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608A -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608A
KR20010099608A KR1020017001485A KR20017001485A KR20010099608A KR 20010099608 A KR20010099608 A KR 20010099608A KR 1020017001485 A KR1020017001485 A KR 1020017001485A KR 20017001485 A KR20017001485 A KR 20017001485A KR 20010099608 A KR20010099608 A KR 2001009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amino
alkylamino
alkoxy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285B1 (ko
Inventor
브라운디어그서더랜드
브라운조지라벗
Original Assignee
다비드 에 질레스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비드 에 질레스,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다비드 에 질레스
Publication of KR2001009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2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4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nitrogen atoms of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further acy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49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55/57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cyano groups and carboxyl groups, other than cya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2Oxygen or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1/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11/46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having a hydrogen atom as the second substituent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2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23/08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 C07D24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1/1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24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nitrogen atoms
    • C07D295/12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nitrogen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07D295/1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nitrogen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to an acyclic saturated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nitrogen atoms
    • C07D295/13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nitrogen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95/1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carbon atoms with three bonds to hetero atom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62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4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our-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IDS & HIV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사이토킨 매개된 질환 또는 의학 생태의 치료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화학식에서, R3는 C1-C6알킬 또는 할로게노이고;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C1-C6알킬, C1-C6알콕시,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및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p는 0∼2이고, R2는 히드록시 및 할로게노와 같은 치환체이며, q는 0∼4이고, R4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이다.

Description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AMIDE DERIVATIVES WHICH ARE USEFUL AS CYTOKINE INHIBITORS}
본 발명에 개시된 아미드 유도체는 시토킨 생성 억제제, 예컨대 종양 괴사 인자(이하, TNF로 칭함), 예를 들면 TNFα, 및 인터류킨(이하, IL로 칭함)족의 각종 구성원, 예를 들면, IL-1, IL-6 및 IL-8의 생성의 억제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이토킨의 과도한 생산, 예를 들면 TNFα 또는 IL-1의 과도한 생산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 또는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사이토킨은 단핵세포 및 대식세포와 같은 각종 세포에 의해 생성되며, 이들은 염증 및 면역조절과 같은 질환 또는 의학적 상태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판명된 각종의 생리학적 효능을 일으키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TNFα 또는 IL-1은 염증 및 알레르기성 질환 및 사이토킨 유발된 독성과 같은 질환 상태의 병변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명된 세포 신호 다단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특정의 세포계에서는 TNFα의생성후 IL-1과 같은 기타의 사이토킨이 생성되며, 이러한 TNFα의 생성이 기타의 사이토킨의 생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사이토킨의 농도가 비정상적인 것은 예를 들면 혈관형성, 세포 증식의 자극, 예를 들면 연골로부터의 프로테오글리칸의 방출의 자극, 칼슘의 재흡수를 야기하는 골파괴세포 활성의 활성화, T-헬퍼 세포의 자극에 의한 것과 같은 면역계의 활성, 콜라게나제와 같은 단백분해 효소의 방출 자극,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과 같은 생리적 활성 아이코사노이드의 생성과 연관되어 있다.
사이토킨은 또한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성 질환, 예를 들면, 관절부의 염증(특히,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및 통풍), 위장관의 염증(특히 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및 위염), 피부 질환(특히 건선, 습진 및 피부염) 및 호흡기 질환(특히 천식,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성인성 호흡 곤란 증후군)의 질환 상태의 발생 및 전개, 각종 심혈관 및 대뇌혈관 질환, 예컨대 울혈성 심장 질환, 심근 경색, 아테롬성 경화증 플라크의 형성, 고혈압, 혈소판 응집, 안지나, 졸중, 재관류 손상, 재발협착증 및 말초 혈관 질환을 비롯한 혈관 손상, 예를 들면 각종 골 대사 질환, 예컨대 골다공증(노인성 골다공증 및 폐경기후 골다공증 포함), 파제트병, 골전이, 칼슘과잉혈증, 갑상선기능항진증, 골경화증, 골화석증, 및 치근막염, 그리고,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골관절염을 수반할 수 있는 골 대사의 비정상적 변화 등의 발생 및 전개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과도한 사이토킨의 생성은 내독소 쇽, 패혈증성 쇽 및 독성 쇽 증후군과 관련한 박테리아, 진균 및/또는 바이러스 감염의 특정 합병증의 매개, 그리고 신경외상 및 허혈성 졸중과 같은 CNS 수술 또는 손상의 특정의 합병증을 매개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과도한 사이토킨의 생성은 악성 질환 및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종양 침습 및 종양 전이 및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특정의 만성 질환에서 발견되는 악액질, 신섬유증, 폐섬유증, 경변증, 연골 또는 근육 흡수를 비롯한 질환의 전개를 매개하거나 또는 재발시키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일으키는 세포 신호 다단계에서 TNFα의 핵심적인 역활은 TNFα의 항체의 임상적 연구에서의 효능에 의해 입증된다[The Lancet, 1994,344, 1125 및British Journal of Rheumatology, 1995,34, 334].
그래서, TNFα 및 IL-1과 같은 사이토킨은 중요 범위의 질환 및 의학적 상태의 중요한 매개체가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이토킨의 생성 및/또는 효능을 억제함으로써 이들 질환 및 의학적 상태의 예방, 조절 및 치료에 있어서 잇점을 갖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예견하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이 단일의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서만 약물학적 활성을 지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화합물은 효소 p38 키나제의 억제에 의해 사이토킨의 효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P38 키나제, 즉 단백질 결합 억제성 사이토킨(이하, CSBP로 칭함) 및 재활성화 키나제(이하, RK로 칭함)는 박테리아 지다당류와 같은 내독소 등의 독소, 세포독성 제제, 이온화 방사에 의해 그리고 사이토킨, 예컨대 TNFα및 IL-1과 같은 각종 제제에 의해 유발되는 생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의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이하, NAP로 칭함)의 일원이다. p38 키나제는 TNFα 및 IL-1과 같은 사이토킨의 생합성및 분비를 야기하는 다단계 효소화 단계에 포함되는 특정의 세포내 단백질을 인산화시키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기지의 p38 키나제 억제제는 문헌[G.J.Hanson,Expert Opinions on Therapeutic Patents, 1997,7, 729-733]에 보고되었다. p38 키나제는 p38α 및 p38β로서 식별되는 동위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헌[J. Med. Chem., 1996,39, 3343-3356]에 의하면, 특정의 벤즈아미드 유도체가 사람 간 세포에서의 저밀도 지단백질(LDL) 수용체의 형질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화합물은N-(2-시클로헥실에틸)-3-(4-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이다.
문헌[Chemical Abstracts, 제51권, 5068 컬럼 및 5069 컬럼]에는 특정의 화합물이 추정의 트리파노소마멸살 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에서의 중간체로서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중간체의 예로는
3-(4-아미노벤즈아미도)-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피리딜)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피리딜)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및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등이 있다.
하기의 화합물 또한 화학적 중간체로서 주지되어 있다.
3-벤즈아미도-4-클로로-N-(2-플루오로아닐리노)벤즈아미드(Chemical Abstracts, 제118권, abstract 70021),
3-(2-히드록시-4-메틸벤즈아미도)-N-(4-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미국 특허 제1,903,899호),
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4-메틸-N-페닐벤즈아미드(미국 특허 제1,909,960호) 및
4-클로로-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2-메틸-N-페닐벤즈아미드(Chemical Abstracts, 제l06권, abstract 215574).
본 발명은 사이토킨 매개 질환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특정의 아미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아미도 유도체의 제법,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예를 들면 사이토킨 매개 질환의 억제에 의한 치료 방법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은 TNF, 특히 TNFα와 같은 사이토킨 및 각종의 인터류킨, 특히 IL-1의 생성의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의하면, 하기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에 관한 것으로서, 단
N-(2-시클로헥실에틸)-3-(4-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피리딜)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피리딜)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3-벤즈아미도-4-클로로-N-(2-플루오로아닐리노)벤즈아미드,
3-(2-히드록시-4-메틸벤즈아미도)-N-(4-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4-메틸-N-페닐벤즈아미드 및
4-클로로-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2-메틸-N-페닐벤즈아미드
는 제외한다.
상기 화학식에서, R3는 C1-C6알킬 또는 할로게노이고;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포르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C2-C6알카노일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설파모일,N,N-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카르바모일-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킬,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및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여기서, 2 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2기 또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3기를 포함하는 전술한 Q상의 임의의 치환체는 각각의 상기 CH2또는 CH3기상에 히드록시, 아미노,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Q상의 치환체에서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C1-C6알킬, C1-C6알콕시,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R2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이며;
p는 0, 1 또는 2이고;
q는 0, 1, 2, 3 또는 4이며;
R4는 아릴,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또는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이고, 그리고 R4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포르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티오,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C2-C6알카노일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설파모일,N,N-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카르바모일-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킬,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및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며;
여기서, 2 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2기 또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3기를 포함하는 전술한 R4상의 임의의 치환체는 상기 각각의 CH2또는 CH3기에 히드록시, 아미노,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며;
여기서, R4상의 치환체 중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C1-C6알킬, C1-C6알콕시,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 의하면, R3가 C1-C6알킬 또는 할로게노이고;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포르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C2-C6알카노일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설파모일,N,N-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카르바모일-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킬,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및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치환체 Q에서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C1-C6알킬, C1-C6알콕시,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및 디-[C1-C6알킬]아미노로부터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R2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이며;
p는 0,1 또는 2이고;
q는 0, 1, 2, 3 또는 4이며;
R4는 아릴,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또는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이며, 그리고 R4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포르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C2-C6알카노일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설파모일,N,N-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카르바모일-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킬,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및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며;
R4상의 치환체에서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C1-C6알킬, C1-C6알콕시,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및 디-[C1-C6알킬]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는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성 에스테르가 제공되나,
N-(2-시클로헥실에틸)-3-(4-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피리딜)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피리딜)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3-벤즈아미도-4-클로로-N-(2-플루오로아닐리노)벤즈아미드,
3-(2-히드록시-4-메틸벤즈아미도)-N-(4-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4-메틸-N-페닐벤즈아미드 및
4-클로로-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2-메틸-N-페닐벤즈아미드
는 제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이라는 것은 직쇄형 알킬 및 분지쇄형 알킬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나, 각각의 알킬기, 예컨대 "프로필"은 직쇄형 프로필만을 특정하는 것이고, 각각의 분지쇄형 알킬기, 예컨대 "이소프로필"은 분지쇄형 프로필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기타의 용어에서도 유사한 명명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정의한 화학식 I의 특정의 화합물로서 부재 탄소 1 종 이상에 의한 광학적 활성 또는 라세미체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히 TNF와 같은 사이토킨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 임의의 특정의 광학 활성 또는 라세미체도 그 정의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광학 활성체의 합성은 예를 들면 광학 활성 출발 물질로부터의 합성법 또는 라세미체의 분해에 의한 것과 같이 당업계의 유기 화학의 표준 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TNF에 대한 억제 활성은 이하의 표준의 실험실 기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관련하여 라디칼에 대한 특정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Q 또는 R4또는, 아릴인 Q 또는 R4상의 치환체 또는, Q 또는 R4상의 치환체에서의 아릴기에 대한 특정예로는 페닐 또는 나프틸, 바람직하게는 페닐이 된다.
Q 또는 R4또는, 헤테로아릴인 Q 또는 R4상의 치환체 또는, Q 또는 R4상의 치환체에서의 헤테로아릴기에 대한 특정예로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5 이하의 고리 원자와 함께 방향족 5-원 또는 6-원 단일환 또는 9-원 또는 l0-원 이중환이며, 예를 들면, 푸릴, 피롤릴, 티에닐, 옥사졸릴, 이속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1,3,5-트리아제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인다졸릴, 벤조푸라자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시놀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 바람직하게는 푸릴, 티에닐,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에닐,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인다졸릴, 벤조푸라자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옥사졸릴, 피리딜, 벤조티아졸릴, 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이다.
R4또는, 헤테로시클릴기인 경우의 Q 또는 R4또는, Q 또는 R4상의 치환체에서 헤테로시클릴의 적절한 예로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5 종 이하의 이종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포화 또는 부분 포화된 5∼10원 단일환 또는 이중환이며, 예를 들면 피롤리닐,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호모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호모피페라지닐, 디히드로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리미디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딘-1-일,모르폴리노, 피페리디노, 피페라진-1-일 또는 호모피페라진-1-일 등이 있다.
각종 R3또는 R2기의 예, 또는 Q 또는 R4상의 각종 치환체의 예 또는, Q 또는 R4상의 치환체에서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에서의 치환체의 예는 하기와 같다.
할로게노의 경우: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
C1-C6알킬의 경우: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t-부틸;
C2-C6알케닐의 경우: 비닐 및 알릴;
C2-C6알키닐의 경우: 에티닐 및 2-프로피닐;
C1-C6알콕시의 경우: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및 부톡시;
C1-C6알콕시카르보닐의 경우: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및 t-부톡시카르보닐;
N-C1-C6알킬카르바모일의 경우:N-메틸카르바모일,N-에틸카르바모일 및N-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의 경우:N,N-디메틸카르바모일,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및N,N-디에틸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의 경우: 아세틸 및 프로피오닐;
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및 프로필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및N-에틸-N-메틸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의 경우: 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디플루오로메틸, 디클로로메틸, 디브로모메틸, 2-플루오로에틸, 2-클로로에틸 및 2-브로모에틸;
히드록시-C1-C6알킬의 경우: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히드록시에틸 및 3-히드록시프로필;
C1-C4알콕시-C1-C6알킬의 경우: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1-메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2-에톡시에틸 및 3-메톡시프로필;
시아노-C1-C6알킬의 경우: 시아노메틸, 2-시아노에틸, 1-시아노에틸 및 3-시아노프로필;
아미노-C1-C6알킬의 경우: 아미노메틸, 2-아미노에틸, 1-아미노에틸 및 3-아미노프로필;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의 경우: 메틸아미노메틸, 에틸아미노메틸, 1-메틸아미노에틸, 2-메틸아미노에틸, 2-에틸아미노에틸 및 3-메틸아미노프로필;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의 경우: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1-디메틸아미노에틸, 2-디메틸아미노에틸 및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시클로알킬인 R4의 예로는 비방향족 단일환 또는 이중환 4∼10-원 탄소환, 예컨대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비시클로[2.2.1]헵틸 및 비시클로[4.4.0]데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헵틸 등이 있다.
R4의 예 및 Q 또는 R4상의 치환체의 적절한 예로는 하기와 같다.
아릴-C1-C6알킬의 경우: 벤질, 2-페닐에틸, 2-페닐프로필 및 3-페닐프로필:
아릴-C1-C6알콕시의 경우: 벤질옥시 및 2-페닐에톡시;
아릴옥시의 경우: 펜옥시 및 2-나프틸옥시;
아릴아미노의 경우: 아닐리노;
N-C1-C6알킬아릴아미노의 경우:N-메틸아닐리노 및N-에틸아닐리노;
아릴-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벤질아미노, 2-펜에틸아미노, 2-페닐프로필아미노 및 3-페닐프로필아미노;
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벤질-N-메틸아미노;
아로일아미노의 경우: 벤즈아미도 및 2-나프토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 벤젠설포닐아미도;
N-아릴설파모일의 경우:N-페닐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페닐아세트아미도 및 3-페닐프로피온아미도;
헤테로아릴-C1-C6알킬의 경우: 헤테로아릴메틸, 2-헤테로아릴에틸, 2-헤테로아릴프로필 및 3-헤테로아릴프로필;
헤테로아릴-C1-C6알콕시의 경우: 헤테로아릴메톡시 및 2-헤테로아릴에톡시;
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의 경우:N-메틸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헤테로아릴메틸아미노, 2-헤테로아릴에틸아미노 및 3-헤테로아릴프로필아미노;
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메틸헤테로아릴메틸아미노 및N-메틸-2-헤테로아릴에틸아미노;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헤테로아릴아세트아미도 및 3-헤테로아릴프로피온아미도;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의 경우: 헤테로시클릴메틸 및 2-헤테로시클릴에틸;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의 경우: 헤테로시클릴메톡시 및 2-헤테로시클릴에톡시;
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의 경우:N-메틸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헤테로시클릴메틸아미노, 2-헤테로시클릴에틸아미노 및 3-헤테로시클릴프로필아미노;
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메틸헤테로시클릴메틸아미노 및N-메틸-2-헤테로시클릴에틸아미노;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헤테로시클릴아세트아미도 및 3-헤테로시클릴프로피온아미도;
C1-C3알킬렌디옥시의 경우: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및 프로필렌디옥시;
C1-C6알킬티오의 경우: 메틸티오, 에틸티오 및 프로필티오;
C1-C6알킬설피닐의 경우: 메틸설피닐, 에틸설피닐 및 프로필설피닐;
C1-C6알킬설포닐의 경우: 메틸설포닐, 에틸설포닐 및 프로필설포닐;
C2-C6알카노일옥시의 경우: 아세톡시 및 프로피오닐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포름아미도, 아세트아미도 및 프로피온아미도;
N-C1-C6알킬설파모일의 경우:N-메틸설파모일 및N-에틸설파모일;
N,N-디-[C1-C6알킬]설파모일의 경우:N,N-디메틸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의 경우: 메탄설포닐아미노 및 에탄설포닐아미노;
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의 경우:N-메틸메탄설포닐아미노 및N-메틸에탄설포닐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의 경우: 카르복시메틸, 1-카르복시에틸, 2-카르복시에틸, 3-카르복시프로필 및 4-카르복시부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의 경우: 메톡시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t-부톡시카르보닐메틸, 1-메톡시카르보닐에틸,1-에톡시카르보닐에틸, 2-메톡시카르보닐에틸, 2-에톡시카르보닐에틸, 3-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 및 3-에톡시카르보닐프로필;
카르바모일-C1-C6알킬의 경우: 카르바모일메틸, 1-카르바모일에틸, 2-카르바모일에틸 및 3-카르바모일프로필;
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의 경우:N-메틸카르바모일메틸,N-에틸카르바모일메틸,N-프로필카르바모일메틸, 1-(N-메틸카르바모일)에틸, 1-(N-에틸카르바모일)에틸, 2-(N-메틸카르바모일)에틸, 2-(N-에틸카르바모일)에틸 및 3-(N-메틸카르바모일)프로필;
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의 경우:N,N-디메틸카르바모일메틸,N-에틸-N-메틸카르바모일메틸,N,N-디에틸카르바모일메틸, 1-(N,N-디메틸카르바모일)에틸, 1-(N,N-디에틸카르바모일)에틸, 2-(N,N-디메틸카르바모일)에틸, 2-(N,N-디에틸카르바모일)에틸, 3-(N,N-디메틸카르바모일)프로필 및 4-(N,N-디메틸카르바모일)부틸;
할로게노-C2-C6알콕시의 경우: 2-클로로에톡시, 2-브로모에톡시 및 3-클로로프로폭시;
히드록시-C2-C6알콕시의 경우: 2-히드록시에톡시, 2-히드록시-1-메틸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히드록시프로폭시 및 4-히드록시부톡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의 경우: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2-메톡시-1-메틸에톡시 및 4-에톡시부톡시;
시아노-C1-C6알콕시의 경우: 시아노메톡시, 2-시아노에톡시 및 3-시아노프로폭시;
카르복시-C1-C6알콕시의 경우: 카르복시메톡시, 1-카르복시에톡시, 2-카르복시에톡시 및 3-카르복시프로폭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의 경우: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메톡시카르보닐에톡시 및 3-에톡시카르보닐프로폭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의 경우: 카르바모일메톡시 및 2-카르바모일에톡시,
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의 경우:N-메틸카르바모일메톡시, 2-(N-에틸카르바모일)에톡시 및 3-(N-메틸카르바모일)프로폭시;
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의 경우:N,N-디메틸카르바모일메톡시, 2-(N,N-디메틸카르바모일)에톡시 및 3-(N,N-디에틸카르바모일)프로폭시;
아미노-C2-C6알콕시의 경우: 2-아미노에톡시, 2-아미노-1-메틸에톡시, 3-아미노프로폭시, 2-아미노-2-메틸프로폭시 및 4-아미노부톡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의 경우: 2-메틸아미노에톡시, 2-메틸아미노-1-메틸에톡시 및 3-에틸아미노프로폭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의 경우: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2-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2-디메틸아미노-2-메틸프로폭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및 4-디메틸아미노부톡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 2-플루오로에틸아미노, 2-클로로에틸아미노, 2-브로모에틸아미노, 3-플루오로프로필아미노 및 3-클로로프로필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의 경우: 2-히드록시에틸아미노, 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 2-히드록시-2-메틸프로필아미노 및 4-히드록시부틸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의 경우: 2-메톡시에틸아미노, 2-에톡시에틸아미노, 3-메톡시프로필아미노 및 3-에톡시프로필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시아노메틸아미노, 2-시아노에틸아미노 및 3-시아노프로필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카르복시메틸아미노, 1-카르복시에틸아미노, 2-카르복시에틸아미노 및 3-카르복시프로필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메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 2-(에톡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 및 3-(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의 경우: 카르바모일메틸아미노 및 2-카르바모일에틸아미노;
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메틸카르바모일메틸아미노,N-에틸카르바모일메틸아미노 및 2-(N-메틸카르바모일)에틸아미노;
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N-디메틸카르바모일메틸아미노,N,N-디에틸카르카르바모일메틸아미노 및 2-(N,N-디메틸카르바모일)에틸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 2-아미노에틸아미노, 3-아미노프로필아미노, 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및 4-아미노부틸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2-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노,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3-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2-메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및 4-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N-에틸-N-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2-디메틸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및 4-디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
N-C1-C6알킬-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N-(2-클로로에틸)-N-메틸아미노,N-(2-브로모에틸)-N-메틸아미노 및N-(2-브로모에틸)-N-에틸아미노;
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의 경우: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N-(3-히드록시프로필)-N-메틸아미노 및N-에틸-N-(2-히드록시에틸)아미노;
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의 경우: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N-메틸-N-(3-메톡시프로필)아미노 및N-에틸-N-(2-메톡시에틸)아미노;
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시아노메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카르복시메틸-N-메틸아미노 및N-(2-카르복시에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메톡시카르보닐메틸-N-메틸아미노,N-(2-에톡시카르보닐에틸)-N-에틸아미노 및N-(2-t-부톡시카르보닐에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카르바모일메틸-N-메틸아미노 및N-(2-카르바모일에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N-메틸카르바모일메틸)-N-메틸아미노,N-(N-에틸카르바모일메틸)-N-메틸아미노 및N-[2-(N-메틸카르바모일)에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의 경우:N-(N,N-디메틸카르바모일메틸)-N-메틸아미노 및N-[2-(N,N-디메틸카르바모일)에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N-(2-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및N-(4-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2-에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에틸아미노프로필)-N-에틸아미노 및N-(4-메틸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
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의 경우: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2-디에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및N-(4-디메틸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클로로아세트아미도 및 3-클로로프로피온아미도;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히드록시아세트아미도 및 3-히드록시프로피온아미도;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메톡시아세트아미도 및 3-메톡시프로피온아미도;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시아노아세트아미도 및 3-시아노프로피온아미도;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카르복시아세트아미도 및 3-카르복시프로피온아미도;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메톡시카르보닐아세트아미도, 2-(t-부톡시카르보닐)아세트아미도 및 3-메톡시카르보닐프로피온아미도;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카르바모일아세트아미도, 3-카르바모일프로피온아미도 및 4-카르바모일부티르아미도;
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N-메틸카르바모일)아세트아미도 및 3-(N-에틸카르바모일)프로피온아미도;
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N,N-디메틸카르바모일)아세트아미도, 2-(N,N-디에틸카르바모일)아세트아미도 및 3-(N,N-디메틸카르바모일)프로피온아미도;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아미노아세트아미도, 2-아미노프로피온아미도 및 3-아미노프로피온아미도;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도, 2-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도, 2-메틸아미노프로피온아미도 및 3-메틸아미노프로피온아미도;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의 경우: 2-디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도, 2-디에틸아미노아세트아미도, 2-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아미도 및 3-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아미도.
