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99B1 - 수산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수산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99B1
KR102078699B1 KR1020190095590A KR20190095590A KR102078699B1 KR 102078699 B1 KR102078699 B1 KR 102078699B1 KR 1020190095590 A KR1020190095590 A KR 1020190095590A KR 20190095590 A KR20190095590 A KR 20190095590A KR 102078699 B1 KR102078699 B1 KR 10207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tirring
housing case
case memb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에코스마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스마트(주) filed Critical 에코스마트(주)
Priority to KR102019009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01F15/0274
    • B01F15/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B01F7/0000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수산물 처리기가 수용 케이스 부재와, 교반 부재와,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와,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와, 배기 가스 가열 부재와, 악취 제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산물 처리기가 간명한 구조를 이룸과 함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면서도, 폐사한 수산물을 효율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폐사한 수산물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산물 처리기{Marine products handl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산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양식을 하거나 어획된 어류 등 수산물 중 폐사한 것들이 발생되면, 종래에는 그 폐사한 수산물을 바다에 그대로 폐기하였는데, 이러한 해양 폐기는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사한 수산물을 해양 폐기하는 대신 폐기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폐사한 수산물의 폐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그 장치가 복잡하고 거대해서, 그 제작 및 설치에 많은 공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그에 따라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사례가 많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그 폐사한 수산물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523998호, 등록일자: 2005.10.19., 발명의 명칭: 폐사 어류 가공장치
본 발명은 간명한 구조를 이룸과 함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면서도, 폐사한 수산물을 효율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는 수산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사한 수산물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는 수산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는 폐사한 수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케이스 부재;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 부재;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상기 교반 부재에 의해 교반되면서 건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가열시키는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상기 교반 부재에 의해 교반되고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에 의해 가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면서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승온되도록 가열시키는 배기 가스 가열 부재; 및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제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상부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 가스가 하강되면서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고,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하강을 지속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로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횡보하면서 가열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승되면서 상기 악취 제거 부재를 경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에 의하면, 상기 수산물 처리기가 수용 케이스 부재와, 교반 부재와,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와,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와, 배기 가스 가열 부재와, 악취 제거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산물 처리기가 간명한 구조를 이룸과 함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면서도, 폐사한 수산물을 효율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폐사한 수산물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의 구성 요소들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의 구성 요소들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 배기 가스 가열 부재 및 악취 제거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교반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정렬 자세 감지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렬 자세 감지 부재가 기울어짐을 감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의 구성 요소들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의 구성 요소들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 배기 가스 가열 부재 및 악취 제거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교반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정렬 자세 감지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렬 자세 감지 부재가 기울어짐을 감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100)는 수용 케이스 부재(101)와, 교반 부재(120)와,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와,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와,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와, 악취 제거 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를 지지하고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가 설치되는 설치면 상에 놓이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나, 이러한 프레임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여기서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는 어류 등 폐사한 수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그 내부가 빈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 부재(120)가 그 하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전면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가열 건조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외부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배면에는,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 및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가 설치된다.
도면 번호 150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주기 위한 외부 공기 흡입팬이고, 도면 번호 151은 상기 외부 공기 흡입팬(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 등의 흡입팬 구동 수단이다.
상기 교반 부재(120)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교반 부재(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상기 교반 부재(120)에 의해 교반되면서 건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가열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하부를 관통하고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는 봉 형태의 히터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상기 교반 부재(120)에 의해 교반되고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에 의해 가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배면에 고정되는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와,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의 내부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상부 배면을 연통시키는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과,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이물질 제거 필터(164)와, 상기 이물질 제거 필터(164)를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배기 가스 필터 교환체(163)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가스 필터 교환체(163)는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의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 제거 필터(164)는 망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을 통해 유동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 필터(164)는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을 통해 상기 배기 가스가 유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제거 필터(164)에서 필터링된다.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는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를 경유하면서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승온되도록 가열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배면에 고정되는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와,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의 내부와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과,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는 배기 가스 가열 히터(173)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은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의 저면과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의 상면을 연통시키되,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의 양 측부 중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의 가상의 연장선이 지나는 측부와 다른 측부에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는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과 수직이 되는 방향, 즉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의 설치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상기 배기 가스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 가스 가열 히터(173)로는 U자 형태의 히터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를 경유한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몸체(161)를 따라 유동되면서 가열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로 승온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는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악취가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를 경유하면서 제거될 수 있는 온도로,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에 적용되는 촉매의 종류, 양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는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에 의해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는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의 양 측부 중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이 연결된 측부와 다른 측부 상에 세워지고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악취 제거 몸체(181)와, 상기 악취 제거 몸체(181)의 내부와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몸체(171)를 연통시키는 악취 제거향 유동관(182)과, 상기 악취 제거 몸체(181)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제거 필터(183)와, 상기 악취 제거 필터(183)를 경유한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 배기관(184)을 포함한다.
