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924A -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924A
KR20010085924A KR1020017004731A KR20017004731A KR20010085924A KR 20010085924 A KR20010085924 A KR 20010085924A KR 1020017004731 A KR1020017004731 A KR 1020017004731A KR 20017004731 A KR20017004731 A KR 20017004731A KR 20010085924 A KR20010085924 A KR 2001008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vehicle
motor
control system
auxiliar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444B1 (ko
Inventor
야마다요시아끼
야마다준
사사끼마사까즈
Original Assignee
나까자와 히로후미
닛산 디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자와 히로후미, 닛산 디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자와 히로후미
Publication of KR2001008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원동기로서의 주행용 전동기와, 그 출력을 차량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브레이크 등에 이용하는 공기압의 발생원으로서의 공기 압축기나 파워스티어링에 이용하는 유압의 발생원으로서의 오일 펌프 등 보조 기기류를 구동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하면 차량의 운행 중에 보조 기기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을 보조 기기류(20, 21)에 전달하는 동력 취출 기구(8, 9, 10a, 10b, 10c)와, 상기 동력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보조 기기류로의 회전 전달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11)와,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30 내지 32)을 마련한다. 상기 판정 결과로부터,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이 정상인 때는 전자 클러치(11)를 절단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어 계통이 이상인 때에는 전자 클러치(11)를 접속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보조 기기류를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보조 기기류를 구동하여 차량의 정상적인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AUXILIARY MACHINERY DRIVER FOR CAR}
차량 주행용의 원동기로서, 엔진과 전동기를 구비한 이원 원동기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10-755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51907호 공보). 이원 원동기에서는 엔진을 정지하여 전동기의 구동력에만 의해 주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공급하는 유압을 발생하는 오일 펌프나 브레이크 장치 등에 공급하는 공기압을 발생하는 공기 압축기 등, 차량의 운행에 따라 항상 사용되는 보조 기기류를 엔진만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은 이원 원동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이원 원동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 기기류를 전동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경우에 보조 기기 구동을 위한 전동기 계통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유압이나 공기압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에 따라 사용되는 오일 펌프나 공기 압축기 등의 보조 기기류를 차량에 탑재한 원동기에 의해 구동하기 위한 보조 기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의 제어 내용을 설명하는 표.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도.
본 발명은, 보조 기기 구동을 위한 전동기 계통에 고장이 발생해도 차량의주행 중에는 보조 기기류의 작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제1 발명은 차량의 원동기로서의 주행용 전동기와, 그 출력을 차량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차량의 보조 기기류를 구동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을 상기 보조 기기류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 취출 기구와, 상기 동력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보조 기기류로의 회전 전달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보조 기기용 전동기 자체를 포함함)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와, 이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이라 판정된 때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절단 상태로 하고, 또는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이상이라 판정된 때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는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 차량의 주행 중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인 동안은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는 전자 클러치를 절단 상태로 유지하므로, 보조 기기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가 구동한다. 이에 대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 예를 들어 보조 기기용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절단이나 단락 등 혹은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회전 정지 등의 이상이 발생하면, 이 이상 발생을 이상 판정 장치가 판정하고, 이 이상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가 전자 클러치를 접속시켜 동력 전달 기구로부터의 회전을 동력 취출 기구를 거쳐서 공기 압축기나 파워스티어링용 오일 펌프 등 보조 기기류의 구동축에 전달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조 기기류는 주행용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게 되므로,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등으로의 공기압이나 파워스티어링 장치로의 유압의 공급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은 차량의 원동기로서의 주행용 전동기와, 그 출력을 차량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차량의 보조 기기류를 구동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을 상기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에 전달하는 동력 취출 기구와, 상기 동력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로의 회전 전달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보조 기기용 전동기 자체를 포함함)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와, 이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이라 판정된 때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절단 상태로 하고, 또는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이상이라 판정된 때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는 전자 클러치제어 장치를 설치한다.
