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197B1 - 어린이 보호용 마개 - Google Patents

어린이 보호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197B1
KR101302197B1 KR1020050050807A KR20050050807A KR101302197B1 KR 101302197 B1 KR101302197 B1 KR 101302197B1 KR 1020050050807 A KR1020050050807 A KR 1020050050807A KR 20050050807 A KR20050050807 A KR 20050050807A KR 101302197 B1 KR101302197 B1 KR 10130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ressing plate
sealing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010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5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197B1/ko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JP2008501801A priority patent/JP2008532870A/ja
Priority to EA200701980A priority patent/EA012891B1/ru
Priority to MX2007011103A priority patent/MX2007011103A/es
Priority to US11/908,452 priority patent/US8157115B2/en
Priority to PCT/KR2006/000764 priority patent/WO2006098559A1/en
Priority to CN2011100200911A priority patent/CN102050265A/zh
Priority to BRPI0609520-8A priority patent/BRPI0609520A2/pt
Priority to CA002601141A priority patent/CA2601141A1/en
Priority to AU2006223774A priority patent/AU2006223774B2/en
Priority to CN2006800084000A priority patent/CN101142127B/zh
Priority to EP06716214A priority patent/EP1863724A4/en
Priority to MYPI20061039A priority patent/MY143871A/en
Priority to ARP060101024A priority patent/AR054431A1/es
Priority to TW095108856A priority patent/TWI291434B/zh
Publication of KR2006013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010A/ko
Priority to AU2010212285A priority patent/AU2010212285B2/en
Priority to JP2011264996A priority patent/JP2012071896A/ja
Priority to US13/423,408 priority patent/US2013001515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197B1/ko
Priority to JP2014143399A priority patent/JP2014221669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65D50/041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the closure comprising nested inner and outer caps or an inner cap and an outer coaxial annular member, which can be brought into engagement to enable removal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with ratchet effect between relatively rot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4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마개의 상단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마개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상기 내부마개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리브로 구성되는 실링부재 제거유닛으로 구성되어, 마개를 열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커팅되어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어린이 보호용 마개를 제공한다.
용기마개, 어린이 보호용 마개, 캡, 실링부재제거유닛, 실링부재

Description

어린이 보호용 마개 { CHILD-RESISTANT CLOSURE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내부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외부마개의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회전력 전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C-C 선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용기입구
14 : 내부마개 13 : 보호판
15 : 가이드 리브 16 : 외부마개
17 : 연결리브 18 : 회전력 전달부
20 : 실링부재 22 : 실링부재 제거유닛
24 : 암나사부 26 : 수나사부
38 : 탄성부재 40 : 제1걸림돌기
42 : 제2걸림돌기 50 : 누름판
52 : 커터 54 : 걸림부
56 : 연결부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 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열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커팅되어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어린이 보호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맹독성 약물이 저장된 용기, 세제 등이 저장된 용기, 일반가정 의약품이 저장되는 용기 등에는 어린이가 마개를 쉽게 개봉하기 어렵도록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용기(150)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구(152)에 장착되는 내부마개(154)와 상기 내부마개(154)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마개(154)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외부마개(156)와, 상기 내부마개(154)와 외부마개(156)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156)를 하측방향으로 누를 경우에만 상기 외부마개(156)의 회전력을 내부마개(154)로 전달하여 내부마개(154)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50)의 용기입구(152)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실링부재(170)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내부마개(154)의 하측에는 용기입구(1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72)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17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마개(156)의 하단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내부마개(154)가 외부마개(15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78)이 돌출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160)는 상기 내부마개(154)의 외측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정 폭만큼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164)와, 상기 외부마개(156)의 내측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측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164)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16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내부마개(154)가 용기입구(15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마개(156)가 내부마개(154)의 외주면에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외부마개(156)를 돌려도 그 회전력이 내부마개(154)로 전달되기 않아 어린이가 쉽게 열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마개를 개방할 경우 외부마개(156)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내부마개(154)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64)들 사이의 공간에 외부마개(156)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166)가 삽입되면서 상호 물린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마개(156)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내부마개(154)로 전달되어 내부마개(154)도 회전되면서 내부마개(154)가 용기입구(15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를 용기입구(152)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152)에 실링된 실링부재(170)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입구(152)를 통해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용기 마개는 용기 마개를 용기(150)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152)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170)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170)는 손으로 제거시 실링부재(170)와 용기입구(152)테두리부의 접착력이 강하여 실링부재(170)가 테두리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기 않게 됨에 따라 이를 다시 손으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152)에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걸림돌기들(164,166)이 내부마개(154)와 외부마개(156)의 상측에 각각 형성되고 외부마개(156)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외부마개(156)가 자중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마개(156)의 제2걸림돌기(166)와 내부마개(154)의 제1걸림돌기들(164) 사이가 상호 걸림된 상태로 될 수 있어 어린이가 마개를 개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마개를 열면 실링부재가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어린이 보호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마개의 상면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보호하는 보호판을 설치하여 내부마개에 장착된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보호함으로써, 실링부재 제거유닛이 