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304B1 -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304B1
KR101885304B1 KR1020160101426A KR20160101426A KR101885304B1 KR 101885304 B1 KR101885304 B1 KR 101885304B1 KR 1020160101426 A KR1020160101426 A KR 1020160101426A KR 20160101426 A KR20160101426 A KR 20160101426A KR 101885304 B1 KR101885304 B1 KR 101885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coupled
propeller
lower body
exten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510A (ko
Inventor
김선영
조대규
Original Assignee
김선영
조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조대규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6010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동되는 식용유를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관을 구비하는 유동생성모듈; 상기 유동생성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유동생성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식용유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모듈; 및 하부 몸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기본 프로펠러와,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연장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생성모듈은, 상기 하부 몸체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연장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침전된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를 상기 하부 몸체 내로 유입시키는 윈도우와,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가 상기 상부 몸체에서 상기 하부 몸체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식용유를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로펠러는, 상기 침전된 찌꺼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용유를 교반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PORTABLE APPARATUS FOR REFINING COOKING OIL}
본 발명은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를 정제하기 위한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는 튀김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기름이다. 이는 15℃ 이상에서는 완전한 액상(液狀)이 되기 때문에, 치킨, 돈까스 등의 튀김음식을 조리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용유는 튀김요리 시 각종 찌꺼기가 발생되어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찌꺼기로는 음식물로부터 나오는 찌꺼기, 음식물이 타면서 이탈되는 찌꺼기, 외부에서 유입되는 찌꺼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찌꺼기가 포함된 식용유로 튀김요리를 하게 되면, 튀김요리된 음식물의 맛을 떨어뜨리거나 식용유를 부패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식용유를 순환시키고, 순환되는 과정에서 필터 등으로 찌거기를 걸러서 제거하는 정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제 장치에 있어서, 찌꺼기는 식용유 중에 침전되어 있어서 정제 장치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찌꺼기의 회수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튀김요리를 하는 튀김기의 형태가 단일하지 않기에, 기존의 정제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의 튀김기에서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회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기존 정제 장치는 튀김기의 식용유를 외부로 수거하여 정제 후 채워넣는 방식이여서, 정제 과정이 간단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식용유 중에 침전되어 있는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튀김기의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해당 튀김기의 형태에 맞게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하게 들어서 튀김기에 직접 담궈서 사용할 수 있는 정제 작업이 용이한,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동되는 식용유를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관을 구비하는 유동생성모듈; 상기 유동생성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유동생성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식용유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모듈; 및 하부 몸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기본 프로펠러와,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연장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생성모듈은, 상기 하부 몸체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연장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침전된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를 상기 하부 몸체 내로 유입시키는 윈도우와,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가 상기 상부 몸체에서 상기 하부 몸체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식용유를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로펠러는, 상기 침전된 찌꺼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용유를 교반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교반모듈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걸리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지지체; 및 상기 연장 샤프트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연장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결합체는, 요철이 형성된 요철형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 샤프트는, 상기 요철형 내면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다각형 외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결합체는 다이캐스팅 사출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유동생성모듈; 상기 유동생성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공급되는 식용유에 함유된 찌꺼기를 거르도록 구성되는 필터모듈;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임펠러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기본 프로펠러와,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연장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생성모듈은, 상기 하부 몸체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연장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침전된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를 상기 하부 몸체 내로 유입시키는 윈도우와,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가 상기 상부 몸체에서 상기 하부 몸체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식용유를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로펠러는, 상기 침전된 찌꺼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용유를 교반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체는, 요철이 형성된 요철형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 샤프트는, 상기 요철형 내면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다각형 외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에 의하면, 식용유 중에 침전되어 있는 찌꺼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튀김기의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해당 튀김기의 형태에 맞추어 찌꺼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제장치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들어서 튀김기에 직접 담궈서 사용할 수 있어 정제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주로 도 1의 유동생성모듈(110)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임펠러(114)를 중심으로 한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교반모듈(150)의 주요 부분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제 장치(100)가 가스히터 튀김기(GF)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제 장치(100)가 전기히터 튀김기(EF)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같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주로 도 1의 유동생성모듈(110)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100)는 유동생성모듈(110)과, 필터모듈(130)과, 교반모듈(150)과, 장착감지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생성모듈(110)은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1)는 캐비넷 형상으로, 복수 개의 측면들로 이루어진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빈 공간에 구동부(113)가 설치된다.
구동부(113)는 모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모터는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모터축(113a)을 구비한다. 모터축(113a)은 일단이 모터 본체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몸체(111)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부몸체(111)의 상면에는 구동부(1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17)가 구비된다. 전원스위치(117)는 사용자가 누르기 쉽도록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전원스위치(117)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113)에 공급되는 전력은,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매개로 구동부(113)에 전송될 수 있다.