이 경우, 차량의 주행 중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인 동안은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는 전자 클러치를 절단 상태로 유지하므로, 보조 기기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가 구동한다. 이에 대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이상 판정 장치가 판정하면,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가 전자 클러치를 접속시켜 동력 전달 기구로부터 동력 취출 기구를 거쳐서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때에는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가 작동함으로써,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등으로의 공기압이나 파워스티어링 장치로의 유압의 공급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를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때라도 강제적으로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인 때에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에 의해 오일 펌프나 공기 압축기 등의 보조 기기류가 구동된다. 이 때 전자 클러치를 강제적으로 접속하면, 상기 보조 기기류에다가 예비용의 오일 펌프나 공기 압축기 등이 주행용 전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오일 펌프나 공기 펌프의 출력이 증대하여, 브레이크 장치나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작동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는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 주행용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이들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주행용 전동기 회전시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회전수가 미리 정한 설정치 이하가 된 때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보조 기기용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중에는 항상 구동되므로, 주행용 전동기가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조 기기용 전동기가 예를 들어 정지 상태에 있다고 하면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이상 발생을 검출한 때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여 조기 수리를 촉구할 수 있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차량의 원동기로서의 주행용 전동기이며, 이 주행용 전동기(1)는 전원의 공급을 받으면, 차량 주행용의 구동력을 발생한다. 그 구동력은 감속용의 기어 박스(3)를 거쳐서 프로펠러 샤프트(4)에 출력되고, 차동 기기(5)로부터 액슬(6)을 거쳐서 구동륜(7)에 전달된다. 즉, 주행용 전동기(1)의 출력을 차량의 구동륜(7)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로서, 감속용의 기어 박스(3), 프로펠러 샤프트(4), 차동 기기(5), 액슬(6)이 설치된다.
감속용의 기어 박스(3)에는 주행용 전동기(1)에 연결하는 입력축(3a)과, 프로펠러 샤프트(4)에 연결하는 출력축(3b)과, 이들 사이에 소정의 기어비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3c, 3d)가 설치된다. 또한, 출력축(3b)의 기어(3d)에 소정의 기어비로 맞물리는 기어(8)와, 그 회전을 기어 박스(3)의 외측으로 취출하기 위한 회전축(9)이 구비된다. 회전축(9)과 후술하는 보조 기기류(20, 21)의 구동축 사이에한 쌍의 풀리(10a, 10b)와 이들을 동기적으로 회전시키는 벨트(10c)가 설치되고, 기어(8) 및 그 회전축(9)과 함께 동력 전달 기구로부터 회전을 보조 기기류(20, 21)의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동력 취출 기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회전축(9)의 도중에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11)가 개재 장착된다.
한편, 도면 부호 20은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등에 공급하는 공기압의 발생원으로서의 공기 압축기, 도면 부호 21은 파워스티어링 장치 등에 공급하는 유압의 발생원으로서의 오일 펌프이며, 이들 보조 기기류(20, 21)는 서로 구동축 끼리가 동축 상에 연결되고, 공기 압축기(20) 측의 구동축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회전축이 연결된다. 보조 기기용 전동기(20)는 차량의 주행 중에는 항상 운전되고, 정차 중에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운전하도록(예를 들어, 공기 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치 이하인 때는 정차 중이라도 운전함)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도면 부호 30은 전자 클러치(11)의 단속을 제어하는 제어기이며,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 및 판정 장치의 기능을 겸비한다. 또한,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31)와, 주행용 전동기(1)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차속) 센서(32)가 설치된다. 제어기(30)는 이들 센서(31, 32)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로부터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의 정상시는 전자 클러치(11)를 절단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의 이상시는 전자 클러치(11)를 접속 상태로 절환한다. 또한, 제어기(30)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제어 계통의 이상을 판정하면, 소정의 경보를 발생하도록 운전실의 경보기(33), 예를 들어 부저나 램프 등을 작동시키는 기능도 구비한다.