전술한 바와 같이, 2 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2기 또는 1 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3기를 포함하는 Q 또는 R4상의 임의의 치환체는 상기 CH2또는 CH3기상에서, 히드록시, 아미노,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형성된 치환체는 예를 들면 치환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기, 예컨대 2-히드록시-3-피페리디노프로폭시 및 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폭시, 치환된 아미노-C2-C6알콕시기, 예컨대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폭시,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기, 예컨대 2-히드록시-3-메틸아미노프로폭시, 치환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기, 예컨대 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폭시, 3-[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프로폭시 및 3-[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폭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기, 예컨대 2-히드록시-3-피페리디노프로필아미노 및 2-히드록시-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 치환된 아미노-C2-C6알킬아미노기, 예컨대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기, 예컨대 2-히드록시-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치환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기, 예컨대 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 3-[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및 3-[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기, 예컨대 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 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메틸, 2-피페라진-1-일에틸아미노메틸 및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 및 치환된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기, 예컨대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등이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절한 약학적 허용염의 예로는 충분한 염기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산 부가 염,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연산 또는 말레산 등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산 부가염; 충분한 산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 예를 들면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또는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피페리딘, 모르폴린 또는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와의 염 등이 있다.
각종 형태의 전구약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구약물 유도체의 예로는 하기와 같은 것 등이 있다.
a) 문헌[Design of Prodrugs, H. Bundgaard 편저, (엘즈비어, 1985) 및Methods in Enzymology, Vol.42, p. 309-396, K. Widder, et al. 편저 (어캐더믹 프레스, 1985)];
b) 문헌[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Krogsgaard-Larsen 및H.Bundgaard 편저, Chapter 5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H. Bundgaard p. 113-191 (1991)];
c) 문헌[H. Bundgaard,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8, 1-38 (1992)];
d) 문헌[H. Bundgaard, et al.,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77285 (1988)];
e) 문헌[N. Kakeya, et al.,Chem. Pharm. Bul1. 32692 (1984)].
이러한 전구약물의 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인체내 또는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되어 모산(patent acid)을 생성하는 약학적 허용염이다. 카르복시에 대해 적절한 약학적 허용 에스테르의 예로는, C1-C6알콕시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메톡시메틸; C1-C6알카노일옥시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피발로일옥시메틸; 프탈리딜 에스테르; (C3-C8) 시클로알콕시카르보닐옥시 C1-C6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1-시클로헥실카르보닐옥시에틸; 1,3-디옥솔란-2-일메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5-메틸-1,3-디옥솔란-2-일메틸; 및 C1-C6알콕시카르보닐옥시에틸 에스테르, 예를 들면 1-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의 임의의 카르복시기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한 화합물의 예로는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등이 있으며,
(a) R3는 C1-C6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이소프로필, 바람직하게는 메틸 및 에틸,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이고, 및 Q, R2,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b) R3는 할로게노, 예컨대 플루오로, 브로모 및 클로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및 브로모,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이고; Q, R2,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c)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킬,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 C2-C6알카노일, 할로게노-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피리딜-C1-C6알킬, 이미다졸릴-C1-C6알킬, 피리딜-C1-C6알콕시, 이미다졸릴-C1-C6알콕시,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4-C1-C6알킬피페라지닐, 4-C2-C6알카노일피페라지닐, 피롤리디닐-C1-C6알킬, 피페리디닐-C1-C6알킬, 모르폴리닐-C1-C6알킬, 피페라지닐-C1-C6알킬, 4-C1-C6알킬피페라지닐-C1-C6알킬, 4-C2-C6알카노일피페라지닐-C1-C6알킬, 피롤리디닐옥시, 피페리디닐옥시, 1-C1-C6알킬피페리디닐옥시, 피롤리디닐-C2-C6알콕시, 피페리디닐-C2-C6알콕시, 모르폴리닐-C2-C6알콕시, 피페라지닐-C2-C6알콕시, 4-C1-C6알킬피페라지닐-C2-C6알콕시 및 4-C2-C6알카노일피페라지닐-C2-C6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며; R2, R3,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d) Q는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5 종 이하의 고리 이종원자를 포함하며,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킬,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C1-C6알콕시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헤테로방향족 5-원 또는 6-원 단일환 또는 9-원 또는 l0-원 이중환이며, R2, R3,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e)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킬,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C1-C6알콕시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푸릴, 티에닐,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인다졸릴, 벤조푸라자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이고; R2, R3,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f)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킬,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C1-C6알콕시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3-이소옥사졸릴, 4-이소옥사졸릴, 5-이소옥사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5-이미다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3-이소티아졸릴, 4-이소티아졸릴, 5-이소티아졸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2-벤조푸라닐, 3-벤조푸라닐, 5-벤조푸라닐, 6-벤조푸라닐, 2-인돌릴, 3-인돌릴, 5-인돌릴 또는 6-인돌릴, 2-벤조티에닐, 3-벤조티에닐, 5-벤조티에닐 또는 6-벤조티에닐, 2-벤즈옥사졸릴, 5-벤즈옥사졸릴, 6-벤즈옥사졸릴, 2-벤즈이미다졸릴, 5-벤즈이미다졸릴, 6-벤즈이미다졸릴, 2-벤조티아졸릴, 5-벤조티아졸릴, 6-벤조티아졸릴, 3-인다졸릴, 5-인다졸릴, 6-인다졸릴, 5-벤조푸라자닐, 2-퀴놀릴, 3-퀴놀릴, 6-퀴놀릴, 7-퀴놀릴, 3-이소퀴놀릴, 6-이소퀴놀릴, 7-이소퀴놀릴, 2-퀴나졸리닐, 6-퀴나졸리닐, 7-퀴나졸리닐, 2-퀴녹살리닐, 6-퀴녹살리닐, 7-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딘-2-일 또는 1,8-나프티리딘-3-일이고; R2, R3,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g) q는 0이고, R4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미노, C1-C6알킬,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2-C6알카노일, 할로게노-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2-C6알콕시, 카르복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페닐, 벤질, 벤질옥시, 피리딜, 이미다졸릴, 피리딜-C1-C6알킬, 이미다졸릴-C1-C6알킬, 피리딜-C1-C6알콕시, 이미다졸릴-C1-C6알콕시,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4-C1-C6알킬피페라지닐, 4-C2-C6알카노일피페라지닐, 피롤리디닐-C1-C6알킬, 피페리디닐-C1-C6알킬, 모르폴리닐-C1-C6알킬, 피페라지닐-C1-C6알킬, 4-C1-C6알킬피페라지닐-C1-C6알킬, 4-C2-C6알카노일피페라지닐-C1-C6알킬, 피롤리디닐옥시, 피페리디닐옥시, 1-C1-C6알킬피페리디닐옥시, 피롤리디닐-C2-C6알콕시, 피페리디닐-C2-C6알콕시, 모르폴리닐-C2-C6알콕시, 피페라지닐-C2-C6알콕시, 4-C1-C6알킬피페라지닐-C2-C6알콕시 및 4-C2-C6알카노일피페라지닐-C2-C6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고; 및 R2, R3, R4, p 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h) p는 0이고; Q, R3, R4및 q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i) q는 O이고, R4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킬,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C1-C6알콕시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푸릴, 티에닐,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인다졸릴, 벤조푸라자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이며; 및 Q, R2, R3및 p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j) q는 0이고; 및 R4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킬,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C1-C6알콕시카르보닐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3-이소옥사졸릴, 4-이소옥사졸릴, 5-이소옥사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5-이미다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3-이소티아졸릴, 4-이소티아졸릴, 5-이소티아졸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2-벤조푸라닐, 3-벤조푸라닐, 5-벤조푸라닐, 6-벤조푸라닐, 2-인돌릴, 3-인돌릴, 5-인돌릴, 6-인돌릴, 2-벤조티에닐, 3-벤조티에닐, 5-벤조티에닐, 6-벤조티에닐, 2-벤즈옥사졸릴, 5-벤즈옥사졸릴, 6-벤즈옥사졸릴, 2-벤즈이미다졸릴, 5-벤즈이미다졸릴, 6-벤즈이미다졸릴, 2-벤조티아졸릴, 5-벤조티아졸릴, 6-벤조티아졸릴, 3-인다졸릴, 5-인다졸릴, 6-인다졸릴, 5-벤조푸라자닐, 2-퀴놀릴, 3-퀴놀릴, 6-퀴놀릴, 7-퀴놀릴, 3-이소퀴놀릴, 6-이소퀴놀릴, 7-이소퀴놀릴, 2-퀴나졸리닐, 6-퀴나졸리닐, 7-퀴나졸리닐, 2-퀴녹살리닐, 6-퀴녹살리닐, 7-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딘-2-일 또는 1,8-나프티리딘-3-일이고; 및 Q, R2, R3및 p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k) q는 0이고; 및 R4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메틸, 에틸, 메톡시 및 에톡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4-옥사졸릴, 5-옥사졸릴, 4-이소옥사졸릴, 5-이소옥사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4-이소티아졸릴, 5-이소티아졸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5-벤조푸라닐, 6-벤조푸라닐, 5-벤조티에닐, 6-벤조티에닐, 5-벤조티아졸릴, 6-벤조티아졸릴, 2-퀴놀릴, 3-퀴놀릴, 6-퀴놀릴, 7-퀴놀릴, 2-퀴나졸리닐, 6-퀴나졸리닐, 7-퀴나졸리닐, 2-퀴녹살리닐, 6-퀴녹살리닐, 7-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딘-2-일 또는 1,8-나프티리딘-3-일이며; 및 Q, R2, R3및 p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l) q는 1, 2, 3 또는 4이고; 및 R4는 시클로알킬; 및 Q, R2, R3및 p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되며; 및
(m) q는 O이고, R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며, Q, R2, R3및 p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신규 화합물과 관련하여 이 단락에서 또는 상기에 기재된 정의 중 임의의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있어서, Q는 전술한 Q에 대한 치환체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치환체로 치환되고, R4는 전술한 R4에 대한 치환체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치환체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기인 화학식 I의 신규한 화합물의 군이 제공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PBMC 및 사람의 전혈(HWB) 테스트 중 하나에서 또는 모두에서 TNFα 억제 효능이 개선되었다.
염기성 치환체의 예로는 아민 유도체, 예컨대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기, 예컨대 질소 함유 헤테로아릴기, 예컨대 이미다졸릴 및 피리딜 및 헤테로시클릴기, 예컨대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릴기, 예컨대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리디닐 등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3이 메틸, 에틸,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Q가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카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메틸렌디옥시,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아세틸, 프로피오닐, 클로로메틸, 메톡시메틸, 메틸아미노메틸, 에틸아미노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2-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히드록시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3-에톡시프로폭시, 시아노메톡시, 카르복시메톡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아미노에톡시, 3-아미노프로폭시, 2-메틸아미노에톡시, 2-에틸아미노에톡시, 3-메틸아미노프로폭시, 3-에틸아미노프로폭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피리딜메톡시, 2-(이미다졸-1-일)에톡시, 3-(이미다졸-1-일)프로폭시,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피페리딘-4-일옥시,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거나 또는 Q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메틸, 에틸, 메톡시 및 에톡시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는 푸릴, 티에닐,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인다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이며,
p는 O이고,
q는 O이며; 및
R4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미노,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메틸렌디옥시,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아세틸, 프로피오닐, 클로로메틸, 메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메틸아미노메틸, 에틸아미노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2-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히드록시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3-에톡시프로폭시, 시아노메톡시, 카르복시메톡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아미노에톡시, 3-아미노프로폭시, 2-메틸아미노에톡시, 2-에틸아미노에톡시, 3-메틸아미노프로폭시, 3-에틸아미노프로폭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클로로에틸아미노, 2-히드록시에틸아미노, 2-메톡시에틸아미노, 2-에톡시에틸아미노, 2-아미노에틸아미노,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N-(2-클로로에틸)-N-메틸아미노,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N-(2-에톡시에틸)-N-메틸아미노,N-(2-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에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디에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페닐, 벤질, 벤질옥시, 2-피리딜메톡시, 2-(이미다졸-1-일)에톡시, 3-(이미다졸-1-일)프로폭시,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피페리딘-4-일옥시,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로 바람직한 화합물은
R3가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카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메틸렌디옥시,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아세틸, 프로피오닐, 클로로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3-에톡시프로폭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피리딜메톡시, 2-(이미다졸-1-일)에톡시, 3-(이미다졸-1-일)프로폭시,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거나 또는 Q는 히드록시, 클로로,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2-푸릴, 2-티에닐, 2-옥사졸릴, 3-이소옥사졸릴, 2-이미다졸릴, 2-티아졸릴, 3-이소티아졸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3-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5-벤조푸라닐, 6-벤조푸라닐, 5-인돌릴, 6-인돌릴, 5-벤조티에닐, 6-벤조티에닐, 5-벤즈옥사졸릴, 6-벤즈옥사졸릴, 5-벤즈이미다졸릴, 6-벤즈이미다졸릴, 5-벤조티아졸릴, 6-벤조티아졸릴, 5-인다졸릴, 6-인다졸릴, 2-퀴놀릴, 6-퀴놀릴, 7-퀴놀릴, 6-이소퀴놀릴, 7-이소퀴놀릴, 2-퀴나졸리닐, 6-퀴나졸리닐, 7-퀴나졸리닐, 2-퀴녹살리닐, 6-퀴녹살리닐, 7-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딘-3-일이고;
p는 0이며; -
q는 O이고;
R4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아미노, 메틸, 메톡시,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2-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히드록시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메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카르복시메톡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피리딜메톡시,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며;
Q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카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메톡시, 에톡시, 메틸렌디옥시,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아세틸, 프로피오닐, 클로로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3-에톡시프로폭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피리딜메톡시, 2-(이미다졸-1-일)에톡시, 3-(이미다졸-1-일)프로폭시, 피롤리딘-1-일,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며;
p는 0이고;
q는 l 또는 2이며; 및
R4는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히드록시, 시아노, 카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아세틸 및 2-메톡시에톡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며; p는 0이고; q는 0이며; R4는 클로로, 시아노 및 디메틸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클로로 및 메틸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3-이소옥사졸릴, 3-피리딜 또는 6-퀴놀릴이며; p는 0이고; q는 O이며; R4는 디메틸아미노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을 갖는 더욱더 바람직한 화합물은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N-부틸-N-메틸아미노메틸,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폭시, 피롤리딘-1-일메틸, 3-히드록시피롤리딘-1-일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리디노메틸, 호모피페리디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호모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4-에틸피페라진-1-일메틸, 4-에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 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 2-피리딜메톡시, 피롤리딘-3-일옥시, 1-메틸피롤리딘-3-일옥시, 피페리딘-3-일옥시, 1-메틸피페리딘-3-일옥시, 호모피페리딘-3-일옥시, 1-메틸호모피페리딘-3-일옥시, 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피페리딘-4-일옥시, 호모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호모피페리딘-4-일옥시, 피롤리딘-3-일메톡시, 1-메틸피롤리딘-3-일메톡시, 피페리딘-3-일메톡시, 1-메틸피페리딘-3-일메톡시, 호모피페리딘-3-일메톡시, 1-메틸호모피페리딘-3-일메톡시, 피페리딘-4-일메톡시, 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 호모피페리딘-4-일메톡시, 1-메틸호모피페리딘-4-일메톡시,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N-메틸피롤리딘-2-일)에톡시, 3-(N-메틸피롤리딘-2-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2-호모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3-호모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2-(4-메틸호모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3-메톡시프로필아미노메틸, 2-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 3-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 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미노메틸,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및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고, 그리고 Q는 메틸 및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p는 0이고;
q는 O이며;
R4는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피페라진-1-일, 호모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및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로 3-위치가 치환된 페닐이고, 그리고 R4는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2-아미노에틸아미노, 3-아미노프로필아미노, 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4-아미노부틸아미노,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4-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4-디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4-메틸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4-디메틸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 피롤리딘-1-일, 3-히드록시피롤리딘-1-일, 모르폴리노, 피페리디노, 호모피페리디노, 피페라진-1-일, 호모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에틸피페라진-1-일, 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 또는 2-(1-메틸피롤리딘-2-일)에틸아미노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3-피리딜 또는 4-피리딜이고;
p는 O이며;
q는 O이고;
R4는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호모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및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로 3-위치에서 치환된 페닐이고, 그리고, R4는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는
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3-(4-부톡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3-디메틸아미노페닐)-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4-카르복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N-(3,4-디클로로벤질)-3-(3,4,5-트리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N-(2-시클로헥실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또는 4-클로로-N-(3-디메틸아미노페닐)-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로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3-(3-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3-(1-메틸호모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톡시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3-(4-디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4-메틸-3-[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도]-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4-메틸-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도]-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및
3-[6-(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등이 있다.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 이의생체내분해 가능성 에스테르 등은 화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화합물의 제법을 응용한 어떠한 공지의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I의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를 생성하는 경우,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제공되며, 이는 하기와 같은 대표적인 공정 변형예에 의해 예시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Q, R2,R3, p, q 및 R4가 전술한 의미를 갖는다. 필수의 출발 물질은 유기 화학의 표준 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출발 물질의 제법은 이하의 대표적인 제법의 변형예 및 이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다. 또는, 필수 출발 물질은 유기 화학자의 통상의 지식 이내에서 예시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a) 표준의 아미드 결합 형성 조건하에서 하기 화학식 II의 벤조산 또는 이의 반응성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III의 아민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 가능한 에스테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고,
(ii) 임의로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 가능한 에스테르를 형성한다.
