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789U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789U
KR19990018789U KR2019970032082U KR19970032082U KR19990018789U KR 19990018789 U KR19990018789 U KR 19990018789U KR 2019970032082 U KR2019970032082 U KR 2019970032082U KR 19970032082 U KR19970032082 U KR 19970032082U KR 19990018789 U KR19990018789 U KR 19990018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waste
coole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규 filed Critical 박영규
Priority to KR2019970032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789U/ko
Publication of KR19990018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89U/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임펠러 구동모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밴드타입의 히팅열선을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팅기와; 상기 용기와 배기파이프 및 공급파이프로 연통되되, 상기 배기파이프는 상기 용기 내부의 고온을 코일형상의 냉매 순환파이프로 급냉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공급파이프로 전달하여 상기 용기 내부로 재공급 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연결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내의 고온을 상기 냉각기로 전달하는 배기모터와; 온오프 스위칭 조작에 따라 상기 냉각기, 히팅기, 구동모터, 배기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분에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내에 서 분해 및 건조시킨후 배출하여, 거름 등의 재활용으로 이용하고, 별도의 쓰레기 처리 공간이 필요없게 하며, 악취 제거에 따라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는 한편,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경제비가 절감되어 상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당 또는 가정에서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말가루가 되도록 분해 및 이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dreggy resolve and dry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식당 또는 일반 가정에서 수거되는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 함께 수거용 봉투로 수거되어 일정 장소에서 압축기등으로 분해 하여 땅속으로 매립시켜 왔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처리 방식은,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일일이 수거하여 일정장소에서 처리함에 따라 작업인원이 많이 소요되었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해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땅속으로 매립시킴에 따라 악취 및 주변환경이 오염되어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분에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고 열을 가해 완전 건조시킨후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쓰레기 처리 공간이 필요없게 하고, 또한 악취 제거 및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깨끗한 주변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용기 12: 구동모터 13: 히팅기 14: 냉각기 15: 배기모터 16: 제어부 17: 저장공간 18: 커버 19: 파쇄편 20: 히팅온도감지센서 21: 접점단자 22: 임펠러 23: 가이드 홈 24: 히팅열선 25: 단열재 26: 배기파이프 27: 공급파이프 28: 케이스 29: 냉매순환파이프 30: 쿨링부 31: 냉매감지센서 32: 드레인 홀 33: 팬 34: 제어판 35: 스위치 36: 탈취편 37: 접점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축상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밴드타입의 히팅열선을 구비하여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히팅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에서 배기파이프와 공급파이프로 연통시키되,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한 상기 용기 내부의 고온을 냉매 순환파이프로 급냉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공급파이프로 전달하여 상기 용기 내부로 재공급 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연결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내의 고온을 상기 냉각기로 전달하는 배기모터와; 온오프 스위칭 조작에 따라 상기 냉각기, 히팅기, 구동모터, 배기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용기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된 히팅감지센서와; 상기 냉각기의 냉매 순환파이프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값을 전달하도록 된 냉매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과정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시된 바와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용기(11)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임펠러 구동모터(12)와, 상기 용기(11)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팅기(13)와, 고온의 공기를 급냉시키는 냉각기(14), 및 상기 용기(11)의 고온 공기를 상기 냉각기(14)로 전달하는 배기모터(15),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1)는, 드럼형상으로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저장공간(17)이 형성되고, 상부가 커버(18)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용기(11)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용기(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쇄편(19)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11)의 일측에는 히팅온도감지센서(2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8)의 개폐면에는 상기 커버(18)의 열림시에는 접점이 단락되고, 상기 커버(18)의 닫힘시에는 접점이 인가되는 접점단자(21)가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11)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1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2)의 축은 상기 용기(11) 내부로 돌출되며, 그 축상에는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임펠러(2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2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도를 가지며 계단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고, 회전시 상기 용기(11)의 파쇄편(19)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11)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홈(23)이 상하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3)에는 상기 용기(11)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히팅기(13)의 히팅열선(24)이 감싸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히팅열선(24)은 밴드타입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11)의 외주면은 상기 히팅열선(24)을 포함하여 외부로 열발산을 방지하도록 단열재(25)로 도포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11)의 일측에는 냉각기(14)가 구비되는데, 상기 냉각기(14)는 상기 용기(11)와 배기파이프(26) 및 공급파이프(27)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케이스(28)와, 냉매 순환파이프(29)와, 상기 냉매 순환파이프(29)에 냉매를 공급시키는 쿨링부(30)와, 냉매 감지센서(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8)는, 저면에 드레인 홀(3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냉매 순환파이프(29)가 상하로 구비되며, 상기 냉매 순환파이프(29)의 양단은 쿨링부(3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파이프(26)의 연결 통로상에는 배기모터(15)가 구비되어 상기 배기모터(15)의 작동시 팬(33)이 회전되어 상기 용기(11)내의 고온을 상기 냉각기(14)의 케이스(28) 내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용기(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판(34)에 구비되며 온오프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냉각기(14), 히팅기(13), 구동모터(12), 배기모터(15)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36은 탈취편으로서, 상기 냉각기(14)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용기(11)내로 재공급시키는 공급파이프(27)상에 설치되어 이물질 또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된 것으로 스폰지 형상을 가지며 탈착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에 따른 작동 및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에는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11)의 커버(18)를 열고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킨후 상기 커버(18)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어판(34)의 스위치(35)를 온 시키게 되면, 제어부(16)에 의해 각각의 릴레이가 히팅기(13)와 냉각기(14), 그리고 구동모터(12) 및 배기모터(15)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구동모터(12)의 작동에 의해 임펠러(22)가 회전되면서 상기 용기(11)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게 되고, 동시에 히팅기(13)는 밴드타입의 히팅열선(24)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용기(11)의 온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연속된 작동으로 상기 배기모터(15)가 작동되어 팬(33)이 회전되어 상기 용기(11) 내부의 달구어진 고온상태 공기를 냉각기(14)의 케이스(28) 내로 송출시키게 된다.
