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395A - 용기용 실링부재 - Google Patents

용기용 실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395A
KR20120050395A KR1020110117182A KR20110117182A KR20120050395A KR 20120050395 A KR20120050395 A KR 20120050395A KR 1020110117182 A KR1020110117182 A KR 1020110117182A KR 20110117182 A KR20110117182 A KR 20110117182A KR 20120050395 A KR20120050395 A KR 2012005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member
pressing plate
container in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ublication of KR2012005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8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14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용기용 실링부재로서,
상기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뚫고 들어갈 때 용이하게 뚫리도록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에 의하여 커팅될 때 용이하게 커팅되도록 상기 커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용기용 실링부재 {Sealing member for vessel}
본 발명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실링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 약품용기 등에는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실링부재(152)가 부착된다. 상기 실링부재는 용기입구(160)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고, 그 실링부재(152)가 외부의 충격이나 물체 간의 접촉에 의하여 무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마개(154)가 씌워진다.
상기 용기마개(154)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160)에는 수나사부(164)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마개(154)를 돌리면 용기마개(154)가 용기입구(160)에서 분리되거나 용기입구(16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용기 마개(154)는 용기 마개(154)를 잡고 돌리면 용기 마개(154)가 용기입구(16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실링부재(152)를 용기입구(160)에서 제거하고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용기입구(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 마개는 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에 부착되어 밀봉하고 있는 실링부재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링부재는 손으로 제거시 실링부재와 용기입구 테두리부의 접착력이 강하여 실링부재가 테두리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기 않게 됨에 따라 이를 다시 손으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때 용기입구에 손이 접촉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링부재의 제거를 위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제공개공보 제WO2006062357호는 용기마개의 분리시 실링부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국제공개공보 제WO2006062357호에 개시된 실링부재는 용기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에 따라서 실링부재의 재질, 강도 등이 달라질 수 있는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재질, 구조 등에 대응하여 용기마개의 재질 및 구조, 특히 누름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커터의 재질을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국제공개공보 제WO2006062357호에 개시된 용기마개에 있어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재질, 구조 등에 따라서 천공 및 커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름판 및 그 하면에 걸림부 및 커터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의하여 천공 및 절개가 용이한 용기용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용기용 실링부재로서, 상기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뚫고 들어갈 때 용이하게 뚫리도록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에 의하여 커팅될 때 용이하게 커팅되도록 상기 커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를 개시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끝단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하면에 상기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이 도포되며 금속재질을 가지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 상에 접착되는 커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커버층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기 금속층과 접착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종이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다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상을 가지는 절개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와 동심원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용기입구의 중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실질적으로 선으로 형성되거나 이격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입구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실링부재는 누름판 및 그 하면에 걸림부 및 커터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의하여 천공 및 절개되는 실링부재에서 걸림부 및 커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를 미리 형성함으로써 천공 및 절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실링부재는 금속층 및 금속층 상에 접착된 커버층으로 구성될 때 커버층에만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금속층 및 커버층이 서로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절개부에 형성된 부분에서의 구조를 약화시켜 천공 및 절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실링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용 실링부재가 용기입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5은 도 2의 용기용 실링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2의 용기마개의 커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용기마개의 걸림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상태에서 실링부재가 걸림부 및 커터에 의하여 천공 및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용기마개 및 실링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실링부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어 도시되거나 축척이 달리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실링부재(20)는 도 2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입구(12)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용기마개(1)에 의하여 천공 및 커팅에 의하여 용기입구(12)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20)를 용기입구(12)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용기마개는 도 2,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16)와, 본체(16)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본체(16)를 개방시키면 실링부재(20)를 천공 및 커팅에 의하여 용기입구(12)로부터 제거하는 실링부재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음료수 용기, 약품용기 또는 오일용기 등에 사용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는 용기입구(12)를 실링하여 상기 용기(1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20)가 부착된다.
