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590A - 경화판별장치 - Google Patents

경화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590A
KR20010082590A KR1020000078668A KR20000078668A KR20010082590A KR 20010082590 A KR20010082590 A KR 20010082590A KR 1020000078668 A KR1020000078668 A KR 1020000078668A KR 20000078668 A KR20000078668 A KR 20000078668A KR 20010082590 A KR20010082590 A KR 20010082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ata
pattern data
curing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858B1 (ko
Inventor
요시다토시오
모리타니타카오
이마이시게토시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2001008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05Testing the surface pattern, e.g. relie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경화판별장치에는 반송될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여 경화의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는 자기센서와, 경화의 광학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센서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광학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와, 판별될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와, 광학센서에 의해 생성된 광학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광학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결정하는 제 1경화판별수단과,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 또는 이면의 기준광학데이터가 제 1경화판별수단이 수용할 수 있는 경화와 그것에 의해 경화의 권종을 판정할 때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선택된 자기기준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자기센서에 의해 생성된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화판별장치에 의하면, 직경데이터와 그 표면패턴데이터 등의 위조경화로부터 구한 광학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진짜경화와 일치하는 경우 및 위조경화로부터 구한 자기데이터가 권종의 경화와 유사한 경우조차도 위조경화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화판별장치{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경화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조경화로부터 얻어진 직경데이터 및 표면패턴데이터 등의 광학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광학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및 위조경화의 자기데이터와 그 권종의 경화의 자기데이터가 유사한 경우에도 위조경화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한 경화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 8-36661호는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며, 광학센서에 의해 생성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의 광학데이터 즉, 직경데이터 및 표면패턴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경화의 자기데이터, 직경데이터 및 표면패턴데이터에 따라서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경화가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될 때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는 경화판별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 경화의 각 권종에 대하여 단일기준 자기데이터만이 할당된다. 그러므로, 위조경화로부터 얻어진 직경데이터 및 표면패턴데이터 등의 광학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광학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및 위조경화의 자기데이터와 그 권종의 경화의 자기데이터가 유사한 경우에, 위조경화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조경화로부터 얻어진 직경데이터 및 표면패턴데이터 등의 광학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광학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및 위조경화의 자기데이터와 그 권종의 경화의 자기데이터가 유사한 경우에도 위조경화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반송되어 있는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고 상기 경화의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는 자기센서수단과, 상기 경화의 광학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센서수단과,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광학데이터 기억수단과, 판별되는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자기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광학센서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경화의 광학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광학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는 제 1경화판별수단과,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이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했을 때 상기 권종의 경화 표면의 기준 광학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선택된 기준 자기데이터를 상기 기준 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것을 상기 자기센서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화판별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송되는 경화에 대하여 동일한 측에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이 설치된 반사형 자기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경화의 자기데이터는 상기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요철패턴에 기인하여 경화의 표면이 검출되었는지 이면이 검출되었는지에 따라서 다르며, 반송되는 경화에 대하여 다른 측에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이 설치된 투과형 자기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경화의 자기데이터는 발신코일과 상기 경화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다르므로 상기 경화의 자기데이터는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요철패턴에 기인하여 상기 경화의 표면이 검출되었는지 이면이 검출되었는지에 따라서 다르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경화판별수단은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그 경화의 권종을 검출하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이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했을 때 상기 권종의 경화 표면의 기준 광학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선택된 기준 자기데이터를 상기 기준 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것을 상기 자기센서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한다. 그러므로, 위조경화의 직경데이터나 표면패턴데이터 등의 광학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광학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및 위조경화의 자기데이터가 상기 권종의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유사한 경우에도 위조경화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수단은 적어도 한 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은 반송되는 경화에 대하여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수단은 적어도 한 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은 반송되는 경화에 대하여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학센서수단은 상기 경화의 일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경화의 일면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광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수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상패턴데이터는 상기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패턴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광학데이터는 판별되는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경화판별장치는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은 상기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직경데이터와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기준 직경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권종마다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독출하며, 그것을 상기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이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했을 때 상기 권종의 경화 표면의 기준 패턴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선택된 기준 자기데이터를 상기 기준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것을 상기 자기센서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학센서수단은 상기 경화의 일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제 1광원과, 상기 제 1광원으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경화의 일면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광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상기 제 1수광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경화의 다른 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제 2광원과, 상기 제 2광원으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경화의 다른 면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을 광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상기 제 2수광수단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은 권종마다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상기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는 제 1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는 제 2판별수단과, 상기 제 1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정하는 제 3판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제 3판별수단에 의해서 판별되는 경화의 권종에 대응하고 상기 제 1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판별수단이 상기 자기센서의 상기 발신코일이 위치하는 측면의 상기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든지 간에 사용되는 상기 경화면에 대응하는 기준 자기데이터를 상기 기준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것을 상기 자기센서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는 제 1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권종마다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는 제 2판별수단과, 상기 제 1판별수단과 상기 제 2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정하는 제 3판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경화판별수단은 상기 경화 양면의 상기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정하고, 상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제 3판별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상기 경화의 권종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자기데이터메모리로부터 경화의 기준 자기데이터를 독출하기 때문에,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적당한 권종의 기준 자기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할 수 있으며, 경화판별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상기 자기센서의 발신코일이 위치하는 측의 상기 경화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판별수단이나 제 2판별수단이 상기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여 사용된 상기 경화의 면에 대응하는 경화면의 기준 자기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기 때문에, 위조경화로부터 얻어진 직경데이터 및 표면패턴데이터 등의 광학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광학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나 상기 위조경화의 자기데이터가 상기 권종의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유사한 경우에도 위조경화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패턴데이터는 경화의 직경데이터 및 패턴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광학데이터는 모든 권종의 경화의 직경 및 모든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1판별수단은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모든 권종의 경화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고, 이런 식으로 판정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것을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모든 권종의 경화 직경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정하고, 이런 식으로 판정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상기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것을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이나 제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정하면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상기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과 일치한다고 판별함으로써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상기 권종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 명백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투명통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메모리계 및 판별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1판별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판별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및 판별계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제 1판별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2판별수단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중심좌표 산출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CCD영역센서에 의해서 생성되고 화상 패턴데이터메모리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의 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패턴데이터 변환에 의해서 도 10에 나타낸 패턴데이터를 r-θ 좌표계로 좌표변환하여 생성된 변환 패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r-θ 좌표계에 전개된 도 10의 경화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데이터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0에서 도 11의 변환 패턴데이터를 360도의 범위로 독출하여 얻어진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데이터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0에서 도 12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360도의 범위로 독출하여 얻어진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재전개 후에 변환패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메모리계 및 판별계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 1경화판별수단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경화 2. 경화통로
4.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 5.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
6. 반송벨트 9. 제 1투명통로부
10. 제 2투명통로부 11. 한 쌍의 가이드레일
12. 자기센서 12a. 발신코일
12b. 수신코일 21. 제 1발광수단
22.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 24. CCD영역센서
27, 27. 타이밍 센서 31. 제 2발광수단
32.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 50.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
51.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 52.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
53. 자기데이터 메모리 56. 제 1판별수단
57. 제 2판별수단 58. 제 3판별수단
63. A/D컨버터 65. 제 1광학적 판별수단
66. 중심좌표 결정수단 67. 2치화 데이터 생성수단
68. 제 2광학적 판별수단 75. 제 3광학적 판별수단
78. 제 4광학적 판별수단 81. 제 1경화판별수단
