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40B1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40B1
KR101439340B1 KR1020060069817A KR20060069817A KR101439340B1 KR 101439340 B1 KR101439340 B1 KR 101439340B1 KR 1020060069817 A KR1020060069817 A KR 1020060069817A KR 20060069817 A KR20060069817 A KR 20060069817A KR 101439340 B1 KR101439340 B1 KR 10143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container
main body
container in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968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6006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34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81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로 구성되어, 마개를 개방하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어 용기마개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여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한다.
용기마개, 마개, 캡, 실링부재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걸림유닛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용기입구
16 : 본체 18 : 실링부재
20 : 그루브 22 : 지지돌기
24 : 탄성 지지층 26 : 금속층
28 : 접착층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개방하면 용기입구에 실링된 실링부재가 마개와 함께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 약품용기 등에는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실링부재(152)가 부착된다. 상기 실링부재는 용기입구(160)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고, 그 실링부재(152)가 외부의 충격이나 물체간의 접촉에 의하여 무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마개(154)가 씌워진다.
상기 용기마개(154)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60)에는 수나사부(164)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마개(154)를 돌리면 용기마개(154)가 용기입구(160)에서 분리되거나 용기입구(16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용기 마개(154)는 용기 마개(154)를 잡고 돌리면 용기 마개(154)가 용기입구(16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실링부재(152)를 용기입구(160)에서 제거하고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용기입구(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 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는 손으로 제거시 실링부재와 용기입구 테두리부의 접착력이 강하여 실링부재가 테두리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기 않게 됨에 따라 이를 다시 손으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를 개방하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어 용기마개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여 별도로 실링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돌려서 용기입구에서 제거된 실링부재가 마개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분리된 실링부재가 외부에 버려지는 것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 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용기마개의 상면에 접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마개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과, 상기 탄성 지지층의 하면에 부착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될 때 상승되면서 실링부재를 밀어 올려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도록 회전시 키는 회전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누름 동작하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실링부재 걸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의 하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장착된 용기 마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6)와,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18)와,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6)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18)를 용기입구에서 분리 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18)를 본체(16)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음료수 용기, 약품용기 또는 오일용기 등에 사용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는 용기입구(12)를 실링하여 상기 용기(1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18)가 부착된다.
상기 용기입구(12)는 그 끝부분 외주면이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입구(12)의 끝단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18)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입구(12)의 그루브(20)를 덮는 형태로 위치된다. 즉, 상기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는 용기입구(12)의 끝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게 배치되고 그 가장자리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의해 용기입구(12)에 부착되지 않는 형태로 된다.
상기 실링부재(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재질 또는 합성부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12)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24)과, 상기 탄성 지지층(24)의 하면에 부착되고 금속재질 특히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26)와, 상기 금속층(26)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2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링부재(18)는 상기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한 상태로, 일정한 강도의 자기장을 가하면(인덕션 가열방식) 금속층(26)이 가열되면서 접착 층(28)이 녹으면서 용기입구(12)에 부착된다.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본체(16)를 돌리면 마개가 용기입구(12)에 장착되거나,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6)의 하단에는 파단이 용이한 다수개의 브리지에 의하여 연결된 스커트(34)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서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커트(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걸림된 상태로 용기입구(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스커트(34)는 본체(16)를 회전시키면 뜯겨지면서 본체(16)와 용기입구(12) 사이를 분리시킨다. 상기 본체(16)의 외주면에는 본체(16)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요철 형태의 돌기들(36)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6)은 용기입구(12)와 나사결합 이외에, 누름에 의하여 개폐되는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입구(12)의 끝단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와 스냅식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본체(16)가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될 때 실링부재(18)는 본체(16) 내에 내장된 상태로 용기입구(12)와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와 스냅식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회전하여 미리 실링부재(18)를 용기입구(12)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16)의 내주면에 본체(16)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는 링형태의 지지돌기(22)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는 플라스틱 재질을 고려하여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완만한 오목한 또는 볼록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22)는 상기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18)는 본체(16)를 회전시킴에 따라 본체(16)가 상승될 때 지지돌기(22)에 걸림되어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돌기(22)는 상기 본체(16)가 상승되면 같이 상승되면서 실링부재(18)를 상측방향으로 밀어주어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다수의 층으로 적층된 실링부재(18)를 본체(16)의 내부에 삽입한다. 즉, 본체(16)의 내부에 실링부재(18)를 밀어 넣으면 상기 실링부재(18)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지지돌기(22)를 통과하여 본체(16)의 상측 내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지지돌기(22)에 의해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18)가 삽입된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한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18)의 하단에 도포된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한 강도의 자기장을 가하면(인덕션 가열방식), 금속 층(26)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금속층(26)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접착층(28)이 녹으면서 용기입구(12)의 상면에 부착되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본체(16)에 형성되는 지지돌기(22)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는 상태로 되고, 지지돌기(22)의 상측에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가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용기입구에 장착된 마개를 용기입구에서 분리하는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체(16)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커트(34)가 뜯겨지면서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 것을 확인시키고 본체(16)가 상승된다.
