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965A -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및 가스제거구 - Google Patents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및 가스제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965A
KR20010074965A KR1020017002883A KR20017002883A KR20010074965A KR 20010074965 A KR20010074965 A KR 20010074965A KR 1020017002883 A KR1020017002883 A KR 1020017002883A KR 20017002883 A KR20017002883 A KR 20017002883A KR 20010074965 A KR20010074965 A KR 20010074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gas removal
gas
aerosol container
remova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356B1 (ko
Inventor
메가타사토시
노미야마코오지
Original Assignee
토오고 시게오키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조센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오고 시게오키,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조센쇼 filed Critical 토오고 시게오키
Publication of KR2001007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means to hold the valve open, e.g. for continuous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아졸용기의 스템이 압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를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그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의 외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하고 있다. 에아졸용기 자체에 구멍을 뚫지 않고 가스를 제거한 경우에도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임을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및 가스제거구{DEGASIFICATION INDICATION STRUCTURE OF AEROSOL CONTAINER, METHOD OF INDICATING DEGASIFICATION, AND DEGASIFICATION DEVICE}
환경문제의 영향으로 에아졸용기의 충진가스(에아졸가스)가 플론가스에서 가연성의 액화석유가스(LPG)로 변화함에 따라, 폐기된 에아졸용기내에 남아 있던 가스가 원인으로 보이는 폐품 회수시의 사고, 특히 청소차의 화재가 다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 자치단체의 청소국이 중심으로 되어 "에아졸용기를 폐기할 때에는 용기에 구멍을 뚫어 완전히 충진가스(에아졸가스)를 배출한다"고 지도되어 왔다.
그러나 소비자가 구멍을 뚫을 때의 폭발사고가 끊이지 않았으므로, 최근에는
"내용물을 사용하고 구멍을 뚫지말고 버린다"고 지도하도록 되어 있다(평성 11년 6월 3일부 일본경제신문 참조).
에아졸용기에 구멍을 뚫지 않고, 더욱 용이하게 에아졸가스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가스제거구는 종래부터 각종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8-324661호 공보, 특허공개 평10-53289호 공보, 특허공개 평11-118098호 공보 등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스제거구를 사용하여 에아졸용기의 가스를 제거한 경우, 확실히 용기에 구멍을 뚫은 때와 같은 위험은 없는지, 반대로 용기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으므로 폐기된 용기가 가스제거 완료의 것인지 아닌지를 일견하여 판별할 수 없다. 이 경우, 많은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폐기된 용기를 흔들어 내용물의 잔류 유무를 확인하지만, 살충제 등의 많은 에아졸용기에 있어서는 충진가스(에아졸가스)를 완전히 배출시켜도 내용물(액체)이 다소 잔류하므로(가스가 완전히 배출되어 있으면 폭발의 위험은 없다), 결국은 가스제거 완료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가스제거 완료의 애아졸용기이라도 내용물이 아직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회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멍을 뚫지 않고 가스를 제거한 경우이라도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인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및 가스제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스를 제거한 에아졸용기가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인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및 이에 적합한 가스제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제거구 및 분리한 가스제거구의 일부, 즉 분리체의 표면측 및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스제거구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가스제거구에서의 계합관통공의 분출구측의 구성을 캡 내측에서 본 요부일부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의 가스제거구에서의 계합관통공부분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가스제거구를 사용하여 행하는 가스제거 방법 및 가스제거필 표시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a)는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 (b)는 분리체를 가스제거구에서 분리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 (c)는 분리체만을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가스제거구의 분리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 즉 폐기하는 상태의 에아졸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방법과는 약간 다른 방법에 의한 가스제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1의 가스제거구의 변형례(절단예비선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1의 가스제거구와는 구성이 다른 가스제거구의 일례를 표시하는 것이고, (a)는 그 단면도, (b)는 그 사용상태도. 도 10은 마찬가지로 도 1의 가스제거구와는 구성이 다른 가스제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마찬가지로 도 1의 가스제거구와는 구성이 다른 가스제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a)는 그 상면측 사시도, (b)는 그 하면측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가스제거구와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제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그 상면측 사시도, (b)는 그 단면도, (c)는 그 하면측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가스제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가스제거구와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제거구 및 가스제거필 표시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가스제거구를 사용한 가스제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가스제거필 표시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즉 폐기하는 상태의 에아졸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의 가스제거구의 변형례에 관련된 가스제거구 및 분리한 가스제거구의 일부, 즉 분리체의 표면측, 이면측 및 에아졸용기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가스제거구를 사용하여 행하는 가스제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a)는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 (b)는 분리체를 가스제거구 본체에서 분리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 (c)는 분리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7의 가스제거구의 분리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 즉 폐기하는 상태의 에아졸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7의 가스제거구의 변형례에 관련된 가스제거구 및 분리한 가스제거구의 일부, 즉 분리체의 표면측 및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17의 가스제거구를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도 17의 가스제거구에서의 벽부의 역활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스제거후에 가스제거구 본체에서 분리체와 함께 에아졸용기를 빼낼 때의 도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도 17의 가스제거구에서의 차폐벽의 역활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스제거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타 실시예에 관련된 가스제거구 및 분리한 가스제거구의 일부, 즉 분리체의 표면측 및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가스제거구의 단면도. 도 26은 도 24의 가스제거구의 상면도. 도 27은 도 24의 가스제거구에서의 절단예비선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8은 도 24의 가스제거구에서의 스템삽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의 일부단면사시도. 도 29는 (a)에 도 24의 가스제거구를 사용한 가스제거상태를 나타내고, (b)에 가스제거후에 가스제거구 본체에서 분리체와 함께 에아졸용기를 빼낼 때의 도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은 도 24의 가스제거구의 분리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 즉 폐기하는 상태의 에아졸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1은 도 24의 가스제거구의 변형례에 관련된 가스제거구 및 분리한 가스제거구의 일부, 즉 분리체의 표면측 및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가스제거구의 분리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 즉 폐기하는 상태의 에아졸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아졸용기의 스템이 압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를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그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의 외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하여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가스제거필 표시구조는, 예를 들어 외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하여 가스를 제거하고, 가스제거 완료후에도 그 가스제거구의 장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에아졸용기에 장착하면 그 에아졸용기를 분사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제거구로서, 에아졸용기 장착시에 외측면으로 되는 부분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하는 구성을 가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기와 같은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또는 가스제거구에 의하면,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를 가스 제거후에도 에아졸용기에 장착하여 두는 것만으로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할 수 있고,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상태임을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도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인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은 없는 에아졸용기로서 안심하고 회수할 수 있다.
