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998B1 - 폐사 어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폐사 어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998B1
KR100523998B1 KR10-2002-0072716A KR20020072716A KR100523998B1 KR 100523998 B1 KR100523998 B1 KR 100523998B1 KR 20020072716 A KR20020072716 A KR 20020072716A KR 100523998 B1 KR100523998 B1 KR 10052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waste
waste fish
processing apparatus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286A (ko
Inventor
옥영민
Original Assignee
옥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영민 filed Critical 옥영민
Priority to KR10-2002-007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9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등에서 폐사된 폐사어류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사어류들을 현장에서 즉시 가공처리할 수 있어 별도의 냉동 보관이 필요 없고 처리후 어떠한 오염물질도 발생하지 않는 폐사어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식장 등에서 폐사된 어류를 가공하기 위한 폐사 어류 가공장치에 있어서, 폐사어류 가공장치의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를 형성하고, 지지체의 상측으로 폐사된 어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폐사어류 공급부를 형성하고, 폐사어류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폐사어류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형성하고, 분쇄수단을 통해 분쇄된 폐사어류가 공급되어 폐사어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수단을 형성하고, 건조수단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온풍 발생수단을 형성하고, 건조수단에서 배출되는 증발 배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수단의 상측으로 탈취수단을 형성하고, 탈취수단에서 정화된 증발 배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사 어류 가공장치 {Processing apparatus for making feed using fishes}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양식된 양식어류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식장 등에서 폐사되어 방치된 폐사어류를 친환경적이고 편리하게 가공 처리할 수 있는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용 어류에 대한 수요가 계속하여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어종의 어류를 육상 양식장 내지 해상 가두리 양식 등에서 대규모로 양식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식된 어류들은 그 양식량이 증가하는 만큼 그에 따른 상당 수의 어류들이 적조, 염도저하, 고수온, 어병, 농축산소부족, 수질오염 및 고밀도 등등으로 폐사하고 있다. 이러한 폐사어류의 발생과 그 수의 증가는 현실적인 양식 환경하에서는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이처럼, 양식 사업에서는 이와 같이 발생되는 폐사어류들의 처리가 가장 큰 고민이 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고자 폐사어류들을 매립하거나 소각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매립에 의한 방법은 쉽게 부패되는 어류들로 부터 발생하는 수분과 악취로 인해 환경오염과 함께 침전된 오폐수의 처리에 의한 비용 발생이 과다하게 증가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소각에 의한 처리 방법 역시 폐사된 어류로 부터 발생되는 수분으로 인해 소각시 악취가 발생할 뿐만아니라, 이러한 소각 처리 비용 역시 과다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폐사되는 어류들을 처리 전에 임시로 별도의 냉동고에 냉동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냉동에 따른 에너지 소모와 양식장에서 냉동고까지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사어류들을 현장에서 즉시 가공처리할 수 있어 별도의 냉동 보관이 필요 없고 처리후 어떠한 오염물질도 발생하지 않는 폐사어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아니라, 가공처리 후 발생되는 폐사어류 잔유물들은 처리시 파쇄 멸균 건조하여 원예퇴비로 자원화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소규모 양식장에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그 설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폐사어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사어류 가공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양식장 등에서 폐사된 어류를 가공하기 위한 폐사 어류 가공장치에 있어서,폐사어류 가공장치의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를 형성하고, 지지체의 상측으로 폐사된 어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폐사어류 공급부를 형성하고, 폐사어류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폐사어류를 분쇄하는 분쇄수단 을 형성하고, 분쇄수단을 통해 분쇄된 폐사어류가 공급되어 폐사어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수단을 형성하고, 건조수단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온풍 발생수단을 형성하고, 건조수단에서 배출되는 증발 배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수단의 상측으로 탈취수단을 형성하고, 탈취수단에서 정화된 증발 배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사어류 가공장치의 구성요소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회로가 더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있어 폐사어류 공급부 및 분쇄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있어 건조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있어 온풍 발생 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사어류 가공장치(1)는 크게 폐사어류 가공장치 (1)의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체(10)와, 지지체(10)의 상측으로 폐사된 어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폐사어류 공급부 (20)와, 폐사어류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폐사어류를 분쇄하는 분쇄수단(30) 과, 분쇄수단(30)을 통해 분쇄된 폐사어류가 공급되어 폐사어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수단(40)과, 건조수단(40)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온풍 발생수단(50)과 건조수단(40)에서 배출되는 증발 배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수단(40)의 상측으로 형성된 탈취수단(60) 및 탈취된 증발 배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70)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각각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서와 같이 폐사어류 공급부(20)는 지지체(10; 도 1 참조)의 상측으로 폐사된 어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사각통으로 이루어져 상부 일측이 개방되어 뚜껑 (21)과 손잡이(22)를 설치하고 하부는 폐사어류가 자연스럽게 낙하하도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면서 분쇄수단(30)과 연결한다. 이처럼 연결된 분쇄수단(30)의 세부적 구성은 지지체(10)의 일측에 설치한 분쇄기 감속모터(31)와 구동력전달수단 (32)으로 연결 설치한 한쌍의 분쇄기(33)로 구성한다. 한편, 폐사어류 공급부(20)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증발되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증발 흐름통(23,23')을 배출부 (70)에 연결한다.
