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029A - 식용유 정제 장치 - Google Patents

식용유 정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029A
KR20160123029A KR1020150053020A KR20150053020A KR20160123029A KR 20160123029 A KR20160123029 A KR 20160123029A KR 1020150053020 A KR1020150053020 A KR 1020150053020A KR 20150053020 A KR20150053020 A KR 20150053020A KR 20160123029 A KR20160123029 A KR 20160123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il
sensor unit
filter
fil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조이엔쿡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조이엔쿡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조이엔쿡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5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029A/ko
Publication of KR2016012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작동모듈; 상기 작동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작동모듈로부터 이송되는 식용유에 포함된 기름찌꺼기를 정제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작동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필터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모듈에 상기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센서부에 감지되는 제1 피센서부를 구비하는 막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용유 정제 장치{APPARATUS FOR REFINING COOKING OIL}
본 발명은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를 정제하기 위한 식용유 정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는 튀김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기름이다. 이는 15℃ 이상에서는 완전한 액상(液狀)이 되기 때문에, 치킨, 돈까스 등의 튀김음식을 조리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용유는 튀김요리 시 각종 기름찌꺼기가 발생되어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각종 기름찌꺼기로는 음식물로부터 나오는 찌꺼기, 음식물이 타면서 이탈되는 찌꺼기, 외부에서 유입되는 찌꺼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기름찌꺼기가 포함된 식용유로 튀김요리를 하게 되면, 튀김요리된 음식물의 맛을 떨어뜨리거나 식용유을 부패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식용유를 순환시키고, 순환되는 과정에서 필터 등으로 기름찌거기를 걸러서 제거하는 정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식용유를 정제하는 정제 장치는 소정 횟수만큼 사용되고 나면, 필터에 기름찌꺼기가 남게 된다. 이와 같이 남겨진 기름찌꺼기는 필터에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필터 구멍을 막는 막힘 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필터에 막힘 현상이 발생되면, 필터가 존재하는 내부 공간의 기름이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에, 내부 공간의 내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제 장치는 고장을 일으키거나, 큰 폭발로 이어지는 등 각종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필터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하거나 청소하는 등의 후처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위와 같은 후처리를 시행하는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위와 같은 각종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필터를 교환하거나 청소하는 등의 후처리를 시행하는 시기를 사용자가 제때에 알 수 있도록 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가 장착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곧바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용유의 찌꺼기 제거 이외에도 산도까지 개선할 수 있는 식용유 정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식용유 정제 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작동모듈; 상기 작동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작동모듈로부터 이송되는 식용유에 포함된 기름찌꺼기를 정제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작동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필터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모듈에 상기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센서부에 감지되는 제1 피센서부를 구비하는 막힘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임펠러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식용유로부터 상기 기름찌꺼기를 걸러내는 여과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용유 정제 장치는, 상기 필터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식용유의 산도를 개선하는 산도개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도개선부는, 복수 개의 세라믹 볼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센서부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자성 물질의 자성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막힘감지모듈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용유 정제 장치는, 상기 작동모듈에 상기 필터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착감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감지모듈은 상기 작동모듈에 설치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에 감지되는 제2 피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피센서부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자성 물질의 자성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감지모듈은, 상기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식용유 정제 장치에 의하면, 필터모듈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할 시 막힘감지모듈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장치에 의하면, 구동모듈에 필터모듈이 장착될 시 장착감지모듈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장치에 의하면, 필터모듈로 기름에 포함된 기름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고, 산도개선부로 기름의 산도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작동모듈(11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제 장치(100)를 조리 기구(CU)에 담가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같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작동모듈(110)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식용유 정제 장치(100)는 작동모듈(110)과, 필터모듈(130)과, 막힘감지모듈(150)과, 장착감지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모듈(110)은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12)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1)는 캐비넷 형상으로, 복수 개의 측면들로 이루어진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빈 공간에 구동부(113)가 설치된다.
구동부(113)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113a)을 구비한다. 모터축(113a)은 일단이 모터에 체결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단이 상부몸체(111)의 하부로 돌출된다.
