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39B1 - 폐가축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가축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39B1
KR102340739B1 KR1020210034929A KR20210034929A KR102340739B1 KR 102340739 B1 KR102340739 B1 KR 102340739B1 KR 1020210034929 A KR1020210034929 A KR 1020210034929A KR 20210034929 A KR20210034929 A KR 20210034929A KR 102340739 B1 KR102340739 B1 KR 10234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ttached
frame
doo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상준
Original Assignee
천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상준 filed Critical 천상준
Priority to KR102021003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knives spaced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on the periphery of a cylindrical roto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질병으로 폐사한 가축을 파쇄 및 건조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폐가축을 탱크에 투입하고, 다수개의 파쇄날을 회전시켜 폐가축을 파쇄하면서 제습기를 이용해 건조 처리함으로써,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설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대폭 절감되며, 폐가축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폐가축 처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지면 위에 놓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배출홀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힌지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도어; 상기 탱크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쇄날이 설치된 샤프트;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탱크에 배출관과 인입관이 연결 설치된 제습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폐가축 처리 시스템 {Waste Livestock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각종 질병으로 폐사한 가축을 파쇄 및 건조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폐가축을 탱크에 투입하고, 다수개의 파쇄날을 회전시켜 폐가축을 파쇄하면서 제습기를 이용해 건조 처리함으로써,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설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대폭 절감되며, 폐가축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폐가축 처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기업화된 축산산업에서 축산업자는 물론, 국민들이 염려하고 있는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및 돈콜레라와 같은 가축의 법정 전염병 발생시 확산방지를 위한 대처방안이 미흡한 것은 세계적인 문제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소나 돼지 또는 닭 등의 가축에서 법정 전염병의 양성반응이 확인되면, 우선 그 지역을 외부와 차단하고, 해당 질병의 감수성이 있는 축종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가축을 신속히 살처분 하는 것이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하는 관건이다.
따라서, 다수의 가축을 단시간에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매몰 처리하는 방법이며, 우리 나라는 대부분의 경우, 정부 주도하에 매몰 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축의 매몰 처리는 일정한 규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추후 관리가 큰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
즉, 폐가축의 매몰지는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추후 매몰지의 확보가 어렵고, 매몰 후에도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 및 상수원 오염, 악취발생 및 질병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폐사한 가축을 분쇄 및 발효시켜 사료 또는 퇴비화 하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5833호(폐가축 처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수용통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파쇄날과 수용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날의 교차에 따른 절단하중에 의해 폐사된 가축을 안정적으로 분쇄하여 수용통으로 공급된 발효제와의 혼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수용통의 내부에서 발효효율이 극대화되어 폐가축의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대량의 폐가축을 주변환경의 오염 없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100호(폐가축 처리 시스템)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가금류 파쇄부의 고형물질이 폐가축 파쇄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가금류 파쇄부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폐가축 파쇄부를 건조부로 직접 연결하여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가금류와 폐가축 파쇄 과정에서 생성된 액상슬러지는 톱밥이 저장된 발효부로 공급되어 퇴비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폐가축 처리장치"는 보일러로 가열된 열매체를 수용통의 외부 자켓에 공급하여 폐가축을 가열하면서 파쇄 및 발효시켜 처리하는 기술로서, 열에너지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처리장치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용통 안에서 폐가축을 가열하면서 파쇄 및 발효시 수증기와 침출수가 다량으로 발생하므로, 이로 인해 여과조와 침출조 및 정화시설이 필요함에 따라 시설비용이 많이 들고, 침출수의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81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81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4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21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5833호.
