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1798A1 -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1798A1
WO2021251798A1 PCT/KR2021/007343 KR2021007343W WO2021251798A1 WO 2021251798 A1 WO2021251798 A1 WO 2021251798A1 KR 2021007343 W KR2021007343 W KR 2021007343W WO 2021251798 A1 WO2021251798 A1 WO 20212517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aft beer
liner body
liner
k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3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김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동 filed Critical 김기동
Publication of WO20212517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17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2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raft beer container using a composite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draft beer keg container made of stainless steel by winding a wire mixed with glass fiber and resin, etc. on the outside of a liner structure in a filament wind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ft beer container using a composite material, which is very light in weight compared to the container, so that it is not only easy to transport, but also does not cause internal corrosion, so that the freshness of the draft beer stored therein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 Bottled beer is one that has bee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such as heating and steriliza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beer. do. Since such draft beer does not undergo heat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it contains carbon dioxide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 remaining yeast, and thus has a fresh and unique taste and aroma. In this way, in order to freely enjoy the fresh and unique taste and aroma of draft beer in a variety of places, it is served in a draft beer container called a keg made of stainless steel. For this, it is necessary to inject a certain amount of carbon dioxide along with the undiluted draft beer.
  • the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stainless material with a hollow inside, and a discharge hole 70 through which draft beer or carbon dioxide can be injected into the upper center of the body. ) is formed, and the container body portion 72 in which the safety plate 7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 an upper head portion 74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72 in an integral or detachable manner and has a handle 73 formed on each of the symmetrical opposite bodies;
  • the discharge hole 70 is airtightly coupled to the upper head part 74 by screwing or weld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72 maintains a vacuum state,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a rod-shaped rising tube. (75)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valve assembly 76 is installed.
  • the gas injection valve 77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CO 2 )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valve assembly 76 provided at the top of the draft beer container and the draft beer
  • the head caps 79 each formed with the ejection valves 78 from which are ejected are coupled in a set coupling manner.
  • a carbon dioxide gas supply device 81 is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valve 77 through a gas pipe 80
  • a cooler 83 for cooling draft beer is provided to the ejection valve 78 through a transfer pipe 82 .
  • the other end of the cooler 83 is coupled to a coke (beer tower) 85 pouring the cooled draft beer into the draft beer cup (84).
  • the carbon dioxide gas flows from the carbon dioxide gas supply device 81 through the gas pipe 80 and flows into the gas injection valve 77 of the head cap 79 . Then, the carbon dioxide gas of the gas injection valve 77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72 via the rising tube 75 of the discharge valve assembly 76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valve 77, and at the same time The injected carbon dioxide gas pushes the draft be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portion 72 through the rising tube 75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ejection valve 78 of the discharge valve assembly 76 .
  • the ejection valve 78 transfers the draft beer pushed up from the container body 72 to the cooler 83 through the transfer pipe 82, and accordingly the cooler 83 cools the incoming draft beer and then discharges the draft beer 87 ) through the coke (85). Then, the coke beer 85 is filled with the cooled draft beer into the draft beer cup 84 located at the bottom to supply normal draft beer, and when the draft beer cup 84 is full, the open valve 86 is closed agai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ft beer container using a composite material capable of constantly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draft beer stored in a contain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draft beer container by facilit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internal contents through the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window provided in the outer case because the container is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and thus has good transparenc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ft beer container using the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 keg container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and a case for placing the keg container therein, wherein the keg container includes a liner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winding metho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 a draft beer container is provided, comprising: a winding member that is welded and buffers external shock; and an inlet and outlet connector that is embed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ner body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gas and draft beer are introduced.
  • it further includes a rising tu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inlet and outlet connector, the carbon dioxide gas and the draft beer may flow into and out of the rising tube.
  • the case may include a viewer window for check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raft beer.
  • the case may include a pair of handles at the top.
  • the liner body may include, for example, a material approved by the US FDA (high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material.
  • the winding member may be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by being wound by a wire including glass fibers mixed with a curing agent and a resin.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aft beer container comprising the step of winding in a filament winding method to form a keg container having the shape of a draft beer container.
  • the keg container is repeatedly transported and rotated inside the drying furnace, dried, coole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haft is separated from the keg container, followed by performing various tests including pressure test; , It may further include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keg container that has passed the inspection into the case.
  • the forming process of the liner body includes a scrap removal process of removing marks or scraps on an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when the liner body is taken out of the liner blower machine, and the liner body from which scraps are removed.
  •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manufactures a draft beer container by winding a wire mixed with glass fiber and resin on the outside of the liner structure by a filament winding method.
  • This light weight makes it easy to transport and does not cause internal corrosion, so that the freshness of the draft beer stored inside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thereby maximizing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draft beer container.