도2는 제어기(30)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내용에 대해,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의 이상을 어떻게 판정하는지를 포함해 설명하는 표이다. 보조 기기용 전동기(22)는 정상시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중에는 항상 운전되고, 정차 중에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운전되는 것이며, 이것을 전제로 제어기(30)에 있어서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즉, 제어기(3)는 회전 센서(31, 32)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주행용 전동기(1)가 정지인 상태에서 보조 기기용 전동기(22)가 정지 또는 회전 중인 때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은 정상이라 판정하고, 이 때 전자 클러치(11)를 절단 상태로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주행용 전동기(1)가 회전 중인 상태에서 보조 기기용 전동기(22)가 회전 중인 때에도,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은 정상이라 판정하고, 이 때 전자 클러치(11)를 절단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대하여, 주행용 전동기(1)가 회전 중인 상태에서 보조 기기용 전동기(22)가 정지한 때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이 때 전자 클러치(11)를 접속 상태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량의 주행 중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이상이 판정되면, 전자 클러치(11)가 접속되어 주행용 전동기(1)의 회전이 감속용의 기어 박스(3)로부터 동력 취출 기구를 거쳐서 공기 압축기(20) 및 파워스티어링용 오일 펌프(21)의 구동축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 기기용 전동기(22) 계통이정지하더라도, 공기 압축기(20) 및 오일 펌프(21)는 주행용 전동기(1)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므로, 브레이크 장치 등에 이용하는 공기압이나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이용하는 유압의 공급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운전실의 경보기(33)가 작동하므로, 운전자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의 이상을 바로 알 수 있다.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이 정상인 때는 전자 클러치(11)는 절단 상태로 유지되고, 이 사이 공기 압축기(20) 및 파워스티어링용 오일 펌프(21)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속용 기어 박스(3)에 있어서, 그 출력축(3b)과 회전축(9) 사이에 소정의 기어비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8a, 8b)가 설치되고, 기어 박스(3)의 외부에서 회전축(9)에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로서 공기 압축기(20a) 및 파워스티어링용 오일 펌프(21a)가 동축 상에 연결된다. 즉, 예비용의 공기 압축기(20a) 및 오일 펌프(21a)가 한 쌍의 기어(8a, 8b)와 회전축(9)으로 이루어지는 동력 취출 기구를 거쳐서 기어 박스(3)의 출력축(3b)에 연결된다. 회전축(9)의 도중에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11)가 개재 장착되고, 전자 클러치(11)를 도2와 같이 제어하는 제어기(30)가 설치된다. 또, 도3에 있어서 도1과 동일한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량의 주행 중에 제어기(30)에 의해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이상이 판정되면, 전자 클러치(11)가 접속되어 감속용의 기어 박스(3)로부터 동력 취출 기구를 거쳐서 출력되는 회전에 의해 예비용의 공기 압축기(20a)및 파워스티어링용 오일 펌프(21a)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 기기용 전동기(22)가 정지하더라도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20a, 21a)가 주행용 전동기(1)의 회전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 등에 이용하는 공기압이나 파워스티어링에 이용하는 유압의 공급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조 기기용 전동기(22) 계통이 정상인 때는 전자 클러치(11)는 절단 상태로 유지되고, 보조 기기류(20, 21)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도3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20, 20a)는 공기 탱크(40)에 대하여 병렬로 배관된다. 공기 압축기(20, 20a)의 한쪽이 구동되면, 공기 탱크(40)로 공기압이 공급되지만, 그 공기압이 정지 중인 다른 한쪽의 공기 압축기(20a, 20)를 거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의 병렬부에 각각 체크 밸브(41, 41)가 개재 장착된다. 오일 펌프(21, 21a)에 대해서도,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파워스티어링 장치(45)와 오일 탱크(46)에 대하여 병렬로 배관된다. 오일 펌프(21, 21a)의 한쪽이 구동되면, 파워스티어링 장치(45)로 유압이 공급되지만, 그 유압이 정지 중인 다른 한쪽의 오일 펌프(21a, 21)를 거쳐서 저압측으로 도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토출 측의 배관에 각각 체크 밸브(46, 46a)가 개재 장착된다.
