펜틸-아세토페논, 4-메톡시-벤조페논, α-아미노케톤, 트리페닐아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기타 유사물로 제조되는데 사용된다. 상술된 광증감제를 추가하는 것은 공지된 사실로, 종래의 열경화 부가반응형 실리콘과 비교하여 박리성이 강화된다. 그러나, 광증감제에 대한 발명자들의 축적된 연구 및 조사에 따르면, 저온 및 고속 경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술된 광증감제보다 실리콘을 경화에 더 유리한 광증감제를 써야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α-히드록시 케톤 및 α-디케논 디아킬 아세탈은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발견 및 정보에 근거하여 달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박리시트는 시트상 기재과 또한 광증감제 함유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로 된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경화층은 α-히드록시 케톤 및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구조층을 열처리한 후 자외선 조사처리에 따라 형성된다.
(2) 상기 (1)항의 박리시트에서, 상기 광증감제는 2-히드록시-1-(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및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시페닐 케톤으로 구성된 α-히드록시 케톤 그룹 및 벤질디메틸 아세탈 및 벤질디에틸 아세탈로 구성된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이다.
(3) 상기 (1) 또는 (2)항의 박리시트에서,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은 부가반응형 실리콘 및 가교결합제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부의광증감제를 포함한다.
(4) 상기 (1) 또는 (2)공정에 있어서, 부가반응형 실리콘 구조는 비닐기를 관능기로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한다.
(5) 박리시트의 생산공정은 시트상 기재에 α-히드록시 케톤 및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층이 형성된 기질을 열처리하는 과정과,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을 경화하도록 자외선 조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시트는 기질과 같은 시트와 부가반응형 실리콘 구조를 제조 및 배치한 경화층을 포함한다. 기질 등의 시트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박리시트에서 관례적으로 사용되어온 공지된 기질중에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기질과 같은 상기 시트의 예를 들면 글라신(glassine) 종이, 코트 종이 및 캐스트 코팅된 종이, 라미네이트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모든 종이 기질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된 종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또는 그 유사물질,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메틸펜텐 또는 그 유사물질,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필름이 있다.
시트상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데 일반적으로 5 내지 300μm의 범위이며, 10 내지 200μ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시트형 시트상에 설치되는 실리콘 수지조성물의 경화층은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을 경화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으로 상기 광증감제는 열처리 및 자외선 방사처리의 연동으로 형성된다. 상기 첨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은 부가반응형 실리콘 및 가교결합제, 촉매제 및 광증감제로 구성된 주재료를 포함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경화층의 박리 특성을 변형시키는 기능을 갖는 실리콘, 첨가반응 억제제 및 증점제를 포함한다. 상술된 부가반응형 실리콘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실리콘 변종에서 선택되는데, 예를 들어 열경화형 부가반응형 실리콘으로 구성된 박리제로서 관례적으로 종래에 사용되어온 것이다. 상기 부가반응형 실리콘의 예로는 미립자의 관능기로서 아케닐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있다. 미립자의 관능기로서 알케닐기를 갖는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바람직한 예는 관능기로비닐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관능기로 헥세닐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이들 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가교결합제의 예로는 한 분자에 각각 한 실리콘 원자에 결합된 2개의 수소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옥산 같은 실리콘으로써 특히, 디메틸수소-실록시기로 말단장애된 디메틸실록산/메틸수소-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기로 말단장애된 디메틸실록산/메틸수소-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기 및 폴리(수소 실시퀸산)로 말단이 잘애된 폴리(메틸수소-실록산)가 있다. 상기 사용된 가교결합제의 총량은 부가반응형 실리콘의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0중량부이며, 0.3 내지 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촉매제로 사용되는 백금화합물은 미세분말형 백금, 탄소분말 캐리어에 흡착된 미세분말형 백금, 클로로백금산, 알코올 변형 클로로백금산, 클로로백금산/올레핀 착염, 팔라듐 촉매제 및 로듐 촉매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사용된 촉매제의 총량은 부가반응형 실리콘과 가교결합제의 총량에 대해 약 1 내지 1000ppm이다.
즉, 본 발명에서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에 첨가되는 광증감제는 α-히드록시 케톤 및/또는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이다.
상기 α-히드록시 케톤으로는 2-히드록시-1-(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및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시페닐케톤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로는 벤질디메틸 아세탈(2,2-디에톡시-1, 2-디페닐에탄-1-온)이 있다. 상술된 모든 광증감제는 단독으로 혹은 또다른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된다.