상부몸체(111)의 상면 중앙에는 사용자가 정제 장치(100)를 손쉽게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18)가 설치된다.
하부몸체(112)는 캐비넷 형상으로, 복수 개의 측면들로 이루어진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몸체(112)의 측면들에는 개방된 윈도우(112a)가 형성된다. 윈도우(112a)를 통해서는 식용유가 하부몸체(112)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식용유는 조리에 이용됨에 따라 발생한 찌꺼기를 포함하거나, 산성으로 변질된 식용유일 수 있다. 하부몸체(112)의 상면에는 상부몸체(111)가 체결 볼트(119)로 체결되어 위치한다.
하부몸체(112)의 내부 공간에는 윈도우(112a)를 통해 유입되는 식용유를 유동시키는 임펠러(114)가 설치된다. 임펠러(114)는 상부몸체(111) 하측으로 돌출된 모터의 모터축(113a)에 연결된다. 임펠러(114)로 식용유를 안내하기 위해서, 임펠러(114)의 상측에는 흡입 가이드(115)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114)에서 배출된 식용유는 토출관(116)을 통해 필터모듈(130)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하부몸체(112)의 전면에는 필터모듈(1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120)가 구비된다. 장착부(120)는 필터모듈(130)이 하부몸체(112)에 밀착되도록 필터모듈(130)을 하부몸체(112) 측으로 밀어 붙여지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20)는 절곡 플레이트 형태를 가져서, 필터 모듈(130)이 탈착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게 한다. 여기서, 장착부(120)는 필터모듈(130)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130)은 하우징(131)과 여과지(133)를 구비한다. 여과지(133)는 하우징(13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31)의 전면을 가리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여과지(133)는 하우징(131)의 내부로 이송되는 식용유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1)의 외측에는 여과지(133)에 의해 정제된 식용유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배출구에는 식용유가 튀지 않게 하는 덮개(135)가 형성될 수 있다.
교반모듈(150)은 식용유 중에 침전된 찌꺼기가 부유되어 임펠러(114)로 유입되게 하기 위해 식용유를 교반하는 구성이다. 교반모듈(150)은, 브라켓(151)과, 연장 샤프트(152)와, 연장 프로펠러(153)와, 지지체(154)와, 회전체(155)와, 결합체(156), 그리고 기본 프로펠러(157)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151)은 하부몸체(112)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부몸체(112)와 접촉될 수 있다.
브라켓(151)은 대체로 하부몸체(112)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샤프트(152)는 브라켓(151)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연장 샤프트(152)는 상부몸체(111)에서 하부몸체(112)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 샤프트(152)는 임펠러(114)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연장 프로펠러(153)는 연장 샤프트(152)에 결합되어 연장 샤프트(15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지지체(154)는 브라켓(151)에 결합되어 연장 샤프트(152)가 브라켓(1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회전체(155)는 연장 샤프트(152)를 감싸도록 연장 샤프트(152)에 결합되고, 회전체(155)보다 임펠러(114)에 가깝게 배치된다. 결합체(156)는 임펠러(114)의 하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결합체(156)에는 연장 샤프트(15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기본 프로펠러(157)는 결합체(156)를 둘러싸도록 결합체(156)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장착감지모듈(170)은 센서부(171)와 피센서부(172)를 구비한다.
센서부(171)는 유동생성모듈(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센서부(171)는 필터모듈(130)이 유동생성모듈(110)의 장착부(120)에 설치될 시 대향하는 피센서부(172)의 자성 물질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피센서부(172)는 센서부(171)와 필터모듈(130)의 후면에 설치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피센서부(172)는 필터모듈(130)이 유동생성모듈(110)의 장착부(120)에 설치될 시 센서부(171)와 대향되도록 필터모듈(130)에 설치된다. 한편, 피센서부(172)는 자성이 아닌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71)는 피센서부(17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장착감지모듈(170)은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유동생성모듈(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센서부(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표시부는 예를 들어, 엘씨디 등의 디스플레이, 또는 엘이디 등의 광원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표시부는 유동생성모듈(110)에 필터모듈(130)이 장착되는 경우, 센서부(17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감지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임펠러(114)를 중심으로 한 일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흡입 가이드(115)는 임펠러(114)의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관(116)은 임펠러(114)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흡입 가이드(115)는 그의 입구(115a)로 유입되는 식용유가 임펠러(114)의 회전에 의해 임펠러(114)를 향해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한다.
토출관(116)은 임펠러(114)에서 원심력 방향으로 배출되는 식용유가 필터모듈(130, 도 1)을 향해 유동하도록 한다.