  • the container is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the transparency is good, s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internal contents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the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window provided in the outer case,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draft beer container is improved Not only that, compared to the stainless steel draft beer container, the manufacturing cost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lifespan is semi-permanently longer.
  • FIG. 1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raft beer container.
  •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nthetic keg container of a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nthetic keg container of a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portion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is shown in a cut-out state so that the cross-section and the internal appearance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can be seen.
  • the draft beer container 5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iner body 1 having a hollow inside; a winding member (2)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by a winding method and buffering an external shock; It may include an outlet connector 3 which is buri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ner body 1 and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gas or draft beer flows in and out.
  • the draft beer container 5 has a viewer window 6 for checking the remaining amount of draft beer, and a case member 7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the keg container 15 is placed therein. further includes
  • the case member 7 has a cylindrical body, and handles 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ymmetrical body, and are screwed into the coupling portion 9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se member 7 .
  •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head portion 10 coupled by welding or detachable means.
  • a stopper member 11 capable of sealing the discharge passage passing through the rising tube 4 may be coupled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
  • a gas injection valve (not shown) into which gas, for example, carbon dioxide (CO2) is injected, and a jet valve (not shown) through which draft beer is ejected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inflow and out connector 3, and a set coupling method such as screw fastening ( (not shown) or a detachable means (not shown), a head cap (not shown) is coupled and installed so that the inside of the draft beer container 5 maintains a vacuum state.
  • gas injection valve into which gas, for example, carbon dioxide (CO2) is injected
  • a jet valve (not shown) through which draft beer is ejected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inflow and out connector 3
  • a set coupling method such as screw fastening ( (not shown) or a detachable means (not shown)
  • a head cap (not shown) is coupled and installed so that the inside of the draft beer container 5 maintains a vacuum state.
  • the liner body 1 may be made of, for example, an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material approved by the US FDA.
  • the HDPE is polyethylene with a low branching (branch) and high crystallinity density of 0.95 or more, and has excellent hardness,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etc., but has slightly poor processability.
  • the industrial manufacturing method of HDPE includes a low-pressure method using an alkylaluminum-titanium halide as a catalyst (Ziegler method) and a medium-pressure method using a silica-alumina-chromia catalyst (Phillips method), and the like.
  • the HDPE is a non-toxic eco-friendly plastic that does not contain environmental hormones, has excellent strength, and is mainly used to make disposable shopping bags, various containers, toys, etc.
  • the HDPE is 1 Safety: Environmental hormones such as bisphenol, phthalate and melamine Not detected, 2 Durability: It is heavy and does not tip over easily, and does not break easily even when dropped, 3 Heat resistance: It has no surface coating and can be used in a dishwasher because of its high heat-resistance temperature.
  • the winding member 2 is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by being wound by a wire including glass fibers mixed with a curing agent and a resin.
  • the draft beer contain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colors for each member to have good visibility.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liner body 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rough a liner blower machine (not shown), and at the same time, is buri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ner body to flow gas or draft beer.
  • a shaft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formed on the liner body 1, and a glass fiber wire mixed with a curing agent and a resin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in a predetermined manner.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is repeatedly transported and rotated inside the drying furnace (not shown) and dried, coole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haft is separated from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and then a fourth process (S4) of executing various set tests including the pressure test;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that has passed the inspection is inserted into the case member 7, and then the upper head part 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e member 7 to create a draft beer container (5). It may include a fifth process (S5) of completing the.
  • the liner body 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through a liner blower machine (not shown), and at the same time, the inflow and outflow connectors 3 are loc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iner body 1 . ), and when the liner body 1 is taken out of the liner blower machine, the taken out liner body 1 is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lace through a conveyor (not shown), A scrap removal step of removing the marks or scrap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and after the scrap removal step, the liner body 1 from which the scraps are removed is brought back to a predetermined time and temperature by a conveyor (not shown). It may include a liner aging-drying step of performing a dimensioning process after drying and aging.
  • the second process ( S2 ) may further include a liner flaming step of heat-tre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using oxygen plasma.
  • the third process (S3) includes a shaf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a shaft (not shown)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formed in the liner body 1, and a plurality of (eg, 12) shafts after the shaft fastening step.
  • a shaf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a shaft (not shown)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formed in the liner body 1, and a plurality of (eg, 12) shafts after the shaft fastening step.
  • the mixed glass fiber wires are filament-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at is, the winding member).
  • forming) to form a synthetic keg container 15 having the shape of a draft beer container 5 may include a filament winding step.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is moved to a drying furnace (not shown) by a moving means (not shown) coupled with a shaft (not shown) and transferred inside the drying furnace
  • a container drying step of repeatedly drying and rotating, and a cooling (or cooling) process by exposing the dried synthetic keg container 15 to air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5 to 40 minutes after the container drying step It may include a cooling step of executing the cooling step, and a final inspection step of separating the shaft from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cooled by the cooling step and then executing various tests set including the internal pressure test.