이때, 상기 본체(16)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기(22)가 본체(16)와 같이 상승되면서 실링부재(18)의 가장자리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18)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서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18)는 지지돌기(22)에 의해 걸림되어 본체(16)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체(16)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서 본체(16) 내부에 저장되기 때문에 실링부재(18)를 별도로 뜯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6)를 다시 용기입구(12)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링부재(18)가 용기입구(12)에 밀착되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하고, 다만 실링부재 분리부와 실링부재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16)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40)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어 실링부재(4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 돌기부(42)와, 상기 지지 돌기부(42)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40)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46)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상기 실링부재(40)를 같이 회전시켜 실링부재(40)가 용기입구(12)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 돌기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재(40)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걸림돌기들(46)이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46)의 형태는 요철 형태 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40)는 회전 돌기부(44)가 삽입되어 실링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하면 본체(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42)가 용기입구(12)에 형성된 그루브(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40)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기부(44)가 실링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6)와 걸림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돌기부(44)가 실링부재(40)의 걸림돌기(46)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실링부재(40)의 걸림돌기(46)를 밀어준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40)가 회전 돌기부(44)의 미는 힘에 의해 실링부재(40)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뜯겨진다. 그리고 본체(16)를 더 회전시키면 지지 돌기부(42)가 상승되면서 실링부재(40)를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40)는 지지 돌기부(42)에 걸림된 상태로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고, 본체(16)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회전 돌기부(44)가 실링부재(40)를 회전시켜 실링부재(40)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뜯겨지도록 하고, 지지 돌기부(42)가 실링부재(40)를 상승시켜 용기입구(12)에 분리시킨 후 본체(16) 내부에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실링부재(40)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마개와 동일하고, 다만 실링부재(60)를 용기입구(12)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60)를 용기입구(12)에서 들고 나오는 실링부재 걸림유닛(70)을 갖는다.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70)은 본체(16)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72)과, 상기 누름판(72)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72)을 누르면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60)의 하면에 걸림되는 걸림부(74)와, 상기 누름판(72)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7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72)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76)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72)은 상기 본체(1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72)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판(72)을 누르면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80)와, 상기 지지로드(80)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실링부재(60)가 본체(16)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60)가 걸림되는 걸림돌기(8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로드(80)는 상기 누름판(72)의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뽀쪽한 형태의 펀치부(8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2)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펀치부(84)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60)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상 기 실링부재(60)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실링부재(60)의 안쪽면에 걸림된다.
이러한 걸림돌기(82)는 지지로드(8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만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성되고, 지지로드(8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2)는 지지로드(80)의 외주면에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60)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지지층(24)과, 금속층(26)과, 접착층(28)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걸림부(74)가 뚫고 들어가기 쉽도록 상기 탄성 지지층(24)에는 상기 걸림부(74)가 통과하는 관통홀(78)이 마련된다.
즉, 누름판(72)을 누르면 상기 걸림부(74)는 탄성 지지층(24)에 형성된 관통홀(78)을 통과하여 금속층(26)을 뚫고 들어간다.
상기 연결부(76)는 상기 본체(16)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72)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72)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76)는 상기 누름판(72)의 현재 위치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준다. 즉, 누름판(72)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인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경우 연결부(76)는 볼록한 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누름판(72)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72)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 형되면서 누름판(72)이 눌려진 위치를 유지해준다.
상기 연결부(76)는 다른 실시예로서, 누름판(72)과 본체(16)의 내면 사이에 S자 형태의 가이드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펼쳐지면서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누름판(72)이 상기 본체(16)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누름판(72)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연결부(76)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판(72)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74)의 지지로드(80)가 실링부재(60)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이때, 실링부재(60)의 탄성 지지층(24)에는 관통홀(78)이 형성되어 걸림부(74)가 보다 쉽게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74)의 걸림돌기(82)는 상기 실링부재(60)를 뚫고 들어갈 때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지지로드(80)의 펀치부(84)가 뚫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2)가 실링부재(60)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원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펼쳐진 상태로 상기 실링부재(60)의 안쪽면에 위치된다.