82. 제 2경화판별수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1)가 반송되는 경화통로(2)는 경화(1)의 반송방향으로 연장된 경화통로부재(3)를 갖추고 있다. 경화판별장치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와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를 갖추고 있다.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에 있어서, 경화통로(2)는 하부에 위치한 경화통로부재(3)와 상부에 위치한 엔드리스형(endless-like) 환상벨트에 의해서 구성된 반송밸트(6)로 형성되어 있다.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에 있어서, 경화통로(2)는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엔드리스형 환상벨트로 구성된 반송벨트(7)와, 반송벨트(7)의 상부에 설치되고 경화(1)의 반송방향으로 연장한 경화통로 형성부재(8)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가 설치된경화통로부재(3)는 글라스,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9)로 형성되며, 경화통로 형성부재(8)는 글라스,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10)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제 1투명통로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는 경화통로(2)의 상방에 위치한 반송벨트(6)에 의해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 11)을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경화통로(2)의 제 1투명통로부(9)를 향하여 보내진다. 경화(1)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제 1투명통로부(9)의 상류측에는, 한 쌍의 발신코일(12a)과 수신코일(12b)을 포함하는 자기센서(12)가 경화통로(2)의 폭방향으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고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투명통로부(9)에서 경화(1)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제 1투명통로부(9)의 표면에 가압되어 경화통로(2)에서 송신된다. 제 1투명통로부(9)의 하방에는, 제 1투명통로부(9)를 통과하는 경화(1)의 하측면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20)를 포함하는 제 1발광수단(21)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 1발광수단(21)의 하방에는 제 1발광수단(21)으로부터 조사되고 경화(1)의 하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수집하며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는 제 1발광수단(21)과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발광수단(21)에는 중심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부에 있는 원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LEDs)와 같은 복수의발광소자(20)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발광소자(20)는 그것의 광축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부와 중심이 일치하는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의 소정의 점을 향하여 작은 각도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1투명통로부(9)를 통과하는 경화(1)의 하측면에 얕은 각도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는 광축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부와 중심이 일치하는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렌즈계(23)와, 초점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상측면에 위치하며 발광소자(20)로부터 발광되고 경화(1)의 하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도록 상기 렌즈계(23)의 하방에 배치된 CCD 영역센서(24)와,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경화(1)의 하측면의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A/D컨버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바로 하류측에는, 경화통로(2)의 폭방향에 발광소자(25)와 수광소자(26)를 포함하는 두 세트의 타이밍 센서(27, 27)를 설치함으로써, 수광소자(26)는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1투명통로부(9)를 통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각각은 수광소자(26)가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집하지 않는 경우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센서(27)는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 1투명통로부(9)의 표면상에 반송되고 있는 경화(1)에 의해서 차단되어 수광소자(26)에 의해서 수광되지 않음으로써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때, 경화(1)의 중심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1)는 경화통로(2)의 상방에 설치된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에 가압되면서 제 1투명통로부(9)와 그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제 1투명통로부(9)의 하류부에서, 경화(1)는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반송벨트(7)에 의해서 지지되며, 반송벨트(6)와 반송벨트(7) 사이에서 유지되면서 경화통로(2)내로 반송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벨트(6)의 종단부의 바로 하류부에서는, 경화(1)의 상측면이 경화통로 형성부재(8)에 의해서 지지되며, 경화(1)는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측면에 가압되면서 경화통로(2)의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로 반송된다. 반송벨트(7)가 경화의 자중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백업롤러(back-up rollers)(7b, 7c)가 설치되어 있다.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는 제 2투명통로부(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는 경화(1)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30)와, 제 2발광수단(31)으로부터 조사되고 경화(1)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수집하고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투명통로부(10)의 상부에 설치된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를 포함한다. 제 2발광수단(31)은 제 2투명통로부(4)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발광수단(7)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2투명통로부(10)의 중심부와 중심이 일치하는 원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LEDs)와 같은 복수의 발광소자(30)를 포함한다. 각각의 발광소자(30)는 광축이 제 2투명통로부(4)의 중심부와 중심이 일치하는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의 소정의 점을 향하여 수평방향에 대해서 작은 각도의 범위로 배치됨으로써,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는 경화(1)의 상측면에 얕은 각도로 광을 조사한다.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는 광축이 제 2투명통로부(10)의 중심부와 중심이 일치하는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렌즈계(33)와, 초점이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는 경화(1)의 상측면에 위치하며 발광소자(30)로부터 발광되고 경화(1)의 표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도록 상기 렌즈계(33)의 상방에 배치된 CCD 영역센서(34)와, 상기 CCD 영역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경화(1)의 상측면의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A/D컨버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의 바로 하류측에는, 발광소자(35)와 수광소자(36)를 포함하는 두 세트의 타이밍 센서(37, 37)를 설치함으로써, 수광소자(36)는 발광소자(35)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각각은 수광소자(36)가 발광소자(35)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집하지 않는 경우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타이밍 센서(37)는 발광소자(35)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 2투명통로부(10)의 표면상에 반송되고 있는 경화(1)에 의해서 차단되어 수광소자(36)에 의해서 수광되지 않음으로써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때, 경화(1)의 중심이 제 2투명통로부(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바로 상류부로부터 경화통로(2)의 하류부를 향하여 반송벨트(39)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경화(1)는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고 난 후, 반송벨트(7)와 반송벨트(39)사이에 유지되고, 반송벨트(39)와 경화통로부재(3) 사이에 유지됨으로써 경화통로(2)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메모리계 및 판별계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제 1투명통로부(9)로 반송된 경화(1)를 검출하는 타이밍 센서(27, 27)와, 제 2투명통로부(10)로 반송된 경화를 검출하는 타이밍 센서(37, 37)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고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는 한 쌍의 발신코일(12a)과 수신코일(1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기센서(12)와, 경화(1)의 하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수집하고 경화(1)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CCD 영역센서(24)와, 경화(1)의 상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수집하고 경화(1)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CCD 영역센서(34)를 포함한다.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63)은 CCD 영역센서(24)가 생성한 경화(1)의 아날로그 화상패턴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를 나타내며, 도면부호(73)은 CCD 영역센서(34)가 생성한 경화(1)의 아날로그 화상패턴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제어계는 타이밍 센서(27, 2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수신될 때 제 1발광수단(21)으로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광을 발하여 제 1투명통로부(9)의 상측면에 위치한 경화(1)에 광을 조사하며, 타이밍 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수신될 때 제 2발광수단(31)으로 발광신호를 출력하고 광을 발하여 제 2투명통로부(10)의 상측면에 위치한 경화(1)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제어수단(40)과, 타이밍 센서(27, 2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수신될 때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CCD 영역센서(24)가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검출을 개시하도록 하며, 타이밍 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수신될 때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의 CCD 영역센서(34)가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검출을 개시하도록 하는 화상독출 제어수단(41)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메모리계는 모든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와, 모든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와, 모든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데이터"0"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메모리계는 자기센서(1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자기데이터 메모리(53)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판별계는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하측면이 경화(1)의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상측면이 경화(1)의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57)과, 제 1판별수단(56) 및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생성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할 때 경화(1)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56) 및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며,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58)과, 제 1경화판별수단(61)의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의 권종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와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판별수단(57) 중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측에 경화(1)의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한 판별수단이 사용한 표면 혹은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의 권종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고 자기센서(1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정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62)을 포함한다.
도 4는 제 1판별수단(56)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판별수단(56)은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 컨버터(6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기억하는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독출하고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과,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수단(66)과,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를 2치화하고,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생성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각 권종에 대하여 판정된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으로 분류하며,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0"의 총수를 구하고, 또 전체 데이터의 "0"데이터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 대한 비율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 데이터 생성수단(67)과,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의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액세스하고,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이 판별한 권종의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0"의 비율데이터를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며, 2치화 데이터 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하측면이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정하는 제 2광학적 판별수단(58)을 포함한다.
도 5는 제 2판별수단(57)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판별수단(57)은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의 CCD 영역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 컨버터(7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독출하고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과,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수단(76)과,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를 2치화하고,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에 의해서 생성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각 권종에 대하여 판정된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으로 분류하며,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0"의 총수를 구하고, 또 전체 데이터의 "0"데이터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 대한 비율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 데이터 생성수단(77)과,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의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액세스하고,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이 판별한 권종의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0"의 비율데이터를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며,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으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상측면이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정하는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런 식으로 구성된 경화판별장치는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한다.
경화(1)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2)의 표면에 가압되면서 화살표(A)방향으로 한 쌍의 가드레일(guard rails)(11, 11)을 따라서 경화통로(2)내로 반송되며, 자기센서(12)에 의해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이 검출됨으로써 자기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자기데이터는 자기데이터 메모리(53)에 기억된다.