  • the stopper member 11 is coupled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that has passed the inspection and inserted into the case member 7, and then the upper head It may include a process step of coupling the part 10 to the upper end of the case member 7 to complete the draft beer container 5 .
  • the liner body 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through a liner blower machine (not shown);
  • the inflow and outflow connectors 3 that form a passage for inflow and outflow of gas or draft beer are embed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ner body 1, wherein the molded liner body 1 has the same cylindrical shape as the draft beer container 5.
  • the liner body 1 may refer to a cylinder before the winding step of the third process S3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ynthetic keg container 15 after the winding step.
  • the liner body 1 is integrally embedded in the upper center when the inlet and outlet connectors 3 are liner blow molded.
  • the taken out liner body 1 is transported to a set place through a conveyor (not shown), and the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 Execute the process to remove marks or scraps. In this case, in the scrap removal process, scrap removal may be performed manually or may be removed using a scrap removal device.
  • the liner body 1 from which the scrap is removed is dried and aged at a set time and temperature while being moved by a conveyor (not shown) again, and then a process of filling in dimensions is performed. That is, the liner body 1 from which scrap has been removed as described above is again moved to the aging place by a conveyor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for example, 4 to 6 hours. The liner body 1 is dried and firmly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measured dimensions are input into a computer.
  •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is subjected to plasma heat treatment in the second process S2.
  • oxygen plasma is u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is heat treated.
  • the reason for doing so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of winding with glass fib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body 1 . That is,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r is heat-treated using oxygen plasma as described above, oxygen radicals, atoms, and molecules are irradiated with high energy to the surface of the liner made of HDPE material.
  • the winding step of the third process (S3) to be described later it is in an active state so as to be strongly bonded to the glass fiber.
  • a shaft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formed in the liner body 1 in order to facilitate the filament winding process. Then, after the shaft is fastened, a plurality of (eg, 12) glass fiber strands or wires are passed through a mixing module (not shown), mixed with the resin and hardener, and then the mixed glass fiber wires are mixed with the liner body (1).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having the shape of a draft beer container is formed by filament winding on the outer surfac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s shown in FIG. 2 .
  • an eco-friendly synthetic keg container 15 is manufactured by executing the wind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has the same external shape as the liner body 1, which is a raw material, but unlike the liner body 1,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It has enough strength to withstand it.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that has undergone the winding process is moved to a drying furnace (not shown) by a moving means (not shown) coupled to the shaft and dried.
  • the drying furnac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in a temperature range of, for example, 70°C to 90°C by an indirect heating method by a heater and a fan, and the moving means repeats the transfer and rotation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inside the drying furnace while drying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for, for example, 70 to 90 minutes.
  • the moving means performs a process of repeating movement and conveyance while rotating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so that the glass fibers and resin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are not biased to one side.
  •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is exposed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15 to 40 minutes to perform a cooling or cooling process.
  • the reason for cooling or cooling as described above is to low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to 35° C. or less, and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is transferred to a cooling conveyor (not shown) at a constant temperature at room temperature.
  • the stopper member 11 is coupled to the inlet/outlet connector 3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that has passed the insp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member 7, and then the upper head The part 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e member 7 to finally complete the draft beer container 5 .
  • the viewer window 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member 7, and the synthetic keg container 15 formed by coupling the winding member 2 to the liner body 1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and has a Since it is transparent enough to check the contents, when the viewer window 6 is checked, the remaining amount of draft beer can be checked. Therefore, when draft beer falls on the draft beer container 5 through the viewer window 6 , the user can easily prepare another draft beer container 5 .
  • a draft beer keg container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wire mixed with glass fiber and resin on the outside of the liner structure by a filament winding method, so that the draft beer keg container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so draft beer made of stainless steel It is light in weight compared to keg containers, so transport is easy and internal corrosion does not occur, so the freshness of the draft beer stored inside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 the draft be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heat conduction is very low, so that external heat has little effect on the inside of the draft beer container, so it is easy to preserv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draft beer container.
