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728B1 -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728B1
KR102148728B1 KR1020190094283A KR20190094283A KR102148728B1 KR 102148728 B1 KR102148728 B1 KR 102148728B1 KR 1020190094283 A KR1020190094283 A KR 1020190094283A KR 20190094283 A KR20190094283 A KR 20190094283A KR 102148728 B1 KR102148728 B1 KR 10214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unit
livestock
heat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일
Original Assignee
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일 filed Critical 남일
Priority to KR102019009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70Controlling the treatment in response to process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및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분쇄 및 건조시켜 배출물로 형성하고, 배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AI 및 구제역 균을 살균처리 후 배출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쇄 처리 장치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차량을 통해 이송하여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처리 하므로, 설치 공간 또는 매립 부지가 필요치 않은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I(조류인플루엔자 : avian influenza) 또는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 되는 가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사체를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교반시키며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저장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서 분쇄 및 건조되는 가축의 사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시켜 배출 또는 저장부로 재주입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열교환 하는 냉각부; 상기 저장부에서 사체 분쇄 및 건조시 발생되는 가스의 분진을 걸러 저장부 외부로 배출시키고, 가스를 저장부 내부로 재순환시켜 악취가 제거된뒤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을 통해 약품을 저장부 내부로 주입하는 약품부; 상기 저장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진공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되는 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고, 드레인시키는 배수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 배수부, 가스 배출부, 가열부에 형성되어 각각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분쇄부, 약품부, 가스 배출부, 진공부, 가열부 및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 분쇄부, 가열부, 열교환부, 냉각부, 가스 배출부, 약품부, 진공부, 배수부, 센서부 및 제어부의 구성이 하나의 처리장치블럭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aling grind livestock of fall dead or slaughter disposal foot-and-mouth disease and avian influenza with eco-friendly sealed moving type}
본 발명은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I 및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분쇄 및 건조시켜 배출물로 형성하고, 배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AI 및 구제역 균을 살균처리 후 배출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쇄 처리 장치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차량을 통해 이송하여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처리하므로, 설치 공간 또는 매립 부지가 필요치 않은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 및 조류독감의 발생으로 인하여, 가축을 살처분한 후 매몰 처리한 지역에서는 현재 침출수의 발생으로 인해 악취와 2차오염, 전염병 발생위험 등에 노출되어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현재는 이 침출수를 모아 약품처리하고 있으나 침출수를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침출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땅속으로 스며듦으로써, 이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다른 2차오염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침출수로 인해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고 지하수가 오염에 따라, 이 침출수 처리를 위한 약품처리 후 그 결과물도 또 다른 처리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처리비용과 시설에 막대한 재정이 투입되고 있다. 게다가 지속적인 침출수로 인해 처리기간도 장기간에 걸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약품에 의해 침출수를 처리한다는 것은 완벽하지 않고 비효율적이며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는 소각처리도 고려할 수 있으나, 소각시 대기 오염과 폐기물이 발생하며, 제한된 시간 내에 처리하기 위해 많은 설비 및 연료가 필요하다. 이로 인한 과대한 비용이 들고 설비 시설 기간도 장기간 소요되며, 또한 주 매몰지역이 교통이 불편한 외곽지에 위치하고 있어, 그 주변에 신규 시설물을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소각 설비방식은 예상되는 하루 처리량이 약 45톤 정도 되므로 매우 장기간에 처리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선행특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상 위 사방을 둘러쳐 막도록 설치하는 천막과, 상기 천막 내부에 설치하는 트레일러와, 트레일러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는 너클크레인과, 너클크레인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분쇄기와,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나오는 가축 사체를 슬러지 형태로 갈아 내는 분쇄기와, 분쇄기를 거쳐 나온 슬러지 형태의 분쇄물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저장조로 부터 공급 받는 분쇄물을 증기로 멸균 및 건조 처리하는 멸균건조기와, 멸균건조기로 부터 공급 받은 슬러지를 탄화시키는 탄화기와, 탄화기에 탄화처리에 필요한 연료 공급을 행하는 경유저장탱크와, 탄화기에서 배기되는 연소가스를 연소 공기로 사용하며 탱크로리로 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증기를 생산 하여 상기 멸균건조기로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멸균 건조시킨뒤 사체를 탄화시켜 배출하므로 대량의 연료가 필요하며, 사체 탄화시켜 발생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구성이 없어 가스에 포함되는 균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7012호(2011.09.16.)
