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010B1 -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010B1
KR102339010B1 KR1020210057366A KR20210057366A KR102339010B1 KR 102339010 B1 KR102339010 B1 KR 102339010B1 KR 1020210057366 A KR1020210057366 A KR 1020210057366A KR 20210057366 A KR20210057366 A KR 20210057366A KR 102339010 B1 KR102339010 B1 KR 10233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sing
water
contents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조예빈
최소연
Original Assignee
박유진
조예빈
최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조예빈, 최소연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102021005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52Lifting, hoisting, elevating mechanisms or the like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30/00Shap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30/126Hexa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투입구가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용기 투입구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케이싱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회전하는 용기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기를 교반기로 회전시켜 용기 내부에 포함된 내용물을 배출함으로써 용기 수거와 수거된 용기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Garbage bin that can automatically separate containers and contents}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회용 커피컵과 같은 음료가 담겨진 용기를 수거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쓰레기통에 버려진 용기를 회전시켜 용기에서 음료 등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를 적절하게 처리하지 않을 경우 생활공간을 더럽히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쓰레기를 일정한 장소에 집합시켜 수거하기 위해서 쓰레기를 수납하는 쓰레기통을 곳곳에 다수 설치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에 수거한다.
근래에 테이크 아웃(Take out)의 증가로 인해 일회용품(용기)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었는데, 사람들은 용기에 담겨 있는 내용물(음료)을 모두 섭취한 후 쓰레기통에 버리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내용물을 모두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쓰레기통에 버리기도 한다.
특히, 최근 커피를 즐기는 사람의 증가로 인해 1회용 커피컵 사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남은 음료가 담긴 커피컵을 쓰레기통에 그대로 버리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시내버스에 음식물 반입금지 조례가 시행되고 개정된 이후에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쓰레기통에는 남은 음료가 담긴 1회용 커피컵들이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내용물을 모두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를 쓰레기통에 버릴 경우에,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그대로 포함된 상태로 상당 기간 동안 방치되어 악취는 물론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 자체를 심하게 오염시키고 훼손시켜 추후에 용기의 수거와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01483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음료 등과 같은 내용물이 포함된 상태로 쓰레기통 내부에 버려진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내에 담겨 있던 내용물을 용기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면서 용기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악취 제거와 함께 용기의 수거와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은 용기 투입구가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용기 투입구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케이싱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회전하는 용기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회전하는 용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된 세척수 분사관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세척수 분사관 내부로 밀어 올려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가 상기 탱크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과 탱크 사이에는 용기가 상기 저수탱크 내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1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필터의 하부에는 용기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배출홀이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 내부에 적층되고 물과 반응하여 녹으면서 물을 정화하는 정화제와, 상기 배출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정화제를 저장통 밖으로 밀어내는 슬라이드판이 로드 끝단에 구비된 실린더로 구성된 정화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투입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경사진 형태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구비되며, 1회용 커피컵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쓰레기는 투입이 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용기 투입구 내부 하단에는 쓰레기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에 투입되는 용기와 케이싱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는 저수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알람이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감지센서가 케이싱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알람은 소리를 발신하거나 불빛을 점멸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 감지센서가 케이싱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교반기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용기를 휘젓고 상기 세척수 분사관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모터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판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함으로써 케이싱 내부에 투입된 용기를 휘젓는 회전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 내부에는 상기 저수탱크에 채워진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값 이상의 오염도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가 작동하여 상기 정화제가 저수탱크 내부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 분사관과 펌프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정화수통이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려 일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은 케이싱 내부에 채워진 용기를 교반기로 회전시켜 용기 내부에 포함된 내용물을 배출함으로써 용기 수거와 수거된 용기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세척수로 용기를 깨끗하게 함으로써 용기의 재활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화기를 통해 깨끗해진 물을 세척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좀 더 깨끗해진 용기를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질 감지센서와 수위 감지센서를 통하여 저수탱크 내부의 수질과 수위를 파악한 후 제어부가 정화기와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물의 정화와 배출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케이싱 내부에 용기가 가득 찬 경우 교반기를 제어부가 작동시킴으로써 용기를 휘젓는 작업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에 정화수통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의 정화기를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어부와 그 주변구성의 연결관계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의 정화기를 보인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어부와 그 주변구성의 연결관계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은 용기(V)가 투입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에 채워진 용기(V)를 휘저어 회전시키는 교반기(20)와,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설치되는 저수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면에 용기 투입구(11)가 구비되어 이곳을 통해 용기(V)가 내부에 공급되고, 전면에는 도어(14)가 설치되어 케이싱(10) 내부의 용기(V)를 빼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투입구(11)는 상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경사진 동일 직경의 원통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1회용 커피컵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쓰레기는 투입이 되지 않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보통 7 ~ 10cm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제작된 1회용 커피컵보다 큰 컵이나 용기 및 쓰레기는 케이싱(10) 내부로 투입될 수 없다.
