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574B1 -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574B1
KR101267574B1 KR1020050009769A KR20050009769A KR101267574B1 KR 101267574 B1 KR101267574 B1 KR 101267574B1 KR 1020050009769 A KR1020050009769 A KR 1020050009769A KR 20050009769 A KR20050009769 A KR 20050009769A KR 101267574 B1 KR101267574 B1 KR 10126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re
sealing member
pressing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788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0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574B1/ko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CN2005800423147A priority patent/CN101072717B/zh
Priority to PCT/KR2005/004188 priority patent/WO2006062357A1/en
Priority to BRPI0518611-0A priority patent/BRPI0518611A2/pt
Priority to NZ556383A priority patent/NZ556383A/en
Priority to US11/721,248 priority patent/US8820554B2/en
Priority to JP2007545377A priority patent/JP4767970B2/ja
Priority to AU2005312460A priority patent/AU2005312460B2/en
Priority to EP05821087A priority patent/EP1828002A4/en
Priority to TW094143229A priority patent/TWI274714B/zh
Priority to EA200701249A priority patent/EA010357B1/ru
Priority to CA2593022A priority patent/CA2593022C/en
Priority to EP11161545.6A priority patent/EP2363351B1/en
Priority to MX2007006801A priority patent/MX2007006801A/es
Priority to ARP050105173A priority patent/AR052651A1/es
Publication of KR2006008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788A/ko
Priority to AU2009201865A priority patent/AU20092018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걸림되고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어, 마개를 열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절단되어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용기마개와 그 용기 마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용기마개, 마개, 캡, 실링부재제거유닛, 실링부재

Description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STOPPER OF VESSEL AND MANUFACTURING SYSTEM OF THE STOPP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 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T-T 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용기입구
16 : 본체 18 : 실링부재 제거유닛
20 : 실링부재 40 : 누름판
42 : 커터 44 : 걸림부
46 : 연결부 50 : 지지부
52 : 제1커팅부 54: 제2커팅부
56 : 지지로드 58 : 걸림돌기
60: 펀치부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용기 마개와 그 용기마개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열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절단되어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용기마개와 그 용기 마개 제조방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유산균 음료와 같은 음류수 용기에는 용기입구(102)에 장착되어 용기(104)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무단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입구(102)에는 용기(10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밀봉하는 실링부재(114)가 부착되고, 그 실링부재(114)가 외부의 충격이나 물체간의 접촉에 의하여 무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마개(100)가 씌워진다.
상기 용기 마개(100)는 상측이 밀폐된 원통형태이고, 그 내주면에는 용기입구(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리브(108)에 걸리는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용기 마개(100)를 용기입구(102)에서 분리할 때 손으로 잡고 당기는 손잡이(1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기 마개(100)는 손잡이(112)를 잡고 당겨서 용기 마개(100)를 용기입구(102)에서 분리한 후 실링부재(114)를 용기입구(102)에서 제거하고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용기입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 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는 손으로 제거시 실링부재와 용기입구 테두리부의 접착력이 강하여 실링부재가 테두리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기 않게 됨에 따라 이를 다시 손으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마개를 돌 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돌려서 용기입구에서 제거된 실링부재가 마개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분리된 실링부재가 외부에 버려지는 것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기마개를 한번의 사출금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 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걸림되고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는 플라스틱 용융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되는 제1코어와, 상기 제1코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코어와의 사이에 용기마개를 성형하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제2코어와, 상기 제2코어의 중앙에 삽입되어 용기마개의 걸림돌기를 성형하는 제3코어와, 상기 제1코어와 제2코어 사이에 배치되어 성형된 용기마개를 분리시키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2)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6)와,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형성되어 용기 마개(2)를 용기입구(12)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1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20)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20)를 마개(2)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그 내부에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분말포함)의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는 용기입구(12)를 실링하 여 상기 용기(1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20)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20)는 종이재질 또는 알루미늄 박판재질 등 칼 등에 의해 제거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12)에는 상기 용기마개가 장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6)는 원통형태이고, 상기 본체(16)의 외주면에는 용기 마개(2)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 돌조(28)가 형성되고, 본체(16)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 입구(1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4)는 상기 본체(16)의 하단 내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띠 형태로 돌출되는 두 개의 돌기부(34a,34b)와, 상기 두 개의 돌기부(34a,34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0)에 걸림되어 용기 마개(2)가 용기 입구(12)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홈(34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6)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16)를 용기 입구(12)에서 분리할 때 손으로 잡고 당기는 손잡이(3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장착부(34)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본체(16)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용기입구(12)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체(16)를 잡고 돌리면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장착부(34)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용기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18)은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판(40)과, 상기 