경화통로(2)내로 경화(1)가 반송되어 각 타이밍 센서(27)의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을 차단함으로써 타이밍 센서(27, 27)가 경화(1)를 검출할 때,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 센서(27)로부터 발광제어수단(40) 및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출력된다.
타이밍 센서(27, 2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입력될 때, 발광제어수단(40)은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으로 출력하며, 발광소자(20)가 제 1투명통로부(9)에 설치된 경화(1)의 하측면에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타이밍 센서(27, 2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입력될 때, 화상독출 제어수단(41)은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CCD 영역센서(24)가 발광소자(20)로부터 조사되고 경화(1)의 하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한다.
발광소자(20)는 제 1투명통로부(9)를 통과하는 경화에 얕은 각도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1) 하측면의 요철패턴에 따라서 광이 반사된다.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렌즈계(23)에 의해서 CCD 영역센서(24)로 유도되고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된다.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A/D 컨버터(63)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의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된다.
경화(1)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될 때, 제 1광학판별수단(65)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를 액세스한다. 제 1광학판별수단(65)은 경화(1)의 직경에 대하여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데이터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한다. 제 1광학판별수단(65)은 이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권종을 판정하고 판별결과를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 출력한다.
한편, 중심좌표 결정수단(66)은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되며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고, 그 중심좌표를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 출력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의 판별결과 및 중심좌표 결정수단(66)으로부터 입력된 중심좌표에 기초하여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경화(1)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권종의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으로 분류한다. 또한,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은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0"데이터의 총수를 구하고, 전체 데이터에 대하여 "0"데이터의 비율을 구하며, 경화(1)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 비율데이터를 출력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가 입력될 때,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액세스하고,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비율데이터 중에서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에 대응하는 경화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여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의 권종이 판별될 때,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i=1 내지 n, n은 각 권종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경화(1)의 환상영역의 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이 소정값(D0)미만인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의 전체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이 소정값(D0)미만이면, 경화(1)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 전체에 걸쳐서 기준비율데이터와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을 적분하고, 구해진 적분값(I)이 소정값(I0)미만인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적분값(I)이 소정값(I0)미만이면,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의 경화라고 판정한다. 경화(1)의 권종이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과 일치하면, 이론적으로는 절대값(Di)과 적분값(I)이 0이 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경화(1)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검출에러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판정된 권종이 일치하더라도 0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Di가 D0미만인 동시에 I가 I0미만일때, 경화(1)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의 경화라고 판정된다.
그와 반대로, 경화(1)의 환상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 데이터 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중의 적어도 하나가 소정값(D0)이상인 경우나, 경화(1)의 전체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이 소정값(D0)미만인 동시에 적분값(I)이 소정값(I0)이상인 경우에,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의 권종이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과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없다. 그러나, 경화(1)를 항상 그 표면이 위를 향하게 하여 반송할 수는 없으며, 경화(1)의 표면이 아래쪽을 향하여 경화통로(2)내로 반송되는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로, 경화(1)표면의 표면패턴이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2치화 데이터 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비율데이터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의 경화의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것은 판별정확도를 매우 저하시킬 것이다.
따라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액세스하고,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며, 상술한 것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이 소정값(D0)미만인지를 판정한다.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군 전체의 기준비율데이터와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이 소정값(D0)미만이면,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군 전체의 기준비율데이터와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을 적분하고, 구해진 적분값(I)이 소정값(I0)미만인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적분값(I)이 소정값(I0)미만이면,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의 경화라고 판정한다.
한편, 경화(1)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6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중의 적어도 하나가 소정값(D0)이상인 경우나, 경화(1)표면의 전체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2치 화상패턴군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된 비율데이터간의 차이의 절대값(Di)이 소정값(D0)미만인 동시에 적분값(I)이 소정값(I0)이상인 경우에는, 권종중에서 자기적 성질과 직경이 가장 근접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비율데이터와 검출된 비율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표면패턴이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패턴과 다른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경화(1)가 위조경화이거나 외국경화이기 때문에,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에 관한 판별결과와,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 결과와, 경화(1)의 검출된 비율데이터가 표면기준비율데이터와 이면기준비율데이터 중 어느것과 일치하는지를 제 1판별신호로서 제 3판별수단(58)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에 의해서 경화(1)하측면의 패턴데이터가 검출될 때, 경화(1)가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2)의 하류측으로 공급되며,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반송벨트(7)에 의해서 그 하측면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경화(1)는 반송벨트(6)와 반송벨트(7) 사이에서 유지되어 반송되며,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측면에 가압되면서 제 2투명통로부(10)로 반송된다.
경화(1)가 경화통로(2)내에서 제 2투명통로부(10)로 반송되어 각 타이밍 센서(37)의 발광소자(35)로부터 조사된 광을 차단함으로써, 타이밍 센서(37, 37)가 경화(1)를 검출할 때, 타이밍 센서(37)로부터 발광제어수단(40)과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타이밍 신호가 출력된다.
타이밍 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출력될 때, 발광제어수단(40)은 발광신호를 제 2발광수단(31)으로 출력하며, 발광소자(30)가 제 2투명통로부(10)에 위치한 경화(1)상측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타이밍 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출력될 때, 화상독출제어수단(40)은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의 CCD영역센서(34)가 발광소자(30)로부터 조사되고 경화(1)의 상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한다.
발광소자(30)는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는 경화에 얕은 각도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1) 상측면의 요철패턴에 따라서 광이 반사된다.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렌즈계(33)에 의해서 CCD 영역센서(34)로 유도되고 CCD 영역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CCD 영역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된다. CCD 영역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A/D 컨버터(73)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의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된다.
경화(1)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될 때, 제 2판별수단(57)의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를 액세스한다.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은 경화(1)의 직경에 대하여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데이터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한다.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은 이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권종을 판정하고 그 판별결과를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 출력한다.
한편, 중심좌표 결정수단(76)은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되며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고, 그 중심좌표를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으로 출력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은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은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의 판별결과 및 중심좌표 결정수단(76)으로부터 입력된 중심좌표에 기초하여 2치화된 화상패턴데이터를 경화(1)표면의 복수의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권종의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으로 분류한다. 또한,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은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0"데이터의 총수를 구하고, 전체 데이터에 대하여 "0"데이터의 비율을 구하며, 경화(1)표면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 비율데이터를 출력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으로부터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의 비율데이터가 입력될 때,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은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액세스하고,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비율데이터 중에서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에 대응하는 경화의 양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독출하여 2치화 데이터생성수단(77)으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판별한다.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은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를 액세스하고,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비율데이터 중에서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이 판정한 권종의 경화 양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며, 2치화 데이터생성부(77)로부터 입력된 비율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판별한다.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은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에 관한 판별결과와,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 결과와, 경화(1)의 검출된 비율데이터가 표면기준비율데이터와 이면기준비율데이터 중 어느것과 일치하는지를 제 2판별신호로서 제 3판별수단(58)으로 출력한다.
제 3판별수단(58)은 우선,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와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정했으면, 제 3판별수단(5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모두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했더라도,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의 권종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 3판별수단(5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그와 반대로,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모두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하는 경우에, 제 3판별수단(58)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와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이 권종의 경화의 표면 기준비율데이터나 이면 기준비율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를 판정하고,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권종의 경화의 표면 기준비율데이터나 이면 기준비율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를 판별한다.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그 권종의 경화의 동일한 면의 기준비율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제 3판별수단(5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제 3판별수단(58)으로부터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표면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자기데이터를 독출하고, 자기센서(12)에 의해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여 생성되고 자기데이터 메모리(53)에 기억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독출하며, 그 두 데이터를 비교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그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자기데이터와 경화(1)의 자기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소정의 임계값에 관하여 판정하고, 최종적으로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그와 반대로,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그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자기데이터와 경화(1)의 자기데이터가 일치하는 소정의 임계값에 관하여 판정하고, 최종적으로 경화(1)의 권종이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한다고 판별한다.