외력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보호판에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용기의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마개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외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외부마개의 회전력을 상기 내부마개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외부마개의 상단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마개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상기 내부마개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리브로 구성되는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리브는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끊어지면서 상기 누름판과 외부마개 사이를 분리시키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누름판이 상기 외부마개에 연결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S 자 형태로 형성되어 한쪽 끝부분은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누름판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판과 상기 외부마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력을 상기 누름판으로 전달하는 승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지지부는 상기 외부마개의 하면 가장자리에 하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내부마개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를 용기입구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상기 내부마개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내부마개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외부마개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 되는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외주면과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호판이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내부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외부마개의 일측이 절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는 내부마개(14)와, 상기 내부마개(14)의 외주면에 내부마개(14)와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마개(16)와, 상기 내부마개(14)와 외부마개(16)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16)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을 상기 내부마개(14)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18)와, 상기 외부마개(16)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1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20)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20)를 내부마개(14)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맹독성 약물, 세제, 일반 가정 의약품 등 어린이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는 용기입구(12)를 실링하여 상기 용기(1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20)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20)는 종이재질 또는 알루미늄 박 판재질 등 칼 등에 의해 제거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마개(14)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태이고, 그 내부에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이 형성되고 그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4)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26)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내측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는 밀착부(28)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마개(14)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마개(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마개(16)는 상기 내부마개(14)에 외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개방된 원통 형태이며, 그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 돌조(32)가 형성되고, 그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내부마개(14)의 이탈방지턱(30)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돌기(3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마개(16)의 상단 내주면에는 링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부마개(14)가 외부마개(16)의 상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36)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36)의 하면에는 상기 내부마개(14)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외부마개(16)가 내부마개(14)에서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탄성부재(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돌기(36)의 내주면에는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38)는 자체적으로 휘어지면서 일정 탄성력을 발생 시키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상기 내부마개(14)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외부마개(16)에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외부마개(16)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외부마개(16)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탄성부재(38)가 탄성 변형되면서 외부마개(16)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외부마개(16)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8)의 차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부마개(16)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1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마개(14)의 하측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40)와, 상기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등간격을 두고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16)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1걸림돌기들(40) 사이로 삽입되어 상호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4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40)는 상기 내부마개(14)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일정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돌기(42)가 일정 정도 삽입된 경우에는 제2걸림돌기(42)가 상기 경사면(46)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걸림돌기(42)는 상기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42)와 동일한 경사면(48)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0)의 경사면(46)과 접촉된 경우 경사면(46)을 타고 넘어간다.
이와 같은 회전력 전달부(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의 힘으로 외부마개(16)를 누를 경우 상기 외부마개(16)에 탄성부재(38)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외부마개(16)가 완전하게 눌려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마개(14)의 제1걸림돌기(40)와 외부마개(16)의 제2걸림돌기(42)가 상호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상기 외부마개(16)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2걸림돌기(42)의 경사면(48)이 제1걸림돌기(40)의 경사면(46)을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전달되지 못하여 마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은 상기 외부마개(16)의 상단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하측방향으로 일정 힘으로 누르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50)과, 상기 누름판(50)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50)을 누르면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고 마개가 회전되면 실링부재(20)를 커팅하는 커터(52)와, 상기 누름판(50)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5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50)를 본체(1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20)가 걸림되는 걸림부(54)와, 상기 누름판(50)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50)이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판(50)을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50)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리브(17)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50)은 상기 외부마개(16)의 상측 내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원형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150)은 상기 본체(16)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록킹리브(17)는 누름판(50)의 외주면과 외부마개(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누름판(50)이 외부마개(1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누름판(5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뜯겨지면서 누름판(50)과 외부마개(16) 사이의 록킹을 해제시킨다.