전기 가스제거필 표시구조에서의, "가스제거구의 일부" 또는 가스제거구에서의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부분"은, 예를 들어 가스제거구에서 분리가능하게구성하고, 가스제거 완료후 가스제거구의 일부를 잘라냄과 동시에, 남겨진 가스제거구의 일부의 에아졸용기에 대한 장착을 유지시킴으로써 그 가스제거구의 일부의 외측면의 표시에 의하여 가스제거 완료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에아졸용기에 남는 가스제거구(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부분)를 보다 작게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회수 및 보관시에 부피가 커지지 않아 매우 편리하게 된다.
가스제거구의 일부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잘라내는 부분을 둘러쌓도록 미싱금이나 얇은 두께부 등의 절단예비선을 넣어 두어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도록 형성하면 된다.
또한 전기 가스제거필 표시구조에서의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 즉 최종적으로 에아졸용기에 장착시켜 두는 가스제거구의 일부(전부를 포함)는 에아졸용기와 동계(同系)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가스제거구를 장착한 에아졸용기 전체가 동계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되므로 분리회수에 적합하게 되고, 그 후의 분리를 없애 다음의 처리(예를 들어 리사이클 처리)로 돌릴 수 있다.
여기서, "에아졸용기와 동계 재질"이란, 폐품 회수 특히 분리수집시에 장애가 되지 않을 정도의 동계 재질인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에아졸용기가 알루미늄제의 경우, 금속제 바람직하기로는 경금속제,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제로 한다. 가스제거구의 일부(가스제거필 표시부)를 알루미늄제로 하고, 다른 가스제거구의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사출할 때에 미리 사출금형내에 알루미늄제 가스제거필 표시부를 끼워넣어 두고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일체로 성형하고, 그 후 알루미늄제 가스제거필 표시부를 둘러쌓도록 미싱금 등의 절단예비선을 넣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스제거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환경과의 친화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유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풀리에틸렌 석시네이트, 폴리글리콜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미노산류, 바이오폴리에스테르, 박테리아셀루로오스, 전분, 초산셀루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가스제거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에 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및 가스제거구에서는 에아졸용기에 대한 가스제거구 또는 가스제거구의 일부를 장착시켜 둠으로써 가스제거 완료후에도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가스제거구로서는,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부분이 에아졸용기 장착시에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계합부와 가스분출공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스템이 압압상태, 즉 가스분출상태로 유지된 상태로 에아졸용기가 폐기되면 용기내가 개방상태로 유지되므로 폭발의 위험이 보다 일층 없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제거필 표시뿐만 아니라 실제의 구조에서 가스제거 완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보다 일층 안심하고 에아졸용기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표시체를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에 계합장착시켜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가스제거필 표시구조는, 예를 들어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표시체를 가스제거구에 이탈가능하게 장착하여 두고, 그 가스제거구를 사용하여 에아졸용기의 가스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표시체를 에아졸용기에 계착시키고, 가스제거후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로부터 이탈시켜 에아졸용기에 계착한 전기 표시체에 의하여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및 가스제거구에서, 가스제거구의 형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통상은 에아졸캡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상하 반대로 하면 가스제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에아졸캡 겸용 가스제거구도 포함한다. 또한 "가스제거필 표시"는 가스제거 완료의 취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식, 문언, 디자인 등은 임의이다. 문자에 의하여 그 취지를 표현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예를 들어 일정의 색이나 모양이 가스제거 완료의 취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약속된 경우 그 색이나 모양을 표시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에아졸용기 계합시에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계합부와 가스분출공을 가지고, 에아졸용기에 장착하면 그 에아졸용기를 분사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제거구에서, 그 계합부를 둘러싸고 절단예비선을 형성하고, 적어도 그 계합부를 가지는 부분을 가스제거구 본체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가스제거구는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분리체가 부착하고있는 모양을 보면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가스제거 종료후에 잘단예비선에 둘러쌓인 부분(분리체)을 잘라내고, 그 분리체를 폐기하는 에아졸용기에 장착하여 둠으로써 그 용기가 가스제거 완료인 것을 알릴 수 있다. 더욱 스템은 압압상태로 유지되고 용기내외가 개통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으므로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물론 누구라도 스스로의 눈으로 가스제거 완료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몇개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도 6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1)는 통상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용기(100)의 캡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용기(100)에 대하여 상하 반대방향으로 사용함으로써 가스제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스제거필 표시부착 에아졸캡 겸용 가스제거구이다.
여기서, 에아졸용기(100)는, 스틸제의 용기로서 용기의 동체 윗테두리에 권체부(卷締部)(101)를 형성하고, 용기상면 중앙부에 상방팽출부(102)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팽출부(102)의 윗테두리를 비드부(103)로 하고 있다. 전기 팽출부(102)의 상면에 에아졸발브(111)의 장착캡(104)을 크림핑함으로써 부착하고, 그 중앙부에 봉상의 스템(stem)(105)을 돌설하고, 그 스템(105)이 내측으로 압압되면 내부의 에아졸가스가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스제거구(1)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윗면(2)과 캡 주측면(周側面)(3)에 의하여 바닥을 가지는(有底) 통형상을 형성하고, 캡 윗면(2)내에 에아졸용기(100)의 상부를 감합할 수 있는 감합요부(嵌合凹部)(4)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감합요부를 둘러싸서 절단예비선(5)을 형성하고, 다시 감함요부(4)의 저면부(4a)의 중앙부위에 가스분출공(6)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캡 내측에는 가스분출공(6)의 축방향을 차단하도록 방향전환부(7)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기 감함요부(4)의 저면부(4a)의 캡 내측에 가스제거필 표시(8)를 붙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절단예비선(5)을 따라 분단함으로써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적어도 감합요부(4), 가스분출공 (6) 및 가스제거필 표시(8)를 가지는 분리체(B)(절단예비선(5)의 내부)를 잘라낼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전기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술한다.