  • the draft beer container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good transparency because it is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internal contents through the remaining amount confirmation window provided in the outer case, and it is lighter and less expensive than the stainless steel draft beer container. can be reduced and the lifespan can be extend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재료로 된 케그용기와, 상기 케그용기를 내부에 안치시키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케그용기는 내부가 중공인 라이너 본체와,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와인딩 방식으로 용착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와인딩 부재와, 상기 라이너 본체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되어 탄산가스 및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본 출원은 2020년 06월 12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20-0071475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섬유와 수지 등이 혼합된 와이어를 라이너구조물의 외부에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 하여 생맥주 케그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스테인리스 재질의 생맥주 용기에 비해 중량이 매우 가벼워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 부식도 일어나지 않아 내부에 보관되는 생맥주의 신선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며, 병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한 것이고, 이에 반해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생맥주라 한다. 이러한 생맥주는 상기와 같이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남아 있는 효모의 작용에 의해 자체 발생한 탄산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갖는다. 이처럼, 생맥주가 가지는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보다 다양한 장소에 자유롭게 즐길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된 케그(keg)라고 불리는 생맥주 용기에 담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생맥주의 맛과 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탄산가스를 생맥주 원액과 함께 주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생맥주 용기 내에 담기는 생맥주가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맥주에 포함된 탄산가스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용기 내부에 탄산가스를 채운 후 생맥주 원액을 거품 발생 없이 주입하고 용기 내부에 과도하게 채워진 잉여분의 탄산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생맥주 용기의 구조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먼저 내부가 중공인 스테인리스재질의 원통형상으로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단 중심부에 생맥주 혹은 탄산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배출공(70)이 형성되며, 몸체의 하부에 안전판(71)이 형성되는 용기몸체부(72)와;
상기 용기몸체부(72)의 상단부에 원통형상으로 일체 혹은 착탈방식으로 결합되고 대칭되는 양쪽 몸체 각각에 손잡이(73)가 형성되는 상단헤드부(74)와;
상기 상단헤드부(74)에 나사체결 혹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배출공(70)을 기밀 되게 결합하여 용기몸체부(72)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그 몸체의 하단부로 봉형상의 상승튜브(75)가 설치되는 배출밸브결합체(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스테인리스재질로 된 생맥주 용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생맥주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배출밸브결합체(76)에 탄산가스(CO2)가 주입되는 가스주입밸브(77)와 생맥주가 분출되는 분출밸브(78)가 각각 형성된 헤드캡(79)을 설정된 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가스주입밸브(77)에는 가스관(80)을 통해 탄산가스공급장치(81)가 연결되는 반면 상기 분출밸브(78)에는 이송관(82)을 통해 생맥주를 냉각할 냉각기(83)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83)의 타단에는 냉각된 생맥주를 생맥주컵(84)에 따르는 코크주(beer tower)(85)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주(85)의 오픈밸브(86)를 개방하면 탄산가스공급장치(81)로부터 탄산가스가 가스관(80)을 타고 헤드캡(79)의 가스주입밸브(77)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가스주입밸브(77)의 탄산가스는 가스주입밸브(77)와 연결된 배출밸브결합체(76)의 상승튜브(75)를 경유하여 용기몸체부(72)의 내부로 주입되고 그와 동시에 주입되는 탄산가스는 용기몸체부(72)에 들어 있는 생맥주를 상승튜브(75)를 통해 밀어 올려 배출밸브결합체(76)의 분출밸브(78)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분출밸브(78)는 용기몸체부(72)로부터 밀려 올라온 생맥주를 이송관(82)을 통해 냉각기(83)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냉각기(83)는 유입된 생맥주를 냉각시킨 다음 배출관(87)을 통해 코크주(85)로 배출한다. 그러면, 상기 코크주(85)는 냉각되어진 생맥주를 하부에 위치한 생맥주컵(84)으로 충진하여 통상의 생맥주를 공급하고 생맥주컵(84)이 차면 다시 오픈밸브(86)를 잠그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생맥주 용기는 거의 대부분 스테인리스 재질의 용기로 제조되기 때문에 중량이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이송하기가 매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상당히 높으며,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은 종래 스테인리스 재질의 생맥주 용기는 열전도 특성이 매우 높아 용기의 외부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변질되는 일이 빈번하여 생맥주 용기로서 안정성이 상당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생맥주 용기를 복합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스테인리스 재질의 생맥주 용기에 비해 중량이 매우 가벼워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 부식도 일어나지 않아 내부에 보관되는 생맥주의 신선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가 복합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투명성이 양호하므로 외부 케이스에 구비된 잔량 확인창을 통해 내부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맥주 용기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합재료로 된 케그용기와, 상기 케그용기를 내부에 안치시키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그용기는 내부가 중공인 라이너 본체와,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와인딩 방식으로 용착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와인딩 부재와, 상기 라이너 본체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되어 탄산가스 및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입 