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129A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129A
KR20010072129A KR1020017001309A KR20017001309A KR20010072129A KR 20010072129 A KR20010072129 A KR 20010072129A KR 1020017001309 A KR1020017001309 A KR 1020017001309A KR 20017001309 A KR20017001309 A KR 20017001309A KR 20010072129 A KR20010072129 A KR 2001007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ace portion
wall
wat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허버츠 엘리자벳 밴 덴 엔드
Original Assignee
피터 허버츠 엘리자벳 밴 덴 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허버츠 엘리자벳 밴 덴 엔드 filed Critical 피터 허버츠 엘리자벳 밴 덴 엔드
Publication of KR2001007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제 1직립벽에 의해 구획된 제 1공간부와 제 2직립벽과 바닥에 의해 구획되는 제 2공간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공간부는 다공판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에 있어서 제 3직립벽과 바닥에 의해서 구획된 제 3공간부는 제 2공간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 2공간부는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을 수용한다.

Description

화분{PLANT POT}
그러한 화분은 가령, WO96/32834호로 공개된 국제 특허출원번호 제 PCT/CA96/00243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공보는 다공판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공간부를 포함하는 화분을 개시한다. 그러한 화분의 제 1공간부는 배양토로 채워진 다음에, 식물이 심어지게 되며, 제 2공간부는 물로 채워진다. 식물이 성장하는 동안에, 뿌리 시스템은 상기 배양토 내에서 성장하게 되는데, 이는 식물이 배양토로부터 영양물을 얻음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 뿌리는 다공판을 통해서 제 2공간부로 관통됨으로써,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또, WO96/32834호에 따르는 화분은 공기 및 물을 공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분과 개구를 포함한다.
그러한 화분의 결점은 다공판을 통해 성장하고 계속적으로 물속에 잠겨있는 뿌리가 뿌리부패에 매우 민감하다는 사실에 있다. 덧붙여서, 물 충진공간은 보다 빨리 오염되므로, 화분 내의 식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박테리아와 균류가 그속에서 쉽게 성장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화분은 적절한 공기순환을 보증하기 위한충분한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순환은 식물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고 식물에게 유해한 박테리아 및/또는 균류의 배양, 뿌리 부패의 확산을 배제하면서 식물이 튼튼하게 성장 발달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구조의 개선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 1직립벽에 의해서 구획된 제 1공간부와 제 2직립벽에 의해서 구획된 제 2공간부 및 바닥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공간부는 다공판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 1a-1d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a와 2b는 함수량 표시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의 확대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의 확대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의 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화분은, 제 3직립벽과 바닥에 의해서 구획된 제 3공간부는 제 2공간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 2공간부는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을 수용하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공간부를 둘러싸는 제 3공간부의 제공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강하고 향상된 공기순환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뿌리가 다공판을 통해서 수분을 함유하면서 공기가 투과할 수 있는 공간내로 성장할 수 있는 제 2공간 내로 자랄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뿌리 부패 및/또는 박테리아와 균류의 배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이상적인 성장발달을 유도하여, 식물의 수율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공판은 가요성 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요소가 다공판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 지지요소는 제 1 또는 제 2벽에 피봇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제 1 또는 제 2벽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이것은 제 2공간부 내로 성장하는 식물에 대한 약간의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한다.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분은 제 2 및/또는 제 3직립벽을 넘어서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요소를 구비하며, 이것은 수분-흡수물질의 함수량(含水量)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이다. 이 표시요소는 지지요소나 다공판의 일부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공간부내에 배치되는 수분을 유지하면서 공기 투과성인 물질의 함수 특성으로 인해, 상기 물질의 용적량은 그것이 흡수한 수분의 함양에 따라 좌우된다. 식물의 뿌리 시스템에 의해서 수분이 빨아올려지는 동안에, 함수량 및 제 2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물질의 체적은 계속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다공판의 가요성 구조로 인해서, 제 1공간부 및 배양토에서 자라나는 식물은 상기 체적의 변화에 따라서 마찬가지로 움직일 것이다. 배양토는 상기 이동의 결과로서 일을 시작하게 되며, 그러한 구조로 인해서, 공기 공급 및 배양토의 환경에 이익을 가져온다. 다음에, 이것은 식물의 성장 발달에 이익이 된다.