전기 캡 윗면(2)과 캡 주측면(3)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은 에아졸캡으로서 에아졸용기(100) 상부에 장착한 때에 스템(105)을 압압하는 일이 없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캡 주측면(3)의 하단 내측부에는 용기의 권체부(101)에 계지가능한 돌기부(3a)를 형성하고 있다.
감합요부(4)는 캡 윗면(2)의 중앙부를 적어도 용기(100)의 비드부(103)와 에아졸발브(111)를 감입할 수 있는 지름과 높이를 가지고 캡 내측으로 凹상으로 함몰시키고, 그 凹상으로 함몰시킨 내주측면(4b)에 적의 간격을 두고 계합부(9)를 형성함과 동시에 저면(4a)의 중앙부에 스템(105)을 가스분출공(6)에 삽입하기 쉽도록 2단상의 단차요부(凹部)(10)를 형성하고, 그 단차요부(10)의 중심부에 전기 가스분출공(6)을 관통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계합부(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측면(4b)에 저변부를 남기고 잘라낸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결부(9a)를 형성하고, 그 절결부(9a)내에 저면 (4a)으로부터 기립하여 상단부 내측에 계지돌기(9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상의 돌편(9c)을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하고, 돌편(9c)이 수평방향(내외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100)의 비드부(103)의 크기가 다소 달라도 계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스분출공(6)은 스템(105)을 삽입가능하고, 그 스템(105)의 선단부를 공(孔) 중간부에서 계지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스템(105)을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지고, 캡 내외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함과 동시에, 공 내주면에 공의 동축(同軸)방향으로 연장한 계지리브(11)를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그 계지리브(11)는 공의 선단방향(캡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공내를 향하여(중심축을 향하여) 돌출한 경사돌기조로 하고, 스템(105)의 선단부가 계지리브(11)에 계지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가스분출공은 스템(105)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고, 공내에서 계지가능하다면 공 자체를 끝이 가는 수렴상으로 형성하거나 또한 공의 중간부에 단차부를 두어 그 단차부에 스템 선단부를 계합시키도록 형성하는 등 임의로 형성가능하다.
방향전환부(7)는 전기 가스분출공(6)의 축방향을 차단하도록 캡 내측부위에 브릿지상으로 형성하고, 양 측방을 그대로 개구하여 여기를 가스분출구(7a)로 하고 있다. 배출가스는 이 방향전환부(7)에 이르러 직선적으로는 방출되지 않고, 대부분의 가스가 방향전환되어 가스분출구(7a)에서 분출하여 캡 주측면(3)의 내면으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절단예비선(5)은 캡 윗면(2) 내에서 감합요부(4)의 윗테두리를 따라 이들의 바로 외측을 둘러쌓도록 미싱금을 내어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미싱금, 즉 단속적인 절단금을 만들어 형성하고 있지만, 분리하기 쉬운 구조이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얇은 두께부를 만들어 형성하거나 착탈가능한 감합구조를 설치하여 형성하는 등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미싱금에 의하여 절단예비선(5)을 형성하는 경우, 그 단속부(斷續部)를 필름상의 얇은 두께부로 하여 완전히 절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면 미싱금을 따라 용이하게 분리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단예비선(5)에서 가스 또는 액체가 새는 일이 없으므로 캡 내부의 가스 등이 절단예비선(5)을 통하여 분출하는 것 또는 가스제거구(1)를 반대로 하면 캡내에 배출액 등을 모으는 것도 가능하다.
가스제거필 표시(8)는 본 실시예에서는 감합요부(4)의 저면부(4a)의 캡 내면에, 가스분출공(6)을 둘러쌓도록 "가스제거필" 문자를 인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가스제거필 표시는 이러한 취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타의 전달수단도 채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필"이라는 1 문자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문자 이외의 특정의 형태 또는 모양을 인쇄하거나 각인 또는 그 형태로 조형하여 붙일 수도 있다.
전기 구성의 가스제거구(1)는 통상은 도 2와 같이, 돌기부(3a)를 용기의 권체부(101)에 계합시켜 에아졸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스를 제거하고 싶은 때에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제거구(1)를 엎어 놓은 상태로 하여 그 가스제거구(1)의 감합요부(4)내에 용기의 비드부(103)와 에아졸발브(111)를 삽입하고, 스템(105)을 가스분출공(6)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장착캡(104)의 외주면을 계합부(9)에 계합시킨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분출공(6) 내에서 스템(105)은 계지리브(11)에 의하여 계지되어 압압상태로 되고 에아졸가스를 분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아졸용기 (100)에 대하여 가스제거구(1)를 장착함으로써 손을 뗀 상태에서도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에아졸용기(100)를 폐기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스제거를 완료시킨 후,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요부(4)에 장착캡(104)의 외주면을 갑합시킨 채로 경도시키는 등 하여 절단예비선(5)을 따라 그 내부(즉 분리체(B))를 가스제거구 본체(A)에서 분리하여 도 5c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체(B)(절단예비선(5)의 내부) 만이 에아졸용기(100)에 장착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분리체(B)를 에아졸용기(10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분리체(B)는 감합요부(4), 가스분출공(6) 및 가스제거필 표시(8)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스제거필 표시(8)가 외측면에 위치하여 누구라도 일견하여 이 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합요부(4)와 장착캡(104)의 외주면과의 감합상태는 유지되고 스템 (105)은 압압상태, 즉 용기 내부와 외부가 개통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스제거구에 의하면, 용기의 에아졸캡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 에아졸용기의 상부를 감착하는 것만으로 가스를 제거할 수 있고, 더욱 가스제거후는 적어도 분리체(B)의 에아졸용기에 대한 감착(장착)을 유지시켜 두는 것만으로 누구라도 일견하여 알도록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템(105)을 압압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에아졸용기를 폐기할 수 있다. 가스제거 왼료이면 폭발의 위험 등은 없고 일응 안전하지만, 스템(105)을 압압상태로 하여 용기 내외가 개통한 상태에서 폐기하면 보다 일층 안전한 것은 확실하다. 더욱 스템(105)이 압압상태로 유지되어 용기 내외가 개통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물론 누구라도 자신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일층 안심하고 에아졸용기의 회수 등을 할 수 있다.
다시, 가스제거구 본체(A)에서 분리체(B)를 분리하여, 이 분리체(B)만을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로 폐기함으로써 가스제거구 전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한 상태로 폐기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표시체를 보다 작게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회수 및 보관시 부피가 커지지 않아 매우 편리하게 된다.
