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107A -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동시 가식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동시 가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107A
KR20010082107A KR1020010006445A KR20010006445A KR20010082107A KR 20010082107 A KR20010082107 A KR 20010082107A KR 1020010006445 A KR1020010006445 A KR 1020010006445A KR 20010006445 A KR20010006445 A KR 20010006445A KR 20010082107 A KR20010082107 A KR 2001008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njection molding
sheet
simultaneou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822B1 (ko
Inventor
이리야마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5578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821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2001008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33/04Polymers of esters
    • B29K26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2Next to vinyl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는 기재시트(A)와 기재시트(1A)의 사출성형수지를 접촉시키는 면에 형성된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2)을 가진다. 아크릴계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는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및 프레폴리머를 폴리프로필렌의 주쇄에 그라프트중합시킨 수지로 이루어진다. 가식용시트(S)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수지의 기재시트(A)와, 바인더의 수지에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계수지 1종류이상을 포함하는 장식층(3)과,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2)을 가지고 있다. 장식층(3)과 접착층(2) 사이에 프라이머층(4)이 있어도 좋다.

Description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Sheet for decorating insert simultaneously with the molding, decorating insert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decorating insert simultaneously with the molding}
본 발명은 사출성형 동시 가식(加飾)에 사용하는 라미네이트 타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해당 시트를 이용한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 및 가식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수지 성형물의 표면을 가식한 가식 성형품이 각종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출성형 동시 가식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공소50-19132호공보, 일본 특개평11-9104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사출성형 동시 가식하는 방법에는 수지 성형물의 성형과 동시에 그 표면에 가식용 시트를 적층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 표면이 가식된 가식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사출성형 동시 가식하는 방법에 의해 가식 성형품을 얻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출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ABS수지, 폴리스티렌 수지등이다.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는 아크릴계 수지, ABS수지, 폴리스틸렌 등의 기재 시트와 이에 적층되는 문양 잉크 내지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접착층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등을 갖고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자동차 내장품용의 사출 수지로는 ABS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고가이면서 최근의 환경 문제등에 의해 보다 싸고 재활용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내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밀착시키는 형태로서 접착층에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시트 등이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 제 2 923 281호 공보, 일본 특개평11-277695호 공보 참조).
그런데,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은 염소 함유율이 높은 만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열융착에 의한 접착력이 저하되나, 염소화를 하지 않으면 용해성, 상용성이 나쁘며, 도포액 또는 잉크로 접착층 등을 도공 도는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은 염소 함유율 30중량% 부근에서는 내열성이 최저로 된다. 그리고, 실제 사출성형 동시 가식에서는 가공 공정시의 고온하에서 접착층의 사출 수지에의 접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금형을 열 때나 가식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할 때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가 고화된 사출수지로부터 박리되기 쉽게 된다. 때문에, 가식용 시트가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가식 성형품의 보호층의 역할도 겹침이 가능한 아크릴수지 시트를 사용한 경우, 가식용 시트를 금형 표면 형상에 추종하는 형태로 예비성형하는 과정에서 가열 연신하며, 그 후 급속히 냉각시키기 때문에 연신의 응력이 수지 시트내에 잔류하고, 이것을 다시 가열하여 유리 전이 온도 정도가 되었을 때, 수축하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접착층에서는 100℃ 부근에서 접착력이 100~200㎛ 두께의 아크릴수지 시트의 수축력에 뒤져 수지 시트의 구김이나 박리가 생긴다. 또한, 그 때문에 자동차 내조 부품용으로는 아크릴수지 시트를 사용한 경우등에서는 사용환경하에서의 내열성도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사출성형수지 그 중에서도 특히 일반적으로 밀착이 나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성형과 동시에 가식할 때 및 제품시)이 좋은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출수지성형물,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성형물에 가식용 시트를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이 좋게 적층할 수 있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과 그러한 가식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가식 성형품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수지에 접착시켜 사용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에 있어서, 기재시트와, 기재시트의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설치되어 아크릴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인 것이다.
이렇게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서 사출성형수지에 대한 접착제의 역할을 다하는 수지로서, 아크릴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일반적으로 밀착이 나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성형물에 대해서도 사출성형 동시 가식할 때, 또는 성형 후의 가식 성형품의 상태에서도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와 사출성형수지와의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이 좋아진다. 더욱이, 수지성형물에는 폴리프로필렌등의 값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적어도 아크릴계의 모노머 또는/및 프레폴리머를 폴리프로필렌의 주쇄에 그라프트 중합시킨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출성형수지가 특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경우,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을 보다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사출성형수지와 접착하는 접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기재시트와 접착층과의 사이에 장식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기재시트의 접착층과 반대측 면에 장식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장식층이 바인더 수지와 바인더 수지에 포함된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의 어느 1종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이렇게 기재시트, 장식층, 접착층을 특정 수지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과 더불어 가식용 시트층간의 밀착성도 양호하며, 더욱이 기재시트를 투명화 하여 우수한 도장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식층과 접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플라이머층이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의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이다.
이렇게 특정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을 설치함으로써 장식층과 접착층의 층간 밀착을 보다 확실히 하여,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로서의 층간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시트와 기재시트가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설치되어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겸비한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와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층에 접착된 사출성형수지로 된 구성물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 성형품이다.