결합체(156)는 하방으로 개구된 중공체이다. 결합체(156)의 내면(156a)는 요철형 내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156)은 바닥면은 체결 피스(156b)에 의해 임펠러(114)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본 프로펠러(157)는 결합체(156)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프로펠러(157)는 결합체(156)와 다이캐스팅 사출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교반모듈(150)의 주요 부분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의 결합체(156)의 요철형 내면(156a, 도 3)에 대응하여, 연장 샤프트(152)에는 다각형 외면(152a)이 구비될 수 있다. 다각형 외면(152a)은 연장 샤프트(152)의 상단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각형 외면(152a)은 요철형 내면(156a)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지지체(154)는, 실린더부(154a)와 플랜지부(154b)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부(154a)는 중공 원통체로서 브라켓(1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플랜지부(154b)는 실린더부(154a)의 일 단에서 연장되며, 실린더부(154a)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에 의해, 플랜지부(154b)는 브라켓(151)에 걸려서 실린더부(154a)가 브라켓(15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회전체(155)는 대체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회전체(155)는 연장 샤프트(152)를 감싸고, 체결 피스에 의해 연장 샤프트(1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제, 이상의 정제 장치(100)를 서로 다른 튀김기에 사용하는 형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도 1의 정제 장치(100)가 가스히터 튀김기(GF)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제 장치(100)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평상시 필터모듈(130)이 청소 등의 이유로 유동생성모듈(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이에, 사용자는 먼저 필터모듈(130)을 유동생성모듈(110)의 장착부(120)에 장착시킨다. 이때, 필터모듈(130)이 장착부(120)에 장착되면, 장착감지모듈(170)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는 장착 상태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필터모듈(130)의 장착 상태를 확인한 후, 손잡이(118)를 잡고 정제 장치(100)를 들어올린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정제 장치(100)를 들어서 조리 기구로서 가스히터 튀김기(GF)에 담근다. 이때, 가스히터 튀김기(GF)에서는, 가스히터 파이프(GHP)가 상당한 사이즈를 가지며 가스히터 튀김기(GF)의 바닥면에서 상당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히터 파이프(GHP) 아래에 침전되어 있는 찌꺼기를 교반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전원스위치(113)를 켜면, 유동생성모듈(110)의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축(113a)이 회전되어 임펠러(114)가 작동한다. 이때, 임펠러(114)와 함께 연장 샤프트(152)에 연결된 연장 프로펠러(153)가 회전함에 의해, 가스히터 파이프(GHP) 아래에 침전된 찌꺼기가 식용유(O)와 함께 윈도우(112a)를 통해 하부몸체(112)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식용유(O)는 임펠러(114)의 회전에 의해 유동을 형성하고, 이때 흡입 가이드(115)는 식용유(O)를 임펠러(114)로 안내한다. 임펠러(114)를 통과한 식용유(O)는 토출관(116)을 통해 필터모듈(130)로 이송된다.
필터모듈(130)로 이송된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O)는 필터모듈(130)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식용유(O)는 필터모듈(130)의 여과지(133)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식용유(O)에 포함된 기름찌꺼기는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져서 여과지에 남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모듈(130)에 의해 정제된 식용유(O)는 덮개(135)가 개방된 배출구를 통해 다시 가스히터 튀김기(GF) 내에 남아있는 식용유(O)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제 장치(100)는 위와 같은 과정을 소정시간 동안 반복 처리함으로써, 가스히터 튀김기(GF) 내의 찌꺼기를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제 자치(100)는 휴대용 타입으로서, 튀김기(GF)에 바로 담궈졌다가 정제 후에 꺼내지므로, 정제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1의 정제 장치(100)가 전기히터 튀김기(EF)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기히터 튀김기(EF)는 앞선 가스히터 튀김기(GF)와 달리, 전기히터(EH)가 그의 사이즈가 크지 않다. 이러한 이유 등에 의해, 전기히터(EH)에 놓인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100)는 전기히터 튀김기(EF)의 바닥면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교반모듈(150)의 브라켓(151), 연장 샤프트(152), 및 연장 프로펠러(153) 등을 임펠러(1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연장 샤프트(152)의 다각형 외면(152a)을 결합체(156)의 요철형 내면(156a)로부터 빼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113)가 작동되면, 모터축(113a)에 연결된 임펠러(114)가 회전된다. 나아가, 임펠러(114)에 대해 결합체(156)에 의해 연결된 기본 프로펠러(157) 역시 회전하게 된다. 기본 프로펠러(157)는 식용유(O)를 교반하여 찌꺼기가 윈도우(112a)를 통해 하부몸체(112)로 유입되게 한다. 이러한 찌꺼기를 함유하는 식용유(O)는 흡입 가이드(115), 임펠러(114), 및 토출관(116)를 통해 필터모듈(130)로 이송된다. 필터모듈(130)에서 찌꺼기는 걸러진 상태로, 맑은 식용유(O)가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전기히터 튀김기(EF)에서도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100)를 이용하여, 침전된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110: 유동생성모듈
111: 상부몸체 112: 하부몸체
113: 구동부 114: 임펠러
115: 흡입 가이드 116: 토출관
130: 필터모듈 133: 여과지
150: 교반모듈 151: 브라켓
152: 연장 샤프트 153: 연장 프로펠러
154: 지지체 155: 회전체
156: 결합체 157: 기본 프로펠러
170: 장착감지모듈

Claims (9)

  1.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동되는 식용유를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관을 구비하는 유동생성모듈; 상기 유동생성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유동생성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식용유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모듈; 및 하부 몸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기본 프로펠러와,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연장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생성모듈은, 상기 하부 몸체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연장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침전된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를 상기 하부 몸체 내로 유입시키는 윈도우와,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가 상기 상부 몸체에서 상기 하부 몸체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식용유를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로펠러는, 상기 침전된 찌꺼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용유를 교반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모듈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걸리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지지체; 및