전기 가스제거구(1)에서, 분리체(B)만을 에아졸용기(100)와 동계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분리체(B)를 금속제, 바람직하게는 경금속제,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스틸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스틸로 분리체(B)를 성형하여 두고, 이 스틸제 분리체(B)를 플라스틱 사출성형 금형내에 끼워넣어 두고, 여기에 플라스틱을 사출하고 플라스틱제 가스제거구 본체(A)와 스틸제 분리체(B)를 일체로 성형하고, 그 후 스틸제 분리체(B)를 따라 플라스틱제 가스제거구 본체(A)측에 절단예비선(5)을 넣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틸제 분리체(B)를 잘라낼 때 분리체(B)의 주위에 약간의 플라스틱이 부착하는 일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제거를 완료시킨 후에 분리체(B)를 분리하는 외, 도 7a,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요부(4)에 장착캡(104)의 외주면을 갑함시킨 때, 또는 그 후 즉, 가스제거중에 에아졸용기(100)를 캡 내측으로 압입하여 분리체(B)를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분리하고 캡 내부에서 가스를 분사시킬 수도 있다.
다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예비선(5)을 원주상으로 형성하고, 이 경우에 분리체(B)를 가스제거중에 캡 내측으로 압입하여 분리하면 가스 분사중의 에아졸용기(100)가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빠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절단예비선(5)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삼각상, 또는 사각상, 파상, 타원상 등의 비원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절단예비선(5)을 따라 분단하고 분리체(B)를 가스제거구 본체(A) 내측으로 압입한 후, 적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가스제거구 본체(A)의 절단테두리와 분리체(B)의 절단테두리가 계합하여 분리체(B)가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스제거구의 형상은 전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아졸용기에 장착하면 그 에아졸용기를 분사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제거구이라면 임의의 형상의 것이 채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가스제거구(1)의 감합요부(4)의 윗테두리부에 계합부(15)(계지조(爪)의 방향이 도 1의 것과는 상하 반대)를 설치하고, 감합요부(4)의 저면부(4a) 중앙부에 캡 외측으로 돌출한 삽입부(16)를 형성하여 그 삽입부(16)내를 가스분출공(6)으로 하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발브(111)에 스템(114)이 돌출하지 않은 에아졸용기(110)에 대하여 그 장착캡(112)에 계합부(15)를 계합시키면, 삽입부 (16)가 에아졸발브(111)의 스템내 통로(113)내에 삽입하여 내부의 스템(114)을 압압상태로 하여 가스분출상태로 하는 형상의 것이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가스제거구(1)에서의 캡 윗면(2)에서 에아졸발브의 장착캡에 형성된 요함(凹陷)부내에 감입가능한 돌출부(17)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17)의 윗테두리부를 따라 계합부(9)를 적의 간격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돌출부(17)의 상면(17a)의 중앙부에 가스분출공(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 등도 채용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캡으로서의 가능을 가지지 않는 가스제거구와 같은 형상의 것도 물론 채용가능하다. 즉, 도 11a, 11b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21)는, 윗면(22)과 주측면(23)에 의하여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을 형성하고, 윗면(22)내에 장착캡과 감합할 수 있는 감합요부(24)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감합요부(24)를 둘러싸서 절단예비선(25)을 형성하고, 다시 감합요부(24)의 저면부 (24a)의 중앙부위에 가스분출공(26)을 형성하고, 통 내측에는 분출공(26)의 축방향을 차단하도록 방향전환부(27)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기 감합요부(24)의 저면부 (24a)의 캡 내측에 가스제거필 표시(28)를 부착하여 형성하고 있다. 감합요부(24)는 환상입설벽부(24b)를 형성함과 동시에 여기에 적의 간격을 두고 노치(24c)를 넣어 내외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하고, 다시 환상입설벽부(24b)의 외측주면에 주면방향으로 돌조부(24d)를 만들어 형성하고 있다.
가스제거필 표시(28)를 붙이는 장소는 에아졸용기 장착시에 외측면, 즉 사람이 눈에 보이는 면을 선택하면 되고, 통상은 전기 가스제거구(21)와 같이 장착시에 상면으로 되는 면에 표시하는 것이 좋지만 형상이나 용기의 종류에 따라 적의 장소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감함요부(24)의 주측의 내측면에 붙이거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의 주측면에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절단예비선(25)을 형성하는 위치는 가스제거필 표시가 된 부분을 둘러싸는 위치이면 가스제거구 또는 용기의 형상, 용기의 종류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어 윗면의 주측, 감합요부의 저면이나 주측면, 돌출부의 주측면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31)는 전기 가스제거구(1)와 같이 가스제거중 또는 가스제거후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가스제거구의 일부(분리체 (B))를 잘라내는 구성의 것이 아니고, 가스제거구 전체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그 장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템을 압압상태로 함과 동시에 가스제거필을 표시하는 구성의 가스제거표시 부착 가스제거구이다.