이러한 구성을 함으로써,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와 수지 성형물과의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이 좋으며, 각각의 상기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식 성형품은 그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이 좋은 점에서 내열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내장품 용도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수지 성형물에는 폴리프로필렌등의 값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시트와, 기재시트의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설치되어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겸비한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를 몰드가 열린 상태의 한쌍의 성형 몰드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한쌍의 성형 몰드를 조이는 공정, 한쌍의 성형 몰드내에 사출성형수지를 시트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사출성형수지가 접촉하도록 사출하는 공정, 사출성형수지를 고화시켜 사출성형수지의 표면에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를 밀착하여 적층시켜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와 성형물로 이루어진 가식 성형품을 얻는 공정, 한쌍의 성형 몰드를 열고 한쌍의 성형 몰드내에서 가식 성형품을 꺼내는 공정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하므로, 값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성형물에 의한 가식 성형품을 얻을 수 있으며, 더욱이 해당 가식용 시트의 수지 생성물에 대해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이 좋은 가식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재시트의 아크릴 수지 시트 등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도장감도 부여한 가식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가식 성형품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는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으로 하는 측을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한 가식용 시트이다. 예를 들어, 도 1(A)에 예시하는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S)는 기재시트(1)와, 기재시트(1)의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설치된 접착층(2)을 갖는다. 접착층(2)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의 모노머 또는/및 프레폴리머를 폴리프로필렌의 주쇄에 그라프트 중합시킨 수지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B) 및 (C)는 별개의 형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에 나타낸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S)는 아크릴계 수지의 기재시트(1A)와, 바인더 수지에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의 어느 1종류 이상을 혼입시킨 장식층(3)과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2)을 차례로 적층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C)에 예시한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시트(S)는 도 1(B)에 나타낸 구성의 시트에 대해, 추가로 장식층(3)과 접착층(2) 사이에 설치되며,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의 어느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4)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는 기재시트(1A)는 그 아래의 장식층(3)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도 1(A)~(C)에 나타낸 가식용 시트(S)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의 대표예로서,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는 이들 형태 외에도 도 1(D)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 들어 기재시트( 1A)의 안쪽면에 장식층(3)만을 갖고, 해당 장식층(3) 자체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잉크의 바인더 수지등으로 포함하는 층으로 한 형태가 있다.
(기재시트)
기재시트(1)로서는 성형성이 있는 수지 시트가 대표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평판상 성형물의 평면부에 가식용 시트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지만, 적층하여야 하는 성형물이 요철면을 갖고,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등에 의해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를 늘림으로써, 요철면을 가식할 때에는 성형성이 필요하다. 또한, 기재시트(1)의 밑(수지성형물측)에 장식층(3) 등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층을 설치하는 경우에 기재시트(1)는 투명해야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도 1(A)의 장식층이 없는 구성 또는 표면에 장식층을 설치한 구성)에는 기재시트가 불투명(착색 또는 무착색)하여도 좋다. 투명 또는 불투명한 기재시트(1)로는 예를 들면 수지시트를 사용한다.
기재시트(1)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등의 폴리에스테르수지, 나일론등의 폴리아미드수지,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등의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염화비닐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수지,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또는 우레탄계, 기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등의 열가소성수지 시트의 단층 혹은 이종 재료의 2층 11, 12이상의 적층체가 이용된다. 또한, 성형성을 만족한다면 부직포나 직포 등의 포 등에 수지를 함침시킨 시트나 여기에 상기의 수지 시트를 적층한 적층체 등도 이용된다.
또한, 기재시트(1)로서 이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등의 아크릴수지(단,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함)를 단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단층 또는 2층 11, 12이상의 적층체의 시트로서 이용한다. 또한, 이 경우, 기재시트는 무색 투명 이외에 착색 투명이어도 좋다.
기재시트를 아크릴계 수지의 (투명한) 기재시트(1A)로 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우수한 도장성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내후성, 내마모성 등도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기재시트(1, 1A)의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등의 윤활제, 실리카, 구상α-알루미나, 인편상α-알루미나 등의 입자로 이루어진 감마제(減摩劑),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미립자산화세륨계등의 자외선 흡수제, 힌다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 등의 광안정제 또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등의 입자로 된 충진제, 가소제, 안정제,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물성 조정을 위해 첨가해도 좋다. 단, 아크릴계 수지로 된 기재시트(1A)의 경우에는 투명성을 잃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한다.
그리고, 기재시트(1, 1A)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는 30~500㎛ 정도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시트(1A)의 경우에는 통상 50~250㎛정도로 한다. 이 정도의 두께이면, 접착층의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으로서 기재시트 가열 후의 잔류 응력에 의해 가식용 시트가 수지 성형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접착층)
접착층(2)은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측에 설치되는 층이다. 따라서, 이 접착층(2)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특정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이 층에 염소화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경우에 충분한 내열성(성형 동시 가식할 때 및 제품시)을 얻을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식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 부품등의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은 특히 일반적으로 밀착이 나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한 수지 성형물에 대하여 얻어진다.
상기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해당 모노머 중합물로서의 프레폴리머)로 변성한 수지이면 기본적으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단,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아크릴계의 모노머 또는/및 프레폴리머를 폴리프로필렌의 주쇄에 그라프트중합시킨 수지는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 및 도공ㆍ 인쇄 적성의 점에서 적절한 수지의 하나이다.
또한, 내열성 향상등의 물성 조정을 위하여 추가로 아크릴계 이외의 모노머나 프레폴리머도 그라프트중합시키는 등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염소원자를 부가시켜도 좋다.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헥센 공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변성하는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모노머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의 프레폴리머로서는 상기의 아크릴계 모노머끼리 또는 이들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예를 들면, 스틸렌 등)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절한 용매에 용해 또는 팽윤시킨 상태로 하여 라디칼 중합 개시제와 함께 아크릴계 모노머나 아크릴계 프레폴리머를 첨가하여, 해당 모노머나 프레폴리머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쇄에 대해 그라프트 중합시키면 된다.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 클로로벤젠, 아니솔, 시클로헥산, 납사 등을 사용하며, 또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등을 이용하면 좋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 변성함으로써 유기용제에 녹게하여 도공 적성이나 인쇄 적성을 얻어서 도액이나 잉크로서 공지의 도공 또는 인쇄법에 의해 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유기용제에 녹지 않는 경우에는, 용융 도공법등의 기타의 형성 방법으로 층 형성을 한다. 그리고, 접착층은 T다이 압출법에 의해 수지 시트로서 성막한 것을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라미네이션법등으로 적층해도 좋다. 수지시트로 한 경우에는 이 수지시트 자체를 기재시트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접착층의 두께는 0.5~100㎛정도로 하면 좋다.