H2N-(CH2)q-R4
상기 화학식에서, 각종 기는 전술한 바와 같다.
화학식 II의 산의 활성 유도체의 적절한 예로는 아실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산과 무기산 염화물, 예컨대 염화티오닐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아실 염화물; 혼합무수물, 예를 들면 산과 클로로포르메이트, 예컨대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무수물; 활성 에스테르, 예를 들면 산과 페놀, 예컨대 펜타플루오로페놀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에스테르, 펜타플루오로페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또는 알콜, 예컨대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아실 아지드, 예를 들면 산과 아지드, 예를 들면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아지드; 아실 시안화물, 예를 들면 산과 시안화물, 예컨대 디에틸포스포릴 시안화물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시안화물; 또는 산과 카르보디이미드,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의 반응 산물 등이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적절한 염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알콕시드, 수산화물 또는 수소화물,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나트륨 에톡시드, 칼륨 부톡시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또는 수소화칼륨 또는 유기금속 염기, 예를 들면 알킬-리튬, 예를 들면 n-부틸-리튬, 또는 디알킬아미노리튬, 예를 들면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또는 예를 들면 유기 아민 염기, 예컨대 피리딘, 2,6-루티딘, 콜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또는 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 등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은 적절한 불활성 용제 또는 희석제,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염화메틸렌, 1,2-디메톡시에탄,N,N-디메틸포름아미드,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메틸피롤리딘-2-온, 디메틸설폭시드 또는 아세톤 중에서 -78℃∼150℃, 편리하게는 상온에서 또는 상온 가까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보디이미드 커플링제는 유기 용제(바람직하게는 무수 극성 비양성자성 유기 용제)의 존재하에 극단의 온도가 아닌, 예를 들면 -10℃∼40℃, 통상적으로는 약 20℃의 상온에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일반적으로 보호기는 해당 기의 보호에 대해 적절한 것으로 당해 분야의 화학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임의의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방법으로 도입된다. 보호기는 해당 보호기의 제거에 대해 적절한 것으로 당해 화학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분자내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기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보호기의 제거를 수행하도록 선택한다.
보호기의 특정예를 편의상 하기에 기재하며, 저급 알킬에서와 같이 "저급"이라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4 개를 포함하는 것에 해당하는 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가 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한다. 보호기의 제거법의 특정예를 이하에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이것도 마찬가지로 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보호기의 용도 및 탈보호 방법도 물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카르복시 보호기는 에스테르 형성 지방족 또는 아릴지방족 알콜의 잔기 또는 에스테르 형성 실란올의 잔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알콜 또는 실란올은 C1-C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 보호기의 예로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C1-C12알킬기(예, 이소프로필,t-부틸);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기(예,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이소부톡시메틸); 저급 지방족 아실옥시 저급 알킬기(예, 아세톡시메틸, 프로피오닐옥시메틸, 부티릴옥시메틸, 피발로일옥시메틸);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저급 알킬기(예, 1-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1-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 아릴 저급 알킬기(예, 벤질,p-메톡시벤질,o-니트로벤질,p-니트로벤질, 벤즈히드릴 및 프탈리딜); 트리(저급 알킬)실릴기(예, 트리메틸실릴 및t-부틸디메틸실릴); 트리(저급 알킬)실릴 저급 알킬기(예, 트리메틸실릴에틸); 및 C2-C6알케닐기(예, 알릴 및 비닐에틸) 등이 있다.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특히 적절한 방법으로는 산-, 염기-, 금속- 또는 효소-촉매화 가수분해법이 있다.
히드록시 보호기의 예로는 저급 알킬기(예를 들면t-부틸), 저급 알케닐기(예를 들면 알릴); 저급 알칸올기(예를 들면 아세틸);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t-부톡시카르보닐); 저급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 알릴옥시카르보닐); 아릴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벤조일옥시카르보닐,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o-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트리저급 알킬실릴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t-부틸디메틸실릴) 및 아릴 저급 알킬 (예를 들면 벤질)기 등이 있다.
아미노 보호기의 예로는 포르밀, 아랄킬기(예를 들면 벤질 및 치환된 벤질,p-메톡시벤질, 니트로벤질 및 2,4-디메톡시벤질, 및 트리페닐메틸); 디-p-아니실메틸 및 푸릴메틸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예를 들면t-부톡시카르보닐); 저급 알케닐옥시카르보닐 (예를 들면 알릴옥시카르보닐); 아릴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벤질옥시카르보닐,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o-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트리알킬실릴(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 및t-부틸디메틸실릴); 알킬리덴 (예를 들면 메틸리덴); 벤질리덴 및 치환된 벤질리덴기 등이 있다.
히드록시 및 아미노 보호기를 제거하는 적절한 방법으로는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과 같은 기의 경우에는 산-, 염기-, 금속- 또는 효소-촉매화 가수분해법, 벤질과 같은 기의 경우에는 수소화법, 그리고o-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과 같은 기의 경우에는 광분해법이 있다.
반응 조건 및 제제에 대해서는 참고 문헌[Advanced Organic Chemistry, 제4판, Jerry March, 존 윌리 앤 썬즈 출판, 1992]를 참고한다. 보호기에 대해서는 참고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제2판, Green et al., 존 윌리 앤 썬즈 출판]을 참고한다.
화학식 II의 벤조산은 이의 해당 에스테르를 분해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 에스테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아미드 결합 형성 조건하에서 화학식 IV의 산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V의 아닐린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저급 알킬 또는 벤질이다.
통상의 조건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카르복시기를 예를 들면 할로 제제(예, 염화옥살릴)로 처리하여 상온에서 유기 용매 중에서 할로겐화아실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활성화시키고, 이 활성화된 화합물을 화학식 V의 아닐린으로 반응시킬 수 있다. 임의의 작용기는 필요에 따라 보호한 후 탈보호한다.
(b)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 이의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는 전술한 표준의 아미드 결합 형성 조건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IV의 산 또는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VI의 아닐린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고,
(ii) 임의로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형성한다.
화학식 IV
상기 화학식에서, 각종 기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임의의 보호기는 보호한다.
화학식 VI의 아닐린은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통상의 절차를 사용하여 해당 니트로 화합물을 환원시켜 생성될 수 있다. 통상의 반응 조건은 유기 용매(바람직하게는 극성 양성자성 용매)의 조건하에서 촉매(예, 탄소상 팔라듐)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약 60℃에서의 가열하에 포름산암모늄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작용기는 필요에 따라서 보호시킨 후, 탈보호할 수 있다.
(c)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콕시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또는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 또는 헤테로시클릴옥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간편하게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히드록시, 머캅토 또는 아미노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의 알킬화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반응은 적절한 불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의 존재하에,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클로로포름 또는 사염화탄소,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1,4-디옥산, 방향족 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쌍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면N,N-디메틸포름아미드,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메틸피롤리딘-2-온 또는 디메틸설폭시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10℃∼150℃, 바람직하게는 20℃∼80℃ 범위내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알킬화제의 예로는 히드록시에서 알콕시 또는 치환된 알콕시로의 알킬화 또는, 머캅토에서 알킬티오로의 알킬화 또는, 아미노에서 알킬아미노 또는 치환된 아킬아미노로의 알킬화 또는 히드록시에서 헤테로시클릴옥시로의 알킬화 반응에 대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제제,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C1-C6알킬 염화물, 브롬화물 또는 요오드화물 또는 치환된 C1-C6알킬 염화물, 브롬화물 또는 요오드화물 또는 헤테로시클릴 염화물, 브롬화물 또는 요오드화물 등이 있다.
(d)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카노일아미노 또는 치환된 C2-C6알카노일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아실화제의 적절한 예로는 아미노를 아실아미노로 아실화시키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제제,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알카노산 및 할로겐화 C1-C6알콕시카르보닐, 예를 들면 염화 C1-C6알콕시카르보닐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알카노산 무수물 또는 혼합 무수물, 예컨대 C1-C6알카노산 무수물, 예컨대 아세트산 무수물 또는 혼합 무수물,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아실, 예를 들면 C1-C6알카노일 염화물 또는 브롬화물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실화 반응은 예를 들면 -30℃∼120℃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편리하게는 상온에서 또는 상온 가까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불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중에서 수행한다.
(e)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인 화학식 I이 화합물을 C1-C6알칸설폰산 또는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와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
C1-C6알칸설폰산의 활성화된 유도체의 적절한 예로는 알칸설포닐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설폰산과 무기 산 염화물, 예를 들면 염화티오닐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염화알칸설포닐 등이 있다. 반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 특히 피리딘의 존재하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불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특히 염화메틸렌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카르복시, 카르복시-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또는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콕시카르보닐,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또는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분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분해 반응은 상기의 전환 반응에 대해 당업계에서 공지된 많은 임의의 기법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반응은 예를 들면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하의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적절한 염기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암모늄 탄산염 또는 수산화물,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등이 있다. 반응은 물 및 적절한 용제 또는 희석제, 예를 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10℃∼150℃ 범위내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또는 상온 가까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g)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C1-C6알킬,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치환된 C2-C6알킬아미노-C1-C6알킬 또는 치환된N-C1-C6알킬-C2-C6알킬아미노-C1-C6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화학식 -C1-C6알킬렌-Z(여기서, Z는 치환 가능한 기임)인 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아민 또는 헤테로시클릴 화합물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다.
적절한 치환 가능한 기 Z는 예를 들면, 할로게노기, 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 C1-C6알칸설포닐옥시기, 예컨대 메탄설포닐옥시 또는 아릴설포닐옥시기, 예컨대 4-톨루엔설포닐옥시 등이 있다.
반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반응은 10℃∼150℃, 바람직하게는 50℃에서 또는 50℃ 부근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h)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 헤테로시클릴,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 치환된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 치환된 C2-C6알킬아미노 또는 치환된N-C1-C6알킬-C2-C6알킬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전술한 바와 같은 치환 가능한 기 Z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아민 또는 헤테로시클릴 화합물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다.
반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반응은 25℃∼250℃, 바람직하게는 150℃에서 또는 150℃ 부근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i)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인 화학식I의 화합물은 간편하게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의 알킬화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반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의 존재하에 10℃∼15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또는 상온 부근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j)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히드록시-5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기(예, 2-히드록시-3-피페리디노프로폭시), 히드록시-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기(예, 2-히드록시-3-메틸아미노프로폭시) 또는 히드록시-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기(예, 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폭시 또는 3-[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폭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에폭시-치환된 C1-C6알콕시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헤테로시클릴 화합물 또는 적절한 아민과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
반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의 존재하에 10℃∼15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또는 상온 부근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k) R2또는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R2또는 Q 또는 R4상의 치환체가 니트로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통상의 반응 조건은 촉매, 예를 들면 탄소상 팔라듐과 같은 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포름산암모늄 또는 수소 기체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 또는, 용해된 금속 환원 반응은 예를 들면 산, 예컨대 무기산 또는 유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또는 아세트산의 존재하에 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반응은 유기 용매(바람직하게는 극성 양성자성 용매)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가열하에, 예를 들면 약 6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임의의 작용기는 필요에 따라 보호시킨 후, 탈보호한다.
이하의 생물학적 분석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제시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분석
이하의 분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p38 키나제 억제 효능, TNF 억제 효능 및 항관절염 효능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시험관내 효소 분석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소 p38 카니제 억제력을 평가하였다. 효소의 각각의 p38α 및 p38β동종형태에 대한 테스트 화합물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람의 재조합 MKK6(GenBank 승인 번호 G1209672)를 이미지 클론 45578(Genomics, 1996,33, 151)로부터 분리하고, 이를 사용하여 문헌[J. Han et al.,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6,271, 2886-2891]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pGEX 중의 GST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단백질을 생성하였다. p38α(GenBank 승인 번호 G529039) 및 p38β(GenBank 승인 번호 G1469305)를 문헌[J. Han et al.,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995,1265, 224-227] 및 문헌[Y. Jiang et al.,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6,271, 17920-17926]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사람의 p38α 및 p38β유전자의 5' 및 3' 말단에 대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사람의 림프아구형 cDNA(GenBank 승인 번호 GM1416) 및 사람의 태아 뇌 cDNA[Gibco 슈퍼스크립 cDNA 합성 키트를 사용하여 mRNA(Clontech, 카탈로그 번호 6525-1)로부터 합성함]의 PCR 증폭에 의해 분리하였다.
p38 단백질 동종형태 모두를 PET 벡터 중의 E. 콜리에서 형질발현하였다. 사람의 재조합 p38α 및 p38β 동종형태는 5'c-myc, 6His 표지된 단백질로서 생성되었다. MKK6 및 p38 단백질 모두는 표준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제하였으며, GST MKK6는 글루타티온 세파로즈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으며, p38 단백질은 니켈 킬레이트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p38 효소는 3 시간 동안 30℃에서 MKK6를 사용한 항온배양에 의해 사용되기 이전에 활성화시켰다. 미활성화된 콜리-형질발현된 MKK6는 p38의 동종형태 모두를 완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활성을 보유하였다. 활성화 항온배양물은 MKK6(1 ㎎/㎖, 10 ㎕), '키나제 완충액'[100 ㎕; 트리스(50 mM), EGTA(0.1 mM), 오르토바나듐산나트륨(0.1 mM) 및 β-머캅토에탄올(0.1%)를 포함하는 pH 7.4 완충액] 및 MgATP(50 mM Mg(OCOCH3)2및 0.5 mM ATP, 30 ㎕)와 함께 p38α(10 ㎎/㎖, 10 ㎕) 또는 p38β(5 ㎎/㎖, 10 ㎕)를 포함한다. 이는 미량역가 평판에 대해 충분히 활성화된 p38 효소를 생성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을 DMSO 중에 가용화시키고, '키나제 완충액' 중의 1:10 희석시료 10 ㎕를 미량역가 평판 중의 웰에 첨가하였다. 단일의 투여 테스트의 경우, 화합물을 10 μM에서 테스트하였다. '키나제 분석 혼합'[30 ㎕;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Gibco BRL 카타로그 번호 1322B-010; 물 중의 3.33 ㎎/㎖ 용액 1 ㎖), 활성화된 p38 효소(50 ㎕) 및 '키나제 완충액'(2 ㎖)를 포함함]를 첨가한 후, '표지화된 ATP'[10 ㎕; 50 μM ATP, 0.1 μCi33P ATP(애머샴 인터내셔날 카타로그 번호 BF1000) 및 50 mM Mg(OCOCH3)2를 포함함]를 첨가하였다. 평판을 약하게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항온배양하였다. p38α을 포함하는 평판을 90 분간 항온배양하고, p38β를 포함하는 평판을 45 분간 항온배양하였다. 항온배양을 중지하고, 20%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50 ㎕를 첨가하였다. 침전된 단백질을 p38 키나제로 인산화 처리하고, 테스트 화합물을 이러한 인산화 반응 억제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판을 Canberra Packard Unifilter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2% TCA로 세정하고, 밤새 건조시킨 후, Top Count 섬광 계수기로 계수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을 단일 투여량으로 초기에 테스트하고, 활성 화합물을 IC50값을 측정하도록 다시 테스트하였다.
시험관내 세포에 기초한 분석
(i) PBMC
본 발명 화합물의 TNFα 생성 억제능은 리포다당을 사용하여 자극시 합성되어 TNFα를 분비하는 사람의 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을 헤파린화된 (10 단위/㎖ 헤파린) 사람의 혈액으로부터 밀도 원심분리(LymphoprepTM; 나이코메드)에 의해 분리하였다. 단핵세포를 배양 배지[50 단위/㎖ 페니실린, 50 ㎍/㎖ 스트렙토마이신, 2 mM 글루타민 및 1% 열-불활성화 사람 AB 혈청(Sigma H-1513)이 보충된 RPMI 1640 배지(Gibco)]에 재현탁시켰다. 화합물을 배양 배지 중에 1:100로 희석된 50 mM의 농도로 DMSO 중에 가용화시키고, 그후 1%의 DMSO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 중에서 일련의 희석을 수행하였다. PBMC(배양 배지 160 ㎕ 중에 2.4×105세포)를 가습(5% CO2/95% 공기) 항온배양기(Falcon 3072; 96 웰 평편 바닥 조직 배양 평판) 중에서 37℃에서 30 분간 1% DMSO(대조용 웰)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 20 ㎕ 또는 다양한 농도의 테스트 화합물 20 ㎕를 사용하여 항온배양하였다. 배양 배지에 가용화된 20 ㎕ 리포다당[LPS E. 콜리 0111:B4(시그마 L-4130), 최종 농도 10 ㎍/㎖]을 적절한 웰에 첨가하였다. 배양 배지 20 ㎕를 "배지 단독"의 대조용 웰에 첨가하였다. 6 개의 "LPS 단독" 및 4 개의 "배지 단독"의 대조군을 각각의 96 웰 평판상에서 항온배양하였다. 각종 농도의 공지의 TNFα 억제제, 즉 PDE형 IV 효소 억제제[예를 들면 Semmler, J. Wachtel. H 및 Endres, S.,Int. J. Immunopharmac.(1993),15(3), 409-413] 또는 proTNFα전환효소의 억제제[예, McGeehan G.M. et al.Nature(1994)370, 558-561]를 각각의 테스트에 포함시켰다. 평판을 7 시간 동안 37℃에서 가습 항온배양기내에서 항온배양시킨 후, 상청액 100 ㎕를 각각의 웰로부터 꺼내어 이를 -70℃에서 보관하였다(96 웰 둥근 바닥 평판; 코닝 25850). TNFα농도를 사람 TNFα ELISA를 사용하여 각 시료에서 측정하였다. 참고 문헌[WO92/10190 및Current Protocolsin Molecular Biology, Vol. 2, Frederick M. Ausbel et al., 존 윌리 앤 썬즈 인코포레이티드].
(ii) 사람 전혈
본 발명의 화합물의 TNFα 생성에 대한 억제능을 사람 전혈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사람의 전혈은 LPS로 자극시에 TNFα를 분비한다. 이러한 혈액의 특성은 PBMC 테스트에서 활성으로 분류되는 화합물에 대한 2차 테스트로서 사용되는 분석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헤파린화(10 단위/㎖) 사람 혈액을 지원자로부터 채혈하였다. 전혈 160 ㎕를 96 웰 둥근 바닥 평판(코닝 25850)에 첨가하였다. 화합물을 가용화시키고, 연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50 단위/㎖ 페니실린, 50 ㎍/㎖ 스트렙토마이신 및 2 mM 글루타민이 보충된 RPMI 1640 배지(Gibco)로 희석하였다. 각 테스트 농도의 20 ㎕를 해당 웰에 첨가하였다(3중 배양).
항생제 및 글루타민이 보충된 RPMI 1640 배지 20 ㎕를 대조용 웰에 첨가하였다. 평판을 30 분간 37℃에서 가습 항온배양기내에서 항온배양한 후, LPS(최종 농도 10 ㎍/㎖) 20 ㎕를 첨가하였다. RPMI 1640 배지를 대조용 웰에 첨가하였다. 6 개의 "LPS 단독" 및 4 개의 "배지 단독" 대조군을 각각의 평판상에 포함시켰다. 공지의 TNFα 합성/분비 억제제를 각각의 테스트에 포함시켰다. 평판을 6 시간 동안 37℃에서 가습 항온배양기 내에서 항온배양하였다. 평판을 원심 분리하고(10 분간 2,000 rpm), 혈장 100 ㎕를 제거하고, -70℃에서 보관하였다(코닝 25850 평판).TNFα농도를 ELI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참고 문헌[WO92/10190 및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Vol. 2, Frederick M. Ausbel et al., 존 윌리 앤 썬즈 인코포레이티드]. ELISA에 사용된 항체쌍은 R&D 시스템으로부터 입수하였다(카타로그 번호 MAB610 항-사람 TNFα코팅 항체, BAF210, 비오티닐화 항-사람 TNFα 검출 항체).