상기 악취 제거 몸체(181)는 상기 악취 제거향 유동관(18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된 형태의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악취 제거 필터(183)는 상기 악취 제거 몸체(181)의 내부에 서로 다른 높이 상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악취 제거 필터(183)는 상기 악취 중 휘발성 있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금속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 제거 필터(183)를 경유하는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악취 제거 필터(183)에 함유된 상기 금속 촉매에 의해 반응되면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상부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을 통해 하강되면서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를 경유하고,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을 통해 하강을 지속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로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횡보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가열 히터(173)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악취 제거향 유동관(182)을 통해 상승되면서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를 경유하게 되고, 그러한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는 커버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190)는 외부로부터 상기 외부 배출홀을 통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로 작업자의 손 등의 임의 접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배출홀로부터 연장되는 형태가 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상기 외부 배출홀의 주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190)는 커버 몸체(191)와, 자성체(192)와, 영구 자석(193)과, 안전봉(194)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몸체(191)는 그 후단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상기 외부 배출홀의 주변부(102)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용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부 배출홀로부터 하강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192)는 상기 커버 몸체(191)의 상면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철 등의 금속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193)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가열 건조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담기 위한 비닐 봉투의 일부가 상기 자성체(192)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자성체(19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비닐 봉투의 입구가 상기 커버 몸체(191)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영구 자석(193)이 상기 자성체(192) 상에 놓이면, 상기 비닐 봉투가 상기 커버 몸체(191) 상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봉(194)은 상기 커버 몸체(191)의 외측 입구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임의 접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봉(194)은 상기 커버 몸체(191)의 외측 입구의 내부 중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커버 몸체(191)의 외측 입구를 일정량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손 등이 임의로 상기 커버 몸체(19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시킨다.
도면 번호 110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 부재(120)를 작동시키는 전기 모터 등의 교반 동력 제공 수단이다.
도 5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교반 부재(120)는 상기 교반 동력 제공 수단(1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교반 회전축(121)과, 상기 교반 회전축(121)으로부터 서로 어긋난 위치에 돌출되는 제 1 교반 날개(130), 제 2 교반 날개(135), 제 3 교반 날개(140) 및 제 4 교반 날개(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교반 날개(130)는 상기 교반 회전축(121)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 1 교반축(131)과, 상기 제 1 교반축(131)의 말단에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는 제 1 교반체(132)와, 상기 제 1 교반체(132)의 외측 말단에 형성되되 일정 길이의 호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교반 호체(133)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교반축(131)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를 따라 회동되면, 상기 제 1 교반체(132) 및 상기 제 1 교반 호체(133)가 함께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키되, 상기 제 1 교반 호체(133)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벽에 붙은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긁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교반 날개(135)는 상기 제 1 교반축(13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교반 회전축(121)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 1 교반축(131)과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교반축(136)과, 상기 제 2 교반축(136)의 말단에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는 제 2 교반체(137)와, 상기 제 2 교반체(137)의 일측 말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교반 일측 연장체(138)와, 상기 제 2 교반체(137)의 타측 말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2 교반축(136)과 평행한 형태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2 교반 타측 연장체(139)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교반축(136)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를 따라 회동되면, 상기 제 2 교반체(137), 상기 제 2 교반 일측 연장체(138) 및 상기 제 2 교반 타측 연장체(139)가 함께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키되, 상기 제 2 교반 타측 연장체(139)가 상대적으로 상기 교반 회전축(121)에 근접된 위치의 상기 폐사된 수산물을 교반시켜줄 수 있게 되어, 상기 교반 회전축(121) 부근의 상기 폐사된 수산물의 적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교반 날개(140)는 상기 교반 회전축(121)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 1 교반축(131)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3 교반축(141)과, 상기 제 3 교반축(141)의 말단에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는 제 3 교반체(142)와, 상기 제 3 교반체(142)의 양측 말단에서 각각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 3 교반 양측 연장체(143)와, 상기 제 3 교반체(142)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 회전축(121)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 3 교반 수직 연장체(144)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3 교반축(141)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를 따라 회동되면, 상기 제 3 교반체(142), 상기 제 3 교반 양측 연장체(143) 및 상기 제 3 교반 수직 연장체(144)가 함께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키되, 상기 제 3 교반 타측 연장체가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폐사된 수산물을 상대적으로 퍼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4 교반 날개(145)는 상기 교반 회전축(121)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 2 교반축(136)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 4 교반축(146)과, 상기 제 4 교반축(146)의 말단에서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4 교반체(147)와, 상기 제 4 교반체(147)의 말단에서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 방향으로 일정 길이 굽혀진 형태로 연장되는 제 4 교반 굽힘 연장체(148)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4 교반축(146)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를 따라 회동되면, 상기 제 4 교반체(147) 및 상기 제 4 교반 굽힘 연장체(148)가 함께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키되, 상기 제 4 교반 굽힘 연장체(148)가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폐사된 수산물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교반 회전축(12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100)는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정렬 