상부몸체(111)의 상면에는 구동부(1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16)가 구비된다. 이 때, 전원스위치(116)는 사용자가 누르기 쉽도록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부몸체(111)의 상면 중앙에는 사용자가 정제 장치(100)를 손쉽게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17)가 설치된다.
하부몸체(112)는 캐비넷 형상으로, 복수 개의 측면들로 이루어진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의 하부에는 바닥판(112a)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몸체(112)의 상면에는 상부몸체(111)가 상하부 체결 볼트(115)로 체결되어 위치한다.
바닥판(112a)의 하면에는 외부로 개방되어 식용유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한다. 여기서, 식용유는 조리에 이용됨에 따라 발생한 기름찌꺼끼를 포함하거나, 산성으로 변질된 식용유일 수 있다.
바닥판(112a)의 상면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식용유를 이송하는 오일 파이프(118)가 설치된다. 오일 파일프(118)는 일단이 바닥판(112a)의 상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출구(112b)에 설치된다. 여기서, 배출구(112b)는 바닥판(112a)보다 높게 위치한 하부몸체(11)의 측면에 형성된다.
바닥판(112a)의 내부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식용유를 회전시키는 임펠러(114)가 설치된다. 임펠러(114)는 상부몸체(111) 하측으로 돌출된 모터의 모터축(113a)에 연결된다.
여기서, 임펠러(114)는 오일 파이프(118) 일단의 하측에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임펠러(114)가 바닥판(112a)으로 유입되는 식용유를 회전에 의해 유동시켜 오일 파이프(118)로 원할하게 밀어올리기 위함이다.
그리고, 임펠러(114)는 바닥판(112a)으로 유입되는 식용유가 임펠러(114)가 위치하는 바닥판(112a)까지만 차도록 하고, 그 이상으로는 식용유가 차지 않고 오일 파이프(118)를 통해 필터모듈(130)로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몸체(112)의 전면에는 필터모듈(1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119)가 구비된다. 장착부(119)는 필터모듈(130)이 하부몸체(112)에 밀착되도록 필터모듈(130)을 하부몸체(112)측으로 밀어붙이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119)는 필터모듈(130)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130)은 하우징(131)과 여과지(132)를 구비한다. 여과지(132)는 하우징(13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31)의 전면을 가리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여과지(132)는 하우징(131)의 내부로 이송되는 식용유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1)의 후면에는 작동모듈(110)의 배출구(112b)와 대응하는 위치에 투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투입구는 임펠러(114)에 의해 바닥판(112a)으로부터 끌어 올려진 식용유가 오일 파이프(118)를 통해 필터모듈(130)로 이송되는 입구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모듈(130)은 산도개선부(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산도개선부(133)는 여과지(132)의 전방에 설치되어 식용유의 산도를 개선한다. 여기서, 산도개선부(13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세라믹 볼(133a)을 포함한다.
세라믹 볼(133a)은 알카리성 볼이다. 알카리성 볼은 예를 들어 미네랄이 풍부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계열의 세라믹 원료인 카오린, 장석, 제올라이트, 계열을 적절이 혼합한 pH 9.5 이상의 알카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산도개선부(133)의 하단에는 여과지(132)에 의해 정제되고, 세라믹 볼에 의해 산도 개선된 식용유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토출구에는 식용유가 배출되도록 개방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폐쇄하는 덮개(135)가 형성된다.
막힘감지모듈(150)은 제1 피센서부(152)와, 제1 센서부(151)를 구비한다.
제1 피센서부(152)는 필터모듈(1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피센서부(152)는 평상시에는 제1 센서부(151)보다 낮게 위치하고, 필터모듈(130)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될 시에는 제1 센서부(151)와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필터모듈(130)의 하우징(131)의 내압이 증가됨으로 인해 제1 피센서부(152)가 밀려서 올려감에 따른 것이다.
제1 센서부(151)는 작동모듈(1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1 센서부(151)는 필터모듈(130)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될 시 이동하는 제1 피센서부(152)의 자성 물질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막힘감지모듈(150)은 필터모듈(130)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알림부(153)는 작동모듈(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1 센서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알림부(153)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이나, 외부로 소리를 발산하는 버저(buzzer)일 수도 있다.