생체외/생체내 평가
본 발명 화합물의 생체외 TNFα 억제제로서의 능력을 래트 또는 마우스로 평가하였다. 간략하게, Wistar Alderley Park(AP) 래트 수컷(180∼210 g)의 그룹에게 화합물(6 마리 래트) 또는 약물 부형제(10 마리 래트)를 적절한 경로, 예를 들면 경구(po), 복강내(ip) 또는 피하(sc)로 투여하였다. 90 분 경과후, CO2농도를 증가시켜 래트를 죽이고, 후대정맥을 통해 5 단위의 나트륨 헤파린/㎖ 혈액으로 채혈하였다. 혈액 시료를 즉시 얼음상에 두고, 10 분간 4℃에서 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수거한 혈장을 차후의 LPS-자극된 사람 혈액에 의한 TNFα 생성에 대한 효능의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20℃로 냉각시켰다. 래트 혈장 시료를 해동시키고, 각 시료 175 ㎕를 96 웰 둥근 바닥 평판(코닝 25850)에서 세트 포맷 패턴에 첨가하였다. 헤파린화 사람 혈액 50 ㎕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이를 혼합한 후, 평판을 30 분 동안 37℃에서 가습 항온배양기 중에서 항온배양하였다. LPS(25 ㎕; 최종 농도 10 ㎍/㎖)를 웰에 첨가하고, 추가의 5.5 시간 동안 항온배양을 지속하였다. 대조용 웰을 25 ㎕의 배지 단독과 함께 항온배양하였다. 그후 평판을 10 분간 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고, 200 ㎕의 상청액을 96 웰 평판에 옮긴 후, 이를 -20℃에서추후의 ELISA에 의한 TNF 농도 분석을 위해 냉동시켰다.
각 화합물/투여량의 제시된 소프트웨어 연산에 의한 데이타 분석:
또는, 상기한 방법으로 래트 대신에 마우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항관절염 제제로서의 테스트
항관절염 제제로서의 화합물의 활성을 하기와 같이 테스트하였다. 산성 가용성 천연형 II 콜라겐은 Trentham et al.(1)에 의해 래트에서의 관절염 유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프로인트 불완전 아쥬번트 중에서 투여시 다발성 관절염을 일으킨다. 이는 콜라겐 유발 관절염(CIA)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유사한 조건이 마우스 및 영장류에게서도 유발될 수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항-TNF 단일클론 항체(2)및 TNF 수용체-IgG 융합 단백질(3)이 형성된 CIA를 호전시키고, TNF는 CIA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의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임상 실험에서의 항-TNF 단일클론 항체에 대해 보고된 효능에 의하면, TNF가 이러한 만성 감염 질환에 있어서 지대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하기 참고 문헌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DBA/l 마우스에서의 CIA는 제3기의 모델로서, 이는 화합물의 항관절염 활성을 예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참고 문헌 4도 참조한다.
(1) Trentham, D.E. et al, (1977)J. Exp. Med.,146, 857.
(2). Williams, R.O. et al, (1992)Proc. Natl. Acad. Sci.,89, 9784.
(3) Willlams, R.O. et al., (1995)Immunology,84, 433.
(4) Badger, M. B. et al., (1996)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nmental Therapeutics,279, 1453-1461.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리 활성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구조적 차이에 따라서 달라지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0 μM 이하의 농도에서 p38α 및/또는 p38β의 억제율 30% 이상 그리고, 50 μM 이하의 농도에서 PBMC 중의 억제율 30% 이상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테스트한 화합물의 유효량에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하지 않은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예로서, 화합물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실시예 3, 화합물 번호 1)는 p38α에 대해서는 IC50이 약 0.3 μM이고, PBMC 테스트에서는 IC50이 약 6 μM이었으며; 화합물N-(2-시클로헥실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실시예 11)은 p38α에 대해서는 IC50이 약 1 μM이고, PBMC 테스트에서는 IC50이 약 8 μM이었으며; 화합물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실시예 12)는 p38α에 대해서는 IC50이 약 0.7 μM이고, PBMC 테스트에서는 IC50이 약 22 μM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Q가 전술한 바와 같은 Q에 대한 치환체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치환체로 치환되고, R4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R4에대한 치환체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화합뮬은 PBMC 및 HWB 테스트 중 하나에서 또는 모두에서 개선된 TNFα 억제 효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화합물 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3-(3-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실시예 20)는 p38α에 대해서는 IC50이 약 0.05 μM이고, HWB 테스트에서는 IC50이 약 2 μM이었으며; 화합물 4-메틸-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도)-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실시예 30)는 p38α에 대해서는 IC50이 약 0.05 μM이고, HWB 테스트에서는 IC50이 약 5 μM이었으며; 화합물 4-메틸-3-(4-디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실시예 31(4)]는 p38α에 대해서는 IC50이 약 0.3 μM이고, HWB 테스트에서는 IC50이 약 15 μM이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와 약학적 허용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예, 정제, 로젠지, 경질 캡슐, 연질 캡슐,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에멀젼,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시럽 또는 엘릭시르), 국소용 제제(예, 크림, 연고, 겔 또는 수성 또는 유성 액제 또는 현탁제), 흡입 투여용 제제(예, 미분말 또는 액체 에어로졸), 취입용 투여 제제(예, 미분말)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예, 정맥내, 피하, 근육내 또는 근육내 투여용 무균 수성 또는 유성 액제 또는 직장 투여용 좌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주지된 통상의 약학적 부형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절차로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경구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조성물은 예를 들면 1 종 이상의 착색제, 감미제, 향신료 및/또는 방부제를 함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일 투여 제형을 생성하기 위해 1 종 이상의 부형제와 혼합된 활성 성분의 함량은 치료하고자 하는 숙주 및 특정의 투여 경로에 따라서 반드시 변형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사람에게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제는 일반적으로 적절히 배합된 활성제 0.5 ㎎∼0.5 g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약 98 중량%의 적량의 부형제를 함유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의 투여의 크기는 증상의 특성 및 경중도, 동물 또는 환자의 연령 및 성별, 투여 경로에 따라 의학의 주지된 원리에 따라 자연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치료 또는 예방 목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사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체중 1 ㎏당 0.5 ㎎∼ 75 ㎎ 범위내의 일일 투여로, 필요할 경우에는 분할 투여량으로 투여한다. 일반적으로 비경구 경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보다 적은량을 투여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정맥내 투여의 경우, 예를 들면 체중 1 ㎏당 0.5 ㎎∼30 ㎎ 범위내의 투여량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유사하게, 흡입에 의한 투여의 경우, 체중 1 ㎏당 0.5 ㎎∼25 ㎎ 범위내의 투여량을 사용한다. 그러나,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며, 특히 정제 제형이 그러하다. 통상적으로, 단위 투여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약 1 ㎎∼500 ㎎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요법에 의해 사람 또는 동물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 이의생체내분해 가능한 에스테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사이토킨에 의해 매개된 치료 또는 의학적 증상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 허용염, 이의생체내분해 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있어서, 온혈 동물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 이의생체내분해 가능한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이토킨에 의해 매개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TNF, IL-1, IL-6 또는 IL-8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포함하는 TNF, IL-1, IL-6 또는 IL-8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TNF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TNF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TNF, IL-1, IL-6 또는 IL-8를 억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TNF, IL-1, IL-6 또는 IL-8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TNF를 억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TNF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p38 키나제에 의해 매개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38 키나제에 의해 매개된 질환 또는 의학적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p38 키나제 억제 효능을 생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38 키나제 억제 활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과민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AIDS, 패혈증성 쇽, 울혈성 심부전, 허혈성 심장 질환 또는 건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온혈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과민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AIDS, 패혈증성 쇽, 울혈성 심부전, 허혈성 심장 질환 또는 건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이토킨, 특히 TNF 및 IL-1의 억제로부터 효능을 얻을 수 있는 질환 상태의 치료에 사용되는 기타의 약물 및 요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과민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AIDS, 패혈증성 쇽, 울혈성 심부전, 허혈성 심장 질환, 건선 및 본 명세서의 초반부에 언급된 기타의 질환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물 및 요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토킨의 억제능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인도메타신, 케토롤락, 아세틸살리실산, 이부프로펜, 설린닥, 톨메틴 및 피록시캄과 같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성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약물(NSAID)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치료되는 특정의 염증성 질환 및 비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SAID와 함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동시 투여에 의해 치료 효능을 얻는데 필요한 NSAID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NSAID로 인한 해로운 부작용, 예를 들면 위장에서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의하면,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억제성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와 결합하여 또는 혼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및 약학적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효소 5-리포옥시게나제의 억제제와 같은 항염증제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골드, 메토트렉세이트, 스테로이드 및 페니실린아민과 같은 항관절염 제제와 함께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증상의 치료 및 스테로이드와 함께 골관절염과 같은 증상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연골보호성 항-퇴행성 및/또는 회복성 제제, 예컨대 다이아세르하인, 하이알루론산 제제, 예컨대 하이알란, 루말론, 아르테파론 및 글루코스아민염, 예컨대 안트릴을 퇴행성 질환, 예를 들면 골관절염에 투여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항천식제, 예컨대 기관지확장제 및 류코트리엔 길항제와 함께 천식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고정 투여량으로 제제화할 경우, 이와 같은 병합 산물은 전술한 투여량 범위 이내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승인된 투여량 범위 이내의 기타의 약학적 활성제를 사용한다. 병행 제제가 부적절할 경우, 순차적 사용을 고려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온혈 동물(사람 포함)에 사용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우선적으로 중요하기는 하나, 이들은 또한, 사이토킨의 효능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라면 유용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신규한 생물학적 테스트의 개발과 신규한 약리제의 연구에 사용하기 위한 약리학적 표준으로서 유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될 것이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i) 조작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상온, 즉 17℃∼25℃에서 그리고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의 대기하에서 수행한다.
(ii) 증발은진공하에서의 회전 증발에 의해 수행하며, 워크업(work-up) 조작은 여과에 의해 잔류 고형물을 제거한 후 수행한다.
(iii)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플래쉬 기법에 의한) 및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PLC)는 독일 다름슈타트에 소재하는 이. 머크로부터 입수한 Merck Kieselgel실리카(Art. 9385) 또는 Merck Lichoprep RP-18(Art. 9303) 역상 실리카상에서 수행하며,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는 C18 역상 실리카, 예를 들면 Dynamax C-18 60Å 정제용 역상 컬럼상에서 수행한다.
(iv) 수율은 예시용으로 제시하였을 뿐, 최대 가능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v)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최종 산물은 만족스러운 미량분석치를 지니며, 이의 구조는 핵자기 공명(NMR) 및/또는 질량 스펙트럼 기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원자 고속 충돌(FAB) 질량 스펙트럼 데이타는 Platform 분광계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적절한 경우 양의 이온 데이타 또는 음의 이온 데이타를 얻게 된다. NMR 화학 이동값은 δ 기준으로 측정한다[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은 300 ㎒의 장 세기에서 작동하는 Varian Gemini 2000 분광계 또는 300 ㎒의 장 세기에서 작동하는 Bruker AM300 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s는 단일선, d는 이중선, t는 삼중선, m은 다중선, br은 넓음을 의미하는 약어를 사용하였다.
(vi) 중간체는 일반적으로 완전 특성화하지 않았으며, 순도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HPLC, 적외선(IR) 및/또는 NMR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vii) 융점은 보정하지 않았으며, Mettler SP62 자동 융점 측정기 또는 오일조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화학식 I의 최종 산물의 융점은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에테르 또는 헥산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통상의 유기 용매로부터 결정화시킨 후 측정하였다.
(viii) 하기와 같은 약어를 사용하였다.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시드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실시예 1
N -(3-디메틸아미노페닐)-3-(3-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0.101 g)을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0.135 g), 염화 3-메톡시벤조일(0.13 g) 및 염화메틸렌(5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분배시켰다. 유가상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소헥산의 혼합물하에서 분쇄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156 g)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04
출발 물질로 사용한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는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염화옥살릴(1.73 ㎖) 및 DMF(수방울)을 0℃로 냉각시킨 염화메틸렌(30 ㎖) 중의 4-메틸-3-니트로벤조산(3.0 g)의 용액에 차례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30 ㎖)에 용해시켰다. 3-디메틸아미노아닐린 염산염(2.89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169 g) 및 트리에틸아민(7.7 ㎖)을 차례로 첨가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메틸렌과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과 메탄올의 더욱더 극성인 혼합물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황색 고형물인 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3.75 g)를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69(s,3H), 3.0(s,6H), 6.57(d,1H), 6.87(d,1H), 7.2(m,2H), 7.49(d,1H), 7.75(br s,1H), 8.05(d,1H), 8.45(s,1H).
10% 탄소상 팔라듐(0.369 g)을 메탄올(150 ㎖) 중의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물질(3.69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포름산암모늄(7.8 g)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를 1.25 시간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규조토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분쇄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진공하에서 55℃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형물인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3.04 g)를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22(s,3H), 2.98(s,6H), 3.75(br s,2H), 6.52(m,1H), 6.83(d,1H), 7.13(s,2H), 7.21(m,3H), 7.68(br s,1H)
실시예 2
N -(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5-메틸이속사졸-3-일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트리에틸아민(0.129 ㎖)을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0.1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 ㎎), 염화 5-메틸이속사졸-3-일카르보닐(0.081 g) 및 염화메틸렌(3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염화메틸렌(10 ㎖)으로 희석하고,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이소헥산으로 분쇄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55℃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1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42(s,3H), 2.55(s,2H), 2.97(s,6H), 6.55(m,2H), 6.89(d,1H), 7.23(m,2H), 7.36(d,1H), 7.72(d,1H), 7.84(br s,1H), 8.55(br s,2H).
질량 스펙트럼: M+H+379.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고, 해당 염화벤조일(출발 물질의 제조에 관한 실시예 1의 일부의 초반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벤조산을 염화옥살릴과 반응시켜 생성함)을 해당 아닐린과 반응시켜 하기 표 I에 기재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R1)m R 방법
1 4-프로필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2 (a)
2 4-에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b)
3 3,4-디메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c)
4 4-아세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2 (d)
5 4-메톡시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e)
6 4-에톡시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f)
7 3,4-디메톡시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2 (g)
8 3,4,5-트리메톡시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2 (h)
9 4-부톡시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i)
10 3-시아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j)
11 3,4-메틸렌디옥시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k)
(a)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0.97(t,3H), 1.69(m,2H), 2.08(s,3H), 2.67(t,2H), 2.96(s,6H), 6.53(d,1H), 6.92(d,1H), 7.1(d,1H), 7.2(t,2H), 7.34(d,2H), 7.66(m,2H), 7.82(d,2H), 7.94(br s,1H), 8.4(br s,1H).
질량 스펙트럼: M+H+416.
(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02
(c)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02
(d)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42(s,3H), 2.67(s,3H), 2.99(s,6H), 6.57(d,1H), 6.91(d,1H), 7.21(m,2H), 7.37(d,1H), 7.71(d,1H), 7.9(m,2H), 8.02(d,2H), 8.11(d,2H), 8.37(s,1H).
질량 스펙트럼: M+H+416.
염화 4-아세틸벤조일을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염화옥살릴(0.058 ㎖)을 염화메틸렌(3 ㎖) 및 DMF(수방울)의 혼합물 중의 4-아세틸벤조산(0.091 g)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켜 목적 화합물을 얻었으며, 이는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e)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04
(f)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18
(g)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9(s,3H), 2.86(s,6H), 3.83(s,6H), 6.46(d,1H), 7.12(m,4H), 7.4(d,1H), 7.58(br s,1H), 7.64(d,1H), 7.79(d,1H), 7.92(s,1H), 9.88(s,1H), 9.96(s,1H).
질량 스펙트럼: M+H+434.
(h)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과 메탄올의 더욱더 극성인 혼합물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생성물은 하기 데이타를 갖는다.
NMR 스펙트럼: (CDCl3) 2.24(s,3H), 2.93(s,6H), 3.89(s,9H), 6.5(d,1H), 6.92(d,1H), 7.15(m,5H), 7.54(d,1H), 7.84(br s,1H), 8.11(br s,1H), 8.32(br s,1H).
질량 스펙트럼: M+H+465.
(i)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46
(j)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399
(k)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18
실시예 4
N -(3-디메틸아미노페닐)-3-(4-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출발 물질의 제조에 관한 실시예 1의 일부의 종반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3-(4-벤질옥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0.227 g), 10%의 탄소상 팔라듐(0.028 g), 포름산암모늄(0.37 g) 및 메탄올(20 ㎖)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5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이를 규조토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분쇄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100:1:0.12의 염화메틸렌, 메탄올 및 수산화암모늄 포화 수용액의 혼합물로 세정하고, 진공하에 55℃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104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6(s,3H), 2.84(s,6H), 6.44(d,1H), 6.84(d,2H), 7.13(m,3H), 7.39(d,1H), 7.76(d,1H), 7.86(d,2H), 7.92(s,1H), 9.73(s,1H), 9.91(s,1H).
질량 스펙트럼: M+H+391.
출발 물질로 사용한 3-(4-벤질옥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0℃로 냉각시킨 염화메틸렌(5 ㎖) 및 DMF(수방울)의 혼합물 중의 4-벤질옥시벤조산(0.254 g)의 용액에 염화옥살릴(0.12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6 ㎖)에 용해시켰다.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0.3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4 g)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485 ㎖)을 차례로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메틸렌과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분배하고, 이를 황산마그네슘상에 건조시킨 후, 이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이소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1:1 혼합물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필수 출발 물질(0.358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39(s,3H), 2.98(s,6H), 5.15(s,2H), 6.53(d,1H), 6.93(d,1H), 7.07(d,2H), 7.21(m,2H), 7.40(m,6H), 7.72(m,2H), 7.9(m,3H), 8.40(s,1H).
실시예 5
N -(3-디메틸아미노페닐)-3-[4-(2-메톡시에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2-브로모에틸 메틸 에테르(0.033 ㎖)를 DMF(10 ㎖) 중의N-(3-디메틸아미노페닐)-3-(4-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0.9 g) 및 무수 탄산칼륨(0.064 g)의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나서,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073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8(s,3H), 2.87(s,6H), 3.31(s,3H), 3.67(m,2H), 4.18(m,2H), 6.43(d,1H), 7.12(m,5H), 7.37(d,1H), 7.78(d,1H), 7.97(m,3H), 9.87(s,1H), 9.96(s,1H).
질량 스펙트럼: M+H+448.
실시예 6
4-클로로- N -(3-디메틸아미노페닐)-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4-클로로-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조일을 3-디메틸아미노 아닐린 이염산염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t,3H), 1.18(t,2H), 1.69(m,2H), 2.99(s,6H), 7.0(d,1H), 7.2-7.5(m,4H), 7.64-7.8(m,3H), 7.84(d,1H), 8.0(m,2H), 8.19(s,1H).
질량 스펙트럼: M+H+436 및 438.
출발 물질로 사용된 염화 4-클로로-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조일을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염화아세틸(1.67 g)을 메탄올(100 ㎖) 중의 3-아미노-4-클로로벤조산(2.0 g)의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한 후, 이를 16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되도록 방치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증발시켰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메틸 3-아미노-4-클로로벤조에이트(2.13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79(s,3H), 5.62(s,2H), 7.06(d,1H), 7.29(d,1H), 7.4(s,2H).
트리에틸아민(1.5 ㎖)을 염화메틸렌(50 ㎖) 중의 메틸 3-아미노-4-클로로벤조에이트(1.0 g) 및 염화4-프로필벤조일(1.34 ㎖)의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에테르 및 이소헥산의 혼합물로 분쇄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4-(클로로-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1.0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89(t,3H), 1.58-1.66(m,2H), 2.63(t,2H), 3.86(s,3H), 7.34(d,2H), 7.7(d,1H), 7.81(d,1H), 7.9(d,2H), 8.2(s,1H), 10.07(s,1H).
그리하여 얻은 물질의 일부분(0.5 g), 메탄올(20 ㎖) 및 물(5 ㎖)의 혼합물에 2 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02 ㎖)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pH 2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4-클로로-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조산(0.17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89(t,3H), 1.58-1.66(m,2H), 2.62(t,2H), 7.36(d,2H), 7.67(d,1H), 7.81(d,1H), 7.9(d,2H), 8.15(s,1H), 10.07(s,1H), 13.2(br s,1H).
0℃로 냉각시킨 염화메틸렌(20 ㎖) 및 DMF(수방울)의 혼합물 중에 상기에서 얻은 물질의 일부(0.16 g)의 교반된 용액에 염화옥살릴(0.048 ㎖)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에서 가온시킨 후,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켜 염화4-클로로-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조일을 얻었으며,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실시예 7
3-(4-카르복시벤즈아미도)- N -(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3-(4-메톡시카르보닐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0.15 g), 2 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 ㎖), 메탄올(2 ㎖) 및 THF(4 ㎖)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 N의 염산으로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이를 진공하에서 55℃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09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2(s,3H), 3.06(s,6H), 7.28(br s,1H), 7.43(m,2H), 7.7(d,1H), 7.84(d,1H), 8.0(d,2H), 8.1(m,4H), 10.26(s,1H), 10.46(s,1H).