누름판(40)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40)을 누르면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20)를 커팅하는 커터(42)와, 상기 누름판(40)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4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20)를 본체(1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44)와, 상기 누름판(40)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40)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46)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40)은 상기 본체(1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의 상면 높이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6)의 상면에는 덮개(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누름판으로 보호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커터(4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40)의 하면 가장자리에 등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50)의 하단에 뾰쪽하게 형성되어 누름판(40)을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부(52)와, 상기 지지부(5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용기 입구(12)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실링부재(20)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팅부(5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50)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양쪽으로 뽀쪽하게 돌출되는 부위가 제2커팅부(54)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50)는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안쪽 즉, 본체(16)의 중앙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누름판(40)을 하방측으로 누를 때 상기 커터(42)가 용기입구(12)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커팅부(52)는 지지부(50)의 바깥면에서 안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터(42)가 하강할 때 상기 용기입구(12)에 커터(42)가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부(46)는 상기 본체(16)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40)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4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4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46)는 상기 누름판(40)의 현재 위치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준다. 즉, 누름판(40)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인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경우 연결부(46)는 볼록한 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누름판(40)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누름판(40)이 눌려진 위치를 유지해준다.
상기 걸림부(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40)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판(40)을 누르면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56)와, 상기 지지로드(56)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커터(4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20)가 본체(16)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20)가 걸림되는 걸림돌기(5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로드(56)는 상기 누름판(40)의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치부(6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8)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펀치부(60)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상기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20)의 안쪽면에 걸림된다.
이러한 걸림돌기(58)는 지지로드(56)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지지로드(56)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8)는 지지로드(56)의 외주면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먼저 누름판(40)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연결부(46)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4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누름판(40)의 하측면에 형성된 커터들(42)의 제1커팅부(52)가 실링부재(20)의 가장자리를 뚫고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걸림부(44)의 지지로드(56)가 실링부재(20)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걸림부(44)의 걸림돌기(58)는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때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지지로드(56)의 펀치부(60)가 뚫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8)가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원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펼쳐진 상태로 상기 실링부재(20)의 안쪽면에 위치된다.
그런 후, 본체(16)를 잡고 돌리면 상기 커터(42)가 용기 입구(12)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지지부(5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제2커팅부(54)가 상기 실링부재(20)를 원형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6)에 형성된 손잡이(36)를 잡고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32)에서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30)이 이탈되면서 용기 마개(2)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용기입구(12)에서 제거된 실링부재(20)는 걸림부(44)의 걸림돌기(58)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16)와 같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어 상기 본체(16) 내부에 수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D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는 용기마개를 사출성형하는 사출성형장치로서, 플라스틱 용융물이 주입되는 주입구(70)가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되는 제1코어(72)와, 상기 제1코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코어와의 사이에 용기마개를 성형하는 캐비티(74)가 형성되는 제2코어(76)와, 상기 제2코어의 중앙 에 삽입되어 용기마개(2)의 걸림돌기(58)를 성형하는 제3코어(78)와, 제1코어(72)와 제2코어(74) 사이에 배치되어 성형된 용기마개(2)를 분리시키는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8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코어(72)와 제2코어(76) 사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용기마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이 주입되는 캐비티(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코어(76)의 중앙에는 상기 용기마개(2)의 지지로드(56)가 성형되는 지지로드 성형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제3코어(78)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로드(8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58)를 성형하기 위한 걸림돌기 성형부(84)와, 상기 지지로드(56)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펀치부(60)가 성형되는 펀치 형성부(8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돌기(58)는 지지로드(56)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마개(2)를 성형한 후 코어에서 성형물을 빼내기 작업을 할 때 걸림돌기(58)가 걸림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3코어(78)에 걸림돌기 성형부(84)를 형성하여 제3코어(78)를 제2코어(76)에서 분리하면 성형된 걸림돌기(58)의 하측부위가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로드 성형부(82)를 통해 순간적으로 빼내면 상기 걸림돌기(58)가 하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지지로드 성형부(82)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의 제조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제1코어(72)에 형성된 주입구(70)를 통해 플라스틱 용융물을 제1코어(72)와 제2코어(76) 및 제3코어(78)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74)로 주입한다.