표시요소의 제공으로 제 2공간부에 있는 물질의 함수량의 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 2직립벽은 다수의 개구를 구비한다. 이것은 뿌리에 대한 공기 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제 2공간부로의 수분의 공급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은 제 1 및 제 2직립벽이 서로 연속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제 3직립벽은 제 1공간부를 둘러쌀 수 있으며, 또는 제 1 및 제 3벽은 서로 연속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화분구조는 식물의 발달에 좋은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가령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서 그러한 화분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 3직립벽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투명일 수 있다. 그러한 일부 투명한 제 3직립벽의 구조에 의해서 제 3공간부에 수분레벨 표시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은 제 2공간부의 바닥이 제 3공간부의 바닥과 일체부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화분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공간부의 바닥은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에 의해서 제 3공간부의 바닥과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가령 다른 화분에 옮겨심기 위해서 식물과 함께 제 1 및 제 2공간부로 구성된 조립체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제 1직립벽은 제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식물을 그의 성장 발육 과정중에 큰 화분으로 옮겨심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1d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러 실시예에서 동일부품은 동일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은 직립벽(4)에 의해 구획된 제 1공간부(1)를 구비한다. 또 화분은 직립벽(5)과 바닥(7)에 의해 구획되는 제 2공간부(2)를 구비한다. 2개의 공간부(1 및 2)는 다공판(9)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다공판(9)은 지지요소(10)에 의해서 지지되는데, 이것은 직립벽(4 또는 5)에 피복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지요소(10)는 직립벽(4 또는 5)상에 느슨하게 지지될 수도 있으며, 직립벽(4 또는 5)의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거나 연장되지 않음으로써,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화분의 사용중에, 공간부(1)는 배양토(11)로 채워지는데, 여기에는 식생될 식물의 꺽꽂이용 가지를 심는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2)는 직립벽(6)과 바닥(8)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3공간부(3)에 의해서 둘러쌓여 있다.
화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물은 가령, 워터호스나 워터캔 등으로 그 내에 존재하는 개구(14)를 통해서 공간부(3)에 주입된다. 공간부(2)의 직립벽(5)은 다수의 개구(도시생략)를 구비한다. 공간부(3)로 주입된 물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공간부(2)로 유입된 후에 물질(12)에 흡수되어 유지된다. 물질(12)에 의한 수분의 수화작용으로 물질의 부피가 증대되어, 공간부(2)전체를 실질적으로 점유하게 된다. 수화되지 않은 물은 공간부(3)뒤쪽에 잔류한다. 식물이 성장하는 동안에, 이 꺽꽂이용 가지는 배양토(11)내에서 뿌리 시스템을 발달시킨다. 상기 뿌리 시스템 부분은 배양토(11)내에서 뿌리를 내리게 되며, 배양토로부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 및/또는 광물을 빨아올린다.
또한, 뿌리는 다공판(9)을 통해서 공간부(2)내로 성장하여, 수분-흡수물질(12)로부터 뿌리로 공급될 수분을 빨아올린다. 그 결과, 뿌리는 물의 층 속에 잠김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유해한 뿌리의 부패 및 박테리아와 균류의 배양이 진전되는 것을 막는다. 게다가, 뿌리는 수분-흡수물질(12)로부터 빨아올려지는 수분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것은 식물의 성장에 좋은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수분의 부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식물이 필요로 하는 산소는 개구(14)와, 공간부(3) 및 직립벽(5)내의 개구를 통해서 공간부(2)내의 뿌리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다. 물질(12)의 공기-투과성 특성뿐만 아니라, 공간부(2)를 완전히 둘러싸는 공간부(3)에 의해서 이상적인 공기의 순환을 가능케 한다. 그러므로, 식물에게는 필수적인 호기성 환경이 만들어져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1)내의 배양토(11)에 대해서는 더 이상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공간부(1)내의 배양토(11)가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배양토 내에 존재하는 영양물과 광물이 씻겨나가 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한다. 배양토(11)의 감소가 방지됨으로써, 식물에 대한 pH값뿐만 아니라 배양토의 공기구조 및 이와 관련되는 호기성 환경이 적절히 유지된다. 이들 모든 요소는 식물에 대해 최적의 성장발달 환경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간부(2)의 직립벽(5)은 공간부(1)의 직립벽(4)으로 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를 형성한다. 