따라서,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된 경화는 선별되고,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된 경화와 별개로 회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는 경화(1)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는 경화(1)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1경화판별수단(61)의 제 1판별수단(56)은 경화(1)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비교하며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의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제 1경화판별수단(61)의 제 2판별수단(57)은 경화(1)의 다른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비교하며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의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제 3판별수단(58)은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할 때, 경화(1)의 권종을 권종판별신호로서 제 2경화판별수단(62)으로 출력하고,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와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따라서,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판별수단(57)중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이 위치하는 측의 경화(1)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를 판별한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그 권종의 경화의 어느면의 기준비율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를 판별함으로써, 표면판별신호를 제 2경화판별수단(62)으로 출력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제 3판별수단(58)으로부터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 표면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이나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자기센서(12)에 의해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여 생성되고 자기데이터 메모리(53)에 기억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독출하며, 그 두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와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그러므로, 제 1경화판별수단(61)이 경화(1) 양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고, 제 2경화판별수단(62)이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에 기초하여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경화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기 때문에,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적당한 권종의 기준자기데이터에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할 수 있음으로써, 경화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이 위치하는 측의 경화(1)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정한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사용된 기준광학데이터의 경화면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고,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한다. 그러므로, 위조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일치하며, 위조경화의 자기적 성질과 그 경화의 권종의 자기적성질이 유사하더라도 위조경화를 매우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메모리계 및 판별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타이밍 센서(27, 27), 타이밍 센서(37, 37), CCD영역센서(24) 및 CCD영역센서(34)를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제어계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발광제어수단(40)과 화상독출제어수단(41)을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메모리계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 경화의 각 권종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광학데이터 메모리(51),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 및 자기센서(1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자기데이터 메모리(53)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는 r-θ좌표계로 전개된 각 권종의 양면의 패턴데이터를 기억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판별계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하측면이 경화(1)의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상측면이 경화(1)의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57)과, 제 1판별수단(56) 및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생성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할 때 경화(1)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56) 및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며,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58)을 포함하는 제 1경화판별수단(61)과, 제 1경화판별수단(61)의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의 권종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와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판별수단(57) 중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측의 경화(1)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한 판별수단이 사용한 표면기준패턴데이터나 이면기준패턴데이터의 권종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고 자기센서(1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정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62)을 포함한다.
도 7은 제 1판별수단(56)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판별수단(56)은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 컨버터(6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독출하고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과,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수단(66)과, 상기 중심좌표 결정수단(66)에 의해서 산출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에 기초하여 극좌표계 즉,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함으로써 패턴데이터를 변환하는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에 의해서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된 패턴데이터를 제 2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52)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을 포함한다.
도 8은 제 2판별수단(57)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판별수단(57)은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32)의 CCD 영역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 컨버터(6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독출하고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과,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수단(76)과, 상기 중심좌표 결정수단(76)에 의해서 산출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에 기초하여 극좌표계 즉,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함으로써 패턴데이터를 변환하는 패턴데이터 변환수단(80)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80)에 의해서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된 패턴데이터를 제 2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52)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을 포함한다.
도 9는 중심좌표 결정수단(66)에 의해서 실행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는 x-y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다. 중심좌표 결정수단(66)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패턴데이터의 y좌표가 y0인 경계데이터(a1, a2)의 x좌표(x1, x2)를 구하며, 경계데이터(a1)와 경계데이터(a2)간의 중심데이터(a0)의 x좌표 xc=(x1+x2)/2를 구한다. 그리고 나서, 중심좌표 결정수단(66)은 가상적으로 데이터(a0)로부터 경계데이터(a1)와 경계데이터(a2)를 잇는 직선에 직교하는 직선을 그어서, 그 가상직선과 패턴데이터의 경계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경계데이터(b1, b2)의 y좌표(y1, y2)를 구하고, 경계데이터(b1)와 경계데이터(b2)간의 중심데이터(O)의 y좌표 yc=(y1+y2)/2를 구한다. 이런 식으로 결정된 데이터(O)의 좌표(xc, yc)는 x-y좌표계에 전개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에 대응하며, 데이터(O)는 x-y좌표계에 전개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데이터중심에 대응한다.
중심좌표 결정수단(76)에 의해서 실행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중심좌표 결정수단(66)에 의해서 실행된 것과 정확히 동일하다.
도 10은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되며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1은 중심좌표 결정수단(66)에 의해서 결정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기초하여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에 의해서 도 10에 나타낸 패턴데이터가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되어서 생성된 변환패턴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 종축은 x-y좌표계에서 데이터중심(O)으로부터의 거리(r)를 나타내며, 횡축은 데이터중심(O)에 대하여 각도(θ)를 나타낸다. CCD영역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되며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예시는 상기와 동일하며, 패턴데이터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80)에 의해서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하여 생성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예시이다.
이런 식으로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에 의해서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된 변환패턴데이터는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 입력된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의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r-θ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 중에서 대응하는 권종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선택한다.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실행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처리는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실행된 것과 동일하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r-θ좌표계에 전개된 경화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데이터는 도 11의 변환패턴데이터에 대응한다. 도 11의 변환패턴데이터는 중심좌표 결정수단(66)에 의해서 결정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기초하여 x-y좌표계의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함으로써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에서 구해지기 때문에, 종축의 제로점, 즉, r축의 제로점이 도 12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제로점과 일치한다. 그러나, 판별되는 경화(1)의 위치가 통상적으로 기준패턴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1)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오프셋되기 때문에, 동일한 θ값에서 도 11의 패턴데이터와 도 12의 기준패턴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경화(1)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해진다. 따라서, 도 11의 변환패턴데이터와 도 12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직접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θ축의 변환패턴데이터의 제로점이 θ축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제로점과 일치하도록, 비교하기 전에 변환패턴데이터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도 11의 변환패턴데이터의 데이터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0)에서의 패턴데이터값을 독출하며, 즉, 종축값이 소정값(r0)과 동일한 패턴데이터값을 360도 범위내에서 독출하며, 도 12의 기준패턴데이터의 데이터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0)에서의 패턴데이터값, 즉, 종축값이 소정값(r0)과 동일한 패턴데이터값을 360도 범위내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각을 이룬 오프셋에 기인한 θ축의 변환패턴데이터의 편차를 보정한다.
도 13은 데이터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0)에서의 도 11의 변환패턴데이터를 360도 범위에서 독출하여 얻어진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4는 데이터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0)에서의 도 12의 기준패턴데이터를 360도 범위에서 독출하여 얻어진 패턴데이터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과 도 14에 있어서, 종축은 데이터값을 나타내며, 횡축은 각도를 나타낸다.
경화(1)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1, 11)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경화통로(2)를 통하여 반송되므로, 각 경화(1)의 중심은 제 1투명통로부(9)상의 소정의 위치를 통과한다. 그와 반대로, 경화(1)는 대개 기준패턴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화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θ값에서 도 11과 도 12의 패턴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경화(1)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해지기 때문에, θ축에서의 변환패턴데이터의 제로점과 θ축에서의 기준패턴데이터의 제로점이 일치하도록, 비교하기 전에 변환패턴데이터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도 13의 패턴데이터값과 도 14의 패턴데이터값이 각각 최대가 되는 θ값(θ1 및 θ2)을 구하며, θ1이 θ2와 같아지도록 도 11의 변환패턴데이터를 전개한다. 도 15는 이런식으로 전개된 변환패턴데이터를 나타낸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상술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도 15에 나타낸 변환패턴데이터를 도 12의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하며, 변환패턴데이터가 기준패턴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서 경화(1)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인지와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실행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재전개처리는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서 실행된 처리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이런 식으로 구성된 경화판별장치는 이하의 방법으로 경화를 판별한다.
경화(1)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 11)을 따라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경화통로(2)에서 반송된다. 경화(1)는 제 1투명통로부(9)에 도달하며, 각각의 타이밍 센서(27, 27)의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이 경화(1)에 의해서 차단되고 수광소자(26)가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타이밍 신호는 발광제어수단(40) 및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출력된다.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입력될 때, 발광제어수단(40)은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으로 출력하며, 발광소자(20)가 제 1투명통로부(9)에 위치한 경화(1)하측면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입력될 때, 화상독출 제어수단(41)은 독출동작 개시신호를 CCD영역센서(24)로 출력함으로써, 경화(1)하측면에 의해서반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한다.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되고 A/D컨버터(6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의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된다. 도 10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하측면의 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경화(1)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될 때,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를 액세스한다.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은 경화(1)의 직경에 관하여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며, 또한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한다.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은 이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를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 출력한다.
