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531A -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531A
KR20010079531A KR1020017000568A KR20017000568A KR20010079531A KR 20010079531 A KR20010079531 A KR 20010079531A KR 1020017000568 A KR1020017000568 A KR 1020017000568A KR 20017000568 A KR20017000568 A KR 20017000568A KR 20010079531 A KR20010079531 A KR 2001007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ontainer
beverage
valv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222B1 (ko
Inventor
피에트 하인 빌렘 팀프
파트릭 미카엘 반바알
Original Assignee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674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95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filed Critical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7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2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two valves dispos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30Filling of barrels or casks
    • B67C3/32Filling of barrels or casks using counterpressure, i.e. filling while the container is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 Y10T137/87965Valve- or closure-operated by coupling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밸브본체를 갖춘 음료수용 채널을 구비한, 음료수 특히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수를 위한 용기용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밸브본체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이 구비되되, 이 작동수단은 상기 음료수용 채널을 밸브본체를 통해 또는 이를 따라 용기를 비우는 음료수 배출수단에 결합하는 제 1결합수단과, 상기 음료수용 채널을 밸브본체를 통해 또는 이를 따라 용기를 채우는 충전수단에 결합하는 제 2결합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 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Valve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for beverage and method for filling and emptying a beverage container}
상기 공지된 밸브조립체는 제 1위치에서 음료수용 채널을 완전히 폐쇄시키는 밸브본체를 수용하는 음료수용 채널을 갖춘 하우징을 구비한다. 급폐쇄수단에 의해서, 음료수용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은 이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공지된 밸브조립체에서, 용기를 채우는 동안은 물론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방출하는 동안에 음료수용 채널의 동일한 통로가 각각의 경우에 개방되는데, 이 통로는 비교적 작아서, 음료수 용기가 비교적 천천히 채워질 수 있다. 이 공지된 밸브조립체에서, 통로를 증가시키면 음료수의 방출 동안에 과도하게 큰 흐름률이 얻어지게 되는데, 이는 음료수의 방출과 그 제어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구나,이 공지된 밸브조립체는 양끝으로 비교적 큰 크기를 갖고 있는데, 이는 예컨대 구비된 용기의 보관과, 필요한 자체의 공간 및, 이러한 밸브조립체의 취약성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이 공지된 밸브조립체는 2개의 밸브본체가 서로 반대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복잡하게 되면서 비싸고 고장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인 음료수 용기용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당한 주요 청구항의 전제부에 기술된 유형인 바, 이러한 밸브조립체는 유럽특허출원 0.389.191호로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a는 도 1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용기의 목부분에 위치되고서 용기를 채우는 제 2결합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확대 측단면도,
도 2a는 도 2에 따른 용기의 목부분의 사시도,
도 3은 개방위치에서 도 2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4는 폐쇄위치에서 용기를 비우는 제 1결합수단을 갖춘 도 2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5는 개방위치에서 도 4에 따른 밸브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제 1결합수단과 일체로 성형된 보호판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별도의 보호판을 갖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8은 보호판과 스페이서 및 밸브하우징의 일부를 구비한 밸브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2개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에 사용되는 스프링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채우는 동안에 용기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음료수를 방출하는 동안에 용기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본체의 일부와 제 2결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본체의 일부와 제 2결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홀더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6은 담금튜브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 15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사시도,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결합수단의 측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따른 밸브조립체와 도 17에 따른 제 1결합수단을 갖춘 용기의 단면도와 함께, 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19는 용기를 채우는 제 2결합수단을 갖춘 도 18에 따른 용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문에 기술된 유형의 밸브조립체를 제공하되, 적어도 전술된 결점이 방지되는 한편, 그 장점이 유지되게 하는 데에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1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용기를 비우는 음료수용 배출수단에 밸브조립체의 음료수용 채널을 결합하면서, 각각 용기를 채우는 충전(充塡)장치에 음료수용 채널을 결합하는 2개의 다른 연결수단이 놀라운 방식으로 사용된다. 상기 용기를 비우거나 채우는 작동 모두는 밸브본체를 따라 또는 이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공지된 밸브조립체와는 달리, 관련된 결합수단의 크기와 구조가 각각의 경우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한편, 실제로 동일한 밸브하우징과 밸브본체가 예컨대 내부용기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다. 제 2결합수단은 예컨대 과도한 거품발생이나 음료수 또는 그 반대로 용기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서 비교적 고속 및 고압으로 적어도 용기를 채우는 보다 큰 흐름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용기를 비우는 데에 적당한 제 1결합수단은, 예컨대 비교적 느리고 제어된 방식으로 음료수를 배출하는 비교적 작은 통로를 갖춘 구조로 될 수 있다. 더구나, 예컨대 상기제 1결합수단은 비교적 큰 스트로크(stroke)를 가진 밸브본체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이 제 1결합수단은 예컨대 비교적 작은 스트로크를 허용하여 이들이 양끝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는 제 1결합수단에 대하여 특히 중요한데, 원칙적으로 용기와 함께 이들 제 1결합수단이 최종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 2결합수단은 원칙적으로 단지 양조장이나 병에 채워넣는 시설 또는 이와 유사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결합수단을 이용하는 다른 장점은 제 1결합수단이 관련된 용기가 채워질 때까지 끼워넣어질 필요가 없어서, 이의 밀봉부 또는 포장밀봉부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으로, 이는 당해 용기에 있는 내용물의 품질을 보장하는 데에 중요하다.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3에 의해 추가로 특징지어진다.
이 실시예는 밸브조립체가 제 3위치에 있을 때, 비교적 큰 흐름의 음료수가 과도한 거품발생없이 비교적 빠르게 음료수 용기를 채우도록 단위시간에 밸브본체를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음료수 용기의 충전이 이를 위해 취해져야 하는 특별히 복잡한 측정없이 비교적 적은 시간을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더구나, 이는 채우는 동안 음료수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비교적 높은 충전압력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밸브조립체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비교적 작은 통로만이 음료수를 배출하기 위해 개방되기 때문에, 요구되는 흐름률의 정확한 제어가 과도한 거품발생과 임의의 복잡한 측정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성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5에 의해 추가로 특징지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본체가 완전히 폐쇄된 제 1위치와, 부분적으로 개방된 제 2위치 및, 완전히 개방된 제 3위치가 구분된 단계별로 한정되어, 그 결과 이러한 밸브조립체가 훨씬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6, 특히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상기 밸브본체의 적어도 제 2 및 제 3위치에서 밸브조립체가 이용되는 용기와 당해 용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음료수용 채널의 일부 사이에 개방된 유체연결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中空)인 밸브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성취된 장점은, 이 밸브본체가 특히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제 1 및 제 2위치의 통로가 측벽에 있는 각 개구부의 공간부의 전체 표면적에 의해 쉽게 한정된다는 것이다. 제 1위치에서, 음료수용 채널은 적어도 끝면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관련된 용기로부터 나온 음료수가 당해의 각 개구부에 도달할 수 없다. 더구나, 이로써 성취된 장점은 적어도 용기내로 음료수를 공급하는 동안에 음료수의 유출방향이 밸브본체의 길이방향 축과 각도를 이루어 음료수의 바람직한 분배를 얻게 되는 한편, 음료수는 채우는 개구부로부터 용기내에 이미 존재하는 음료수로 최대한의 압력으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서, 추가적으로 거품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이는 음료수가 용기로부터 제거될때, 이 용기에서 음료수용 채널로 각각의 관련된 개구부를 통해 형성된 음료수의 공급이 예컨대 용기의 유연성 있는 벽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더구나, 사용동안 각각의 경우에 음료수용 채널 자체의 관통개구부는 거의 완전히 자유로이 있게 되거나, 적어도 밸브조립체가 개방될 때 그 통로는 밸브본체의 존재유무에 의해 거의 제한되지 않는데, 이는 음료수의 흐름이 용기를 채우거나 비우는 동안 나쁜 영향을 받게 됨을 방지한다. 또한, 충전압력은 밸브본체의 개구부를 지지한다. 음료수용 채널의 길이방향 선단에 대해 제 1위치에서 폐쇄하는 밸브본체의 끝면의 이용은 간단한 방식으로 적당한 밀봉이 성취되게 하는데, 이 밀봉은 용기내에 다소 높은 압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더욱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9로 특징지어진다.