그리고, 용기마개(2)의 성형이 완료되면 먼저, 제1코어(72)를 상측방향으로 빼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코어(78)를 하측방향으로 제2코어(76)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8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코어(76)로부터 용기마개(2)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3코어(78)가 분리되면 걸림돌기(58)의 하측 부분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변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코어(76)의 지지로드 형성부(82)를 통해 빠져 나올때 순간적으로 휘면서 빠져 나오고 지지로드 성형부(82)에서 빠져 나온 후에는 탄성 변형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T-T 선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는 플라스틱 용융물이 주입되는 주입구(70)가 형성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제1코어(87)와, 상기 제1코어(87)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코어(87)와의 사이에 용기마개(2)를 형상의 캐비티(89)가 형성되는 제2코어(88)와, 상기 제2코어(88)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58)를 성형하는 제3코어(90)와, 상기 제1코어(87)와 제2코어(88)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코어(87)와 제2코어(88) 사이에서 제조된 용기마개(2)를 분리시키는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9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코어(88)에는 상기 제3코어(90)가 삽입되는 삽입홀(96)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2코어(88)의 관통홀(96)의 내측면과 상기 제3코어(90)의 측 면 사이에는 용기마개(2)의 지지로드(56)가 성형되는 지지로드 성형부(9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88)의 지지로드 성형부(92)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걸림돌기(58)가 형성되는 걸림돌기 성형부(94)가 형성된다.
상기 제3코어(90)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상측에 상기 지지로드(56)를 성형하는 지지로드 성형부(9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88)의 걸림돌기 성형부(94)에 그 외주면이 배치되어 걸림돌기(58)의 일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돌기(58)는 상기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3코어(90)에 의해 일측면이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로드(56)의 외주면에 휘어진 상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 제조장치의 제조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제1코어(87)에 형성된 주입구(70)를 통해 플라스틱 용융물을 제1코어(87)와 제2코어(88) 및 제3코어(90)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89)로 주입한다.
