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190A -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190A
KR20040012190A KR1020020045632A KR20020045632A KR20040012190A KR 20040012190 A KR20040012190 A KR 20040012190A KR 1020020045632 A KR1020020045632 A KR 1020020045632A KR 20020045632 A KR20020045632 A KR 20020045632A KR 20040012190 A KR20040012190 A KR 2004001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xpansion member
compressed
compression expansion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열
이경래
Original Assignee
한국법과학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법과학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법과학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2190A/ko
Publication of KR2004001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하나의 용기 내에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상의 용이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용기하부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하면측이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측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상부와,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을 밀폐하여 용기의 상하를 분리하도록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을 덮는 분리막부재와,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하로 압축 및 팽창이 가능한 압축팽창부재와, 상기 압축팽창부재가 구비된 용기측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압축 또는 팽창시에 상기 분리막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Vessel for separate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본 발명은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하나의 용기 내에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상의 용이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공약품이나 용매와 용제 등 혼합되어 사용되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혼합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물리적, 화학적 작용이 일어나 그 물성이 변하게 되어 사용 목적에 적합하지 않게 변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두 물질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물질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기 때문에 두 용기 중 한 개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정밀한 혼합비가 요구되는 두 물질을 즉시 혼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하나의 용기 내에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상의 용이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커팅부재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 1c는 혼합사용시 커팅부재에 의해 분리막부재가 일부 커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혼합사용시 천공부재에 의해 분리막부재가 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혼합사용시 고리부재에 의해 분리막부재가 파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용기하부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하부 10a :수나사
11,22 : 주름부 12 : 천공부재
20 : 용기상부 20a : 암나사
25 : 밀폐부재 30 : 분리막부재
40 : 커팅부재 50 : 고정덮개
60 : 연결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용기하부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하면측이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측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상부와,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을 밀폐하여 용기의 상하를 분리하도록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을 덮는 분리막부재와,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하로 압축 및 팽창이 가능한 압축팽창부재와, 상기 압축팽창부재가 구비된 용기측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압축 또는 팽창시에 상기 분리막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용기는 상기 압축팽창부재는 상기 용기상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팽창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이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용기상부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고정되고 두께가 얇게 형성된 커팅부재로, 하측단에 톱니 형상으로 커팅날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압축시에 상기 커팅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막부재가 파열되고, 상기 커팅날의 소정부위에 커팅방지홈이 형성되어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분리막부재가 커팅된 후에도 용기상부와 하부 사이에 일부 부착됨으로써 완전 이탈되었을 때 분리막부재가 용기상부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의 재활용시 분리막부재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는 상기 압축팽창부재는 상기 용기하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팽창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이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용기하부의 내측 저면부가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된 첨단의 천공부재로,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압축시에 상기 천공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막부재가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는 상기 압축팽창부재는 상기 용기하부의 측면을 따라 압축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이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압축팽창부재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막부재와 용기하부의 저면이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팽창시에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막부재가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용기하부와, 일측에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하면측이 상기 용기하부의 상면측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상부와,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하부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상부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커팅부재를 나타낸 확대 도면으로서, 용기하부와 용기상부와 분리막부재와 압축팽창부재와 파열수단으로 구성된다.
용기하부(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고, 용기상부(20)는 상측에 뚜껑(미도시)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하면측이 용기하부(10)의 개방면측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용기하부(10)의 상면측의 외주면에 소정높이로 수나사(10a)가 형성되고, 수나사(10a)에 나사 결합되도록 용기상부(20)의 하면측의 내주면에 소정높이로 암나사(20a)가 형성되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결합수단은 나사 결합 이외에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기술적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암나사(20a)의 상단 내주면에 용기하부 저지부(20b)가 돌출 형성되어 용기상부가 용기하부(10)와 나사 결합시 용기하부 저지부(20b)에 의해 용기하부(10)의 나사결합 진행이 저지된다.
