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318A - 다층필름,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 - Google Patents

다층필름,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318A
KR20010102318A KR1020017010673A KR20017010673A KR20010102318A KR 20010102318 A KR20010102318 A KR 20010102318A KR 1020017010673 A KR1020017010673 A KR 1020017010673A KR 20017010673 A KR20017010673 A KR 20017010673A KR 20010102318 A KR20010102318 A KR 2001010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ultilayer film
polyester
film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516B1 (ko
Inventor
히로후미 무로오까
히로시 도꾸다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2001010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10T428/257Iron oxide or alumin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반사형 편광 필름 또는 하프 미러로서 유용한 다충층 필름. 다중층 필름은 주된 반복단위로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주로 구성되는 첫번째 층 및 첫번째 층의 폴리에스테르와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구성되는 두번째 층을 함유하는데, 상기에서, 첫번째 층 및 두번째 층중 하나 이상이 0.01 내지 2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미세한 불활성 입자 0.001 내지 0.5 중량 % 를 함유하며, 각 첫번째 층 및 각 두번째 층 각각 0.05 내지 0.3 ㎛ 의 두께를 갖고, 상기 첫번째 층은 두번째 층위에 택일적으로 포개져서, 11 층이상을 함유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이 일방향 이상으로 방향성이 있고, 두번째 층이 첫번째 층에 비해 일방향 이상에서 낮은 굴절도를 갖는다. 상기 다중 필름은 굴곡에대한 적합성 같은 제형성 및 핸들릴성에서 우수하고, 반사율 관점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필름,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MULTILAYERED FILM, REFLECTION-TYPE POLARIZING FILM, AND HALF MIRROR}
다층필름은, 굴절율이 낮은 층과 높은 층을 번갈아 다수 적층하면 이들 층간의 구조적인 광 간섭에 의해 특정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학간섭필름이 된다. 이러한 다층필름은,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가시광 영역으로 하면 구조적인 발색에 의해 의장성이 뛰어난, 예를 들어 빛에 따라 색이 변하는 빛깔로 보이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얻어지는 의장성은 다층필름의 구조적인 발색에 의한 것으로서 염료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퇴색성의 문제도 없다. 또, 다층필름은 금속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광의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금속광택필름이나 반사미러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층필름은 연신에 의해 층간 또는 층내의 면방향에서의 굴절율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층내의 면방향의 굴절율에 이방성을 부여하면 반사형의 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층필름에 연신을 실시한 다층연신필름으로는, WO 95/17699 호 공보에는 결정성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폴리에스테르와, 하나 이상의 면내축에 관한 굴절율이 이것보다도 낮은 별도의 선택된 폴리머를 번갈아 적층한 다층화 폴리머필름으로, 두께가 0.5 ㎛ 미만이고 그위에 결정성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폴리에스테르층의 하나 이상의 면내축에 관한 굴절율이 상기 선택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인접한 층보다 높은 다층화 폴리머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WO 95/17303 호 공보에는, 상기 WO 95/17699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다층화 폴리머필름을 사용한 반사편광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다층화 폴리머필름은 광학적으로 광선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층 중에 활제(滑劑)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권취(捲取)(감기) 등과 같은 핸들릴성에 문제가 있다. 이 권취 등과 같은 핸들릴성은 두꺼운 필름에서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얇은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는 감기가 극히 어려워져 핸들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또, 앞서 말한 2 개의 공보는 선택된 폴리머로서 본문중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나 블렌드를 들고 있지만, 그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공중합체뿐으로 블렌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이 앞서 말한 2 개의 공보의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다층적층필름을 하프미러로서 사용한 결과, 각종 반사율의 하프미러를 제작하는 경우 각층의 굴절율을 조정하기 위해 각종 굴절율의공중합체 폴리머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다품종 대응에 극히 비효율적임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다층필름, 다층필름을 적층한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굴절률이 낮은 층과 높은 층을 번갈아 규칙적으로 배치시키고, 층간의 구조적인 간섭에 의해 광을 선택 반사시키는 다층필름 및 다층필름을 적층한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half mirro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두께가 얇은 필름으로도 제막성이나 권취성 등과 같은 핸들릴성이 우수한 다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사율의 조절이 용이한 다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하프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로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로 주로 형성되는 제 1 층 및 제 1 층의 이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형성되는 제 2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층과 제 2 층 중 한층 이상은 평균 입경이 0.01 ∼ 2 ㎛ 인 불활성 미립자를 0.001 ∼ 0.5 중량 % 함유하고 있고, 제 1 층과 제 2 층은 각각 0.05 ∼ 0.3 ㎛ 의 두께를 가지고 또한 번갈아 적층되어 11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방향 이상으로 배향되어 있고, 제 2 층은 제 1 층보다 일방향 이상에 있어서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利點)은, 둘째로, 본 발명의 상기 다층필름의 복수장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셋째로, 본 발명의 상기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하프미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고굴절율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층 (A 층) 과, 이 A 층의 폴리머보다도 저굴절율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층 (B 층) 이 번갈아 적층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층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A 층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반복단위의 8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을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가 차지하고 있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호모 폴리머이다. 이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함으로서 A 층이 연신에 의해 고도의 굴절율을 나타내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같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외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산 성분으로 또 예를 들어 부탄디올, 헥산디올과 같은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디올을 글리콜 성분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B 층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A 층보다도 일방향 이상에 있어서 굴절율이 낮을 필요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A 층보다 0.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낮은 굴절율을 일방향 이상에 갖는 것이다. 이러한 B 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와의 중량비 5:95 ∼ 95:5 의 혼합물: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및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상기 혼합물 및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상기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2 종의 폴리에스테르의 중량비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원하는 굴절율을 얻을 수 있다.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와의중량비 5:95 ∼ 95:5 의 혼합물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양자의 중량비는 20:80 ∼ 80:20 가 바람직하다.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양 폴리에스테르의 합계 중량에 기초하여 95 중량 % 를 넘으면 A 층과의 굴절율의 차가 불충분하게 되기 쉽고, 한편 5 중량 % 미만이면 A 층과의 용융점도의 차가 지나치게 커져 다층상태를 유지하기가 극히 어려워진다.