한편, 중심좌표 결정수단(66)은 x-y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를 결정하며, 그 중심좌표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으로 출력한다.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은 중심좌표 결정수단(66)으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기초하여, x-y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1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64)에 기억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하고, 변환된 패턴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그것을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 출력한다. 도 12는 이런 식으로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한편,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으로부터 입력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r-θ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 중에서 대응하는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선택하고, 그것을 독출한다. 도 13은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로부터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 출력된 기준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소정의 회전방향에서의 경화(1)와 함께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패턴데이터가 생성될 수 없으며, 경화(1)는 통상적으로 기준패턴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화(1)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오프셋되기 때문에, 도 11 및 도 12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변환패턴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기준패턴데이터에 대하여 횡축 즉, θ축을 따라 오프셋된다. 그러므로, 변환패턴데이터와 기준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1)를 판별하기 위해서 변환패턴데이터의 θ방향의 편차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도 11에 나타낸 변환패턴데이터의 종좌표값이 소정값(r0)과 동등한 패턴데이터값을 360도 범위에서 독출하며, 도 12에 나타낸 기준패턴데이터의 종좌표값이 소정값(r0)과 동등한 패턴데이터값을 360도 범위에서 독출한다.
도 13 및 도 14는 이런 식으로 독출된 종좌표값이 r0인 변화패턴데이터값과 기준패턴데이터값을 플로팅(plotting)함으로써 얻어진 그래프이다. 또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변환패턴데이터값과 기준패턴데이터값이 각각 최대가 되는 θ값을 산출한다. 이런 식으로 구해진 θ값은 도 13에서는 θ1이며, 도 14에서는 θ2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θ1과 θ2가 구해질 때,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θ1과 θ2가 동등해지도록 변환패턴데이터를 재전개한다. 도 15는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서 이런 식으로 재전개된 변환패턴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경화(1)의 회전방향의 오프셋으로 인한 변환패턴데이터의 θ방향에서의 편차가 변환패턴데이터를 재전개하여 보정되었기 때문에,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변환패턴데이터와 기준패턴데이터를 매치시킴으로써 경화(1)의 권종이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는지와 경화(1)가 위조경화나 외국경화 등과 같이 수용불가능한 경화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화(1)의 일방의 면이 항상 상방을 향하도록 반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화가 그 이면이 상방을 향하는 식으로 반송되면, 재전개된 변환패턴데이터는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1)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결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재전개된 변환패턴데이터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선택된 권종의 경화(1)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가 위조경화나 외국경화로서 즉시 판별되면, 경화판별의 정확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패턴데이터는 우선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1)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되며,그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변환패턴데이터는 동일한 방식으로 권종의 경화(1)표면의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권종이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서 임시적으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는지와, 그 경화(1)가 위조경화나 외국경화 등의 수용불가능한 경화인지를 판별한다.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한 판별결과는 제 1판별신호로서 제 3판별수단(58)으로 출력된다.
또한, 경화(1)가 경화통로(2)내의 제 2투명통로부(10)로 반송되어, 각각의 타이밍 센서(37, 37)의 발광소자(35)로부터 조사된 광이 경화(1)에 의해서 차단되고, 수광소자(36)가 발광소자(35)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지 않을 때, 타이밍 신호는 타이밍센서(37, 37)로부터 발광제어수단(40)과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출력된다.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센서(37, 37)로부터 입력될 때, 발광제어수단(40)은 발광신호를 제 2발광수단(31)으로 출력하며, 발광소자(30)가 제 2투명통로부(10)에 위치한 경화(1)의 상측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화상독출 제어수단(41)은 타이밍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신호를 수신할 때,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의 CCD영역센서(34)가 발광소자(30)로부터 조사되고 경화(1)의 상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의 검출을 개시하도록 한다.
발광수단(31)은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는 경화(1)에 얕은 각도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화(1) 상측면의 요철패턴에 따라서 광이 반사된다. 경화(1)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은 렌즈계(33)에 의해서 CCD영역센서(34)로 유도되고, CCD영역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CCD영역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된다. CCD영역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A/D컨버터(7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화상패턴데이터는 제 2판별수단(57)의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내에서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된다.
경화(1) 상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될 때, 제 2판별수단(57)의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은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51)를 액세스한다.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은 경화(1)의 직경에 대하여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데이터와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를 독출한다. 제 2판별수단(57)의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은 이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한다.
한편, 중심좌표 결정수단(76)은 x-y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를 결정하며, 그 중심좌표(xc, yc)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80)으로 출력한다.
패턴데이터 변환수단(80)은 중심좌표 결정수단(76)으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기초하여 x-y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2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74)에 기억된 경화(1)의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로 변환한다.
한편,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은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의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r-θ좌표계에 전개되고 제 2기준광학데이터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 중에서 대응하는 권종의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선택하고, 그것을 독출한다.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동일한 방식으로, 변환패턴데이터의 편차를 θ방향으로 보정하고, 변환패턴데이터를 재전개한다.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은 이런 식으로 보정된 변환패턴데이터와 기준패턴데이터를 매치시킨 패턴에 의해서, 그 경화(1)가 제 3광학적 판별수단(75)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인지와 경화(1)가 위조경화나 외국경화 등과 같이 수용불가능한 경화인지를 판별한다.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한 판별결과는 제 2판별신호로서 제 3판별수단(58)으로 출력된다.
제 3판별수단(58)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와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되었는지를 판정한다.경화(1)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중 적어도 하나의 판별수단에 의해서 수용불가능하다고 판정되었으며, 제 3판별수단(5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5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모두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별했더라도,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제 3판별수단(5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이와 반대로,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모두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하는 경우에, 제 3판별수단(58)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와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이 권종의 경화의 표면 기준패턴데이터나 이면 기준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를 판정하고,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권종의 경화의 표면 기준패턴데이터나 이면 기준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를 판별한다.
결과적으로,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그 권종의 경화의 동일한 면의 기준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제 3판별수단(58)은 경화(1)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결과적으로,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이 그 권종의 경화의 다른 면의 기준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제 3판별수단(58)은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정된 권종을 권종판별신호로서 제 2경화판별수단(62)으로 출력하며, 제 1판별수단(56)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나 제 2판별수단(57)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따라서,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판별수단(57)중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이 위치하는 측의 경화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한 판별수단이 사용한 권종의 경화의 기준패턴데이터가 어느면의 기준패턴데이터인지를 판정함으로써, 표면결정신호를 제 2경화판별수단(62)으로 출력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제 3판별수단(58)으로부터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 표면결정신호에 기초하여,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이나 이면의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며, 자기센서(12)에 의해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여 생성되고 자기데이터 메모리(53)에 기억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독출하여, 그들 데이터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그 권종의 경화 표면의 기준자기데이터와 경화(1)의 자기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소정의 임계값에 관하여 판정할 때, 최종적으로 경화가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판별한다.
이와 반대로,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그 권종의 경화 표면의 기준자기데이터와 경화(1)의 자기데이터가 일치하는 소정의 임계값에 관하여 판정할 때, 최종적으로 경화(1)의 권종이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과 일치한다고 판별한다.