상기 교반기(20)는 케이싱(10) 내부에서 회전하여 용기 투입구(11)를 통해 케이싱(10) 내부로 투입된 용기(V)를 회전시킨다.
사람들이 용기(V)를 쓰레기통 내부에 투입할 때 용기(V)에 포함된 내용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투입할 수도 있지만, 내부에 음료 등과 같은 내용물이 일정부분 포함된 용기(V)를 쓰레기통 내부에 투입할 수도 있다. 이렇게 내용물이 포함된 용기(V)가 쓰레기통의 케이싱(10) 내부에 투입된 경우 교반기(20)의 작동에 의해 용기(V)가 회전하면서 용기(V)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V)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용기(V)를 회전시키는 교반기(20)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봉(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21)는 케이싱(10)의 후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회전판(22)은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21)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싱(10) 내부에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봉(23)은 회전판(22)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여 케이싱(10) 내부에 투입된 용기(V)를 휘젓는다. 이렇게 회전봉(23)에 의해 용기(V)가 케이싱(10) 내부에서 교반됨으로써 용기(V) 내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용기(V) 밖으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교반기(20)는 제어부(70)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용기 투입구(11)의 내부 하단이나 케이싱(10)의 내부 상단 또는 용기 투입구(11)와 케이싱(10)의 연결라인 상에 쓰레기 감지센서(S1)를 설치하여 케이싱(10) 내부에 투입되는 용기(V)와 케이싱(10)의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를 감지하고, 케이싱(10) 내부 상단까지 용기(V)가 채워진 것을 쓰레기 감지센서(S1)가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케이싱(10)에 설치되어 있는 알람(13)을 통하여 소리를 발신하거나 불빛을 점멸한다. 동시에 제어부(70)는 교반기(20)를 작동시켜 케이싱(10) 내부의 용기를 휘젓고 아래에서 설명할 세척수 분사관(12)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부연하면, 쓰레기 감지센서(S1)는 용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용기(V)도 감지하고, 케이싱(10)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V)도 감지하는데, 케이싱(10) 내부에 투입되는 용기(V)를 감지했을 때는 제어부(70)에서 이를 카운팅하여 케이싱(10) 내부에 채워진 용기(V)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쓰레기 감지센서(S1)에 의해 일정시간 이상 쓰레기가 감지되면 제어부(70)는 케이싱(10) 내부에 용기(V)가 만충되어 케이싱(10) 내부 상단까지 용기(V)가 채워진 것으로 파악하여 교반기(20)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제어부(70)는 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형태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교반기(20)나 각종 센서 등과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 짧게 언급한 것처럼 케이싱(10) 내에서 교반기(20)에 의해 용기(V)가 회전되고 있을 때 이 회전하는 용기(V)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2a)이 구비된 세척수 분사관(12)이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세척수 분사관(12)은 케이싱(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쪽에서 회전하는 용기(V)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저수탱크(50) 내부에 펌프(51)가 설치되고 이 펌프(51)는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을 세척수 분사관(12) 내부로 밀어 올려 분사노즐(12a)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용기(V)가 케이싱(10) 내부에서 회전할 때 용기(V) 내에서 고형(固形)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용기(V)가 지나치게 더렵혀져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V) 밖으로 배출되거나 용기(V)가 일정수준으로 깨끗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용기(V) 밖으로 배출되는 음료나 고형의 내용물, 세척수 및 용기(V)는 하측으로 낙하하여 저수탱크(50) 쪽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케이싱(10)과 저수탱크(50) 사이에는 제1필터(30)와 제2필터(40)가 설치되어 필터링을 한다.
상기 제1필터(30)는 용기(V)가 저수탱크(50) 내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1필터(30)에 의해 용기(V)가 걸러져서 용기(V)는 저수탱크(50) 내부로 낙하되지 않는다.
상기 제2필터(40)는 제1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기(V)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즉 제1필터(30)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나머지 오염물질을 제2필터(40)가 필터링함으로써 세척수와 함께 일정 크기 미만의 이물질만 저수탱크(5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저수탱크(50)는 케이싱(10) 하부, 좀 더 자세히는 제2필터(4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회전하는 용기(V)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과 분사노즐(12a)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를 저장한다. 즉 용기(V)가 회전하면서 용기(V) 내에 있던 음료가 배출되는데, 이 음료가 낙하하여 저수탱크(50)에 저당된다.