장착감지모듈(170)은 제2 피센서부(172)와, 제2 센서부(171)를 구비한다.
제2 피센서부(172)는 제2 센서부(171)와 필터모듈(130)의 후면에 설치되고,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피센서부(172)는 필터모듈(130)이 작동모듈(110)의 장착부(119)에 설치될 시 제2 센서부(171)와 대향되도록 필터모듈(130)에 설치된다.
제2 센서부(171)는 작동모듈(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제2 센서부(171)는 필터모듈(130)이 작동모듈(110)의 장착부(119)에 설치될 시 대향하는 제2 피센서부(172)의 자성 물질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한편, 제2 피센서부(172)는 자성이 아닌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서부(171)는 제2 피센서부(17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장착감지모듈(170)은 표시부(1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73)는 작동모듈(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센서부(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표시부(173)는 작동모듈(110)에 필터모듈(130)이 장착되는 경우, 제2 센서부(17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감지 결과를 화면(173a)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정제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쉽게 들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살펴보면, 도 3은 도 1의 정제 장치(100)를 조리 기구(CU)에 담가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제 장치(100)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평상시 필터모듈(130)이 청소 등의 이유로 작동모듈(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이에, 사용자는 먼저 필터모듈(130)을 작동모듈(110)의 장착부에 장착시킨다. 이 때, 필터모듈(130)가 장착부에 장착되면, 장착감지모듈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고, 표시부의 화면에는 장착 상태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필터모듈(130)의 장착 상태를 확인한 후, 손잡이(117)를 잡고 정제 장치(100)를 들어올린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정제 장치(100)를 조리 기구(CU)에 담가서 바닥에 위치시킨 후 전원스위치(116)를 켠다. 여기서, 조리 기구(CU)에 담겨진 식용유(Oil)는 조리로 인한 기름찌꺼기가 생성되어 포함된 상태이고, 자체 성질도 산성으로 변질된 상태이다. 한편, 조리 기구(CU) 내의 식용유량은 작동모듈(110)의 측면에 표시된 Max.표시라인까지만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113)를 켜면, 작동모듈(110)의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축이 회전되어 임펠러가 작동한다.
이에, 작동모듈(110)의 바닥판에는 식용유(Oil)와 함께 기름찌꺼기가 유입되기 시작한다.
바닥판 내부로 유입되는 기름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Oil)는 임펠러(112b)의 회전에 의해 유동된다. 이에 따라, 식용유(Oil)는 오일 파이프로 밀려 올라가서 오일 파이프를 통해 필터모듈(130)로 이송된다.
필터모듈(130)로 이송된 기름찌꺼기를 포함한 식용유(Oil)는 필터모듈(130)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식용유(Oil)는 필터모듈(130)의 여과지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식용유(Oil)에 포함된 기름찌꺼기는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져서 여과지에 남게 된다.
한편, 여과지를 통과하는 식용유(Oil)는 여과지의 전방에 설치된 산도개선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식용유(Oil)는 산도개선부에 구비된 복수의 세라믹 볼의 알카리 성질에 의해 산도가 개선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모듈(130)에 의해 정제되고, 산도개선부에 의해 산도가 개선된 식용유(Oil)는 덮개(135)가 개방된 토출구를 통해 다시 조리 기구(CU) 내에 남아있는 식용유(Oil)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제 장치(100)는 위와 같은 과정을 소정 시간동안 반복 처리함으로써, 조리 기구(CU) 내의 기름찌꺼기를 식용유(Oil)로부터 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조리로 인해 산성으로 변질된 식용유의 자체 성질도 적절한 알카리성으로 바꿔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제 장치(100)는 식용유를 정제하기 위해 소정 횟수만큼 사용되게 되면, 여과지에 걸러져서 남아있게 되는 기름찌꺼기에 의해 필터모듈(130)의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장치(100)는 필터모듈(130)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하게 되면, 막힘감지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필터모듈(130)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하게 되면, 제1 피센서부가 제1 센서부와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제1 센서부는 제1 피센서부의 자성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서 제1 스위칭 회로가 작동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알림부는 제1 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여, 빛 또는 소리를 발산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알림부로부터 발산되는 빛 또는 소리를 통해 필터모듈에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필터모듈의 교환 또는 청소를 통해 필터모듈의 막힘에 대한 수습 처리를 제때에 할 수 있게 된다.