따라서,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된 경화는 선별되어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된경화와 별개로 회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는 경화(1)의 일방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화상데이터 생성부(32)는 경화(1)의 타방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1경화판별수단(61)의 제 1판별수단(56)은 경화(1)의 일방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광학데이터를 비교하며,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의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하고, 제 1경화판별수단(61)의 제 2판별수단(57)은 경화(1)의 타방의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광학데이터를 비교하며,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의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제 3판별수단(58)은 제 1판별수단(56)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권종이 일치할 때, 경화(1)의 권종을 권종판별신호로서 제 2경화판별수단(62)으로 출력하고,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제 1판별신호나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으로부터 입력된 제 2판별신호에 따라서,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제 1판별수단(56)과 제 2판별수단(57)중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이 위치하는 측의 경화(1)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를 판별한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그 권종의 경화의 어느면의 기준비율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를 판별함으로써, 표면판별신호를 제 2경화판별수단(62)으로 출력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제 3판별수단(58)으로부터 입력된 권종판별신호와 표면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표면이나 이면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자기센서(12)에 의해서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여 생성되고 자기데이터 메모리(53)에 기억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독출하며, 그 두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와 경화(1)가 수용가능할 때 경화(1)의 권종을 판별한다. 그러므로, 제 1경화판별수단(61)이 경화(1) 양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고, 제 2경화판별수단(62)이 제 3판별수단(58)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에 기초하여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경화의 기준비율데이터를 독출하기 때문에,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적당한 권종의 기준자기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할 수 있음으로써, 경화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제 2경화판별수단(62)은 자기센서(12)의 발신코일(12a)이 위치하는 측의 경화(1)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정한 제 2판별수단(57)에 의해서 사용된 기준광학데이터의 경화면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고,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한다. 그러므로, 위조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어떤 권종의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일치하며, 위조경화의 자기적 성질과 그 경화의 권종의 자기적성질이 유사하더라도 위조경화를 매우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1)의 권종과 수용가능여부는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0"데이터의 비율에만 기초하여 판별된다. 그러므로, 경화(1)가 위조경화나 외국경화로서 수용불가능한 경화일지라도, 경화(1)의 각 환상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패턴데이터군에서 "0"데이터의 비율에 대응하는 비율데이터는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데이터비율과 일치하도록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1)의 전체면의 패턴을 검출하여 패턴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런식으로 생성된 패턴데이터를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제 4광학적 판별수단(78)에 의해서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가 얻어지기 때문에, 경화(1)의 판별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1)의 회전방향 오프셋에 기인한 θ방향에서의 변환패턴데이터의 편차는 변환패턴데이터의 각각의 데이터값과 기준패턴데이터가 최대가 되는 θ1값과 θ2값을 구하고 θ1이 θ2와 동등해지는 변환패턴데이터를 재전개함으로써만이 보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출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고속으로 경화(1)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만이 제공되며,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와 제 2투명통로부(10)는 제공되지 않는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발신코일(12a)은 경화통로(2)의 하방에, 수신코일(12b)은 경화통로(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투과형 자기센서(12)를 제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인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게, 메모리계 및 판별계의 블록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제 1투명통로부(9)로 반송되는 경화(1)를 검출하는 타이밍 센서(27, 27)와, 경화(1)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고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는 한 쌍의 발신코일(12a)과 수신코일(12b)로 구성되는 자기센서(12)와, 경화(1)의 하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경화(1)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CCD영역센서(24)를 포함한다. 도 17에 있어서, 도면부호(63)은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아날로그 화상패턴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A/D컨버터를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타이밍신호가 수신될 때,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으로 출력하고, 광을 발하여 제 1투명통로부(9)의 상측면에 배치된 경화(1)에 조사하도록 하는 발광제어수단(40)과,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수신될 때,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CCD영역센서(24)가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검출을 개시하도록 하는 화상독출제어수단(41)을 포함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메모리계는 검출되는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와,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과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2)와, 자기센서(12)에 의해서 생성된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자기데이터 메모리(53)를 포함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판별계는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 및 경화(1)의 하측면이 경화(1)의 표면인지 이면인지를 판별하는 제 1경화판별수단(81)과, 제 1경화판별수단(81)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권종에 대응하며, 기준패턴데이터가 제 1경화판별수단(81)에 의해서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판정된 표면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와 경화(1)의 권종이 경화(1) 표면의 기준패턴데이터인지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그것을 자기센서(12)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82)을 포함한다.
도 18은 제 1경화판별수단(8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15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1경화판별수단(81)은 제 1화상데이터 생성부(22)의 CCD 영역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 컨버터(6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하여 기억하는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와, 제 1기준광학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독출하고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과,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 결정수단(66)과, 상기 중심좌표 결정수단(66)에 의해서 산출된 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에 기초하여 극좌표계 즉, r-θ좌표계로 좌표변환함으로써 패턴데이터를 변환하는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에 의해서 r-θ좌표계로 좌표변환된 패턴데이터를 제 2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52)에 기억된 기준패턴데이터와 비교하고,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함으로써, 제 2경화판별수단(82)으로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이런 식으로 구성된 경화판별장치는 이하의 방식으로 경화를 판별한다.
경화(1)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 11)을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경화통로(2)내에서 반송된다. 경화(1)는 제 1투명통로부(9)에 도달하며, 각각의 타이밍 센서(27, 27)의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이 경화(1)에 의해서 차단되고 수광소자(26)가 발광소자(25)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타이밍 신호는 발광제어수단(40) 및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출력된다.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입력될 때, 발광제어수단(40)은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으로 출력하며, 발광소자(20)가 제 1투명통로부(9)에 위치한 경화(1)하측면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입력될 때, 화상독출 제어수단(41)은 독출동작 개시신호를 CCD영역센서(24)로 출력함으로써, 경화(1)하측면에 의해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한다.
CCD영역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되고 A/D컨버터(63)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측면의 화상패턴데이터는 도 6 내지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와 유사하게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의 x-y좌표계에 전개되고 기억된다.
경화(1) 하면의 화상패턴데이터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에 기억되는 경우,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은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51)에 액세스된다.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은 제 1기준데이터 메모리(51)에 기억된 경화의 지름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고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에 기억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도 독출한다.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은 이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수용가능한 경우 권종을 판정한다.
한편, 중심좌표 결정수단(66)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에 기억되고 x-y좌표계에 전개되어 있는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를 결정하고 중심좌표를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에 출력한다.
중심좌표 결정수단(66)으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화상패턴데이터의 중심좌표(xc, yc)에 기초하여, 도 6 내지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와 유사하게 패턴데이터 변환수단(70)은 화상패턴데이터 메모리(84)에 기억되고 x-y좌표계에 전개되어 있는 경화(1)의 패턴데이터를 r-θ좌표계로 변환하고 변환된 패턴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출력한다.
한편,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으로부터 입력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고 r-θ좌표계로전개된 기준 패턴데이터로부터의 권종에 대응하는 경화(1)의 이면의 기준데이터를 선택하고 독출한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도 5 내지 15에서 나타낸 실시예와 유사하게 경화(1)의 변환된 패턴 데이터를 보정하고 이를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으로부터 입력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52)에서 독출된 권종에 대응하는 경화의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와 비교한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으로부터 입력된 판별수단에 기초하여 제 2기준데이터 메모리(52)에서 독출된 권종에 대응하는 경화의 표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도 독출하여 이를 보정된 경화(1)의 변환데이터와 비교한다.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그 비교에 의거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을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한 판별결과가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한 결과와 다른 경우,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경화(1)가 수용불가하다고 판별한다. 한편, 제 1광학적 판별수단(65)에 의해 판정된 권종과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 판정된 권종이 일치하는 경우,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판별신호를 제 2경화판별수단(82)에 출력하고 권종에 대응하는 경화의 표면 또는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권종을 판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패턴데이터가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는 표면판별신호도 제 2경화판별수단(82)에 출력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82)은 제 1경화판별수단(81)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으로부터 입력된 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에서 독출된 기준자기데이터의 권종을 판정하고 권종의 경화의 표면 기준자기데이터 또는 이면 기준자기데이터가 독출되는지를 판정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82)은 선택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 또는 이면의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메모리(50)로부터 독출하고 자기데이터 메모리(53)에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독출하여 두 데이터를 비교한다.
