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787Y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787Y1
KR200176787Y1 KR2019960020283U KR19960020283U KR200176787Y1 KR 200176787 Y1 KR200176787 Y1 KR 200176787Y1 KR 2019960020283 U KR2019960020283 U KR 2019960020283U KR 19960020283 U KR19960020283 U KR 19960020283U KR 200176787 Y1 KR200176787 Y1 KR 200176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everage
bottle cap
cap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949U (ko
Inventor
윤기상
Original Assignee
윤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상 filed Critical 윤기상
Priority to KR2019960020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87Y1/ko
Publication of KR980007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음료병과 병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병뚜껑에 의해 인체가 손상을 방지 않으며,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병과 병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부식되지 않아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변질시키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후에도 다시 결합시킬 수 있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음료용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개구부의 일정한 위치에 외부로 돌출된 돌기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음료병과;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몸체와, 이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와 대응되게 파여진 홈을 형성하는 병뚜껑과; 상기 음료병 또는 병뚜껑에 제공되어 음료병과 병뚜껑을 붙이고 뗄수 있도록 하는 차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착탈수단은 병뚜껑의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와, 음료병의 개구부와 병뚜껑의 하부가 서로 밀착되는 부위와 서로 이격되는 부위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기를 제공하여 병뚜껑의 단부가 날카롭거나 뽀족하자 않아 병뚜껑에 의해 인체가 손상을 방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을 분리 할 때에 착탈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어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병과 병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병뚜껑을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어 병뚜껑이 부식되지 않아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변질시키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 후에도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 음료용기의 기능을 재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며 병뚜껑을 컵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음료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보인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보인 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음료용기의 작동을 보인 평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보인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보인 평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D-D선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E-E선 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보인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 : 공간부 4 : 개구부
6 : 돌기(6) 8 : 음료병
12 : 몸체 14 : 병뚜껑
16 : 홈 18 : 착탈수단
20 : 탄성부재 22 : 이격부
22 : 밀착부 24 : 이격부
26 : 밀봉부재 28 : 요부
30 : 연장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병과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음료병과 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기구(예를들면: 오프너)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용기를 개방할 수 있으며, 뚜껑에 의해 내용물의 변질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몸체와, 이 몸체의 개구부에 삽입 고정되어 몸체의 공간부를 외부와 밀폐시키도록 하는 병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 각종 음료를 수용하여, 음료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일반 수요자들이 간편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물품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음료용기는, 음료병과 병뚜껑의 결합구조가 음료병의 개구부에 나사부를 형성되고 병뚜껑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와 대응하는 나사부를 형성되어 음료병과 병뚜껑이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의 음료용기는, 음료병과 병뚜껑의 결합구조가 음료병의 개구부에 금속재의 병뚜껑을 압착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음료용기는 음료를 마실 때 음료병에서 병뚜껑을 나사 결합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돌려 음료병과 병뚜껑을 분리하고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마시면 된다.
그리고, 금속재의 병뚜껑이 음료병의 개구부에 압착된 음료용기의 음료를 마실 때에는 별도의 기구(예를들면:오프너)를 이용하여 음료병과 병뚜껑을 분리한 다음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마시면 된다.