또, 전자 클러치(11)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22)의 제어 계통의 이상시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 경우, 2계통의 보조 기기류(20, 20a, 21, 21a)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공기 탱크(40)로의 압축 공기의 유량이나 파워스티어링 장치(45)로의 압유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어, 공기 탱크(40)의 공기압을 빠르게 상승할 수 있는 동시에 파워스티어링 장치(45)의조력을 증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원동기로서의 주행용 전동기와, 그 출력을 차량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차량의 보조 기기류를 구동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을 상기 보조 기기류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 취출 기구와,
    상기 동력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보조 기기류로의 회전 전달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와,
    이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이라 판정된 때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절단 상태로 하고, 또는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이상이라 판정된 때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는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2. 차량의 원동기로서의 주행용 전동기와, 그 출력을 차량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차량의 보조 기기류를 구동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을 상기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에 전달하는 동력 취출 기구와,
    상기 동력 취출 기구에 의한 상기 예비용의 보조 기기류로의 회전 전달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와,
    이 판정 결과로부터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이라 판정된 때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절단 상태로 하고, 또는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이상이라 판정된 때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는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기류는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등에 이용하는 공기압의 발생원으로서의 공기 압축기 및/또는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이용하는 유압의 발생원으로서의 오일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이 정상 또는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는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 주행용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이들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주행용 전동기 회전시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회전수가 미리 정한 설정치 이하가 된 때에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이상 발생을 검출한 때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 제어 장치는 보조 기기용 전동기의 제어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때라도 강제적으로 상기 전자 클러치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KR10-2001-7004731A 1998-10-15 1999-03-24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KR100506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93672 1998-10-15
JP29367298A JP3611731B2 (ja) 1998-10-15 1998-10-15 車両の補機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924A true KR20010085924A (ko) 2001-09-07
KR100506444B1 KR100506444B1 (ko) 2005-08-08

Family

ID=1779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731A KR100506444B1 (ko) 1998-10-15 1999-03-24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24218B1 (ko)
EP (1) EP1129887B1 (ko)
JP (1) JP3611731B2 (ko)
KR (1) KR100506444B1 (ko)
CN (1) CN1176819C (ko)
CA (1) CA2347088A1 (ko)
DE (1) DE69938254T2 (ko)
WO (1) WO2000021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8991B2 (ja) * 2002-02-05 2007-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モータ搭載型車両
EP1346867B1 (de) * 2002-03-22 2007-05-09 Ponte Vecchio Consult Sagl Angetriebene Zusatzein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KR100460609B1 (ko) * 2002-10-10 2004-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압 에어컴프레셔 작동장치
US7282003B2 (en) * 2004-07-29 2007-10-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train including input disconnect and accessory drive system for an electrically variable transmission
GB2435302A (en) * 2006-02-10 2007-08-22 Ford Global Tech Llc Motor vehicle i.c. engine ancillary drive
US7748483B2 (en) * 2006-03-10 2010-07-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cessory drive system and method for a parallel electric hybrid vehicle
JP2008290576A (ja) * 2007-05-24 2008-12-04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4311754B2 (ja) * 2007-06-21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WO2011074345A1 (ja) 2009-12-18 2011-06-23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補機駆動機構
CN102167029A (zh) * 2011-03-23 2011-08-31 北京高峰新扬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集成控制动力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US9132725B2 (en) * 2011-05-09 2015-09-15 Cummins Inc. Vehicle and hybrid drive system