커넥터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승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튜브 내부로 상기 탄산가스 및 상기 생맥주가 유출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생맥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뷰어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에 손잡이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너 본체는 예컨대, 미국 FDA로부터 승인받은 재질인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인딩 부재는 경화제 및 수지와 혼합된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와이어에 의해 와이딩되어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 라이너 블로어 머신을 통해 일정 형상을 갖는 라이너 본체를 성형함과 동시에 라이너 본체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 형성되어 가스 혹은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를 매립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을 플라즈마 열처리하는 라이너 플레이밍 공정을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라이너 본체에 형성된 상기 유출입 커넥터에 샤프트를 체결하고 경화제와 수지가 혼합된 유리섬유 와이어를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소정 패턴의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하여 생맥주 용기의 형태를 지닌 케그 용기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그 용기를 건조로 내부에서 이송과 회전을 반복하며 건조시킨 후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쿨링시키고 상기 케그 용기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분리한 다음 내압검사를 포함한 각종 검사를 실행하는 과정과, 검사를 통과한 상기 케그 용기를 케이스에 삽입 안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너 본체 성형 과정은 상기 라이너 블로어 머신의 외부로 상기 라이너 본체가 취출되면,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생긴 자국이나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공정과, 스크랩이 제거된 상기 라이너 본체를 소정의 시간과 온도로 건조하여 숙성시킨 후 치수를 기입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라이너 숙성건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는 유리섬유와 수지 등이 혼합된 와이어를 라이너구조물의 외부에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 하여 생맥주 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생맥주 용기가 복합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생맥주 용기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 부식도 일어나지 않아 내부에 보관되는 생맥주의 신선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생맥주 용기의 보관 안정성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개시에 의하면, 용기가 복합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투명성이 양호하므로 외부 케이스에 구비된 잔량 확인창을 통해 내부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맥주 용기의 활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재질의 생맥주 용기에 비해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되고 수명도 반영구적으로 길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생맥주 용기의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용기의 합성 케그용기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
본 개시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용기의 합성 케그용기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맥주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합성 케그용기의 단면 및 내부 모습을 볼수 있도록 합성 케그용기의 일부분이 절취된 모습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생맥주 용기(5)는 내부가 중공인 라이너 본체(1)와; 상기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와인딩 방식으로 용착되고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와인딩부재(2)와; 상기 라이너 본체(1)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 형성되어 탄산가스 혹은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입 커넥터(3)에는 라이너 본체(1)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몸체의 하단부로 가스 예컨대, 탄산가스와 생맥주가 유출입 되는 봉형상의 상승튜브(4)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생맥주 용기(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맥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뷰어창(6)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케그용기(15)가 안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재(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재(7)에는 몸체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칭되는 양쪽 몸체 각각에 손잡이(8)가 형성되며, 케이스부재(7)의 상단 원주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9)에 나사체결 혹은 용접 또는 착탈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단헤드부(10)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유출입 커넥터(3)에는 상승튜브(4)를 경유하는 배출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는 마개부재(11)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입 커넥터(3)에는 가스 예컨대, 탄산가스(CO2)가 주입되는 가스주입밸브(도시하지 않음)와 생맥주가 분출되는 분출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각기 형성되고 설정된 결합방식 예컨대 나사체결(도시하지 않음) 혹은 착탈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어 생맥주 용기(5)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헤드캡(도시하지 않음)이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라이너 본체(1)는 예컨대, 미국 FDA로부터 승인받은 재질인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HDPE은 분지(branch)가 적고 결정성이 높은 밀도 0.95 이상의 폴리에틸렌으로서 경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나 가공성 등은 약간 열악하다. 그리고 상기 HDPE의 공업적 제법에는 알킬알루미늄-할로겐화 티탄을 촉매로 하는 저압법(치글러 법)과 실리카-알루미나-크로미아 촉매에 의한 중압법(필립스 법) 등이 있다. 또한 상기 HDPE는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은 무독성 친환경 플라스틱으로서, 강도가 우수하며 주로 일회용 쇼핑백, 각종 용기, 완구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데, 상기 HDPE는 ① 안전성: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프탈레이트, 멜라민이 전혀 검출되지 않음, ② 내구성: 무게감이 있어 쉽게 엎어지지 않고, 떨어뜨려도 잘 깨지지 않음, ③ 내열성: 표면 코팅을 하지 않았고, 내열 온도가 높아 식기세척기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와인딩부재(2)는 경화제 및 수지와 혼합된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와이어에 의해 와이딩되어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한편 본 개시에 의한 생맥주 용기(5)는 시인성이 양호하게 각 부재들을 다양한 컬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개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블로어 머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일정형상을 갖는 라이너 본체(1)를 성형함과 동시에 라이너 본체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 형성되어 가스 또는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3)를 매립하는 제1 과정(S1)과;