또,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양 폴리에스테르의 합계 중량에 기초하여 5 중량 % 미만이면 A 층과의 굴절율의 차가 불충분해지기 쉽고, 한편 95 중량 % 를 넘으면 A 층과의 융용점도의 차가 지나치게 커져 다층상태를 유지하기가 극히 어려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비율을 상기 범위내에서 변경함으로써 B 층의 굴절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반사율의 조정을 위해 여러가지 폴리머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바꿔말하면, 혼합물 중의 혼합비율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각종 반사율의 다층필름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B 층의 폴리머가 공중합인 경우 저결정성으로 되기 때문에, 용융상태의 폴리머를 압출할 때에 특별한 압출기나 건조기 등의 설비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물은 결정성의 저하가 작아 전술한 바와 같은 특별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도 있다.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로는, 바람직하게는 전 반복단위의 8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이상을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가 차지하고 있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호모 폴리머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 성분으로는, 상기 A 층의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기재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로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반복단위의 8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을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차지하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 폴리머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같은 기타 방향족 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의 산 성분 및 부탄디올, 헥산디올과 같은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디올 등의 글리콜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2 개의 융점을 가지며 고온측의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220 ℃ ∼ 265 ℃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 260 ℃ 의 범위에 있고 또 A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도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낮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낮다. 이 융점차가 10 ℃ 이상이면 열처리에 의한 배향의 차(差)가 쉽게 확대되어 굴절율의 차를 발생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의 B 층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은 일반적으로 입체 구조가 신디오택틱 구조, 즉 탄소-탄소결합으로 형성되는 주쇄에 대하여 측쇄인 페닐기나 치환페닐기가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갖는 것으로, 그 택티시티는 동위체 탄소에 의한 핵자기공명법에 의해 정량된다. 이 방법으로 측정되는 택티시티는 연속하는 복수개의 구성단위의 존재 비율, 예를 들어 2 개인 경우는 다이애드, 3 개인 경우는 트리애드, 5 개인 경우는 펜타드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은 라세미다이애드가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거나 또는 라세미펜타드가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인 신디오택티시티를 갖는다. 대상으로 하는 폴리스티렌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할로겐화 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비닐안식향산, 이들의 수소화 중합체 및 이들의 구성단위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은,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220 ∼ 270 ℃ 의 범위에 있는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 27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이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스티렌과 p-메틸스티렌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호모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융점은 270 ℃ 이다. 공중합체의 융점은 p-메틸스티렌의 공중합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p-메틸스티렌의 공중합량이 많아질수록 융점은 보다 저하되고 결정성도 더욱 저하된다. 공중합량으로는 0 ∼ 20 몰% 가 바람직하다. 융점이 220 ℃ 보다 낮으면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결정성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제막이 어려워지며, 또한 내열성 (열처리되었을 때의 치수 변화) 이 악화된다. 어택틱 폴리스티렌이나 이소택틱 폴리스티렌은 결정성이 낮아 제막이 어렵고, 또 결정구조를 가지지 않거나 구조가 루즈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나빠 바람직하지 않다.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연신에 의해 연신방향의 굴절율은 증가하지만,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은 음의 광학이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연신방향의 굴절율이 쉽게 증대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신필름에서는 양층의 굴절율차를 매우 크게 할 수 있다.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A 층) 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B 층) 의 융점차는 30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차가 30 ℃ 보다 커지면, 용융하고 적층한 후, 고화하여 미연신시트를 형성시키는 시점에 있어서 층간의 박리가 발생하거나 그 후의 연신시에 박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B 층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는,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 성분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이어도 좋고, 글리콜 성분이어도 좋으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부탄디올, 헥산디올과 같은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공중합 산 성분으로 이소프탈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으로는, 바람직하게는 4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5 몰% 이다. 