즉, 가스제거구(31)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윗면(32)과 주측면(33)에 의하여 장착캡(104)의 외경과 대략 동경을 가지는 바닥을 가지는 편평통 형상을 형성하고, 윗면(32) 내에는 그 중앙부에 가스분출공(36)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가스분출공(36)을 둘러쌓도록 가스제거필 표시(38a)를 부착하고, 주측면(33)에는 적의 간격을 두고 계합부(39, 39)를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이들 계합부(39, 39) 사이에 가스제거필 표시(38b)를 부착하여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전기 가스분출공(36)은 바닥을 가지는 편평통형 내측에서 스템(105)을 삽입가능하고 그 스템(105) 선단부를 공 중간부에서 계지할 수 있도록 공 자체가 바닥을 가지는 편평통형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수렴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계합부(39)는 도 12a∼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측면(33)에 상변부를 남기고 잘라낸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결부(39a)를 형성하고, 그 절결부(39a)내에 윗면 (32)으로부터 늘어뜨리고, 하단부 내측에 계지돌기(39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수직상의 돌편(39c)을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하고, 돌편(39c)이 내외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스제거필 표시(38a, 38b)는 전기 가스제거필 표시(8)와 동일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전기 구성의 가스제거구(3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을 가지는 편평통형 내측에서 스템(105)을 가스분출공(36)내에 삽입하고, 장착캡(104)의 외주를 계합부(39)의 계지돌기(39b)에 계합시킴으로써 가스분출공(36)내에서 스템(105)의 선단부가 계지되고 압압상태로 되어 가스분출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에아졸용기(100)의 가스를 제거한 후, 가스제거구(31)를 계합장착시킨 상태 그대로 에아졸용기(100)를 폐기하면 가스제거필 표시(38a, 38b)에 의하여 누구라도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100)인 것을 일견하여 알게 할 수 있다. 더욱 에아졸용기(100)는 용기 내외가 개통한 상태로 유지되어 보다 일층 안전하고, 그 상태 즉 스템(105)이 압압상태로 유지되고 용기 내외가 개통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물론 누구라도 스스로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가스제거구(31)를 금속제, 바람직하게는 경금속제,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스틸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스제거구(31)를 계합장착시킨 상태 그대로 에아졸용기(100)를 폐기하여도 분리회수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4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41)는 가스제거필 표시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가스제거구로 가스제거필 표시(55)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제거필 표시체(51)를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가스제거구(41)는 윗면(42a)과 주측면(42b)에 의하여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을 형성하고, 윗면(42a)내에 바닥을 가지는 통형 내측에 凹상으로 함몰한 요함부 (43)를 형성하고, 그 요함부(43)내에 감합요부(44)를 입설하고, 요함부(43)내의 감합요부(44)의 외측을 환상구부(溝部)(45)로 하고, 감합요부(44)의 저면부(44a)의 중앙부위에는 가스분사공(46)을 형성하고, 그 가스분사공(46)의 통내측 부위의 축방향을 차단하도록 방향전환부(47)를 만들어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전기 감합요부(44), 가스분사공(46) 및 방향전환부(47)는 전술한 가스제거구(21)의 감합요부(24), 분사공(26) 및 방향전환부(27)와 마찬가지로 형성하여 두고, 실시예 4에서 설명하는 에아졸용기(200)의 스템(205)을 가스분사공(46)내에 삽입하고, 장착캡(203)을 외측에서 감합요부(44)에 감착시키면 스템(205)의 선단부가 가스분사공(46)내에 계지되어 압압상태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가스제거필 표시체(51)는 가요성 또는 변형성을 가지는 적의의 판두께를 가지는 시트체로 형성하고 있고, 환상구부(45)내에 삽입가능한 환상판부(52)를 형성하고, 그 환상판부(52)의 외측 테두리를 약간 폭 기립시켜 계지연부(53)을 형성하는 한편, 환상판부(52)의 내측 테두리를 기립시켜 요함부(44)의 환상입설벽부 (44b)의 외측면을 따라 일어서 있고 또한 환상입설벽부(44b)의 상단부를 피복하는 계합벽부(54)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상판부(52)의 외측면(52a)(계합벽부(54)가 기립한 측과 반대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55)를 붙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스제거필 표시체(51)의 재질은 전기와 같이 가요성 또는 변형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임의이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골판지, 후판지, 합성지 등의 종이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가능하다. 가스제거필 표시체(51)를 에아졸용기(200)와 동계 재질, 즉 금속제 바람직하게는 경금속제,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스틸제로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가스제거필 표시체(51)를 장착시킨 상태 그대로 에아졸용기(200)를 폐기하여도 분리회수에 대응할 수 있다.
가스를 제거할 때에는, 미리 가스제거필 표시체(51)를 가스제거구(41)의 환상구부(45)내에 장착, 바람직하게는 간단하게는 벗어지지 않지만 이탈가능하게 감착시켜 둔다. 그리고 그 상태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용기(200)의 스템(205)을 분사공(46)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장착캡(203)을 감합요부(44)의 환상입설벽부(44b)에 외측으로부터 감착시켜 스템(205)을 압압상태로 하여 가스를 제거한다. 이때 장착캡(203)과 환상입설벽부(44b)의 사이에 가스제거필 표시체(51)의 계합벽부(54)가 끼이고, 계합벽부(54)는 환상입설벽부(44b)의 돌조부(44d)의 요철(凹凸)을 따라 변형하고, 계합벽부(54) 자체가 환상입설벽부(44b)의 돌조부(44d)에 계합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가스제거후 가스제거구(41)를 에아졸용기(200)와의 계합장착에서 이탈시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제거필 표시체(51)만을 에아졸용기(200)에 계착한 상태로 남길 수 있고, 이 가스제거필 표시체(51)의 가스제거필 표시(55)에 의하여 가스제거 완료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및 가스제거필 표시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가스제거필 표시체(51)를 준비함으로써 반복하여 가스제거및 가스제거필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가스제거필 표시체(51)에 에아졸용기 장착시에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계합부와 가스분출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다음에 도 17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61)는, 전기 가스제거구(1)의 변형례로서 통상상태에서는 에아졸용기(200)의 캡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에아졸용기(200)에 대하여 상하 반대의 방향으로 사용함으로써 가스제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스제거구이다. 전기 가스제거구(1)와 비교하면 감합요부(4)의 구조, 가스제거필 표시(8)의 유무, 절단예비선(5)의 배설위치에 있어서 다르다.
여기서 에아졸용기(200)는 용기의 동체 윗테두리에 권체부(201)를 형성하고, 그 권체부에서 상방팽출부(202)를 형성하고, 그 팽출부(202)의 상면부에 비드부(도시않함)을 형성하고 있다. 이 비드부의 윗둘레를 덮도록 에아졸발브(204)의 장착캡(203)을 재치하고 크림핑함으로써 부착하고, 그 중앙부에 봉상의 스템(205)을 돌설하고, 그 스템(205)이 내측으로 압압되면 내부의 에아졸가스가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스제거구(61)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캡 윗면(62)과 캡 주측면(63)에 의하여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을 형성하고, 윗면(62)내에 바닥을 가지는 통형 내측으로 凹상으로 함몰한 요함부(64)를 형성하고, 그 요함부 (64)의 바닥테두리, 즉 요함부(64)의 내주벽면(64b)의 기립테두리를 따라 그 요함부(64)의 저면(64a)내에 절단예비선(65)을 형성함과 동시에 요함부(64)내에 감합요부(66)를 형성하고, 요함부(64)내의 감합요부(66)의 외측을 환상구부로 하고 있다. 한편 감합요부(66)의 내측의 저면부(66a)의 중앙부위에 가스분출공 (67)을 형성하고, 절단예비선(65)을 따라 분단함으로써 가스제거구 본체(61A)로부터 적어도 감합요부(66), 가스분출공(67)을 가지는 분리체(61B)를 잘라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스분출공(67)은 캡 내측의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가스분출공(67)의 선단구에는 축방향을 차단하도록 방향전환부(68)를 형성하고 있다.