분리막부재(30)는 용기하부(10)와 용기상부(20)가 나사 결합된 후 가장자리 부분이 용기하부 저지부(20b)에 의해 압착되어 용기하부(10)의 입구를 밀폐하여 용기의 상하를 분리하도록 용기하부(10)의 개방면을 덮는다. 이러한 분리막부재(30)는 PVC 계통의 비닐재, 플라스틱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내의 물질의 종류 및 상태 등을 고려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압축팽창부재는 용기상부(20)의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팽창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22)로 상하로 압축 및 팽창이 가능하다.
파열수단은 두께가 얇게 형성된 환형 커팅부재(40)로, 용기상부(20)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환형 고정지지대(20c)에 커팅부재(40)의 외주면이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는데, 그밖에도 고정지지대(20c)에 커팅부재(40)를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용기상부와 일체형으로 주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단에 톱니 형상으로 커팅날(40a)이 형성되어 압축팽창부재의 압축시에 커팅부재(40)에 의해 분리막부재(30)가 파열된다. 커팅날(40a)의 소정부위에 커팅방지홈(41)이 형성되어 커팅날(40a)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분리막부재(30)가 커팅된 후에도 용기상부(20)와 하부(10) 사이에 일부 부착됨으로써 완전 이탈되었을 때 분리막부재(30)가 용기상부(20)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의 재활용시 분리막부재(3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용기상부(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덮개 저지부(21a)와 고정덮개 걸림부(21b)가 돌출 형성되고, 용기하부(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하부(10)의 직경보다 크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단 내주면에돌출 형성된 고정덮개 걸림부(21b)가 고정덮개 저지부(21a)와 걸림부(21b) 사이에 끼워져 주름부(22)가 압축되지 않게 고정해 주는 고정덮개(50)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를 조립시에는 먼저, 용기하부(10)에 A물질을 담은 후 분리막부재(30)로 용기하부(10)의 입구를 덮고 용기상부(20)의 암나사(20a)에 용기하부(10)의 수나사(10a)를 돌려 끼워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분리막부재(30)는 용기상부(20)의 용기하부 저지부(20b)에 밀착되어 용기하부(10)가 밀폐됨에 따라 용기의 상하부를 각각 독립된 영역으로 분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용기상부(20)에 B물질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 용기상부(20)를 밀폐하면 조립이 완성되어 서로 다른 A와 B물질은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각각 분리되어 보관되고, 용기 조립후 의도적으로 두 물질을 혼합할 때 이외에 분리 보관시 고정덮개 저지부(21a)에 상단부가 저지되는 고정덮개(50)에 의해 주름부(22)가 압축되지 않게 고정해줌으로써 두 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용기내에 분리 보관된 A와 B물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혼합할 때에는 고정덮개(50)를 아래로 잡아당겨 용기로부터 분리하고, 용기상부(20)내에 내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을 약간 열어 용기상부(20)를 개방한 후, 용기상부(20)를 용기하부(10)쪽으로 밀면 용기상부(20)의 주름부(22)가 압축되면서 커팅날(40a)이 동시에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어 분리막부재(30)의 가장자리를 제거함으로써 용기상부(20)내의 B물질이 용기하부(10)내로 유입되어 혼합된다. 이때,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방지홈(41)으로 인해 분리막부재(30)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일부가 결합된 채로 용기하부(10)의 내벽쪽으로 제껴지게 됨으로써 용기하부(10)의 입구가 개방된다. 분리막부재(30)를 커팅한 후에는 다시 고정덮개(50)를 용기하부(10)에 아래쪽으로부터 끼워 주름부(22)가 압축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용기하부(10)와 용기상부(20)와 분리막부재(30)와 압축팽창부재와 파열수단과 고정덮개(50)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압축팽창부재는 용기하부(10)의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팽창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11)이고, 파열수단은 용기하부(10)의 내측 저면부가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된 첨단의 천공부재(12)로, 압축팽창부재의 압축시에 천공부재(12)에 의해 분리막부재(30)가 파열된다. 여기서 소정 높이는 주름부(11)의 팽창시를 고려한 천공부재(12)의 돌출 높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조립을 완성하여 서로 다른 A와 B물질이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각각 분리되어 보관되는 것과, 고정덮개(50)에 의해 두 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용기내에 분리 보관된 A와 B물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혼합할 때에는 고정덮개(50)를 아래로 잡아당겨 용기로부터 분리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상부(20)를 용기하부(10)쪽으로 밀면 용기하부(10)의 주름부(11)가 압축되면서 분리막부재(30)가 동시에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어 천공부재(12)에 의해 분리막부재(30)가 뚫리게 됨으로써 용기상부(20)내의 B물질이 용기하부(10)내로 유입되어 혼합된다. 이때, 하부용기(10)가 밀폐된 상태에서 주름부(11)가 압축되면 하부용기(10)에 내압이 생겨 분리막부재(30)를 뚫지 못할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막부재(30)와 천공부재(12)의 뾰족한 끝부분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고 하부용기(10)를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용기하부(10)와 용기상부(20)와 분리막부재(30)와 압축팽창부재와 파열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압축팽창부재는 용기하부(10)의 측면을 따라 압축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11)이고, 파열수단은 압축팽창부재가 압축된 상태에서 분리막부재(30)와 용기하부(10)의 저면이 연결부재(6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압축팽창부재의 팽창시에 연결부재(60)에 의해 분리막부재(30)가 파열된다.