그 중에서도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210 ∼ 245 ℃ 의 범위의 융점을 갖는다.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이 210 ℃ 미만에서는 폴리머의 결정성이 지나치게 낮아 제막이 어려워지고, 또 B 층의 내열성이 떨어져 전체의 내열성에 악영향을 주기 쉽다. 한편,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이 245 ℃ 를 넘으면 폴리머의 결정성이 증가하고, 이 폴리머의 유리전이점 (Tg)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연신온도에서의 배향결정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연속제막성이 악화되고, 또한 A 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쉽다.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과 Tg 는 공중합 성분의 종류와 양을 선택 및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는 바람직하게는 0.45 ∼ 0.8,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0.7 이다.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A 층) 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B 층) 는,후자의 융점이 전자의 융점보다도 20 ℃ 이상 낮은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필름의 A 층과 B 층의 유리전이점 (Tg) 의 차는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A 층의 Tg 에 알맞은 연신온도가 B 층의 폴리머에 있어서는 과대한 연신온도가 되어 연신에 의한 배향이 억제되어 거의 유동 (플로우 연신) 에 가까와진다. 따라서, A 층의 폴리머는 연신에 의해 배향하여 굴절율이 증대하지만, B 층의 폴리머는 배향이 억제되어 양자의 굴절율차가 커진다. Tg 차는 40 ℃ 미만에서는, A 층 폴리머에 맞춘 연신온도와 B 층 폴리머의 Tg 차가 작아져 연신 후의 A 층, B 층의 굴절율차가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또, A 층 또는 B 층이 각각 2 개 이상의 Tg 를 갖는 경우, 여기서 말하는 Tg 차는 A 층의 가장 높은 Tg 와 B 층의 가장 낮은 Tg 와의 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A 층과 B 층 중 한층 이상에 평균 입경 0.01 ∼ 2 ㎛ 의 불활성 미립자를 0.001 ∼ 0.5 중량 % 에서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불활성 미립자가 적어도 A 층에 함유된다.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1 ㎛ 미만이거나 또는 함유량이 0.001 중량 % 미만에서는 필름의 권취성 향상이 불충분하고, 한편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2 ㎛ 를 넘거나 또는 함유량이 0.5 중량 % 를 넘으면 입자에 의한 광학 특성의 악화가 현저해져 필름 전체의 광선투과율이 감소한다. 또, 0.22 ∼ 0.3 ㎛ 의 입자는 가시광대의 파장을 산란하기 쉽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평균 입경 0.1 ∼ 0.2 ㎛ 의 불활성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 또는 평균 입경 0.1 ∼ 0.2 ㎛ 의 불활성 미립자와 평균 입경 0.32 ∼ 1 ㎛ 의 비교적 커다란 불활성 미립자를 병용하는 것이다. 또, 광선투과율은 70 %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낮으면 광학 용도에서는 성능 부족으로 된다.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5 ∼ 1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3 ㎛ 의 범위에 있다. 또, 불활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0.005 ∼ 0.2 중량 % 가 바람직하다.
그런데, 불활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0.01 ∼ 2 ㎛ 인 것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A 층 및 B 층의 각 층의 두께가 0.05 ∼ 0.3 ㎛ 이기 때문에, 불활성 미립자의 입경이 A 층 또는 B 층의 각 층의 두께보다도 큰 경우가 있음이 이해된다. 이렇게 불활성 미립자의 입경이 A 층 또는 B 층의 각 층의 두께보다도 큰 경우에는, A 층 및 B 층의 적층되는 방향을 따른 본 발명의 다층필름의 단면을 보면 복수의 A 층 및 B 층에 불활성 미립자가 걸쳐지도록 존재한다. 이 때 A 층 또는 B 층의 각 층의 두께보다도 불활성 미립자의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그 지나치게 큰 불활성 미립자가 존재하는 부분의 A 층 및 B 층의 적층상태가 흐뜨러지기 때문에, A 층 또는 B 층의 두께는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n < 5
여기서, 식 중의 d 는 불활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 n 은 A 층 또는 B 층의 각 1 층에서의 두께이다.
이러한 불활성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인산칼슘, 카오린, 탈크와 같은 무기 불활성 입자, 및 실리콘, 가교 폴리스티렌과 같은 유기 불활성 입자를 들 수 있다. 가교 폴리스티렌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불활성 미립자로는, 그 장경(長徑: 긴 직경)과 단경(短涇:짧은 직경)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인 구형 입자 (이하, 진구형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필름의 활성(潤性)과 광학특성을 조화시키는 점에서 이러한 입경비가 바람직하다. 또, 이 불활성 미립자는 입도 분포가 샤프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가 바람직하게는 0.3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미만이다. 상대 표준편차가 큰 입자를 사용하면, 조대입자의 빈도가 커져 광학적인 결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불활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 입경비 및 상대 표준편차는 우선 입자표면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한 금속을 매우 얇게 스퍼터링하고, 전자현미경으로 1 만 ∼ 3 만배로 확대한 상에서 장경, 단경 및 면적원 상당 직경을 구한 다음, 이어서 이들을 다음식에 적용시킴으로써 산출된다.