게다가, 화분은 공간부(3)의 직립벽(5)과 바닥(8)을 연결하는 스냅 연결체나 클램프형 연결체(13)를 구비한다. 이것은 다른 화분에 옮겨심기 위해서 공간부(1 및 2)의 조립체를 공간부(3)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약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공간부(1)는 공간부(2)보다 약간 넓고, 공간부(3)의 직립벽(6)은 공간부(1)의 직립벽(4)과 일직선을 이룬다. 그들은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화분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이나 개구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14)는 공간부(2)주변의 공기순환을 가능케 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은 개구(14b)를 통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개구는 피봇식 플랩(15)에 의해서 덮어놓을 수 있다. 비록, 이 화분에서는 공간부(1 및 2)를 공간부(3)로부터 다시 이동시키기 위한 스냅 연결체나 클램프형 연결체(13)를 다수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스냅 연결체나 클램프형 연결체(13)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 경우에 공간부(2)의 바닥(7)과 공간부(3)의 바닥(8)은 서로 일체적인 부분으로 형성하며, 화분은 독립적인 구성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직립벽(6)의 외형은 직립벽(4)의 외형을 따르게 된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와 다소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화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양자의 차이점으로는 도 1c의 공간부(1)가 공간부(2)보다 넓은 폭을 지니며 직립벽(6)의 외형은 직립벽(4)의 외형을 따르는 것을 들 수 있다.도시된 화분은 바닥(7)과 바닥(8)을 연결하는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13)의 채용으로 인해서 다른 화분에 옮겨심을 수 있는 형태이다. 직립벽(4)은 배양토(11)에서 식생되는 식물을 다른 화분에 옮겨심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화분으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공간부(1)와 공간부(2)는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13)를 풀어서 전체적으로 공간부(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직립벽(4)은 직립벽(5)의 후방 플랜지(5a)와 걸어맞춤되는 플랜지형 에지(4a)를 구비한다. 공간부(2)와 배양토(11)에 의해 형성된 분리형 뿌리 볼과 설비는 직립벽(4)을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옮겨심은 식물의 뿌리 시스템에 의해서 서로 유지되는 상기 뿌리 볼은 직립벽(4)과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제 이것은 보다 크거나 넓혀졌다. 그 경우에, 상기 신규하고 보다 큰 직립벽(4)은 마찬가지로 플랜지형 에지(4a)를 갖는데, 이것은 직립벽(5)의 후방 플랜지(5a)와 걸어맞춤된다. 다음에, 공간부(1 및 2)의 큰 조립체는 공간부(3)의 후방에 놓여지게 되고,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13)로 바닥(7)과 바닥(8)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화분으로 옮겨심은 후에는 보다 큰 화분이 형성되며, 이것은 식물의 추가적인 성장을 가능케 한다. 그러한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13) 및 제거가능한 직립벽(4)의 이점으로는 식물이 원하는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식물을 다른 화분으로 옮겨심는 동작을 몇번이나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록, 직립벽(4)이 도시한 실시예에서 에지(4a)에 의해 직립벽(5)의 후방 플랜지(5a)와 걸어맞춤되나, 직립벽(4)과 직립벽(5)사이의 연결은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에 의해서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4)은 플랜지형 에지(4b)와 함께 그의 상부측에 제공되며, 이 벽(4)에 의해서 또 다른 용기나 장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에지(4b)는 포트가 매달릴 수 있는 끈이나 와이어(4c) 또는 숫자를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공간부(2)의 직립벽(5)은 공간부(1)의 직립벽(4)과 이어지며, 공간부(3)의 직립벽(6)은 제 1 및 제 2공간부를 완전히 둘러싼다. 그러므로, 이중-벽 화분이 얻어지는데, 여기에서 공간부(3)는 물로 채워질 수 있다. 공간부(3)의 벽(6)은 가령, 투명 스트립 물질로 만들어진 실질적 투명한 것일 수 있으며, 이것은 직립벽(6)의 선을 따른다. 상기 투명 스트립 물질(6a)은 공간부(3)내에 존재하는 물(16)의 수위(16a)를 판독하기 위한 수위 게이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식물이 말라가는지를 간단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적시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도 2a와 2b는 도 1a에 따르는 화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서 화분은 공간부(2)내에 있는 물질(12)의 함수량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정확한 용도를 보증하기 위해서, 수분-흡수성 및 공기-투과성일 뿐만 아니라 함수량에 따라 그의 체적이 변하는 물질(12)로 충진되어 있다. 물이 완전히 채워진 경우에, 물질(12)은 공간부(2)를 (실제로)완전히 점유하게 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매우 적합한 물질의 예로는 과립형 중합체 생성물이 있는데, 이것은 브로드리프 P4(Broadleaf P4)란 상표로 시판된다. 