상기 제1 과정(S1) 후에 라이너 본체(1)의 외부 표면을 플라즈마 열처리하는 라이너 플레이밍공정을 실행시키는 제2 과정(S2)과;
상기 제2 과정(S2) 후에 라이너 본체(1)에 형성된 유출입 커넥터(3)에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하고 경화제와 수지가 혼합된 유리섬유 와이어를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하여 생맥주 용기(5)의 형태를 지닌 합성(composite) 케그용기(15)를 형성시키는 제3 과정(S3)과;
상기 제3 과정(S3)후에 합성 케그용기(15)를 건조로(도시하지 않음) 내부에서 이송과 회전을 반복하며 건조시킨 후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쿨링시키고 합성 케그용기(15)로부터 샤프트를 분리한 다음 내압검사를 포함한 설정된 각종 검사를 실행시키는 제4 과정(S4)과;
상기 제4 과정(S4) 후에 검사를 통과한 합성 케그용기(15)를 케이스부재(7)에 삽입시킨 다음 상단헤드부(10)를 케이스부재(7)의 상단에 결합시켜 생맥주 용기(5)를 완성하는 제5 과정(S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과정(S1)은 라이너 블로어 머신(liner blower machine,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일정형상을 갖는 라이너 본체(1)를 성형함과 동시에 라이너 본체(1)의 상단 중심부에 유출입 커넥터(3)를 매립 성형하는 라이너 성형단계와, 라이너 블로어 머신의 외부로 라이너 본체(1)를 취출할 경우 그 취출된 라이너 본체(1)를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소정의 장소로 이송한 후,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생긴 자국이나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단계와, 상기 스크랩 제거단계 후에 스크랩이 제거된 라이너 본체(1)를 다시 콘베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시간과 온도로 건조하고 숙성한 후 치수를 기입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라이너 숙성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과정(S2)은 라이너 본체(1)의 외면을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는 라이너 플레이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과정(S3)은 라이너 본체(1)에 형성된 유출입 커넥터(3)에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하는 샤프트체결 단계와, 상기 샤프트체결 단 계후에 다수(예컨대 12개)의 유리섬유 가닥 혹은 와이어를 혼합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게 하여 수지 및 경화제와 혼합시킨 후 그 혼합된 유리섬유 와이어를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필라멘트 와인딩(즉, 와인딩부재 형성)하여 생맥주 용기(5)의 형태를 지닌 합성 케그용기(15)를 형성시키는 필라멘트 와인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4 과정(S4)은 합성 케그용기(15)를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된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건조로(도시하지 않음)로 이동시키고 건조로 내부에서 이송과 회전을 반복하며 건조시키는 용기 건조단계와, 상기 용기 건조단계 후에 건조가 끝난 합성 케그용기(15)를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예컨대, 15분 내지 40분 동안 공기에 노출시켜 쿨링(혹은 냉각)공정을 실행하는 쿨링단계와, 상기 쿨링단계에 의해 냉각된 합성 케그용기(15)로부터 샤프트를 분리한 다음 내압검사를 포함한 설정된 각종 검사를 실행시키는 최종검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과정(S5)은 검사를 통과한 합성 케그용기(15)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유출입 커넥터(3)에 마개부재(11)를 결합시키고 케이스부재(7)에 삽입시킨 다음 상단헤드부(10)를 케이스부재(7)의 상단에 결합시켜 생맥주 용기(5)를 완성하는 공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 개시의 생맥주 용기의 제조공정은 먼저, 상기 제1 과정(S1)에서, 라이너 블로어 머신(liner blower machine,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일정 형상을 갖는 라이너 본체(1)를 성형함과 동시에 라이너 본체(1)의 상단 중심부에 가스 혹은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3)를 매립 성형하는데, 이때 성형된 라이너 본체(1)는 생맥주 용기(5)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라이너 본체(1)는 후술되는 제3 과정(S3)의 와인딩 단계를 거치기 전의 원통을 의미하고, 상기 와인딩 단계를 거친 후에는 합성 케그용기(15)라고 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 본체(1)는 상단 중심부에 유출입 커넥터(3)가 라이너 블로우 성형될 때 일체형으로 매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라이너 본체(1)가 외부로 취출될 경우 그 취출된 라이너 본체(1)는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설정된 장소로 이송된 후,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생긴 자국이나 스크랩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스크랩 제거공정에서는 스크랩제거를 수작업으로 하거나 혹은 스크랩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크랩이 제거된 라이너 본체(1)는 다시 콘베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되면서 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건조되고 숙성된 후 치수를 기입하는 공정을 실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스크랩이 제거된 라이너 본체(1)는 다시 콘베이어에 의해 숙성장소로 이동되어 예컨대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상온에 두는데, 상기와 같이 예컨대, 미국 FDA로부터 승인받은 재질인 HDPE로 제작된 라이너 본체(1)는 일정한 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되고 견고하게 숙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숙성을 거친 라이너 본체(1)는 치수(즉 전장 및 외경)를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치수를 컴퓨터에 입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이너 본체(1)가 취출될 경우 제2 과정(S2)에서는 라이너 본체(1)의 외면을 플라즈마 열처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라이너 플레이밍공정에서는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라이너 본체(1)의 외면을 열처리하게 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라이너 본체(1)의 외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유리섬유로 와인딩(winding)하는 공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와 같이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라이너의 외면을 열처리할 경우 HDPE 재질의 라이너 표면에 산소 라디컬이나 원자, 분자들이 높은 에너지로 조사되므로 라이너 본체(1)의 외면이 활성화되어 전하를 띠게 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제3 과정(S3)의 와인딩단계에서 유리섬유와 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활성상태가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과정(S3)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라이너 본체(1)에 형성된 유출입 커넥터(3)에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한다. 