그리고, 용기마개(2)의 성형이 완료되면 먼저, 제1코어(87)를 상측방향으로 빼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코어(90)를 제2코어(88)에서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코어의 걸림돌기에 성형되어 있는 걸림돌기의 한쪽 측면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91)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코어(88)로부터 용기마개(2)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58)의 한쪽 측면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제2코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3코어가 빠져나간 빈 공간으로 약간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2코어의 걸림돌기 형성부에서 빠져나온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지지로드의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 내부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설치하여 마개를 개방하기 전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누름부를 누른 후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마개를 돌려서 용기입구에서 제거된 실링부재가 마개 내부의 수용부에 끼워져 보관되기 때문에 실링부재가 외부에 버려지는 것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4)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실링부재가 결합된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상기 실링부재를 원주방향을 따라서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커팅되는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갈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휘어진 후 다시 복원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태이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돌조가 형성되고,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높이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등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뽀쪽하게 형성되어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지지로드는 상기 누름판의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봉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로드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9. 플라스틱 용융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되는 제1코어와;
    상기 제1코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코어와의 사이에 용기마개를 성형하는 캐비티가 형성되는 제2코어와;
    상기 제2코어의 중앙에 삽입되어 용기마개의 걸림돌기를 성형하는 제3코어와;
    상기 제1코어와 제2코어 사이에 배치되어 성형된 용기마개를 분리시키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의 중앙에는 상기 용기마개의 지지로드가 성형되는 지지로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코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제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는 상기 제2코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원형 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상기 지지로드에서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성형하기 위한 걸림돌기 성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의 끝부분에는 상기 지지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는 펀치부가 성형되는 펀치 성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제조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는 상기 제3코어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2코어의 관통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3코어의 측면 사이에는 용기마개의 지지로드가 성형되는 지지로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의 지지로드 성형부에는 걸림돌기가 성형되는 걸림돌기 성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는 원형 봉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제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는 그 상측에 상기 지지로드를 성형하는 지지로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 외주면이 상기 제2코어의 걸림돌기 성형부에 밀착되어 걸림돌기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제조장치.
KR1020050009769A 2004-12-09 2005-02-02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KR10126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769A KR101267574B1 (ko) 2005-02-02 2005-02-02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EA200701249A EA010357B1 (ru) 2004-12-09 2005-12-07 Крышка ем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BRPI0518611-0A BRPI0518611A2 (pt) 2004-12-09 2005-12-07 tampa de recepiente e sistema para fabricaÇço da mesma
NZ556383A NZ556383A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721,248 US8820554B2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having a cutter and hook for removing and retaining a seal
JP2007545377A JP4767970B2 (ja) 2004-12-09 2005-12-07 容器蓋及びその製造装置(vesselcapandsystemformanufacturingthesame)
AU2005312460A AU2005312460B2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5821087A EP1828002A4 (en) 2004-12-09 2005-12-07 CONTAINER CAP AND SYSTEM FOR THEIR MANUFACTURE
CN2005800423147A CN101072717B (zh) 2004-12-09 2005-12-07 容器帽及其制备系统
PCT/KR2005/004188 WO2006062357A1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593022A CA2593022C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1161545.6A EP2363351B1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MX2007006801A MX2007006801A (es) 2004-12-09 2005-12-07 Tapa para recipiente y sistema para fabricar la misma.
TW094143229A TWI274714B (en) 2004-12-09 2005-12-07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P050105173A AR052651A1 (es) 2004-12-09 2005-12-09 Tapa de recipiente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AU2009201865A AU2009201865B2 (en) 2004-12-09 2009-05-12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769A KR101267574B1 (ko) 2005-02-02 2005-02-02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684A Division KR20120121379A (ko) 2012-10-02 2012-10-02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788A KR20060088788A (ko) 2006-08-07
KR101267574B1 true KR101267574B1 (ko) 2013-05-23

Family

ID=3717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769A KR101267574B1 (ko) 2004-12-09 2005-02-02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5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788A (ko)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70B2 (ja) 容器蓋及びその製造装置(vesselcapandsystemformanufacturingthesame)
KR20060099794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KR20120050395A (ko) 용기용 실링부재
KR101267574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KR101300639B1 (ko) 용기 마개
KR100623463B1 (ko) 용기 마개
KR101439340B1 (ko) 용기마개
KR20120121379A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KR101286202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1302197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80104761A (ko)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60119231A (ko) 용기마개
KR20060099796A (ko) 용기마개
CN215476951U (zh) 可储物容器盖
EP2213586A1 (en) Drinking system
KR10117011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1321579B1 (ko) 용기마개
KR20040012190A (ko)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JP2594441Y2 (ja) 液体注出容器
KR20140034880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120003784A (ko) 생 막걸리용 용기마개
KR200417490Y1 (ko) 안전 캔
KR20060121383A (ko) 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31

Effective date: 2013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