이러한 저수탱크(50) 내부에는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을 깨끗하게 하는 정화기(60)가 설치된다.
상기 정화기(60)는 저장통(61)과, 상기 저장통(61) 내부에 채워지는 정화제(62)와, 상기 정화제(62)를 저장통(61) 밖으로 배출시키는 정화제 투입수단(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통(61)은 저수탱크(50) 내부에 설치되고, 배출홀(61a)이 일정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정화제(62)는 원판 형태의 발포성 정화제로서 물과 반응하여 녹으면서 물을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다수개가 저장통(61) 내부에 적층되어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화제(62)는 아쿠아탭스 푸드세이프(아일랜드 Medentech社 제품명)로서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sodium dichloroisocyanurate)이 주성분이다. 이러한 정화제(62)는 물에 잘 용해되고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화제 투입수단(63)는 실린더 몸체(63a)와, 상기 실린더 몸체(63a) 내외부로 출입하는 실린더 로드(63b)와, 상기 실린더 로드(63b)의 끝단에 구비된 슬라이드판(6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판(63c)은 배출홀(61a)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실리더 로드(63b)가 앞뒤로 움직일 때 배출홀(61a) 내에서 앞뒤로 움직이면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정화제(62)를 저장통(61) 밖으로 밀어낸다. 이렇게 가장 하측에 위치한 정화제가 저장통(61) 밖으로 배출되면 그 위에 있던 정화제가 자중에 의해 가장 하측으로 내려온다.
한편, 저수탱크(50) 내부에는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질 감지센서(S2)가 설치된다.
상기 수질 감지센서(S2)는 저수탱크(50)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저수탱크(50) 내부의 물에 대한 수질을 측정하였을 때 그 값이 일정값 이상의 오염도로 측정되면 제어부(70)의 명령에 의해 실린더(63)가 작동하여 정화제(62)가 저수탱크(50) 내부로 투입된다.
부연하면, 수질 감지센서(S2)는 저수탱크(50) 내부의 물에 대한 수질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제어부(70)에 전송하는데, 이러한 수질 측정과정에서 제어부(70)에 설정되어 있는 일정값보다 더 큰 값이 측정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수질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여 실린더(63)를 작동시킴으로써 정화제(62)를 저수탱크(50)로 투입한다.
만약, 수질 감지센서(S2)에 의해 측정되는 수질 측정값이 제어부(70)에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보다 커서 너무 지나치게 오염된 경우에는 저수탱크(50) 일측에 마련된 배수로(52)의 배수밸브(62a)를 개방하여 저수탱크(5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도 있다.
더불어, 저수탱크(50) 내부에는 수질 감지센서(S2) 뿐만 아니라 수위 감지센서(S3)가 설치되어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센서(S3)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되고, 이 수위 감지센서(S3)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제어부(70)에 설정된 수위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 제어부(70)는 저수탱크(50)에 구비된 배수로(52)의 배수밸브(62a)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에서는 저수탱크(50)에서 정화된 물을 직접 세척수로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제1실시예의 경우에 상황에 따라 저수탱크(50)에서 정화되지 않은 물을 세척수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게 된다. 즉, 정화제가 저수탱크(50)로 투입된 시간이 길지 않아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의 정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동안에 쓰리기통으로 투입되는 용기가 다수 버려지는 경우에 정화되지 않은 물을 세척수로 이용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저수탱크(50)에서 완전히 정화된 물을 일정량으로 일시 저장한 후에 이를 세척수로 사용하는 구성을 추가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의 정화기를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세척수 분사관(12)과 펌프(51)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정화수통(80)을 설치하여 저수탱크(50)에서 정화된 물을 끌어올려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정화수통(80)은 케이싱(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되어, 정화제(62)에 의해 정화되어 깨끗해진 물을 펌프(51)로 끌어올려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렇게 정화수통(80)에 저장된 깨끗한 물은 정화수통(80)에 내장된 펌프(51)를 통해 세척수 분사관(12)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용도로 사용한다.