자세, 즉 미리 설정된 요구되는 자세인 수직으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는 본체부(201)와, 감지부(220)와, 접촉 감지 센서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1)는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201)는 본체측 케이스(202)와, 삽입홈부(203)와, 경사형 연장체(206)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측 케이스(202)는 육면체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부(203)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02)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후술되는 감지부측 축(226)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삽입홈부(203)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02)의 후면, 즉 상기 감지부(22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삽입홈부(203)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02)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한 쌍이 대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02)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삽입홈부(203)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삽입홈부(203) 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는 상기 삽입홈부(20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면서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 및 하부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220)는 상기 본체부(201)의 내부에서 중력 방향을 향햐도록 배치되면서 수직 정렬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감지부(220)는 감지 몸체(221)와, 상기 감지부측 축(226)과, 무게추(227)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몸체(221)는 복수 개가 일정 각도 이격되면서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몸체(221)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일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상측 날개(22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일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하부 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하측 날개(223)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타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상측 날개(224)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타측부에 형성된 것에서 하부 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하측 날개(225)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측 축(226)은 상기 감지 몸체(221)의 중앙부에서 상기 삽입홈부(203) 쪽으로 양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부(203)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삽입홈부(203)에 상기 감지부측 축(226)이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221)는 상기 감지부측 축(226)을 회전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227)는 상기 감지 몸체(221)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221)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221)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201)가 회전되면서 상기 감지 몸체(221)가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10)와 접촉될 때, 상기 감지 몸체(221)에는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되고, 이러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 몸체(221)는 일정 각도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무게추(227)가 상기 감지 몸체(221)의 하부에 무게를 부여하여 상기 감지 몸체(221)의 회동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감지 몸체(221)가 중력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10)는 상기 본체부(20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220)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10)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일측부에 형성된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상측 접촉 센서(211)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일측부에 형성된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하측 접촉 센서(21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타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상측 접촉 센서(213)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 중 타측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06)의 하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하측 접촉 센서(214)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를 구성하는 상기 감지 몸체(221) 중 상기 제 1 상측 날개(222) 및 상기 제 2 하측 날개(225)에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211) 및 상기 제 2 하측 접촉 센서(214)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일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이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를 구성하는 상기 감지 몸체(221) 중 상기 제 2 상측 날개(224) 및 상기 제 1 하측 날개(223)에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213) 및 상기 제 1 하측 접촉 센서(212)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타 방향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 몸체(221) 중 상기 제 1 상측 날개(222) 및 상기 제 2 하측 날개(225)에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211) 및 상기 제 2 하측 접촉 센서(214)가 접촉됨으로써 감지된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일 방향 기울어짐, 또는 제 2 상측 날개(224) 및 상기 제 1 하측 날개(223)에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213) 및 상기 제 1 하측 접촉 센서(212)가 접촉됨으로써 감지된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타 방향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는 외부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홈부(203)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02)의 후면 및 전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장형 삽입홈(204)과, 상기 장형 삽입홈(204)의 각 내면에서 상기 장형 삽입홈(204)의 내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226)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 돌기(205)를 포함한다.
상기 축 걸림 돌기(205)는 상기 삽입홈부(203)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05)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감지부측 축(226)이 걸린 상태로 상기 감지부(220)가 중력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순간 낙하하게 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정렬 자세 감지 부재(200) 역시 낙하하게 되면서 상기 감지부측 축(226)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05)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05)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감지부측 축(226)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감지 몸체(221)가 일정 높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221) 중 상기 제 1 상측 날개(222) 및 상기 제 2 상측 날개(224)가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211) 및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213)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에 중력 방향으로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 몸체(221)가 상기 제 1 상측 접촉 센서(211) 및 상기 제 2 상측 접촉 센서(213)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감지된 충격 정보는 경고음 발생부(미도시) 등에 전달되어 경고 알람으로 외부에 알려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의 내부에 상기 폐사된 수산물이 수용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교반 동력 제공 수단(110)이 작동되면, 상기 교반 부재(120)가 작동되어,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의 내부에서 상기 폐사된 수산물이 교반된다.