질량 스펙트럼: M+H+418.
출발 물질로 사용한 3-(4-메톡시카르보닐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는 하기와 같이 얻었다.
트리에틸아민(0.26 ㎖)을 염화 4-메톡시카르보닐벤조일(0.221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 g),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0.2 g) 및 염화메틸렌(10 ㎖)의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염화메틸렌으로 희석하고, 이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이소헥산으로 분쇄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고, 이를 55℃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고형물인 필수 출발 물질(0.286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4(s,3H), 2.98(s,6H), 3.98(s,3H), 6.54(m,1H), 6.92(d,1H), 7.2(m,3H), 7.35(d,1H), 7.71(d,1H), 7.92(s,1H), 7.98(d,2H), 8.18(d,2H), 8.35(s,1H).
실시예 8
N -[2-(4-클로로펜옥시)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염화메틸렌(5 ㎖) 중의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0.095 g)의 용액을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조산(0.157 g), 2-(4-클로로펜옥시)에틸아민[참고 문헌:C. Chim. Ther., 1973, 8, 259; 0.086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07 g),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0.074 g) 및 염화메틸렌(5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구연산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158 g)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69
출발 물질로 사용한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조산을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염화옥살릴(0.12 ㎖)을 0℃로 냉각시킨 염화메틸렌(250 ㎖) 및 DMF(0.5 ㎖)의 혼합물 중의 3,4-디메톡시벤조산(18.2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온시키고, 이를 4.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250 ㎖)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메틸 3-아미노-4-메틸벤조에이트(11.0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81 g) 및 트리에틸아민(23.2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6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N의 수성 염화수소로 세정한 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 건조시킨 후, 이를 증발시켰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메틸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조에이트(28.6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4(s,3H), 3.85(m,6H), 3.96(s,3H), 6.76(d,1H), 7.2-8.5(m,6H).
2 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00 ㎖) 및 메탄올(200 ㎖)의 혼합물 중의 상기에서 얻은 물질의 용액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이소헥산과 물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수성 염산을 사용하여 산성화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이를 진공하에서 55℃에서 건조시켜 고형물인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조산(25.0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8(s,3H), 3.8(m,6H), 7.0-7.8(m,6H), 7.89(s,1H), 9.95(s,1H).
실시예 9
N -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실시예 8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조산을 시클로부틸아민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369
실시예 10
N -(3,4-디클로로벤질)-3-(3,4,5-트리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3,4,5-트리메톡시벤조일을 3-아미노-N-(3,4-디클로로벤질)-4-메틸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고,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과 메탄올의 더욱더 극성인 혼합물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NMR 스펙트럼: (CDCl3) 2.28(s,3H), 3.87(m,9H), 4.48(d,2H), 7.13(m,5H), 7.36(m,2H), 7.52(d,1H), 8.01(s,1H), 8.13(s,1H).
질량 스펙트럼: M-H-503.
출발 물질로 사용한 3-아미노-N-(3,4-디클로로벤질)-4-메틸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염화옥살릴(4.8 ㎖)를 염화메틸렌(100 ㎖) 및 DMF(수방울) 중의 3-니트로-4-메틸벤조산(9.06 g)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100 ㎖)에 용해시켰다. 3,4-디클로로벤질아민(7.04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31 g) 및 트리에틸아민(13.9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 건조시킨 후, 이를 증발시켰다.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 메탄올 및 염화암모늄 포화 수용액의 250:8: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매토그래피로 잔류물을 정제하여 고형물인N-(3,4-디클로로벤질)-4-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9.9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57(s,3H), 4.47(d,2H), 7.31(m,1H), 7.56(m,2H), 7.61(d,1H), 8.1(m,1H), 8.47(d,1H), 9.3(t,1H).
진한 염산(40 ㎖) 중의 염화주석 이수화물(17.5 g)의 용액을 에탄올(40 ㎖) 및 진한 염산(40 ㎖) 중의N-(3,4-디클로로벤질)-4-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5.85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를 4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이를 2 N의 수성 염산으로 희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수회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이를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켜 고형물인 필수 출발 물질(3.9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2(s,3H), 3.74(br s,2H), 4.58(d,2H), 6.4(br s,1H), 7.02(d,1H), 7.1(d,1H), 7.19(m,2H), 7.42(m,2H)
실시예 11
N -(2-시클로헥실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포름산 암모늄(0.224 g)을 10%의 탄소상 팔라듐(0.015 g),N-(2-시클로헥센-1-일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0.15 g) 및 메탄올(15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5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이를 규조토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증발하고, 잔류물을 물로 분쇄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고형물을 진공하에서 55℃에서 건조시켜 분말인 표제 화합물(0.136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0.8-2.3(m,13H), 2.37(s,3H), 3.45(m,2H), 3.96(m,6H), 6.12(m,1H), 6.93(d,1H), 7.26(m,1H), 7.46(d,1H), 7.56(m,2H), 7.92(s,1H), 8.16(s,1H).
질량 스펙트럼: M+H+425.
출발 물질로 사용한N-(2-시클로헥센-1-일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2-시클로헥센-1-일에틸아민(0.146 ㎖)를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조산(0.3 g),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0.274 g),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2 g) 및 염화메틸렌(5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염화메틸렌과 2 N의수성 염산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이를 증발시켰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필수 출발 물질(0.28 g)을 얻었다.
MR 스펙트럼: (CDCl3) 1.6(m,4H), 2.0(m,4H), 2.23(m,2H), 2.37(s,3H), 3.51(m,2H), 3.96(m,6H), 5.54(bs,1H), 6.21(br s,1H), 6.94(d,1H), 7.21(m,1H), 7.43(m,1H), 7.55(m,2H), 7.81(br s,1H), 8.2(br s,1H).
실시예 12
N -(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6-퀴놀릴카르보닐을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5(s,3H), 2.91(s,6H), 6.58(m,1H), 7.2(m,2H), 7.43(d,1H), 7.65(m,1H), 7.82(d,1H), 8.01(s,1H), 8.17(m,2H), 8.32(d,1H), 8.59(d,1H), 8.7(d,1H), 9.02(s,1H), 10.05(s,1H), 10.32(s,1H).
질량 스펙트럼: M+H+425.
출발 물질로 사용한 염화 6-퀴놀릴카르보닐을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염화옥살릴(0.058 ㎖)을 염화메틸렌(4 ㎖) 및 DMF(수방울) 중의 6-퀴놀린카르복실산(0.096 g)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켜 필수 출발 물질을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4-클로로- N -(3-디메틸아미노페닐)-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4-클로로-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조일을 3-디메틸아미노아닐린 이염산염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04(s,6H), 6.5(d,1H), 7.08-7.20(m,3H), 7.61-7.64(m,1H), 7.74(d,1H), 7.92(d,1H), 8.1-8.2(m,2H), 7.31(d,1H), 8.58(d,1H), 8.72(s,1H), 9.02(s,1H), 10.13(s,1H), 10.5(s,1H).
질량 스펙트럼: M+H+445 및 447.
출발 물질로 사용한 염화 4-클로로-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조일을 생성하였다.
트리에틸아민(4.18 ㎖)을 염화메틸렌(80 ㎖) 중의 메틸 (3-아미노-4-클로로)벤조에이트(1.85 g) 및 염화 6-퀴놀릴카르보닐(2.88 g)의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디에틸 에테르의 혼합물하에서 분쇄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메틸 4-클로로-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1.1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87(s,3H), 7.62-7.65(m,1H), 7.4(d,1H),7.85(d,1H), 8.14(d,1H), 8.23-8.32(m,2H), 8.54(d,1H), 8.68(s,1H), 9.01(s,1H), 10.5(s,1H).
메탄올(20 ㎖) 및 물(5 ㎖)의 혼합물 중의 상기에서 얻은 물질의 일부(0.5 g)에 2 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21 ㎖)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묽은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pH 2로 산성화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4-클로로-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조산 염산염(0.329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7.64-7.68(m,1H), 7.7(d,1H), 7.83(d,1H), 8.14-8.19(m,2H), 8.29(d,1H), 8.57(d,1H), 8.7(s,1H), 9.03(s,1H).
0℃로 냉각시킨 염화메틸렌(20 ㎖) 및 DMF(수방울)의 혼합물 중의 상기에서 생성된 물질의 일부(0.181 g)의 교반된 용액에 염화옥살릴(0.048 ㎖)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승온시키고, 이를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염화 4-클로로-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조일을 얻었으며,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3-(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 N -(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을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09 및 411.
실시예 15
N -(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2-니프토일아미노)벤즈아미드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2-나프토일을 3-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24.
실시예 16
3-(6-벤질옥시벤즈아미도)-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염화옥살릴(1.24 ㎖)을 0℃로 냉각시킨 3-벤질옥시벤조산(2.736 g), DMF(1 ㎖) 및 염화메틸렌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염화메틸렌(60 ㎖) 중의 잔류물의 용액을 3-아미노-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3.11 g), 피리딘(1.69 ㎖) 및 염화메틸렌(60 ㎖)의 교반된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세정한 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이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200 ㎖)하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였다. 그리하여 표제 화합물(4.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6(s,3H), 3.07(t,4H), 3.72(t,4H), 5.19(s,2H), 6.66(d,1H), 7.3(m,11H), 7.6(t,2H), 7.78(d,1H), 7.95(s,1H), 10.0(d,2H).
질량 스펙트럼: M+H+522.
출발 물질로 사용한 3-아미노-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3-플루오로니트로벤젠(13.2 g), 모르폴린(45 ㎖) 및 DMSO(156 ㎖)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4 일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에 부었다.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고, 이를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그리하여 3-모르폴리노니트로벤젠(14.69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3.25(t,4H), 3.9(t,4H), 7.15-7.2(m,1H), 7.4(t,1H), 7.65-7.75(m,2H).
포름산암모늄(22.2 g)을 상기에서 얻은 물질, 10% 탄소상 팔라듐(2.1 g) 및 메탄올(250 ㎖)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얻은 고형물을 이소헥산으로 세정하였다. 그리하여 3-모르폴리노아닐린(9.9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3.04(t,4H), 3.68(t,4H), 3.5(br m,2H), 6.17(m,2H), 6.24(m,1H), 6.89(t,1H).
트리에틸아민(20 ㎖)을 3-모르폴리노아닐린(9.9 g), 염화 4-메틸-3-니트로벤조일(8.92 ㎖) 및 염화메틸렌(400 ㎖)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6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염화메틸렌 및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한 후, 이를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4-메틸-3-니트로-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18.24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6(s,3H), 3.0-3.1(m,4H), 3.7-3.8(m,4H), 6.7-6.75(m,1H), 7.2(t,1H), 7.25-7.3(m,1H), 7.4(s,1H), 7.65(d,1H), 8.15-8.25(m,1H), 8.55(s,1H), 10.3-10.33(s,1H).
질량 스펙트럼: M+H+342.
얼음조내에서 냉각시킨 상기에서 얻은 물질, 10% 탄소상 팔라듐(1.6 g) 및 메탄올(200 ㎖)의 혼합물에 포름산 암모늄(16.8 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이를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켰다. 용액을 증발시켜 필수 출발 물질(7.34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0-3.1(m,7H), 3.7-3.8(m,4H), 5.0(s,2H), 6.6-6.7(m,1H), 7.05(s,2H), 7.1-7.2(m,2H), 7.25-7.3(m,1H), 7.35-7.4(m,1H), 9.8(s,1H).
질량 스펙트럼: M+H+312.
실시예 17
3-(3-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3-(3-벤질옥시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4.49 g), 10% 탄소상 팔라듐(0.5 g)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분리된 고형물을 따뜻한 DMF(200 ㎖)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합하고, 이를 약 20 ㎖의 부피로 농축시키고, 물(50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55℃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2.99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5(s,3H), 3.07(t,4H), 3.72(t,4H), 6.67(m,1H), 6.97(m,1H), 7.18(t,1H), 7.36(m,1H), 7.78(m,1H), 7.92(s,1H), 9.68(s,1H), 9.89(s,H), 10.01(s,1H).
질량 스펙트럼: M+H+432.
실시예 18
3-[3-(1- t -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일옥시)벤즈아미도]-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0.23 g)을 0℃로 냉각시킨 3-(1-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일옥시)벤조산(0.307 g), 3-아미노-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0.312 g), 1-히드록시벤즈트리아졸(0.202 g) 및 DMF(5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의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물로 세정한 후, 이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이소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3:1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고형물인 표제 화합물(0.31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8(s,9H), 2.12(m,2H), 2.27(s,3H), 3.08(t,4H), 3.37(m,2H), 3.57(m,1H), 3.74(t,4H), 5.05(m,1H), 6.67(d,1H), 7.17(m,2H), 7.3(d,1H), 7.42(m,3H), 7.52(s,1H), 7.57(d,1H), 7.78(d,1H), 7.93(s,1H), 10.0(s,1H), 10.01(s,1H).
질량 스펙트럼: M+H+601.
출발 물질로 사용한 3-(1-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일옥시)벤조산을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출발 물질의 제조와 관련하여 실시예 25의 첫번째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N-t-부톡시카르보닐-3-히드록시피롤리딘[참고 문헌:J. Amer. Chem. Soc., 1982,104, 5852-5853]을 에틸 3-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반응시켰다. 그리하여 얻은 생성물을 출발 물질의 제조와 관련하여 실시예 25의 두번째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산화나트륨으로 가수분해하였다. 그리하여 필수 출발 물질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8(s,9H), 2.06(m,2H), 3.1(m,3H), 3.55(m,1H), 5.03(br s,1H), 7.18(m,1H), 7.38(m,2H), 7.52(d,1H).
질량 스펙트럼: M+H+308.
실시예 19
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3-(3-피롤리딘-3-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 ㎖)을 0℃로 냉각시킨 염화메틸렌(6 ㎖) 중의 3-[3-(1-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일옥시)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0.3 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시켜 이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인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그리하여 얻은 고형물을 물(15 ㎖)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염기화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0.18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76(m,1H), 2.02(m,1H), 2.23(s,3H), 2.83(m,2H), 3.06(m,5H), 3.55(m,1H), 3.76(t,4H), 4.98(m,1H), 6.62(d,1H), 7.12(m,2H), 7.31(d,1H), 7.4(m,3H), 7.52(m,2H), 7.78(d,1H), 7.99(s,1H), 10.07(s,1H), 10.08(s,1H).
질량 스펙트럼: M+H+501.
실시예 20
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3-(3-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실시예 18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3-(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벤조산을 3-아미노-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수율 42%의 3-[3-(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8(s,9H), 1.54(m,2H), 1.91(m,2H), 2.27(s,3H), 3.06(t,4H), 3.2(m,2H), 3.64(m,2H), 3.72(t,4H), 5.01(m,1H), 6.66(m,1H), 7.18(m,2H), 7.28(d,1H), 7.4(m,3H), 7.56(m,2H), 7.77(m,1H), 7.92(s,1H), 9.98(s,1H), 10.01(s,1H).
얻은 생성물을 실시예 19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였다. 그리하여 수율 81%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45(m,2H), 1.91(m,2H), 2.27(s,3H), 2.58(m,2H), 2.93(m,2H), 3.05(t,4H), 3.71(t,4H), 4.46(m,1H), 6.67(m,1H), 7.16(m,2H), 7.25(d,1H), 7.4(m,3H), 7.52(m,2H), 7.78(m,1H), 7.92(s,1H), 9.98(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15.
출발 물질로 사용한 3-(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벤조산을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N-t-부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피페리딘은 프랑스 스뜨스부르 에프67100에 소재하는 네오시스땅과 같은 통상의 제조원으로부터 얻거나 또는, 하기의 절차에의해 제조하였다. 염화메틸렌(100 ㎖) 중의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53.9 g)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킨 4-히드록시피페리딘(25 g), 트리에틸아민(50 ㎖) 및 염화메틸렌(250 ㎖)의 교반된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온시키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이소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2:1의 혼합물상의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고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오일을 진공하에서 60℃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형물인N-t-부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피페리딘(49.1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9(s,9H), 1.55(m,2H), 1.78(m,2H), 2.95(m,2H), 3.76(m,2H).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1.95 ㎖)를 0℃로 냉각시킨N-t-부톡시카르보닐-4-히드록시피페리딘(2 g), 에틸 3-히드록시벤조에이트(1.66 g), 트리페닐포스핀(3.2 g) 및 THF(40 ㎖)의 교반된 혼합물에 5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에서 4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이소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9:1의 혼합물(40 ㎖)하에 분쇄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켰다. 용출제로서 이소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9:1 혼합물(40 ㎖)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오일인 에틸 3-(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옥시)벤조에이트(1.82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1.41(t,3H), 1.46(s,9H), 1.93(m,2H), 3.38(m,2H), 3.7(m,2H), 4.36(q,2H), 4.52(m,1H), 7.1(m,1H), 7.35(t,3H), 7.58(s,1H),7.62(d,1H).
그리하여 얻은 에스테르의 에탄올(120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10 M, 1.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5 ㎖)에 용해시켰다. 1 M의 염산 수용액(10 ㎖) 및 빙초산(1 ㎖)을 차례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나서 증발시켜 무색의 고형물인 필수 출발 물질(1.32 g)을 얻었다. mp: 148℃∼150℃.
질량 스펙트럼: M+H+322.
실시예 21
3-(3-아세톡시벤즈아미도)-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염화옥살릴(0.7 ㎖)을 3-아세톡시벤조산(1.242 g), DMF(1 ㎖) 및 염화메틸렌(40 ㎖)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용액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3-아미노-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2 g) 및 피리딘(10 ㎖)의 용액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아세트산 수용액, 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 및 메탄올의 49:1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표제 화합물(1.3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s,3H), 3.15(t,4H), 3.7(t,4H), 6.55(d,1H), 7.18(m,2H), 7.38(m,1H), 7.6(t,1H), 7.72(m,2H), 7.89(m,2H), 8.16(s,1H), 10.3(d,2H).
질량 스펙트럼: M+H+512.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3-아미노-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3,5-디플루오로니트로벤젠(31.1 g) 및 모르폴린(85.2 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를 100℃에서 6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이소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4:1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니트로벤젠(33.3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2-3.3(m,4H), 3.6-3.8(m,4H), 7.25(m,1H), 7.37(m,1H), 7.5(m,1H).
그리하여 얻은 물질, 10% 탄소상 팔라듐(3.3 g) 및 에탄올(1,400 ㎖)의 혼합물을 대기압하의 수소하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아닐린(27.5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9-3.05(m,4H), 3.6-3.7(m,4H), 5.15(s,2H), 5.75-5.9(m,3H).
염화메틸렌(120 ㎖) 중의 염화 4-클로로-3-니트로벤조일(41.2 g)의 용액을얼음조내에서 냉각시킨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아닐린(27 g), 트리에틸아민(52.6 ㎖) 및 염화메틸렌(600 ㎖)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염화메틸렌 및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한 후, 이를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4-클로로-3-니트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36.1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05-3.15(m,4H), 3.7-3.75(m,4H), 6.5-6.6(m,1H), 7.1-7.2(m,2H), 7.95(d,1H), 8.2-8.3(m,1H), 8.6-(s,1H).
그리하여 얻은 물질, 철 분말(50.6 g), 빙초산(19 ㎖), 물(95 ㎖) 및 에탄올(600 ㎖)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를 6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9로 조심스럽게 염기성화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필수 출발 물질(24.3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0-3.1(m,4H), 3.7-3.75(m,4H), 5.6(s,1H), 6.45-6.55(m,1H), 7.0-7.2(m,3H), 7.3-7.35(m,2H), 10.09(br s, 1H).
질량 스펙트럼: M+H+350.
실시예 22
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3-히드록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나트륨 메톡시드(95%, 0.26 g)을 0℃로 냉각시킨 메탄올(75 ㎖) 중의 3-(3-아세톡시벤즈아미도)-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1.23 g)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 약 15 ㎖의 부피로 증발시켜 농축한 후, 물(20 ㎖)을 첨가하였다. 용액에 1 N의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3으로 산성화하였다. 그리하여 형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이를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표제 화합물(0.86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47(s,3H), 3.08(t,4H), 3.7(t,4H), 6.53(d,1H), 6.98(m,1H), 7.14(s,1H), 7.19(d,1H), 7.33(m,1H), 7.42(d,1H), 7.70(d,1H), 7.84(m,1H), 8.15(d,1H), 9.75(s,1H), 10.08(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470.
실시예 23
3-[2-아미노-5-(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도]-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철 분말(0.726 g)을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5-(4-메틸피페라진-1-일)-2-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0.76 g), 물(2 ㎖), 아세트산(0.5 ㎖) 및 에탄올(15 ㎖)의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고, 1 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물(80 ㎖)을 첨가하고,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염기성으로 만들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분리된 고형물을 염화메틸렌 그리고 메탄올로 차례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합하고, 이를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하에 분쇄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385 g)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7.