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병뚜껑이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하단부가 날카로워 인체에 상처를 주며, 병뚜껑의 나사부가 손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시 나사부가 겉돌아 분리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음료병에 금속재의 병뚜껑이 압착된 경우에는 압착 부위가 외부로 뽀족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이 돌출부에 의해 인체가 상처받기 쉬우며, 음료병과 병뚜껑을 분리시킬 때 별도의 기구(예를들면:오프너)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할 때에 오프너에 의해 음료병의 개구부 단부가 파손되어 그 파편이 음료용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음료를 마실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음료병과 병뚜껑이 분리될 때에 병뚜껑이 오프너에 의해 변형이 되기 때문에 재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 번 분리된 음료병과 병뚜껑은 재결합될 수 없어 음료병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음료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음료용기는 병뚜껑이 금속재로 되어 있어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에 의해 병뚜껑이 부식되어 음료용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음료를 변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병과 병뚜껑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병뚜껑에 의해 인체가 손상을 받지 않으며,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병과 병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부식되지 않아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변질시키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 후에도 다시 결합시킬 수 있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개구부의 일정한 위치에 외부로 돌출된 돌기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음료병과;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몸체와, 이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와 대응되게 파여진 홈을 형성하는 병뚜껑과;
상기 음료병 또는 병뚜껑에 제공되어 음료병과 병뚜껑을 붙이고 뗄 수 있도록 하는 착탈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착탈수단은 병뚜껑의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와, 음료병의 개구부와 병뚜껑의 하부가 서로 밀착되는 부위와 서로 이격되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작용]
이러한 음료용기는 병뚜껑의 단부가 날카롭거나 뽀족하지 않아 병뚜껑에 의해 인체가 손상을 받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을 분리 할 때에 착탈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어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병과 병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병뚜껑을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어 병뚜껑이 부식되지 않아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변질시키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 후에도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 음료용기의 기능을 재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음료용기는 내부에 공간부(2)가 마련되며 개구부(4)의 일정한 위치에 외부로 돌출된 돌기(6)가 개구부(4)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음료병(8)과, 내부에 공간부(10)가 마련된 몸체(12)를 갖는 병뚜껑(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병뚜껑(14)은 상기 몸체(12)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6)와 대응되게 파여진 홈(16)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료용기에는 음료병(8)과 병뚜껑(14)을 붙이고 뗄수 있도록 하는 착탈수단(18)이 제공된다.
상기한 착탈수단(18)은 상기 병뚜껑(14)의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20)와, 몸체(12)의 하부가 음료병의 외주와 밀착되는 밀착부와(22), 이 밀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대략 90°상에 형성되어 음료병(8)의 외주와 서로 이격되는 이격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료병(8)의 공간부(2)에 담고자 하는 음료를 투입하고 병뚜껑(14)을 음료병(8)의 개구부(4)외주면에 삽입한다.
그러면, 음료병(8)의 개구부(4)에 돌출된 돌기(6)가 병뚜껑(14)의 내주면에 파여진 홈(16)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돌기(6)는 병뚜껑(14)의 몸체(12)에 형성되어 있는 밀착부(22)에 위치한 홈(16)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한 몸체(12)의 공간부(10)에는 음료가 외부와 완전 밀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에 소정의 밀봉부재(26)를 제공하는 것이 좋으며, 이 밀봉부재(26)는 콜크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결합되는 음료용기는 내부에 담겨 있는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 음료병(8)으로부터 병뚜껑(14)을 분리하고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이러한 것은 제5도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의 양이격부(24)를 손끝으로 잡고 음료병(8)쪽으로 밀면 몸체(12)의 하부에 마련된 이격부(24)의 탄성부재(20)가 음료병(8)쪽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 수축하는 탄성력은 몸체(12)의 밀착부(22)쪽 탄성부재(20)양부위를 서로 외부로 밀리도록 하여 밀착부(22)쪽의 탄성부재(20)부위가 외부로 밀려 나간다.
그러면, 음료병(8)의 개구부(4)에 돌출된 돌기(6)와 밀착부(22)의 내면에 파여진 홈(16)이 서로 분리되어 병뚜껑(14)과 음료병(8)은 서로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된다.
그래서, 음료병(8)에서 병뚜껑(14)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병(8)에 병뚜껑(14)을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격부(24)를 잡고 내부쪽으로 적당히 밀어 밀착부(22)가 용이하게 음료병(8)의 개구부(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음료병(8)의 돌기(6)와 밀착부(22)의 홈(16)을 맞추고 이격부(24)에 가해진 힘을 빼면 밀착부(22)가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받아 음료병(8)에 밀착되고 홈(16)에 돌기(6)가 삽입 고정된다.
제7도~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음료용기는 체결수단(18)이 상기 병뚜껑(14)의 몸체(12)하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20)와, 병뚜께(14)의 하부와 대응하는 음료병(8)의 외주가 상기 돌기(6)에서 수평방향으로 대략 90°상에서 음료병(8)의 내주로 파여진 요부(28)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음료병(8)의 요부(28)와 대응하는 부위의 병뚜껑(14)부위는 음료병(8)과 이격되고, 요부(28) 이외의 부위와 대응하는 병뚜껑(14)의 부위는 음료병(8)과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은 제1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이격되어 있는 부위를 잡고 내측으로 밀면 밀착되어 있는 부위가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받아 외부로 밀리면서 돌기(6)에서 홈(16)이 이탈되므로 음료병(8)과 병뚜껑(14)이 서로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음료병(8)과 병뚜껑(14)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음료용기는 병뚜껑(14)의 모체(12)에 하단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점차로 폭이 커지도록 하여 연장된 연장부(30)를 형성한다.