본 발명은 AI 및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분쇄 및 건조시켜 배출물로 형성하고, 배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AI 및 구제역 균을 살균처리 후 배출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쇄 처리 장치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차량을 통해 이송하여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처리 하므로, 설치 공간 또는 매립 부지가 필요치 않은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는, AI(조류인플루엔자 : avian influenza) 또는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 되는 가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사체를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교반시키며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통해 저장부를 가열시켜 저장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저장부 내부에서 분쇄 및 건조되는 가축의 사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시켜 배출 또는 저장부로 재주입시키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열교환 하는 냉각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사체 분쇄 및 건조시 발생되는 가스의 분진을 걸러 저장부 외부로 배출시키고, 가스를 저장부 내부로 재순환시켜 악취를 제거시킨뒤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와, 상기 분쇄부의 회전축을 통해 약품을 저장부 내부로 주입하는 약품부와, 상기 저장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진공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되는 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고, 드레인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 배수부, 가스 배출부, 가열부에 형성되어 각각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분쇄부, 약품부, 가스 배출부, 진공부, 가열부 및 열교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 분쇄부, 가열부, 열교환부, 냉각부, 가스 배출부, 약품부, 진공부, 배수부, 센서부 및 제어부의 구성이 하나의 처리장치블럭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 살처분된 가축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으로 사체가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되어 형성되는 배출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주연을 따라 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부는 저장부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체; 상기 돌출체 간에 형성되며, 가축의 사체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교반날; 상기 회전축의 내부와 돌출체의 내부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외부의 약품부에서 공급되는 약품이 유동되는 유동로 및 상기 돌출체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어 유동로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부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온도, 악취, 수분, 분진량 또는 약품 배출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이에 해당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센서부의 감지 값을 통해 공급되는 약품의 양, 약품의 종류, 분쇄부의 회전속도 및 가열부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I 및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분쇄 및 건조시켜 배출물로 형성하고, 배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AI 및 구제역 균을 살균처리 후 배출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 처리 장치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차량을 통해 이송하여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처리 하므로, 설치 공간 또는 매립 부지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으로 돌출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이송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의 전후에 이송장치와 압출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AI(조류인플루엔자 : avian influenza) 또는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 되는 가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211)이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부(210);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사체를 회전축(221)의 회전을 통해 교반시키며 분쇄하는 분쇄부(220); 상기 저장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통해 저장부(210)를 가열시켜 저장부(210)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250); 상기 저장부(210) 내부에서 분쇄 및 건조되는 가축의 사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시켜 배출 또는 저장부(210)로 재주입시키는 열교환부(230); 상기 열교환부(230)와 연결되어 열교환 하는 냉각부(240); 상기 저장부(210)에서 사체 분쇄 및 건조시 발생되는 가스의 분진을 걸러 저장부(210) 외부로 배출시키고, 가스를 저장부(210) 내부로 재순환시켜 악취를 제거시킨뒤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15); 상기 분쇄부(220)의 회전축(221)을 통해 약품을 저장부(210) 내부로 주입하는 약품부(260); 상기 저장부(210)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진공부(270); 상기 열교환부(230)를 통해 열교환되는 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고, 드레인시키는 배수부(280);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 배수부(280), 가스 배출부(215), 가열부(250)에 형성되어 각각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는 센서부(s) 및 상기 센서부(s)의 감지 신호를 통해 분쇄부(220), 약품부(260), 가스 배출부(215), 진공부(270), 가열부(250) 및 열교환부(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210), 분쇄부(220), 가열부(250), 열교환부(230), 냉각부(240), 가스 배출부(215), 약품부(260), 진공부(270), 배수부(280), 센서부(s) 및 제어부(290)의 구성이 하나의 처리장치블럭(200)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21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211)이 형성되고, 상측에 살처분된 가축이 투입되는 투입구(212)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으로 사체가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되어 형성되는 배출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213)가 형성되며, 내주연을 따라 돌출부재(21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부(220)는 저장부(2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221); 상기 회전축(221)의 외주연에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체(222); 상기 돌출체(222) 간에 형성되며, 가축의 사체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교반날(223); 상기 회전축(221)의 내부와 돌출체(222)의 내부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외부의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이 