그리고, 접착제 중에는 추가로 잉크(또는 도액)의 인쇄(또는 도공) 적성등의 제물성을 조정,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기타의 부재료, 예를 들면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등의 체질 안료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좋다.
(장식층)
장식층(3)은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는 모양이나 문자등의 문양을 표현하는 층이다. 문양은 임의로 하거나, 예를 들면 나무결, 돌결, 천무늬, 모래무늬, 기하학 모양, 문자, 전면 등이다.
장식층(3)으로서 용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등을 증착한 금속박막층을 사용해도 좋으나, 기재시트(1A)를 아크릴계 수지의 수지시트로 하는 경우에는기재시트(1A)와의 밀착성, 또한 접착층(2)과의 밀착성 등의 점에서 바인더 수지에 특정 수지를 사용한 층으로 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러한 특정 수지로서는 층간 밀착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상기의 아크릴계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중의 어느 1종류 이상을 사용한다. 즉, 바인더로서 이들 수지는 단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수지로 사용한다. 또한, 물성 조정을 위하여 이들 이외의 수지를 부성분의 범위내에서 병용해도 좋다. 부성분 수지의 예로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열가소성 우레탄수지,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등의 염소화폴리올레핀등의 수지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층(3)은 상기 수지를 바인더로 하며, 통상 착색제등을 함유하는 잉크 또는 도료로 그라비아 인쇄등의 공지의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 도공 등의 공지의 도공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상기 기재시트의 부분에서 열거한 것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중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아크릴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산화비닐 공중합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염화비닐 및 산화비닐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산화비닐 함유량이 5~20질량% 정도,평균 중합도 350~900정도의 것이 이용된다. 당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로서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이원공중합체)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에 추가로 말레인산, 포말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르본산을 공중합체시켜 3원 공중합체로 하여도 좋다. 아크릴수지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 그 혼합비는 아크릴수지/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 1/9~9/1(질량비)정도로 한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장식층이 전면층으로 된 경우, 이것을 접착층과 겸용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 예를 들면, 티탄백, 아연화, 카본블랙, 철흑, 변병(弁柄), 카드뮴레드, 군청, 코발트블루, 황연, 티탄옐로우 등의 무기안료, 프탈로시아닌블루, 인다스렌블루, 이소인돌리논옐로우, 퀴나크리돈레드, 페릴렌레드 등의 유기안료, 알루미늄, 진유 등의 금속 분말 또는 인편 등의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피복운모 분말 또는 인편등의 진주 광택(펄)안료 또는 염료 등이 이용된다.
또한, 장식층(3)은 도 1(B) 및 (C)의 구성과 같이 기재시트(1A)의 안쪽측(수지성형물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나, 기재시트(1A, 1)의 바깥측(수지성형물측과는 반대편)에 장식층(3)을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A)의 구성에 대해 그 기재새트(1)의 바깥쪽에 장식층(3)을 형성해도 좋다.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4)은 필수는 아니지만, 장식층과 접착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경우 등에서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C)참조). 예를 들어,수지 성형물과의 밀착성을 중시하여 접착층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선정하면, 장식층과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등이 있다. 플라이머층(4)의 수지로서는 기본적으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장식층과 접착층의 수지 내용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우레탄수지 또는 기타 수지등을 사용한다. 단, 장식층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프라이머층의 수지도 아크릴계 수지, 상기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층간 밀착성의 점에서 바림직하다. 이들 수지는 장식층에서 설명한 특정수지와 같으므로 같은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라이머층은 이러한 수지로 된 잉크나 도액으로 공지의 인쇄법 또는 도공법으로 형성하면 좋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1~10㎛정도이다.
또한, 프라이머층(4)은 이접착층(易接着層)이지만, 이러한 이접착층은 필요에 따라서 기재시트와 장식층간등의 다른 층간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층의 재료에 따라 상기의 특정 수지 또는 기타 수지등을 사용하면 좋다.
[가식성형품]
본발명 가식성형품은, 상기 본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가 그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의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성형물에 접착해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성형품이다. 특히, 본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수지성형물과의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 효과가 있다라는 점에서 성형물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구성이 가장 적당하다.
도 2의 단면도에 예시하는 가식성형품(P)은 그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성형물(5)과,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2), 바인더에 아크릴계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 어느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장식층(3), 및 아크릴계수지의 기재시트(1A)를 포함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갖추고 있다. 수지성형물(5) 상의 접착층(2), 장식층(3), 및 기재시트(1A)는, 가장 적당하게는,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 의해서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수지성형물(5)상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생긴다.
수지성형물(5)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1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물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첨가하는 것도 좋다.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무(EPR)이며, 비정질의 랜덤공중합체이다. 또, 에틸렌프로필렌고무로서는 순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외에 에틸렌-프로필렌-디엔메틸렌-폴리머(EPDM)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1~40질량부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밀착성의 향상, 강성유지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지성형물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수지 외에 아크릴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출성형수지는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착색제를 첨가하여 착색한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착색제로는 상술한 장식층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수지로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등의 무기물 분말, 유리섬유 등의 충진제, 안정제, 윤활제등의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킨다.