그리고 샤프트를 체결한 후에 다수(예: 12개)의 유리섬유 가닥 혹은 와이어를 혼합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게 하여 수지 및 경화제와 혼합시킨 후 그 혼합된 유리섬유 와이어를 라이너 본체(1)의 외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패턴으로 필라멘트 와인딩 하여 생맥주 용기의 형태를 지닌 합성 케그용기(15)를 형성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3 과정(S3)은 라이너 본체(1)의 표면이 제2 과정(S2)에 의해 플라즈마 열처리가 되기 때문에 경화제 및 수지가 혼합된 유리섬유 와이어가 와인딩 되면서 쉽게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이렇게 강도가 강화된 원통을 친환경 합성 케그용기(15)라고 칭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와인딩공정을 실행하여 친환경 합성 케그용기(15)가 제조되는데, 이 합성 케그용기(15)는 원재료인 라이너 본체(1)의 외형과 동일하나, 라이너 본체(1)와는 달리 내압을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4 과정(S4)에서는 상기 와인딩 공정을 거친 합성 케그용기(15)를 샤프트와 결합된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건조로(도시하지 않음)로 이동되어 건조된다. 이때 상기 건조로는 히터 및 팬에 의한 간접 히팅방식으로 예컨대 70℃ 내지 9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합성 케그용기(15)를 건조로 내부에서 이송과 회전을 반복하면서 예컨대 70분 내지 90분 동안 합성 케그용기(15)를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은 합성 케그용기(15)의 외부표면에 와인딩된 유리섬유 및 수지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합성 케그용기(15)를 회전(rolling) 시키면서 이동과 반송을 반복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합성 케그용기(15)의 건조가 종료된 후에 합성 케그용기(15)를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예컨대, 15분 내지 40분 동안 노출시켜 쿨링 혹은 냉각공정을 실행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쿨링 혹은 냉각시키는 이유는 합성 케그용기(15)의 표면온도를 35℃ 이하로 내려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합성 케그용기(15)를 쿨링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로 이송 하면서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합성 케그용기(15)를 대기시키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한편 상기 제4 과정(S4)에서 쿨링공정이 종료되면 합성 케그용기(15)로부터 샤프트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분리된 샤프트는 컨베이어에 의해 샤프트체결단계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샤프트가 분리될 경우 내압검사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내압검사는 합성 케그용기(15)를 수조 즉, 물속에서 일정한 시간과 압력을 줌으로써 누설(leak)이 있는지 검사하는 공정이다. 또한 내압검사 후에는 육안검사기를 통해 합성 케그용기(15)의 불량상태 유무를 확인하고 치수를 확인하여 기록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양호한 합성 케그용기(15)만을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제5 과정(S5)에서는 검사를 통과한 합성 케그용기(15)의 상단중심부에 형성된 유출입 커넥터(3)에 마개부재(11)를 결합시키고 케이스부재(7)에 삽입한 다음 상단헤드부(10)를 케이스부재(7)의 상단에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생맥주 용기(5)를 완성한다.
더 나아가 상기 케이스부재(7)의 일측에는 뷰어창(6)이 형성되어 있는데, 라이너 본체(1)에 와인딩부재(2)가 결합되어 형성된 합성 케그용기(15)가 복합재료로 구성되어 내부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을 만큼 투명하기 때문에 상기 뷰어창(6)을 확인할 경우 생맥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뷰어창(6)을 통해 생맥주 용기(5)에 생맥주가 떨어질 경우, 용이하게 다른 생맥주 용기(5)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르면, 유리섬유와 수지 등이 혼합된 와이어를 라이너구조물의 외부에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 하여 생맥주 케그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생맥주 케그용기가 복합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생맥주 케그용기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 부식도 일어나지 않아 내부에 보관되는 생맥주의 신선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개시에 따른 생맥주 용기는 복합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열전도가 매우 낮아 외부의 열이 생맥주 용기의 내부에 영향이 작아 생맥주 용기 내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보존이 용이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생맥주 용기는 복합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투명성이 양호하므로 외부 케이스에 구비된 잔량 확인창을 통해 내부 내용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재질의 생맥주 용기에 비해 가볍고 제조비용도 저감되고 수명도 연장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복합재료로 된 케그용기와,
    상기 케그용기를 내부에 안치시키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그용기는
    내부가 중공인 라이너 본체와,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와인딩 방식으로 용착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와인딩 부재와,
    상기 라이너 본체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되어 탄산가스 및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 커넥터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승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튜브 내부로 상기 탄산가스 및 상기 생맥주가 유출입되는, 생맥주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생맥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뷰어창을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에 손잡이 쌍을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본체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재질을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부재는 경화제 및 수지와 혼합된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와이어에 의해 와이딩되어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인, 생맥주 용기.