유동되는 유동로(224) 및 상기 돌출체(222)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어 유동로(224)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부(21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s)는 온도, 악취, 수분, 분진량 또는 약품 배출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이에 해당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고, 제어부(290)에서 상기 센서부(s)의 감지 값을 통해 공급되는 약품의 양, 약품의 종류, 분쇄부(220)의 회전속도 및 가열부(250)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폐사 또는 살처분 되는 가축이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부(210),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사체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분쇄부(220), 저장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저장부(210)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250), 저장부(210) 내부에서 분쇄 및 건조되는 가축의 사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시켜 배출 또는 저장부(210)로 재주입시키는 열교환부(230), 열교환부(230)와 연결되어 열교환 하는 냉각부(240), 저장부(210)에서 사체 분쇄 및 건조시 발생되는 가스의 분진을 걸러 저장부(210) 외부로 배출시키고, 가스를 저장부(210) 내부로 재순환시켜 악취가 제거된뒤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15), 분쇄부(220)의 회전축(221)을 통해 약품을 저장부(210) 내부로 주입하는 약품부(260), 저장부(210)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진공부(270), 열교환부(230)를 통해 열교환되는 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고, 드레인시키는 배수부(280), 저장부(210)의 내부, 배수부(280), 가스 배출부(215), 가열부(250)에 형성되어 각각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는 센서부(s) 및 센서부(s)의 감지 신호를 통해 분쇄부(220), 약품부(260), 가스 배출부(215), 진공부(270), 가열부(250) 및 열교환부(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1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211)이 형성되고, I(조류인플루엔자 : avian influenza) 또는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 되는 가축이 투입되어 저장공간(211)에 저장되도록 하여 분쇄부(220)를 통해 분쇄 및 교반되고, 내부에서 사체가 건조된 상태의 배출물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21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211)이 형성되고, 상측에 살처분된 가축이 투입되는 투입구(212)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으로 사체가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되어 형성되는 배출물을 토출구(213)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12)에는 댐퍼가 형성되어 제어부(290)의 제어를 통해 개폐되어 가축의 사체가 투입될 때에만 개방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진공부(270)를 통해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공부(270)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져 저장부(210)와 열교환부(230)로 연결되는 배관 상에 진공부(270)가 연결되어 저장부(210) 내부를 진공화 한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부재(214)가 돌출 형성되어 분쇄부(220)의 회전시 가축의 사체가 분쇄 및 교반되는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표시한 도면으로 돌출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재(214)는 저장부(210) 내주연을 따라 나선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는 칼날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재(214)이 칼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직선 칼날, 곡선칼날 또는 'ㄴ'자형 칼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14)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때에는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이 회전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틀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는 분쇄부(220)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분쇄부(220)의 회전을 통해 가축의 사체가 분쇄 및 교반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분쇄부(220)는 저장부(2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221), 회전축(221)의 외주연에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체(222), 돌출체(222) 간에 형성되며, 가축의 사체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교반날(223), 회전축(221)의 내부와 돌출체(222)의 내부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외부의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이 유동되는 유동로(224) 및 돌출체(222)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어 유동로(224)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부(21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2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221)은 저장부(210)의 가로방향으로 저장부(2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의 구동체를 통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221)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돌출체(2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체(222)는 회전축(221)의 외주연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돌출체(222)는 일정각도를 가지고 불규칙 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21) 간에는 교반날(223)이 회전축(221) 간을 연결하며 형성되며, 이를 위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221) 내부에는 가열선이 더 구비되어 저장부(210) 내부의 온도를 제어부(290)의 제어를 통해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반날(223)은 동일 선상이 아닌 나선 방향을 따라 회전축(221)에 결합되며, 다른 교반날(223)과 서로 교차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가 돌출체(222)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21)과 돌출체(222)에는 서로 연결되는 유동로(224)가 형성되어 회전축(221)의 일측에 연결되는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이 회전축(221)의 유동로(224)를 통해 돌출부의 유동로(224)로 유동되도록 하며, 돌출제의 외주연에 다수의 분사구(225)가 형성되어 유동로(224)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부(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약품부(260)는 여러 종류의 약품이 각각 저장되도록 다수의 저장부(210)재를 구비하여 제어부(290)의 제어신호를 통해 투입되는 약품의 종류를 변경하여 유동로(224)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약품은 가축의 사체를 분소 및 교반시켜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가축 사체의 건조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종류의 미생물 또는 약품을 말한다.
