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155A -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155A
KR20010068155A KR1020010023223A KR20010023223A KR20010068155A KR 20010068155 A KR20010068155 A KR 20010068155A KR 1020010023223 A KR1020010023223 A KR 1020010023223A KR 20010023223 A KR20010023223 A KR 20010023223A KR 20010068155 A KR20010068155 A KR 2001006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ase
hammer mill
plate
automatic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917B1 (ko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riority to KR10-2001-002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9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155A/ko
Priority to PCT/KR2002/000766 priority patent/WO2002087768A1/en
Priority to JP2002585102A priority patent/JP2004521736A/ja
Priority to CNB028085299A priority patent/CN127569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02C13/284Built-in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02C13/09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throwing the material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 B02C13/095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throwing the material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with an adjustable anvil or impact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and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3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and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e.g. for making powdered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 ro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axially contiguous disc-like segments each having at least one radially extending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0Stationary drums with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02C2023/165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호퍼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를 순수 음식물찌꺼기 및 이물질로 분리하여 토출하기 위한 타공망 및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에서 투입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충돌하면서 분쇄될 수 있게 해주는 타격판과, 상기 타공망 및 토출구를 격리시켜주는 수직격벽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배치되어 케이스 양쪽으로 돌출된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과 미소 간극을 유지하면서 회전되어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타격판에 충돌시킴으로써 상기 음식물찌꺼기를 미세 크기로 분쇄 및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각 단위부재간에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순차적으로 틸팅된 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음식물찌꺼기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섞여있는 이물질들을 자동 선별하여 완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효한 자원의 재창출 및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garbage and method for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 in the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음식물찌꺼기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섞여있는 이물질들을 자동 선별하여 완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효한 자원의 재창출 및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획기적이고도 자연 친화적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식당 및 병원 등에서 발생되어 배출되는 습기를 함유한 음식물찌꺼기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까지도 특별한 대안 없이 소각 또는 매립 등의 원시적인 처리방법에 주로 의존하고 있고, 이로 인한 과다 경비 지출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소각장 및 매립지의 인근 주민들은 악취 및 환경 오염에 직접 노출되어 그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이로 인한 환경 공해는 매우 심각한 상태에 있다.
아울러, 상기의 음식물찌꺼기는 그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한 유기물만을 선별할 수만 있다면, 축산물의 사료나 농산물의 비료로서 훌륭히 활용할 수 있어 연간 엄청난 비용이 투입되는 값비싼 수입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효한 자원으로 재창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마땅한 선별 및 분쇄장치를 갖추지 못하여 귀중한 자원이 그대로 사장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처해 있다.
그러나, 음식물찌꺼기에 함유된 85% 이상의 수분을 그대로 포함된 채로 소각할 수는 없으므로, 현재 개발되어 있는 장치로는 고작해야 소각 처리가 가능하도록 탈수하는 정도의 기술에 머물러 있고,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되어 있는 뼈, 수저, 포크, 이쑤시개, 면장갑, 비닐, 플라스틱 및 병마개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을 유효한 재활용 자원인 유기물과 제대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지 아니하여 축산물의 사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기껏해야 농산물의 퇴비 정도로 재활용되는 추세이다.
즉, 상기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들은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는 기능은 수행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종전의 처리장치들을 사용하여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되어 있는 뼈, 수저, 포크, 이쑤시개, 면장갑, 비닐, 플라스틱 및 병마개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을 동시에 완전 자동 선별해낼 수 없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음식물찌꺼기 내의 유효성분인 유기물 및 단백질만을 분리하여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기에 곤란한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유효한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찌꺼기를 동식물의 사료 및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지 못하여 폐기 처리되어야 하므로 방대한 양의 쓰레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심각한 환경 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는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공정 처리중에 상기의 각종 이물질들이 장치 내부에서 걸려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음식물찌꺼기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섞여있는 이물질들을 자동 선별하여 완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효한 자원의 재창출 및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획기적이고도 자연 친화적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케이스 내부의 주요 부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햄머밀 어셈블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햄머밀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가 적용된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햄머밀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상기 실시예가 적용된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음식물찌꺼기 1a ; 유기물(또는 단백질)