여기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0)는 분리막부재(30)와 용기하부(10)의 저면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 타단에 고리(61a, 62a)가 형성되어 상호 고리걸림식으로 연결된 두 개의 고리부재(61, 6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된 바 없지만 그 밖에도 연결부재(60)는 장방향부재로서 양단부가 분리막부재(30)와 용기하부(10)의 저면에 각각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분리막부재(30)에접착제로 부착하는 대용으로서 분리막부재(30)에 소정 형상의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소정 형상의 끼움편부를 연결부재(60)의 일단에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며, 이와 같은 연결부재(6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기술적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용기하부(10)의 하부 중앙에 당김손잡이부(15)가 돌출 형성되어 당김손잡이부(15)를 아래쪽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주름부(11)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당김손잡이부(15)로 인한 용기의 불안정한 지지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하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지지부(16)를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밖에도 이와 같은 당김손잡이(15)는 용기하부(10)의 하부 중앙에 형성하지 않고 측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지지부(16)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조립을 완성하여 서로 다른 A와 B물질이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각각 분리되어 보관되는 것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내에 분리 보관된 A와 B물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혼합할 때에는 당김손잡이부(15)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주름부(11)가 팽창됨과 동시에 용기하부(10)의 저면에 고정된 고리부재(61)도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고, 이로 인해 고리부재(62)의 상단부에 고정된 분리막부재(30)가 아래쪽으로 당겨져 파열됨으로써 용기상부(20)내의 B물질이 용기하부(10)내로 유입되어 혼합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용기하부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하부(10)와 용기상부(20)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용기하부(10)의 상면은 가장자리에 개구부(10b)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부(10b)의 모양 및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구부(10b)는 원형으로 다수 형성된다. 또한, 수나사(10a)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폭과 높이로 씰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용기하부(10)가 용기상부(20)와 나사 결합시 상호 측면부위의 밀봉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밀폐부재(25)는 용기상부(20)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상부(20)가 용기하부(10)와 나사 결합시 용기하부(10)의 개구부(10b)를 밀폐한다. 여기서, 씰링 및 밀폐부재(25)는 밀봉성을 제공하는 재료로서, 합성고무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를 조립시에는 먼저, 용기하부(10)의 상면 개구부(10b)를 통해 A물질을 담은 후 용기상부(20)의 암나사(20a)에 용기하부(10)의 수나사(10a)를 돌려 끼워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용기하부(10)의 개구부(10b)가 용기상부(20)의밀폐부재(25)에 압착되어 개구부(10b)가 밀폐됨에 따라 용기의 상하부를 각각 독립된 영역으로 분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용기상부(20)에 B물질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 용기상부(20)를 밀폐하면 조립이 완성되어 서로 다른 A와 B물질은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각각 분리되어 보관된다. 또한, 용기하부(10)의 상단 외주면에 장착된 씰링에 의해 측면부위의 밀봉성이 향상되어 용기상부(20)내의 B물질이 측면부위로 새어 용기하부(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용기내에 분리 보관된 A와 B물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혼합할 때에는 용기하부(10)를 압착시키는 반대방향으로 돌려 아래쪽으로 진행하게 하면 용기하부(10)의 상면 개구부(10b)가 용기상부(20)의 밀폐부재(25)와의 압착이 해제되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용기상부(20)내의 B물질이 개구부(10b)를 통해 용기하부(10)내로 유입되어 두 물질이 혼합된다.