상기 저장부(210)의 외측 하부에는 가열부(250)가 결합되어 저장부(210)를 가열하여 저장부(210) 내부에 저장되는 가축의 사체를 가열하여 건조의 진행을 빠르게 한다.
상기 가열부(250)는 저장부(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열체(252), 가열체(252)에 열매체를 유동시키는 공급체(251) 및 공급체(251)에서 가열되는 열매체를 가열체(252)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체(252)는 열매체가 유동되는 유동관으로 형성되어 저장부(210)의 하부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며, 공급체(251)는 열매체를 가열시키는 전열기 또는 화력기 등의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부(215)는 저장부(210) 내부에서 분쇄 및 교반되어 건조되는 가축의 사체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가스가 배출되며, 배출되는 가스에서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체가 형성되어 포집된 분진이 저장부(2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가스 배출부(215)를 통해 배출된 가스는 열교환부(230)로 유동되며, 이와 동시에 저장부(210)에서 사체 건조시 발생되는 증기가 열교환부(230)로 유동되고, 열교환부(230)에서 증기와 가스가 냉각되어 저장부(210) 내부로 재순환 되며, 저장부(210)와 열교환기 간에 수분 증발기(216)가 구비되어 증기와 가스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저장부(210)로 재공급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30)는 냉각부(240)가 연결되어 고온의 증기와 가스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부(240)는 냉각기(242)와 냉각수조(241)로 구성되어 냉각수조(241)의 냉각수를 냉각기(242)로 냉각시키고, 냉각수조(241)의 냉각수를 열교환부(230)로 공급하여 증기 및 가스의 열을 열교환 시키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30)를 통해 열교환 되는 증기와 가스는 온도가 하락하며 응축수가 발생되는데 이는 배수부(280)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어 배수된다.
상기 배수부(280)는 응축수를 드레인시키는 드레인체(281)와 드레인체(281)를 통해 드레인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 배수부(280), 가스 배출부(215), 가열부(250)에는 센서부(s)가 형성되어 감지되는 상태를 제어부(29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s)는 온도, 악취, 수분, 분진량 또는 약품 배출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이에 해당하는 저장부(210)의 내부, 배수부(280), 가스 배출부(215), 가열부(250)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센서들은 저장부(210)의 내부, 배수부(280), 가스 배출부(215), 가열부(250)에 다수 종류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90)는 센서부(s)의 감지 신호를 통해 분쇄부(220), 약품부(260), 가스 배출부(215), 진공부(270), 가열부(250) 및 열교환부(23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90)는 저장부(210)에 가축의 사체가 투입되면, 분쇄부(220)를 작동시켜 사체를 분쇄 및 교반하고, 가스 배출부(215)와 배수부(280)에 형성되는 센서부(s)를 통해 감지되는 증기, 가스 및 응축수의 악취, 온도 및 증기량 등의 상태 값을 통해 분쇄부(220)의 회전속도, 약품부(260)의 약품 공급량, 약품의 종류 또는 가열부(250)의 가열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부(s)를 통해 감지되는 증기, 가스 및 응축수의 악취, 온도 및 증기량 등의 상태 값이 미리 설정되는 안전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작동의 변경없이 그대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증기, 가스 및 응축수의 악취, 온도 및 증기량 등의 상태 값이 설정되는 안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쇄부(220)의 회전속도를 증가, 가열부(250)의 온도를 증가,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증가 또는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의 종류를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진행하여 증기, 가스 및 응축수의 악취, 온도 및 증기량 등의 상태 값을 안전 기준치 이하로 조절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이송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저장부(210), 분쇄부(220), 가열부(250), 열교환부(230), 냉각부(240), 가스 배출부(215), 약품부(260), 진공부(270), 배수부(280), 센서부(s) 및 제어부(290)의 구성은 하나의 처리장치블럭(200)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의 전후에 이송장치와 압출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의 구성을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축을 저장부(210)의 투입부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장치(100)를 통해 투입부로 가축의 사체 또는 살처분 될 가축을 투입하고, 저장부(210)에 저장된 가축 사체가 처리되어 건조된 배출물을 토출구(213)를 통해 토출시켜 제2 이송장치(300)를 통해 압출장치(400)로 이송시켜 압출을 통해 부피가 작은 고형물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AI 및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분쇄 및 건조시켜 배출물로 형성하고, 배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AI 및 구제역 균을 살균처리 후 배출함으로써,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 처리 장치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차량을 통해 이송하여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을 처리 하므로, 설치 공간 또는 매립 부지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1 이송장치 200 : 처리장치블럭