작동수단을 밸브본체에 결합하면 간단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정지수단은 제 1 및 제 2결합수단이 이용될 때 밸브본체의 스트로크가 각각의 경우에서 명료하게 한정되게 한다. 더구나, 밸브본체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결합수단이 이 밸브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음료수가 결합수단의 부재(不在)시 우연히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실상, 결합수단이 제거되었을 때 개방위치는 밸브본체에 의해 채택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본체는 폐쇄위치로 치우쳐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13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상기 밸브본체와 하우징 사이에 있는 체임버에 스프링수단을 수용함으로써,이 스프링수단이 용이하게 보호되고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이들은 항상 음료수 흐름의 외부에 위치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는 음료수의 품질과 스프링수단의 상호작용을 간단히 방지한다. 상기 밸브본체를 제 1위치, 즉 폐쇄위치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밸브본체가 개방위치에서 활발히 작동될 때까지 음료수는 용기로부터 흘러나갈 수 없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14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유체스프링수단, 특히 공기스프링의 사용으로 성취된 장점은 밸브조립체가 특히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구조로 되는 한편, 적당한 스프링특성의 스프링수단이 얻어진다는 것으로, 더구나 이러한 스프링수단은 음료수의 품질이 이 음료수가 스프링수단에 접촉될지라도 어떤 방식으로도 영향받을 수 없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재이용이 이로써 더욱 간단하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16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폐쇄위치에 밸브본체를 고정함으로써, 이와 함께 구비된 용기의 운반과 보관이 더욱 간단하게 되며, 품질의 보존이 확보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청구항 18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실시예로 성취된 장점은, 압력체가 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용기의 내부공간을 위한 압축해제밸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결국 용기의 내부공간이 과도하게 고압인 경우에 밸브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위치쪽으로 압착되어, 적어도 가스가 그 안의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내부공간으로부터 나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수 용기용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청구항 19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특히 간단한 구조와 효과적인 형식의 통로인 밸브조립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이에 따른 밸브조립체를 구비한, 특히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인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청구항 21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외부용기와 이 안에 구비되고서 음료수가 저장될 수 있는 비교적 유연성 있는 내부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 사이로 압력매개체를 삽입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내부용기가 비워지도록 압박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부용기는 외부용기에 의해 비교적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용기는 비교적 용이하게 비워질 수 있는 한편, 상기 용기는 제 2결합수단을 갖춘 밸브조립체에 의해 더욱 쉽게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압력매개체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되, 밸브본체가 제 1위치에 있을 때에 이 공급수단은 폐쇄되고, 밸브본체가 개방위치, 즉 제 2 또는 제 3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공급수단이 개방됨으로써, 음료수가 용기내로공급되지 않거나 용기로부터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공간에서의 압력은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쉽게 성취된다. 결국 이들 경우에서, 밸브본체는 제 1위치에 있되, 음료수용 채널은 폐쇄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추가로 청구항 23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제 1 및 제 2결합수단에 있는 제 1밀봉수단과 하우징에 있는 제 2밀봉수단을 사용하되, 밸브본체가 임의의 개방위치에 있을 때 제 1 또는 제 2결합수단과 음료수가 이동하는 경로와 분리된 공기채널 사이의 기밀연결을 위해 제 1 및 제 2밀봉수단이 상호작용하게 됨으로써, 적어도 압력매개체인 공기용 통로는 이 공기가 음료수와 접촉되지 않고서 쉽게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따른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구항 25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채워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채워진 후 용기의 폐쇄가 바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추가로 청구항 26으로 특징지어진다.
내부용기를 위치시키기 전에, 이에 연결된 밸브조립체의 일부와 함께 사용된 내부용기를 분리함으로써 성취되는 장점은 외부용기가 다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밸브조립체의 관련부품과 함께 내부용기가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제 2결합수단이 없다면 전체 밸브조립체가 재사용될 수 있다.
밸브조립체와 음료수 용기 및 그 조합과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와 음료수 용기 및 방법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한 부품에는 동일하거나 상응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밸브본체의 제 1위치는 폐쇄위치를 의미하며, 제 2위치는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배출하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를 의미하고, 제 3위치는 용기를 채우는 개방위치를 의미하는데, 이 제 3위치에서 바람직하기로 밸브조립체는 제 2위치에서보다 더욱 개방되어 밸브조립체가 보다 큰 흐름률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또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이나 포착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이 가스의 통과에 대하여 불투과성인 PET를 불어서 만든 대체로 견고한 외부용기와, 예컨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비교적 유연성 있는 자루형상의 내부용기를 구비한다. 물론, 다른 플라스틱이나 금속도 용기용 재료로서 적합하다. 상기 내부용기도 적당한 불투과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서 중심(C)의 오른쪽에는 내부용기(4)가 채워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외부용기(2)의 내부에 대해 접하고 있다. 왼쪽에는, 상기 내부용기(4)가 비워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내부용기의 내적은 영이다. 이 상태에서, 내부용기(4)는 외부용기 (2)의 목부분(28)을 매개로 외부용기(2)로 넣어지거나 외부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부끝(6)에 인접하여 상기 내부용기(4)는 아래에 더욱 상세히 후술되는 방식으로 밸브조립체(8)에 부착된다. 하부끝(10)에 인접하여 상기 외부용기(2)는 받침칼라(collar:12)를 구비하는데, 용기(1)는 이 위에 위치되는 한편, 상부쪽에는 밸브조립체(8)를 둘러싸면서 보호하는 제 2칼라(14)가 구비되는데, 더욱이 이 칼라는 간단한 방식으로 용기를 들어올리고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상기 칼라(12,14)는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판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도 이 점에 있어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밸브하우징(18)과 밸브본체(20)를 구비하는 바, 이 밸브하우징(18)은 조임돌기부(26)를 갖추고서 늘어져 있는 외주벽을 갖춘 상부면(22)을 구비하여서, 밸브하우징(18)이 제 2조임돌기부(30)의 아래에서 목부분 (28)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면(22)에는 중앙개구부(32)가 구비되며, 이 개구부(32)의 주위에는 제 1안내목(34)이 윗방향으로 동심적으로 뻗어 있는 한편, 제 2안내목 (36)은 반대방향으로 동심적으로 뻗어 있다. 이 제 2안내목(36)은 내부로 향하고 있는 조임돌기부(38)를 구비한 바닥부를 갖추는데, 제 2안내목과 그 바닥부로부터 하부하우징부(40)는 체임버(44)의 외벽을 형성하는 원통벽(42)에 의해 조임돌기부의 뒤에서 유지된다. 중앙구멍(48)을 갖춘 대략 다이아몬드 형상의 스페이서(46)는 상기 원통벽(42)의 바닥부에 구비된다. 또한, 밸브본체(20)는 대체로 원통형상이면서 중앙통로(50)를 구비하고, 끝면(52)에 의해 폐쇄된 하부끝을 갖추는데, 이 밸브본체(20)가 개방될 때, 즉 밸브본체(20)가 제 2 또는 제 3위치에 있을 때 상기 중앙통로(50)를 밸브본체(20)의 외부와 내부용기(4)의 내부스페이서(51)에 연결하는 2개의 개구부(56)가 끝면(52)의 바로 위에 있는 외주벽(54)에 구비된다. 도 2는 제 1위치에 있는 밸브본체(22)를 도시하는 바, 상기 끝면(52)은 밸브본체(20)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하부 하우징부(40)의 아래로 뻗어 있는 칼라(62)의 외주선단(60)에 대해 밀봉하는 외부로 뻗어 있는 립(lip:58)을 외곽에 구비하고 있다. 이는 밸브본체(20)를 통해 중앙구멍(48)과, 이에 따라 개구부(56)와 내부용기(4)의 내부스페이서 사이를 폐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내부용기(4)는 원통벽(42)에 대해, 적어도 원통벽(42)과 스페이서(46) 사이에 있는 이음부에 대해 이 스페이서(46)의 위에서 하부 하우징부(40)에 연결된다. 이 내부용기(4)는 밀봉부에 의해 밸브하우징(18)에, 적어도 하부 하우징부(40)에 연결되는 한편, 밀봉연결부와 칼라(62) 사이의 비교적 긴 거리는 외주선단(60)의 변형과, 이에 따른 립(48)의 밀봉에 대한 나쁜 영향이 쉽게 방지되게 한다.
밸브본체(20)는 상부끝(64)을 갖추고서 끝면(5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윗방향으로 뻗어 있는 표면(68)을 갖춘 아래로 뻗은 플랜지(66)를 구비한다. 또한, 원통벽(42)에 대해 적당히 맞춰져 접하고 있는 외주로 뻗어 있는 제 2립(70)이 상기 표면(68)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또, 체임버(42)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벽(42)과, 플랜지(66), 밸브본체(20)의 측벽(44) 및, 스페이서(46)와 원통벽 (42) 사이에 있는 이음부(47)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 이 체임버(42)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된 O링과 같은 패킹(72)이 체임버(44)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밸브본체(20)가 아래로 P방향으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제 3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체임버(44)의 체적은 감소하는 한편, 그 안에 수용된 공기는 빠져나올 수 없어서 압축된다. 그 결과, 폐쇄력이 P의 반대방향으로 밸브본체(20)에 가해지는데, 이 폐쇄력은 도 2에 도시된 폐쇄위치, 즉 제 1위치의 방향으로 밸브본체(20)를 밀어낸다. 필요하면, 도 2에 도시된 공기스프링수단 대신에 또는 이에 부가되어 다른 스프링수단, 예컨대 헬리컬 스프링이나 다른 유체스프링이 체임버(44)내에 병합될 수 있다.