한편, 용기하부(10)와 용기상부(20)가 결합되기 이전에 용기하부(10)내에 물질을 담아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용기하부(10)의 하부에 주입구(미도시) 및 뚜껑(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를 통해 용기하부(10)내에 물질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하나의 용기 내에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혼합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시 두 물질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상 용이하고 사용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용기 내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미리 혼합비를 맞추어 놓고 사용시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혼합비가 요구되는 두 물질을 즉시 혼합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혼합 음료수의 내용물들을 분리 보관하여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게 하거나 분유와 물을 분리 보관하였다가 급히 수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용기하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하면측이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측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상부;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을 밀폐하여 용기의 상하를 분리하도록 상기 용기하부의 개방면을 덮는 분리막부재;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하로 압축 및 팽창이 가능한 압축팽창부재; 및
    상기 압축팽창부재가 구비된 용기측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압축 또는 팽창시에 상기 분리막부재를 파열시키는 파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팽창부재는 상기 용기상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팽창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이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용기상부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고정되고 두께가 얇게 형성된 커팅부재로, 하측단에 톱니 형상으로 커팅날이 형성되어 압축팽창부재의 압축시에 상기 커팅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막부재가 파열되고, 커팅날의 소정부위에 커팅방지홈이 형성되어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분리막부재가 파열된 후에도 용기의 일부에 결합된 채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팽창부재는 상기 용기하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팽창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이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용기하부의 내측 저면부가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된 첨단의 천공부재로,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압축시에 상기 천공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막부재가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덮개 저지부와 고정덮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하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단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덮개 걸림부가 상기 고정덮개 저지부와 걸림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주름부가 압축되지 않게 고정해 주는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팽창부재는 상기 용기하부의 측면을 따라 압축된 재브라 형상의 주름부이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압축팽창부재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막부재와 용기하부의 저면이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압축팽창부재의 팽창시에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막부재가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6. 상면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용기하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하면측이 상기 용기하부의 상면측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용기상부; 및
    상기 용기하부와 용기상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하부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상부의 측면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돌출 형성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용기하부의 상면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상부의 하면측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하부의 일측에 주입구를 별도로 형성하여 용기 상,하부를 조립한후 하부의 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KR1020020045632A 2002-08-01 2002-08-01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KR2004001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32A KR20040012190A (ko) 2002-08-01 2002-08-01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32A KR20040012190A (ko) 2002-08-01 2002-08-01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190A true KR20040012190A (ko) 2004-02-11