α-히드록시 케톤 및/또는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을 광증감제로 사용하여, 저온경화도 및 고속경화도를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박리처리율이 월등히 증가된다. 또한, 생성물의 박리성이 안정화되고, 실리콘의 이동성이 최소화되며, 박리처리시 가열로 인해 생기는 기질의 열수축 및/또는 주름이 제거되고, 고평활성을 갖는 박리시트로 제조된다. 또한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박리시트는 폴리에틸렌 발포화가 소거된다.
광증감제 종류에 따라, 사용량이 부적절하게 적은 경우 본 발명은 예측불가능한 결과를 가져오며 반면 지나치게 많은 경우는 박리시트의 성질 및 경화도에 역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부가반응형 실리콘 및 가교결합제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선택되며, 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경화필름의 박리성을 변형시키는 기능이 있는 실리콘은 각 분자에 한 실리콘원자에 대해 알케닐기 또는 수소원자가 부착된 것으로써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포함하며, 특히 말단이 폴리디메틸실옥시기에 의해 장애된 폴리디메틸실옥산 및 디메틸실옥시기로 말단장애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을 예로 들 수 있다.
상술한 부가반응형 억제제는 실온에서의 반감기 안정성이 있는 조성물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며 구체적으로, 3,5-디메틸-1-헥신-3-올, 3-메틸-1-펜텐-3-올, 3-메틸-3-펜텐-1-인, 3,5-디메틸-3-헥신-1-인, 사이클릭테트라비닐실록산 및 벤조트리아졸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팅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 코팅액은 적절한 유기용매에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 광증감제 및 각각 적정비율로 필요한만큼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톨루엔, 핵산, 헵탄과 같은 탄화수소,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매제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는 시이트형 기질의 한면 또는 양면에 그라비어 코팅법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도포되는 것으로, 이는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을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고형분 함량 단위로 표시되는 코팅량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3.0g/m2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g/m2이다.
상기 시트상 기재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일먼저 40 내지 120℃에서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의 결과층을 예비경화하기 위해 열처리한다. 상기 가열온도가 40℃ 이하인 경우, 건조 또는 예비경화가 불충분하게 일어나며 120℃ 초과하는 경우, 열수축 또는 주름이 생겨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건조, 예비경화, 열수축 또는 주름 형성, 또는 유사한 변수를 감안하여 가열온도는 50 내지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열처리에 의해 예비처리된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은 완전경화 되도록 인라인 자외선 조사처리된다. 사용가능한 자외선 램프로는 고압 수은 증기램프, 금속 할로겐화 램프, 고전압 금속 할로겐화 램프, 무전극 자외선램프 같이 공지의 램프가 있다. 여기서, 무전극 자외선 램프는 기질과 같은 시트의 열손상이 적고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의 경화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자외선 조사 효율, 적외선 조사율 등이 적절하기 때문이다. 상기 램프는 퓨전 코퍼레이션의 D bulb, H bulb, H+bulb, V bulb 등의 시판제품으로, 여기서 상기 H bulb, H+bulb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조사 출력은 적절한 값을 선택하며, 일반적으로 30W/cm 내지 600W/cm의 범위이고, 50W/cm 내지 360W/cm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처리가 직렬식으로 수행된 경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가열처리 직후의 온도조건 또는 실온이 된다.
상술한 생산공정은 탁월한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박리시트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 경화층이 시트상 기재의 한면 또는 양면상에 우수한 접착성으로 형성되며, 이는 열수축 또는 주름을 소거한 반면 극도로 높은 평활성 및 우수한 박리성이 주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위한 것은 아니다.
각 박리시트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평가방식에 따라 평가하였다.
(1) 경화도
경화도는 박리필름상의 경화된 코팅 표면을 손가락으로 10번 강제적으로 문지르고, 상기 필름의 손상 정도 및 박리 정도를 관찰하는 방법을 통해 다음 기준에 따라 분석된다.