식물이 성장하는 동안에, 식물의 뿌리는 공간부(1)로부터 다공판(9)을 통해서공간부(2)내로 자라게 되며, 이곳에서 물질(12)로부터 수분뿐만 아니라 공기를 얻는다. 수분-흡수성 및 공기-투과성 물질(12)의 함수량은 공간부(3)에도 존재하고 벽(5)에도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공간부(2)에 도달할 수 있는 물에 의해서 유지되며, 공간부(2)내에서 상기 물은 수분-흡수물질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식물은 그의 뿌리를 통해 빨아올림으로써 그 자신의 물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은 외부의 간섭없이도 장기간에 걸쳐 작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점에 있어서, 공간부(3)에 존재하는 모든 물은 직립벽(5)에 있는 개구를 통해서 물질(12)에 의해 흡수되고, 수분-흡수물질(12)의 함수량은 뿌리에 의한 추가적인 뿌리의 흡인작용에 따라서 감소된다. 따라서, 공간부(2)내에서 수분-흡수물질(12)의 체적 감소는 줄어들게 된다. 다공판(9)은 지지요소(10)와 같이 가요성 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상술한 방법으로 구조내에서 협동한다. 따라서 지지요소(10)는 지시요소(21)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것은 직립벽(5 또는 6)을 넘어서 길이(A)만큼 연장된다. 공간부(2)의 중앙 또는 중심 근방에서, 지지판(10)은 바닥(7)쪽으로 연장되는 캠(22)을 구비한다. 지시요소(21)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요소의 연장 형태일 수 있다. 그들은 지지요소의 연신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것은 공간부(2)를 통해서 캠(22)과 연결되는 벽(5 또는 6)을 지나서 연장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2)에 있는 물질(12)의 체적은 물질(12)로부터의 추가적인 수분의 흡인에 의해서 감소된다. 식물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자체의 중량 및 배양토(11)의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중량의 영향하에서 이러한 운동은 캠(22)이 바닥(7)에 안착될 때까지 가요성 판(9)과 지지요소(10)가 구부러지는 원인이 된다. 이후에 추가적인 굽힘은 불가능하다. 지지요소가 벽(5)위에서 느슨하게 지지될 때에, 가령, 지시요소는 지지요소(10)의 굽힘 및 변형으로 인해서 그들이 공간부(3)(및 공간부(2))에 위치될 때까지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캠(22)이 바닥(7)에 놓여질 때, 지시요소(21)만이 길이(A')만큼 연장되는데, 이것은 직립벽(6)을 넘어서 이 위치에서 보다 작아진다. 그러므로, 지시요소(21)상의 색 코드나 눈금을 제공함으로써, 물질(12)로부터 식물의 뿌리까지 식물이 공급되는 동안에 물질(12)의 함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에 도달하면, 길이(A')(또는 다른 표시)는 작업요원에 의해서 화분에 반드시 물을 재공급해야 함을 나타낸다. 화분에서의 어떠한 수분 부족도 지시요소(21)상의 적절한 코드나 표시를 사용함으로써 적시에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물질(12)의 함수량은 직립벽(5 또는 6)의 에지에 대한 지시요소의 이동과 연관된다.
지지요소가 직립벽(5 또는 4)에 피봇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굽힘에 의한 지지요소(10)(및 지시요소(21))의 변위는 불가능하지만, 지시요소(21)는 상기 피봇 조인트에 대해서 피봇하게 된다. 다음에 지시요소의 각변위는 물질(12)의 함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다공판(9)의 후속 굽힘과 식물 및 배양토(11)뿐만 아니라 감소되는 함수량으로 인한 물질(12)의 체적감소는 배양토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부가적인 이익을 갖는다. 즉, 상기 굽힙은 상기 배양토 내에 크랙형성을 초래하며, 이것은 배양토(11)의공기순환에 대해 좋은 효과를 제공한다. 수분(물)이 개구(14)를 통해 공급된 후에, 상기 물은 공간부(3)와 벽(5)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공급되어, 상기 물질의 체적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배양토(11)및 식물과 함께 수분-흡수물질(12)의 팽창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상승한다. 물질(12)은 다시 공간부(2)를 (실질적으로)완전히 점유하게 된다. 또 상기 물질(12)이 팽창되는 동안에, 크랙과 틈이 배양토(11)에 형성되며, 이것은 그의 공기순환을 강화시킨다. 그러므로, 박테리아 및/또는 균류 배양이 진전되는 어떠한 위험부담 없이도 식물의 적절한 성장발달에 필수적인 호기성 환경이 유지된다.
상술한 수위 지시요소의 채용 결과로서, 물 부족의 위험이 배제되며, 충분한 물이 직립벽(6)의 에지나 직립벽(6)과 벽(4)사이의 개구를 통해서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더욱 산업적인 크기를 갖는 몇 개의 화분을 나타낸다. 이 도면은 바닥(8)과 직립벽(6)에 의해 구획되는 큰 공간부(3)를 나타낸다. 몇 개의 공간부(1 및 2)의 조립체는 공간부(3)내에 배치되며, 이 조립체는 스냅 연결체나 클램프형 연결체(13)에 의해서 공간부(3)의 바닥에 연결되어 있다. 물이 채워지는 공간부(3)에 의해서 식물은 상술한 방식으로 다양한 화분 내에서 성장한다. 스냅 연결체나 클램프형 연결체는 식물의 이동 및/또는 다른 화분에 옮겨심는 것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화분의 공간부(2)는 (2개의 좌측편 화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천공되어 있는 자체의 바닥(7)을 가질 수 있으나, 공간부(3)에 대해서는 2개의 우측편 화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체의 바닥을 갖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 공간부(2)의 내용물은 바닥(8)위에 직접 지지되어 있다.