상기 원통벽(42)과 제 2안내목(36) 사이에는 공기통로(76)의 제 1부분(74)을 형성하는 임의의 공간이 명확히 유지된다. 도 2에 도시된 제 1위치에서, 상기 표면(68)의 상부끝은 중앙개구부(32)의 하부외주에 대해 접하게 된다. 그 결과, 개구부(32)에 인접한 공기통로(74)는 폐쇄된다. 따라서, 밸브본체(20)의 이 위치에서는 공기가 내부용기(4)와 외부용기(2)의 사이에 있는 공간부(78)로부터 멀리, 또는 공간부로 흐를 수 없다.
도 2는 원뿔대형상의 하부끝(82)에 의해 밸브본체(20)이 상부끝(64)에 연결된 제 2결합부(80)를 도시한다. 상기 원뿔대형상의 하부끝은 밸브본체(20)의 내부에 대해 기밀한 밀봉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2결합부(80)는 중앙통로(84)를 갖추는데, 이는 밸브본체(20)의 중앙통로(50)에 기밀하게 맞춰져 연결되고, 상기 밸브본체(20)에 있는 통로(50)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바람직하기로 이보다 다소 큰 단면을 갖고 있다. 상기 제 2결합부(80)의 중앙통로(84)는 이 중앙통로(84)의 하부끝(82)의 위로 임의의 거리에서 끝나는, 동심적으로 위치된 공기채널(76)의 제 2부분(86)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승된 립(88)은 중앙개구부(32)의 주위에 구비되는데, 이는 밸브본체에 연결된 제 2결합부(8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방향으로 최대한 아래로 압축되었을 때, 공기채널의 제 2부분(86)의 외벽(90) 하부에 대해 접하면서 이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앙통로(84)의 벽(92)과 중앙개구부(32)의 사이에는 임의의 공간이 명확히 남게 되는 바, 상기 제 2결합부가 도 3에 도시된 제 2위치에 있을 때 공기는 공기채널의 제 2부분(86)에서 중앙개구부(32)를 통해 공기채널의 제 1부분(74)으로 흘러서, 이로부터 중간부(78)로 흐르거나 제거될 수 있는 한편, 공기채널(76)은 상호작용하는 벽(90)과 상승된 립(88)에 의해 주변에 대해 폐쇄된다. 상기 제 2결합부(80)는 그 확실한 이동을 위해 안내목(34)내에 있는 벽 (90)의 외부에 의해 안내된다. 이 제 2결합부(80)가 도 3에 도시된 제 3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벽(90)의 하부끝은 립(88)으로부터 벗어나 끌어당겨지고, 공기채널 (76)은 안내목(34)의 개구부(94)를 통해 주변과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공기가 용기내로 더욱 넣어지거나 이로부터 배출될 수 없게 된다.
도 2와 도 3 사이의 비교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결합부(80)는 제 1위치와 제 3위치 사이에서 비교적 큰 스트로크(S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위치에서는 개구부(56)가 하부 칼라(62) 아래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된다. 상기 결합부(80)의 중앙통로(84)와 밸브본체(20)의 음료수용 채널(50)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음료수용 공급채널을 매개로, 음료수는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4)의 내부공간으로 개구부를 통해 밀어넣어진다. 동시에, 상기 공기채널(76)을 매개로, 공기는 내부용기(4)와 외부용기(2)의 사이에 있는 공간부(78)로부터 배출되어 음료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일부 초과압력이 채우는 동안 공간부(78)에서 유지되어 거품을 형성시키지 않고서 용기를 보다 잘 채우게 된다. 개구부(56)의 완전한 개방 때문에, 음료수는 나쁜 영향을 받지 않고서, 비교적 고압하에서 큰 흐름률로 용기내에 신속히 넣어질 수 있게 된다. 이 음료수는 예컨대 내부용기(4)의 벽에 대해 대체로신속하게 개구부(56)로부터 흐르게 되어, 아주 우수한 충전이 성취된다. 스페이서 (46)는 내부용기(4)의 벽이 개구부(56)에 대해 확실히 접하지 않게 한다.
내부용기(4)가 음료수로 완전히 채워진 후, 상기 제 2결합부(80)는 위쪽으로 끌어당겨지거나, 적어도 압축력이 이로부터 제거되어 밸브본체(20)가 체임버(44)내에 형성된 스프링수단(45)에 의해 제 1위치로 밀려나가게 되면서, 밸브본체(20)가 중앙구멍(48)을 기밀하게 폐쇄시킨다. 그 후에, 상기 제 2결합부(80)는 밸브본체 (20)와 하우징(1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다음 용기를 채우도록 분리되거나 재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단면도로서, 밸브하우징(18)과 밸브본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제 2결합수단(80)이 내부용기(4)로부터 음료수를 배출하기에 알맞은 제 1결합수단(100)으로 대체되었다. 제 1결합수단(100)은 제 1외주벽(102)을 구비하는데, 이는 안내목(34)의 유도에 의해 적당히 수용될 수 있다. 하부끝에 인접하게, 상기 외주벽(102)은 다소 경사진 내부선단(104)을 구비하여, 안내목(34)과 립(88) 사이에 적당히 밀봉되게 수용될 수 있다. 제 1결합수단(100)의 상부 길이방향선단(106)은 다소 원추형으로 외부로 벌어져 있으며, 특히 외주벽(102)내의 압력하에 있는 공기와 같은 압력매개체를 넣기 위해 압력원(도시되지 않음)의 공급호스에 연결되는 접합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 1결합수단(100)은 추가로 무릎형상의 채널(108)을 구비하는 바, 이 채널은 원통형이면서 제 1외주벽(102)에 대해 동심적으로 뻗어 있고 부분적으로는 외주벽 안에 포함되는 제 1다리와, 상기 제 1외주벽(102)을 통해 사용동안 위쪽으로 향하고 있는 제 1다리(110)의 끝으로부터 대략 수평하게 뻗어 있고서 외주벽으로부터 다소 돌출한 제 2다리(1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주벽(102)으로부터 돌출한 제 2다리의 부분(114)은, 음료수가 용기로부터 배출되거나 적어도 배출용 꼭지(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꼭지수단으로 유도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호스(116)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기로, 이 호스는 제 2다리(112)에 고정되게 연결되면서 특히 일체형 구조로 될 수 있다.