평균 입경 = 측정입자의 면적원 상당 직경의 총합/측정 입자수
입경비 = 입자의 평균 장경/이 입자의 평균 단경
또, 불활성 미립자로는, 산화 티탄이나 황산 아연과 같은 안료로서 작용하는 입자나 착색되어 있는 입자는 광학적인 특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그 사용을 가능한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A 층과 B 층의 적층상태는, A 층과 B 층을 번갈아 총 수로 11 층 이상, 바람직하게는 31 층 이상 적층한 것이다. 적층수가 11 층 미만이면 다중 간섭에 의한 선택반사가 작아 충분한 반사율을 얻을 수 없다. 적층수의 상한은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최대한으로 301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최외층이 어느 것이나 A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A 층이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 층이 최외층에 있으면 열적으로 불안정한 B 층이 내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충분한 연신 온도나 열고정 온도에서 다층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A 층이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필름의 권취성이 충분히 개선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층 및 B 층의 각각 1 층의 두께는 0.05 ∼ 0.3 ㎛ 이다. 이 두께로 함으로써 층간의 광 간섭에 의해 선택적으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이 A 층 또는 B 층의 각 1 층의 두께를 측정했을 때의, A 층 또는 B 층의 각각의 두께의 편차는 상대 표준편차에서 최대한으로 0.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대 표준편차가 0.15 를 넘으면 각 층에서의 간섭이 약해져 반사율이 저하된다. 또, A 층 (또는 B 층) 의 두께의 상대 표준편차는 하기 식에서 구해진다.
상대 표준편차
단, ti: A 층 (또는 B 층) 의 각 1 층의 두께 (㎛)
: A 층 (또는 B 층) 의 각 1 층의 두께의 평균치
n: A 층 (또는 B 층) 의 적층수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일방향 이상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축배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다층미연신필름은 피드블록을 사용한 동시다층 압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A 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예를 들어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융물과 B 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의 용융물을 피드블록을 사용하여 2 층이 번갈아서 그리고 최외층에 A 층이 형성되도록 적층하고, 다이에 전개하여 압출한다. 이 때, 피드블록에 의해 적층된 폴리머는 적층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는 캐스팅드럼에서 냉각 고화되어 다층미연신필름이 된다. 이 미연신상태의 다층필름은 일방향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본 발명의 다층필름이 된다. 이 때의 연신 온도는 A 층 폴리머의 Tg 로부터 Tg + 50 ℃ 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배율로는, 일축연신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 배에서 10 배이다. 또, 연신방향은 세로 방향이거나 가로 방향이거나 상관없다. 이축연신의 경우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연신배율이 어느 것이나 1.2 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이다. 면적배율은 바람직하게는 5 배에서 25 배이다. 연신배율이 클수록 연신 전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또 다층미연신필름 내의 층 두께의 편차가 고배율에서 연신한 것일수록 축소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각 층에서의 광 간섭이 확대되어 반사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면적배율은 8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방법으로는, 축차 이축연신, 동시 이축연신, 튜블러 (tubular) 연신, 인플레이션 연신 등과 같은 공지의 연신방법이 가능하지만, 축차 이축연신이 생산성, 품질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신된 필름은 열적인 안정화를 위해 열처리 (열고정 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의 온도는 A 층 폴리머의 융점 (TmA) 을 기준으로 했을 때, (TmA - 60)℃ ∼ (TmA - 1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그 한면 또는 양면에 광학적 특성이 악화되지 않는 범위에서 전체 두께를 조정하거나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층을 추가로 적층한 적층체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 층이란, 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반사방지층, 금속박막이나 하드코트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예를 들어 하프미러 (semi-transparent film), 반사형 편광필름 (refractive polarizer film), 근적외선 반사필름 (Near-inferred ray refractive film) 또는 랩핑 등의 장식용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층필름은, 이를 복수장 적층한 적층체로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장의 다층필름은 동일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굴절율 또는 반사하는 가시광의 파장 등이 상이한 다층필름이어도 좋다. 복수장의 다층필름을 적층한 적층체는 반사형 편광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가지고,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 예 중의 물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유리전이점 (Tg)
폴리에스테르 칩을 20 ㎎ 샘플링하고, TA 인스트루멘트사 제조의 DSC (DSC2920) 를 사용하여 20 ℃/min. 의 승온속도에서 유리전이도 및 융점을 측정한다.
(2) 각 층의 두께
샘플을 삼각형으로 잘라내고, 포매(包埋)캡슐로 고정 후, 에폭시 수지로 포매(包埋)한다. 그리고, 포매(包埋)된 샘플을 미크로톰 (ULTRACUT-S) 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을 50 nm 두께의 박막 절편으로 한 후,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가속전압 100 kv 에서 관찰·투영하고 사진에서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 두께, 상대 표준편차를 구한다.
(3) 반사율
시마즈세이사꾸쇼 제조 분광광도계 MPC-3100 을 사용하여, 각 파장에서의 알루미늄 증착한 미러와의 상대 경면반사율을 파장 350 nm 내지 2100 nm 의 범위에서 측정한다. 이 반사율이 피크가 되는 파장을 피크파장으로 하고, 그 반사율을 측정한다.