감합요부(66)는 요함부(64)의 저면(64a)내에 환상기립벽부(66d)를 입설하고, 그 환상기립벽부(66d)의 적의 개소에 노치(66b)를 만들어 노치(66b, 66b)간의 기립벽부를 내외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환상기립벽부(66d)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계합돌조부(66c)를 형성하고,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발브의 장착캡(203)의 내주면에 환상기립벽부(66d)를 압입하면 계합돌조부(66c)와 장착캡(203)의 내주면이 탄성계합함과 동시에 스템(205)의 선단부가 가스분출공 (67)내에 침입하고 계지되어 스템(205)이 압압상태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가스제거구(61)는 전기 가스제거구(1)과 마찬가지로 에아졸캡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가스를 제거하고 싶은 때에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제거구(61)를 엎어 놓은 상태로 하고, 에아졸용기(200)를 반대 방향으로 하여 그 비드부와 장착캡(203)의 합치는 부분을 요함부(64)내에 삽입하면, 계합돌조부(66c)와 장착캡(203)의 내주면이 탄성계합함과 동시에 가스분출공(56) 내에서 스템(205)은 계지되고 압압상태로 되어 에아졸가스 분출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에아졸용기(200)에 대하여 가스제거구(61)를 장착함으로써 손을 뗀 상태에서도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스를 제거한 에아졸용기(200)를 폐기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스제거를 완료시킨 후,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아졸용기 (200)를 다시 하측으로 압입함으로써 절단예비선(65)을 따라 그 내부의 분리체 (61B)를 가스제거구 본체(61B)에서 분리하고,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체 (61B)와 함께 에아졸용기(200)를 가스제거구 본체(61A)로부터 빼내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체(61B)만이 에아졸용기(200)에 장착한 상태로 하여 그대로 폐기하면 된다.
이 가스제거구(61)는 전기 가스제거구(1)와 같이 가스제거필 표시(8)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분리체(61B)가 부착하고 있는 것을 보면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더욱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에아졸용기를 폐기할 수 있고, 용기 내외가 연통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청소업자나 폐품회수업자는 물론 누구라도 스스로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일층 안심하고 에아졸용기의 회수 등을 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0 ∼도 22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71)는 전기 가스제거구(61)의 변형례로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가스제거구(61)의 구성에 더하여 절단예비선(65)의 내측을 따라 벽부(72)를 입설함과 동시에 캡내의 가스분출공(67)의 선단구, 즉 가스분출구(67a) 및 방향전환부(68)를 둘러싸서 차폐벽(73)을 입설하고 있다.
벽부(72)는 절단예비선(65)의 내측에 접하여, 다시 말해서 요함부(64)의 아래테두리, 즉 그 요함부(64)의 내주벽면(64b)의 기립테두리를 따라 환상으로 기립하고, 또한 그 높이는 적어도 캡 윗면(62)보다도 높게 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절단예비선(65)은 그 벽부(72)의 기립테두리부를 따라 형성하고 있고, 절단예비선(65)을 따라 분단함으로써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제거구 본체(71A)로부터 적어도 벽부(72), 감합요부(66) 및 가스분출공(67)을 가지는 분리체(71B)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벽부(72)를 만들면, 가스제거 완료후에 분리체(71B)와 함께 에아졸용기(200)를 가스제거구 본체(71A)로부터 빼낼 때에 분리체(71B)가 에아졸용기 (20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벽부(72)가 없으면 분리체(71B)와 함께 에아졸용기(200)를 뽑아낼 때, 분리체(71B)와 장착캡(203)과의 사이의 간격(H)에 가스제거구 본체(71A)의 잘라내고 남은 테두리부(74)가 침입하여 걸리고, 분리체(71B)가 에아졸용기(200)로부터 이탈하여 버릴 수 있지만, 벽부(72)를 형성하여 두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72)가 잘라내고 남은 테두리부(74)의 침입을 저지하여 분리체(71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폐벽(73)은 캡 내측에 돌출한 가스분출공(67)을 환상으로 둘러싸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제거구(71)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그 개구테두리부 (73a)가 적어도 가스분출구(67a) 및 방향전환부(68)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이들을 감싸도록 요함부(64)의 저면(64a)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폐벽(73)을 형성하면, 가스분출구(67a)로부터 분출하는 가스 또는 내용물도, 방향전환부(68)에 이르러 분출하는 가스 또는 내용물도 차폐벽(73a)의 내면에 이르러 직선적으로는 방출하지 않게 되므로 가스제거 작업중에 잘못하여 에아졸용기(200)를 가스제거구 본체(71A)의 잘라내고 남은 테두리부(74)에 둘러싸인 개구부에서 빼내버려도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또는 내용물이 기세좋게 외측으로 방산하는 일이 없고, 사람의 얼굴 등에 직접 가스 또는 내용물이 닿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일단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스제거구(71)에 전기 가스제거구(1)과 같이 가스제거필 표시(8)를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24∼도 32에 나타내는 가스제거구(81)는 에아졸용기(100)의 캡으로서도, 상하 반대방향으로 하여 에아졸용기(100)용 가스제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스제거필 표시부착 에아졸캡 겸용 가스제거구이다.
가스제거구(81)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윗면(82)과 캡 주측면(83)에 의하여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을 형성하고, 캡 윗면(82)내에는 에아졸용기(100)의 상부를 감합할 수 있는 감합요부(84)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감합요부(84)를 둘러싸서 절단예비선(85)을 형성하고 있다.