도 3 및 도 4 에서와 같이 건조수단(40)은 전술한 분쇄기(33; 도 2 참조)로 부터 분쇄된 폐사어류가 유입되도록 폐사어류 유입공(42)을 갖는 원통형의 건조기 몸체(41)를 형성하고, 건조기 몸체(41)의 외주면 상부 일측에 온풍발생수단(50; 도 1 참조)으로 부터 온풍이 유입되도록 온풍 유입구(43)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폐사어류로 부터 증발된 증발 배기가 배출되는 증발 배기구(44)를 형성하고, 건조기 몸체(41) 내부에는 방사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교반날개(45')를 설치한 교반회전축(45)을 축설하고, 교반회전축(45)을 구동할 수 있도록 건조기 몸체(41)의 일측면에 교반축 감속모터(46)를 설치하고, 그 타측면에는 탈수된 폐사어류가 배출되도록 폐사어류 배출구(49)와 배출 받침대(49')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증발 배기구(44) 상측으로 원통으로 형성된 배출부(70,70')를 설치하고, 그 배출부(70,70') 상단에 통상의 가스 불꽃 점화장치(61)로 이루어지는 탈취수단(60)을 설치한다.
이어서 온풍 발생수단(50)을 설명하면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관이 벌집 형태로 형성되는 가열 배기관(56)이 내부로 설치된 가열기 몸체 (51)를 형성하고, 가열기 몸체(51) 상부 일측에 외기 유입구(53)가 형성되고, 외기 유입구(53)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 휀(57)을 연결관(57')과 함께 설치하고 그 타측에는 가열된 온풍이 건조기 몸체(41)로 공급되도록 온풍 공급구(54)를 형성하고, 가열기 몸체(51)의 일측면에 온풍을 발생하는 가열기(55)를 설치하고 그 타측면에 상기 가열 배기관(56)을 거쳐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도되는 배기가스 흐름관 (58)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가열기(55)는 기름으로 가열되므로 연료통(11)을 지지체 (10; 도 1 참조) 상측에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사어류 가공장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어회로(90)에 대한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개략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90)를 작동하는 조작반(80)의 구성은 작동램프(81)와, 각 장치들의 작동 개폐 스위치(82,83)와, 자동운전 스위치(84)와,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온도계(85, 86)와, 타이머(87) 및 부저 정지 스위치(88)로 이루어져 있다.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작반(80)과 연결된 제어회로(90)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92)와, 메모리(92)로 부터 입력된 데이터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설정부(91)와, 설정부(91)로 부터 입력된 비교된 명령 데이터를 구동부(94)로 보내기 위한 비교부(93)와 비교부(93)로 부터 얻은 데이터로 최종적인 구동 명령이 수행되는 구동부(94)로 이루어져 있고, 구동 명령에 의해 각각의 분쇄기 감속모터(31), 외기공급 휀(57), 가열기(55), 교반축 감속모터(99) 및 탈취수단 (60)이 작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온도가 발생하는 장치(예를 들면, 건조기, 온풍 발생수단 및 탈취수단 등)에 설치된 온도센서(97)로 부터 측정된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95)가 더 설치되고, 이와같은 감지부(95)는 설정부(91)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미설명 부호 11은 가열기 연료통이고, 47'는 기어이고, 58' 는 배기가스 유입구이고, 59'는 배기가스 배출구이다.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사어류 공급부(20)를 통해 폐사된 어류들을 넣어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폐사어류들은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분쇄기감속모터 (31)에 의해 작동되는 분쇄수단(30)에 의해 분쇄되어 건조수단(40; 도 3 참조)의 폐사어류 유입공(42)을 통해 건조기 몸체(41)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폐사어류 들은 교반축 감속모터(46)에 의해 회전한는 교반축(45)에 설치된 교반날개 (45')에 의해 교반되고 동시에 외기 공급휀(57)이 작동하면서 가열기 몸체(51)의 외기 유입구(53)로 외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외기는 가열기(55)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온풍은 온풍공급구(55)를 통해 건조기 몸체(41)에 형성된 온풍 유입구(43)으로 유입된다. 이처럼 유입된 온풍은 건조 공기로써, 분쇄되어 유입된 폐사어류의 수분을 증발시켜 증발된 배기가 증발 배기구(44)를 거쳐 원통의 배출부(70)를 통해 보내진다. 한편, 가열기(55)로 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건조기 몸체 (41) 외주로 형성된 배기순환챔버(48)로 순환시켜 건조기 몸체(41)의 열효율을 배가시킨다. 마지막으로 배출부(70)를 통해 배출되는 증발 배기내에는 폐사어류로 부터 발생된 악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악취는 배출부(70) 상측에 형성된 탈취수단(60)에 의해 제거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건조기 몸체(41) 내에서 건조된 폐사어류는 폐사어류 배출구(49)를 통해 미리 준비된 처리통(12)에 담겨진다. 