1b ; 이물질 10 ; 케이스
11 ; 호퍼 12 ; 타공망
12a ; 평면부 13 ; 토출구
14 ; 유도로 15 ; 스크류 프레스
20 ; 타격판 21 ; 타격판 본체
22 ; 타격격자 바아 23 ; 간극조절 체결부재
24 ; 간극조절보울트 24a ; 로크너트
24b ; 체결너트 24c ; 스프링와셔
24d ; 걸림너트 24e ; 평와셔
24f ; 코터핀 25 ; 지지보울트
25a ; 로크너트 25b ; 체결너트
25c ; 스프링와셔 30 ; 수직격벽
31 ; 토출구 조절판 31a ; 수직장공
32 ; 돌기 33 ; 레버
40 ; 구동축 41 ; 베어링
42 ; 프라이휠 43 ; 풀리
43a ; 벨트 50 ; 햄머밀 어셈블리
50a, 50b ; 햄머밀 유닛 51, 51a ; 삼각플레이트
51b ; 원형플레이트 52 ; 보울트
53 ; 너트 54 ; 관통공
55 ; 햄머 56 ; 관통공
57 ; 분쇄용 칼날 58 ; 장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는, 각종 이물질이 함유된 채로 슈레더를 통해 일정 크기로 초벌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가 상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순수 음식물찌꺼기 및 이물질을 분리하여 토출할 수 있는 타공망 및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상, 하 분리 가능한 밀폐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 일부에 설치되어 투입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충돌하면서 분쇄될 수 있게 해주는 타격판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공망 및 토출구를 격리시켜주는 수직격벽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양쪽으로 돌출된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이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구동원과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상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과 미소 간극을 유지하면서 교반 회전되어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타격판에 충돌시킴으로써 상기 음식물찌꺼기를 미세 크기로 분쇄 및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각 단위부재간에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순차적으로 틸팅된 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판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원호 폭만큼 중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상에는 그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격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0 내지 45°범위이내의 각도를 유지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 상으로 상호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타격격자 바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판의 외측면상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케이스 내주면과의 간극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간극조절 체결부재가 다수개 외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극조절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 및 타격판을 관통하여 그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에 걸려지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로크너트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타격판의 위치를 이동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간극조절보울트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로크너트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타격판을 내향 지지하여 상기 간극조절보울트의 조절 상태를 고정지지하여주는 지지보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타격판의 타격격자 바아와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의 단부와의 간격을 항상 1 내지 20mm 이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격벽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을 가로질러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쪽으로 이물질들이 강제 토출될 수 있는 상기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수직격벽의 토출구 일측에는 상기 토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조절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조절판은, 상기 수직격벽에 평행하게 천공된 복수의 수직장공을 따라 승강 안내되면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장공과 대응되어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돌기가 내측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조절판의 외측면상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토출조절판의 위치를 이동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레버가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햄머밀 유닛이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 유닛은,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상의 마주보는 두 개의 삼각플레이트가 소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삼각플레이트의 각 꼭지점 부위간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햄머가 각각 개재되어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해당 위치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햄머는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3개의 햄머밀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햄머밀 유닛의 꼭지점이 균일한 각도로 배열되도록 각 꼭지점간 40°의 편차를 유지하면서 회전된 상태로 중첩되어 동축상에 인접 배열되며, 이러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음식물찌꺼기의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햄머밀 어셈블리는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충분히 분쇄할 수 있도록 지연 이송하기 위하여 각 햄머밀 유닛이 동일하게 중첩되어 동축상에 인접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두께의 삼각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삼각플레이트의 각 꼭지점 일측면에는 분쇄용 칼날이 보울트로 각각 체결되며, 상기 각 분쇄용 칼날에는 상기 보울트를 풀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삼각플레이트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의 햄머밀 어셈블리가 상기 구동축상에서 소정의 각도 편차를 이루며 다수개 인접 배열되도록 고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햄머밀 유닛이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 유닛은,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상의 마주보는 두 개의 원형플레이트가 소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그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햄머가 장착되며, 상기 각 햄머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타공망은 분쇄된 음식물찌꺼기 내의 이물질이 반발하여 상부의 토출구쪽으로 퉁겨져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수직격벽과 인접한 소정 폭만큼의 단부에 대하여 천공되지 아니한 평면부가 형성된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통로 단부에는 이물질과 함께 토출되는 소량의 유기물을 재차 선별하여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하는 탈수용의 스크류 프레스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내 이물질 자동선별방법은 호퍼를 통해서 이물질이 포함된 음식물찌꺼기가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케이스 내에 투입되면, 각도 편차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햄머를 단부에 장착한 