이 때,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가 작동되어,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의 내부에서 교반되는 상기 폐사된 수산물을 가열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의 내부에서 상기 폐사된 수산물이 가열 건조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악취가 함유된 상기 배기 가스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향 유동관(162)을 통해 하강되면서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를 경유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배기 가스 가열향 유동관(172)을 통해 하강을 지속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로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횡보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가열 히터(173)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악취 제거향 유동관(182)을 통해 상승되면서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를 경유하게 되고, 그러한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101)와, 상기 교반 부재(120)와,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105)와,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160)와,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170)와, 상기 악취 제거 부재(18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산물 처리기(100)가 간명한 구조를 이룸과 함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효율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폐사한 수산물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산물 처리기에 의하면, 간명한 구조를 이룸과 함께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면서도, 폐사한 수산물을 효율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폐사한 수산물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수산물 처리기
101 : 수용 케이스 부재
120 : 교반 부재
105 :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
160 :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
170 : 배기 가스 가열 부재
180 : 악취 제거 부재
190 : 커버 부재

Claims (5)

  1. 폐사한 수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케이스 부재;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교반시킬 수 있는 교반 부재;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상기 교반 부재에 의해 교반되면서 건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가열시키는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상기 교반 부재에 의해 교반되고 상기 수산물 가열 건조 부재에 의해 가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면서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승온되도록 가열시키는 배기 가스 가열 부재; 및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제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상부에서 배출된 상기 배기 가스가 하강되면서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고,
    상기 배기 가스 필터링 부재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배기 가스가 하강을 지속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로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횡보하면서 가열되고,
    상기 배기 가스 가열 부재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상기 배기 가스가 상승되면서 상기 악취 제거 부재를 경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처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제거 부재는
    상기 악취 중 휘발성 있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가열 건조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외부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산물 처리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로 임의 접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배출홀로부터 연장되는 형태가 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상기 외부 배출홀의 주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상기 외부 배출홀의 주변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용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부 배출홀로부터 하강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에 고정되는 자성체와,
    상기 수용 케이스 부재의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가열 건조된 상기 폐사한 수산물을 담기 위한 비닐 봉투의 일부가 상기 자성체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자성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구 자석과,
    상기 커버 몸체의 외측 입구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임의 접근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처리기.
KR1020190095590A 2019-08-06 2019-08-06 수산물 처리기 KR10207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90A KR102078699B1 (ko) 2019-08-06 2019-08-06 수산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90A KR102078699B1 (ko) 2019-08-06 2019-08-06 수산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699B1 true KR102078699B1 (ko) 2020-02-18

Family

ID=6963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90A KR102078699B1 (ko) 2019-08-06 2019-08-06 수산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992A (ja) * 1991-10-07 1993-04-20 Kawaju Bosai Kogyo Kk 医療廃棄物の処理装置
KR20040044286A (ko) * 2002-11-21 2004-05-28 옥영민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20110126932A (ko) * 2010-05-18 2011-11-24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폐사축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20140093041A (ko) * 2013-01-17 2014-07-25 주식회사 새움아쿠아텍 폐사가축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992A (ja) * 1991-10-07 1993-04-20 Kawaju Bosai Kogyo Kk 医療廃棄物の処理装置
KR20040044286A (ko) * 2002-11-21 2004-05-28 옥영민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100523998B1 (ko) 2002-11-21 2005-10-26 옥영민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20110126932A (ko) * 2010-05-18 2011-11-24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폐사축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20140093041A (ko) * 2013-01-17 2014-07-25 주식회사 새움아쿠아텍 폐사가축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0406B (zh) 猫科动物分泌物设备和方法
KR20040218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91011B1 (ko) 철 분리 효율이 향상된 유가금속 회수장치
JP2005125139A (ja) プラスチック廃材乾式洗浄装置
KR101530194B1 (ko)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IT8323080A1 (it) Collettore di polveri con contenitore autopulente
KR102078699B1 (ko) 수산물 처리기
KR101691014B1 (ko) 유가금속 회수장치
JP2007528785A (ja) 蛍光ランプ廃棄システム
KR101885304B1 (ko)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CA2301958C (en) Filter system for environmentally-safe portable apparatus for disposing of cylindrical light bulbs
JP2005121337A (ja) 木質系固形燃料供給装置
CN111790717B (zh) 废弃物处理装置
EP05201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bagging dust-containing or hazardous materials
KR20140134462A (ko) 음식물 처리기
KR10139270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CN218875972U (zh) 一种用于塑胶制品生产的原料干燥装置
KR100592676B1 (ko)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JP2003103300A (ja) 固液分離装置及び固液分離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厨芥処理装置及び厨芥処理システム
KR100336639B1 (ko) 폐기물 소각장치
CN218155271U (zh) 一种再生铝烘干装置
CN213433537U (zh) 一种环境污染防治用废气除尘清洁装置
JP2004359444A (ja) バケットコンベアの残留物取出方法およびその取出装置
CN214681452U (zh) 一种胶团块搅拌破碎设备
JP2005304760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