Family

ID=3732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632A KR20040012190A (ko) 2002-08-01 2002-08-01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21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445B1 (ko) 2006-11-24 2008-04-29 씨제이제일제당 (주) 내압수용부가 구비된 모바일 제품용 포장용기
WO2009069953A2 (en) * 2007-11-27 2009-06-04 Jeong-Min Lee Additive for preserving the secondary material contained in the secondary material storage chamber
KR101032059B1 (ko) * 2009-03-13 2011-05-02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레져용 랜턴걸이
KR102275575B1 (ko) * 2020-12-02 2021-07-09 정환희 염색제 용기 및 그 조립체
WO2023244060A1 (ko) * 2022-06-15 2023-12-21 박문식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캡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1477U (ko) * 1987-12-18 1989-11-09
JPH01179880U (ko) * 1988-06-09 1989-12-25
JPH0248580U (ko) * 1988-09-27 1990-04-04
JPH10243990A (ja) * 1997-03-04 1998-09-14 Takeda Chem Ind Ltd 互いに連通可能な3室を有する輸液容器
JPH1111537A (ja) * 1997-04-02 1999-01-19 Simpson Strong Tie Co Inc 円筒容器に使用される障壁/混合器として作用する装置
JP2000128251A (ja) * 1998-10-20 2000-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液混合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1477U (ko) * 1987-12-18 1989-11-09
JPH01179880U (ko) * 1988-06-09 1989-12-25
JPH0248580U (ko) * 1988-09-27 1990-04-04
JPH10243990A (ja) * 1997-03-04 1998-09-14 Takeda Chem Ind Ltd 互いに連通可能な3室を有する輸液容器
JPH1111537A (ja) * 1997-04-02 1999-01-19 Simpson Strong Tie Co Inc 円筒容器に使用される障壁/混合器として作用する装置
JP2000128251A (ja) * 1998-10-20 2000-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液混合容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445B1 (ko) 2006-11-24 2008-04-29 씨제이제일제당 (주) 내압수용부가 구비된 모바일 제품용 포장용기
WO2008063027A1 (en) * 2006-11-24 2008-05-29 Cj Cheiljedang Corporation Variable package for mobile product
WO2009069953A2 (en) * 2007-11-27 2009-06-04 Jeong-Min Lee Additive for preserving the secondary material contained in the secondary material storage chamber
WO2009069953A3 (en) * 2007-11-27 2009-09-24 Jeong-Min Lee Additive for preserving the secondary material contained in the secondary material storage chamber
KR101032059B1 (ko) * 2009-03-13 2011-05-02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레져용 랜턴걸이
KR102275575B1 (ko) * 2020-12-02 2021-07-09 정환희 염색제 용기 및 그 조립체
WO2023244060A1 (ko) * 2022-06-15 2023-12-21 박문식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67746A (ja) 少なくとも2種類の製品を相互に隔離した状態に保ち、 これ等の製品を使用時に混合する、隔離混合装置
CA1288079C (en) Dual compartment container
US4247001A (en) Sealed container with frangible partition
US4971193A (en) System for introducing additive into a container
KR100747092B1 (ko) 용기용 캡 및 제밀봉 가능한 용기
US4483464A (en) Container with a pouring spout
EP0169925B1 (en) Squeezable dispensing apparatus
US20060201967A1 (en) Spout fitting for liquid-containing pouch
RU2563781C2 (ru) Крышечка с емкостью для добав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упаковка
US5934457A (en) Liquid container
KR20040012190A (ko)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
US5909752A (en) Container for the sealing of tires with punctures
KR100655892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공정
US3977578A (en) Container with attached closure
JP3119760U (ja) 容易に混合可能な剤型分室包装袋構造
JPH09317159A (ja) シーリング材注入容器の開封装置とこの装置を用いたシーリング材注入容器及びシーリング材注入容器の開封方法
KR101575013B1 (ko) 원터치 누름캡과 일체형 밀봉막을 구비한 기능성 첨가제 전용 버틀캡
KR100623463B1 (ko) 용기 마개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EP0144746A2 (en) Sterilizable valvular systems for flexible containers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KR20060099796A (ko) 용기마개
KR101513113B1 (ko)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KR101959297B1 (ko)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101321579B1 (ko) 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