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가 회전되면서 음식물찌꺼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 및 교반 분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찌꺼기 내에 포함된 유기물은 원하는 크키로 분쇄되어 케이스 하부의 타공망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이물질은 분쇄되지 아니함으로써 타공망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케이스 내의 일측 단부 위치까지 계속 이송되어 상기 타공망의 평면부 위치까지 도달한 후 상기 평면부 및 수직격벽과 충돌하게 되며, 이와 같이 케이스의 내벽에 이물질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부로 퉁겨져 올라간 후 케이스 내측 상부에 마련된 유일한 토출구를 통해 강제 토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물질만을 외부로 자동 선별해낼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케이스(10) 내부의 주요 부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햄머밀 어셈블리(5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는, 유기물(1a) 및 이물질(1b)이 뒤섞인 음식물찌꺼기(1)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11)와 분쇄 및 선별 과정을 통해 분리된 유기물(1a) 및 이물질(1b)을 각각 배출하기 위한 타공망(12) 및 토출구(13)를 갖는 케이스(10)와, 투입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1)가 충돌하면서 분쇄될 수 있게 해주는 타격판(20)과, 상기 타공망(12) 및 토출구(13)를 격리시켜주기 위한 수직격벽(30)과, 상기 케이스(1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투입된 음식물찌꺼기(1)를 분쇄 및 선별 이송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구동체로서의 구동축(40)과, 상기 호퍼(11)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찌꺼기(1)를 케이스(10) 내측으로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40)상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투입된 음식물찌꺼기(1)를 분쇄 및 선별 이송하기 위한 햄머밀 어셈블리(50)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는, 각종 이물질이 함유된 채로 슈레더(Shredder)(미도시)를 통해 일정 크기로 초벌 파쇄된 음식물찌꺼기(1)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11)가 상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호퍼(11)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찌꺼기(1)중 유기물(1a) 및 이물질(1b)을 분리하여 토출할 수 있는 타공망(12) 및 토출구(13)가 각각 마련된 상, 하 분리 가능한 밀폐형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측면 일부에 설치되어 투입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1)가 충돌하면서 분쇄될 수 있게 해주는 타격판(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공망(12) 및 토출구(13)를 격리시켜주는 수직격벽(30)과, 상기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양쪽으로 돌출된 양단부가 베어링(4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이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구동원(미도시)과 연결된 구동축(40)과, 상기 구동축(40) 상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20)의 내측면과 미소 간극을 유지하면서 교반 회전되어 음식물찌꺼기(1)를 상기 타격판(20)에 충돌시킴으로써 상기 음식물찌꺼기(1)를 미세 크기로 분쇄 및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각 단위부재간에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순차적으로 틸팅된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가 상기 구동축(40)의 회전 구동과 함께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단부와 일정 간극을 유지케 하여 케이스(10) 내에 투입된 음식물찌꺼기(1)를 소정 크기의 입자로 분쇄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찌꺼기(1)가 타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타격판(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격판(20)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원호 폭만큼 중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 타격판 본체(21)의 내측면 상에는 그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 상으로 상호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타격격자 바아(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격격자 바아(22)는 상기 타격판 본체(2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0 내지 45°범위이내의 각도를 유지하며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타격판 본체(21)의 외측면상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케이스(10) 내주면과의 간극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를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간극조절 체결부재(23)가 다수개 외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격격자 바아(22)는 음식물찌꺼기(1)를 사이에 두고 햄머밀 어셈블리(50)가 회전할 때 이에 대한 마찰 저항체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상기 타격격자 바아(22)의 각도가 작을수록 회전시의 부하가 많이 발생하는 반면에 충돌에 의한 분쇄 효과는 상승한다.
상기 간극조절 체결부재(23)는 상기 타격판 본체(21)와 상부 케이스(10)의내벽면 사이의 간극을 가변시킬 수 있으면서도 일단 고정시킨 후에는 일정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을 적용하든 관계없다. 즉, 그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조절 체결부재(23)는, 상기 케이스(10) 및 타격판(2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 본체(21)의 내측면에 걸려지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로크너트(24a)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타격판(20)의 위치를 이동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간극조절보울트(24)와, 상기 케이스(10)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 본체(21)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로크너트(25a)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타격판(20)을 내향 지지하여 상기 간극조절보울트(24)의 조절 상태를 고정 지지하여주는 지지보울트(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간극조절보울트(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 지점에 다수개 체결되고, 상기 지지보울트(25)는 상기 간극조절보울트(24)를 중심으로 상기 타격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다수개 체결된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다수의 간극조절보울트(24) 및 지지보울트(25)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위치마다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너트(24b)(25b)가 용착되고, 상기 각 체결너트(24b)(25b)의 상부에는 상기 로크너트(24a)(25a)가 그 사이에 스프링와셔(24c)(25c)를 개재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간극조절보울트(24) 및 지지보울트(25)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간극조절보울트(24)는 상기 타격판 본체(21) 내주면쪽으로 관통되어 그 돌출된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본체(21)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너트(24d)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타격판 본체(21)의 내측면과 상기 걸림너트(24d) 사이에는 평와셔(24e)가 개재되고, 상기 걸림너트(24d)의 체결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용접을 하거나, 또는 상기 걸림너트(24d)와 간극조절보울트(24)를 관통하여 코터핀(24f)을 삽입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를 장기간 사용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단부, 즉, 햄머(55)가 마모되어 