  7. 라이너 블로어 머신을 통해 일정 형상을 갖는 라이너 본체를 성형함과 동시에 라이너 본체의 상단 중심부에 매립 형성되어 가스 혹은 생맥주를 유출입 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입 커넥터를 매립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을 플라즈마 열처리하는 라이너 플레이밍 공정을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라이너 본체에 형성된 상기 유출입 커넥터에 샤프트를 체결하고 경화제와 수지가 혼합된 유리섬유 와이어를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소정 패턴의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하여 생맥주 용기의 형태를 지닌 케그 용기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그 용기를 건조로 내부에서 이송과 회전을 반복하며 건조시킨 후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쿨링시키고 상기 케그 용기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분리한 다음 내압검사를 포함한 각종 검사를 실행하는 과정과,
    검사를 통과한 상기 케그 용기를 케이스에 삽입 안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본체 성형 과정은
    상기 라이너 블로어 머신의 외부로 상기 라이너 본체가 취출되면, 상기 라이너 본체의 외면에 생긴 자국이나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 공정과,
    스크랩이 제거된 상기 라이너 본체를 소정의 시간과 온도로 건조하여 숙성시킨 후 치수를 기입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라이너 숙성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생맥주 용기의 제조방법.
PCT/KR2021/007343 2020-06-12 2021-06-11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212517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75A KR20210154452A (ko) 2020-06-12 2020-06-12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0071475 2020-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798A1 true WO2021251798A1 (ko) 2021-12-16

Family

ID=7884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343 WO2021251798A1 (ko) 2020-06-12 2021-06-11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4452A (ko)
WO (1) WO20212517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531A (ko) * 1998-07-15 2001-08-22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KR200393934Y1 (ko) * 2005-04-02 2005-08-30 오상규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20080009726A (ko) * 2005-04-19 2008-01-29 에코케그 피티와이 엘티디 액체 저장 및 분배 장치
US20100264140A1 (en) * 2009-04-20 2010-10-21 Apps William P Plastic beer keg
KR101793511B1 (ko) * 2017-01-17 2017-11-03 김준형 폴리에틸렌 라이너에 복합재료를 와인딩한 가스용기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531A (ko) * 1998-07-15 2001-08-22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음료수 용기와 이의 밸브조립체 및 이 음료수 용기를채우거나 비우는 방법
KR200393934Y1 (ko) * 2005-04-02 2005-08-30 오상규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20080009726A (ko) * 2005-04-19 2008-01-29 에코케그 피티와이 엘티디 액체 저장 및 분배 장치
US20100264140A1 (en) * 2009-04-20 2010-10-21 Apps William P Plastic beer keg
KR101793511B1 (ko) * 2017-01-17 2017-11-03 김준형 폴리에틸렌 라이너에 복합재료를 와인딩한 가스용기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52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836B2 (en)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CA1304301C (en) Refillable polyester bottle and preform for forming same
CN104321270B (zh) 用于制造装有内装流体的容器的方法、用于对容器的内部加压的方法、填充容器、吹塑成型方法及吹塑成型装置
US4818575A (en) Biaxially drawn polyester vessel having resistance to heat distortion and gas barrier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A2265625A1 (en) Method of testing for a leak with the inner vessel of a double blow molded bottle
WO2021251798A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생맥주 용기 및 그 제조방법
EP046665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hollow body
US20090223920A1 (en) Abuse resistant preform and container neck finish
CN207702112U (zh) 一种车用全复合高压储气瓶
EP295741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sterilen Behältern
US4054630A (en) Hot pin parison injection molding technique
CA1079014A (en) Method of injection-blow molding biaxially-oriented hollow plastic containers
HU194293B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production of forms from materials based on siliconelastomer and resistant against harms made by birds
CN107524020A (zh) 一种利用超临界二氧化碳流体对合成纤维进行染色的方法
DE102014016140A1 (d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Luft aus Vorformlingen zur Herstellung von gefüllten Behältern aus Kunststoff
CN107435814A (zh) 一种降低高纯氢气管束式集装箱内气瓶露点的方法
GB2218395A (en) A draw-blow moulded laminar polyester vessel
CN207964388U (zh) 一种气体取样装置
WO2005021236A1 (en) Modified injection takeout tube
CN207964387U (zh) 一种取样模块及取样装置
CN207964354U (zh) 一种液体取样装置
DE19931992A1 (de)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Produk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Vorrichtung
CN205958332U (zh) 一种全自动细胞染色仪
CN217228635U (zh) 一种水质监测用储存装置
CN203442473U (zh) 一种高强度轻便缠绕气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30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30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4/08/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30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