상기 록킹리브(17)는 일정 힘을 가하면 끊어질 수 있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5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50)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16)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이드 리브(15)가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누름판(50)이 상기 외부마개(16)에 연결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15)는 S 자 형태로 형성되어 한쪽 끝부분은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누름판(5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면서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누름판(50)이 상기 외부마개(16)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가이드 리브(15)는 상기 누름판(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21)과 상기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삽입홈(23)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두 삽입홈(21,23)과 가이드 리브(15)의 절곡된 부위 사이에 얇은 띠 형태의 연결띠(19)가 형성되어 S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띠(19)는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끊어진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50)과 외부마개(16) 사이에는 상기 누름판(50)이 외부마개(16)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상기 외부마개(16)가 회전되면 상기 누름판(50)이 외부마개(16)와 같이 회전되도록 하는 승강 지지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 지지부(31)는 상기 외부마개(16)의 하면 가장자리에 하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33)와, 상기 누름판(5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33)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3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승강 지지부(31)는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누름판(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5)가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3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수직 이동되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마개(16)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누름판(50)으로 전달되어 상기 누름판(50)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커터(5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42)의 하면 가장자리에 등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지지부(60)와, 상기 지지부(60)의 하단에 뽀쪽하게 형성되어 누름판(50)을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부(62)와, 상기 지지부(6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14)가 회전되면 용기입구(12)의 내주면에 접촉 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실링부재(20)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팅부(64)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5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50)의 하면에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66)와, 상기 지지로드(66)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커터(5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20)가 내부마개(14)의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20)가 걸림되는 걸림돌기(6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로드(66)는 상기 누름판(5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치부(7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8)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펀치부(70)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상기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20)의 안쪽면에 걸림된다.
이러한 걸림돌기(68)는 지지로드(66)의 양쪽 측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지지로드(66)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외부마개(16)에 연결된 상기 누름판(50)을 하측방향으로 일정 힘으로 누르면 누름판(50)과 외부마개(16) 사이에 연결된 록킹리브(17)가 끊어지면서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50)과 외부마개(16) 사이에 연결된 S 자 형태의 가이드 리브(15)가 펼쳐지면서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누름판(50)이 외부마개(16)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5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누름판(50)의 하측면에 형성된 커터들(52)의 제1커팅부(62)가 실링부재(20)의 가장자리를 뚫고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걸림부(54)의 지지로드(66)가 실링부재(20)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걸림부(54)의 걸림돌기(68)는 상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때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지지로드(66)의 펀치부(70)가 뚫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68)가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원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펼쳐진 상태로 상기 실링부재(20)의 안쪽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작용 후, 외부마개(16)를 잡고 일정 힘 이상을 가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38)가 탄성 변형되면서 외부마개(16)가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마개(14)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들(40) 사이로 외부마개(16)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42)가 삽입되어 상호 걸림된 상태로 되고, 상기 외부마개(16)를 돌리면 상기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전달되어 상기 내부마개(14)가 회전되면서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승강 지지부(31)에 의해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누름판(50)으로 전달되어 상기 누름판(50)도 외부마개(16)와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50)이 회전되면 상기 커터(52)가 용기 입구(12)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지지부(6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제2커팅부(64)가 상기 실링부재(20)를 원형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입구(12)에서 제거된 실링부재(20)는 걸림부(54)의 걸림돌기(68)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마개(14)와 같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어 상기 내부마개(14)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20)가 제거된 용기(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 후 다시 마개를 용기입구(12)에 다시 닫으면, 상기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부마개(16)가 내부마개(14)에서 상대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제1걸림돌기(40)와 제2걸림돌기(42) 사이가 서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어 어린이가 외부마개(16)를 돌리더라도 그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어린이가 외부마개(16)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그 힘이 약하기 때문에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마개(16)의 완전하게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기 못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마개(16)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걸림돌기(40)의 경사면(46)을 제2걸림돌기(42)의 경사면(46)이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내부마개(14)가 열리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어린이 보호용 마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상기 회전력 전달부가 상기 일실시예의 회전력 전달부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전달부(80)는 상기 내부마개(14)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정 폭만큼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82)와, 상기 외부마개(16)의 내측면 즉, 외부마개(16)의 상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6)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측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82)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8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84)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16)를 돌리면 상기 제1걸림돌기(82)가 제2걸림돌기(84)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내부마개(14)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상기 외부마개(16)를 하측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돌리면 상기 제1걸림돌기(82)가 제2걸림돌기(84)에 걸림되어 상기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전달되어 상기 내부마개(14)가 회전되면서 마개가 용기(1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는 내부마개(14)와, 상기 내부마개(14)의 외주면에 내부마개(14)와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마개(16)와, 상기 내부마개(14)와 외부마개(16)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16)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 