음식물찌꺼기(1) 입자를 소정크기로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 상기의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거나, 또는 본 장치의 세척 및 타격판(20)의 마모로 인한 분해 교체시 그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간극조절 체결부재(22)들을 각각 죄거나 풀어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장기간 사용중에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단부, 즉, 햄머(55)가 마모되어 상기 햄머(55)의 단부 및 타격격자 바아(22) 사이의 간극이 원하는 크기보다 크게 이격되거나 투입되는 음식물찌꺼기(1)의 특성에 따라 상기 간극 자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상기 간극조절보울트(24) 및 지지보울트(25)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극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간극조절보울트(24)를 원하는 위치까지 전진 회전시켜 상기 타격판(20)의 위치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양쪽의 지지보울트(25)를 이격 거리만큼 균일하게 전진 회전시켜 타격판 본체(21)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조작하면 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간극을 넓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지지보울트(25)를 원하는 위치까지 후진 회전시켜 적정 이격 거리를 유지한 후, 중앙의 간극조절보울트(24)를 상기 타격판 본체(21)의 외측면이 상기 지지보울트(25)의 선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후진 회전시켜 고정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타격판(20)의 타격격자 바아(22)와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단부와의 간격을 항상 1 내지 20mm 이내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격벽(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을 가로질러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상부쪽으로 이물질들이 강제 토출될 수 있는 상기 토출구(13)가 마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수직격벽(30)의 토출구(13) 일측에는 상기 토출구(1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조절판(3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토출조절판(31)은, 상기 수직격벽(30)에 평행하게 천공된 복수의 수직장공(31a)을 따라 승강 안내되면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장공(31a)과 대응되어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돌기(32)가 내측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조절판(31)의 외측면상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토출조절판(31)의 위치를 이동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레버(33)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돌기(32)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별도의 너트(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토출구(13)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토출구 조절판(31)의 돌기(32)에 체결된 너트를 풀고 상기 수직장공(31a)을 따라 토출구 조절판(31)을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너트를 죄어 고정하면 원하는 크기의 토출구(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4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축상에 상기햄머밀 어셈블리(50)를 다수개 고정한 후 이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축(40)은 하단부의 프레임(도면부호 미도시) 및 케이스(10)로부터 일체로 고정된 베어링(4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양단부에는 플라이휠(42) 및 풀리(43)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라이휠(42) 및 풀리(43)는 동일 중량으로 제작되어 웨이트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동중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풀리(43)에는 구동원(모우터)과 연결되는 벨트(43a)가 권취되어 상기 벨트(43a)를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는 도 3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햄머밀 유닛(50a)이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 유닛(50a)은, 중앙에 상기 구동축(40)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상의 마주보는 두 개의 삼각플레이트(51)가 소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삼각플레이트(51)의 각 꼭지점 부위간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햄머(55)가 각각 개재되어 보울트(52) 및 너트(53)에 의해 해당 위치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햄머(55)는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는 3개의 햄머밀 유닛(50a)으로 구성되고, 각 햄머밀 유닛(50a)의 꼭지점이 균일한 각도로 배열되도록 각 꼭지점간 40°의 편차를 유지하면서 회전된 상태로 중첩되어 동축상에 인접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햄머밀 어셈블리(50)는 투입부와 토출부에서의 음식물찌꺼기(1)의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40)의 양단부쪽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3개의 햄머밀 유닛(50a)으로 구성되고, 각 햄머밀 유닛(50a)이 동일하게 중첩되어 동축상에 인접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a)에 의해 음식물찌꺼기(1)를 상기 케이스(10)의 중앙부에서 충분히 분쇄할 수 있도록 지연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축(40)의 중앙부에 복수개 설치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에 적용되는 햄머밀 어셈블리(50)의 다른 실시예들을 제시한 것으로, 도 6 및 도 7은 분쇄용 칼날(57)이 장착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상기 실시예가 적용된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8 및 도 9는 통상의 원형플레이트(51b)를 이용한 햄머밀 어셈블리(5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상기 실시예가 적용된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는 중앙에 상기 구동축(40)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두께의 삼각플레이트(51a)가 구비되고, 상기 삼각플레이트(51a)의 각 꼭지점 일측면에는 분쇄용 칼날(57)이 보울트(52)로 각각 체결되며, 상기 각 분쇄용 칼날(57)에는 상기 보울트(52)를 풀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삼각플레이트(51a)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58)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의 햄머밀 어셈블리(50)가 상기 구동축(40)상에서 소정의 각도 편차를 이루며 다수개 인접 배열되어 고정된 것이다.
이는, 상기 분쇄용 칼날(57)의 특성에 의해 음식물찌꺼기(1) 내에 포함된 이물질(1b)을 비교적 적은 저항을 받으며 절단해줌으로써 적은 동력을 사용하여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햄머밀 유닛(50b)이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 유닛(50b)은, 중앙에 상기 구동축(40)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상의 마주보는 두 개의 원형플레이트(51b)가 소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플레이트(51b)의 사이에는 그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햄머(55)가 장착되며, 상기 각 햄머(55)가 상기 구동축(40)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보울트(52) 및 너트(53)에 의해 체결된 구성을 이룬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어셈블리(50)는, 일체로 결합되는 각 햄머밀 유닛의 개수 및 각 개체간 각도 편차 설정에 특별한 제한을 둘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복수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장치 내부에서 음식물찌꺼기(1)가 다량 투입 및 교반되기 위해서는 삼각플레이트(51)(51a)의 구조가 효율적이다.