◎ : 전혀 손상되지도 않고 벗겨지지도 않음
○ : 약간 손상됨 (실질적인 문제는 발생하지 않음)
△ : 손상되고 벗겨진 부분이 다소 발견됨 (때때로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X : 상당히 벗겨져서 두드러지게 손상된 부분이 발견됨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2) 박리력
박리필름상의 경화코팅은 건조두께가 40μm가 되도록 아크릴 압력감지성 접착제 (Toyo Ink Mfg. Co.,Ltd 의 제조 상품명"BPS-5127")로 코팅되는 것으로, 그 결과로 된 코팅필름은 열공기 순환식 건조기의 100℃에서 2분동안 건조한 후, 기질 표면(목질 제거된 종이)으로 적층하여 압력감지성 접착시트의 견본을 만든다. 상기 견본은 23℃및 65% R.H.의 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노출시키고, 각각 넓이 20mm 조각으로 절삭한다. 장력 테스터기를 사용하여, 견본의 박리필름이 분속 300밀리미터의 속도로 180도의 각도에서 상기 라미네이트에서 박리되도록 하는데, 이는 박리력을 평가하기 위해 박리시 필요한 힘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3) 실리콘 수지의 부동성
실리콘의 부동성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된 박리필름상에 경화코팅을 적층하고, 라미네이트에 1.97 N/mm2의 부하를 가하고, 24시간동안 라미네이트를 유지하고, 라미네이트에서 상기 PET필름을 박리하고, 상기 적층면을 펠트-팁 마커로 페인트하고, 실리콘의 존재여부를 알기위해 반발력을 관찰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이동이 전혀 관찰되지 않음
○ : 약간의 이동이 관찰됨 (실질적인 문제는 일어나지 않음)
△ : 이동이 다소 관찰됨 (때때로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X : 큰 이동이 관찰됨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4) 평활성 (열수축 또는 주름 형성)
평활성은 박리필름의 주름을 시각관찰하고, 경화코팅을 6μm의 두께에서 압력감지성 접착제로 코팅하고, 균일한 코팅의 가능 여부를 실험하는 단계들을 통해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우수함
○ : 양호 (실질적인 문제는 일으키지않음)
△ : 다소 저급함 (때때로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X : 저급함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5) 경화코팅의 접착성
경화코팅의 접착도는 박리필름상의 경화코팅면을 손가락으로 10번 강제적으로 문지르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경화코팅의 박리정도를 관찰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전혀 벗겨지지 않음
○ : 약간 벗겨짐 (실질적인 문제는 일으키지않음)
△ : 다소 많이 벗겨짐 (때때로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X : 상당히 벗겨짐 (실질적인 문제를 일으킴)
(6) 잔류 접착율
상기 박리필름은 압력감지성 접착테이프(Nitto Denko Corporation 제조. 상품명"31B Tape")로 경화한 코팅면상에 접착하고, 9.81*10-3N/mm2의 부하를 가하고, 70℃에서 24시간동안 노출하고, 23℃ 및 65% R.H.의 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노출하였다. 그 후 상기 접착테이프에서 박리필름을 박리하고, 스테인리스강판에 붙인 후분속 300밀리미터의 속도로 180도의 각도에서 상기 스테인리스강판으로부터 벗겨낼 때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다. 이에따라 스테인리스 강판에 무처리된 압력감지성 접착테이프를 벗겨내는데 필요한 힘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잔류 접착율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은 2중량부의 백금계 촉매(Toray Dow corning Silicone Corporation 제조. 상품명 "SRX-212")를 박리제(Toray Dow corning Silicone Corporation 제조. 상품명 "SRX-211")인 부가반응형 실리콘 100중량부에 첨가하여 제조하며, 주재료로는 관능기로서 비닐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가교제(폴리메틸수소 실록산)이다. 상술한 주재료 100중량부에 광증감제인 α-디케톤 디알킬아세탈에 속하는 벤질디메틸 아세탈 0.1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혼합물은 주재료로 톨루엔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로 희석하여 고형분 1중량%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액을 두께가 38μm인 이축배향성 PET필름에 그라비어 코팅법을 통해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 후 코팅두께 0.1μm을 형성하였다. ( 코팅량은 고형분 기준 함량 0.1g/m2). 계속해서, 상기 코팅된 PET필름은 열풍 순환식 건조기내에서 50℃온도로 20초동안 열처리한 후 즉시 열선 절단필터가 200m/분의 이동속도에서 고확산형인 퓨전 H bulb 240W/cm 탑재된 컨베이어형 자외선 조사기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상기 방식에서, 부가반응형 실리콘 박리제는 경화하여 박리필름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로 얻은 박리필름의 다양한 특성은 표1에 나와있다.