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을 상기 내부마개(14)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18)와, 상기 내부마개(14)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14)를 용기입구(12)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12)에 실링되는 실링부재(20)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20)를 내부마개(14)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22)과, 상기 외부마개(16)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마개(14)에 장착된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을 보호하는 보호판(86)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마개, 외부마개 및 회전력전달부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18)는 상기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회전력 전달부(18) 이외에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회전력 전달부(80)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보호판(86)은 상기 외부마개(16)의 상측 내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는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86)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16)의 상측 내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보호판(86)을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판(86)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호판(86)이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88)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88)는 상기 내부마개(14)의 내주면과 상기 보호판(86)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86)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보호판(86)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88)는 상기 보호판(86)의 현재 위치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준 다. 즉, 보호판(86)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인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경우 연결부(88)는 볼록한 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보호판(86)의 현재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86)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보호판(86)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해 준다.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은 상기 내부마개(16)의 상단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하측방향으로 일정 힘으로 누르면 록킹이 해제되면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50)과, 상기 누름판(50)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50)을 누르면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고 마개가 회전되면 실링부재(20)를 커팅하는 커터(52)와, 상기 누름판(50)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5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50)를 본체(1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20)가 걸림되는 걸림부(54)와, 상기 누름판(50)의 외주면과 상기 내부마개(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50)이 내부마개(16)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판(50)을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50)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리브(1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은 누름판(50)이 내부마개(14)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것만 다를 뿐 상기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실링부재 제거유닛(22)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마개는 상기 보호판(86)을 누르면 연결부(88)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보호판(86)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86)의 하면에 배치된 누름판(50)이 하측방향 으로 이동되면서 실링부재(20)를 제거함과 아울러 제거된 실링부재(20)를 내부마개(14)의 내부에 수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22)의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에 설명한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외부마개 상면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설치하여 마개를 개방하기 전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누름판을 누른 후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마개의 상면에 보호판을 설치하여 내부마개에 형성된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보호함으로써, 실링부재 제거유닛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실링부재 제거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외부마개에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외부마개가 내부마개에 비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마개의 제1걸림돌기와 외부마개의 제2걸림돌기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어린이가 외부마개를 돌리더라도 내부마개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어린이 보호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용기의 용기입구에 장착되며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마개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외부마개의 회전력을 상기 내부마개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개의 상단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내부마개를 관통하여 하강에 의하여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마개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상기 내부마개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리브로 구성되는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리브는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 어 상기 누름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끊어지면서 상기 누름판과 외부마개 사이를 분리시키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누름판이 상기 외부마개에 연결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S 자 형태로 형성되어 한쪽 끝부분은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누름판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삽입홈들과 가이드 리브의 절곡된 부위 사이에 얇은 띠 형태의 연결띠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띠는 상기 누름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과 상기 외부마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력을 상기 누름판으로 전달하는 승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지부는 상기 외부마개의 하면 가장자리에 하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등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뽀쪽하게 형성되어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팅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펀치부가 형성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하측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등 간격을 두고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1걸림돌기들 사이로 삽입되어 상호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정 폭만큼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측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에는 제1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4. 용기의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마개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와 외부마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를 일정 힘 이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만 외부마개의 회전력을 상기 내부마개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내부마개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를 용기입구에서 분리하면 상기 용기입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제거하고 제거된 실링부재를 상기 내부마개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제거유닛과;
    상기 외부마개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외주면과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호판이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제거유닛은 상기 내부마개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마개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상기 내부마개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끊어지면서 누름판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과 상기 보호판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보호판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20050050807A 2005-03-15 2005-06-14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130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07A KR101302197B1 (ko) 2005-06-14 2005-06-14 어린이 보호용 마개
AU2006223774A AU2006223774B2 (en) 2005-03-15 2006-03-06 Child-resistant cap
MX2007011103A MX2007011103A (es) 2005-03-15 2006-03-06 Tapa a prueba de ninos.