한편, 상기 타공망(12)에는 분쇄된 음식물찌꺼기(1) 내의 이물질(1b)이 반발하여 상부의 토출구(13)쪽으로 퉁겨져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수직격벽(30)과 인접한 소정 폭만큼의 단부에 대하여 천공되지 아니한 평면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이물질(1b)이 평면부(12a)와 수직격벽(30) 등에 충돌한 후 반발됨으로써상기 토출구(13)쪽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3)의 통로, 즉, 유도로(13)의 하단부에는 이물질(1b)과 함께 토출되는 소량의 유기물(1a)을 재차 선별하여 분리해낼 수 있도록 탈수용의 스크류 프레스(15)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여기서, 상기 타공망(12)의 메쉬 크기와,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햄머(55) 및 상기 타격판(20)의 타격격자 바아(22)간의 간극 크기는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햄머(55) 및 상기 타격판(20)의 타격격자 바아(22)간의 간극 크기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상기 타공망(12)의 메쉬 크기도 동시에 정비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데, 이는 분쇄입자의 크기가 상기 간극에 의해 결정되고 또한 상기 타공망(12)이 분쇄입자가 빠져나갈 수 있는 최소 크기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50)의 햄머(55) 및 상기 타격판(20)의 타격격자 바아(22)간의 간극 크기와, 상기 타공망(12)의 메쉬 크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로 1 내지 20mm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음식물찌꺼기 처리 과정 및 그 음식물찌꺼기(1) 내에 포함된 이물질(1b)의 자동선별방법을 도 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투입될 음식물찌꺼기(1) 및 그 내부에 함유된 이물질(1b)을 슈레더를 사용하여 대략 50mm 정도의 크기로 초벌 파쇄하는 1차 처리과정이 필요하다. 즉, 슈레더를 통해 일정 크기로 파쇄된 음식물찌꺼기(1)를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하여 둔 후, 정량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일정량의 파쇄 음식물찌꺼기(1)를 공급하여 본 발명의 호퍼(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호퍼(11)를 통해 케이스(10)내로 투입된 음식물찌꺼기(1)는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40)의 일단부에 각 부재간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배열된 햄머밀 어셈블리(50)에 낙하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신속히 이송되며, 소정의 속도로 고속 회전하고 각 부재간 각도 편차가 없는 중앙부의 햄머밀 어셈블리(50)과 상기 케이스(10) 상부에 마련된 타격판(20) 사이에서 원하는 크기만큼 분쇄된 상태로 계속 이송되면서 음식물찌꺼기(1)의 주성분인 유기물 및 단백질 등은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 마련된 타공망(12)을 통해 배출된 후 저장조(도면 부호는 기재하지 않음) 내에 낙하하여 적층되고, 분쇄되지 않는 음식물찌꺼기(1) 내의 각종 이물질(1b)들은 상기 타공망(12)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구동축(40)의 타단부에 각 부재간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배열된 마지막 햄머밀 어셈블리(50)의 햄머(55) 타격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한 토출구(13)쪽으로 이송된 후 상기 토출구(13)를 통해 강제 토출되어 유도로(14)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1b) 내에 포함된 소량의 유기물(1a)은 스크류 프레스(15)에 의해 재차 압착 탈수되어 유기물(1a) 및 이물질(1b)이 상호 완전 분리된 상태로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정을 간략히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호퍼(11)를 통해서 이물질(1b)이 포함된 음식물찌꺼기(1)가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케이스(10) 내에 투입되면, 각도 편차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햄머(55)를 단부에 장착한 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50)가 회전되면서 음식물찌꺼기(1)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 및 교반 분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찌꺼기(1) 내에 포함된 유기물(1a)은 원하는 크키로 분쇄되어 케이스(10) 하부의 타공망(12)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이물질(1b)은 분쇄되지 아니함으로써 타공망(12)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케이스(10) 내의 일측 단부 위치까지 계속 이송되어 상기 타공망(12)의 평면부(12a) 위치까지 도달한 후 상기 평면부(12a) 및 수직격벽(30)과 충돌하게 되며, 이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벽에 이물질(1b)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1b)이 상부로 퉁겨져 올라간 후 케이스(10) 내측 상부에 마련된 유일한 토출구(13)를 통해 강제 토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물질만을 외부로 자동 선별해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에 의하면, 음식물찌꺼기 전처리 공정 및 시설을 단순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 및 시설가동 등에 따른 각종 처리 유지관리 비용의 현격한 절감 효과를 볼 수 있고, 원심력에 의한 물리적이고도 강제적인 분쇄 및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전처리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률이 적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음식물찌꺼기의 유기물 분쇄 및 이물질 선별 작업을 동시에 완벽하게 처리한 후 각각 분리 배출할 수 있어 귀중한 유기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까지 처리하기 어려웠던 음식물찌꺼기를 효과적으로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환경 오염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각종 이물질이 함유된 채로 슈레더를 통해 일정 크기로 초벌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가 상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순수 음식물찌꺼기 및 이물질을 분리하여 토출할 수 있는 타공망 및 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상, 하 분리 가능한 밀폐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 일부에 설치되어 투입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충돌하면서 분쇄될 수 있게 해주는 타격판;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공망 및 토출구를 격리시켜주는 수직격벽;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양쪽으로 돌출된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이를회전시켜줄 수 있는 구동원과 연결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 상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과 미소 간극을 유지하면서 교반 회전되어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타격판에 충돌시킴으로써 상기 음식물찌꺼기를 미세 크기로 분쇄 