제 2경화판별수단(82)이 경화의 표면 또는 이면의 기준자기데이터와 경화(1)의 자기 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 내에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반대로, 제 2경화판별수단(82)이 경화의 표면 또는 이면의 기준자기데이터와 경화(1)의 자기데이터가 소정의 임계값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경화(1)의 권종이 제 1경화판별수단(81)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에 의해 판별된 권종과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은 단일패턴데이터 검출부(4)를 사용하여 판별하기 때문에, 경화판별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를 판별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82)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패턴데이터에 대응하는 경화의 표면 또는 이면의 기준 자기데이터와 권종이 경화(1)의 자기데이터와 비교되기 때문에, 위조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가 어느 권종의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와 일치하고 위조경화의 자기적 성질이 권종의 자기적 성질과 유사한 경우라도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이 결국 판별되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위조경화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으며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5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경화(1) 하측면의 패턴 데이터가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에 의해 생성되고 경화(1) 상측면의 패턴데이터가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에 의해 생성되도록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가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의 하류측에 설치되었지만,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는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의 하류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 1 내지 도 15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가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의 하류측에 설치되었지만,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는 서로 마주 접할 수 있도록 경화통로(2)의 반대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타이밍 센서(27, 27)와 다른 한 쌍의 타이밍 센서(37, 37)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센서(12)가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의 상류측에 설치되었지만,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 및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의 하류측에 설치되어도 좋고, 또는 제 1패턴데이터 검출부(4)와 제 2패턴데이터 검출부(5)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반사형 자기센서(12)는 그 구성부분인 발신코일(12a)과 수신코일(12b)이 경화경로와 동일한 쪽에 배치되도록 도 1 내지 도 15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자기센서(12)로 사용되고, 투과형 자기센서(12)는 그 구성부분인 발신코일(12a)과 수신코일(12b)이 경화통로와 반대 쪽에 배치되도록 도 16 내지 도 18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자기센서(12)로 사용된다. 그러나, 투과형 자기센서(12)가 도 1 내지 도 15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반사형 자기센서(12)가 도 16 내지 도 18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타이밍 센서(27, 27) 또는 타이밍 센서(37, 37)가 경화(1)를 검출할 때,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 제 2발광수단(31) 또는 발광수단(21)에 출력하여 경화에 광을 조사하고 CCD영역센서(24) 또는 CCD영역센서(34)는 경화(1)에서 반사된 광을 검출한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발광을 하도록 제 1발광수단(21), 제 2발광수단(31) 또는 발광수단(21)을 구성하고 타이밍 센서(27, 27) 또는 타이밍센서(37, 37)가 경화(1)를 검출할 때 경화(1)에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CCD영역센서(24) 또는 CCD영역센서(34)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의 실시예에서,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도 6 내지 도 15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유사하게 경화(1)의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을 판별한다. 그러나, 도 16 내지 도 18의 실시예에서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제 2광학적 판별수단(68)과 유사하게 경화(1)의 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각 수단은 반드시 물리적 수단과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에속한다. 또한, 단일한 수단의 기능이 둘 이상의 수단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고 둘 이상의 수단의 기능이 하나의 수단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의 직경 및 표면패턴데이터 등과 같은 위조경화에서 얻은 광학데이터가 어느 권종의 진짜 경화의 데이터와 일치하고 위조경화의 자기 데이터가 진짜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유사하더라도 정확하게 위조경화를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경화판별장치에 있어서,
    반송될 경화의 자기적 성질을 검출하여 경화의 자기데이터를 생성하는 자기센서와, 경화의 광학 데이터를 생성하는 광학센서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광학데이터 메모리와, 판별될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자기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자기데이터 메모리와, 광학센서에 의해 생성된 광학데이터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을 결정하는 제 1경화판별수단과,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 또는 그 권종의 경화의 이면의 기준 광학데이터가 제 1경화판별수단이 수용할 수 있는 경화와 그것에 의해 경화의 권종을 판정할 때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선택된 자기 기준데이터를 기준 자기데이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자기센서에 의해 생성된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 제 2경화판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기센서수단은 적어도 한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 부재(member)는 반송될 경화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자기 센서수단은 적어도 한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쌍의 발신코일과 수신코일부재는 반송될 경화의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판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광학 센서수단은 경화의 한 표면을 향해서 광을 발산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산되고 경화의 일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경화의 일면의 화상 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수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광학 센서수단은 경화의 일면을 향해서 광을 발산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산되고 경화의 일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여 경화의 일면의 화상 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수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광학 센서수단은 경화의 일면을 향해서 광을 발산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발산되고 경화의 일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여 경화의 일면의 화상 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수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화상패턴데이터에는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 및 패턴데이터가 포함되고 기준 광학데이터에는 판별될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 및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가 포함되며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화상패턴데이터에는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 및 패턴데이터가 포함되고 기준 광학데이터에는 판별될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 및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가 포함되며 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화상패턴데이터에는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 및 패턴데이터가 포함되고 기준 광학데이터에는 판별될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 및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가 포함되며 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제 1경화판별수단은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1경화판별수단이 경화가 수용가능한지를 판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경화의 권종을 판별할 때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 패턴데이터 또는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가 사용되는지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준 자기데이터를 기준 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자기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제 1경화판별수단은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 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 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1경화판별수단이 경화가 수용가능한지를 판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경화의 권종을 판별할 때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패턴데이터 또는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가 사용되는지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준 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자기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의 수용가능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제 1경화판별수단은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1경화판별수단이 경화가 수용가능한지를 판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경화의 권종을 판별할 때 어떤 권종의 경화의 표면의 기준패턴데이터 또는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가 사용되는지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자기센서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광학센서수단은 경화의 일면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제 1광원과, 제 1광원으로부터 발산되고 경화의 일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여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경화의 다른 면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제 2광원과, 제 2광원으로부터 발산되고 경화의 다른 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여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 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제 2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다른 표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적용되며, 제 1경화판별수단은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과,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과,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을 포함하고,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3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에 대응하고 자기센서의 발신코일 측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의 권종을 판별한 제 1 및 제 2판별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사용된 경화 표면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자기센서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광학센서수단은 경화의 일면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제 1광원과, 제 1광원으로부터 발산되고 경화의 일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여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과, 경화의 다른 면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제 2광원과, 제 2광원으로부터 발산되고 경화의 다른 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수광하여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제 2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다른 표면의 화상 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은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적용되며, 제 1경화판별수단은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일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과,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다른 면의 화상패턴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비교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과,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을 포함하고,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3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에 대응하고 자기센서의 발신코일 측의 화상패턴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의 권종을 판별한 제 1 및 제 2판별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사용된 경화 표면에 대응하는 기준자기데이터를 기준자기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자기센서에 의해 생성된 경화의 자기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화상패턴데이터에는 경화의 직경 및 패턴데이터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고, 기준광학데이터에는 모든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 및 모든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화상패턴데이터에는 경화의 직경 및 패턴데이터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고, 기준광학데이터에는 모든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 및 모든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제 1경화판별수단은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이와 