전기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 및 감합요부(84)는 전기의 가스제거구(1)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있다. 절단예비선(85)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요부 (84)의 윗테두리의 외측을 둘러쌓도록 전주(全周)에 걸쳐 필름상의 얇은 두께부 (85a)로 함과 동시에, 그 얇은 두께부(85a) 내에 적의 간격을 두고 두꺼운 두께부(85b)를 만들어 형성하고 있다. 이 절단예비선(85)을 따라 분단함으로써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절단예비선(85)의 내측부(분리체(B))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전주에 걸쳐 얇은 두께부(85a)로 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분리체(B)를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다. 더욱 얇은 두께부(85a)만이면 에아졸용기(100)에 장착한 때에 그 부분이 연신하여 분리시키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에 대하여, 적의 간격을 두고 두꺼운 두께부(85b)를 형성함으로서 일층 분리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감합요부(84)의 저면내에는 캡 윗면(82)과 대략 같은 높이까지 돌출한 원환상의 돌출부(86)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86)의 환내부에 캡 내측으로 돌입한 원통부(87)를 형성하고, 그 원통부(87)내에 스템삽입부(88)를 형성하고 있다.
스템삽입부(88)는 도 26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87)내의 축방향 중간부 부근에서 적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된 2개의 선상 또는 가는 판상의 아암부(88a, 88a)를 원통 내주면의 사방에서 각각 원 중심방향으로 뻗어 나오게 하고, 중앙부 부근에서 인접하는 다른 1쌍의 일방의 아암부(88a)와 결합시킴과 동시에 축방향 캡 내측으로 절곡시키고, 이들 절곡부(88b, 88b)에 의하여 스템 (105)의 선단부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큰 지름의 축공부(88c)를 형성하고, 다시 그 축공부(88c)의 선단부에는 축방향을 차단하도록 저면부(88d)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스템삽입부(88)는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으므로 축공부(88c)내에 스템(105)의 선단부를 삽입하면, 축공부(88c)의 축방향 중간부 또는 저면부(88d)에서 계지되어 스템(105)이 압압상태로 된다. 이때 각 아암부(88a)는 선상 또는 가는 판상이므로 약간 연신할 수 있고, 저면부(88d)도 약간 휠 수 있으므로 용기에 따라 스템 (105)의 길이가 달라도 아암부(88a)의 연신 및 저면부(88d)의 휨에 의하여 이 길이의 다름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스템(105)의 선단에서 분출한 가스 또는 내용물은 저면부(88d)에 이르러 또는 이르지 않고, 서로 인접한 절곡부(88b, 88b)사이의 간극에서 횡방향으로 분출하여 스템삽입부(88)의 축방향으로는 분출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캡 내측에는 감합요부(84)의 저면에 전기 가스제거필 표시(8)와 동일한 가스제거필 표시(89)를 붙이고, 또한 그 감합요부(84)가 캡 윗면(82)으로부터 기립한 부위에 원주방향으로 적의 간격을 두고 삼각판상의 리브(90)를 형성하고 있다.
가스제거구(81)는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있으므로 통상은 에아졸캡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가스를 제거하고 싶은 때에는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제거구(81)를 엎어놓은 상태로 하고, 그 가스제거구(81)의 감합요부(84)내에 비드부(103)와 장착캡(104)의 합체부를 삽입하고, 스템(105)을 스템삽입부 (88)에 삽임함과 동시에 장착캡(104)의 외주면을 감합요부(104)의 계합부(84a)에 계합시킨다. 그러면 스템(105)의 선단부는 스템삽입부(88)의 축방향 중간부 또는 저면부 (88d)에서 계지되고 압압상태로 되어 내용물이 분출하게 된다. 이때 분출한 가스 또는 내용물은 저면부(88d)에 이르든가 또는 이르지 않고 인접하는 절곡부 (88b, 88b) 사이의 간극에서 횡방향으로 분출하고 원통부(87)의 내주면에 이른다. 따라서 그 원통부(87)는 전기 차폐벽(73)과 동등의 기능과 효과를 발휘한다.
에아졸용기(100)를 폐기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스제거를 완료시킨 후,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요부(84)에 장착캡(104)의 외주면을 감합시킨 채로 경도시키는 등 하여 절단예비선(85)을 따라 그 내부(즉 분리체(B))를 가스제거구 본체(A)로부터 분리하고,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체(B)만이 에아졸용기(100)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로 한다. 이때 분리체(B)는 감합요부, 스템삽입부 및 가스제거필 표시(89)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스제거필 표시(89)가 외측면에 위치하여 누구라도 일견하여 그 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합요부와 장착캡 외주면과의 감합상태는 유지되고 스템은 압압상태, 즉 용기 내부와 외부가 개통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전기 가스제거구(81)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절단예비선(85)을 형성함으로써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체 (B)의 테두리부에 손잡이편(片)(91)을 형성하고, 그 손잡이편(91)을 잡고 끌어당김으로써 잘못하여 가스제거 조작을 한 때에도 용이하게 분리체(B)를 에아졸용기 (100)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구라도 일견하여 가스제거 완료인 것을 판별할 수 있다.

Claims (16)

  1. 에아졸용기의 스템이 압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를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그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의 외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가스제거구의 일부는 가스 제거중 또는 가스 제거후에 가스제거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가스제거구 또는 그 일부는 에아졸용기와 동계 재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4.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표시체를 가스제거 완료의 에아졸용기에 계합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5. 외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하여 가스를 제거하고, 가스제거 완료후에도 그 가스제거구의 장착을 유지함으로써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6. 외측면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에 장착하고,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하여 가스를 제거하고, 가스 제거중 또는 가스제거 완료후,가스제거구의 일부를 분리함과 동시에 남겨진 가스제거구의 일부의 장착을 유지함으로써 그 남겨진 가스제거구의 일부의 외측면의 표시에 의하여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가스제거 완료후 가스제거구 또는 가스제거구의 일부를 에아졸용기에 장착시켜 둠으로써,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8.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표시체를 가스제거구에 이탈가능하게 장착하여 두고, 그 가스제거구를 사용하여 에아졸용기의 가스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표시체를 에아졸용기에 계착시키고, 가스제거 완료후 가스제거구를 에아졸용기로부터 이탈시키고, 에아졸용기에 계착한 전기 표시체에 의하여 가스제거 완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방법.