300 : 제2 이송장치 400 : 압출장치
210 : 저장부 211 : 저장공간
212 : 투입구 213 : 토출구
214 : 돌출부재 215 : 가스 배출부
216 : 수분 증발기
220 : 분쇄부 221 : 회전축
222 : 돌출체 223 : 교반날
224 : 유동로 225 : 분사구
230 : 열교환부
240 : 냉각부 241 : 냉각수조
242 : 냉각기
250 : 가열부 251 : 공급체
252 : 가열체 253 : 순환펌프
260 : 약품부 270 : 진공부
280 : 배수부 281 : 드레인체
282 : 배수구
290 : 제어부 s : 센서부

Claims (4)

  1. AI(조류인플루엔자 : avian influenza) 또는 구제역으로 인해 폐사 또는 살처분 되는 가축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211)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211)의 상측에 살처분된 가축이 투입되는 투입구(212)가 형성되는 저장부(210);
    상기 저장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나선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는 'ㄴ'자형 칼날 등의 형상으로되는 돌출부재(214);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사체를 회전축(221)의 회전을 통해 교반시키며 분쇄하는 분쇄부(220);
    상기 분쇄부(220)는 저장부(2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221);
    상기 회전축(221)의 외주연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체(222);
    상기 돌출체(222)에 형성되어 회전축(221)과 연결되며, 이를 위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축의 사체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교반날(223);
    상기 회전축(221)의 내부와 돌출체(222)의 내부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외부의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이 유동되는 유동로(224) 및 상기 돌출체(222)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어 유동로(224)를 통해 유동되는 약품이 저장부(21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225);
    상기 저장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통해 저장부(210)를 가열시켜 저장부(210)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부(250);
    상기 가열부(250)의 저장부(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열체(252), 상기 가열체(252)에 열매체를 유동시키는 공급체(251) 및 상기 공급체(251)에서 가열되는 열매체를 가열체(252)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53);
    상기 저장부(210) 내부에서 분쇄 및 건조되는 가축의 사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열교환시켜 배출 또는 저장부(210)로 재주입시키는 열교환부(230);
    상기 열교환부(230)와 연결되어 열교환 하는 냉각부(240);
    상기 저장부(210)에서 사체 분쇄 및 건조시 발생되는 가스의 분진을 걸러 저장부(210) 외부로 배출시키고, 가스를 저장부(210) 내부로 재순환시켜 악취를 제거시킨뒤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15);
    상기 분쇄부(220)의 회전축(221)을 통해 약품을 저장부(210) 내부로 주입하는 약품부(260);
    상기 저장부(210)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진공부(270);
    상기 열교환부(230)를 통해 열교환되는 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고, 드레인시키는 배수부(280);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 배수부(280), 가스 배출부(215), 가열부(250)에 형성되어 각각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는 센서부(s);
    상기 제어부(290)는 댐퍼가 구비된 투입구(212)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290)의 제어를 통해 개폐되어 가축의 사체가 투입될 때에만 개방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진공부(270)를 통해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입구(212)는 하부 외측으로 사체가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되어 형성되는 배출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213)가 형성되며, 내주연을 따라 돌출부재(2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s)는 온도, 악취, 수분, 분진량 또는 약품 배출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이에 해당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고, 제어부(290)에서 상기 센서부(s)의 감지 값을 통해 공급되는 약품의 양, 약품의 종류, 증기, 가스 및 응축수의 악취, 온도 및 증기량 등의 상태 값이 설정되는 안전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쇄부(220)의 회전속도 및 가열부(250)의 가열온도 및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의 양을 증가 또는 약품부(260)에서 공급되는 약품의 종류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s)의 감지 신호를 통해 분쇄부(220), 약품부(260), 가스 배출부(215), 진공부(270), 가열부(250) 및 열교환부(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210), 분쇄부(220), 가열부(250), 열교환부(230), 냉각부(240), 가스 배출부(215), 약품부(260), 진공부(270), 배수부(280), 센서부(s) 및 제어부(290)의 구성이 하나의 처리장치블럭(200)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4283A 2019-08-02 2019-08-02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KR10214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283A KR102148728B1 (ko) 2019-08-02 2019-08-02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283A KR102148728B1 (ko) 2019-08-02 2019-08-02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728B1 true KR102148728B1 (ko) 2020-08-27