CN102700412A (zh) * 2012-06-12 2012-10-0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工程机械及附加车轴装置
KR101470095B1 (ko) * 2012-12-12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기 통합형 조향장치
US8939240B2 (en) * 2013-03-01 2015-01-27 Paccar Inc Engine accessory drive system
KR101528535B1 (ko) * 2014-02-03 2015-06-15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상용 및 특수 차량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6163894B (zh) * 2014-03-31 2018-12-18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在用于驱动系统的驱动源之间具有优化式切换的同步化附件装置驱动系统
US10207710B1 (en) * 2014-06-25 2019-02-19 Kurt Daims Steering and braking systems for a coasting motor vehicle
JP2016037230A (ja) * 2014-08-08 2016-03-2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
DE102015106842A1 (de) * 2015-05-04 2016-11-1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mit verringertem Wartungsaufwand
CN106394530B (zh) * 2015-07-31 2019-01-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制动和转向的组合系统
CN106394527B (zh) * 2015-07-31 2019-02-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制动和转向的组合系统
JP6225970B2 (ja) * 2015-09-30 2017-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2017222929A1 (de) * 2017-12-15 2019-06-1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eines Kraftfahrzeugs
WO2020127352A1 (de) * 2018-12-19 2020-06-25 Magna powertrain gmbh & co kg Aktuierungseinheit zum betätigen von zumindest zwei funktionseinheiten in eine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132A (en) * 1976-11-19 1979-01-02 Caterpillar Tractor Co. Power train with an auxiliary creeper drive system
DE7916367U1 (de) * 1979-06-07 1979-09-06 Polysius Ag, 4720 Beckum Antriebsanordnung fuer ein rotierendes aggregat
JPH0475402A (ja) * 1990-07-16 1992-03-10 Nissan Motor Co Ltd 電動モータによる変速機の制御装置
JPH05336602A (ja) * 1992-05-27 1993-12-17 Hitachi Ltd 電動車用制御装置
US5558173A (en) * 1993-09-23 1996-09-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hybrid transmission with mechanical accessory drive
JP3211626B2 (ja) * 1994-06-29 2001-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
JP3620137B2 (ja) * 1996-02-01 2005-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補機駆動装置及び補機駆動方法
JPH1021907A (ja) 1996-07-01 1998-01-23 Chuo Denki Kogyo Kk 水素吸蔵合金粉末の製造方法とNi−水素電池
JP3853878B2 (ja) 1996-08-29 2006-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DE19828844A1 (de) * 1997-07-14 1999-01-21 Atlas Fahrzeugtechnik Gmbh Getriebe
US6048288A (en) * 1997-11-18 2000-04-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trai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3345576B2 (ja) * 1998-01-08 2002-11-18 モトール自動車株式会社 原動機の変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21775A1 (fr) 2000-04-20
US6524218B1 (en) 2003-02-25
EP1129887B1 (en) 2008-02-27
JP2000125402A (ja) 2000-04-28
JP3611731B2 (ja) 2005-01-19
DE69938254T2 (de) 2009-02-19
EP1129887A4 (en) 2003-05-21
CN1323265A (zh) 2001-11-21
EP1129887A1 (en) 2001-09-05
DE69938254D1 (de) 2008-04-10
CA2347088A1 (en) 2000-04-20
KR100506444B1 (ko) 2005-08-08
CN1176819C (zh)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444B1 (ko) 차량의 보조 기기 구동 장치
KR100347977B1 (ko) 보조주행장치부착 차량
US20180126966A1 (en) Brake actuator-based prognos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GB2318774A (en) Two/four wheel drive shifting device
JP2001138947A (ja) ステアリングポンプ監視付きの無限軌道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20120124600A (ko) 차량용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21511B2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for hydrostatic travel drives and travel drive with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CA2363286C (en) Hydrostatic system with charge flow monitoring
KR20150044141A (ko) 철도차량용 감속장치의 이상유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1187482B1 (ko) 차동제한기능을 구비한 모터 구동식 4륜 구동장치
JP3314886B2 (ja) 4輪走行装置の油圧駆動系異常検出装置
KR20090068919A (ko) 지게차의 전복방지장치
US20020070056A1 (en) Steering tra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work machine
JP3860777B2 (ja) 車両の走行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21181006A1 (en) Mobile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working machine
CN110758288A (zh) 控制总成以及燃油卡车
JP2009063026A (ja) 作業車両
JPH0840246A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2021084521A (ja) 制動システム、車両および車両群
KR20150039584A (ko) 하이브리드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9980054173A (ko) 자동차용 전자공압식 변속장치
KR100198353B1 (ko) 전자식 클러치 마모경고장치
JP2982633B2 (ja) 制動エネルギ回生装置
JP2819835B2 (ja) 四輪駆動車の駆動力配分制御装置
KR20070068518A (ko) 중장비용 파워트레인의 이상 유무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