실시예 2
벤질디메틸 아세탈 대신 광증감제로서 α-히드록시 케톤에 속하는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1.0중량부를 사용하고, 또한 컨베이어 속도를 200m/분에서 100m/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여 박리필름을 제조하였다. 결과로 나온 박리필름의 다양한 특성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실시예 3
벤질디메틸 아세탈 대신 광증감제로서 α-히드록시 케톤에 속하는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0.2중량부를 사용하고, 또한 컨베이어 속도를 200m/분에서 120m/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여 박리필름을 제조하였다. 결과로 나온 박리필름의 다양한 특성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실시예 4
벤질디메틸 아세탈 대신 광증감제로서 α-히드록시 케톤에 속하는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0.2중량부를 사용하고, 또한 컨베이어 속도를 200m/분에서 80m/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여 박리필름을 제조하였다. 결과로 나온 박리필름의 다양한 특성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비교예 1
벤질디메틸 아세탈 대신 광증감제로서 α-아미노 케톤에 속하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프로판-1-온 0.2중량부를 사용하고, 컨베이어 속도를 200m/분에서 40m/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여박리필름을 제조하였다. 결과로 나온 박리필름의 다양한 특성은 표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비교예 2
가소제를 코팅액에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분 함량 1중량%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이축배향성 PET필름에 도포하였고, 계속해서 코팅된 PET필름을 열풍순환식 건조기내에서 100℃의 온도로 30초동안 열처리한다. 그 결과로 얻은 박리필름의 다양한 특성은 표1에 나타나있다.
표 1
경화성 경화코팅의 접착성 박리력(mN.20mm) 실리콘의 부동성 잔류접착율 평활성
실시예 1 157 83.1
실시예 2 127 86.7
실시예 3 137 86.5
실시예 4 118 87.4
비교예 1 216 85.5
비교예 2 196 80.0
본 발명의 효과를 요약하면, 시트상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열처리 및 자외선 조사처리의 복합적인 이용으로 특정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을 박리제로 사용한 실리콘 수지조성물 경화층을 설치하면 탁월산 고생산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이때의 박리시트는 함유된 경화층이 기질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 것으로써, 박리성이 탁월하고 또한 종래의 박리시트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고평활성을 갖추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접착라벨, 접착테이프, 수지시트 제조시의 캐리어시트, 보호시트, 세라믹 그린시트의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캐스팅 시트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Claims (5)

  1. 시트상 기질 및 그 위에 형성된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로 된 경화층을 포함하는 박리시트로서, 상기 경화층은 α-히드록시 케톤 및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을 열처리한 후 자외선 조사처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증감제가 2-히드록시-1-(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및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시페닐 케톤으로 구성된 α-히드록시 케톤과 벤질디메틸 아세탈 및 벤질디에틸 아세탈로 구성된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은 부가반응형 실리콘수지 및 가교제의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광증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은 비닐기를 관능기로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시트.
  5. 시트상 기재 위에 α-히드록시 케톤 및 α-디케톤 디알킬 아세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 수지조성물층을 설치한 후 가열처리하고, 이어서 자외선 조사처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시트 제조방법.
KR1020017012328A 2000-01-28 2001-01-16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13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19776 2000-01-28
JP2000019776A JP4354066B2 (ja) 2000-01-28 2000-01-28 剥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706A true KR20010110706A (ko) 2001-12-13
KR100713968B1 KR100713968B1 (ko) 2007-05-02

Family

ID=1854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328A KR100713968B1 (ko) 2000-01-28 2001-01-16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89442B2 (ko)
JP (1) JP4354066B2 (ko)
KR (1) KR100713968B1 (ko)
CN (1) CN1305670C (ko)
ID (1) ID30164A (ko)
MX (1) MXPA01009661A (ko)
MY (1) MY124510A (ko)
TW (1) TW476783B (ko)
WO (1) WO2001054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652A1 (en) * 2000-04-17 2003-09-04 Xyron, Inc.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magnetically mountable substrate construction from a selected substrate
JP4766796B2 (ja) * 2001-08-14 2011-09-07 藤森工業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JP2003080638A (ja) * 2001-09-07 2003-03-19 Lintec Corp 剥離ライナー及びこれを用いた両面テープ
JP4595295B2 (ja) * 2003-06-27 2010-12-08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工程フィルム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工程フィルム
US7470477B2 (en) * 2003-08-14 2008-12-30 Delphi Technologies, Inc. Cascaded fuel cell stacks for fast start-up and anode coking control