게다가, 가식성형품(P)은 보통 가식용시트(S)의 적층면이 비평면으로 이루어진 입체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식성형품(P)으로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 시트(S)의 적층면은 평면이지만, 다른 면이 비평면의 입체물, 혹은 적층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판상물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형품(P)을 얻기 위해서는 가식용시트(S)에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며, 또한 사출성형동시 가식용시트(S)를 수지성형물(5)상에 적층하는 방법은 뒤에 서술할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이 가장 적당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식성형품을 얻는 방법은 반드시 이 사출성형동시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의 변칙적인 사용방법은 되지만, 피착체인 수지성형물(에 있어서의 가식용시트의 피착면의 형상), 준비할 수 있는 제조설비등에 따라서 적당히 다른 성형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일본특공소56-45768호공보(오버레이법), 일본특공소60-58014호공보 (진공프레스법) 등에 기재된 소위 진공성형적층방법 등이라도 괜찮다. 물론,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성형과 가식을 동시에 하나의 공정으로 할 수 있어서 생산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이용하여 소위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 의해서 수지성형물의 표면에 적층하는 것으로 그 가식용시트로 가식된 성형품을 얻는 방법이다.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이란, 일본특공소50-19131호공보, 일본특공소43-27488호공보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사출성형의 암수양몰드의 사이에 배치한 후, 유동상태의 수지를 몰드내에 사출충진하고 수지성형물의 성형과 동시에 그 표면에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적층하여 가식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은, 사용하는 가식용시트(S)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이용하는 것 외에 종래 공지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 있어서의 각종 형태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식용시트(S)의 예비성형을 행하는 형태든 아니든 어느 것이라도 괜찮다. 또한, 가식용시트의 예열을 행하여도 좋으며, 행하지 않아도 괜찮다. 더우기, 예비성형시에는 통상적으로 가식용시트를 예열한다.
그리고, 당연한 것이지만, 가식용시트(S)의 수축이 큰 경우에는 예비성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식용시트(S)의 수축이 작을 경우에는 사출되는 유동상태의 수지의 수지압만으로 가식용시트(S)를 성형하여도 좋다. 이 때, 수축이 약하면 예비성형없이 수지사출과 동시에 몰드내에 충진되는 유동상태의 수지의 수지압으로 가식용시트(S)를 성형하여도 좋다. 또한, 수지압으로 가식용시트(S)를 성형할 경우라도 가식용시트(S)는 예열하지 않고 사출수지의 열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가식용시트(S)의 예비성형은 통상적으로 사출성형몰드를 진공성형몰드와 겸용하여 행하지만, 몰드 사이에 가식용시트를 공급하기 전에 몰드의 외부에서 별도의 진공성형몰드에서 가식용시트(S)를 진공성형하는 것과 같은 예비성형(오프라인예비성형)이라도 괜찮다. 단, 예비성형은 사출성형몰드와 진공성형몰드를 겸용하여 행하는 형태가 효율적이며, 또한 정밀도도 좋아서 가식용시트(S)를 적층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비성형이 끝난 가식용시트(S)를 미리 다른 장소에서 정리하여 제조하여 둘 경우에는 예비성형은 오프라인예비성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진공성형이란 진공압공성형도 포함한다.
도 3의 개념도에 의거해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을 그 하나의 형태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형태는 몰드를 조이기전에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을 몰드 사이에서 가열하여 연화시켜 사출성형몰드에서 진공성형에 의해 예비성형한 후, 몰드를 조여서 수지를 사출하는 형태이다. 또한, 이 형태는 상기한 가식용시트의 예비성형, 예열의 각종 조합의 형태 중에서 가식용시트의 수축이 클 경우에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
게다가, 본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서 이용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는 낱장이나, 연속띠모양, 어느 쪽이라도 상관없다.
우선, 도 3(A)와 같이, 사출성형몰드로서는 사출노즐(44)과 연통하는 탕도(湯道 : runner(46)) 및 탕구(湯口: gate(45))를 가지는 숫몰드(Ma)와, 케비티면(43)에 흡인구멍(41)을 가지며 시트(S)의 예비성형몰드를 겸용하는 암몰드(Mb)로 이루어진 한 쌍의 성형몰드를 이용한다. 이 몰드(Ma, Mb)는 철등의 금속, 혹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몰드를 벌린 상태에서 양몰드(Ma, Mb) 사이에 가식용시트(S)를 공급하고, 암몰드(Mb)에 가식용시트(S)를 평면에서 보는 테두리모양의 시트클램프(42)로 억눌러서 고정시킨다. 이 때, 가식용시트(S)의 접착층쪽(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도면 우측의 사출수지측이 되도록 한다. 이어서, 적당히 양몰드(Ma, Mb) 사이에 삽입한 히터(50)에서 가식용시트(S)를 가열연화시킨다. 가열은, 예를 들면, 비접촉의 복사가열로 하나, 접촉에 의한 전도가열이라도 괜찮다. 그리고, 흡인구멍(41)에서 흡인하여 진공성형하고, 가식용시트(S)를 몰드(Mb)의 케비티면에 따라서 예비성형한다. 이어, 히터(50)을 양몰드(Ma, Mb)사이로부터 빼고, 도 3(B)과 같이 양몰드(Ma, Mb)를 조여 양몰드(Ma, Mb)에서 형성되는 케비티에 가열용융상태등의 유동상태의 수지(48)를 충전한다. 그리고, 수지(48)가 냉각에 의해 고화한 후, 양몰드(Ma, Mb)를 벌려서 성형물을 꺼낸다.
그리고, 가식용시트(S)의 불필요한 부분을 적당히 트리밍하고, 수지성형물(5)에 가식용시트(S)가 적층된 구성의 가식성형품(P)이 얻어진다.