출발 물질로 사용한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5-(4-메틸피페라진-1-일)-2-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0℃로 냉각시킨 5-클로로-2-니트로벤조산(2.08 g), 염화메틸렌(100 ㎖) 및 DMF(수방울)의 교반된 혼합물에 염화옥살릴(1.05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온시키고, 이를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10 ㎖)중에 용해시키고, 이를 3-아미노-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3.0 g) 및 피리딘(40 ㎖)의 교반된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50 ㎖) 및 물(50 ㎖)에 용해시키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한 후, 이를 진공에서 40℃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4-클로로-3-(5-클로로-2-니트로벤즈아미도)-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1.07 g)을 얻었다.
MR 스펙트럼: (DMSO-d6) 3.09-3.14(m,4H), 3.69-3.74(m,4H), 6.58(d,1H), 7.15-7.2(m,2H), 7.71(d,1H), 7.82-7.92(d,3H), 8.2(d,1H), 8.29(s,1H),10.37(s,1H), 10.61(s,1H).
질량 스펙트럼: M+H+533 및 535
상기에서 얻은 물질의 일부(0.8 g)를 1-메틸피페라진(3 ㎖)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에 부었다.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고, 이를 물 및 디에틸 에테르로 차례로 세정한 후, 진공하에서 40℃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필수 출발 물질(0.803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1(s,3H), 2.4-2.45(m,4H), 3.08-3.13(m,4H), 3.46-3.5(m,4H), 3.69-3.74(m,4H), 6.58(d,1H), 6.84(s,1H), 7.0-7.2(m,4H), 7.68(d,1H), 7.80(d,1H), 8.04(d,1H), 8.36(s,1H).
질량 스펙트럼: M+H+597.
실시예 24
4-(클로로-3-[5-(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2-니트로벤즈아미도]-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출발 물질의 제조와 관련하여 실시예 23의 두번째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4-클로로-3-(5-클로로-2-니트로벤즈아미도)-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과 반응시켜 수율 76%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62-1.74(m,2H), 2.12(s,6H), 2.27(t,2H), 3.08-3.13(m,4H), 3.18-3.22(m,2H), 3.69-3.74(m,4H), 6.58(d,1H), 6.67(m,2H), 7.15-7.2(m,2H), 7.42(t,1H), 7.69(d,1H), 7.68(d,1H), 7.82(d,1H), 8.04(d,1H), 8.26(s,1H), 10.32(s,1H).
질량 스펙트럼: M+H+599.
실시예 25
3-[2-아미노-5-(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벤즈아미도]-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실시예 2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4-클로로-3-[5-(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2-니트로벤즈아미도)-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 환원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62-1.78(m,2H), 2.15(s,6H), 2.33(t,2H), 2.99(t,2H), 3.09-3.13(m,4H), 3.69-3.74(m,4H), 6.56(d,1H), 6.66(s,2H), 6.94(s,1H), 7.15-7.22(m,3H), 7.68(d,1H), 7.78(d,1H), 8.32(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69.
실시예 26
3-{2-아미노-5-[ N -(3-메틸아미노프로필)- N -메틸아미노]벤즈아미도}-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실시예 2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5-[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2-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를 환원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9 및 571.
출발 물질의 제조와 관련하여 실시예 23의 두번째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4-클로로-3-(5-클로로-2-니트로벤즈아미도)-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민과 반응시켜 출발 물질을 생성하였다.
NMR 스펙트럼: (DMSO-d6) 1.62-1.74(m,2H), 2.25(s,3H), 2.46-2.49(m,2H), 3.07(s,3H), 3.12(t,2H), 3.55(t,2H), 3.69-3.74(m,4H), 6.58(d,1H), 6.79(s,1H), 6.86(d,1H), 7.16-7.2(m,2H), 7.69(d,1H), 7.82(d,1H), 8.12(s,1H).
질량 스펙트럼: M+H+599.
실시예 27
3-{2-아미노-5-[ N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N -메틸아미노]벤즈아미도}-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실시예 2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5-[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2-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를 환원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54-1.62(m,2H), 2.1(s,6H), 2.18-2.22(m,2H), 2.77(s,3H), 3.09-3.16(m,4H), 3.18-3.22(m,2H), 3.7-3.74(m,4H), 6.57(d,1H), 6.7(d,1H), 6.84(d,1H), 7.08-7.24(m,3H), 7.7(d,1H), 7.8(d,1H), 8.27(s,1H).
질량 스펙트럼: M+H+583.
출발 물질의 제조와 관련하여 실시예 23의 두번째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4-클로로-3-(5-클로로-2-니트로벤즈아미도)-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를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민과 반응시켜 출발 물질을 생성하였다.
NMR 스펙트럼: (DMSO-d6) 1.62-1.74(m,2H), 2.12(s,6H), 2.21(t,2H), 3.08(s,3H), 3.1-3.13(m,4H), 3.52(t,2H), 3.71-3.74(m,4H), 6.68(d,1H), 6.78(s,1H), 6.84(d,1H), 7.16-7.20(m,2H), 7.68(d,1H), 7.82(d,1H), 8.04(d,1H), 8.31(s,1H).
질량 스펙트럼: M+H+613 및 615.
실시예 28
실시예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염화벤조일(출발 물질의 제조와 관련하여 실시예 1의 첫번째 부분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벤조산을 염화옥살릴과 반응시켜 생성함)을 해당 아닐린과 반응시켜 하기 표 II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R1)m R3 R 방법
1 2,4-디메톡시 메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2 (a)
2 2,4-디에톡시 메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b)
3 4-(2-에톡시에톡시) 메틸 3-디메틸아미노 실시예 1 (c)
4 3,4-디메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실시예 1 (d)
5 3,4,5-트리메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실시예 1 (e)
6 3-클로로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실시예 1 (f)
7 4-클로로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실시예 1 (g)
8 3-클로로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실시예 1 (h)
9 4-클로로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실시예 1 (i)
10 3-클로로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실시예 1 (j)
11 4-클로로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실시예 1 (k)
(a) 생성물은 용출제로서 메탄올 및 수산화암모늄 포화 수용액 99: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컬럼(영국 미드글라모건 헨고드에 소재하는 인터내셔날 소번트 테크날러지 리미티드로부터의 isolute SCX 컬럼)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NMR 스펙트럼: (DMSO-d6) 2.4(s,3H), 2.98(s,6H), 3.89(s,3H), 4.07(s,3H), 6.52(d,1H), 6.56(d,1H), 6.69(d,1H), 6.94(d,1H), 7.12(m,2H), 7.33(d,1H), 7.7(d,1H), 7.96(br s,1H), 8.29(d,1H), 8.81(s,1H), 9.83(br s,1H).
질량 스펙트럼: M+H+434.
(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62.
(c) 디에틸 에테르하에서 반응 생성물을 분쇄하고, 그리하여 얻은 고형물을 진공하에서 40℃에서 건조시켰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12(t,3H), 2.28(s,3H), 2.87(s,6H), 3.5(m,2H), 3.71(m,2H), 7.21(d,1H), 4.20(m,2H), 6.43(d,1H), 7.12(m,5H), 7.4(d,1H), 7.9(d,1H), 7.95(m,3H), 9.84(br s,1H), 10.05(br s,1H).
질량 스펙트럼: M+H+462.
(d)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s,3H), 3.05-3.1(m,4H), 3.7-3.75(m,4H), 3.85(s,6H), 6.65-6.7(m,1H), 7.05-7.2(m,2H), 7.25-7.3(m,1H), 7.35-7.45(m,2H), 7.55-7.6(m,1H), 7.6-7.7(m,1H), 7.75-7.8(m,1H), 7.95(s,1H), 9.9(s,1H), 10.0-10.02(s,2H).
질량 스펙트럼: M+H+476.
(e)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s,3H), 3.05-3.1(m,4H), 3.7-3.75(m,4H), 3.85(s,6H), 6.65-6.75(m,1H), 7.17(t,1H), 7.3-7.5(m,5H), 7.75-7.85(m,1H), 7.85(s,1H), 10.0(s,1H), 10.01-10.03(s,1H).
질량 스펙트럼: M+H+506.
(f)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2.4(s,3H), 3.1-3.2(m,4H), 3.7-3.9(m,4H), 4.65(s,2H), 6.65-6.75(m,1H), 7.0-7.05(m,1H), 7.25(t,1H), 7.35(d,1H), 7.45-7.75(m,4H), 7.95(s,2H), 8.15-8.2(m,1H), 8.3(s,1H).
질량 스펙트럼: M+H+464.
(g)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64.
(h)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에서 분쇄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고형물을 1 당량의 묽은 염산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4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11(m,4H), 3.72(m,4H), 4.86(s,2H), 6.54(d,1H), 7.14(s,1H), 7.19(d,1H), 7.56(t,1H), 7.71(m,2H), 7.87(d,1H), 7.97(d,1H), 8.06(s,1H), 8.14(s,1H), 10.3(br s,2H).
질량 스펙트럼: M+H+502.
(i)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에서 분쇄시켰다. 얻은 고형물을 1 당량의 묽은 염산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이를 4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11(m,4H), 3.72(m,4H), 4.84(s,2H), 6.54(d,1H),7.15(s,1H), 7.2(d,1H), 7.6(d,2H), 7.72(d,1H), 7.87(d,1H), 8.0(d,2H), 8.15(s,1H), 10.26(s,1H), 10.31(s,1H).
질량 스펙트럼: M+H+502.
(j)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94(m,4H), 2.31(s,3H), 3.2(m,4H), 4.86(s,2H), 6.06(d,1H), 6.8(s,1H), 7.02(d,1H), 7.43(d,1H), 7.55(t,1H), 7.67(d,1H), 7.79(d,1H), 7.94(s,1H), 7.97(d,1H), 8.05(s,1H), 10.01(m,2H).
질량 스펙트럼: M+H+466.
출발 물질로 사용한 3-아미노-N-(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페닐)-4-메틸벤즈아미드를 하기와 같이 생성하였다.
3,5-디플루오로니트로벤젠(20 g) 및 피롤리딘(63 ㎖)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물(100 ㎖)에 부었다.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고, 이를 물, 디에틸 에테르로 차례로 세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니트로벤젠 (24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93-1.98(m,4H), 3.25-3.3(m,4H), 6.72-6.76(m,1H), 7.07-7.15(m,2H).
상기에서 얻은 물질, 10%의 탄소상 팔라듐(3 g) 및 메탄올(500 ㎖)의 혼합물을 대기압하의 수소하에 수소 흡인이 중지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이소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3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그리하여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아닐린(14.8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87-1.92(m,4H), 3.09-3.14(m,4H), 5.04(s,2H), 5.47-5.62(m,3H).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아닐린(14.8 g), 트리에틸아민(25.2 ㎖) 및 염화메틸렌(300 ㎖)의 혼합물에 염화 4-메틸-3-니트로벤조일(14.5 ㎖)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00 ㎖)을 첨가하고,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고, 이를 물, 디에틸 에테르로 차례로 세정한 후, 이를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4-메틸-N-(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3-니트로벤즈아미드 (19.3 g)를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92-1.97(m,4H), 2.58(s,3H), 3.18-3.23(m,4H), 6.09(d,1H), 6.77(s,1H), 7.99(d,1H), 7.66(d,1H), 8.16(d,1H), 8.53(s,1H), 10.33(s,1H).
상기에서 얻은 물질, 10%의 탄소상 팔라듐(2 g) 및 메탄올(300 ㎖)의 혼합물을 대기압하의 수소하에 수소 흡인이 중지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하에서 분쇄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분리하고, 이를 물, 디에틸 에테르의 순서로 세정한 후,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필수 출발 물질(14.4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91-1.97(m,4H), 2.1(s,3H), 3.14-3.21(m,4H), 5.03(s,2H), 6.02(d,1H), 6.8(s,1H), 6.98-7.06(m,3H), 7.13(s,1H), 9.87(s,1H).
질량 스펙트럼: M+H+314.
(k)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95(m,4H), 2.31(s,3H), 3.21(m,4H), 4.85(s,2H), 6.06(d,1H), 6.81(s,1H), 7.02(d,1H), 7.42(d,1H), 7.6(d,2H), 7.79(d,1H), 7.99(m,3H), 10.06(s,1H), 10.01(s,1H).
질량 스펙트럼: M+H+466.
실시예 29
실시예 5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아미노 치환된 알킬 염화물을 해당 페놀과 반응시켜 하기 표 III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R1)m R3 R
1 3-(2-디에틸아미노에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a)
2 3-(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메틸 3-모르폴리노 (b)
3 3-(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c)
4 3-(2-피롤리딘-1-일에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d)
5 3-(2-피페리디노에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e)
6 3-(3-피페리디노프로폭시) 메틸 3-모르폴리노 (f)
7 3-(N-메틸피페리딘-3-일메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g)
8 3-(2-메틸티아졸-4-일메톡시) 메틸 3-모르폴리노 (h)
9 3-(2-디에틸아미노에톡시)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i)
10 3-(2-피페리디노에톡시)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j)
11 3-[2-(N-메틸피롤리딘-2-일)에톡시]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k)
12 3-(N-메틸호모피페리딘-4-일옥시)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l)
(a) 반응물은 염화 2-디에틸아미노에틸 및 3-(3-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모페닐)벤즈아미드이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7(t,6H), 2.27(s,3H), 2.55(m,4H), 2.8(t,2H), 3.08(t,4H), 3.72(t,4H), 4.07(t,2H), 6.68(m,1H), 7.17(m,2H), 7.29(d,1H), 7.4(m,3H), 7.56(m,2H), 7.78(m,1H), 7.92(s,1H), 10.0(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31.
(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2(t,6H), 1.92(m,2H), 2.27(s,3H), 2.47(m,6H), 3.06(t,4H) 3.72(t,4H), 4.04(t,2H), 6.67(m,1H), 7.17(m,2H), 7.28(m,1H), 7.41(m,3H), 7.55(m,2H), 7.78(m,1H), 7.92(s,1H), 10.0(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45.
(c)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9(m,12H), 2.27(s,3H), 2.78(m,2H), 3.04(m,6H), 3.74(br s,4H), 3.95(t,2H), 6.68(d,1H), 7.15(m,2H), 7.28(m,1H), 7.4(m,3H), 7.55(m,2H), 7.79(d,1H), 7.92(s,1H), 10.0(s,1H), 10.01(s,1H).
질량 스펙트럼: M+H+559.
(d)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64(m,4H), 2.28(s,3H), 2.5(m,4H), 2.81(t,3H), 3.05(t,4H), 3.73(t,4H), 4.16(t,2H), 6.66(m,1H), 7.17(m,2H), 7.28(d,1H), 7.4(m,3H), 7.57(m,2H), 7.79(m,1H), 7.93(s,1H), 10.0(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29.
(e)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6(m,2H), 1.49(m,4H), 2.17(s,3H), 2.43(t,4H), 2.64(t,2H), 3.06(t,4H), 3.73(t,4H), 4.12(t,2H), 6.66(m,1H), 7.16(m,2H), 7.28(d,1H), 7.4(m,3H), 7.56(m,2H), 7.78(m,1H), 7.91(s,1H), 10.0(s,1H),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43.
(f)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6(m,2H), 1.46(m,4H), 1.84(m,2H), 2.34(br m,9H), 3.05(t,4H), 3.72(t,4H), 4.06(t,2H), 6.67(m,1H), 7.16(m,2H), 7.29(d,1H), 7.41(m,3H), 7.55(m,2H), 7.78(d,1H), 7.92(s,1H), 10.0(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57.
(g)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09(m,1H) 1.7(br m,6H), 2.16(s,3H), 2.28(s,3H), 2.41(m,1H), 2.81(d,1H), 3.06(t,4H), 3.72(t,4H), 3.92(m,2H), 6.67(d,1H), 7.17(m,2H), 7.3(d,1H), 7.41(m,3H), 7.55(m,2H), 7.79(d,1H), 7.93(s,1H), 10.0(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43.
(h)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7(s,3H) 2.63(s,3H), 3.05(t,4H), 3.71(t,4H), 5.19(s,2H), 6.66(m,1H), 7.17(t,1H), 7.24(m,2H), 7.41(m,3H), 7.59(m,3H), 7.94(s,1H), 10.0(s,1H), 10.02(s,1H).
질량 스펙트럼: M+H+543.
(i) 반응물은 염화 2-디에틸아미노에틸 및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3-히드록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이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6(t,6H), 2.55(m,4H), 2.79(t,2H), 3.09(t,4H), 3.7(t,4H), 4.08(t,2H), 6.53(d,1H), 7.18(m,3H), 7.43(t,1H), 7.57(m,2H), 7.71(d,1H), 7.83(m,1H), 8.15(d,1H), 10.19(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69.
(j)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35(d,2H), 1.48(m,4H), 2.42(m,4H), 2.65(t,2H), 3.1(t,4H), 3.7(t,4H), 4.13(t,2H), 6.52(d,1H), 7.18(m,3H), 7.43(t,1H), 7.55(m,2H), 7.7(d,1H), 7.84(m,1H),8.15(d,1H), 10.18(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81.
(k) 반응물은 염화 2-(N-메틸피롤리딘-2-일)에틸 및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3-히드록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이다. 반응 생성물은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 및 메탄올의 더욱더 극성인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5(br m,4H), 1.9(m,1H), 2.05(m,3H), 2.22(s,3H), 2.93(m,1H), 3.09(t,4H), 3.71(t,4H), 4.08(t,2H), 6.54(dm,1H), 7.18(m,2H), 7.42(t,1H), 7.55(m,2H), 7.7(d,1H), 7.86(d,1H), 8.12(d,1H), 10.19(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81.
(l) 실시예 29(11)의 경우, 반응물은 염화 2-(N-메틸피롤리딘-2-일)에틸 및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3-히드록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이며, 반응 생성물은 용출제로서 염화메틸렌 및 메탄올의 더욱더 극성인 혼합물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실시예 29(11)의 화합물이 먼저 용출되었다. 추가의 용출로, 실시예 29(12)의 이성체 화합물이 용출되었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57(m,1H), 1.78(br m,3H), 2.04(m,2H), 2.23(s,3H), 2.6(br m,4H), 3.1(t,3H), 3.71(t,4H), 4.66(t,1H), 6.53(m,1H), 7.11(m,2H), 7.2(d,1H), 7.42(t,1H), 7.5(m,1H), 7.7(d,1H), 7.85(m,1H), 8.13(d,1H), 10.17(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81.
실시예 30
4-메틸-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도]- N -(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N-메틸피페라진(0.036 g)을 3-(3-클로로메틸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0.15 g), 탄산칼륨(0.09 g) 및 아세톤(5 ㎖)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한 후, 이를 16 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이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메탄올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얻은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이를 이소헥산을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그리하여 표제 화합물(0.071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1(s,3H), 2.3(s,3H), 2.2-2.4(m,8H), 3.1(t,4H), 3.55(s,2H), 3.75(t,4H), 6.65-6.7(m,1H), 7.18(t,1H), 7.3-7.35(m,1H), 7.38-7.55(m,4H), 7.78-7.8(m,1H), 7.85-7.9(m,2H), 7.95(s,1H).
질량 스펙트럼: M+H+528.
실시예 31
실시예 30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클로로메틸 치환된 벤즈아미드를 해당 아민과 반응시켜 하기 표 IV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R1)m R3 R
1 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a)
2 3-디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b)
3 3-(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c)
4 4-디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d)
5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e)
6 4-(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f)
7 4-(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모르폴리노 (g)
8 3-모르폴리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h)
9 3-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i)
10 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j)
11 3-(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k)
12 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l)
13 3-(3-히드록시피롤리딘-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m)
14 3-[2-(N-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n)
15 3-(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o)
16 3-[3-(N-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p)
17 3-(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q)
18 3-(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r)
19 3-(N-부틸-N-메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s)
20 4-모르폴리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t)
21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u)
22 4-(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v)
23 4-(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w)
24 4-(3-히드록시피롤리딘-1-일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x)
25 4-[2-(N-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y)
26 4-(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z)
27 4-[3-(N-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aa)
28 4-(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bb)
29 4-(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cc)
30 4-디에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dd)
31 4-(N-부틸-N-메틸아미노메틸) 메틸 3-플루오로-5-피롤리딘-1-일 (ee)
32 3-모르폴리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ff)
33 3-피페라진-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gg)
34 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hh)
35 3-(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ii)
36 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jj)
37 3-(3-히드록시피롤리딘-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kk)
38 3-[2-(N-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ll)
39 3-(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mm)
40 3-[3-(N-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nn)
41 3-(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oo)
42 3-(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pp)
43 3-(N-부틸-N-메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qq)
44 4-모르폴리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rr)
45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ss)
46 4-(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tt)
47 4-(3-히드록시피롤리딘-1-일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uu)
48 4-[2-(N-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vv)
49 4-(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ww)
50 4-[3-(N-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xx)
51 4-(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yy)
52 4-(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zz)
53 4-디에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aaa)
54 4-(N-부틸-N-메틸아미노메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bbb)
(a)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CDCl3) 1.8-1.9(m,2H), 2.37(s,3H), 2.4(s,3H), 2.6-2.8(m,8H), 3.2(t,4H), 3.75(s,1H), 3.85(t,4H), 6.65-6.75(m,1H), 7.0-7.05(m,1H), 7.22(t,1H), 7.35(d,1H), 7.45-7.5(m,2H), 7.55-7.6(m,1H), 7.7-7.75(m,1H), 7.75-7.8(m,1H), 7.85-7.95(m,2H), 8.07(s,1H), 8.45(s,1H).