이렇게 처리된 폐사어류 잔유물들은 가축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되어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폐사어류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페사어류 가공장치에 의해 폐사어류들은 현장에서 즉시 가공처리할 수 있어 별도의 냉동 보관이 필요 없고 처리후 어떠한 오염물질도 발생하지 않아 매우 편리하고 친환경적으로 폐사어류를 처리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가공처리 후 발생되는 폐사어류 잔유물들은 처리시 파쇄 멸균 건조되어 원예퇴비로 자원화할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류모 양식장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그 설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지므로 폐사어류 가공장치를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있어 폐사어류 공급부 및 분쇄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있어 건조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1 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있어 온풍 발생 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의 폐사어류 가공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폐사어류 가공장치 10; 지지체
20; 폐사어류 공급부 30; 분쇄수단
40; 건조수단 50; 온풍발생수단
60; 탈취수단 70; 배출부

Claims (9)

  1. 양식장 등에서 폐사된 어류를 가공하기 위한 폐사 어류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사어류 가공장치(1)의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체 (10);와
    상기 지지체(10)의 상측으로 폐사된 어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폐사어류 공급부(20);와
    상기 폐사어류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폐사어류를 분쇄하는 분쇄수단 (30);과
    상기 분쇄수단(30)으로 부터 폐사어류가 유입되는 유입공(42)과 일측에 일측에 온풍이 유입되는 온풍 유입구(43)와 타측에 폐사어류로 부터 증발된 증발 배기가 배출되는 증발 배기구(44)를 갖는 건조기 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 몸체(41) 내부에 방사상으로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45')가 다수로 축설된 교반축(45)이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45)을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기 몸체(41)의 일측면에 교반축 감속모터(46)가 설치되고, 그 타측면에는 건조 멸균된 폐사어류가 배출되는 폐사어류 배출구(49)와 배출 받침대(49')가 형성되어 분쇄된 폐사어류가 공급되어 폐사어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수단(40);과
    상기 건조수단(40)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온풍 발생수단(50);과
    상기 건조수단(40)에서 배출되는 증발 배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건조수단(40)의 상측으로 형성된 탈취수단(60);및
    상기 탈취수단(60)에서 탈취된 증발 배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30)은,
    상기 지지체(10)의 일측으로 분쇄구동감속모터(31)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기감속모터(31)와 구동력전달수단(32)으로 연결 설치된 분쇄기(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40)을 구동하는 교반축 감속모터(46)를 미리 예약된 시간에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타이머(86)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발생수단(50)은,
    다수의 관(56)이 벌집 형태로 형성되는 가열 배기관(56)를 갖는 가열기 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기 몸체(51) 상부 일측에 외기 유입구(53)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입구(53)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 휀(57)이 연결관(57')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가열된 온풍이 상기 건조기 몸체(41)로 공급되도록 온풍 공급구(54)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기 몸체(51)의 일측면에 온풍을 발생하는 가열기(55)가 설치되고 그 타측면에 상기 가열 배기관(56)을 거쳐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흐름관(5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60)이 가스 불꽃 점화장치(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몸체(41) 외주 둘레로 배기순환챔버(48)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 순환챔버(48)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입구(58')를 통해 상기 배기가스 흐름관 (58)이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배기가스 토출구(59')가 상기 지지체(10) 일측에 세워진 배기가스 배출구(59)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몸체(41) 중앙에 온도계(96)와 온도센서(9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사어류 가공장치(1)의 구성요소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회로(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사어류 가공장치.