상기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8)가 형성되고, 본체(1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되어 본체(16)를 돌리면 마개가 용기입구(12)에 장착되거나,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6)의 하단에는 파단이 용이한 다수개의 브리지에 의하여 연결된 스커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서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커트는 용기입구(12)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에 의하여 걸림된 상태로 용기입구(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스커트는 본체(16)를 회전시키면 뜯겨지면서 본체(16)와 용기입구(12) 사이를 분리시킨다. 상기 본체(16)의 외주면에는 본체(16)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요철 형태의 돌기들(36)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6)는 용기입구(12)와 나사결합 이외에, 누름에 의하여 개폐되는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입구(12)의 끝단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6)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와 스냅식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본체(16)가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될 때 실링부재(20)는 본체(16) 내에 내장된 상태로 용기입구(12)와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와 스냅식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대하여 회전하여 미리 실링부재(20)를 용기입구(12)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제거부는 본체(16)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누름판(40)과, 용기입구(12)의 원주방향으로 누름판(40)의 하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누름판(40)을 누르면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고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20)를 커팅하는 커터(42)와, 누름판(40)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4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20)를 본체(16)의 내부에 수납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걸림되는 걸림부(44)와, 누름판(40)의 외주면과 본체(16)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누름판(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40)의 이동된 위치를 지지해주는 연결부(46)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40)은 본체(1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6)의 상면 높이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6)의 상면에는 덮개(미도시)가 장착되어 누름판으로 보호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40)은 용기입구(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의 형상을 이루거나 제WO20060623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편심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터(42)는 용기입구(12)의 원주방향으로 누름판(40)의 하면에, 예를 들면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지지부(50)와, 지지부(50)의 하단에 뾰족하게 형성되어 누름판(40)을 누르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는 제1커터(52)와, 지지부(5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본체(16)를 회전시키면 용기 입구(12)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실링부재(20)를 원형으로 커팅하는 제2커터(5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6)는 본체(16)의 내주면과 누름판(40)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는 돔 형태의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판(4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누름판(4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46)는 누름판(40)의 현재 위치를 탄성적으로 유지해준다. 즉, 누름판(40)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인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경우 연결부(46)는 볼록한 돔 형태를 유지하면서 누름판(40)의 현재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누름판(40)을 일정 힘 이상으로 누르면 오목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누름판(40)이 눌려진 위치를 유지해준다.
상기 걸림부(44)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의 중앙에서 누름판(4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누름판(40)을 누르면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가는 지지로드(56)와, 지지로드(56)의 끝부분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커터(42)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20)가 본체(16) 내부에 저장되도록 실링부재(20)가 걸림되는 걸림로드(5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로드(56)는 용기입구(12)의 중심에서 누름판(4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원봉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부분에는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뾰쪽한 형태의 펀치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로드(58)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20)를 뚫고 들어갈 때는 상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펀치부(60)에 의해 뚫린 구멍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실링부재(20)의 안쪽으로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실링부재(20)의 안쪽면에 걸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용기마개에 의하여 용기입구로부터 실링부재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먼저 누름판(40)을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연결부(46)가 탄성 변형되면서 누름판(4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40)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커터(42)가 실링부재(20)의 가장자리를 뚫고 들어간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누름판(4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부(44)가 실링부재(20)의 중앙을 뚫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걸림부(44)의 걸림돌기(58)는 지지로드(56)의 펀치부(60)가 뚫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작용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본체(16)를 잡고 열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커터(42)의 제2커터(54)가 실링부재(20)를 원형으로 절개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6)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면 용기입구(12)에서 제거된 실링부재(20)가 걸림부(44)의 걸림돌기(58)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16)와 같이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어 본체(16) 내부에 수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실링부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링부재(20)는 용기입구(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걸림부(44)가 뚫고 들어갈 때 용이하게 뚫리도록 걸림부(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절개부(70)가 형성되며, 커터(42)에 의하여 커팅될 때 용이하게 커팅되도록 커터(4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개부(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는 커터(42) 및 걸림부(44)에 의한 천공 및 절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용기마개(1)에 대한 실링부재(20)의 밀봉기능을 유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20)는 용기입구(12)를 밀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일예로서, 하면에 용기입구(12)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23)이 형성되며 금속재질을 가지는 금속층(21)과, 금속층(21) 상에 접착되는 커버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절개(70)부 및 제2절개부(80)는 커버층(22)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21)은 실링부재(20)의 일부를 구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등과 같이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22)은 금속층(21) 상에 형성되거나 접착되는 구성으로서, 종이와 같은 부직포,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접착제(24)에 의하여 금속층(21)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층(22)은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를 포함하는 부분(20A, 20B)에서 금속층(21)과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를 포함하는 부분(20A, 20B)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 부근에 위치되며 실링부재(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20B), 제2절개부(80)와 동심원을 이루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커버층(22)이 금속층(21)과 접착되지 않으면, 절개되는 부분인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 부근에서의 강도를 약화시켜 커터(42) 및 걸림부(44)에 의한 천공 및 절개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1절개부(70)는 걸림부(4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걸림부(44)의 천공시 천공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용기입구(12)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된 'X'자 형상 등 하나 이상의 선 형상을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70)는 용기입구(12)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다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부(80)는 용기입구(12)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상을 가지는 절개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개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원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입구(12)와 동심원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개부(80)는 동심을 이루는 복수의 절개원들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절개부(80)가 하나 이상의 호로 이루어지면, 용기입구(12)와 동심원에서 호를 제외한 부분이 브리지로서 호를 중심으로 내측과 외측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의 형성 후 금속층(21)과의 접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20)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된 후 용기마개(1)에 의하여 제거될 때, 용기입구(12)와 동심원에서 제2절개부(80)를 구성하는 호를 제외한 부분이 커터(42)에 의하여 커팅됨을 물론이다.