(4) 투과율
반사율과 마찬가지로 시마즈세이사꾸쇼 제조 분광광도계 MPC-3100 을 사용하여, 각 파장에서의 광선투과율을 파장 350 nm 내지 2100 nm 의 범위에서 측정한다. 이 피크파장과 투과율을 측정한다.
(5) 전(全)광선투과율
각 파장에서의 광선투과율을 구하고, 가시광 영역 (450 nm ∼ 700 nm) 에서의 평균 광선투과율을 전광선투과율로 한다.
(6) 권취성
제막한 필름을 감아들일 때에 다음의 기준으로 랭크를 부여한다.
◎ : 감기에 문제가 없다.
o: 속도를 떨어뜨리거나 조건을 조정하여 감을 수 있다.
△ : 얼룩, 주름 등이 발생하지만, 그럭저럭 감을 수 있다.
×: 조건을 조정하여도 얼룩이나 주름이 심하고 감을 수 없다.
(7) 제막성
제막시의 상황을 관찰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랭크를 부여한다.
◎ : 제막함에 있어서 절단 등의 문제가 없다.
o: 제막 가능한 조건이 좁게 한정되어 있지만, 긴 롤의 채취가 가능하다.
△ : 연속 제막함에 있어서 절단 등의 문제가 있어, 긴 롤을 채취하기가 어렵다.
×: 연속 제막성이 떨어지고, 아주 짧은 시간에서밖에 제막이 불가능하다.
(실시예 1)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2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PEN) 와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3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를 준비했다. 그리고, PEN 에 진구형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 0.12 ㎛, 장경과 단경의 비; 1.02,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 0.1) 를 0.11 wt% 첨가한 것을 A 층의 수지로 하고, 불활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PEN 과 PET 을 50 : 50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B 층의 수지로 하여 제조했다. A 층의 수지를 160 ℃ 에서 3 시간, B 층의 혼합수지를 160 ℃ 에서 3 시간 건조 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A 층 폴리머를 31 층 B 층 폴리머를 30 층으로 분지시킨 다음, A 층과 B 층이 번갈아 적층되는 다층 피드블록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켜 그 적층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에 인도하고 캐스팅드럼 상에 캐스팅하여, A 층과 B 층이 번갈아 적층된 총수 61 층의 적층 미연신시트를 작성했다. 이 때, A 층과 B 층의 폴리머의 압출량비가 1 : 0.8 이 되도록 조정하고, 또 양 단층이 A 층이 되도록 적층했다. 이 적층 미연신시트를 150 ℃ 의 온도에서 세로 방향으로 3.5 배 연신하고, 다시 155 ℃ 의 연신 온도에서 가로 방향으로 5.5 배로 연신하여, 230 ℃ 에서 3 초간 열처리를 실시했다. 제조조건을 표 1 에, 또 얻은 다층필름의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14 및 비교예 1 ∼ 10)
제조조건을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했다. 얻은 다층필름의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3 의 불활성 입자는 진구형 실리콘 (장경과 단경의 비가 1.1 이고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가 0.30) 이고, 실시예 4 의 불활성 입자는 덩어리형 탄산칼슘 (장경과 단경의 비가 1.4 이고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가 0.25) 이고, 실시예 5 및 8 의 IA6-PEN 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6 몰% 가 이소프탈산으로 치환된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3 의 코폴리머이고, 실시예 6 의 TA5-PEN 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5 몰% 가 테레프탈산으로 치환된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2 의 코폴리머이며, 실시예 7 의 IA10-PET 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10 몰% 가 이소프탈산으로 치환된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0.62 의 코폴리머이고, 또 비교예 6 의 A 층의 PET 는 실시예 1 의 B 층에 사용한 PET 와 동일하다.
[표 1]
[표 2]
표 1 및 표 2 를 다음에서 고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 14 의 다층필름은, 70 % 이상의 전광선투과율과 특정 광의 파장 (590, 750 또는 910 nm) 에 대한 날카로운 반사피크를 가지면서도 권취성 및 제막성이 모두 우수한 것이었다. 또, 실시예 14 의 다층필름의 제막성이 그밖의 실시예 1 ∼ 13 에 비하여 약간 저하되어 있는 것은 이축연신과 일축연신 필름의 제막성의 차에 의한 것으로, 일축연신 조건하에서 비교하면 불활성 입자에의해 제막성이 개선되어 있다.