연속해서 상기 냉각기(14)의 냉매 순환파이프(29)가 쿨링부(30)에 의해 냉각되며 상기 케이스(28)내로 공급된 고온의 공기는 급냉되어 수분상태로 상기 케이스(28) 바닥면으로 떨어져 드레인 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냉각기(14)에서 급냉된 공기는 공급파이프(27)를 통해 상기 용기(11)내로 재공급되는데, 이때 공급파이프(27)상에 구비된 탈취편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어 상기 용기(11)내로는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는 사이클이 반복되게 되며, 순환되는 사이클에 따라 상기 용기(11)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완전분해 및 건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각기(14)의 냉매온도가 냉매감지센서(31)의 셋팅된 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냉매감지센서(31)가 그 신호값을 상기 제어부(16)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냉각기(14)의 쿨링부(30)를 온오프 반복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용기(11)에 구비되는 히팅온도감지센서(20)도 셋팅된 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그 신호값을 제어부(16)로 전달하고, 제어부(16)는 이를 제어하여 히팅기(13)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37은 접점스위치로서, 상기 용기(11)가 작동중에 용기(11)의 커버(18)가 개방되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스위치(35)를 오프시켜 제어부(16)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수분에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내에 저장시켜 높은 온도상에서 임펠러 구동모터로 분해시키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건조시킨후 배출하므로써, 거름 등의 재활용으로 이용할 수 있고, 별도의 쓰레기 처리 공간이 필요없게 되며, 또한 악취 제거에 따라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깨끗한 주변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경제비가 절감되며, 가정 또는 식당등에서 필요에 따라 용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상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축상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밴드타입의 히팅열선을 구비하여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히팅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에서 배기파이프와 공급파이프로 연통시키되,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한 상기 용기 내부의 고온을 코일형상의 냉매 순환파이프로 급냉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공급파이프로 전달하여 상기 용기 내부로 재공급 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연결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내의 고온을 상기 냉각기로 전달하는 배기모터와; 온오프 스위칭 조작에 따라 상기 냉각기, 히팅기, 구동모터, 배기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용기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된 히팅감지센서와; 상기 냉각기의 냉매 순환파이프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값을 전달하도록 된 냉매감지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는 열방출 억제용 단열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벽에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음식물 분쇄편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용기내로 재공급하도록 된 공급파이프 상에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도록 된 스폰지 형상의 탈착식 탈취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970032082U 1997-11-14 1997-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187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82U KR19990018789U (ko) 1997-11-14 1997-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82U KR19990018789U (ko) 1997-11-14 1997-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89U true KR19990018789U (ko) 1999-06-05

Family

ID=6967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082U KR19990018789U (ko) 1997-11-14 1997-11-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78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614B1 (ko) * 2001-10-16 2004-02-05 주식회사 한샘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KR100523998B1 (ko) * 2002-11-21 2005-10-26 옥영민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100892601B1 (ko) * 2007-09-21 2009-04-08 대한전기공업 주식회사 열전소자 또는 열매체에 의한 응축현상을 이용한 플라스틱원료의 수분 제거장치
KR100975603B1 (ko) * 2008-03-17 2010-08-17 조남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저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614B1 (ko) * 2001-10-16 2004-02-05 주식회사 한샘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KR100523998B1 (ko) * 2002-11-21 2005-10-26 옥영민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100892601B1 (ko) * 2007-09-21 2009-04-08 대한전기공업 주식회사 열전소자 또는 열매체에 의한 응축현상을 이용한 플라스틱원료의 수분 제거장치
KR100975603B1 (ko) * 2008-03-17 2010-08-17 조남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WO2005080014A1 (en) Food refuge treatment apparatus
KR19990018789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83875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511750B1 (ko) 음식물 처리기용 교반건조부와 음식물 처리기
KR20015882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250304B2 (ja) ゴミ処理機
KR20070011938A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1763B1 (ko) 음식물 처리기용 교반건조부와 음식물 처리기
JP4252437B2 (ja) 生ごみ処理機
KR200162601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96000391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3319130B2 (ja) 厨芥処理装置
JPH0747348A (ja) 生ゴミ処理機
JP2003062544A (ja) 生ゴミ処理機
JP3070331B2 (ja) 生ゴミ処理機
KR1002305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889467B2 (ja) 生ゴミ処理機
JPH1054661A (ja) 生ゴミ乾燥処理装置
KR1999004988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58171U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장치
JPH0731962A (ja) 生ごみ処理装置
JPH10128270A (ja) 生ゴミ乾燥処理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970074730A (ko) 음식물 찌꺼기 퇴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