상기 제 2다리(112)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 1다리(110)의 끝은 밸브본체920)에 있는 채널(50)의 내부단면 보다 다소 작은 외부단면을 가지며, 다소 유연성 있게 외부로 뻗어 있으면서 밸브본체(20)의 벽(54) 내부에 대해 밀봉되게 접할 수 있는 환형상의 선단(118)을 구비한다. 따라서, 밸브본체(20)의 중앙구멍(50)과 무릎형상 채널(108)에 있는 음료수배출용 채널(120) 사이에 기밀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구나, 이 음료수배출용 채널(50,120)은 제 2외주벽(102)에 있는 내부공간에 대해 밀봉되어, 압력하에 넣어진 공기가 음료수배출용 채널(50,120)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상기 제 1다리(110)는 자유로운 길이방향 선단(118)으로부터 임의의 거리에서 끝나고 그 이동동안 밸브본체(20)의 플랜지(66)에 대해 접할 수 있는 외부로 뻗은 리브(rib)를 그 외부면에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제 1결합수단(100)이 상부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폐쇄위치, 즉 제 1위치에서의 밸브본체(20)를 도시하고 있다. 밸브하우징(18)의 상부면(22) 위에서의 제 1결합수단(100)의 높이는 밸브본체(20)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면(22)위에서의 제 2결합수단(80)의 높이에 비해 비교적 낮다. 제 2다리(112)는 안내목 (34)의 상부선단의 높이에 그 하부가 놓이게 된다. 안내목(34)의 개구부(94)는 그 상부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슬롯형상이며 제 2다리(112)의 폭에 대략 상응하는 폭을 갖고 있는데, 이는 제 2다리(112)가 개구부(94) 위로 이동되었을 때 제 1결합수단(100)이 단지 아래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결합수단(100)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제 2위치로 아래로 압축될 수 있다. 최대 스트로크(S2)는 제 2결합수단의 하부선단(104)과, 립(88)과 안내목(34)으로 둘러싸인 정지면(122)에 의해 한정된다. 이 스트로크(S2)는 제 2결합수단(80)의 최대 스트로크(S1) 보다 현저히 작다. 더구나, 상기 최대 스트로크(S2)에 의해 개구부(56)의 최대 통로(O)는 밸브본체(20)의 끝벽(52)과 하부 하우징부(40)의 외주선단(60)의 하부 사이로 한정된다. 따라서, 창출된 개구부의 전체 통로면적(O)은 개구부(56)의 면적보다 작아서, 밸브본체가 제 3위치에 있을 때의 통로면적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제 1결합수단이 도 5에 도시된 제 2위치에 있을 때 밸브본체(20)가 아래로 압축되기 때문에 공기채널(76)은 다시 개방되는데, 그 압축동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102)내에 넣어진 압축공기는 내부용기(4)와 외부용기(2) 사이에 있는 공간부(78)로 공기채널(76)을 매개로 하여 통과될 수 있다. 음료수는 내부용기(4)로부터 개구부(56)의 통로를 매개로 음료수배출용 채널(50,120)로 밀려나가게 되고, 호스(116)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결합수단(100)이 예컨대 스프링수단(45)의 영향하에 다시 상승되면, 상기 밸브본체(20)는 제 1위치로 복귀되고 공기채널(76)은 다시 폐쇄되어서, 공간부(78)내에 생성된 압력이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유지되는 한편, 내부용기로 들어가는 공기 또는 내부용기에서 나오는 음료수의 가능한 흐름이 방지된다. 스페이서(46)는, 유연성 있는 내부용기(4)가 개구부 (56)에 대해 접할 수 없게 되어 밸브본체가 제 2 또는 제 3위치에 있을 때 통로가 항상 확실히 남아 있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실례로서, 제 1결합수단의 최대 스트로크(S2)와,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에서의 밸브본체의 이동은 예컨대 3 - 4mm인 한편, 제 2결합수단의 최대 스트로크(S2)와, 제 1 및 제 3위치 사이에서의 밸브본체의 최대 이동은 예컨대 약 12mm이다. 물론, 이들 값과 비율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예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도 1a와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채널(86)은 벽(92) 주위의 전체로 뻗어 있는 한편, 좁은 리브가 벽들(90,92)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적어도 하부 하우징부(40)에 스페이서(46) 위로 뻗어 있으면서 바람직하게 실제로 내부에서 목부분(28)을 폐쇄하도록 스페이서판을 형성하는 접시형상부(124)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대체로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스페이서판 (124)의 단면(D1)은 바람직하기로 목부분(28)의 내부단면(D2) 보다 다소 크게 되어서, 밸브조립체(8)가 맞춰질 때 스페이서판(124)은 목부분(28)의 안에 또는 그 아래에 가둬지게 된다. 밸브조립체(8)와 이에 연결되고서 목부분(28)을 통해 삽입된내부용기(4)를 고정하는 동안, 스페이서판(124)의 길이방향 선단(126)은 조금 안쪽으로 탄력있게 이동되고, 목부분(28)을 통과한 후에 원래대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페이서판(124)은, 비우는 동안 내부용기(4)가 목부분(28)에서, 적어도 스페이서 (46)와 밸브하우징(18) 주위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부용기(4)의 나머지 체적은 영으로 되는 한편, 밸브조립체(8)의 알맞은 작동이 확보되는 장점이 성취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리서판(124)은 별도로 제조되어 하부 하우징부(40)에 끼워 넣어지는 한편, 부분적으로는 스페이서(46)와 겹치고 이를 둘러싸게 된다. 도 6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판(124)은 하부 하우징부(40)와 일체로 되고서, 전체적으로 스페이서(46) 위로 뻗어 있다. 이는 생산성과 사용상 편리하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게 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이격된 리브(128)를 갖춘 원통벽 (42)이 상기 스페이서판(124)에 인접하게 구비되는데, 이는 채널(74)의 보존을 위해 구비된다. 또한, 원통벽(42)의 상부 길이방향선단에는 다수의 이격된 총안(銃眼)부(130)를 구비하여, 밸브본체(20)가 개방될 때 채널(74)에 대한 공기의 통과를 증가시킨다. 이는 밸브본체가 제 2 또는 제 3위치에 있을 때 공기채널(76)의 우연한 폐쇄를 방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용기(4)는 바람직하기로 밀봉부에 의해 스페이서판(124) 또는 스페이서(46)에 대하여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도 9a는 스프링수단(145)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헬리컬 스프링 (147)은 채널(144)내에 수용되는데, 원통벽(42)에 대하여 밸브본체(20)가 이동하는동안 헬리컬 스프링은 개방하는 P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러한 스프링(147)은 바람직하기로 다른 밸브조립체 및 내부용기(4)와 가능한 함께 재생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9b는 스프링수단(245)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체임버 (244)에는 다소 나선형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스프링립(247)이 구비되되, 그 상부끝은 플랜지(266)의 하부에 연결되고, 그 하부끝은 체임버(244)의 바닥에 대해 접하게 된다. 밸브본체(20)가 P방향으로 아래로 압축될 때, 립(247)은 탄력있게 변형되고,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밸브본체(20)에 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밸브본체(20)가 개방될 때 폐쇄위치, 즉 제 1위치로 다시 압축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8)의 일부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도시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본체 (20)는 상부끝에 인접하게 2개의 환형상의 홈(53,55)을 그 내부에 구비하는 바, 상부홈(53)은 표면(68)의 원뿔대 형상인 내부면에 구비되는 한편, 제 2의 하부홈(55)은 밸브본체(20)의 외주벽(54)의 상부끝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외주벽(102)의 하부끝에 인접하게, 제 1결합부(100:도 13 참조)는 그 외부에 환형상의 돌기(57)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 1결합부(100)를 밸브본체(20)에 연결하도록 환형상의 하부홈 (55)에 맞물릴 수 있다. 필요하면, 하나 이상의 얇은 부분(59) 또는 유사한 가변부가 그 탄성적인 변형을 위해 외주벽(102)에 구비되어, 돌기(57)와 홈(55)의 결합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제 1결합부(100)가 아래로 압축될 때, 상기 돌기(57)가 홈 (55)에 맞춰질 때까지 밸브본체(20)의 중앙구멍(50)으로 조금 미끄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결합수단(100)은 확실히 밸브본체(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방식으로 상기 밸브본체(20)는 제 1결합수단(100)과 함께 상하 양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밸브본체(20)로부터 제 1결합부(1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 1결합부(100)가 위쪽으로 당겨져야 하고, 이 제 1결합수단(100)이 밸브본체(20)로부터 해제되기 전에 밸브본체(20)는 먼저 폐쇄위치, 즉 제 1위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밸브본체(20)는, 원통벽(42)에 있는 또는 이 원통벽(42)의 상부 길이방향선단의 위에 있는 홈(25)과 맞물릴 수 있는 외부로 뻗은 환형상의 돌기(23)를 그 상부 길이방향선단에 인접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23)와 홈(25)은 밸브본체(20)가 그 폐쇄위치에 있을 때 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밸브본체(20)는 각각의 경우에서 결합수단(100)이 밸브본체(20)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전에 폐쇄위치에 있게 된다.