영양물을 물속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물질(12)을 기질(基質)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수분의 공급뿐만 아니라 영양물 및 광물을 뿌리로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여기에는 큰 공간부(3)내에 몇 개의 화분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 6공간부(6)는 수분-흡수물질(12)이 들어있는 하나의 확대된 제 2공간부(2)를 둘러싸고 있다. 공간부(2 및 1)는 가요성이거나 그렇지 않은 다공판(9)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단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가요성 판(또는 판들)(9)은 지지요소(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개의 식물이 공간부(1)내의 영양물 매체(11)내에 나란한 관계로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조는 커다란 크기의 식물 등을 재배하는 재배자에게 매우 적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2개의 도면 a 및 b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온실의 플로어(20)내에 또는 그 위에 이미 존재하는 용수(用水)채널(21)을 이용한다. 상기 용수채널은 플로어 상의 어떤 높이에도 배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공간부(1 및 2)는 채널(21)을 구비하며, 제 1공간부(1)의 제 1직립벽은 플로어(20)위에 놓여지는 플랜지(4a)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제 1공간부(1)와 제 2공간부(2)의 조립체는 채널(21)내에 "떠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공간부 조립체를 채널(21)의 바닥 위에 직접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로 인해 채널(21)은 화분의 제 1 및 제 2공간부를 둘러싸는 제 3공간부(3)를 형성한다. 제 2공간부(2)내에 들어있는 수분-흡수물질(12)은 다공판(9)에 의해서 제 1공간부(1)에 존재하는 식물(22)용 영양물 매체(11)와 분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요성 물질이거나 그렇지 않아도 되며, (도 5b에서 보면)식물은 상기 채널 위에 길고 좁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채널에 존재하는 물(16)은 제 2공간부의 바닥(5a)이나 벽(5)에 있는 개구를 통해서 물질(12)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화분의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화분의 제 1 및 제 2공간부(1, 2)는 일측면에 개구를 지닌 플라스틱 백(24)으로 만들어졌는데, 백 내의 가요성 판(9)은 상기 제 1 및 제 2공간부(1, 2)를 서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플라스틱 백(24)은 폐쇄된 바닥면 근처에 수분과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관통공(25)을 구비한다. 제 2공간부(2)는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12)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제 1공간부는 영양물 매체(배양토)(11)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플라스틱 백(24)은 제 3공간부(3)를 형성하는 용기(6)내에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용기는 온실의 바닥(26)에 만들어진 배양탱크나 공간부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화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온실의 플로어(26)에 제공되는 몇 개의 용수채널(21)이 사용된다. "통행 둑"(26a)은 작업자가 이용하기 위해 연장된 채널(21)사이에 존재한다. 채널(21)내에 배치되는 제 3공간부(3)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의 제 1 및 제 2공간부와 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채널(21)은 상기 제 1 및 제 2공간부를 둘러싼다. 여기에서 상기의 도면에 도시된 부품과 상응하는 부품은 동일번호로 나타낸다. (영양물을 함유하는)수분의 길은 용수채널(21)로부터 개구(2a)를 통해 제 2공간부내에서 발견되는데, 물은 이곳에 있는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12)에 의해 흡수된다.
화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라스틱 물질은 가벼운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해서 낮은 제조 코스트로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은 원형 단면형상을 지니지만, 가령,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또는 백에 어울리는 형태라면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다량으로 모든 종류의 형상 및 크기로 본 발명에 따르는 화분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한 다른 플라스틱 물질로는 폴리에스테르가 있다.