및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각 단위부재간에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순차적으로 틸팅된 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원호 폭만큼 중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상에는 그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를 유지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 상으로 상호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타격격자 바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격자 바아는 상기 타격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0 내지 45°범위이내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의 외측면상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케이스 내주면과의 간극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간극조절 체결부재가 다수개 외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 및 타격판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내측면에 걸려지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로크너트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타격판의 위치를 이동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간극조절보울트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타격판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된 로크너트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타격판을 내향 지지하여 상기 간극조절보울트의 조절 상태를 고정지지하여주는 지지보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타격판의 타격격자 바아와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의 단부와의 간격을 항상 1 내지 20mm 이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벽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을 가로질러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쪽으로 이물질들이 강제 토출될 수 있는 상기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수직격벽의 토출구 일측에는 상기 토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토출조절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조절판은, 상기 수직격벽에 평행하게 천공된 복수의 수직장공을 따라 승강 안내되면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장공과 대응되어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돌기가 내측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조절판의 외측면상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토출조절판의 위치를 이동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레버가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햄머밀 유닛이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 유닛은,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상의 마주보는 두 개의 삼각플레이트가 소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삼각플레이트의 각 꼭지점 부위간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햄머가 각각 개재되어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해당 위치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햄머는 방사상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3개의 햄머밀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햄머밀 유닛의 꼭지점이 균일한 각도로 배열되도록 각 꼭지점간 40°의 편차를 유지하면서 회전된 상태로 중첩되어 동축상에 인접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음식물찌꺼기의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3개의 햄머밀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햄머밀 유닛이 동일하게 중첩되어 동축상에 인접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충분히 분쇄할 수 있도록 지연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축의 중앙부에 복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두께의 삼각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삼각플레이트의 각 꼭지점 일측면에는 분쇄용 칼날이 보울트로 각각 체결되며, 상기 각 분쇄용 칼날에는 상기 보울트를 풀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삼각플레이트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의 햄머밀 어셈블리가 상기 구동축상에서 소정의 각도 편차를 이루며 다수개 인접 배열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밀 어셈블리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햄머밀 유닛이 소정의 각도 편차를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햄머밀 유닛은,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상의 마주보는 두 개의 원형플레이트가 소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그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햄머가 장착되며, 상기 각 햄머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은 분쇄된 음식물찌꺼기 내의 이물질이 반발하여 상부의 토출구쪽으로 퉁겨져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수직격벽과 인접한 소정 폭만큼의 단부에 대하여 천공되지 아니한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통로 단부에는 이물질과 함께 토출되는 소량의 유기물을 재차 선별하여 분리해낼 수 있도록 탈수용의 스크류 프레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17. 호퍼를 통해서 이물질이 포함된 음식물찌꺼기가 상기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의 케이스 내에 투입되면, 각도 편차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햄머를 단부에 장착한 다수의 햄머밀 어셈블리가 회전되면서 음식물찌꺼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 및 교반 분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찌꺼기 내에 포함된 유기물은 원하는 크키로 분쇄되어 케이스 하부의 타공망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이물질은 분쇄되지 아니함으로써 타공망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케이스 내의 일측 단부 위치까지 계속 이송되어 상기 타공망의 평면부 위치까지 도달한 후 상기 평면부 및 수직격벽과 충돌하게 되며, 이와 같이 케이스의 내벽에 이물질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부로 퉁겨져 올라간 후 케이스 내측 상부에 마련된 유일한 토출구를 통해 강제 토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물질만을 외부로 자동 선별해낼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내 이물질 자동선별방법.