도 12는 밸브본체(20)의 상부홈(53)에 맞춰져 수용될 수 있는 환형상의 돌기 (61)를 구비한 제 2결합수단(80)의 하부끝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 제 2결합수단 (80)과 밸브본체(20)의 확실한 결합이 성취되고, 다시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밸브본체(20)는 제 2결합수단(80)과 함께 상하 양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돌기(23)와 홈(25)을 분리하는 데에 필요한 것보다 작게 되는, 제 1결합수단 (100) 또는 제 2결합수단(80)과 밸브본체(20)를 확실히 결합시키는 힘에 의해 성취되는 효과는 각각의 경우에서 밸브본체(20)가 제거될 수 있기 전에 해당 결합수단 (80,100)이 밸브본체(20)에 결합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돌기(23)와 홈(25)에 의해 성취된 장점은 밸브본체(20)의 표면(68)이 제 2 및 제 3위치에서 조금 안쪽으로 변형되어서, 해당 결합수단(80,100)을 더욱 조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수단은 선택적으로 필요없게 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용기를 채우고 비우기 위한 맥주와 같은 음료수와 공기와 같은 압력매개체의 흐름방향과 흐름경로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음료수와 압력매개체의 흐름경로가 하나의 밸브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전체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밸브조립체의 특히 간단한 연결과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바람직하기로 최종사용자에 의해 홀더(도 14 참조)내에 위치된다. 해당 홀더의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압축공기용 연결부는 제 1결합수단 (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한편,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제 1결합수단(100)이 경로(S2)를 따라 아래로 압축된다. 상기 덮개가 폐쇄되기 전에 호스(116)의 끝은 해당 홀더의 외부에 놓이거나, 예컨대 홀더에 배치된 배출용 꼭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바람직하기로 필요한 압력으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상이에 공간부(78)를 자동적으로 일으키고, 상기 압력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홀더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예컨대 술집(bar)이나 호텔 또는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본래 공지된 꼭지장치의 압력원 또는 음료수 배출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5는 중앙개구부를 갖추고서 내부로 돌출한 대응면(373)을 구비한 대체로 원통형 단면을 가진 밸브하우징(318)을 구비한 밸브조립체(308)의 측단면도이다.하부에서 밸브하우징(318)은 중앙구멍(350A)를 갖춘 밸브풋(foot)에 의해 폐쇄되는데, 이 밸브풋은 예컨대 회전용착(spinwelding)이나, 용접, 접착,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대체로 원통형인 압축체(321)는 대응면(373)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밸브풋(319)을 향해 측면에서 뻗어 있는데, 어깨부(357)는 대응면(373)에 대해 밀봉되게 접할 수 있다. 제 1끝(320A)에 까지 밸브본체(320)는 중앙구멍(350A)내에서 뻗어 있는 한편, O링(372)이나 다른 적당한 밀봉체가 밸브풋 (319)에 대한 가스나 액체가 새지 않게 하는 밀봉을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끝(320A)으로부터 임의의 거리에서, 밸브본체(320)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323)를 구비하는데, 이는 밸브풋(3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323)로부터 밸브본체(320)의 관형상부(371)는 압력체(321)의 원통형상부(333)로 뻗어 있는 한편, 2개의 O링(372)이나 다른 적당한 밀봉체가 서로로부터 얼마간 떨어져서 밸브본체(320)의 관형상부(371)에 고정되는데, O링은 원통형상부(333)의 내부에 대해 가스와 액체가 새지 않게 밀봉시킬 수 있다. 이들 2개의 O링(372) 사이에는, 4개의 방사상의 개구부(356)가 관형상부(371)에 구비된다. 밸브본체(320)의 관형상부 (371)는 끝면(352)에 의해 상부끝(320B)에서 폐쇄된다. 밸브본체(320)의 방사상의 플랜지(323)와 압력체(321) 사이에는 스프링(347)이 수용되는데, 이는 압력체(321)와 밸브본체(320)를 개별적으로 압축하여, 어깨부(357)가 대응면(373)에 대해 폐쇄되는 한편, 끝면(352)은 압력체(321)의 이음면(353)에 위치된다. 가스통로 개구부 (331)는 밸브풋(319)에 인접하게 밸브하우징(318)에 구비되는데, 그 목적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밸브풋(319)으로부터 다른 관형상부(375)가 밸브본체(320)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뻗어 있되, 이 관형상부에는 담금튜브(diptube:359)가 고정되어 있다. 밸브풋(319)와 담금튜브(359) 사이에는 개구부(355)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부끝에 인접하게 밸브하우징(318)은 분할부(326)들의 링(361)을 구비하는데,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된 위치에서 분할부들은 대체로 수평하게 뻗어 있다. 조임링(329)은 링(361) 위의 상부로부터 미끄럼이동될 수 있고, 상기 분할부들은 대체로 수직한 위치로 압축되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밸브조립체(308)를 부착하는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중앙개구부(363)는 조임링(329)에 구비되는데, 적어도 압력체(321)가 그 상부끝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위치, 즉 제 1위치에서 밸브조립체는 폐쇄된다. 스프링(347)의 압축에 대해 밸브풋(319)의 방향으로 압력체(321)를 이동시킴으로써, 압력체 (321)가 더욱 압축될 때 한편으로 통로가 어깨부(357)와 대응면(373) 사이에서 창출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체(321)의 이음면(353)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담금튜브(359)와 개구부(355) 사이에, 적어도 밸브본체(320)의 중앙통로(350)와 개구부(356)를 매개로 주변 사이에 유체연결을 창출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즉 제 2위치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위치는 음료수를 배출하는 데에 특히 알맞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308)의 사시도로서, 분할부(326)와, 밸브하우징(318), 밸브풋(319) 및, 개구부(355)를 명확히 볼 수 있다.
도 17은 제 1결합수단(3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이는 개방시결합부(300)의 내부공간(390)과 연통되는 무릎형상 채널(308)이 뻗어 있는 상부면 (301)에 그 상부끝이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덮개판(302)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공간(390)에는 동심이면서 다소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선단(398,399)이 상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뻗어 있는데, 이는 개방면에서 벌어져 있는 홈(397)을 둘러싼다.
이 홈(397)에 의해 제 1결합수단(300)은 압력체(321)의 상부선단으로 고정되게 압축될 수 있는 바, 내부에 위치된 제 1선단(398)과 그 외부에 위치된 제 2선단 (399)에 의해 가스 및 액체가 새지 않는 밀봉부가 창출된다. 이 위치는 도 1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채널(395)은 제 1결합부의 상부 중앙에 위치된 연결개구부(393)로부터 길이방향 선단에 인접한 위치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데, 이 공기채널(395)은 덮개판(302)과 외부선단(399) 사이에 개방되어 있는 통로(393)에 연결된다. 도 18에 도시된 위치에서, 유체연결은 가스통로 개구부(331)와 함께, 어깨부 (357) 및 대응면(373) 사이의 통로와 개구부(393) 사이에서 창출된다. 따라서, 특히 공기와 같은 압력매개체는 개구부(393)로부터 용기로, 즉 벽(2)과 시트형상의 용기(4) 사이로 공급되거나, 시트형상의 용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배출되는 음료수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기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개구부 (393)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한편, 동시에 제 1결합부(300)는 압력체(321)를 이동시키기 위해 밸브풋(319)의 방향으로 압축된다. 상기 제 1압력체(300)는 짧은 거리 (S2)만큼 아래로 압축될 수 있는데, 덮개판(302)의 하부선단은 대응면(373)의 상부에 대해 나아가게 된다. 그 후에, 이음면(353)은 제한된 흐름률에 도달하도록 대략개구부(356)의 중앙 높이에 있게 된다.
압력연결부(387)를 매개로 채널(308)에 연결되고서 융기가 형성된 2개의 조임부(389)는 채널(308)의 외부끝(391)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 (389)는 서로 정반대로 되어 있고, 서로에 대해 이동되는 위치에서 채널(308)의 개방끝으로 고정되게 미끄럼이동될 수 있는 원통형상부를 형성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튜브(385)는 2개의 조임부(389) 사이에서 미끄럼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387)가 분리된 후에 중간 분출튜브의 끝과 함께 2개의 조임부는 채널 (308)내로 미끄럼이동될 수 있다. 그 후에, 조임부(389)의 내부에 있는 이빨(383)이 튜브(385)를 고정되도록 조이게 된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조립체(308)에 배치되고서 용기(301)에 맞춰지는 제 2결합부(380)를 도시하는 바, 이 제 2결합부(380)는 중앙통로(384)를 갖춘 압력튜브(381)를 구비하는데, 이 압력튜브(381)는 압력블록(382)에서 압축된다. 어깨부(357)와 대응면(373) 사이에서 밸브조립체(308)의 개방동안 형성된 통로와 유체연결되는 공기채널(376)은 압력블록(382)에 구비된다. 상기 압력튜브 (381)는 압력체(321)의 상부선단에 가스 및 액체가 새지 않게 연결되어, 거리(S1)만큼 밸브풋(3190의 방향으로 스프링(347)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음면 (353) 위의 통로(356)가 완전히 개방되어, 음료수가 통로(384)와 개구부(356)를 거쳐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통과될 수 있는 한편, 용기에 있는 공기를 어깨부(357)와 대응면(373)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가스통로 개구부(331)를 매개로 공기채널(376)로 이동시켜 주변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개구부(356)의 완전한 개방은 큰 충전흐름률을 제공한다. 거리(S1)는 제 1결합부(300)가 이동될 수 잇는 거리(S2)보다 현저하게 길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조립체(308)에서, 예컨대 용기(301)의 내부공간에 (과도한) 고압이 일어날 때 밸브본체(320)는 압력체(321)의 방향으로 스프링 (347)의 탄발력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본체(320)의 상부끝(320B)은 이음면(353) 위의 위치로 이동되어, 적어도 그 위의 개구부(356)의 일부가 개방된다. 이를 통해, 용기의 내용물 일부가 주변으로 멀리 흘러나올 수 있어서 압력이 해제된다.