그래서, 음료용기에 담겨 있는 음료를 마실 때 음료병(8)으로부터 병뚜껑(14)을 분리하고 병뚜껑(14)을 일종의 컵대용품으로 사용하여 음료를 병뚜껑(14)의 내부에 붓고 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병뚜껑의 단부가 날카롭거나 뽀족하지 않아 병뚜껑에 의해 인체가 손상을 받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을 분리 할 때에 착탈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어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음료병과 병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병뚜껑을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어 병뚜껑에 부식되지 않아 음료병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를 변질시키지 않으며, 음료병과 병뚜껑의 분리 후에도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 음료용기의 기능을 재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며 병뚜껑을 컵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2)가 마련되며 개구부(4)의 일정한 위치에 외부로 돌출된 돌기(6)가 개구부(4)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음료병(8)과;
    내부에 공간부(10)가 마련된 몸체(12)와, 이 몸체(12)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6)와 대응되게 파여진 홈(16)을 형성하는 병뚜껑(14)과;
    상기 음료병(8) 또는 병뚜껑(14)에 제공되어 음료병(8)과 병뚜껑(14)을 붙이고 뗄 수 있도록 하는 착탈수단(18)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착탈수단(18)은 상기 병뚜껑(14)의 몸체(12)하부에 수용된 상태로 탄지되고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20)와, 병뚜껑(14)의 몸체(12)가 음료병(8)의 외주와 밀착되고 상기한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밀착부(22)와, 이 밀착부(22)에서 수평방향으로 대략 90°상에 형성되어 음료병(8)의 외주와 서로 이격되는 이격부(24)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착탈수단(18)은 상기 병뚜껑(14)의 몸체(12)하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20)와 병뚜껑(14)의 하부에 대응하는 음료병(8)의 외주가 상기 돌기(6)에서 수평 방향으로 대략 90°상에서 음료병(8)의 내주로 파여진 요부(28)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병뚜껑(14)의 몸체(12)에 몸체(12)의 하단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점차로 폭이 커지도록 하여 연장된 연장부(30)를 형성하는 음료용기.
KR2019960020283U 1996-07-09 1996-07-09 음료용기 KR200176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283U KR200176787Y1 (ko) 1996-07-09 1996-07-09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283U KR200176787Y1 (ko) 1996-07-09 1996-07-09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949U KR980007949U (ko) 1998-04-30
KR200176787Y1 true KR200176787Y1 (ko) 2000-04-15

Family

ID=1946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283U KR200176787Y1 (ko) 1996-07-09 1996-07-09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94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278A (en) Beverage can resealing device
US5915579A (en) Container with tamper-evident and pre-lockable closure assembly
US3113693A (en) Multi-position snap cap for containers
US3489307A (en) Screw-type cap having fulcrum seal
US8360256B2 (en) Storage and drinking container having cap and retaining ring
US5368178A (en)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e having conical sealing surfaces
EP0086221A1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cap
US3967745A (en) Self-positioning child-resistant closure
KR101775809B1 (ko) 캡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H0977105A (ja) ビンの開口部の封栓構造
KR200176787Y1 (ko) 음료용기
JPH0741028A (ja) 容器の蓋体
EP1572550B1 (en) Threaded packaging with a "click" function
US2586440A (en) Bottle closure
US4742927A (en) Tamper proof seal for a container closure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JPH085486B2 (ja) 瓶の開閉装置
JP3056655U (ja) セフティーキャップ
KR940002881Y1 (ko)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JPH06122462A (ja) 密閉キャップ
KR200217938Y1 (ko) 원터치 용기 캡
KR20040083327A (ko)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밀폐용기
JPH04115147U (ja) 密閉キヤツプ
JPS6246418B2 (ko)
JPH04248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