상기 제2절개부(80)는 커터(4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용기입구(12)의 내주면과 용기입구(12)의 중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는 실질적으로 선으로 형성되거나 이격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70) 및 제2절개부(80)는 실링부재(20), 특히 커버층(22)에 절단된 상태 또는 일부만 절단된 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입구(12)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는 용기마개(1)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용기입구(12)에 용기마개(1)가 결합된 후 인덕션방식에 의하여 실링부재(20)가 용기입구(12)에 부착될 때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5)는 용기마개(1)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될 때 용기마개(1)의 내면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은선(25a)을 따라서 용기입구(12)의 외주면 쪽으로 접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링부재(20)는 본체(16)를 용기입구(12)에 장착한 상태로, 일정한 강도의 자기장을 가하거나(인덕션 가열방식), 전도에 의한 가열(컨덕션방식)에 의하여 금속층(26)이 가열되면서 접착층(28)이 녹아 용기입구(12)에 부착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용기마개 12 : 용기입구
20 : 실링부재
70 ; 제1절개부 80 : 제2절개부

Claims (13)

  1.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용기용 실링부재로서,
    상기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입구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실링부재를 뚫고 들어가고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실링부재를 커팅하는 커터와; 상기 누름판의 하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터에 의해 커팅된 실링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누름판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가 뚫고 들어갈 때 용이하게 뚫리도록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에 의하여 커팅될 때 용이하게 커팅되도록 상기 커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누름판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끝단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하면에 상기 용기입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이 도포되며 금속재질을 가지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 상에 접착되는 커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커버층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상기 금속층과 접착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층은 종이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다각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상을 가지는 절개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와 동심원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용기입구의 내주면과 상기 용기입구의 중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실질적으로 선으로 형성되거나 이격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입구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실링부재.
KR1020110117182A 2010-11-10 2011-11-10 용기용 실링부재 KR20120050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357 2010-11-10
KR20100112357 2010-11-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75A Division KR20190020307A (ko) 2010-11-10 2019-02-15 용기용 실링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395A true KR20120050395A (ko) 2012-05-18

Family

ID=460514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182A KR20120050395A (ko) 2010-11-10 2011-11-10 용기용 실링부재
KR1020190017875A KR20190020307A (ko) 2010-11-10 2019-02-15 용기용 실링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75A KR20190020307A (ko) 2010-11-10 2019-02-15 용기용 실링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91441A1 (ko)
EP (1) EP2639178A4 (ko)
JP (1) JP2013545680A (ko)
KR (2) KR20120050395A (ko)
CN (1) CN103635397A (ko)
WO (1) WO201206413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31A (ko) * 2014-02-12 2015-08-20 안진희 새로운 형상의 라이너(실링부재)를 자동으로 생산하는 시설
KR20170002301U (ko) * 2015-12-18 2017-06-28 대상 주식회사 실링 식별이 용이한 리드지와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0823B (zh) * 2013-07-23 2015-04-15 陈炳棠 一种新型饮料瓶瓶盖及其使用方法
KR101903300B1 (ko) * 2014-07-22 2018-10-01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연성 재료를 갖는 성형 플루오로중합체 브레이크 실
USD766720S1 (en) 2015-07-30 2016-09-20 Entegris, Inc. Breakseal for a liquid dispensing system
JP2020015548A (ja) * 2018-07-27 2020-01-30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
WO2023173042A1 (en) 2022-03-09 2023-09-14 Country Enterprises, Inc. Foil cut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649A (ko) * 2004-04-19 2004-06-23 이정민 평원반(disk)을 시일부재로한 용기
US6929137B1 (en) * 1999-04-20 2005-08-16 Pechiney Emballage Alimentaire Composite sealing cap
KR100677922B1 (ko) * 2005-11-01 2007-02-05 노희권 용기마개
KR20080009968A (ko) * 2006-07-25 2008-01-30 노희권 용기마개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605A (en) * 1969-10-29 1971-06-01 Allied Chem Opening device for membrane-sealed plastic bottles
JPS61169057U (ko) * 1985-04-10 1986-10-20
US4687113A (en) * 1986-07-29 1987-08-18 Calmar, Inc. Tamper evident closure