100 : 정제 장치 110 : 작동모듈
111 : 상부몸체 112 : 하부몸체
112a : 바닥판 112b : 배출구
113 : 구동부 113a : 모터축
114 : 임펠러 115 : 체결 볼트
116 : 전원스위치 117 : 손잡이
118 : 오일 파이프 119 : 장착부
130 : 필터모듈 131 : 하우징
132: 여과지 133 : 산도개선부
135 : 덮개 150 : 막힘감지모듈
151 : 제1 센서부 152 : 제1 피센서부
153 : 알림부 170 : 장착감지모듈
171 : 제2 센서부 172 : 제2 피센서부
173 : 표시부 173a : 화면

Claims (10)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작동모듈;
    상기 작동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작동모듈로부터 이송되는 식용유에 포함된 기름찌꺼기를 정제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작동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필터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모듈에 상기 기름찌꺼기로 인한 막힘이 발생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센서부에 감지되는 제1 피센서부를 구비하는 막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임펠러가 설치되는 하부몸체를 더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식용유로부터 상기 기름찌꺼기를 걸러내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식용유의 산도를 개선하는 산도개선부를 더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개선부는,
    복수 개의 세라믹 볼을 구비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센서부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자성 물질의 자성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감지모듈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에 상기 필터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착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감지모듈은,
    상기 작동모듈에 설치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에 감지되는 제2 피센서부를 구비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센서부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자성 물질의 자성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감지모듈은,
    상기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식용유 정제 장치.
KR1020150053020A 2015-04-15 2015-04-15 식용유 정제 장치 KR20160123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020A KR20160123029A (ko) 2015-04-15 2015-04-15 식용유 정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020A KR20160123029A (ko) 2015-04-15 2015-04-15 식용유 정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29A true KR20160123029A (ko) 2016-10-25

Family

ID=5744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020A KR20160123029A (ko) 2015-04-15 2015-04-15 식용유 정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0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4961A (zh) * 2022-05-16 2022-09-16 道道全粮油靖江有限公司 一种用于菜籽油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4961A (zh) * 2022-05-16 2022-09-16 道道全粮油靖江有限公司 一种用于菜籽油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N115054961B (zh) * 2022-05-16 2024-01-30 道道全粮油靖江有限公司 一种用于菜籽油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8595A (en) Food fryer with continuously filtered cooking oil
KR101204232B1 (ko) 성능 및 튀김유의 수명을 향상시킨 웰빙 수유식 튀김기
KR101885304B1 (ko) 포터블 식용유 정제장치
US20090039004A1 (en) Automatic oil filtration and treatment with level control and system heating during filtration
KR20170139232A (ko) 폭발 방지 및 기름넘침방지와 튀김찌거기 제거로 기름의 수명을 향상시킨 수유식 튀김기
KR20160123029A (ko) 식용유 정제 장치
KR20050119091A (ko) 부유물 정제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튀김기
JP5433456B2 (ja) フライヤー
KR200413631Y1 (ko) 부유물 정제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튀김기
KR20230089301A (ko) 폐유 자동 정제 장치 및 방법
KR101669435B1 (ko) 여과장치
JP2012050918A (ja) 排液処理方法、及び排液処理装置と排液処理装置付き流し台
GB2146547A (en) Oil cleaner
US20210235930A1 (en) Frying Apparatus Having Oil Recycling and Purifying Function and Frying Oil Separating Function
US20200281407A1 (en) Easily cleanable water and oil fryer
KR100662823B1 (ko) 식용유 정제장치
KR102159137B1 (ko) 기름 순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KR20070038772A (ko)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US20070170109A1 (en) Liquid Filtering Apparatus
KR20160083751A (ko)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JP3088222U (ja) テーブル付揚物器
US20130087508A1 (en) Fully Automated, Twin-Chamber, Continuous Hot Oil Filtration System
KR102339010B1 (ko)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KR20230089959A (ko) 튀김기름 정제 장치
KR20110053661A (ko) 찌꺼기 수거수 냉각수단을 구비한 튀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