KR10-2001-0023223A 2001-04-28 2001-04-28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KR10044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23A KR100441917B1 (ko) 2001-04-28 2001-04-28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PCT/KR2002/000766 WO2002087768A1 (en) 2001-04-28 2002-04-25 Automatic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of garbage and method for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 in the garbage
JP2002585102A JP2004521736A (ja) 2001-04-28 2002-04-25 ゴミ自動選別粉砕装置及びその異物選別方法
CNB028085299A CN1275697C (zh) 2001-04-28 2002-04-25 垃圾自动粉碎和分选设备以及从垃圾中分选出杂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23A KR100441917B1 (ko) 2001-04-28 2001-04-28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017U Division KR200264703Y1 (ko) 2001-10-19 2001-10-19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55A true KR20010068155A (ko) 2001-07-13
KR100441917B1 KR100441917B1 (ko) 2004-07-30

Family

ID=1970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223A KR100441917B1 (ko) 2001-04-28 2001-04-28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521736A (ko)
KR (1) KR100441917B1 (ko)
CN (1) CN1275697C (ko)
WO (1) WO200208776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192A (ko) * 2001-07-12 2003-01-23 장석동 음식물 쓰레기 선별 분쇄기
KR100420495B1 (ko) * 2001-05-15 2004-03-02 부국환경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의 폐비닐 선별장치
KR100649581B1 (ko) * 2003-12-29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세라믹 분말의 해쇄방법, 이에 사용되는 해쇄밀 및 해쇄된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고분산 슬러리 제조방법
KR20170098689A (ko) * 2016-02-22 2017-08-30 정인관 해난 유실 공해 원유의 수거 방재재 o.f.p용 복합분쇄기
CN109499669A (zh) * 2019-01-11 2019-03-22 杭州成威物业管理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用粉碎预处理装置
KR102340739B1 (ko) * 2021-03-17 2021-12-16 천상준 폐가축 처리 시스템
CN117225513A (zh) * 2023-09-14 2023-12-15 连云港桃盛熔融石英有限公司 一种高纯熔融石英除杂用筛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7914B (en) * 2004-09-13 2008-04-16 Wastec Ltd Improved bag splitter device
KR100571184B1 (ko) 2005-08-25 2006-04-17 (주)대명크라샤 표면 박리기 및 그를 이용한 재활용 시스템
KR100856006B1 (ko) 2008-04-25 2008-09-03 백운석 분쇄기를 구비한 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ES2372736B1 (es) * 2009-05-05 2012-11-27 Félix Martín Pérez Máquina separadora de partes de envases de plástico para reciclar.
SE534399C2 (sv) * 2009-12-22 2011-08-09 Anders Olsson Reaktor innefattande en rotor
KR101237302B1 (ko) 2010-12-02 2013-02-27 (주)재인정공 원료의 파쇄 및 정선장치
CN102500595B (zh) * 2011-10-17 2014-05-28 龙岩维妮爵雅水疗卫浴设备有限公司 一种厨房垃圾处理机及其绞碎器
CN103240149B (zh) * 2013-04-24 2015-09-16 长春奥瑞投资管理有限公司 垃圾破碎装置及垃圾破碎方法
CN103464260A (zh) * 2013-09-30 2013-12-25 南京协和助剂有限公司 干式卧式连续搅拌粉碎机
FR3013734B1 (fr) * 2013-11-26 2016-01-01 Fives Cail Babcock Dispositif defibreur destine au dechiquetage de la canne a sucre et autres matieres
CN105080673B (zh) * 2014-05-05 2018-01-26 刘运武 升降式碎料除石机
AT516920B1 (de) 2015-03-12 2018-07-15 Lindner Gerhard Anordnung zum Zerkleinern von Werkstücken
CN105170239A (zh) * 2015-08-28 2015-12-23 长沙深湘通用机器有限公司 一种锤式破碎机
CN106077063A (zh) * 2016-08-10 2016-11-09 大连德联投资控股有限公司 一种车载集成式土壤修复装置的卧式平顶淋洗器
CN106824998A (zh) * 2017-02-20 2017-06-13 沈炳国 一种生活垃圾分类处置的分拣装置及其分类处置方法
CN107115909B (zh) * 2017-05-14 2018-10-23 泉州力亮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碳酸稀土的筛分破碎装置
CN107051685B (zh) * 2017-05-14 2018-11-02 泉州台商投资区仁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碳酸稀土的高速筛分破碎装置
CN107138257B (zh) * 2017-05-14 2019-01-25 徐州铭山路桥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碳酸稀土的筛分破碎装置
CN107685065A (zh) * 2017-08-29 2018-02-13 华中农业大学 畜禽死体无害化处理设备
KR101908364B1 (ko) * 2018-01-10 2018-10-18 윤병원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준을 충족시키는 순환골재를 얻기 위한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N108554556A (zh) * 2018-03-15 2018-09-21 深圳高佳研机械研究设计有限公司 一种化工石膏陶瓷粉碎回收机
CN108325674A (zh) * 2018-03-29 2018-07-27 新乡市振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利于环保的多级建筑垃圾破碎分离装置
CN108816419A (zh) * 2018-05-30 2018-11-16 金寨毛竹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用粪便无害化处理设备
CN109092860B (zh) * 2018-08-14 2020-11-24 泗县飞虹体育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城市垃圾处理方法
CN109663802B (zh) * 2019-02-18 2020-09-01 大唐融合(哈尔滨)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综合处理设备
DE102020102607A1 (de) * 2020-02-03 2021-08-05 Albert Hoffmann Gmbh Hammermühle
CN111558430A (zh) * 2020-05-27 2020-08-21 五邑大学 一种锤式物料粉碎机
CN111717993A (zh) * 2020-06-29 2020-09-29 巢湖市科凌沃特水处理技术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厌氧微生物的培养用复合碳源