US4770305A (en) * 1987-06-19 1988-09-13 Su Yung Fr Bottle cap
FR2625178B1 (fr) * 1987-12-23 1990-07-13 Cebal Emballage comprenant un tube, une capsule a vis, et un opercule a souder sur le goulot du tube, et procede de fermeture dudit tube
FR2647089B1 (fr) * 1989-05-17 1991-11-15 Rical Sa Verseur pour des flacons et recipients analogues, avec un element perceur pour percer un opercule du goulot des recipients
DE9317785U1 (de) * 1993-11-20 1994-01-27 Muehlhoff Hartmut Dipl Ing Öffnungshilfe für versiegelte Verschlüsse
GB2305655B (en) * 1995-09-27 1999-05-05 Francis Clark Opening device
JPH10101121A (ja) * 1996-10-02 1998-04-21 Shikoku Kakoki Co Ltd 容器開封装置
US5806699A (en) * 1996-12-06 1998-09-15 Ekkert; Len Closure vent arrangement and forming method therefor
US6386385B1 (en) * 2000-03-27 2002-05-14 Minimizim,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tamper-proof seals from containers
JP3875523B2 (ja) * 2001-07-19 2007-01-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シーリング剤の収容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パンク修理システム
US6840373B2 (en) * 2002-05-16 2005-01-11 Gregory A Gibler Beverage storage and discharge cap assembly
US20040026422A1 (en) * 2002-07-09 2004-02-12 Technology Center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KR200301602Y1 (ko) * 2002-10-25 2003-01-24 주식회사 옥봉화학 용기 개폐구조
EA007400B1 (ru) * 2003-02-14 2006-10-27 Хее Квон Рхо Пробка сосуда
KR101042631B1 (ko) * 2003-03-21 2011-06-20 노희권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뚜껑과 이 용기 입구 사이에 밀봉처리된 밀봉 부재를 뚫거나 자르거나 제거하는 뚜껑 내의장치
WO2006062357A1 (en) * 2004-12-09 2006-06-15 Hee Kwon Rho Vessel cap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23463B1 (ko) * 2004-12-09 2006-09-19 노희권 용기 마개
KR101300639B1 (ko) * 2005-04-08 2013-09-10 노희권 용기 마개
CA2601141A1 (en) * 2005-03-15 2006-09-21 Hee Kwon Rho Child-resistant cap
KR20060099794A (ko) * 2005-03-15 2006-09-20 노희권 어린이 보호용 마개
NZ540021A (en) * 2005-05-16 2008-01-31 Sji Ltd Dispensing closure, or cap, for use on containers such as bottles
KR100655892B1 (ko) * 2005-11-18 2006-12-11 노희권 용기마개 및 그 제조공정
KR20080104761A (ko) * 2007-05-29 2008-12-03 노희권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KR20090013445A (ko) * 2007-08-01 2009-02-05 노희권 용기마개
KR20110006197U (ko) * 2009-12-14 2011-06-22 (주)아모레퍼시픽 버진 확인과 동시에 실링부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한 원터치 캡을 갖는 튜브용기
US8443970B2 (en) * 2010-01-19 2013-05-21 Karma Culture, Llc Dispensing caps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137B1 (en) * 1999-04-20 2005-08-16 Pechiney Emballage Alimentaire Composite sealing cap
KR20040052649A (ko) * 2004-04-19 2004-06-23 이정민 평원반(disk)을 시일부재로한 용기
KR100677922B1 (ko) * 2005-11-01 2007-02-05 노희권 용기마개
KR20080009968A (ko) * 2006-07-25 2008-01-30 노희권 용기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31A (ko) * 2014-02-12 2015-08-20 안진희 새로운 형상의 라이너(실링부재)를 자동으로 생산하는 시설
KR20170002301U (ko) * 2015-12-18 2017-06-28 대상 주식회사 실링 식별이 용이한 리드지와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07A (ko) 2019-02-28
WO2012064132A3 (ko) 2012-09-20
EP2639178A2 (en) 2013-09-18
JP2013545680A (ja) 2013-12-26
CN103635397A (zh) 2014-03-12
EP2639178A4 (en) 2014-07-09
WO2012064132A2 (ko) 2012-05-18
US20130291441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307A (ko) 용기용 실링부재
US20100237072A1 (en) Closure of vessel
CA2349556A1 (en) Closure device for a membrane sealed container
US20150083724A1 (en) Flip top closure for container
KR20060099794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RU2663109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KR100677922B1 (ko) 용기마개
US20100000996A1 (en) Closure of vesse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20080009968A (ko) 용기마개
KR20090013445A (ko) 용기마개
JP4941697B2 (ja) 缶蓋開封具
EP1234778B1 (en) Pierce and cut closure
RU2690571C1 (ru) Контейнер с нажимной верхней частью крышк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многократного вдавливания
KR101286202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80104761A (ko)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CN209038181U (zh) 一种瓶及瓶盖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S63218054A (ja) 最初孔を開けることのできる蓋で閉じられている容器用の栓
KR20060099796A (ko) 용기마개
KR20140034880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60131010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1321579B1 (ko) 용기마개
KR20130092521A (ko) 용기마개
KR20120030495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H0672458A (ja) 封緘蓋付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