  9. 에아졸용기에 장착하면 그 에아졸용기를 분사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제거구로서, 에아졸용기 장착시에 외측면으로 되는 부분에 가스제거필 표시를 하여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0. 제9항에 있어서,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부분을 가스제거구 전체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부분은 에아졸용기 장착시에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계합부와 가스분출공을 가지고 있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2.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전기 가스제거필 표시를 가지는 부분을 에아졸용기와 동계 재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3. 에아졸용기 계합시에 스템을 압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계합부와 가스분출공을 가지고, 에아졸용기에 장착하면 그 에아졸용기를 분사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가스제거구에서, 전기 계합부를 둘러싸서 절단예비선을 형성하고, 적어도 그 계합부를 가지는 부분을 가스제거구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전기 절단예비선은 계합부를 둘러싸는 전주에 걸쳐 얇은두께부를 형성하고, 그 얇은 두께부 내의 원주방향으로 적의 간격을 두고 두꺼운 두께부를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전기 절단예비선의 내측을 따라 벽부를 입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가스분출구를 둘러싸고 차폐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구.
KR1020017002883A 1999-07-08 2000-05-30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및 가스제거구 KR100664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94803 1999-07-08
JP19480399 1999-07-08
JP29269299 1999-10-14
JP1999-292692 1999-10-14
JP2000058809A JP4472827B2 (ja) 1999-07-08 2000-03-03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済表示構造、ガス抜き済表示方法、並びに、ガス抜き具
JP2000-58809 2000-03-03
PCT/JP2000/003464 WO2001004021A1 (fr) 1999-07-08 2000-05-30 Indicateur de degazage pour bombe d'aerosol, procede associe et dispositif de degaz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965A true KR20010074965A (ko) 2001-08-09
KR100664356B1 KR100664356B1 (ko) 2007-01-02

Family

ID=2732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883A KR100664356B1 (ko) 1999-07-08 2000-05-30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및 가스제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82473B1 (ko)
EP (1) EP1147997B1 (ko)
JP (1) JP4472827B2 (ko)
KR (1) KR100664356B1 (ko)
CN (2) CN1284708C (ko)
AU (1) AU772835B2 (ko)
DE (1) DE60044637D1 (ko)
WO (1) WO2001004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5797D0 (en) * 2004-07-15 2004-08-18 Reckitt Benckiser Uk Lt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8001402A (ja) * 2006-06-23 2008-01-10 Mitani Valve Co Ltd 連続作動モード設定用治具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US20080210231A1 (en) * 2007-01-31 2008-09-04 Abbott Laboratories Metered dose inhaler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JP5057154B2 (ja) * 2007-12-17 2012-10-24 東洋製罐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機能付キャップ
JP6190233B2 (ja) * 2013-10-01 2017-08-30 フマキラー株式会社 動物忌避装置
US9840362B2 (en) * 2015-07-31 2017-12-12 Dae Ryuk Can Co., Ltd. Cap for gas vessel having separable gas exhaust unit
US9944454B2 (en) * 2015-08-28 2018-04-17 Gregory A. Haage Spray control device for aerosol ca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025A (en) 1979-06-21 1984-01-17 Seaquist Valve Co. Continuous spray overcap
US4277004A (en) * 1979-10-15 1981-07-07 Barlics John J Cover and aerosol activator for aerosol spray can
GB8305816D0 (en) 1983-03-02 1983-04-07 Ici Plc Containers
JPH05129469A (ja) * 1991-10-31 1993-05-25 Nec Corp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JPH05139469A (ja) 1991-11-19 1993-06-08 Yasutaka Ema ガス抜き用具付きスプレー缶
JP2729163B2 (ja) 1995-03-31 1998-03-18 株式会社大阪造船所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具、ガス抜き装置及びガス抜き兼用エアゾールキャップ
JP2947464B2 (ja) 1996-08-07 1999-09-13 株式会社大阪造船所 ガス抜き構造を備えた蓋
CN1102526C (zh) 1997-01-21 2003-03-05 旭涂料股份有限公司 一种喷雾罐的帽盖,带此种帽盖的喷雾罐以及排放喷雾罐内残留液体和气体的方法
JP2941761B2 (ja) 1997-01-21 1999-08-30 株式会社アサヒペン スプレー缶用蓋及びこの蓋を有するスプレー缶並びにスプレー缶の残留液及びガス抜き方法
JP3970994B2 (ja) 1997-10-13 2007-09-05 株式会社ダイゾー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具及びガス抜き構造を備えた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2835B2 (en) 2004-05-06
EP1147997B1 (en) 2010-07-07
CN1284708C (zh) 2006-11-15
JP4472827B2 (ja) 2010-06-02
DE60044637D1 (de) 2010-08-19
EP1147997A4 (en) 2006-09-06
KR100664356B1 (ko) 2007-01-02
CN1171764C (zh) 2004-10-20
CN1548346A (zh) 2004-11-24
WO2001004021A1 (fr) 2001-01-18
CN1316967A (zh) 2001-10-10
US6382473B1 (en) 2002-05-07
JP2001180773A (ja) 2001-07-03
EP1147997A1 (en) 2001-10-24
AU4783200A (en) 2001-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999B1 (ko) 리필 용기
US4607759A (en) Sealing cap having frangible means
KR100664356B1 (ko) 에아졸용기의 가스제거필 표시구조, 가스제거필 표시방법및 가스제거구
US4154369A (en) Non-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US11731829B2 (en) Paint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031158A (ja) エアゾール製品
JP3970994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具及びガス抜き構造を備えた蓋
JP2001055284A (ja) エアゾール容器用残留ガス除去用蓋装置
JP4195482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具、及びガス抜き具を備えたキャップ
JPH08324661A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具、ガス抜き装置、兼用キャップ、及びガス抜き方法
JP2003012062A (ja) エアゾール容器
JP4864628B2 (ja) ポンプ付き容器
JP5213617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4237360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装置、ガス抜き具及びガス抜き台
JP4937733B2 (ja) 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KR102593995B1 (ko) 시약용기 및 이를 구비한 시약용기 조립체
JP4878816B2 (ja) 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それに用いる中身排出具
JP2002255263A (ja) エアゾール式液体噴出容器
JP2000203668A (ja) バルブ取り付け構造
KR200191086Y1 (ko) 생수통 마개
KR101619992B1 (ko) 라이터 가스용 용기의 캡에 구비되는 가스 배출장치
JPH0733868U (ja) 液体噴出ポンプ装着用容器
JP2001315861A (ja)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容器
KR101267574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JP3828194B2 (ja) エアゾー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