CN111871554A (zh) * 2020-08-07 2020-11-03 六安中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材粉碎装置
CN113000139A (zh) * 2020-12-22 2021-06-22 安徽省恒金矿业有限公司 一种石灰石加工处理用粉碎装置
FR3118426B1 (fr) * 2020-12-30 2024-02-23 Holding Ritleng Broyeur à pales pour le recyclage de plâtre
CN112756062A (zh) * 2021-04-09 2021-05-07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垃圾破碎分离装置
IT202100012128A1 (it) * 2021-05-12 2022-11-12 Gbm Di Manfrini Gian Basilio Macchina per sminuzzare prodotti di recupero vegetali e/o ortofrutticoli
CN113856855A (zh) * 2021-09-30 2021-12-31 傅美娜 一种建筑工程用垃圾粉碎设备
CN113996638B (zh) * 2021-10-29 2022-09-23 江苏雷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消毒环保型医疗废弃物处理装置
CN115350768B (zh) * 2022-06-30 2023-09-15 北京市首发天人生态景观有限公司 一种移动式园林废弃物分类粉碎设备
CN116020610A (zh) * 2023-03-27 2023-04-28 河北速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碎石装置
CN117101759B (zh) * 2023-10-25 2024-01-30 黑龙江省中冉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沥青混凝土生产的振动筛分设备及筛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4167A (ko) * 1974-05-08 1975-11-19
US4171778A (en) * 1978-02-27 1979-10-23 Leesona Corporation Granulator rotor
JP2526216B2 (ja) * 1986-08-26 1996-08-21 槙野産業株式会社 粉砕機のハンマ
US5273218A (en) * 1990-08-20 1993-12-28 Burns Leslie L Falcon hog
KR960013208B1 (ko) * 1993-12-27 1996-10-02 홍성도 폐비닐 분쇄선별 가공 및 재생장치
JPH0824891A (ja) * 1994-07-08 1996-01-30 Chiyoda Corp 生ゴミの生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4328880B2 (ja) * 1999-05-24 2009-09-09 清一 二星 生ゴミ処理方法および同設備
KR200188594Y1 (ko) * 2000-02-10 2000-07-15 에스티에스 바이오콤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장치
KR200193131Y1 (ko) * 2000-03-07 2000-08-16 이영길 충격 분쇄기의 분쇄판
KR200204230Y1 (ko) * 2000-06-05 2000-11-15 주식회사경만테크 음식물 파쇄기
KR100416322B1 (ko) * 2001-01-19 2004-01-31 디프러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선별파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495B1 (ko) * 2001-05-15 2004-03-02 부국환경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의 폐비닐 선별장치
KR20030006192A (ko) * 2001-07-12 2003-01-23 장석동 음식물 쓰레기 선별 분쇄기
KR100649581B1 (ko) * 2003-12-29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세라믹 분말의 해쇄방법, 이에 사용되는 해쇄밀 및 해쇄된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고분산 슬러리 제조방법
KR20170098689A (ko) * 2016-02-22 2017-08-30 정인관 해난 유실 공해 원유의 수거 방재재 o.f.p용 복합분쇄기
CN109499669A (zh) * 2019-01-11 2019-03-22 杭州成威物业管理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用粉碎预处理装置
KR102340739B1 (ko) * 2021-03-17 2021-12-16 천상준 폐가축 처리 시스템
CN117225513A (zh) * 2023-09-14 2023-12-15 连云港桃盛熔融石英有限公司 一种高纯熔融石英除杂用筛分设备
CN117225513B (zh) * 2023-09-14 2024-04-12 连云港桃盛熔融石英有限公司 一种高纯熔融石英除杂用筛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1736A (ja) 2004-07-22
CN1503697A (zh) 2004-06-09
WO2002087768A1 (en) 2002-11-07
CN1275697C (zh) 2006-09-20
KR100441917B1 (ko) 2004-07-30
WO2002087768A8 (en)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917B1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07858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의 파쇄방법 및 그 장치
US8393558B2 (en) Mechanized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for solid waste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EP2643102A1 (en) Mechanized separation of wet and dry materials in a solid waste stream
KR100476021B1 (ko)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협잡물을 자동선별하고 가용의음식물을 동시에 분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34138A (ko)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KR101825846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JPH0924360A (ja) 廃棄物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20045496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KR101734153B1 (ko) 디스크 건조기를 이용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스템
JP2965479B2 (ja) 廃棄物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20060021657A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KR200264703Y1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KR20030013889A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100740556B1 (ko) 폐비닐의 유화용 전처리장치
KR101492212B1 (ko) 파분쇄와 박리에 의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US11890656B2 (en) Process for recovering organics from material recovery facility fines
JP2007023187A (ja) 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01791620B (zh) 自动分类生活垃圾处理方法及装置
KR1999008465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1841490B1 (ko) 별도의 부산물 투입구를 구비한 폐동식물 및 음식물복합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