본 발명은 종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폐가축 처리장치"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폐가축을 밀폐되는 탱크에 투입하고, 모터로 다수개의 파쇄날을 회전시켜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며, 파쇄과정에서 제습기를 이용해 폐가축을 건조하여 신속하게 처리하는 폐가축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과정에서 제습기를 이용하여 폐가축을 건조 처리하므로,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설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대폭 절감되며, 폐가축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폐가축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지면 위에 놓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위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배출홀이 형성된 탱크;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힌지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도어; 상기 탱크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쇄날이 설치된 샤프트;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탱크에 배출관과 인입관이 연결 설치된 제습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탱크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놓여 배치되며, 하부 일측에 배출홀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 하부에 인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어는 탱크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힌지가 도어와 탱크의 일측 상부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부착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샤프트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브라켓이 부착 설치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에 링크대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링크대의 단부에 각각 파쇄날이 부착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폐가축을 밀폐되는 탱크에 투입하고, 모터로 다수개의 파쇄날을 회전시켜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며, 파쇄과정에서 제습기를 이용해 폐가축을 건조하여 처리함으로써,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설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과정에서 제습기를 이용하여 폐가축을 건조 처리하므로,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민원 발생을 방지하며, 특히 제습기를 이용하여 폐가축을 건조 처리하므로, 설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폐가축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파쇄날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지면 위에 놓이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위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배출홀(24)이 형성된 탱크(20); 상기 탱크(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힌지(32)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도어(30); 상기 탱크(20)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쇄날(41)이 설치된 샤프트(4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샤프트(40)를 회전시키는 모터(50);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탱크(20)에 배출관(61)과 인입관(62)이 연결 설치된 제습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10)은 탱크(20)와 모터(50) 및 제습기(60)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기능으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지면 위에 소정의 높이로 배치되며, 직사각의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프레임(10)은 내구성과 내식성을 갖는 철재로 구성되며, 직사각의 모서리 부분 하부에 각각 포스트(11)가 형성되어 지면 위에 소정의 높이로 놓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탱크(20)는 폐가축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공간의 기능으로서, 상기 탱크(20)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놓여 배치된다.
상기에서 탱크(20)는 돼지 3~5 마리가 투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하부 일측에 배출홀(24)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배출구(22)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 하부에 인입구(2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배출홀(24)은 탱크(20)의 길이에서 중앙부에 배치되며, 파쇄 및 건조과정이 완료된 폐가축 분말이 탱크(20)의 외부로 배출되고, 또한 상기에서 배출구(22)는 탱크(20)의 내부 공간에서 수증기가 제습기(60)로 배출되는 한편 인입구(23)는 제습기(60)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탱크(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한편 탱크(2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마주하도록 다수개의 브라켓(21)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21)의 상부에 용접으로 견고하게 부착 설치되며, 상기 배출홀(24)의 외부 가장자리에 호퍼(25)가 설치되어 탱크(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폐가축 분말을 유도한다.
상기에서 탱크(20)에 구비된 배출홀(24)의 외부에 배출도어(70)가 개폐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배출도어(70)는 잠금장치와 레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폐가축의 파쇄 및 건조과정이 완료된 다음, 배출도어(70)를 열어서 폐가축 분말을 탱크(20)에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도어(30)는 탱크(20)의 상부를 밀폐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도어(30)는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탱크(20)의 상부에 복수개의 힌지(32)로 결합되어 개폐가능케 설치되며, 별도의 공압 또는 유압장치로 실린더(31)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개폐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도어(30)는 탱크(2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힌지(32)가 도어(30)와 탱크(20)의 일측 상부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부착 설치된다.
한편 도어(30)는 탱크(20)의 상부 양쪽 측면에 각각 실린더(31)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31)의 로드가 도어(3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부착된 브라켓(33)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실린더(31)의 작동을 통해 도어(30)가 자동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도어(30)는 탱크(20)의 상부를 밀폐하는 한편 탱크(20)의 상부에서 개폐됨으로써, 도어(30)를 열고 폐가축을 탱크(20)의 내부 공간에 투입한 다음, 도어(30)를 닫아서 탱크(20)를 밀폐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샤프트(40)는 다수개의 파쇄날(41)이 설치되어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샤프트(40)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탱크(20)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쇄날(41)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에서 샤프트(40)는 탱크(20)의 양측부에 내장된 베어링에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40)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브라켓(42)이 부착 설치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42)에 링크대(43)가 볼트와 너트로 분리 및 교체가능케 결합 설치된다.
상기에서 브라켓(42)은 샤프트(40)에 각각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링크대(43)의 단부에 각각 파쇄날(41)이 부착 설치되며, 상기 파쇄날(41)과 브라켓(42) 및 링크대(43)는 샤프트(40)의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배치된다.
한편 다수개의 파쇄날(41)과 서로 교차하여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도록 탱크(20)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티스(teeth)(44)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티스(44)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탱크(20)의 하측 및 일측 내주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티스(44)는 파쇄날(41)과 서로 교차하도록 파쇄날(41)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탱크(20)의 내부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샤프트(40)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쇄날(41)이 설치되고, 상기 파쇄날(41)과 서로 교차하도록 탱크(20)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티스(44)가 부착 설치됨으로써, 파쇄날(41)의 회전으로 폐가축을 파쇄하게 된다.