US11/908,452 US8157115B2 (en) 2005-03-15 2006-03-06 Child-resistant cap having inner and outer caps and a seal removing unit
PCT/KR2006/000764 WO2006098559A1 (en) 2005-03-15 2006-03-06 Child-resistant cap
CN2011100200911A CN102050265A (zh) 2005-03-15 2006-03-06 一种防儿童的盖子
BRPI0609520-8A BRPI0609520A2 (pt) 2005-03-15 2006-03-06 tampa resistente à abertura por crianças
CA002601141A CA2601141A1 (en) 2005-03-15 2006-03-06 Child-resistant cap
JP2008501801A JP2008532870A (ja) 2005-03-15 2006-03-06 小児用の安全蓋
CN2006800084000A CN101142127B (zh) 2005-03-15 2006-03-06 一种防儿童的盖子
EP06716214A EP1863724A4 (en) 2005-03-15 2006-03-06 CHILD-SAFE CAP
EA200701980A EA012891B1 (ru) 2005-03-15 2006-03-06 Крышка, недоступная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детьми
MYPI20061039A MY143871A (en) 2005-03-15 2006-03-10 Child-resistant cap
ARP060101024A AR054431A1 (es) 2005-03-15 2006-03-15 Tapon a prueba de ninos
TW095108856A TWI291434B (en) 2005-03-15 2006-03-15 Child-resistant cap
AU2010212285A AU2010212285B2 (en) 2005-03-15 2010-08-12 Child-Resistant Cap
JP2011264996A JP2012071896A (ja) 2005-03-15 2011-12-02 小児用の安全蓋
US13/423,408 US20130015157A1 (en) 2005-03-15 2012-03-19 Child-resistant cap having inner and outer caps and a seal removing unit
JP2014143399A JP2014221669A (ja) 2005-03-15 2014-07-11 小児用の安全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07A KR101302197B1 (ko) 2005-06-14 2005-06-14 어린이 보호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10A KR20060131010A (ko) 2006-12-20
KR101302197B1 true KR101302197B1 (ko) 2013-08-30

Family

ID=3781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807A KR101302197B1 (ko) 2005-03-15 2005-06-14 어린이 보호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445A (ko) * 2007-08-01 2009-02-05 노희권 용기마개
KR102479781B1 (ko) * 2015-04-13 2022-12-20 안진희 기존 병마개에 덧씌우는 신 외부캡의 몸체 측면의 내부면의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2A (ja) * 1995-06-14 1997-01-07 Calmar Inc 緩み防止型容器栓
WO2004085278A1 (en) * 2003-02-14 2004-10-07 Hee Kwon Rho Closure with push type ope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2A (ja) * 1995-06-14 1997-01-07 Calmar Inc 緩み防止型容器栓
WO2004085278A1 (en) * 2003-02-14 2004-10-07 Hee Kwon Rho Closure with push type op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10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2285B2 (en) Child-Resistant Cap
KR20060099794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4767970B2 (ja) 容器蓋及びその製造装置(vesselcapandsystemformanufacturingthesame)
KR20090042182A (ko) 용기마개
KR101772229B1 (ko) 칼날보호대를 가지는 용기마개
KR101302197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KR101286202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1300639B1 (ko) 용기 마개
KR10117011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6716448B2 (ja) 抽出容器
KR100755037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0623463B1 (ko) 용기 마개
KR20120030495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140034880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80104761A (ko)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KR20080084211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130081265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39609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100045646A (ko) 용기마개
KR20060119231A (ko) 용기마개
KR20060121383A (ko) 용기마개
KR20120050937A (ko) 용기마개
KR101267574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