(사출성형수지)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 있어서는 사출성형하는 수지(48)로는 기본적으로는 특히 제한없이 공지의 수지로 족하다. 제품의 요구물성이나 비용에 따라서 선정하면 된다. 열가소성수지로서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수지, 스티렌수지, 아크릴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경화성수지로서는 2액경화형 수지,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 수지등의 미경화 수지액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용융하여 유동상태에서 사출하며, 또한 경화성 수지는(그 미경화물을) 실온 또는 적당히 가열하여 유동상태에서 사출한다. 단,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는 특히 폴리올레핀계수지에 대해 밀착성이 좋아지도록 하므로 사출성형수지(48)로서는 폴리올레핀계수지가 가장 적당하다. 이 폴리올레핀계수지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본 발명의 가식성형품에서 서술하였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기타〕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식」이란, 단순히 그림이나 문자, 도형등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모양을 성형품에 부여하는 것 이외에 눈으로 볼 수 없는 모양, 또는 경질도막, 도전체층, 자성체층 등의 기능성층을 부여하는 것도 포함한다. 눈으로 볼 수 있는 모양으로는 인쇄등에 의해 형성한 그림층, 진공증착등에 의해 형성한 금속박막층등 공지의 것이 이용되며, 눈으로 볼 수 없는 모양의 예로는 가시광에 대해서는 투명하며 자외선조사에서 형광을 발하는 형광잉크로 인쇄한 그림적외선흡수성잉크, 자성체잉크등을 이용한 바코드, 식별마크등이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실시예1〕
아크릴수지(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부틸메탈크릴레이트의 혼합수지로 유리전이온도105℃)로 이루어진 두께 125㎛의 투명한 수지시트로부터 기재시트(1A)를 준비하였다. 이 기재시트(1A)의 한쪽면에 다색인쇄에 의한 나무결 모양의 장식층(3)(전면층도 포함한다)과 두께 3㎛의 접착층(2)을 이 순으로 그라비아 인쇄에의해 형성하고 도 1(B)에 나타낸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얻었다.
게다가, 장식층(3) 중의 바인더수지로서 아크릴수지와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와의 1 대 1 질량비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착색제로는 변병과 카본블랙을 주체로 한 착색잉크를 이용하였다. 또한, 아크릴성분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계로 올레핀성분이 폴리프로필렌계로 이루어지며, 올레핀성분 중합체의 주쇄에 아크릴성분을 그라프트중합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과의 1대 1 질량비의 혼합용제에 용해하여 잉크를 만들고, 이 잉크에 의해 해당 장식층표면에 인쇄하여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 3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 의해서 상기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수지성형물(5)의 성형과 동시에 이 수지성형물(5)의 표면에 적층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가 수지성형물(5)에 적층된 구성의 본 발명 가식성형품(P)를 얻었다.
더우기,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은 사출성형의 암몰드(Mb)를 진공성형몰드로서 가식용시트(S)를 몰드(Ma, Mb) 사이에 공급한 후, 히타(50)에 의해 가열연화하여 진공성형으로 예비성형하였다. 또한, 사출성형금형(Ma, Mb)으로서는 테스트평가용의 상자 모양의 패널로 이루어진 수지성형물(5)이 얻어진 금형을 이용하였다. 암몰드(Mb)는 시트예비성형을 위한 흡인구멍(41)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식용시트(S)의 예비성형시의 가열온도는 110℃, 사출수지온도는 230℃로 하였다. 그리고 사출수지(48)로서는 자동차내장품용의 장식용수준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더우기, 이 폴리프로필렌계수지는 폴리프로필렌에 비해서 에틸렌-프로필렌고무가 10질량%첨가되며, 또한 탈크분말이 20질량%첨가된 수지이다.
〔비교예1〕
실시예 1에 있어서, 장식층(3)의 형성한 후, 아크릴폴리올과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의 잉크로 두께0.75㎛ 프라이머층(4)을 그라비아인쇄로 형성하였다. 그 후에 두께 3㎛의 접착층(2)을 염소화폴리프로필렌에 추가로 석유계수지와 에폭시수지를 첨가한 잉크의 그라비어인쇄로 형성하여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로 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이 사출성형동시가식하여 가식성형품(P)를 얻었다.
〔비교예2〕
비교예 1에 있어서, 프라이머층(4)의 수지를 폴리카보네이트골격을 가진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를 주제로 하고 경화제에 1, 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MDI)의 트리메티롤프로판(TPM) 부가물을 이용한 2액경화형우레탄수지를 대체하는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성형동시가식하여 가식성형품(P)을 얻었다.
〔비교예3〕
비교예 2에 있어서, 접착층(2)의 수지를 염소화폴리프로필렌과 우레탄 수지와의 혼합수지계로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출성형동시가식하여 가식성형품(P)를 얻었다.
〔성능평가〕
상온시의 밀착성, 성형직후의 밀착성(성형시의 내열성), 가식성형품의 내열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① 상온시의 밀착성 : 가식성형품(P)에 대해서 바둑판 모양 테이프법(JIS K5400-1990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바둑판 모양 테이프법은 주변온도 23℃의 환경하에서 가식성형품(P)의 표면[가식용시트(S)면]에 1mm 간격으로 바둑판 모양에 종횡으로 깊이가 수지성형물에까지 도달하는 홈을 커터나이프로 만들어서 종횡으로 10 ×10개, 합계 100개의 사각공간을 만든 후, 셀로판 점착 테이프(니티반주식회사제, 「셀로테이프」(등록상표) 24mm폭, 산업용)을 붙인 후, 세게 떼어서 가식용시트(S)에 생긴 사각공간이 테이프와 함께 떨어지는지 아닌지 평가하였다. 그리고 100개의 전사각공간이 떨어지지 않고 모두 잔류하였을 때(100/100)는 양호, 하나의 사각공간이라도 떨어졌을 때(99/100이하)에는 불량으로 하였다.
② 성형직후의 밀착성 : 바둑판 모양 테이프법에서는 바둑판 모양에 홈을 내는데 시간이 걸리며, 그 사이에 시험체(가식성형품(P))의 온도가 내려가 버리므로, 성형가공시의 내열성으로서의 성형직후의 밀착성에 대한 평가는 크로스컷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크로스컷법에서는 성형직 후의 다 식어버리지 않은 가식성형품(P) 표면(가식용시트(S)면)에 30°로 교차하는 열십자형으로 깊이가 수지성형물(5)에까지 달하는 홈을 커터나이프로 만들었다. 그런 다음, 홈의 크로스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성형물(5)의 표면에 라미네이트된 가식용시트(S)를 떼어낼 수 있는지 아닌지 평가하였다. 가식용시트(S)가 깨어져 중앙의 크로스부분의 이외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은 양호, 크로스부분의 이외에서도 떨어진 것은 불량으로 하였다.