비교예 1, 2 또는 3 은, 본 발명에 대하여 불활성 입자가 없거나, 불활성 입자의 입경이 작거나 또는 불활성 입자의 첨가량이 적기 때문에 다층필름의 활성이 나빠 감기지 않았다. 비교예 3 또는 5 는 본 발명에 대하여 불활성 입자의 입경이 크거나 또는 불활성 입자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전광선투과율이 70 % 미만으로 부족하여 광학용도에서의 실용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6 은 A 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기 때문에 제막시에 절단이 다발하여 제막이 거의 불가능했다. 비교예 7 또는 9 는, 본 발명에 대하여 B 층이 A 층과 동일하거나 또는 각 1 층당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 특정 광의 파장에 대한 날카로운 반사피크가 존재하지 않았다. 비교예 9 는 본 발명에 대하여 각 1 층당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기 때문에 특정 광의 파장에 대한 날카로운 반사 피크가 존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막성 및 권취성도 열악한 것이었다. 비교예 8 은 적층수가 본 발명에 대하여 적기 때문에 특정 광의 파장에 대한 반사피크가 존재하지만, 그 반사율은 5 % 밖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그 위에 다층필름 전체의 두께도 얇아 제막성 및 권취성도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15)
평균 입경 0.15 ㎛, 장경과 단경의 비가 1.04,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가 0.13 인 진구형 실리카 입자를 0.08 wt% 첨가한,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2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PEN) 를 A 층의 수지로서 제조했다. 또 불활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p-메틸스티렌을 8 몰% 공중합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을 B 층의 수지로서 제조했다. A 층의 폴리머의 융점 (Tm) 은 269 ℃, 유리전이점 (Tg) 는 121 ℃, B 층의 폴리머의 융점 (Tm) 은 250 ℃, 유리전이점 (Tg) 는 100 ℃ 였다. A 층의 폴리머를 160 ℃ 에서 3 시간, B 층의 폴리머를 100 ℃ 에서 3 시간 건조 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A 층 폴리머를 25 층, B 층 폴리머를 24 층으로 분지시킨 다음, A 층과 B 층이 번갈아 적층되도록 다층 피드블록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켜 그 적층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로 인도하고 캐스팅드럼 상에서 캐스팅하여, A 층과 B 층이 번갈아 적층된 총수 49 층의 적층 미연신시트를 작성했다. 이 때, A 층과 B 층의 폴리머의 압출량비가 1 : 0.7 이 되도록 조정하고, 또 양 표면층이 A 층이 되도록 적층시켰다. 상기 적층 미연신시트를 150 ℃ 의 온도에서 세로 방향으로 3.5 배 연신하고, 다시 155 ℃ 의 연신 온도에서 가로 방향으로 5.5 배 연신하여, 220 ℃ 에서 3 초간 열처리를 실시했다. 제조조건, 필름물성을 표 3 ∼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 25 및 비교예 11 ∼ 19 그리고 참고예 1)
제조조건을 표 3 및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로 조정하고,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얻었다. 단, 실시예 25 에서는 세로 연신을 하지 않고 가로 연신만을 실시하였다. 이들 물성을 표 5 에 나타낸다.
[표 3]
PEN :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6-PEN : 이소프탈산 6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표 4]
SPS :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PM8-SPS : p-메틸스티렌 8 몰% 공중합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PM10-SPS : p-메틸스티렌 10 몰% 공중합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PM15-SPS : p-메틸스티렌 15 몰% 공중합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APS : 어택틱 폴리스티렌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S : 이소택틱 폴리스티렌
[표 5]
(실시예 26)
평균 입경 0.2 ㎛, 장경과 단경의 비가 1.05,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가 0.15 인 진구형 실리카 입자를 0.1 wt% 첨가한,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2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PEN) 을 A 층의 수지로서 제조했다. 또 불활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소프탈산을 12 몰% 공중합한, 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 35 ℃) 0.65 의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12) 를 B 층의 수지로서 제조했다. A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 (Tg) 은 121 ℃, B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점 (Tg) 은 74 ℃ 였다.
각각의 폴리에스테르를 160 ℃ 에서 3 시간 건조 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A 층의 폴리머를 25 층, B 층 폴리머를 24 층으로 분지시킨 다음, A 층과 B 층이 번갈아 적층되도록 다층 피드블록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켜 그 적층상태를유지한 채로 다이로 인도하고 캐스팅드럼 상에서 캐스팅하여, A 층과 B 층이 번갈아 적층된 총수 49 층의 적층 미연신시트를 작성했다. 이 때, A 층과 B 층의 폴리머의 압출량비가 1 : 0.7 이 되도록 조정하고, 또 양 표면층이 A 층이 되도록 적층시켰다.
상기 적층 미연신시트를 140 ℃ 의 온도에서 세로 방향으로 3.6 배 연신하고, 또한 150 ℃ 의 연신온도에서 가로 방향으로 5.7 배 연신하여, 210 ℃ 에서 3 초간 열처리를 실시했다.