끝면(352)이 이음면(353)과 같은 높이로 되기 때문에, 밸브조립체(308)의 아주 간단한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301)는 그 상부끝에 인접하게, 외부에 홈(328)을 갖춘 목부분을 구비하는데, 이 홈은 목부분의 자유로운 상부 길이방향선단 아래에 임의의 거리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308)는 링(361)의 내부가 이 상부끝에 놓일 때까지 상부에서 목부분으로 미끄럼이동될 수 있다. 그 후에, 조임링(3290이 링(361) 위로 미끄럼이동되고 아래로 압축되어, 분할부(326)가 그들의 수직위치로 밀려나가게 되는 한편, 분할부(326)의 조임플랜지 (326A)가 홈(328)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링(329)은 링(361)의 위에서 아래로 조여진다. 그 결과, 밸브조립체(308)와 용기(301)의 목부분 사이의 확고한연결이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성취된다. 담금튜브(359)는 용기의 하부끝에 인접한 위치로 뻗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400)는 링(361)과 용기(301)의 목부분 사이에서 조여진다. 사용동안 대체로 수직하게 아래로 향하고 있는 유출개구부(402)를 갖춘 무릎형상부(401)는 튜브(385)의 자유끝에 고정된다. 고정부재 (403)가 튜브(385)의 조정을 위해 구비된다. 이 튜브(385)는 바람직하기로 유연성이 있는 호스형상으로 되어 있다. 밸브조립체(308)를 갖춘 용기(30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 및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압력매개체 공급원을 위한 연결수단이 용기상의 다른 위치에, 예컨대 용기의 하부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구나, 제 1 또는 제 2결합수단이 다른 구조로 될 수 있다. 제 2결합수단은 충전장치에 고정된 구조이거나, 적어도 그 일부로 될 수 있다. 밸브하우징(18)은 다른 구조로 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른 방식으로 외부용기(2)에 고정되거나, 이에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고정되게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전체 용기(1)는 재사용가능하고, 아주 바람직하기로는 밸브조립체 또는 적어도 밸브하우징은 적어도 밸브본체와 가능한 이에 연결된 내부용기(4)와 함께 재사용가능한 한편, 외부용기(2)는 바로 다시 사용하기에 알맞다. 부품의 운동학적인 반전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적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해당 음료수용 채널내의 밸브본체는 연결될 수 있고, 그 외주면의 통로채널과 함께 단단한 구조로 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는 한편, 예컨대 음료수의 대체로 축방향인 유입방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있다면 스프링수단이 많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제 1과 제 2 및 제 3위치를 위한 정지부가 다른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용기는 밸브조립체에 연결된 담금튜브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내부용기가, 예컨대 비공개된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1006949호 또는 동 제100695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는데, 특히 내부용기와, 압력매개체용 연결수단 및 임의의 냉각수단, 꼭지나 호스와 같은 꼭지수단에 대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여기에 참조로 병합될 수 있다.
특히 내부용기가 배출되어질 때,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가 삽입되기 전에, 특히 밸브 적어도 밸브조립체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통해 채워질 수 있다.
다양하면서 비교되는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적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7)

  1. 하우징과 밸브본체를 갖춘 음료수용 채널을 구비한, 음료수 특히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수를 위한 용기용 밸브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이 구비되되, 이 작동수단은 상기 음료수용 채널을 밸브본체를 통해 또는 이를 따라 용기를 비우는 음료수 배출수단에 결합하는 제 1결합수단과; 상기 음료수용 채널을 밸브본체를 통해 또는 이를 따라 용기를 채우는 충전수단에 결합하는 제 2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 1 및 제 2결합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음료수용 채널이 완전히 폐쇄되는 제 1위치와, 통로가 제 1흐름률을 위해 개방되는 제 2위치 및, 통로가 상기 제 1흐름률보다 현저하게 큰 제 2흐름률을 위해 개방되는 제 3위치 사이에서 작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구조는 사용동안 밸브본체가 제 3위치에 있을 때 밸브조립체에 연결된 용기가 음료수용 채널을 통해 비교적 신속하게 채워질 수 있는 한편, 밸브조립체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음료수는 비교적 조용한 방식으로 해당 용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수단은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에서의 밸브본체의 이동을 위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결합수단은 제 1 및 제 3위치 사이에서의 밸브본체의 이동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수단 또는 밸브본체는 제 1 및 제 2위치 사이에서의 밸브본체의 스트로크를 한정하는 제 1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제 2결합수단 또는 밸브본체는 제 1 및 제 3위치 사이에서의 밸브본체의 스트로크를 한정하는 제 2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이면서, 외주벽과 폐쇄된 끝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측벽에 구비되되, 이 개구부는 밸브본체가 제 2위치에 있을 때 부분적으로 개방되며, 밸브본체가 용기와 이용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음료수용 채널의 일부 사이에서 사용동안 유체연결을 형성하는 제 3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거의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수단은 적어도 음료수배출용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되, 한편으로 음료수용 채널, 특히 밸브본체에 있는 통로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음료수용 꼭지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수단은 적어도 음료수공급용 채널의 일부를 포함하되, 한편으로 음료수용 채널, 특히 밸브본체에 있는 통로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음료수용 공급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밸브본체에 결합될 수 있되, 밸브본체 또는 하우징은 폐쇄위치인 제 1위치와 부분적으로 폐쇄된 위치인 제 2위치 사이, 그리고 폐쇄위치인 제 1위치와 거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인 제 3위치 사이에서 각각 밸브본체의 스트로크를 한정하는 제 1 및 제 2압축수단과 상호작용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또는 제 2결합수단은 단지 밸브본체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밸브본체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음료수용 채널의 끝에 인접하게 맞춰지며, 상기 끝면은 밸브본체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음료수용 채널의 길이방향선단에 대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밸브본체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스페이서는 사용동안 각 해당 개구부로부터 임의의 거리에서 밸브조립체에 연결된 용기의 벽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폐쇄위치에서 치우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밸브본체의 일부와 하우징 사이에, 체임버가 제 1위치에서 밸브본체를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수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유체스프링수단, 특히 체임버를 기밀하게 폐쇄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밸브본체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공기와 같은 유체가 제 1위치의 방향으로 밸브본체에 힘을 발생시키도록 체임버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스프링, 특히 플라스틱 헬리컬 스프링 또는 겹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폐쇄위치에서 작동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사용동안 용기의 외부면을 향하고 있는 쪽에 폐쇄된 끝벽과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인 구멍을 구비하는 한편, 압력체가 대체로 그 축방향으로 밸브본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이 압력체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인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제 1 또는 제 2결합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본체와 압력체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본체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압력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스프링수단은 폐쇄위치에서 치우치게 되도록 밸브본체와 압력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압력체와 밸브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에 수용되되, 하우징에 대한 압력체의 이동과 밸브본체의 이동 모두는 개방위치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19. 하우징과 이 안에 대체로 수용되는 밸브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본체는 스프링수단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치우쳐지게 되고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이면서 적어도 외부로 향하고 있는 개구부와 폐쇄된 벽을 갖추며, 압력체는 폐쇄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한편, 하우징 또는 압력체에 대한 밸브본체의 상대운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관형상부의 내부와 주변 사이에유체연결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음료수를 위한 용기용 밸브조립체.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밸브조립체를 구비하는, 음료수 특히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수용 용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구비하되, 적어도 내부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성이 있으며, 상기 용기는 특히 공기와 같은 압력매개체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로 또는 이 공간부 밖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되, 이 수단은 밸브본체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폐쇄되고, 밸브본체가 제 2 또는 제 3위치에 있을 때 개방되는 공기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는 외부용기에 부착되는 제 1결합수단과 내부용기에 부착되는 제 2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압력매개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수단은 제 1 및 제 2결합수단 사이에서 개방되는 한편, 상기 제 2결합수단은 음료수용 채널의 각 통로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서 말봉이나 접착 또는 이와 유사한연결기술을 통해 내부용기에 연결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결합수단은 제 1밀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2밀봉수단을 구비하되, 밸브본체의 개방위치에서 제 1 및 제 2밀봉수단은 제 1 및 제 2결합수단과 음료수용 채널로부터 분리된 공기채널 사이와, 음료수공급채널과 음료수배출 채널 사이에서 각각 유체가 새지 않는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적어도 밸브본체와 하우징은 재사용가능한 재료, 특히 공동으로 재사용가능한 재료, 더욱 특히 적어도 용기 특히 내부용기의 일부 재료와 함께 재사용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용기에 사용되는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밸브조립체.