③ 내열성 : 가식성형품(P)를 90℃, 100℃, 110℃의 각각의 온도하에서 1000시간 방치하여 가식성형품(P)로서의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내열성 평가는 다음의 (A)에서 (D)의 4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모두가 양호하면 내열성 양호, 한 항목이라도 불량하면 내열성불량으로 하였다.
(A) 성형품(P)의 외관표면의 색이 JIS그레이스케일 4이하의 색의 차이가 나면 양호, 4를 넘으면 불량으로 하였다.
(B) 성형품(P)표면에 라미네이트된 가식용시트(S)의 가장자리부분의 박리유무에 대해서 박리하지 않으면 양호, 박리하면 불량으로 하였다.
(C) 성형품(P)의 표면상태에 대해서 유자껍질이나 모양과 같은 것이 눈으로 관찰되지 않으면 양호, 관찰되면 불량으로 하였다.
(D) 밀착성 : 가식성형품(P)의 온도를 상온(23℃)까지 내린 후에 상기의 바둑판 모양 테이프법으로 평가하였다. 100/100은 양호, 99/100이하는 불량으로 하였다.
표1 밀착성의 평가결과
상온시의밀착성 성형직후의밀착성 내열성(각 1000시간)
90℃ 100℃ 110℃
실시예 1
비교예 1 ×(밀착력 약) ×(밀착력발생) ×(밀착력발생) ×(밀착력발생)
비교예 2 ×(밀착력 약) ×(밀착력발생)
비교예 3 ×(밀착력 약) ×(밀착력발생) ×(밀착력발생)
(주) ○ 양호
× 불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밀착성은 상온시의 시트(S)의 밀착성 외, 성형공정시에 요구되는 성형직후의 시트(S)의 밀착성, 그리고 가식성형품(P)의 내열성에 대해서도 모두 양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에서는 모두 (비교예 1∼비교예 3) 시트(S)의 상온시의 밀착성은 양호하나, 성형가공시의 가열하에 있어서의 시트(S)의 밀착력이 약해 성형직후의 밀착성이 불량하다. 또한, 가식성형품의 내열성도 비교예 1에서는 90℃이상에서 불량, 비교예 3은 100℃이상에서 불량, 비교예 2에서는 110℃에서 불량하였다. 게다가, 각 비교예의 내열성불량은 모두 (B)의 시트 가장자리 부분에서 박리되며, 그 외의 항목 (A), (C) 및 (D)는 모든 비교예에서 양호하였다.
① 본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에 따르면, 값은 싸지만 밀착이 나쁜 폴리올레핀계수지의 수지성형물에 대해서도 사출성형동시가식시, 및 성형후의 가식성형품(P)의 상태에서도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와 사출성형수지(48)과의 밀착성에 관한 내열성이 좋아진다.
② 더우기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로서 아크릴계의 모노머나 프레폴리머가 폴리프로필렌의 주사슬에 그라프트중합시킨 수지를 이용하면 밀착성에 대한 내열성을, 특히 사출성형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수지등의 폴리올레핀계수지의 경우에,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③ 또한, 가식용시트(S)로서 아크릴계수지의 기재시트(1A)와 특정바인더수지의 장식층(3)과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성으로 한다면, 상술의 밀착성 및 내열성에 추가해서 각층 1A, 2, 3간의 밀착성도 양호하며, 더우기 기재시트를 투명화하여 우수한 도장감을 얻을 수도 있다.
④ 또한, 상기의 장식층(3)과 접착층(2)와의 사이에 특정수지의 프라이머층(4)를 형성하면, 장식층(3)과 장식층(2)과의 층간밀착을 보다 확실히 하여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로서의 층간밀착성에 관한 내열성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⑤ 본발명의 가식성형품(P)에 따르면, 값은 싸지만 밀착하기 어려운 폴리올레핀계수지의 수지성형물의 표면에 대해서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와 수지성형물(5)간의 밀착성에 관한 내열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밀착성에 관한 내열성이 좋아지므로 내열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내장품 용도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가식성형품(P)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수지성형물(5)로서 폴리프로필렌등의 값싼 폴리올레핀계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⑥ 본발명의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에서는 상기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S)를 이용함으로써 값은 싸지만 밀착하기 어려운 폴리올레핀계수지(48)등으로 이루어진 수지성형물(5)에 대해서도 밀착성에 관한 내열성이 좋은 가식성형품(P)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기재시트(A)로서 아크릴수지시트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우수한 도장감을 부여한 가식성형품을 얻을 수도 있다.

Claims (15)

  1. 사출성형수지에 접착하여 이용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에 있어서, 기재시트와, 기재시트의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며,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가 적어도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및 프레폴리머를 폴리프로필렌의 주사슬에 그라프트중합시킨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사출성형수지와 접착하는 접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기재시트와 접착층과의 사이에 장식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5. 제 3항에 있어서, 기재시트의 접착층과 반대면에 장식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장식층은 바인더의 수지와, 바인더의 수지에 포함된 아크릴계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중 어느 1종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7. 제 4항에 있어서, 장식층과 접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계수지 중 어느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장식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기재시트는 아크릴계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11. 제 1항에 있어서, 기재시트는 2층이상의 적층체 시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
  12. 사출성형수지에 접착하여 이용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이며, 기재시트와, 기재시트의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며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와,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의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접착된 사출성형수지로 이루어진 성형물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 성형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성형물의 사출성형수지는 폴리올레핀계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 성형품.