KR10-2002-0072716A 2002-11-21 2002-11-21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10052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16A KR100523998B1 (ko) 2002-11-21 2002-11-21 폐사 어류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716A KR100523998B1 (ko) 2002-11-21 2002-11-21 폐사 어류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86A KR20040044286A (ko) 2004-05-28
KR100523998B1 true KR100523998B1 (ko) 2005-10-26

Family

ID=3734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716A KR100523998B1 (ko) 2002-11-21 2002-11-21 폐사 어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23B1 (ko) * 2011-09-23 2013-05-20 김덕희 해상 수산생물자원 친환경 처리기
KR102078699B1 (ko) 2019-08-06 2020-02-18 에코스마트(주) 수산물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8445B1 (no) * 2008-08-14 2010-02-22 Havsterk As Flåteenhet for ensilering av fisk
KR101250766B1 (ko) * 2012-02-13 2013-04-03 이택기 탈취기능을 갖는 동물 사체 처리기
CN104938604B (zh) * 2015-06-10 2017-03-01 台建祥 一种水产加工下脚料综合利用方法
KR101873149B1 (ko) * 2017-02-15 2018-07-02 전라남도 건조 및 멸균 기능이 향상된 수산생물자원 친환경 처리기
KR102273863B1 (ko) * 2019-01-25 2021-07-06 주식회사 씨지인사이드 어류부산물을 이용한 어분 사료 제조기 및 그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488U (ko) * 1995-03-03 1996-10-22 김관수 온풍식 축산분뇨 겸용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KR970006242A (ko) * 1995-07-19 1997-02-19 주용수 유기질 비료 제조공정
KR19980038124U (ko) * 1996-12-19 1998-09-15 남창희 음식물 및 생활용 쓰레기와 본 쓰레기 처리제를 분쇄 혼합하고 교반하여 감량 및 재활용재로 만드는 장치
KR19980065899A (ko) * 1997-01-16 1998-10-15 박재덕 음식물 쓰레기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18789U (ko) * 1997-11-14 1999-06-05 박영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70399A (ko) * 1998-02-19 1999-09-15 김성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72782Y1 (ko) * 1999-09-11 2000-03-15 백동화 폐사 가축 처리장치
KR20000032455A (ko) * 1998-11-14 2000-06-15 임항빈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10084570A (ko) * 2000-02-28 2001-09-06 강 재 성 식당용 음식 폐기물 균체 발효 건조사료 제조장치
KR20010096730A (ko) * 2000-04-14 2001-11-08 이윤석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488U (ko) * 1995-03-03 1996-10-22 김관수 온풍식 축산분뇨 겸용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KR970006242A (ko) * 1995-07-19 1997-02-19 주용수 유기질 비료 제조공정
KR19980038124U (ko) * 1996-12-19 1998-09-15 남창희 음식물 및 생활용 쓰레기와 본 쓰레기 처리제를 분쇄 혼합하고 교반하여 감량 및 재활용재로 만드는 장치
KR19980065899A (ko) * 1997-01-16 1998-10-15 박재덕 음식물 쓰레기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18789U (ko) * 1997-11-14 1999-06-05 박영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70399A (ko) * 1998-02-19 1999-09-15 김성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2455A (ko) * 1998-11-14 2000-06-15 임항빈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172782Y1 (ko) * 1999-09-11 2000-03-15 백동화 폐사 가축 처리장치
KR20010084570A (ko) * 2000-02-28 2001-09-06 강 재 성 식당용 음식 폐기물 균체 발효 건조사료 제조장치
KR20010096730A (ko) * 2000-04-14 2001-11-08 이윤석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23B1 (ko) * 2011-09-23 2013-05-20 김덕희 해상 수산생물자원 친환경 처리기
KR102078699B1 (ko) 2019-08-06 2020-02-18 에코스마트(주) 수산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86A (ko) 200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JP5630714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WO2005080014A1 (en) Food refuge treatment apparatus
KR20120103792A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0219909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KR100927315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0523998B1 (ko)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100803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JP2008284483A (ja) 乾燥装置
KR1002740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51524A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2077517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잉여 및 폐기 농수산물 분쇄 처리장치
KR101252451B1 (ko)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용 패들 건조기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100862756B1 (ko)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KR101205174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988159B1 (ko) 음식 폐기물 건조 장치
KR100291313B1 (ko)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0393891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3421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