한편 샤프트(40)의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다수개의 파쇄날(41)이 위치함으로써, 파쇄과정에서 폐가축을 탱크(20)의 내부 중앙으로 모으게 되며, 이는 파쇄 및 건조과정이 완료된 폐가축 분말이 배출홀(24)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모터(50)는 샤프트(40)와 다수개의 파쇄날(41)을 회전시켜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모터(5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탱크(2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모터(50)는 일반적인 감속모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구동축에 스프라켓(51)이 결합 설치되는 한편 샤프트(40)의 일측에 스프라켓(45)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51)(45)에 체인(52)이 감겨져 모터(50)의 구동력이 샤프트(40)로 전달됨으로써, 모터(50)의 구동으로 샤프트(4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제습기(60)는 파쇄과정에서 폐가축을 건조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제습기(6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서 탱크(20)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며, 탱크(20)에 배출관(61)과 인입관(62)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습기(60)는 탱크(20)의 배출구(22)에 인입관(62)이 연결 설치되고, 또한 탱크(20)의 인입구(23)에 배출관(61)이 연결 설치되며, 폐가축에서 발생하는 수분(수증기)이 탱크(20)의 내부 공간에서 인입관(62)을 통해 제습기(60)로 유입되고, 제습기(60)에서 발생한 열기가 배출관(61)을 통해 탱크(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습기(60)에서 발생한 열기가 탱크(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탱크(20)의 내부 공간에서 폐가축의 수분이 제습기(60)로 유입되어 제거됨으로써, 파쇄과정에서 폐가축을 수분을 건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탱크(20)의 외 측면에 커버(80)를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80)는 탱크(20)의 단열효과를 높이는 한편 탱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게 된다.
이러한 경우, 커버(80)의 상부에 도어(30)와 실린더(31) 및 힌지(32)가 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커버(80)의 일측에 도어(30)와 모터(50) 및 제습기(60)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9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쇄날(41)은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링크대(43)의 단부에 용접으로 부착 설치되고, 상기 링크대(43)가 볼트와 너트를 통해 브라켓(42)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파쇄날(41)을 샤프트(40)에서 분리 및 교체가능케 구성되며, 상기 파쇄날(41)은 교반 및 파쇄가 용이하게 양측 상부가 경사진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폐가축을 밀폐되는 탱크에 투입하고, 모터로 다수개의 파쇄날을 회전시켜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며, 파쇄과정에서 제습기를 이용해 폐가축을 건조하여 처리함으로써,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설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대폭 절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과정에서 제습기를 이용하여 폐가축을 건조 처리하므로, 처리과정에서 침출수나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에서 민원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프레임 11: 포스트
20: 탱크 21: 브라켓
22: 배출구 23: 인입구
24: 배출홀 25: 호퍼
30: 도어 31: 실린더
32: 힌지 40: 샤프트
41: 파쇄날 42: 브라켓
43: 링크대 44: 티스(teeth)
50: 모터 60: 제습기
61: 배출관 62: 인입관
70: 배출도어 80: 커버
90: 컨트롤 박스

Claims (4)

  1. 지면 위에 놓이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위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배출홀(24)이 형성된 탱크(20); 상기 탱크(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힌지(32)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도어(30); 상기 탱크(20)의 내부 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파쇄날(41)이 설치된 샤프트(4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샤프트(40)를 회전시키는 모터(50);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탱크(20)에 배출관(61)과 인입관(62)이 연결 설치된 제습기(60);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구성되고,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놓여 배치되며, 하부 일측에 배출홀(24)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배출구(22)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 하부에 인입구(23)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24)의 외부 가장자리에 호퍼(25)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2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마주하도록 다수개의 브라켓(21)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21)의 상부에 용접으로 부착 설치되며, 상기 탱크(20)의 외측면에 커버(80)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커버(80)는 탱크(20)의 단열효과를 높이는 한편 탱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며,
    상기 도어(30)는 탱크(2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힌지(32)가 도어(30)와 탱크(20)의 일측 상부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부착 설치되며,
    상기 탱크(20)의 상부 양쪽 측면에 각각 실린더(31)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31)의 로드가 도어(3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부착된 브라켓(33)에 결합 설치되어 실린더(31)의 작동을 통해 도어(30)가 자동으로 개폐되며,