질량 스펙트럼: M+H+542.
(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1.
(c)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5-2.4(m,9H), 2.55-2.65(m,2H), 3.05-3.15(m,4H), 3.5-3.6(m,4H), 3.7-3.8(m,6H), 6.65-6.75(m,1H), 7.18(t,1H), 7.3-7.35(m,1H), 7.4-7.6(m,4H), 7.75-7.8(m,1H), 7.8-7.9(m,1H), 7.95(s,2H), 10.0-10.04(br d,2H).
질량 스펙트럼: M+H+558.
(d)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1.0(m,6H), 2.3(s,3H), 2.4-2.6(m,4H), 3.0-3.1(m,4H), 3.5-3.7(m,2H), 3.7-3.8(m,4H), 6.65-6.75(m,1H), 7.2(t,1H), 7.25-7.3(m,1H), 7.35-7.55(m,4H), 7.75-7.8(m,1H), 7.9-8.0(m,3H), 10.0(s,1H), 10.02(br s,1H).
질량 스펙트럼: M+H+501.
(e)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1(s,3H), 2.2-2.45(m,11H), 3.05(t,4H), 3.55(s,2H), 3.75(t,4H), 6.65-6.75(m,1H), 7.15(t,1H), 7.28-7.32(m,1H), 7.35-7.48(m,4H), 7.75-7.8(m,1H), 7.95-8.0(m,3H), 10.0(s,1H), 10.03(s,1H).
질량 스펙트럼: M+H+528.
(f)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1.65-1.75(m,2H), 2.25(s,3H), 2.3(s,3H), 2.5-2.7(m,8H), 3.05-3.15(m,4H), 3.68(s,2H), 3.7-3.8(m,4H), 6.65-6.75(m,1H), 7.17(t,1H), 7.30-7.35(m,1H), 7.4-7.5(m,4H), 7.75-7.78(m,1H), 7.9-8.0(m,3H), 10.02(br s,1H).
질량 스펙트럼: M+H+542.
(g)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25-2.4(m,9H), 2.58(t,2H), 3.05(t,4H), 3.55(t,4H), 3.72(t,4H), 3.75(s,2H), 6.65-6.75(m,1H), 7.17(t,1H), 7.25-7.3(m,1H), 7.35-7.5(m,4H), 7.75-7.8(m,1H), 7.9-8.0(m,3H), 10.0(s,1H), 10.03(br s,1H).
질량 스펙트럼: M+H+558.
(h)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i)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6
(j)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30
(k)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8
(l)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4
(m)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n)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32
(o)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0
(p)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6
(q)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5
(r)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74
(s)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t)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u)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30
(v)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8
(w)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4
(x)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y)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32
(z)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0
(aa)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6
(b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5
(cc)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74
(dd) 염화 디에틸암모늄을 아민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였다. 추가 당량의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암모늄염을 중화시켰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3
(ee)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ff)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7(m,4H), 3.11(m,4H), 3.54(s,2H), 3.57(m,4H), 3.72(m,4H), 6.54(d,1H), 7.13(s,1H), 7.2(d,1H), 7.5(m,2H), 7.72(d,1H), 7.85(m,3H), 8.14(s,1H), 10.21(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53.
(gg)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m,4H), 2.68(m,4H), 3.11(m,4H), 3.5(s,2H), 3.72(m,4H), 6.54(d,1H), 7.13(s,1H), 7.19(d,1H), 7.5(m,2H), 7.72(d,1H), 7.87(m,3H), 8.15(s,1H), 10.2(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52.
(hh)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6
(ii)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94
(jj)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80
(kk)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3
(ll)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8
(mm)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96
(nn)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82
(oo)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1
(pp)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610
(qq)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3
(rr)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7(m,4H), 3.11(m,4H), 3.54(s,2H), 3.58(m,4H), 3.72(m,4H), 6.54(d,1H), 7.14(s,1H), 7.19(d,1H), 7.47(d,2H), 7.72(d,1H), 7.85(d,1H), 7.96(d,2H), 8.14(s,1H), 10.16(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53.
(ss)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6
(tt)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80
(uu)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3
(vv)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8
(ww)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96
(xx)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82
(yy)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1
(zz)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610
(aaa) 염화 디에틸암모늄을 아민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였다. 추가 당량의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암모늄염을 중화시켰다.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0.98(t,6H), 2.46(용매에 의해 불분명한 피이크), 3.11(m,4H), 3.6(s,2H), 3.72(m,4H), 6.54(d,1H), 7.14(s,1H), 7.20(d,1H), 7.47(d,2H), 7.72(d,1H), 7.85(d,1H), 7.95(d,2H), 8.15(s,1H), 10.14(s,1H), 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539.
(bb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3
실시예 32
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6-퀴놀릴카르보닐을 3-아미노-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5(s,3H), 3.0-3.1(m,4H), 3.65-3.75(m,4H), 6.65-6.7(m,1H), 7.17(t,1H), 7.3-7.35(m,1H), 7.38-7.48(m,2H), 7.6-7.7(m,1H), 7.8-7.85(m,1H), 8.0(s,1H), 8.1-8.15(m,1H), 8.3-8.35(m,1H), 8.5-8.55(m,1H), 8.7(s,1H), 8.98-9.02(m,1H), 10.0-10.01(br s,1H), 10.25-10.35(br s,1H).
질량 스펙트럼: M+H+467.
실시예 33
4-클로로-3-(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염화 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1.96 g), 3-아미노-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3 g) 및 피리딘(20 ㎖)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를 10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물 및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 및 메탄올로 세정하였다. 그리하여 표제 화합물(3.8 g)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3.1(t,4H), 3.75(t,4H), 6.52(d,1H), 7.1(s,1), 7.2(d,1H), 7.6-7.7(m,2H), 7.7-7.8(m,1H), 8.2(d,1H), 8.35-8.4(m,1H), 8.97(d,1H), 10.2-10.32(br s,1H).
질량 스펙트럼: M+H+489.
실시예 34
3-(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4-메틸- N -(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실시예 3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화 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을 3-아미노-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MR 스펙트럼: (DMSO-d6) 2.3(s,3H), 3.05(t,4H), 3.75(t,4H), 6.65-6.75(m,1H), 7.18(t,1H), 7.25-7.3(m,1H), 7.3-7.5(m,2H), 7.7(d,1H), 7.75-7.85(m,1H), 7.97(s,1H), 8.35-8.45(m,1H), 9.0(d,1H), 10.0-10.04(s,1H), 10.26-10.29(s,1H).
질량 스펙트럼: M+H+451.
실시예 35
4-클로로- N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6-(4-메틸피페라진-1-일)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4-클로로-3-(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0.2 g) 및N-메틸피페라진(1.5 g)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를 110℃에서 20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고, 이를 물로 세정한 후, 건조시켰다. 그리하여 표제 화합물(0.18 g)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3.
실시예 36
실시예 35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클로로피리딘을 해당 아민과 반응시켜 하기 표 V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R1 R3 R
1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a)
2 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b)
3 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c)
4 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d)
5 3-아미노프로필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e)
6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f)
7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g)
8 4-아미노부틸아미노 메틸 3-모르폴리노 (h)
9 4-메틸피페라진-1-일 메틸 3-모르폴리노 (i)
10 호모피페라진-1-일 메틸 3-모르폴리노 (j)
11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k)
12 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l)
13 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m)
14 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n)
15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o)
16 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p)
17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q)
18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r)
19 4-디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s)
20 호모피페라진-1-일 클로로 3-플루오로-5-모르폴리노 (t)
(a)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3.
(b)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3.
(c)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7.
(d)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3.
(e)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489.
(f)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31.
(g)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9.
(h)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03.
(i)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5.
(j)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15.
(k)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1.
(l)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1.
(m)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5.
(n)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41.
(o)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5.
(p)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5.
(q)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9.
(r)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97.
(s)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69.
(t) 하기 데이타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M+H+553.
실시예 37
의약 제제
이하는 사람에 있어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대표적인 의약 투여 제형을 예시한다(활성 성분을 "화합물 X"로 칭함).
(a) 정제 I ㎎/정제
화합물 X 100
락토스 Ph. Eur. 182.75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12.0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5% w/v 페이스트) 2.2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b) 정제 II ㎎/정제
화합물 X 50
락토스 Ph. Eur. 223.75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6.0
옥수수 전분 15.0
폴리비닐피롤리돈(5% w/v 페이스트) 2.2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c) 정제 III ㎎/정제
화합물 X 1.0
락토스 Ph. Eur. 93.25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4.0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5% w/v 페이스트) 0.7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
(d) 캡슐 ㎎/캡슐
화합물 X 10
락토스 Ph. Eur. 488.5
마그네슘 1.5
(e) 주사제 I 50 ㎎/㎖
화합물 X 5.0% w/v
1 M 수산화나트륨 액제0.1 M 염산(pH를 7.6까지 조절) 15.0% w/v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4.5% w/v
주사용수 100%까지
(f) 주사제 II 10 ㎎/㎖
화합물 X 1.0% w/v
인산나트륨 BP 3.6% w/v
0.1 M 수산화나트륨 액제 15.0% w/v
주사용수 100%까지
(g) 주사제 III 1 ㎎/㎖pH 6으로 완충
화합물 X 0.1% w/v
인산나트륨 BP 2.26% w/v
구연산 0.38% w/v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3.5% w/v
주사용수 100%까지
(h) 에어로졸 I ㎎/㎖
화합물 X 10.0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13.5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910.0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490.0
(i) 에어로졸 II ㎎/㎖
화합물 X 0.2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0.27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70.0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280.0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094.0
(j) 에어로졸 III ㎎/㎖
화합물 X 2.5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3.38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67.5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1086.0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91.6
(k) 에어로졸 IV ㎎/㎖
화합물 X 2.5
대두 레시틴 2.7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67.5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1086.0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91.6
(l) 연고
화합물 X 40 ㎎
에탄올 300 ㎕
300 ㎕
1-도데실아자시클로헵탄-2-온 50 ㎕
프로필렌 글리콜 1 ㎖까지
상기한 제제는 약학 분야에 널리 주지되어 있는 통상의 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정제 (a)∼(c)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의 코팅을 제공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장용 코팅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제제 (h)∼(k)는 표준의 계측 투여의 에어로졸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현탁제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및 대두 레시틴 대신에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글리세롤 올레이트 또는 올레산 등의 대체 현탁제를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로서, 단,
    N-(2-시클로헥실에틸)-3-(4-히드록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N-(4-카르복시-3-히드록시페닐)-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피리딜)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피리딜)벤즈아미드,
    3-(4-아미노벤즈아미도)-4-메틸-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4-메틸-3-(4-니트로벤즈아미도)-N-(2-티아졸릴)벤즈아미드,
    3-벤즈아미도-4-클로로-N-(2-플루오로아닐리노)벤즈아미드,
    3-(2-히드록시-4-메틸벤즈아미도)-N-(4-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
    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4-메틸-N-페닐벤즈아미드 및
    4-클로로-3-(3-히드록시-2-나프토일아미노)-2-메틸-N-페닐벤즈아미드
    는 제외한 하기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화학식 I
    상기 화학식에서, R3는 C1-C6알킬 또는 할로게노이고;
    Q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포르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C2-C6알카노일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설파모일,N,N-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카르바모일-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킬,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및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여기서, 2 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2기 또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3기를 포함하는 전술한 Q상의 임의의 치환체는 각각의 상기 CH2또는 CH3기상에 히드록시, 아미노,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Q상의 치환체에서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C1-C6알킬, C1-C6알콕시,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R2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이며;
    p는 0, 1 또는 2이고;
    q는 0, 1, 2, 3 또는 4이며;
    R4는 아릴,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또는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이고, 그리고 R4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머캅토,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포르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6알콕시, C1-C3알킬렌디옥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C2-C6알카노일옥시, C1-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설파모일,N,N-디-[C1-C6알킬]설파모일, C1-C6알칸설포닐아미노,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카르바모일-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 할로게노-C2-C6알콕시, 히드록시-C2-C6알콕시, C1-C6알콕시-C2-C6알콕시, 시아노-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카르바모일-C1-C6알콕시,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콕시, 아미노-C2-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 할로게노-C2-C6알킬아미노, 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 시아노-C1-C6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 아미노-C2-C6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할로게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히드록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시아노-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N-C1-C6알킬-디-[C1-C6알킬]아미노-C2-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2-C6알카노일아미노, 히드록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C2-C6알카노일아미노, 시아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 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카노일아미노, 아릴, 아릴-C1-C6알킬, 아릴-C1-C6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아미노,N-C1-C6알킬-아릴아미노, 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아릴-C1-C6알킬아미노, 아로일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N-아릴설파모일, 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C1-C6알콕시, 헤테로아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아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아릴설파모일, 헤테로아릴-C2-C6알카노일아미노,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헤테로시클릴옥시, 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 헤테로시클릴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아미노, 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헤테로시클릴-C1-C6알킬아미노, 헤테로시클릴카르보닐아미노, 헤테로시클릴설포닐아미노,N-헤테로시클릴설파모일 및 헤테로시클릴-C2-C6알카노일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2, 3 또는 4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며;
    여기서, 2 개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2기 또는 하나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CH3기를 포함하는 전술한 R4상의 임의의 치환체는 상기 각각의 CH2또는 CH3기에 히드록시, 아미노, C1-C6알콕시,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며;
    여기서, R4상의 치환체 중의 임의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기는 히드록시, 할로게노, C1-C6알킬, C1-C6알콕시, 카르복시, C1-C6알콕시카르보닐,N-C1-C6알킬카르바모일,N,N-디-[C1-C6알킬]카르바모일, C2-C6알카노일,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할로게노-C1-C6알킬, 히드록시-C1-C6알킬, C1-C6알콕시-C1-C6알킬, 시아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R3이 메틸, 에틸,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Q가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카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메틸렌디옥시,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아세틸, 프로피오닐, 클로로메틸, 메톡시메틸, 메틸아미노메틸, 에틸아미노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2-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히드록시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3-에톡시프로폭시, 시아노메톡시, 카르복시메톡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아미노에톡시, 3-아미노프로폭시, 2-메틸아미노에톡시, 2-에틸아미노에톡시, 3-메틸아미노프로폭시, 3-에틸아미노프로폭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피리딜메톡시, 2-(이미다졸-1-일)에톡시, 3-(이미다졸-1-일)프로폭시,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피페리딘-4-일옥시,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거나 또는 Q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메틸, 에틸, 메톡시 및 에톡시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는 푸릴, 티에닐,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인다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또는 나프티리디닐이며,
    p는 O이고,
    q는 O이며; 및
    R4는 히드록시, 플루오로, 클로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아미노,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메틸렌디옥시,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아세틸, 프로피오닐, 클로로메틸, 메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메틸아미노메틸, 에틸아미노메틸,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 2-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히드록시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메톡시에톡시, 2-에톡시에톡시, 3-메톡시프로폭시, 3-에톡시프로폭시, 시아노메톡시, 카르복시메톡시, 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 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 t-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 2-아미노에톡시, 3-아미노프로폭시, 2-메틸아미노에톡시, 2-에틸아미노에톡시, 3-메틸아미노프로폭시, 3-에틸아미노프로폭시,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2-클로로에틸아미노, 2-히드록시에틸아미노, 2-메톡시에틸아미노, 2-에톡시에틸아미노, 2-아미노에틸아미노,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N-(2-클로로에틸)-N-메틸아미노,N-(2-히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N-(2-에톡시에틸)-N-메틸아미노,N-(2-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에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3-디에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 페닐, 벤질, 벤질옥시, 2-피리딜메톡시, 2-(이미다졸-1-일)에톡시, 3-(이미다졸-1-일)프로폭시,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아세틸피페라진-1-일, 피롤리딘-1-일메틸, 피페리디노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 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피페리딘-4-일옥시,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및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이나, 단, 3-(2-히드록시-4-메틸벤즈아미도)-N-(4-히드록시페닐)-4-메틸벤즈아미드는 제외한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3. 제1항에 있어서,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히드록시, 시아노, 카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아세틸 및 2-메톡시에톡시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며; p는 0이고; q는 0이며; R4는 클로로, 시아노 및 디메틸아미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종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4. 제1항에 있어서,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클로로 및 메틸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임의로 포함하는 3-이소옥사졸릴, 3-피리딜 또는 6-퀴놀릴이며; p는 0이고; q는 O이며; R4는 디메틸아미노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인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5. 제1항에 있어서, Q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치환체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치환체로 치환되고, R4는 제1항에서 정의된 R4에 대한 치환체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치환체를 또한 포함하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기인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6. 제1항에 있어서,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디메틸아미노메틸, 디에틸아미노메틸,N-부틸-N-메틸아미노메틸, 2-디메틸아미노에톡시, 2-디에틸아미노에톡시, 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톡시, 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 3-디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폭시, 피롤리딘-1-일메틸, 3-히드록시피롤리딘-1-일메틸, 모르폴리노메틸, 피페리디노메틸, 호모피페리디노메틸, 피페라진-1-일메틸, 호모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4-에틸피페라진-1-일메틸, 4-에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 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 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 2-피리딜메톡시, 피롤리딘-3-일옥시, 1-메틸피롤리딘-3-일옥시, 피페리딘-3-일옥시, 1-메틸피페리딘-3-일옥시, 호모피페리딘-3-일옥시, 1-메틸호모피페리딘-3-일옥시, 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피페리딘-4-일옥시, 호모피페리딘-4-일옥시, 1-메틸호모피페리딘-4-일옥시, 피롤리딘-3-일메톡시, 1-메틸피롤리딘-3-일메톡시, 피페리딘-3-일메톡시, 1-메틸피페리딘-3-일메톡시, 호모피페리딘-3-일메톡시, 1-메틸호모피페리딘-3-일메톡시, 피페리딘-4-일메톡시, 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 호모피페리딘-4-일메톡시, 1-메틸호모피페리딘-4-일메톡시, 2-(피롤리딘-1-일)에톡시, 3-(피롤리딘-1-일)프로폭시, 2-(N-메틸피롤리딘-2-일)에톡시, 3-(N-메틸피롤리딘-2-일)프로폭시, 2-피페리디노에톡시, 3-피페리디노프로폭시, 2-모르폴리노에톡시, 3-모르폴리노프로폭시, 2-피페라진-1-일에톡시, 2-호모피페라진-1-일에톡시, 3-피페라진-1-일프로폭시, 3-호모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 2-(4-메틸호모피페라진-1-일)에톡시,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 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 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 3-메톡시프로필아미노메틸, 2-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 3-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 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아미노메틸,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메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메틸 및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페닐이고, 그리고 Q는 메틸 및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p는 0이고;
    q는 O이며;
    R4는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피페라진-1-일, 호모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및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로 3-위치가 치환된 페닐이고, 그리고 R4는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7. 제1항에 있어서, R3는 메틸 또는 클로로이고, Q는 2-아미노에틸아미노, 3-아미노프로필아미노, 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 4-아미노부틸아미노, 2-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4-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 4-디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N-(2-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4-메틸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메틸아미노,N-(4-디메틸아미노부틸)-N-메틸아미노, 피롤리딘-1-일, 3-히드록시피롤리딘-1-일, 모르폴리노, 피페리디노, 호모피페리디노, 피페라진-1-일, 호모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4-에틸피페라진-1-일, 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 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 또는 2-(1-메틸피롤리딘-2-일)에틸아미노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포함하는 3-피리딜 또는 4-피리딜이고;
    p는 O이며;
    q는 O이고;
    R4는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피페라진-1-일, 호모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및 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로 3-위치에서 치환된 페닐이고, 그리고, R4는 플루오로, 클로로, 시아노,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된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8. 제1항에 있어서,
    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3-(4-부톡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3-디메틸아미노페닐)-3-(4-프로필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4-카르복시벤즈아미도)-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벤즈아미드,
    N-(3,4-디클로로벤질)-3-(3,4,5-트리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N-(2-시클로헥실에틸)-3-(3,4-디메톡시벤즈아미도)-4-메틸벤즈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페닐)-4-메틸-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4-클로로-N-(3-디메틸아미노페닐)-3-(6-퀴놀릴카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3-(3-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3-[3-(1-메틸호모피페리딘-4-일옥시)벤즈아미도]벤즈아미드,
    3-(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톡시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3-(4-디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4-메틸-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4-메틸-3-[3-(4-메틸호모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도]-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4-메틸-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도]-N-(3-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 및
    3-[6-(2-아미노-2-메틸프로필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아미노]-4-클로로-N-(3-플루오로-5-모르폴리노페닐)벤즈아미드인 것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
  9. (a) 표준의 아미드 결합 형성 조건하에서 하기 화학식 II의 벤조산 또는 이의 반응성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III의 아민과 반응시키고, 필요할 경우,
    (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고,
    (ii) 임의로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 가능한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단계,
    화학식 II
    화학식 III
    H2N-(CH2)q-R4
    (상기 화학식에서, 기 정의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b) 전술한 표준의 아미드 결합 형성 조건하에서 하기 화학식 IV의 산 또는 이의 활성화된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VI의 아닐린과 반응시키고, 필요할 경우,
    (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고,
    (ii) 임의로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단계,
    화학식 IV
    화학식 VI
    (상기 화학식에서, 기 정의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c) Q 및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콕시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 C1-C6알킬티오,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또는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 또는 헤테로시클릴옥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간편하게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적절한 히드록시, 머캅토 또는 아미노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를 알킬화시키는 단계,
    (d) Q 및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카노일아미노 또는 치환된 C1-C6알카노일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아실화시키는 단계,
    (e) Q 및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C1-C6알칸설폰산 또는 이의 활성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f)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카르복시, 카르복시-C1-C6알킬, 카르복시-C1-C6알콕시, 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카르복시-C1-C6알킬아미노 또는 카르복시-C2-C6알카노일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적절하게 C1-C6알콕시카르보닐,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N-C1-C6알킬-C1-C6알콕시카르보닐-C1-C6알킬아미노 또는 C1-C6알콕시카르보닐-C2-C6알카노일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분해하는 단계,
    (g)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C1-C6알킬, 헤테로시클릴-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디-[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치환된 C2-C6알킬아미노-C1-C6알킬 또는 치환된N-C1-C6알킬-C2-C6알킬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Q 및 R4상의 치환체가 화학식 -C1-C6알킬렌-Z(여기서 Z는 치환 가능한 기임)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아민 또는 헤테로시클릴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h)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 헤테로시클릴, C1-C6알킬아미노, 디-[C1-C6알킬]아미노, 치환된 C1-C6알킬아미노, 치환된N-C1-C6알킬-C1-C6알킬아미노, 치환된 C2-C6알킬아미노, 또는 치환된N-C1-C6알킬-C2-C6알킬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Q 및 R4상의 치환체가 화학식 치환 가능한 기 Z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아민 또는 헤테로시클릴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i) Q 및 R4상의 치환체가N-C1-C6알킬-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간편하게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Q 및 R4상의 치환체가 C1-C6알칸설포닐아미노인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를 알킬화시키는 단계,
    (j) Q 및 R4상의 치환체가 히드록시-헤테로시클릴-C1-C6알콕시기, 히드록시-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기 또는 히드록시-디-[C1-C6알킬]아미노-C2-C6알콕시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에폭시 치환된 C1-C6알콕시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헤테로시클릴 화합물 또는 적절한 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
    (k) Q 및 R4상의 치환체가 아미노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R2또는 Q 및 R4상의 치환체가 니트로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의한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의한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1. 사이토킨에 의해 매개된 의학 상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1항에 의한 화학식 I의 아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또는생체내분해가능한 에스테르의 용도.