10: 케이싱 11: 용기 투입구
12: 세척수 분사관 12a: 분사노즐
13: 알람 14: 도어
20: 교반기 21: 모터
22: 회전판 23: 회전봉
30: 제1필터 40: 제2필터
50: 저수탱크 51: 펌프
52: 배수로 52a: 배수밸브
60: 정화기 61: 저장통
61a: 배출홀 62: 정화제
63: 정화제 투입수단 63a: 몸체
63b: 로드 63c: 슬라이드판
70: 제어부 80: 정화수통
S1: 쓰레기 감지센서 S2: 수질 감지센서
S3: 수위 감지센서 V: 용기

Claims (14)

  1. 용기 투입구(11)가 구비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용기 투입구(11)를 통해 케이싱(10) 내부로 투입된 용기(V)를 회전시키는 교반기(20)와;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회전하는 용기(V)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50)와;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에 설치되고 배출홀(61a)이 형성된 저장통(61)과, 상기 저장통(61) 내부에 적층되고 물과 반응하여 녹으면서 물을 정화하는 정화제(62)와, 상기 배출홀(61a)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정화제(62)를 저장통(61) 밖으로 밀어내는 슬라이드판(63c)이 실린더 로드(63b) 끝단에 구비된 정화제 투입수단(63)으로 구성된 정화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하는 용기(V)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2a)이 구비된 세척수 분사관(12)이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세척수 분사관(12) 내부로 밀어 올려 상기 분사노즐(12a)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51)가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과 저수탱크(50) 사이에는 용기(V)가 상기 저수탱크(50) 내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1필터(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30)의 하부에는 용기(V) 내에서 배출되는 내용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필터(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투입구(11)는 상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경사진 형태로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구비되며, 1회용 커피컵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쓰레기는 투입이 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투입구(11) 내부 하단에는 쓰레기 감지센서(S1)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투입되는 용기(V)와 케이싱(10)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V)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에는 저수탱크(5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S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알람(13)이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감지센서(S1)가 케이싱(10)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V)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알람(13)은 소리를 발신하거나 불빛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감지센서(S1)가 케이싱(10) 내부 상단까지 채워진 용기(V)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교반기(20)는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용기를 휘젓고 상기 세척수 분사관(12)의 분사노즐(12a)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20)는 모터(21)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판(22)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함으로써 케이싱(10) 내부에 투입된 용기를 휘젓는 회전봉(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50) 내부에는 상기 저수탱크(50)에 채워진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감지센서(S2)가 설치되어, 일정값 이상의 오염도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정화제 투입수단(63)이 작동하여 상기 정화제(62)가 저수탱크(5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관(12)과 펌프(51)를 연결하는 관로상에는 정화수통(80)이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려 일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KR1020210057366A 2021-05-03 2021-05-03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KR10233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66A KR102339010B1 (ko) 2021-05-03 2021-05-03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66A KR102339010B1 (ko) 2021-05-03 2021-05-03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010B1 true KR102339010B1 (ko) 2021-12-14

Family

ID=7893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366A KR102339010B1 (ko) 2021-05-03 2021-05-03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30B1 (ko) 2008-09-12 2011-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수 쓰레기통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30B1 (ko) 2008-09-12 2011-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수 쓰레기통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69865B (zh) 一种具有破袋功能的智能垃圾投放箱及使用方法
CA2431445C (en) Wet-dry vacuum cleaning device
US20040195186A1 (en) Grease removal system
EP2006034A2 (en) Apparatus for selecting organic waste material suitable for being recycled
US10350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rash containers
CN110883063B (zh) 一种餐厨垃圾固液油水分离装置
CN111804712A (zh) 一种餐厨垃圾处理机
EP2334253A1 (en) Water separator
KR102339010B1 (ko)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US4145287A (en) Grease and water separating apparatus
CN213738876U (zh) 一种收餐隔油除渣水池一体机
CN215348744U (zh) 一种可过滤杂物的污水箱及洗地机
CN215983386U (zh) 具有检测功能的收集装置及制冰机
KR20230089301A (ko) 폐유 자동 정제 장치 및 방법
CN211052151U (zh) 一种餐厨垃圾收集脱水油水分离装置
CN210472083U (zh) 一种旋转喷冲式洗碗机的过滤装置
CN211894613U (zh) 一种具有破袋功能的智能垃圾投放箱
CN111631660A (zh) 餐具清洁系统
CN209602232U (zh) 一种餐厨废水处理用油水分离装置
CN215438006U (zh) 一种餐厨垃圾干湿分离收纳桶
CN220494825U (zh) 一种可自动出水的饮水器
CN218752782U (zh) 一种垃圾分类固液分离垃圾桶
CN214141692U (zh) 一种模块化串联智能油水分离器
CN211799024U (zh) 一种市政污水厂污泥处理装置
CN219961611U (zh) 全自动猫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