    상기 샤프트(40)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브라켓(42)이 부착 설치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42)에 링크대(43)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링크대(43)의 단부에 각각 파쇄날(41)이 부착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파쇄날(41)과 서로 교차하여 폐가축을 잘게 파쇄하도록 탱크(20)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티스(44)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티스(44)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며, 탱크(20)의 하측 및 일측 내주면에 배치되는 한편 파쇄날(41)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탱크(20)의 내부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파쇄날(41)은 샤프트(40)의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위치하고,
    상기 파쇄날(41)은 링크대(43)의 단부에 용접으로 부착 설치되며, 교반 및 파쇄가 용이하게 양측 상부가 경사진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탱크(20)에 구비된 배출홀(24)의 외부에 배출도어(70)가 개폐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배출도어(70)는 잠금장치와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기(60)는 탱크(20)의 배출구(22)에 인입관(62)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탱크(20)의 인입구(23)에 배출관(61)이 연결 설치되며, 폐가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탱크(20)의 내부 공간에서 인입관(62)을 통해 제습기(60)로 유입되고, 제습기(60)에서 발생한 열기가 배출관(61)을 통해 탱크(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가축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4929A 2021-03-17 2021-03-17 폐가축 처리 시스템 KR10234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29A KR102340739B1 (ko) 2021-03-17 2021-03-17 폐가축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29A KR102340739B1 (ko) 2021-03-17 2021-03-17 폐가축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39B1 true KR102340739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29A KR102340739B1 (ko) 2021-03-17 2021-03-17 폐가축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3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55A (ko) * 2001-04-28 2001-07-13 김태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KR10144940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환경21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KR20170029992A (ko) * 2015-09-08 2017-03-16 박진채 로터리형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KR101825846B1 (ko) * 2016-11-24 2018-03-22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101898152B1 (ko) 2017-04-20 2018-09-12 (주) 에코베네 폐가축 처리장치
KR101968187B1 (ko) 2018-12-07 2019-04-11 (주)넥스트가스이노베이션 폐가축 처리용 소각기의 분리 처리장치
KR102021433B1 (ko) 2017-08-07 2019-09-16 장도현 폐사가축처리기
KR102022100B1 (ko) 2019-01-22 2019-11-05 (주)에코베네 폐가축 처리 시스템
KR102082842B1 (ko) * 2018-11-22 2020-02-2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나합식 파쇄 날개를 구비한 슬러지 케이크 저장 호퍼
KR102085833B1 (ko) 2018-07-30 2020-03-09 빛나매크로 주식회사 폐가축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55A (ko) * 2001-04-28 2001-07-13 김태화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KR10144940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환경21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KR20170029992A (ko) * 2015-09-08 2017-03-16 박진채 로터리형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KR101825846B1 (ko) * 2016-11-24 2018-03-22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101898152B1 (ko) 2017-04-20 2018-09-12 (주) 에코베네 폐가축 처리장치
KR102021433B1 (ko) 2017-08-07 2019-09-16 장도현 폐사가축처리기
KR102085833B1 (ko) 2018-07-30 2020-03-09 빛나매크로 주식회사 폐가축처리장치
KR102082842B1 (ko) * 2018-11-22 2020-02-28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나합식 파쇄 날개를 구비한 슬러지 케이크 저장 호퍼
KR101968187B1 (ko) 2018-12-07 2019-04-11 (주)넥스트가스이노베이션 폐가축 처리용 소각기의 분리 처리장치
KR102022100B1 (ko) 2019-01-22 2019-11-05 (주)에코베네 폐가축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US83654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and organic material obtained by the treatment method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2148728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04182B1 (ko) 폐사 가축의 친환경 처리 장치
KR102225455B1 (ko) 축산분뇨 건조장치
JP2007105605A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KR102340739B1 (ko) 폐가축 처리 시스템
KR101728426B1 (ko) 해상계류식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시스템
KR2013014185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7796005A (zh) 工业污泥余热利用焚烧装置
KR100523998B1 (ko)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20120103790A (ko) 가축 매몰처분 사체에 의한 토양오염방지 처리방법
KR200393891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1252490B1 (ko) 가축 부산물 처리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200408020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20110105912A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487306Y1 (ko) 열풍 순환 건조구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528793B1 (ko) 동물 폐사체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