Family

ID=7223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283A KR102148728B1 (ko) 2019-08-02 2019-08-02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7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95B1 (ko) * 2021-02-01 2021-04-12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37796B1 (ko) * 2021-02-01 2021-04-12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2302186B1 (ko) * 2021-03-31 2021-09-15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의료폐기물을 수열탄화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2302185B1 (ko) * 2021-03-31 2021-09-15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의료폐기물을 수열탄화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230057015A (ko) * 2021-10-21 2023-04-28 김영희 IoT 기술을 이용한 도장부스 공기 정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723A (ko) * 2002-10-02 2005-06-08 웨이스트 리덕션 바이 웨이스트 리덕션 인코포레이티드 폐기물의 화학적 감소 기기 및 이의 방법
KR101067012B1 (ko) 2011-03-11 2011-09-22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548942B1 (ko) * 2014-08-12 2015-09-02 주식회사 에코엔 음식물 감량기를 이용한 밀폐형 응축시스템
KR101733601B1 (ko) * 2016-11-30 2017-05-08 이택기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KR101942856B1 (ko) * 2017-04-07 2019-01-28 박찬권 가축사체, 음식물쓰레기 기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처리를 위한 이동식 처리장치
KR101998184B1 (ko) * 2018-09-17 2019-07-09 유광열 동물 사체의 재처리 퇴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723A (ko) * 2002-10-02 2005-06-08 웨이스트 리덕션 바이 웨이스트 리덕션 인코포레이티드 폐기물의 화학적 감소 기기 및 이의 방법
KR101067012B1 (ko) 2011-03-11 2011-09-22 에이치투더블유티이 주식회사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548942B1 (ko) * 2014-08-12 2015-09-02 주식회사 에코엔 음식물 감량기를 이용한 밀폐형 응축시스템
KR101733601B1 (ko) * 2016-11-30 2017-05-08 이택기 운반차량에 탑재한 이동식 동물 사체 열처리장치
KR101942856B1 (ko) * 2017-04-07 2019-01-28 박찬권 가축사체, 음식물쓰레기 기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처리를 위한 이동식 처리장치
KR101998184B1 (ko) * 2018-09-17 2019-07-09 유광열 동물 사체의 재처리 퇴비화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95B1 (ko) * 2021-02-01 2021-04-12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37796B1 (ko) * 2021-02-01 2021-04-12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2302186B1 (ko) * 2021-03-31 2021-09-15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의료폐기물을 수열탄화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102302185B1 (ko) * 2021-03-31 2021-09-15 주식회사 하이퍼솔루션 의료폐기물을 수열탄화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230057015A (ko) * 2021-10-21 2023-04-28 김영희 IoT 기술을 이용한 도장부스 공기 정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82458B1 (ko) * 2021-10-21 2023-09-22 김영희 IoT 기술을 이용한 도장부스 공기 정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728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ai 및 구제역으로 폐사 또는 살처분되는 가축의 분쇄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2016005701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258853B1 (ko) 증기를 이용한 스크류 회전식 오니 건조 성형기
KR102085833B1 (ko) 폐가축처리장치
KR102077517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잉여 및 폐기 농수산물 분쇄 처리장치
KR100199548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2005238120A (ja) 減圧乾燥/炭化装置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1101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7225181A (ja) 含水性廃棄物処理装置
JP2007181759A (ja) 含水汚泥の熱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20103790A (ko) 가축 매몰처분 사체에 의한 토양오염방지 처리방법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220069889A (ko) 폐열회수형 탈취기가 부착된 폐사축처리장치
KR101169711B1 (ko) 살균 건조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101369950B1 (ko) 축산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205174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408020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200393891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