한편, 화분용 물질로서 가령, 코코야자와 같은 식물성 섬유를 사용하여 매우 값싸고 가벼운 화분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공간부내의 식물용 영양물 매체나 기질로서 기능할 수 있는 암면(岩綿)은 매우 적합한 물질로 여겨진다. 도 8은 암면이 사용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및 제 2공간부(1 및 2)의 조립체는 바닥(8)과 직립벽(6)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3)에 배치된다. 공간부(3)는 물(영양물)로 채워진다. 암면(11)블록은 공간부(1)내에 배치되는데, 공간부(1)는 상기 암면 블록을 둘러싸는 박막(4)에 의해 형성된다. 식물(22)은 상기 암면(11)블록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 가요성 판(9)을 암면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것은 공간부(1)내에서 암면(11)과 일체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공간부(2)내에는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12)이 배치되는데, 이것은 박막(5)으로 감싸져 있다. 수분은 벽(5)에 있는 개구(2a)를 통해서 공간부(3)로부터 공간부(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질(12)을 암면으로 만들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암면의 가요성 판(9)은 일체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물질(12)은 광점토 입자나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을 함유하는 암면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함유 제품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투과성 제품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비록 제 2공간부의 바닥이 스냅 연결체나 클램프형 연결체에 의해서 제 3공간부의 바닥과 연결되어 있으나, 이것 역시 다른 형태의 연결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점에 있어서, 화분 위의 덮개나 벨크로 또는 다른 비영구적인 접착수단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로터리 연결체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제 2벽 및/또는 바닥은 제 3공간부로부터 제 2공간부로의 물과 공기의 공급을 가능케 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벽과 바닥을 방수성이면서 공기-투과성 또는 다공성 물질로 제조하거나, 상기 벽과 상기 바닥과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러한 물질로 제조된 벽과 바닥은 박막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Claims (21)

  1. 제 1직립벽에 의해 구획된 제 1공간부와 제 2직립벽과 바닥에 의해 구획되는 제 2공간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공간부는 다공판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화분에 있어서,
    제 3직립벽과 바닥에 의해서 구획된 제 3공간부는 제 2공간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 2공간부는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을 수용하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가요성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요소는 상기 다공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는 상기 제 1 또는 제 2벽에 피봇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는 상기 제 1 또는 제 2벽 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및/또는 제 3직립벽을 넘어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요소를 포함하고, 이 요소는 수분-흡수물질의 함수량을 지시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요소는 상기 지지요소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직립벽은 다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9.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직립벽은 서로 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0.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직립벽은 제 1공간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1.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3벽은 서로 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2. 제 1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개구는 가령 물, 공기 및 영양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 3벽의 상부측과 제 1벽의 바닥측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3. 제 1-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직립벽은 적어도 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4. 제 1-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공간부의 바닥은 제 3공간부의 바닥과 일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5. 제 1-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공간부의 바닥은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에 의해서 제 3공간부의 바닥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6. 제 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직립벽은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7.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직립벽의 하부측은 스냅 연결체 또는 클램프형 연결체에 의해서 제 2공간부 및/또는 제 3공간부의 바닥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8. 제 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간부의 하부측의 바닥은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9. 제 1-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제 3공간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 및/또는 바닥은 방수성이면서 공기-투과성 물질을 구비하거나 그것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0. 제 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은 제 1공간부 내에 수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양물 매체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투과성이면서 수분을 유지하는 함수성 물질과 일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1. 제 1-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공간부는 플라스틱 백 형태이고, 가요성 판이 수용되며, 상기 플라스틱 백은 제 3공간부를 만드는 용기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017001309A 1998-07-31 1999-07-19 화분 KR20010072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9780 1998-07-31
NL1009780A NL1009780C2 (nl) 1998-07-31 1998-07-31 Plantpot.
PCT/NL1999/000465 WO2000005939A2 (en) 1998-07-31 1999-07-19 Plant 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129A true KR20010072129A (ko) 2001-07-31

Family

ID=1976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309A KR20010072129A (ko) 1998-07-31 1999-07-19 화분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536159B1 (ko)
EP (1) EP1139716B1 (ko)
JP (1) JP2002521038A (ko)
KR (1) KR20010072129A (ko)
CN (1) CN1168374C (ko)
AT (1) ATE241261T1 (ko)
AU (1) AU753321B2 (ko)
BG (1) BG64138B1 (ko)
BR (1) BR9912617A (ko)
CA (1) CA2338669A1 (ko)
CZ (1) CZ2001309A3 (ko)
DE (1) DE69908410T2 (ko)
DK (1) DK1139716T3 (ko)
ES (1) ES2200537T3 (ko)
HU (1) HU222442B1 (ko)
IL (1) IL140933A (ko)
MX (1) MXPA01000975A (ko)
NL (1) NL1009780C2 (ko)
NO (1) NO315961B1 (ko)
NZ (1) NZ509274A (ko)
PL (1) PL346362A1 (ko)
PT (1) PT1139716E (ko)
TR (1) TR200100323T2 (ko)
WO (1) WO20000059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6669D0 (en) * 2000-11-01 2000-12-13 Univ Strathclyde Watering system
WO2003022038A1 (en) * 2001-09-07 2003-03-20 Gartneriet Pkm Aps Capilar controlled watering of plants
DE10252865A1 (de) * 2002-11-12 2004-05-27 Kronotec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trukturierten Dekors in einer Holzwerkstoffplatte
WO2005004578A1 (en) * 2003-07-15 2005-01-20 Blossom Wool Innovations Limited Hair felt
US20050252080A1 (en) * 2004-05-14 2005-11-17 Wright Paul L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growth of multiple root systems in a hydroponic environment
US20060032132A1 (en) * 2004-07-22 2006-02-16 Liffers Steven W Container with interlocking base
SI1830817T1 (sl) 2004-12-30 2013-04-30 Pierre Fabre Medicament Stabilna disperzija derivata vinka alkaloida v trdnem stanju in postopek njene izdelave
US20090307972A1 (en) * 2008-06-11 2009-12-17 Ottevanger Rene Substrate for plants in an aquarium, terrarium and the like
JP2010124743A (ja) * 2008-11-27 2010-06-10 Niigata Univ 挿し木・挿し芽による育苗方法
TWM369027U (en) * 2009-07-02 2009-11-21 Univ Far East Watering-hint flower pots by utilizing humidity sensing material
JP5788366B2 (ja) * 2012-07-31 2015-09-30 ニラサワ製販株式会社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NL2010420C2 (nl) 2013-03-11 2014-09-15 Peter Hubertus Elisabeth Ende Pad voor het vasthouden van water en/of voedingsstoffen in een plantpot of in de grond, alsmede werkwijze voor vormen van een watervasthoudende, hydraterende en luchtdoorlatende laag onder in een plantpot of in de grond.