  14. 사출성형수지에 접착하여 이용되는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이며, 기재시트와, 기재시트의 사출성형수지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며 아크릴계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춘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몰드를 벌린 상태의 한 쌍의 성형몰드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한 쌍의 성형몰드의 몰드를 조이는 공정과,
    한 쌍의 성형몰드내에 사출성형수지를 시트의 아크릴변성폴리올레핀계수지를 포함하는 층에 사출성형수지가 접촉하도록 사출하는 공정과,
    사출성형수지를 고체화하여 사출성형수지의 표면에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를 밀착해 적층시켜 사출성형동시가식용시트와 성형물로 이루어진 가식성형품을 얻는 공정과,
    한 쌍의 성형몰드의 몰드를 열어서 한 쌍의 성형몰드내에서 가식성형품을 꺼내는 공정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사출성형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수지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가식방법.
KR10-2001-0006445A 2000-02-10 2001-02-09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동시 가식방법 KR100505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315 2000-02-10
JP2000033315A JP3314271B2 (ja) 2000-02-10 2000-02-10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107A true KR20010082107A (ko) 2001-08-29
KR100505822B1 KR100505822B1 (ko) 2005-08-04

Family

ID=1855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445A KR100505822B1 (ko) 2000-02-10 2001-02-09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동시 가식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001659B2 (ko)
EP (1) EP1123791B1 (ko)
JP (1) JP3314271B2 (ko)
KR (1) KR100505822B1 (ko)
AT (1) ATE265299T1 (ko)
DE (1) DE60102944T2 (ko)
ES (1) ES2218289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768A (ko) * 2004-09-10 2006-03-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 시트 및 화장재
KR100978158B1 (ko) * 2001-10-31 2010-08-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교결합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열성형가능 필름에서의그의 용도
US11383492B2 (en) 2017-08-2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Outer plat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9944A1 (en) 2001-10-31 2004-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thermoforming non-self-supporting polymeric film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DE10207639A1 (de) * 2002-02-22 2003-09-04 Wipak Walsrode Gmbh & Co Kg Farbdektorsystem
US20040137203A1 (en) * 2002-07-18 2004-07-15 Adams Matthew T. Method for direct parts marking composite materials
TW569888U (en) * 2002-09-09 2004-01-01 Stanley Chiro Int Ltd Tool box with thermal shrunk and integrated nameplate unit
JP3718496B2 (ja) * 2002-11-13 2005-11-24 帝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品
US6903320B2 (en) * 2002-12-10 2005-06-07 Mars, Incorporated Differential temperature microwavable container
AT500082B1 (de) * 2003-10-31 2007-08-15 Senoplast Klepsch & Co Gmbh Mehrschichtiger verbundkörper und dessen herstellung
US20050288545A1 (en) * 2004-03-31 2005-12-29 Jun Matsumoto Flexible tube for endosc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S2301278B1 (es) * 2004-09-24 2009-05-01 Raquel Lois Casademunt Utensilio para barrer.
US20060076702A1 (en) * 2004-10-07 2006-04-13 Fu-Chi Tsai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ing of an electronic product with surface decoration thereon
US7465487B2 (en) 2004-10-29 2008-12-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EP1655149B1 (en) * 2004-11-03 2009-03-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US20060108715A1 (en) * 2004-11-23 2006-05-25 Yu-Keng Huang Method for making a decorative ring of a ceiling fan
DE102005002378C5 (de) * 2005-01-18 2012-11-08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CA2601713A1 (en) * 2005-03-24 2006-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osion resistant metallized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845180B2 (ja) 2005-08-25 2011-12-28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2007261143A (ja) * 2006-03-29 2007-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EP2008810B1 (en) 2006-03-31 2018-05-09 Yoshino Kogyosho Co., Ltd. Molded resin article and method of surface treatment therefor
US7608320B2 (en) * 2006-07-12 2009-10-27 Teng Tsai Art Printing Co., Ltd. Container structure
US20080036566A1 (en) 2006-08-09 2008-02-14 Andrzej Klesyk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CN100566997C (zh) * 2006-12-08 2009-12-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涂层制品及其制备方法
DE102007026385A1 (de) * 2007-06-06 2008-12-2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Form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Entlüftungsvorrichtung
US7874731B2 (en) 2007-06-15 2011-01-2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Valve for a recloseable container
US7946766B2 (en) 2007-06-15 2011-05-24 S.C. Johnson & Son, Inc. Offset closure mechanism for a reclosable pouch
US7887238B2 (en) 2007-06-15 2011-02-1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Flow channels for a pouch
US7857515B2 (en) 2007-06-15 2010-12-28 S.C. Johnson Home Storage, Inc. Airtight closure mechanism for a reclosable pouch
US7967509B2 (en) 2007-06-15 2011-06-28 S.C. Johnson & Son, Inc. Pouch with a valve
US20090051079A1 (en) * 2007-08-22 2009-02-26 Ronan Jeffrey J Roofing components having vacuum-formed thermoset material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JP5389037B2 (ja) * 2007-10-29 2014-01-15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ティ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優れた接着強さを有する複合物品及び該複合物品の形成方法
FR2925862B1 (fr) * 2007-12-26 2012-05-25 Plastic Omnium Cie Ensemble d'un moule et d'une traverse et face avant techniqu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9166313A (ja) * 2008-01-15 2009-07-30 Nanjo Sobi Kogyo Kk 自動車内装パネルの製造方法
US20090191343A1 (en) * 2008-01-30 2009-07-30 Aiska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printing decorative member
JP4609605B2 (ja) * 2009-03-31 2011-01-12 Dic株式会社 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AU2010285615A1 (en) * 2009-08-21 2012-03-08 Teijin Limited Decoration sheet for injection molding
TW201119869A (en) * 2009-12-14 2011-06-16 Darfon Electronics Corp Film, casing with decoration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of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ing
CN102712121A (zh) * 2010-03-05 2012-10-03 Dic株式会社 注射成型体的制造方法
US8945704B2 (en) * 2010-08-04 2015-02-03 Teijin Chemicals, Ltd. Multi-layer film, decorative molding film and molded body