JP2005096336A (ja) * 2003-09-26 2005-04-14 Lintec Corp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工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7955703B2 (en) * 2004-07-12 2011-06-07 Lintec Corporation Silicone rubb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JP2007308581A (ja) * 2006-05-18 2007-11-29 Shin Etsu Chem Co Ltd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の硬化方法及び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WO2007142980A2 (en) 2006-06-02 2007-12-13 Wms Gaming Inc. Handheld wagering system and wagering methods thereupon
JP5342106B2 (ja) * 2006-12-19 2013-11-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付加反応型シリコーン系剥離剤組成物、及び剥離フィルム
JP4837613B2 (ja) * 2007-03-30 2011-12-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および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091403A (ja) * 2007-10-04 2009-04-30 Shin Etsu Chem Co Ltd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硬化方法
JP2009220384A (ja) * 2008-03-17 2009-10-01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ゴム薄膜被覆層の形成方法、及びシリコーンゴム薄膜被覆物品
JP5537789B2 (ja) 2008-10-01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レーザー加工用粘着シート及びレーザー加工方法
JP5777913B2 (ja) * 2011-03-24 2015-09-09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6125278B2 (ja) * 2013-02-28 2017-05-10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シリコーンフォームシートの製造方法
CN107163906A (zh) * 2017-06-14 2017-09-15 上海美声服饰辅料有限公司 服装标签用胶水及其制备方法
US20220002546A1 (en) * 2018-10-01 2022-01-06 Dow Toray Co., Ltd. Photo-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thereof
JP2020119856A (ja) * 2019-01-28 2020-08-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導電部材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状導電部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6710A (en) * 1970-09-02 1973-04-10 Union Carbide Corp Silicon paper release compositions
US4064027A (en) * 1973-09-28 1977-12-20 Dow Corning Corporation UV curable composition
JPS59206465A (ja) * 1983-05-10 1984-11-22 Shin Etsu Chem Co Ltd 放射線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US4684670A (en) * 1983-08-26 1987-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violet radiation-curable silicone release compositions
JPS60177029A (ja) * 1984-02-21 1985-09-11 Toray Silicone Co Ltd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の硬化方法
JPH05222699A (ja) 1992-02-06 1993-08-31 Honshu Paper Co Ltd 剥離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6944A (ja) * 1992-06-29 1994-01-25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剥離性硬化皮膜形成用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H09248888A (ja) 1996-03-15 1997-09-22 Teijin Ltd 成形可能な離型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
JP3514582B2 (ja) 1996-03-25 2004-03-31 藤森工業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5670C (zh) 2007-03-21
JP4354066B2 (ja) 2009-10-28
US6689442B2 (en) 2004-02-10
US20020187357A1 (en) 2002-12-12
MY124510A (en) 2006-06-30
ID30164A (id) 2001-11-08
TW476783B (en) 2002-02-21
KR100713968B1 (ko) 2007-05-02
WO2001054901A1 (fr) 2001-08-02
CN1362909A (zh) 2002-08-07
JP2001205746A (ja) 2001-07-31
MXPA01009661A (es)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0706A (ko) 박리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0662995B1 (en) Cationically co-curable polysiloxane release coatings
US3726710A (en) Silicon paper release compositions
CA1242164A (en) Radiation-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KR940010221B1 (ko) 이형 필름용 실리콘 조성물
KR100733661B1 (ko) 이축연신 박리필름의 인라인 제조방법
CN101932638B (zh) 硅氧烷自粘合剂、其生产方法、使用其的复合物及其应用
JP2009154457A (ja) 離型フィルム
JP2946963B2 (ja) 剥離性皮膜形成用シリコーン組成物及び剥離性皮膜
JP5777913B2 (ja) 剥離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5190284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付き粘着テープ
CA2009263A1 (en) Ultraviolet curing conformal coating with dual shadow cure
US20230312925A1 (en) Silicone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ate cure accelerator
JP4914241B2 (ja)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体
JP2006291121A (ja) 離型剤および離型剤の塗工方法
JPH0798851B2 (ja) 放射線硬化性組成物
JP2018020442A (ja) 積層フィルム
JP2538342B2 (ja) 剥離性硬化皮膜形成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WO2015151352A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3049605A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3143111A (ja) 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2214812A (zh) 聚矽氧系黏著劑及黏著帶
JPH0815961B2 (ja) 感圧性粘着テープ捲重体
JPS63189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