ES2544356B1 (es) * 2014-02-28 2016-06-23 Jose Manuel CABERO DIEGUEZ Maceta con sifon de riego.
EP3188590A1 (en) 2014-09-03 2017-07-12 Peter Hubertus Elisabeth Van Den Ende Plant pot having drain opening
CN104488586B (zh) * 2014-11-21 2017-01-11 温州大学瓯江学院 无人自控浇水花盆
PL226238B1 (pl) 2014-12-22 2017-06-30 Wojciech Gackowski Sposob i system wertykalnej uprawy roslin w doniczkach, urzadzenie do wertykalnej uprawy roslin w doniczkach oraz specjalna doniczka
CN105052594B (zh) * 2015-08-07 2017-10-20 泉州市阿友二手车交易有限公司 园林盆栽容器
US10334791B2 (en) 2015-09-08 2019-07-02 Michael Newton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nt growth
US10524433B2 (en) * 2017-05-08 2020-01-07 Daniel S. Spiro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11622510B2 (en) 2017-05-08 2023-04-11 Urban Planter, Llc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11147215B2 (en) 2017-05-08 2021-10-19 Daniel S. Spiro Automated outdoor modular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11617309B2 (en) 2017-05-08 2023-04-04 Urban Planter, Llc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11129339B2 (en) 2017-05-08 2021-09-28 Daniel S. Spiro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11304390B2 (en) 2017-05-08 2022-04-19 Urban Planter, Llc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US11122748B2 (en) 2017-05-08 2021-09-21 Daniel S. Spiro Automated outdoor modular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CN107232048B (zh) * 2017-06-01 2020-06-26 深圳春沐源控股有限公司 管式栽培装置
US11778955B2 (en) 2017-11-29 2023-10-10 Urban Planter, Llc Automated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CN108401727A (zh) * 2018-05-11 2018-08-17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农业资源与环境研究所 一种可获得作物完整根系及实现土壤温湿度无线测报的栽培系统
FR3107806A1 (fr) * 2020-03-03 2021-09-10 C E P Dispositif favorisant l’apport d’air et d’eau aux racines des végétaux en culture hors-so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905A (en) * 1908-10-13 1909-01-26 John Clements Flower-pot support for jardinieres.
US2722779A (en) * 1952-09-09 1955-11-08 Harry E Allderdice Pot for growing plants under water culture
US3220144A (en) * 1964-03-06 1965-11-30 Evert S Green Planter
GB1173421A (en) * 1965-06-28 1969-12-10 B R C Patents Ltd Watering Potted Plants
FR1480584A (fr) * 1966-05-12 1967-05-12 Garntiure spongieuse à réserve d'eau conditionnée pour bacs, pots, rampes de cultures, et autres
FR1596692A (ko) * 1968-11-28 1970-06-22
CH637264A5 (en) * 1978-10-17 1983-07-29 Werner Feller Device for adjustable and continuous supply of water to a porous material
DE2925150A1 (de) * 1979-06-22 1981-01-08 Ind Wert Beteiligungsgesellsch Uebertopf fuer blumentoepfe mit wasserspeichernder masse
US4344251A (en) * 1979-07-13 1982-08-17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Self-irrigating pot for plants
US4265050A (en) * 1979-10-01 1981-05-05 Buescher Theodore H Flower pot with controlled moisture
US4287682A (en) * 1980-03-07 1981-09-08 Browne Christopher R Planter
DE3211985A1 (de) * 1982-03-31 1983-10-13 Esto-Klinker Ebersdorfer Schamotte- und Tonwerke GmbH, 8624 Ebersdorf Pflanzenbehaelter oder -topf
CA1272601A (en) * 1984-07-13 1990-08-14 Michael Lenke Culturing plants with a dwarfed habit
GB2163335A (en) * 1984-08-23 1986-02-26 Dennis William Clarke Plant pot
FR2618297A1 (fr) * 1987-07-20 1989-01-27 Veillat Jean Claude Dispositif a reserve de liquide pour l'alimentation automatique notamment pot pour plante
GB2218609B (en) * 1988-05-17 1992-04-22 Hanry Fong Plant container
JPH0669326B2 (ja) * 1989-07-20 1994-09-07 サニー株式会社 植木鉢栽培用マットを用いた栽培方法
US5189835A (en) * 1989-07-31 1993-03-02 Evert Green Device for continuously irrigating soil of plants growing in individual pots
NL9001748A (nl) * 1989-08-31 1991-03-18 Young Kyu Kang Bloempot en watertoevoerorgaan voor bloempot.