KR1020017001485A 1998-08-04 1999-07-29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 KR100628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816837.0A GB9816837D0 (en) 1998-08-04 1998-08-04 Amide derivatives
GB9816837.0 1998-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608A true KR20010099608A (ko) 2001-11-09
KR100628285B1 KR100628285B1 (ko) 2006-09-27

Family

ID=1083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485A KR100628285B1 (ko) 1998-08-04 1999-07-29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821965B1 (ko)
EP (1) EP1102743B1 (ko)
JP (1) JP4502509B2 (ko)
KR (1) KR100628285B1 (ko)
CN (1) CN1243724C (ko)
AT (1) ATE221047T1 (ko)
AU (1) AU756292B2 (ko)
BR (1) BRPI9912726B8 (ko)
CA (1) CA2337770C (ko)
CZ (1) CZ301971B6 (ko)
DE (1) DE69902277T2 (ko)
DK (1) DK1102743T3 (ko)
ES (1) ES2178895T3 (ko)
GB (1) GB9816837D0 (ko)
HK (1) HK1037608A1 (ko)
HU (1) HU230343B1 (ko)
IL (2) IL141184A0 (ko)
NO (1) NO321017B1 (ko)
NZ (1) NZ509162A (ko)
PL (1) PL195722B1 (ko)
PT (1) PT1102743E (ko)
RU (1) RU2220951C2 (ko)
SK (1) SK286446B6 (ko)
WO (1) WO2000007980A1 (ko)
ZA (1) ZA200100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6837D0 (en) 1998-08-04 1998-09-30 Zeneca Ltd Amide derivatives
US7772432B2 (en) * 1991-09-19 2010-08-10 Astrazeneca Ab Amidobenzamide derivatives which are useful as cytokine inhibitors
WO1999015164A1 (en) 1997-09-23 1999-04-01 Zeneca Limited 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mediated by cytokines
PL195600B1 (pl) 1998-05-15 2007-10-31 Astrazeneca Ab Pochodne benzamidowe, sposób ich wytwarzania, zawierające je kompozycje farmaceutyczne oraz ich zastosowanie do wytwarzania leku do leczenia stanów medycznych powstających za pośrednictwem cytokin
NZ507143A (en) 1998-05-15 2003-08-29 Astrazeneca Ab Benz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mediated by cytokines
CA2338121A1 (en) 1998-08-04 2000-02-17 Astrazeneca Ab Amid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the production of cytokines
CA2340454A1 (en) 1998-09-25 2000-04-06 Astrazeneca Ab Benz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cytokine derivatives
ES2246830T3 (es) 1999-03-17 2006-03-01 Astrazeneca Ab Derivados de amida.
US7008945B1 (en) * 1999-03-17 2006-03-07 Astrazeneca Ab Amide derivatives
GB9906566D0 (en) 1999-03-23 1999-05-19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GB9924092D0 (en) 1999-10-13 1999-12-15 Zeneca Ltd Pyrimidine derivatives
US6943161B2 (en) 1999-12-28 2005-09-13 Pharmacopela Drug Discovery, Inc. Pyrimidine and triazine kinase inhibitors
ATE311366T1 (de) * 2000-02-29 2005-12-15 Millennium Pharm Inc Benzamide und ähnliche inhibitoren vom faktor xa
ES2292607T3 (es) * 2000-07-27 2008-03-16 Eli Lilly And Company Amidas heterociclicas sustituidas.
AU2001277731A1 (en) 2000-08-09 2002-02-18 Welfide Corporation Fused bicyclic amide compounds and medicinal use thereof
GB0124934D0 (en)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GB0124939D0 (en) *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GB0124933D0 (en) *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GB0124938D0 (en) *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GB0124931D0 (en) *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GB0124936D0 (en) *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GB0124941D0 (en) * 2001-10-17 2001-12-0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EP1864975B1 (en) * 2002-02-12 2010-10-20 GlaxoSmithKline LLC Nicotinamide derivates useful as P38 inhibitors
EP1534282B1 (en) 2002-07-09 2006-12-2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K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nticholinergics and p38 kinas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GB0217757D0 (en) 2002-07-31 2002-09-11 Glaxo Group Ltd Novel compounds
US7202257B2 (en) 2003-12-24 2007-04-10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Anti-inflammatory medicaments
US7144911B2 (en) 2002-12-31 2006-12-05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Anti-inflammatory medicaments
US7279576B2 (en) 2002-12-31 2007-10-09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Anti-cancer medicaments
GB0308201D0 (en) * 2003-04-09 2003-05-14 Smithkline Beecham Corp Novel compounds
GB0308186D0 (en) * 2003-04-09 2003-05-14 Smithkline Beecham Corp Novel compounds
GB0308185D0 (en) * 2003-04-09 2003-05-14 Smithkline Beecham Corp Novel compounds
WO2004098518A2 (en) 2003-05-01 2004-11-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azole-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GB0324790D0 (en) 2003-10-24 2003-11-26 Astrazeneca Ab Amide derivatives
GB0329572D0 (en) * 2003-12-20 2004-01-28 Astrazeneca Ab Amide derivatives
KR100857312B1 (ko) 2004-01-28 2008-09-0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드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의 살충제로서의 사용 방법
GB0402143D0 (en) * 2004-01-30 2004-03-03 Smithkline Beecham Corp Novel compounds
US20060035893A1 (en) 2004-08-07 2006-02-1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20080051416A1 (en) * 2004-10-05 2008-02-28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Novel Compounds
DE102005023834A1 (de) * 2004-11-20 2006-05-24 Bayer Healthcare Ag Substituierte[(Phenylethanoyl)amino]benzamide
PE20060777A1 (es) 2004-12-24 2006-10-06 Boehringer Ingelheim Int Derivados de indolinona para el tratamiento o la prevencion de enfermedades fibroticas
GB0512429D0 (en) * 2005-06-17 2005-07-27 Smithkline Beecham Corp Novel compound
JP5149003B2 (ja) 2005-06-21 2013-02-20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アミド誘導体ならびに該化合物を含有する殺虫剤
JP4580836B2 (ja) * 2005-07-25 2010-11-17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殺虫殺菌組成物
BRPI0520441A2 (pt) 2005-07-27 2009-05-12 Mitsui Chemicals Inc composição para previnir organismos nocivos
US7754717B2 (en) * 2005-08-15 2010-07-13 Amgen Inc. Bis-aryl amid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US20070213378A1 (en) * 2006-03-10 2007-09-13 Lymphosign Inc. Compounds for modulating cell prolife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08031534A1 (en) 2006-09-11 2008-03-20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compounds
EP2083816A2 (en) 2006-10-27 2009-08-05 Brystol-Myers Squibb Company Heterocyclic amide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US8524907B2 (en) 2006-11-02 2013-09-03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synthesizing pharmaceutical salts of a factor Xa inhibitor
US8012955B2 (en) * 2006-12-28 2011-09-06 Rigel Pharmaceuticals, Inc. N-substituted-heterocycloalkyloxybenzamid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W200904421A (en) 2007-05-03 2009-02-01 Astellas Pharma Inc New compounds
EP1992344A1 (en) 2007-05-18 2008-11-19 Institut Curie P38 alpha as a therapeutic target in pathologies linked to FGFR3 mutation
EP2184273A1 (de) 2008-11-05 2010-05-12 Bayer CropScience AG Halogen-substituierte Verbindungen als Pestizide
EP2253617A1 (de) 2009-05-20 2010-11-24 Bayer CropScience AG Halogen-substituierte Verbindungen als Pestizide
EP2686303B1 (de) 2011-03-18 2016-01-20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N-(3-carbamoylphenyl)-1h-pyrazol-5-carboxamid- derivate und ihre verwendung zur bekämpfung von tierischen schädlingen
UY34305A (es) 2011-09-01 2013-04-30 Novartis Ag Derivados de heterociclos bicíclicos para el tratamiento de la hipertensión arterial pulmonar
US8461179B1 (en) 2012-06-07 2013-06-11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Dihydronaphthyridines and related compound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SI2953942T1 (en) 2013-02-06 2018-03-30 Bayer Cropscience Ag Halogen-substituted pyrazole derivatives such as pesticides
US9073921B2 (en) 2013-03-01 2015-07-07 Novartis Ag Salt forms of bicyclic heterocyclic derivatives
EP3066083B1 (de) 2013-11-05 2019-10-30 Bayer Animal Health GmbH Neue verbindungen zur bekämpfung von arthropoden
JP6878004B2 (ja) * 2013-12-13 2021-05-26 ダナ−ファーバー キャンサー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ンパ形質細胞性リンパ腫を処置する方法
US9856223B2 (en) 2013-12-13 2018-01-02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Methods to treat lymphoplasmacytic lymphoma
RU2016131792A (ru) 2014-01-03 2018-02-06 Байер Энимэл Хельс ГмбХ Новые пиразолил-гетероариламиды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 для борьбы с вредителями
AR101401A1 (es) 2014-08-08 2016-12-14 Bayer Cropscience Ag Derivados de bipirazol, sustituidos con halógeno
EP3715346B1 (en) 2014-10-22 2024-01-03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Thiazolyl-containing compounds for treating proliferative diseases
WO2016174049A1 (en) 2015-04-30 2016-11-03 Bayer Animal Health Gmbh Anti-parasitic combinations including halogen-substituted compounds
CN108137509B (zh) 2015-08-13 2021-03-19 拜耳作物科学股份公司 适用于防治节肢动物的吡咯、二唑、三唑或四唑衍生物
US20190060286A1 (en) 2016-02-29 2019-02-2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 Chemotherapeutic Methods
WO2018177993A1 (de) 2017-03-31 2018-10-04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Pyrazole zur bekämpfung von arthropoden
CN110475776B (zh) 2017-03-31 2024-03-19 拜耳作物科学股份公司 用于防治节肢动物的三环羧酰胺
BR112020015581A2 (pt) 2018-01-31 2021-02-02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terapia de combinação para o tratamento de tumores estromais gastrointestinais
WO2021030405A1 (en) 2019-08-12 2021-02-18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Ripretinib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MX2022001863A (es) 2019-08-12 2022-05-30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Metodos para tratar los tumores del estroma gastrointestinal.
EP4084779A1 (en) 2019-12-30 2022-11-09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Compositions of 1-(4-bromo-5-(1-ethyl-7-(methylamino)-2-oxo-1,2-dihydro-1,6-naphthyridin-3-yl)-2-fluorophenyl)-3-phenylurea
AU2020419197B2 (en) 2019-12-30 2023-08-31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Amorphous kinase inhibitor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79572B1 (en) 2022-09-02 2023-10-10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Methods of treating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3899A (en) * 1933-04-18 Cabboxylic acid abylides oe the benzene sebies and process oe making
US1909960A (en) * 1929-08-06 1933-05-23 Du Pont Intermediate for azo dyes
NL129433C (ko) * 1963-09-21
DE2812252A1 (de) 1978-03-21 1979-10-04 Bayer Ag 1,2,4-triazol-blockierte polyisocyanate als vernetzer fuer lackbindemittel
US4749729A (en) 1984-06-21 1988-06-07 American Cyanamid Company Epoxy resin compositions curable above 160 F. and below 250 F.
JPH0753835B2 (ja) * 1985-05-20 1995-06-07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ゾレ−キ顔料の製造法
GB9413975D0 (en) * 1994-07-11 1994-08-31 Fujisawa Pharmaceutical Co New heterobicyclic derivatives
JPH04177350A (ja) * 1990-11-13 1992-06-24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
WO1993004170A1 (en) 1991-08-23 1993-03-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af protein kinase therapeutics
GB9816837D0 (en) 1998-08-04 1998-09-30 Zeneca Ltd Amide derivatives
AU6526896A (en) * 1995-07-22 1997-02-18 Rhone-Poulenc Rorer Limited 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
WO1997005878A1 (en) 1995-08-10 1997-02-20 Merck & Co., Inc. 2,5-substituted aryl pyrroles,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US6174887B1 (en) * 1995-08-22 2001-01-16 Japan Tobacco Inc. Amide compounds and use of the same
JPH09124571A (ja) * 1995-11-01 1997-05-13 Japan Tobacco Inc アミド化合物及びその用途
GB9604926D0 (en) 1996-03-08 1996-05-08 Sandoz Ltd Organic compounds
WO1998006715A1 (en) 1996-08-09 1998-02-19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Novel piperazine containing compounds
GB9623833D0 (en) 1996-11-16 1997-01-08 Zeneca Ltd Chemical compound
WO1999015164A1 (en) 1997-09-23 1999-04-01 Zeneca Limited 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mediated by cytokines
US6022884A (en) * 1997-11-07 2000-02-08 Amgen Inc. Substituted pyrid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GB9809347D0 (en) 1998-05-05 1998-07-01 Reckitt & Colmann Prod Ltd Compositions
NZ507143A (en) 1998-05-15 2003-08-29 Astrazeneca Ab Benz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mediated by cytokines
PL195600B1 (pl) 1998-05-15 2007-10-31 Astrazeneca Ab Pochodne benzamidowe, sposób ich wytwarzania, zawierające je kompozycje farmaceutyczne oraz ich zastosowanie do wytwarzania leku do leczenia stanów medycznych powstających za pośrednictwem cytokin
CA2338121A1 (en) 1998-08-04 2000-02-17 Astrazeneca Ab Amid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the production of cytokines
CA2340454A1 (en) 1998-09-25 2000-04-06 Astrazeneca Ab Benz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cytokine derivatives
CA2341374A1 (en) 1998-10-01 2000-04-13 Astrazeneca Ab Quinoline and quinazo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cytokine mediated diseases
ES2246830T3 (es) 1999-03-17 2006-03-01 Astrazeneca Ab Derivados de amida.
US7008945B1 (en) 1999-03-17 2006-03-07 Astrazeneca Ab Amide derivatives
GB9924092D0 (en) 1999-10-13 1999-12-15 Zeneca Ltd Pyrimid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7770C (en) 2009-01-20
CN1243724C (zh) 2006-03-01
SK286446B6 (sk) 2008-10-07
PT1102743E (pt) 2002-12-31
GB9816837D0 (en) 1998-09-30
KR100628285B1 (ko) 2006-09-27
DE69902277D1 (de) 2002-08-29
IL141184A0 (en) 2002-02-10
DE69902277T2 (de) 2003-06-18
SK1722001A3 (en) 2001-08-06
ZA200100617B (en) 2002-01-22
CZ301971B6 (cs) 2010-08-18
WO2000007980A1 (en) 2000-02-17
NZ509162A (en) 2004-01-30
BRPI9912726B8 (pt) 2021-07-06
JP4502509B2 (ja) 2010-07-14
CN1330631A (zh) 2002-01-09
US6821965B1 (en) 2004-11-23
CZ2001384A3 (cs) 2001-07-11
PL195722B1 (pl) 2007-10-31
EP1102743B1 (en) 2002-07-24
HK1037608A1 (en) 2002-02-15
BRPI9912726B1 (pt) 2011-05-31
PL345809A1 (en) 2002-01-02
RU2220951C2 (ru) 2004-01-10
NO20010533L (no) 2001-03-30
EP1102743A1 (en) 2001-05-30
NO321017B1 (no) 2006-02-27
HU230343B1 (hu) 2016-02-29
BRPI9912726A (pt) 2001-05-02
AU5179199A (en) 2000-02-28
CA2337770A1 (en) 2000-02-17
DK1102743T3 (da) 2002-09-30
NO20010533D0 (no) 2001-01-31
HUP0103366A2 (hu) 2002-01-28
JP2002522414A (ja) 2002-07-23
ES2178895T3 (es) 2003-01-01
AU756292B2 (en) 2003-01-09
IL141184A (en) 2009-11-18
ATE221047T1 (de) 2002-08-15
HUP0103366A3 (en) 200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285B1 (ko)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
KR100618074B1 (ko)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것의 사이토킨 억제제로서 용도
KR100757282B1 (ko) 아미드 유도체
RU2284187C2 (ru) Производные амида,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лечения
KR20010099609A (ko) 사이토킨의 생성 억제제로서 유용한 아미드 유도체
JP2002515476A (ja) サイトカインにより仲介される疾病の処置のためのベンズアミド誘導体
JP2001517620A (ja) サイトカインにより媒介される疾患の処置用のアミド誘導体
JP2002526538A (ja) 化学化合物
US7772432B2 (en) Amidobenzamide derivatives which are useful as cytokine inhibitors
MXPA01000758A (en) Amide derivatives which are useful as cytokine inhibitors
MXPA01009308A (en) Amide derivatives
CZ20011093A3 (cs) Amidové deriváty, které jsou užitečné jako inhibitory produkce cytokinů, způsob jejich přípravy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je obsahuj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