제조조건, 필름물성을 표 6 및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 37 및 비교예 20 ∼ 24)
제조조건을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로 조정하고, 실시예 26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7 ∼ 37, 비교예 20 ∼ 24 의 필름을 얻었다. 그 특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표 6]
PEN :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6-PEN : 이소프탈산 6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NDC15-PET :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18-PEN : 이소프탈산 18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IA12-PET : 이소프탈산 12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8-PET : 이소프탈산 8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15-PET : 이소프탈산 15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SA12-PET : 세바신산 12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20-PET : 이소프탈산 20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A3-PET : 이소프탈산 3 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표 7]

Claims (22)

  1.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로 주로 형성되는 제 1 층 및 제 1 층의 이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이한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형성되는 제 2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층과 제 2 층 중 한층 이상은 평균 입경이 0.01 ∼ 2 ㎛ 인 불활성 미립자를 0.001 ∼ 0.5 중량 % 함유하고 있고,
    제 1 층과 제 2 층은 각각 0.05 ∼ 0.3 ㎛ 의 두께를 가지고 또한 번갈아 적층되어 11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방향 이상으로 배향되어 있고, 그리고
    제 2 층은 제 1 층보다도 일방향 이상에 있어서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층이 모두 제 1 층으로 형성되는 다층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호모 폴리머인 다층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열가소성 수지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와의 중량비 5:95 ∼ 95:5 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다층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혼합물이 2 개의 융점을 가지고, 고온측의 융점이 220 ℃ ∼ 265 ℃ 의 범위에 있으며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도 10 ℃ 이상 낮은 다층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열가소성 수지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인 다층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이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p-메틸스티렌) 공중합체인 다층필름.
  8. 제 6 항에 있어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융점이 220 ∼ 270 ℃ 의 범위에 있는 다층필름.
  9. 제 6 항에 있어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융점이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30 ℃ 높은 온도와 30 ℃ 낮은 온도의 사이에 있는 다층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열가소성 수지가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다층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인 다층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210 ∼ 245 ℃ 의 범위에 있는 다층필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도 20 ℃ 이상 낮은 다층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불활성 미립자가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인산칼슘, 카오린, 탈크, 실리콘 및 가교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다층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불활성 미립자의 장경과 단경의 비가 1.2 이하인 다층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불활성 미립자의 입경의 상대 표준편차가 0.3 미만인 다층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층의 두께의 상대 표준편차치 및 제 2 층의 두께의 상대 표준편차치가 모두 0.15 이하인 다층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된 전체 층의 수가 31 층 이상인 다층필름.
  19. 제 1 항에 있어서, 이축배향된 다층필름.
  20. 제 1 항에 기재된 다층필름의 복수장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필름.
  21. 제 1 항에 기재된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하프미러.
  22. 제 20 항에 있어서, 다층필름의 각각의 복수장이 상이한 파장의 가시광선을 주로 반사하는 편광필름.
KR1020017010673A 1999-12-24 2000-11-21 다층필름,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 KR100709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643499A JP3752410B2 (ja) 1999-12-24 1999-12-24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JP-P-1999-00366434 199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318A true KR20010102318A (ko) 2001-11-15
KR100709516B1 KR100709516B1 (ko) 2007-04-20

Family

ID=1848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673A KR100709516B1 (ko) 1999-12-24 2000-11-21 다층필름,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77031B1 (ko)
EP (1) EP1164008B1 (ko)
JP (1) JP3752410B2 (ko)
KR (1) KR100709516B1 (ko)
DE (1) DE60038485T2 (ko)
TW (1) TWI250933B (ko)
WO (1) WO2001047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64C (zh) 1993-12-21 1999-11-24 美国3M公司 多层聚合物薄膜,其制造方法及其应用
US6808658B2 (en) * 1998-01-13 2004-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texture multilayer optical films
CN100406250C (zh) * 2000-11-27 2008-07-30 帝人株式会社 等离子显示器的前面板用近红外线反射膜
JP2003075920A (ja) * 2001-06-19 2003-03-12 Teijin Ltd 画像表示スクリーンおよび表示装置
TWI281891B (en) 2002-03-01 2007-06-01 Teijin Ltd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ed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4097501B2 (ja) * 2002-03-01 2008-06-11 帝人株式会社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699845B1 (en) * 2003-01-06 2008-03-12 Toray Plastics (America), Inc. Flame 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4916645B2 (ja) * 2003-04-21 2012-04-18 東レ株式会社 光学干渉反射積層フィルム
JP4527952B2 (ja) * 2003-08-11 2010-08-18 帝人株式会社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EP1712592B1 (en) * 2004-01-29 2009-10-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Biaxially oriented film
WO2005088363A1 (ja) * 2004-03-11 2005-09-22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反射防止多層積層フィルム
US20070264447A1 (en) * 2004-08-30 2007-11-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Optical Film Laminated Body
US7710511B2 (en) 2004-10-15 2010-05-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laminated diffuser plates
US7436469B2 (en) 2004-10-15 2008-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diffuser plates and direct-lit liquid crystal displays using same
US7446827B2 (en) 2004-10-15 2008-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rect-lit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laminated diffuser plates
JP5173417B2 (ja) * 2005-07-11 2013-04-03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US7924368B2 (en) 2005-12-08 2011-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use multilayer optical assembly