    상기 연장 샤프트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연장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요철이 형성된 요철형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 샤프트는, 상기 요철형 내면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다각형 외면을 구비하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결합체는 다이캐스팅 사출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인,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8.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부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유동생성모듈; 상기 유동생성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공급되는 식용유에 함유된 찌꺼기를 거르도록 구성되는 필터모듈; 및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임펠러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기본 프로펠러와, 상기 연장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연장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생성모듈은, 상기 하부 몸체에서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본 프로펠러 및 상기 연장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침전된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를 상기 하부 몸체 내로 유입시키는 윈도우와, 상기 임펠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가 상기 상부 몸체에서 상기 하부 몸체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식용유를 안내하는 흡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로펠러는, 상기 침전된 찌꺼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용유를 교반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요철이 형성된 요철형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 샤프트는, 상기 요철형 내면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다각형 외면을 구비하는,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KR1020160101426A 2016-08-09 2016-08-09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KR101885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6A KR101885304B1 (ko) 2016-08-09 2016-08-09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6A KR101885304B1 (ko) 2016-08-09 2016-08-09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10A KR20180017510A (ko) 2018-02-21
KR101885304B1 true KR101885304B1 (ko) 2018-08-03

Family

ID=6152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26A KR101885304B1 (ko) 2016-08-09 2016-08-09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3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930A (ko) *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20230089301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이엠 폐유 자동 정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3714A (en) * 2020-03-31 2021-10-06 Premier1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cooking fluids
DE102020134844A1 (de) * 2020-12-23 2022-06-23 Vito Ag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remdstoffen aus einer Flüssigke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356B2 (ja) * 1995-09-28 2001-07-23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苗供給装置
US7052605B2 (en) * 2000-10-05 2006-05-30 Ivona Posavac Device for purifying liquids
JP2012106201A (ja) * 2010-11-18 2012-06-07 Os Giken:Kk 撹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356B2 (ja) * 1995-09-28 2001-07-23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苗供給装置
US7052605B2 (en) * 2000-10-05 2006-05-30 Ivona Posavac Device for purifying liquids
JP2012106201A (ja) * 2010-11-18 2012-06-07 Os Giken:Kk 撹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930A (ko) * 2019-09-24 2021-04-0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102261730B1 (ko) 2019-09-24 2021-06-0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일 정제 장치
KR20230089301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이엠 폐유 자동 정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10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304B1 (ko)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US4651762A (en) Agitation parts degreaser
JPS5869517A (ja) 食用油の濾過方法と装置
JP2008014618A (ja) 蒸気発生機能付き加熱調理器
JP548057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CN214231049U (zh) 料理机
CN113040625B (zh) 料理机
JP2004239599A (ja) 電子レンジ
CN214231006U (zh) 料理机
KR20230089301A (ko) 폐유 자동 정제 장치 및 방법
JP7277907B2 (ja) スープ調理器
CN214549120U (zh) 接汁杯组件及料理机
CN216364802U (zh) 料理机
CN216364815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5272164U (zh) 料理机
CN214231082U (zh) 料理机的主机及料理机
CN214017242U (zh) 料理机
CN216364805U (zh) 料理机
CN218355663U (zh) 烹饪器具
CN209733661U (zh) 料理机
KR20160123029A (ko) 식용유 정제 장치
JPH1180777A (ja) 揚げ物に使用した食用油の脱色装置
CN216823088U (zh) 料理机
CN214231048U (zh) 料理机
CN214549121U (zh) 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