US5269094A (en) * 1992-01-29 1993-12-14 Wolverton Billy C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 water and air in an indoor environment
JP2961476B2 (ja) * 1992-08-08 1999-10-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鉢植え栽培用土壌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鉢植え植物の栽培方法
JP2724431B2 (ja) * 1992-12-17 1998-03-09 松司 小林 草花用プランタ
JPH06181639A (ja) * 1992-12-17 1994-07-05 Toshiharu Mihashi 植木鉢
JPH0847344A (ja) * 1994-08-04 1996-02-20 Tokuichi Mori 植木鉢
CA2147222A1 (en) 1995-04-18 1996-10-19 Marc Andre Valiquette Container for plants
WO1998019517A1 (en) * 1996-11-04 1998-05-14 Matthew Murfin Two-part plant pot having a transparent internal plant-growing vessel
US6058647A (en) * 1997-10-03 2000-05-09 Emalfarb; Bradley S. Moisture content indicator system for growing medium
US6070359A (en) * 1998-05-26 2000-06-06 Liu; Shan Pu Flower pot structure with a natural water suppl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05939A3 (en) 2001-07-12
HUP0105424A2 (en) 2002-05-29
MXPA01000975A (es) 2005-07-25
PL346362A1 (en) 2002-02-11
BR9912617A (pt) 2001-06-26
BG105153A (en) 2001-09-28
CA2338669A1 (en) 2000-02-10
HUP0105424A3 (en) 2002-06-28
WO2000005939A2 (en) 2000-02-10
TR200100323T2 (tr) 2001-11-21
ES2200537T3 (es) 2004-03-01
BG64138B1 (bg) 2004-02-27
NO20010526L (no) 2001-01-30
ATE241261T1 (de) 2003-06-15
AU753321B2 (en) 2002-10-17
EP1139716B1 (en) 2003-05-28
CN1168374C (zh) 2004-09-29
NO20010526D0 (no) 2001-01-30
PT1139716E (pt) 2003-10-31
NO315961B1 (no) 2003-11-24
JP2002521038A (ja) 2002-07-16
DK1139716T3 (da) 2003-09-29
EP1139716A2 (en) 2001-10-10
NL1009780C2 (nl) 2000-02-01
IL140933A0 (en) 2002-02-10
HU222442B1 (hu) 2003-07-28
CN1325263A (zh) 2001-12-05
AU5198699A (en) 2000-02-21
DE69908410D1 (de) 2003-07-03
CZ2001309A3 (cs) 2001-08-15
IL140933A (en) 2006-08-20
NZ509274A (en) 2002-09-27
DE69908410T2 (de) 2004-05-06
US6536159B1 (en) 200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129A (ko) 화분
EP1699285B1 (en) Root an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potted plants
JP3559896B2 (ja) 底面灌水法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
CN109475093B (zh) 改进花盆
US423118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pagating of plants
KR101838545B1 (ko) 코이어식생포트용 저면관수장치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JPH0937663A (ja) 植木鉢ユニット
US10667476B2 (en) Sustained release irrigation apparatus with pivoting cap
EP0642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pre-cultivation and ultimate cultivation of plants
CN108124650A (zh) 一种园艺幼苗培育的穴盘
CN211267889U (zh) 一种农业种植培育装置
JPH09131137A (ja) プランター
RU666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почвенного полива комнатных растений
KR820000622Y1 (ko) 화 분
AU2004298289B2 (en) Root an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potted plants
CN111108960A (zh) 一种植物种植装置
JPS61173723A (ja) 植物栽培方法
JPH0416130A (ja) 貯水式植木鉢
JPH0965784A (ja) 水耕栽培方法と水耕栽培用の容器
JPH0718534U (ja) 栽培容器
JPH0645436U (ja) タンク式植木鉢給水装置
JPH0730033U (ja) 即席複合花壇の形成用システム
KR20010000065A (ko) 저면관수법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식물재배법
JPH0717042U (ja) 植物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