같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모든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이와 같이 판별된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제 1경화판별수단은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이와 같이 판별된 권종의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제 1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며, 제 2경화판별수단은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화의 직경에 관한 데이터와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모든 권종의 경화의 직경에 관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권종을 판별하고, 이와 같이 판별된 경화의 표면 및 이면의 기준패턴데이터를 기준광학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제 2패턴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패턴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권종을 판별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할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한 것으로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함으로써 권종을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출력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할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함으로써 권종을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출력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할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함으로써 권종을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출력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할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함으로써 권종을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출력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판별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할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함으로써 권종을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출력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4. 제 18항에 있어서,
    제 3판별수단은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할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며,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경화가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제 1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과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의 권종이 서로 일치할 때는 경화의 권종이 제 1판별수단 및 제 2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함으로써 권종을 제 2경화판별수단으로 출력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KR10-2000-0078668A 1999-12-21 2000-12-19 경화판별장치 KR100502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218499A JP2001175912A (ja) 1999-12-21 1999-12-21 硬貨判別装置
JP99-362184 1999-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590A true KR20010082590A (ko) 2001-08-30
KR100502858B1 KR100502858B1 (ko) 2005-07-25

Family

ID=1847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668A KR100502858B1 (ko) 1999-12-21 2000-12-19 경화판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99581B2 (ko)
EP (1) EP1111551A3 (ko)
JP (1) JP2001175912A (ko)
KR (1) KR100502858B1 (ko)
CN (1) CN1242367C (ko)
HK (1) HK1036866A1 (ko)
TW (1) TW50589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25B1 (ko) * 2005-11-07 2008-07-2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현금거래장치
KR101040907B1 (ko) * 2007-05-09 2011-06-16 박경희 트레딩 인버션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4376B (en) * 2002-07-05 2003-12-01 Sunplus Technology Co Ltd Currency recognition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US20060115140A1 (en) * 2002-12-26 2006-06-01 Hiroshi Nakamura Pattern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device
DE10300608B4 (de) * 2003-01-10 2004-09-30 National Rejectors, Inc.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Prägebildes einer Münze in einem Münzautomaten
ATE460711T1 (de) * 2004-07-13 2010-03-15 Glory Kogyo Kk Bildüberprüfunganordnung, bildüberprüfungverfahren und bildüberprüfungprogramm
DE102005028669A1 (de) * 2005-06-16 2006-12-28 Walter Hanke Mechanische Werkstätte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in einen Münzprüfer eingegebenen Münze unter Verwendung ihres Prägebildes
JP4682343B2 (ja) * 2006-02-16 2011-05-11 旭精工株式会社 トークン画像取得装置及びトークン画像取得装置を備えるメダル選別装置
JP2007241928A (ja) * 2006-03-13 2007-09-20 Asahi Seiko Kk コインホッパのコイン残量検知装置
JP5044838B2 (ja) * 2006-07-12 2012-10-10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セレクタ
US20090255776A1 (en) * 2008-04-11 2009-10-15 Nihon Unica Corporation Coin authenticity judging method and device
CN101770661B (zh) * 2008-12-30 2011-08-31 中国印钞造币总公司 磁性硬币高速鉴别装置
US8210335B2 (en) * 2010-04-29 2012-07-03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nd coin acceptor
GB201008177D0 (en) * 2010-05-17 2010-06-30 Scan Coin Ab Coin discriminators
TW201207774A (en) * 2010-08-06 2012-02-16 Bingotimes Digital Technology Co Ltd Automatic counting game machine
AT509885B1 (de) * 2010-12-28 2011-12-15 Novotech Elektroni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ünzerkennung
EP2690981A4 (en) 2011-03-28 2016-08-03 Royal Canadian Mint Monnaie Royale Canadienn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POT MATERIAL OF COIN PRODUCTS
JP2012212222A (ja) * 2011-03-30 2012-11-01 Fujifilm Corp 被写体識別装置、及び硬貨識別装置
US9053595B2 (en) 2012-02-02 2015-06-09 Jared Grove Coi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US9036890B2 (en) 2012-06-05 2015-05-19 Outerwall Inc. Optical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8550227B1 (en) * 2012-09-12 2013-10-08 Outerwall Inc. Auto-positioning sensors for coin counting devices
ES2480815B1 (es) * 2012-12-28 2015-05-08 Asociacion Centro Tecnologico Naval Y Del Mar Sistema y método para catalogar monedas.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443367B2 (en) * 2014-01-17 2016-09-13 Outerwall Inc. Digital image coin discrimination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11704957B2 (en) * 2021-08-19 2023-07-18 Tsloc Produc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valuation of currency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3283A (en) * 1973-10-03 1976-10-20 Mars Inc Apparatus for identifying coins
IT1070551B (it) * 1975-10-22 1985-03-29 Zimmermann & Co F Dispositivo per conteggiare monete diverse ed altri oggetti simili a forma di dischi
JPS5611181Y2 (ko) * 1975-12-02 1981-03-13
US4108296A (en) * 1976-04-08 1978-08-22 Nippon Coinco Co., Ltd. Coin receiv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US4249648A (en) * 1978-04-27 1981-02-10 Keene Corporation Token identifying system
JPS5713593A (en) * 1980-06-27 1982-01-23 Laurel Bank Machine Co Counting circuit for coin counter
JPS58132884A (ja) * 1982-01-30 1983-08-08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円形物体の径判別装置
JPS61289486A (ja) * 1985-06-18 1986-12-19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選別用センサ−コイル
US5133019A (en) * 1987-12-03 1992-07-21 Identigrade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nd evaluating surfaces
US4899392A (en) * 1987-12-03 1990-02-06 C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ively grading and identifying coins
JPH0786939B2 (ja) * 1988-05-27 1995-09-2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識別装置
JPH07104964B2 (ja) * 1988-09-06 1995-11-1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硬貨導入装置
CA2095034C (en) * 1990-11-07 1999-01-05 Elwood E. Barnes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power, battery-powered vending and dispensing apparatus
JP2639766B2 (ja) * 1991-04-10 1997-08-1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選別装置
TW208747B (ko) * 1991-10-03 1993-07-01 Roreru Bank Machine Kk
CH684222A5 (de) * 1992-03-10 1994-07-29 Mars Inc Einrichtung zur Klassifizierung eines Musters, insbesondere von einer Banknote oder von einer Münze.
DE4233194C2 (de) * 1992-10-02 1995-09-21 Nat Rejectors Gmbh Verfahren zum Eichen eines mindestens eine Münze akzeptierenden Münzprüfers und Eichmodul
US5579886A (en) * 1993-10-21 1996-12-03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or
JP2838641B2 (ja) * 1993-12-17 1998-12-1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受け入れ不能硬貨除去装置
US5788046A (en) * 1994-03-04 1998-08-04 Austel Licensing Gmbh Method for recognizing coins and apparatus therefor
JP3525360B2 (ja) * 1994-05-19 2004-05-1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3366438B2 (ja) * 1994-05-25 2003-01-14 東洋通信機株式会社 紙葉類の種類識別方法
GB9419912D0 (en) * 1994-10-03 1994-11-16 Coin Controls Optical coin sensing station
US5662205A (en) * 1994-11-03 1997-09-02 Coin Acceptors, Inc. Coin detection device
JP3549935B2 (ja) * 1995-03-06 2004-08-0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識別装置
JP3272573B2 (ja) * 1995-07-17 2002-04-08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US5673781A (en) * 1995-11-21 1997-10-07 Coin Acceptors, Inc. Coin de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3519235B2 (ja) * 1996-03-28 2004-04-1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US6196371B1 (en) * 1996-06-28 2001-03-06 Coinstar, Inc.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ATE219590T1 (de) * 1996-07-29 2002-07-15 Qvex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von münzen
EP0831429B1 (en) * 1996-09-20 2002-11-27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TW339436B (en) * 1996-09-20 1998-09-01 Rorer Bank Machine Kk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H10222716A (ja) * 1997-02-04 1998-08-21 Sankyo Seiki Mfg Co Ltd コイン認識装置
US6026946A (en) * 1997-03-10 2000-02-22 Pom, Inc. Enhanced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5848193A (en) * 1997-04-07 1998-12-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Wavelet projection transform features applied to real time pattern recognition
KR100296694B1 (ko) * 1997-05-21 2001-08-07 오까다 마사하루 화폐선별방법및장치
US6260757B1 (en) * 1997-10-31 2001-07-17 John M. Strisower Automatic cashier machine
JP3652545B2 (ja) * 1999-04-26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25B1 (ko) * 2005-11-07 2008-07-2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현금거래장치
KR101040907B1 (ko) * 2007-05-09 2011-06-16 박경희 트레딩 인버션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858B1 (ko) 2005-07-25
EP1111551A2 (en) 2001-06-27
CN1242367C (zh) 2006-02-15
HK1036866A1 (en) 2003-07-10
TW505899B (en) 2002-10-11
EP1111551A3 (en) 2003-11-26
US20010008200A1 (en) 2001-07-19
CN1302050A (zh) 2001-07-04
JP2001175912A (ja) 2001-06-29
US6499581B2 (en)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858B1 (ko) 경화판별장치
JP3525360B2 (ja) 硬貨判別装置
US6412620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KR100338487B1 (ko) 경화판별장치
JP3170147B2 (ja) 硬貨判別装置
JP3652558B2 (ja) 硬貨判別装置
KR100509441B1 (ko) 경화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0212931B1 (ko) 경화판별장치
US5887697A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JP3359986B2 (ja) 硬貨認識装置
JP4231445B2 (ja) 硬貨識別装置
JPH1083471A (ja) コイン識別装置
US20040124065A1 (en) Coin distinguishing method and device
JPH0612548A (ja) 硬貨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26

Effective date: 2005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