  25. 내부용기가 밸브하우징에 연결되는 단계와,
    이 내부용기가 외부용기내에 삽입되면서 밸브조립체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단계,
    제 2결합수단이 하우징과 밸브본체에 연결되는 단계,
    이 제 2결합수단이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 2결합수단이 밸브본체가 비교적 크게 개방된 제 3위치로 이동되고 유지되도록 작동되는 단계,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면서, 음료수가 음료수용 채널을 매개로 충전장치로부터 내부용기로 넣어지는 단계,
    상기 내부용기가 충분히 채워졌을 때, 제 2결합수단이 분리되어 밸브본체가 폐쇄위치인 제 1위치로 이동되는 단계 및,
    제 2결합수단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고 제 1결합수단으로 대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0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에 삽입하기 전에, 사용된 내부용기는 이에 연결된 밸브조립체의 일부와 함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수단의 위치선정 후, 공기공급수단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부에 연결되고, 그 후에 공기가 압력하에 공간부내로 넣어지면서 제 1결합수단이 작동되어, 밸브본체는 내부용기로부터 요구되는 양의 음료수를 배출하면서 제한적으로 개방된 제 2위치로 보내어지고, 다음에 제 1결합수단이 하우징과 밸브본체의사이에 있는 스프링수단의 영향하에 되돌아가게 되어 음료수용 채널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017000568A 1998-07-15 1999-07-15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KR100597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9654 1998-07-15
NL1009654A NL1009654C2 (nl) 1998-07-15 1998-07-15 Klepsamenstel voor een drankcontainer, container voor drank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en legen van een drank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531A true KR20010079531A (ko) 2001-08-22
KR100597222B1 KR100597222B1 (ko) 2006-07-06

Family

ID=1976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568A KR100597222B1 (ko) 1998-07-15 1999-07-15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Country Status (45)

Country Link
US (1) US6516839B1 (ko)
EP (3) EP1783092B1 (ko)
JP (1) JP4804627B2 (ko)
KR (1) KR100597222B1 (ko)
CN (1) CN1117024C (ko)
AP (1) AP1289A (ko)
AR (1) AR019406A1 (ko)
AT (2) ATE228099T1 (ko)
AU (1) AU746823C (ko)
BG (1) BG64441B1 (ko)
BR (1) BR9912105A (ko)
CA (1) CA2337044C (ko)
CO (1) CO4991013A1 (ko)
CR (1) CR6060A (ko)
CU (1) CU23012A3 (ko)
CZ (1) CZ302666B6 (ko)
DE (4) DE29925008U1 (ko)
DK (2) DK1783092T3 (ko)
EA (1) EA001986B1 (ko)
EE (1) EE04366B1 (ko)
ES (1) ES2474612T3 (ko)
GE (1) GEP20032994B (ko)
HR (1) HRP20010037B1 (ko)
HU (1) HUP0102914A3 (ko)
ID (1) ID27961A (ko)
IL (1) IL140718A (ko)
IS (1) IS1973B (ko)
MA (1) MA25187A1 (ko)
MY (1) MY128674A (ko)
NL (2) NL1009654C2 (ko)
NO (1) NO323637B1 (ko)
NZ (1) NZ509075A (ko)
OA (1) OA11705A (ko)
PE (1) PE20000494A1 (ko)
PL (1) PL190470B1 (ko)
PT (1) PT1783092E (ko)
RS (1) RS49784B (ko)
SA (1) SA99200567A (ko)
SK (1) SK287242B6 (ko)
SV (1) SV1999000094A (ko)
TR (1) TR200100072T2 (ko)
UA (1) UA71919C2 (ko)
UY (1) UY25607A1 (ko)
WO (1) WO2000003944A1 (ko)
ZA (1) ZA20000768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59B1 (ko) * 2001-09-28 2009-07-02 하이네켄 테크니칼 서비시스 비.브이. 이중 폐쇄 기능을 갖춘 음료 분배 장치
WO2018182325A1 (ko) * 2017-03-31 2018-10-04 이상철 탁주 냉장장치용 케그의 메카니컬 씰
WO2021251798A1 (ko) * 2020-06-12 2021-12-16 김기동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5411C2 (nl) * 2000-06-09 2001-12-14 Heineken Tech Services Houder voor drank voorzien van een kamer met een flexibele afgifteleiding alsmede van positioneringsmiddelen.
GB0227941D0 (en) * 2002-11-29 2003-01-08 Interbrew Sa Beer line and flow restrictor
BR8103530Y1 (pt) 2000-04-25 2011-08-09 recipiente reutilizável portátil para transportar produtos de casa.
WO2001081238A1 (en) 2000-04-25 2001-11-0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and machine for mixing liquids
MXPA02010510A (es) 2000-04-25 2003-05-14 Shell Int Research Sistema de entrega de productos.
DE60111627T2 (de) 2000-04-25 2006-05-1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ischen von flüssigkeiten
AU2001252271A1 (en) 2000-04-25 2001-11-0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A container and a process for filling said container
NL1015359C2 (nl) * 2000-05-31 2001-12-03 Heineken Tech Services Tapinrichting en houder daarvoor, alsmede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DE20122406U1 (de) * 2000-05-31 2005-08-11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Getränkespendevorrichtung
NL1015368C2 (nl) * 2000-05-31 2001-12-12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samenstel alsmede houder voor drank, in het bijzonder koolzuurhoudende drank, en drankafgifteleid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amenstel.
US7246727B2 (en) 2000-06-09 2007-07-24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Container for drink provided with a chamber containing a flexible dispensing line
NL1016687C2 (nl) * 2000-11-23 2002-05-24 Heineken Tech Services Tapstang.
NL1019562C2 (nl) * 2001-12-13 2003-06-17 Heineken Tech Services Klepsamenstel voor gebruik bij drankafgifte.
NL1020202C2 (nl) * 2002-03-19 2003-09-30 Heineken Tech Services Samenstel van een tapvat met een nek en een aansluitinrichting en delen daarvoor.
NZ540512A (en) * 2002-11-29 2007-03-30 Interbrew Sa Method for filling a bag and for dispensing a beverage from said bag, using initial inflation of inert gas with venting, and valves for use in such method
GB0227938D0 (en) * 2002-11-29 2003-01-08 Interbrew Sa Interlocking collar for securing alcohol containing bag to keg container
US20060186136A1 (en) * 2002-11-29 2006-08-24 Albert Wauters Beer dispensing apparatus
NL1023429C2 (nl) 2003-05-14 2004-11-16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NL1023430C2 (nl) 2003-05-14 2004-11-16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met een kolomvormige koelkamer.
NL1023967C2 (nl) 2003-07-21 2005-01-24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met openklapbare afgifteleiding.
NL1023968C2 (nl) 2003-07-21 2005-01-24 Heineken Tech Services Drukregelaar voor houder voor koolzuurhoudende drank.
US7546857B2 (en) * 2004-05-06 2009-06-16 Colder Products Company Connect/disconnect coupling for a container
DE202005020720U1 (de) * 2004-05-19 2006-07-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ntilbaugruppe für einen Behälter mit einem Innenbeutel zur Aufnahme von Getränken
WO2005113415A1 (en) * 2004-05-19 2005-1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alve assembly for a container with an inner bag
GB0411287D0 (en) * 2004-05-20 2004-06-23 Interbrew Sa Anti-tamper ring for alcohol beverage apparatus
KR101241344B1 (ko) * 2004-09-13 2013-03-11 마이크로매틱에이/에스 분사 시스템용 분사 라인과 이에 이용되는 추출기 튜브와 음료 분사용 분사 시스템 및 분사 시스템용 분사 라인을 이용한 방법
MY163766A (en) 2005-08-12 2017-10-31 Carlsberg Breweries As 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CN104495736A (zh) * 2005-11-29 2015-04-08 派特纳立德雪平股份有限公司 用于分销和分配饮料的系统和方法
DE102006026279B4 (de) 2006-06-02 2016-02-25 Khs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rpackungseinheiten oder Gebinden
MX2009000292A (es) * 2006-06-28 2009-01-26 Eurokeg Bv Contenedor para fluidos, inserto y metodo para llenar un contenedor.
WO2008008392A2 (en) * 2006-07-11 2008-01-17 Colder Products Company Connect/disconnect coupling for a container
US20090302038A1 (en) * 2007-03-09 2009-12-10 Taggart Jeffrey S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080217362A1 (en) * 2007-03-09 2008-09-11 On Tap Llc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090261129A1 (en) * 2007-03-09 2009-10-22 On Tap Llc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8070023B2 (en) * 2007-03-09 2011-12-06 On Tap Llc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090321443A1 (en) * 2007-03-09 2009-12-31 Taggart Jeffrey S Method for filling a vessel with a gas entrained beverage and a consumable consumer product including the beverage
US20090140006A1 (en) * 2007-03-09 2009-06-04 Vitantonio Marc L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9919841B2 (en) 2007-04-19 2018-03-20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US20080258356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comprising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comprising energy absorbing additives, and preform for making it
US20080257883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HUE031129T2 (hu) 2007-07-10 2017-07-28 Eurokeg Bv Adagolófej
DE102008056813B4 (de) * 2008-11-11 2013-05-29 Khs Gmbh Behälter und Verfahren zum Füllen eines Behälters
JP4802237B2 (ja) * 2008-11-26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US20130327793A1 (en) * 2010-04-01 2013-12-12 Khs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and filling kegs with beer in a keg filling plant, which keg filling plant is disposed within a single building
EP2405164A1 (en) * 2010-07-08 2012-01-11 Anheuser-Bush Inbev NV Resilient closure for pressure driven dispensing container
NL2009236C2 (en)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NL2009237C2 (en)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necting device and tapping assembly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235C2 (en)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NL2009234C2 (en)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ssembly and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731C2 (en) * 2012-10-30 2014-05-06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valve for a container.