KR101698638B1 (ko) 2010-09-15 2017-01-2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장식 성형용 필름
DE102011014989A1 (de) * 2011-03-24 2012-09-27 Webasto Ag Kunststoffbauelement eines Dachöffnungssystems
JP6005911B2 (ja) * 2011-06-30 2016-10-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真空圧空成形または真空成形により一体化された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797576A (zh) * 2011-09-02 2014-05-14 晟碟半导体(上海)有限公司 在存储装置上形成彩色图像的方法以及由此形成的存储装置
JP2014124940A (ja) * 2012-12-27 2014-07-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装飾積層シート、装飾積層シートを含む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3004180U1 (de) * 2013-05-03 2013-05-16 Mega-Tel Ag/Sa Matrix-Barcode auf hinterspritzter Folie
US8968618B2 (en) * 2013-07-17 2015-03-03 Modern Packaging Llc In-mold label forming surfaces for molded articles
JP6626258B2 (ja) * 2014-04-07 2019-12-25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材の製造方法
JP6492382B2 (ja) * 2015-03-26 2019-04-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支持シート
US20200047382A1 (en) * 2017-02-14 2020-02-13 Idemitsu Unitech Co., Ltd. Laminate, decorat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molded body, and molded body
JP6710674B2 (ja) * 2017-12-15 2020-06-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装飾積層シート、装飾積層シートを含む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205970A1 (en) * 2018-04-25 2023-07-05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EP3909763A1 (en) * 2018-04-25 2021-11-17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DE102018213252B4 (de) * 2018-08-07 2020-11-12 Gubesch Thermoform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auteils und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auteils
US20200254655A1 (en) * 2019-02-08 2020-08-13 ByDesign, LLC Decorative coating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7488Y1 (ko) 1966-12-08 1968-11-13
JPS56354B2 (ko) 1973-06-25 1981-01-07
JPS54132675A (en) 1978-04-05 1979-10-15 Asahi Chem Ind Co Ltd Overlaying method
CA1157990A (en) * 1979-03-08 1983-11-29 Hisaya Sakurai Thermoplastic resinous composition
JPS6058014B2 (ja) 1980-12-23 1985-12-18 橋本フオ−ミング工業株式会社 真空プレス接着装置
JPH0195018A (ja) 1987-10-07 1989-04-13 Mitsubishi Gas Chem Co Inc 凹凸面模様入り成形品の製造法
US4939009A (en) * 1988-03-17 1990-07-03 Eastman Kodak Company Multilayered sheets having excellent adhesion
US4948654A (en) 1989-02-27 1990-08-14 Eastman Kodak Company Sheet material useful in form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coatings
JPH03139542A (ja) 1989-09-28 1991-06-13 Rohm & Haas Co ポリオレフィンの改善された射出成形品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製品
ATE156172T1 (de) * 1990-06-01 1997-08-15 Atochem Elf Sa Zusammensetzungen thermoplastischer elastomere auf der basis von polyamiden und modifizierten polyolefinen, geformte oder extrudierte körper, filme und verbundmaterialien hergestellt aus diesen
JP2725216B2 (ja) 1990-09-28 1998-03-11 宇部興産株式会社 被覆層付成形体の製造法
ZA964731B (en) * 1995-06-07 1997-01-07 Avery Dennison Corp A Legal Bo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mak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films
JP3909723B2 (ja) 1997-06-30 2007-04-25 ローム・アンド・ハース・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エル.エル.シー. 感放射線組成物
JP4237835B2 (ja) 1997-07-11 2009-03-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3598220B2 (ja) 1997-07-22 2004-12-0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絵付インサートフィルムおよび絵付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2923281B1 (ja) 1998-02-27 1999-07-2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アクリル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WO1999043485A1 (fr) 1998-02-27 1999-09-02 Nissha Printing Co., Ltd. Feuille pour decoration dans le moule et article decore dans le moule
JPH11277695A (ja) 1998-03-30 1999-10-12 Dainippon Printing Co Ltd 成形品
KR100335347B1 (ko) * 1998-03-03 2002-05-06 기타지마 요시토시 성형품 및 이에 사용하는 표면 피복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58B1 (ko) * 2001-10-31 2010-08-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교결합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열성형가능 필름에서의그의 용도
KR20060023768A (ko) * 2004-09-10 2006-03-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 시트 및 화장재
US11383492B2 (en) 2017-08-21 2022-07-12 Lg Electronics Inc. Outer plat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19442A (ja) 2001-08-14
EP1123791B1 (en) 2004-04-28
DE60102944D1 (de) 2004-06-03
ATE265299T1 (de) 2004-05-15
ES2218289T3 (es) 2004-11-16
JP3314271B2 (ja) 2002-08-12
US20060071366A1 (en) 2006-04-06
EP1123791A1 (en) 2001-08-16
US20010019761A1 (en) 2001-09-06
DE60102944T2 (de) 2005-05-12
US7001659B2 (en) 2006-02-21
KR100505822B1 (ko) 2005-08-04
US7318905B2 (en)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822B1 (ko)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동시 가식방법
US8535595B2 (en) Embossed decorative injection-molded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73289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CA2404849A1 (en) Multilayer, co-extruded, ionomeric decorative surfacing
US6416866B1 (en) Molded article and surface covering sheet therefor
CA2046596A1 (en) Sheet material useful in form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coatings
JP2003170546A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662399B2 (ja) 加飾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4962612B2 (ja)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4202490B2 (ja) 加飾成形品
JP2000280283A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及び絵付け成形品
JP2003311779A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転写シート、及び絵付成形品
JP4157291B2 (ja) 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2002011754A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
JP4090581B2 (ja) 絵付シート、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成形品
JP4659967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品
JP4357653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383460B2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010816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け用シート、射出成形同時絵付け方法、及び成形品
JP3979819B2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H11277695A (ja) 成形品
JP2001260169A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
JP2001001368A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
JP2001096568A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
JP2000043084A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