그런 후 본체(16)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16)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기(22)가 본체(16)와 같이 상승되면서 실링부재(60)의 가장자리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실링부재(60)의 접착층(28)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서 실링부재(60)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60)는 지지부에 의해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16)와 같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고 본체(16)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 내부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을 설치하여 마개를 개방하기 전에 실링부재 제거유닛의 누름판을 누른 후 마개를 돌려서 열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마개를 돌려서 용기입구에서 제거된 실링부재가 마개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실링부재가 외부에 버려지는 것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실링부재 제거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실링부재를 손으로 제거할 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됨에 따른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 수있다.

Claims (15)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과, 상기 탄성 지지층의 하면에 부착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용기마개의 상면에 접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마개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열을 가하여 실링부재의 접착층이 용기입구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될 때 상승되면서 실링부재를 밀어 올려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에 위치되고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어 실링부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 자리에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그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으로 걸림돌기들이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들은 요철 형태 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용기입구에 실링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를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실링부재를 본체 내부에 저장시키는 실링부재 분리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누름 동작하면 상기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쪽면에 걸림되는 실링부재 걸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종이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차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개를 닫으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입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지지층과, 상기 탄성 지지층의 하면에 부착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층에는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이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의 상단에는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그루브 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용기마개의 상면에 접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용기마개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가 용기입구에서 분리될 때 상승되면서 실링부재를 밀어 올려 용기입구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걸림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서 실링부재의 하면에 걸림되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판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실링부재가 본체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 사이에 연결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KR1020060069817A 2006-07-25 2006-07-25 용기마개 KR10143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817A KR101439340B1 (ko) 2006-07-25 2006-07-25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817A KR101439340B1 (ko) 2006-07-25 2006-07-25 용기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658A Division KR20130092521A (ko) 2013-07-01 2013-07-01 용기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68A KR20080009968A (ko) 2008-01-30
KR101439340B1 true KR101439340B1 (ko) 2014-09-11

Family

ID=3922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817A KR101439340B1 (ko) 2006-07-25 2006-07-25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32A2 (ko) * 2010-11-10 2012-05-18 Rho Hee Kwon 용기용 실링부재
KR102046888B1 (ko) * 2018-03-06 2019-11-20 (주)씨엔루브 용기 마개 체결 장치
JP2023542173A (ja) * 2020-09-23 2023-10-05 アーン・ジンヘ 容器キャップ及びそれが結合された容器アセンブリ
KR20230155239A (ko) * 2022-05-03 2023-11-10 안진희 실링부재를 제거 후, 병마개를 재결합 시의 차단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269A (ja) * 1999-03-30 2000-12-12 Nihon Yamamura Glass Co Ltd キャップ用メンブレン及び該メンブレンを装着してなるキャップ
KR20060064959A (ko) * 2004-12-09 2006-06-14 노희권 용기 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269A (ja) * 1999-03-30 2000-12-12 Nihon Yamamura Glass Co Ltd キャップ用メンブレン及び該メンブレンを装着してなるキャップ
KR20060064959A (ko) * 2004-12-09 2006-06-14 노희권 용기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68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6185B1 (en) Closure with push type opener
UA82155C2 (uk) Кришка, захищена від маніпулювання
KR20060119080A (ko) 음식물 포장 용기
KR101439340B1 (ko) 용기마개
US7222741B2 (en) Tamper evident cap
KR20190020307A (ko) 용기용 실링부재
KR100655892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공정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KR20090013445A (ko) 용기마개
WO2015200458A1 (en) Container assembly
KR20130092521A (ko) 용기마개
KR100623463B1 (ko) 용기 마개
JP6812081B2 (ja) ヒンジキャップ
GB2109332A (en) Containers for tablets
KR101302197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3235994B2 (ja) 表示具付きキャップ
KR20060119231A (ko) 용기마개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397975Y1 (ko) 음식물 포장 용기
JP4068184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101395610B1 (ko) 용기마개
KR200176787Y1 (ko) 음료용기
KR200208820Y1 (ko) 재사용 방지용 병마개
KR101267574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장치
EA038169B1 (ru) Пластиковая емкость со средством открыт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