KR100809849B1 (ko) 2006-11-10 2008-03-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JP4944832B2 (ja) * 2007-09-07 2012-06-0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US20100209637A1 (en) * 2007-09-07 2010-08-19 Nobue Munekata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US8703252B2 (en) 2009-12-18 2014-04-22 Teijin Limited Multi-layer stretched film
JP2011126182A (ja) * 2009-12-18 2011-06-30 Teijin Ltd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輝度向上用部材、それらからなる液晶ディスプレイ用複合部材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4782864B2 (ja) * 2009-12-18 2011-09-28 帝人株式会社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輝度向上用部材、それらからなる液晶ディスプレイ用複合部材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EP2722695B1 (en) 2011-06-17 2015-11-18 Teijin Limited Reflective polarizing film, optical memb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med from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366792B2 (en) 2011-10-20 2016-06-14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 film
CN104066580B (zh) 2011-11-29 2016-01-13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双轴拉伸层叠聚酯膜、包含其的夹层玻璃用红外线屏蔽结构体以及包含它们的夹层玻璃
CN104641267B (zh) 2012-09-24 2016-05-25 帝人株式会社 单轴拉伸多层层合膜及包含其的装置
JP6462199B2 (ja) * 2012-12-04 2019-01-3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CN106062597B (zh) 2014-03-19 2019-05-17 帝人株式会社 液晶显示器偏振片用反射偏振膜、包含其的液晶显示器用偏振片、液晶显示器用光学构件以及液晶显示器
CN106488845B (zh) 2014-07-18 2018-11-09 帝人株式会社 单轴拉伸多层层合膜和包含其的光学部件
US10974489B2 (en) 2016-11-30 2021-04-13 Teijin Film Solutions Limited Multilayer laminated film and processed article using same
JP6736763B2 (ja) 2017-03-31 2020-08-05 東洋紡フイ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KR102644128B1 (ko) 2017-07-07 2024-03-0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적층 필름
TWI770362B (zh) 2018-02-22 2022-07-1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多層層合薄膜
JP7400725B2 (ja) 2018-09-27 2023-12-19 東洋紡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WO2020066667A1 (ja) 2018-09-27 2020-04-02 東洋紡フイ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US12001040B2 (en) 2018-09-27 2024-06-04 Toyobo Co., Ltd Multilayer laminate fil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0729A (en) 1969-06-18 1971-10-05 Polaroid Corp Multilayered light polarizer
US3711176A (en) 1971-01-14 1973-01-16 Dow Chemical Co Highly reflective thermoplastic bodies for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US4310584A (en) 1979-12-26 1982-01-12 The Mearl Corporation Multilayer light-reflecting film
JPH0743445B2 (ja) 1985-12-09 1995-05-1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偏光板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ト一軸高配向フイルム
US4761327A (en) * 1986-01-17 1988-08-02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aromatic polyester film
DE3752302T2 (de) * 1986-08-27 2000-05-11 Teijin Ltd., Osaka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ilme
US5122905A (en) 1989-06-20 1992-06-16 The Dow Chemical Company Relective polymeric body
US5486949A (en) 1989-06-20 1996-01-23 The Dow Chemical Company Birefringent interference polarizer
US5122506A (en) 1989-08-10 1992-06-16 Howard J. Greenwald Contactless mass moving system
US5126880A (en) 1990-12-18 1992-06-30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c reflective bodies with multiple layer types
AU1434795A (en) * 1993-12-21 1995-07-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flective polarizer display
CN1046664C (zh) * 1993-12-21 1999-11-24 美国3M公司 多层聚合物薄膜,其制造方法及其应用
JP3499974B2 (ja) * 1995-06-07 2004-02-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膜保護フイルム
US6207260B1 (en) * 1998-01-13 2001-03-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component optical body
JP4274696B2 (ja) * 1998-01-13 2009-06-10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変性コポリエステルおよび改善された多層反射フィルム
US6049419A (en) * 1998-01-13 2000-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ultilayer infrared reflecting optical body
EP1214613A1 (en) 1999-09-20 2002-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s having at least one particle-containing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79915A (ja) 2001-07-03
WO2001047711A1 (fr) 2001-07-05
JP3752410B2 (ja) 2006-03-08
EP1164008B1 (en) 2008-04-02
KR100709516B1 (ko) 2007-04-20
DE60038485T2 (de) 2009-05-07
US6677031B1 (en) 2004-01-13
DE60038485D1 (de) 2008-05-15
EP1164008A1 (en) 2001-12-19
TWI250933B (en) 2006-03-11
EP1164008A4 (en) 200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516B1 (ko) 다층필름, 반사형 편광필름 및 하프미러
US7494702B2 (en) Near-infrared ray shielding film
JP5801898B2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EP1350618B1 (en) Multilayered film and near-infrared-ray reflection film
JP3653403B2 (ja) 多層積層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30031164A (ko) 화상 표시 스크린 및 화상 표시 장치
JP7400724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2002160339A (ja)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4527952B2 (ja)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WO2019163891A1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6411736B2 (ja) 光線選択反射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光線選択反射フィルム
WO2018181841A1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4167088B2 (ja) 二軸延伸多層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78607B2 (ja)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2010058366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173074B2 (ja)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装飾用糸および装飾用粉末
EP2189280B1 (en) Thermally shrinkable polyester film
JP521512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5746537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KR102644128B1 (ko) 다층 적층 필름
JP2009078536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10058365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5722711B2 (ja)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JP2002355933A (ja) 金属缶外面貼合せ用多層積層フィルム
JP2009078535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