NL2009732C2 (en) * 2012-10-30 2014-05-06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container and valve for a beverage container.
NL2009863C2 (en) 2012-11-22 2014-05-27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valve operating assembly therefore.
NL2009864C2 (en) 2012-11-22 2014-05-27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container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2923998A1 (en) * 2014-03-24 2015-09-30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 KEG connector
US20180297832A1 (en) * 2015-10-15 2018-10-18 True Keg S.R.L. Disposable keg for food liquids
NL2017109B1 (en) 2016-07-05 2018-01-12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CN106744608B (zh) * 2016-12-16 2018-11-30 北京维佳创机电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啤酒灌装机的自动灌装装置
NL2018955B1 (en) 2017-05-19 2018-11-2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NL2018956B1 (en) 2017-05-19 2018-11-2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IT201700061470A1 (it) 2017-06-06 2018-12-06 Emanuela Covi Dispositivo di chiusura, gruppo valvolare e contenitore
CN107140593B (zh) * 2017-06-06 2023-02-24 胡国贤 一种自动灌酒装置
US11332277B2 (en) * 2017-12-05 2022-05-17 Gameel Gabriel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CN108163798B (zh) * 2017-12-27 2019-11-05 塔罗斯控股有限公司 一种酒矛
IT201800002421A1 (it) * 2018-02-05 2019-08-05 Beexlab S R L Dispensatore di fluidi
WO2019207615A2 (en) * 2018-04-27 2019-10-31 Covi Emanuela Closing unit for a beverage container
JP2020066475A (ja) * 2018-10-22 2020-04-30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供給装置及び粉粒体材料の供給方法
IT201800010165A1 (it) * 2018-11-08 2020-05-08 Biokeg S R L Fusto per liquidi alimentari, in particolare per birra
DE102019217896B4 (de) 2019-11-20 2021-07-22 Andreas Jahn Druckbehäl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behälters
BR112022023427A2 (pt) * 2020-05-19 2022-12-20 Heineken Supply Chain Bv Válvula para um recipiente de bebida e recipiente de bebida
CN115676753A (zh) * 2022-08-24 2023-02-03 塔罗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配器的顶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2116A (en) * 1935-01-11 1939-12-05 Copeman Lab Co Portable beverage condition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2792692A (en) * 1955-09-21 1957-05-21 Reed A Bryan Keg cooler and dispensing bar unit
GB914091A (en) * 1959-03-25 1962-12-28 Watney Mann Ltd Closure for a container for a liquid, such as a metal beer cask
DE1147502B (de) * 1961-11-09 1963-04-18 Arthur Guiness Son And Company Zapfkopf fuer Faesser, insbesondere Bierfaesser
DE2130033A1 (de) * 1970-06-29 1972-01-20 Antoine Pierre E E Schnellanbohrvorrichtung fuer Faesser u.dgl.
US4756347A (en) * 1985-11-19 1988-07-12 Jopado Baderi Filling and dispensing valve, adapter and package
GB8906409D0 (en) * 1989-03-21 1989-05-04 Lambrechts Nv Container for liquids
CA2121261A1 (en) * 1991-10-18 1993-04-29 John Denis Willingham Fluid dispense system
DE4231635C2 (de) * 1992-09-22 1994-07-28 Schaefer Werke Gmbh Behälter zur Aufbewahrung und zum Transport von fließfähigen Medien, vornehmlich von Flüssigkeiten
NL1006949C2 (nl) 1997-09-04 1999-03-05 Heineken Tech Services Thuistap.
US6375048B1 (en) * 1997-09-04 2002-04-23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NL1006950C2 (nl) 1997-09-04 1999-03-05 Heineken Tech Services Inrichting voor het opslaan en afgeven van bier en andere koolzuurhoudende drank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59B1 (ko) * 2001-09-28 2009-07-02 하이네켄 테크니칼 서비시스 비.브이. 이중 폐쇄 기능을 갖춘 음료 분배 장치
WO2018182325A1 (ko) * 2017-03-31 2018-10-04 이상철 탁주 냉장장치용 케그의 메카니컬 씰
WO2021251798A1 (ko) * 2020-06-12 2021-12-16 김기동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64441B1 (en) 2005-02-28
DE69933793D1 (de) 2006-12-07
MA25187A1 (fr) 2001-07-02
EA200100144A1 (ru) 2001-06-25
EE04366B1 (et) 2004-10-15
HRP20010037B1 (en) 2009-04-30
CN1117024C (zh) 2003-08-06
CN1315919A (zh) 2001-10-03
EE200100029A (et) 2002-06-17
BR9912105A (pt) 2001-05-02
CA2337044C (en) 2009-07-07
IS5806A (is) 2001-01-12
DK1783092T3 (da) 2014-06-16
DK200800069U3 (da) 2008-09-12
EP1783092B1 (en) 2014-04-23
NO323637B1 (no) 2007-06-18
AU746823C (en) 2003-02-20
EP1783092A2 (en) 2007-05-09
CU23012A3 (es) 2004-12-17
KR100597222B1 (ko) 2006-07-06
GEP20032994B (en) 2003-06-25
UY25607A1 (es) 2000-02-23
PL190470B1 (pl) 2005-12-30
ATE343542T1 (de) 2006-11-15
ES2474612T3 (es) 2014-07-09
ATE228099T1 (de) 2002-12-15
SV1999000094A (es) 2000-05-02
CA2337044A1 (en) 2000-01-27
EP1245526A1 (en) 2002-10-02
EP1245526B1 (en) 2006-10-25
NL1009654C2 (nl) 2000-01-19
EP1097104B8 (en) 2006-11-08
JP2002520237A (ja) 2002-07-09
AP2001002042A0 (en) 2001-03-31
WO2000003944A1 (en) 2000-01-27
PT1783092E (pt) 2014-07-10
AR019406A1 (es) 2002-02-20
SK272001A3 (en) 2001-08-06
ID27961A (id) 2001-05-03
EP1097104B1 (en) 2002-11-20
TR200100072T2 (tr) 2001-06-21
BG105135A (en) 2001-09-28
CO4991013A1 (es) 2000-12-26
RS49784B (sr) 2008-06-05
PE20000494A1 (es) 2000-06-14
CR6060A (es) 2000-10-31
HUP0102914A2 (hu) 2001-12-28
NO20010192L (no) 2001-03-12
OA11705A (en) 2005-01-12
EP1783092A3 (en) 2008-10-29
NL1012546C2 (nl) 2000-01-24
IL140718A (en) 2004-06-20
DE69904050T2 (de) 2003-10-09
AP1289A (en) 2004-07-27
IS1973B (is) 2004-12-15
ZA200007682B (en) 2002-11-01
UA71919C2 (en) 2005-01-17
JP4804627B2 (ja) 2011-11-02
CZ2001172A3 (cs) 2002-02-13
NO20010192D0 (no) 2001-01-12
DE29924765U1 (de) 2005-07-07
US6516839B1 (en) 2003-02-11
SK287242B6 (sk) 2010-04-07
HUP0102914A3 (en) 2002-05-28
HRP20010037A2 (en) 2002-02-28
DK200800069U1 (da) 2008-08-08
IL140718A0 (en) 2002-02-10
AU746823B2 (en) 2002-05-02
CZ302666B6 (cs) 2011-08-24
EA001986B1 (ru) 2001-10-22
DE69933793T2 (de) 2007-10-04
EP1097104A1 (en) 2001-05-09
MY128674A (en) 2007-02-28
DE29925008U1 (de) 2008-08-28
YU2001A (sh) 2003-02-28
DE69904050D1 (de) 2003-01-02
NZ509075A (en) 2002-10-25
SA99200567A (ar) 2005-12-03
PL345393A1 (en) 2001-12-17
AU5070799A (en)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222B1 (ko)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JP4348191B2 (ja) 飲料の分配に使用される弁アセンブリ
KR100889080B1 (ko) 탭핑로드
KR20090024666A (ko) 음료용기와, 이 음료용기와 탭핑장치의 조립체
MXPA01000351A (en) Valve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for beverage and method for filling and emptying a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