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30B1 - 탈수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탈수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30B1
KR101014830B1 KR1020080090141A KR20080090141A KR101014830B1 KR 101014830 B1 KR101014830 B1 KR 101014830B1 KR 1020080090141 A KR1020080090141 A KR 1020080090141A KR 20080090141 A KR20080090141 A KR 20080090141A KR 101014830 B1 KR101014830 B1 KR 10101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ater
main body
cylindrical network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179A (ko
Inventor
김조천
류철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9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탈수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탈수 쓰레기통은, 내측에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가 수용되되 다수의 유수공이 형성된 원통망체; 상기 원통망체를 수용 또는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뚜껑이 상기 개구부를 폐쇄 시 상기 원통망체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다수의 유수공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착수단,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다수의 유수공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분받침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수, 쓰레기통, 수분, 압축

Description

탈수 쓰레기통{A garbage can for dehydration}
본 발명은 탈수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탈수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주방이나 식당 주방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주로 사용된다.
먼저, 여러 가지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속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하여 단순한 외통 내에 내통을 설치하고 내통 하부에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내통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되면 수용된 쓰레기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자연 탈수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외통과 내통으로 단순 구분하고 쓰레기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자연탈수하는 방식은 음식물 찌꺼기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탈수시킬 수 없기 때문에 수분을 탈수시킬 별도의 깔때기나 주머니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여러 처리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대단히 불편하고 완전 탈수가 어려워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하는 방식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회전시켜 수분을 처리하게 되면 수분을 제거하는 면에서 가장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이러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처리하기 위하여는 음식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 기타 여러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가격면이나 처리공간면에서 큰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연탈수 방식에 비하여 탈수효과가 높고, 원심탈수 방식에 비하여 비용면에서 월등히 저렴한 탈수 쓰레기통이 필요성이 요구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탈수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수 쓰레기통은, 내측에 수분이 포함된 쓰레기가 수용되되 다수의 유수공이 형성된 원통망체; 상기 원통망체를 수용 또는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뚜껑이 상기 개구부를 폐쇄 시 상기 원통망체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다수의 유수공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착수단,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다수의 유수공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분받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면 중앙부분에 돌출 형성된 볼트부; 상기 볼트부와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반구형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면 중앙부분에 구비된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반구형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구형 압착부 상면 외주 부분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하면 외주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가 각각 끼워져 상기 반구형 압착부가 상기 뚜껑의 하면에 당접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분받침체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유수공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필터링수단;이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망체의 측면 외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수직간극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망체의 하면 외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수평간극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의 수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링수단에 의해 원통망체를 통과한 일부 잔류물이 걸리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은, 크게, 원통망체(100), 본체(200), 수분받침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망체(100)는 내측에 수분(w)이 포함된 쓰레기(g)가 수용되되 다수의 유수공(100h)이 형성된 구성요소이고, 상기 본체(200)는 상기 원통망체(100)를 수용 또는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10), 상기 개구부(210)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220), 상기 뚜껑(220)이 상기 개구부(210)를 폐쇄 시 상기 원통망체(100)에 수용된 쓰레기(g)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g)에 포함된 수분(w)이 다수의 유수공(100h)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착수단(230),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투입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요소이며, 상기 수분받침체(300)는 상기 투입구(240)를 통해 상기 본체(20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다수의 유수공(100h)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w)이 모이는 구성요소이다.
먼저, 원통망체(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망체(1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서, 상기 원통망체(100)의 내부에는 수분(w)이 포함된 쓰 레기(g)가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이 원통망체(100)의 측면과 하면에는 다수개의 유수공(100h)이 형성되는데, 이 유수공(100h)은 원통망체(100)에 수용된 쓰레기(g)에 포함된 수분(w)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으로서, 너무 크거나 너무 작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g)를 압착시키는 경우에 수분(w)만 빠져나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원통망체(100)는 본체(2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데, 이때 원통망체(100)의 외부 측면과 본체(200)의 내부 측면 사이, 원통망체(100)의 외부 바닥면과 본체(20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통망체(100)의 측면 외측에는 수직간극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원통망체(100)의 하면 외측에는 수평간극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망체(100)가 본체(200)의 내측으로 수용될 시 원통망체(100)와 본체(2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원통망체(100)의 유수공(100h)을 통해 수분(w)이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망체(100)는 내부에 쓰레기(g)를 수용하여 후술하게 될 본체(200)의 압착수단(230)에 의한 압착 시 쓰레기(g)에 포함된 수분(w)이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체(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는 상술한 원통망체(100)를 내부에 수용하여, 원통망체(100)에 수용된 쓰레기(g)를 압착하여 수분(w)이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원통망체(100)를 수용 또는 배출시 키기 위한 개구부(210)가 상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서 본체(200) 상부의 일측에는 뚜껑(2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세하게, 뚜껑은 공지의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220)은 본체(200)의 개구부(210)를 전체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본체(200)의 상부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220)이 본체(200)의 개구부(210)를 폐쇄한 경우에 원통망체(100)에 수용된 쓰레기(g)를 압축시키기 위해서, 뚜껑(220)에는 압착수단(230)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230)은 뚜껑(220)의 하면 중앙부분에 돌출 형성된 볼트부(232)와, 이 볼트부(232)와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반구형 압착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뚜껑(220)의 하면에는 중앙부분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볼트부(232)가 형성되고, 반구형 압착부(234)에는 상기 볼트부(232)에 끼워져 회전결합되는 너트홈(234h)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구형 압착부(23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반구형 압착부(234)가 뚜껑(220)과 당접한 상태가 되거나 도 6과 같이 반구형 압착부(234)가 뚜껑(220)에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230)은 뚜껑(220)의 하면 중앙부분에 구비된 탄성스프링(233)과, 이 탄성스프링(233)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탄 성지지되는 반구형 압착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뚜껑의 하면에는 중앙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탄성스프링(233)이 마련되고, 이 탄성스프링(233)의 단부가 반구형 압착부(234)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스프링(233)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반구형 압착부(234)는 도 9와 같이 하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구형 압착부(234) 상면 외주 부분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234a)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220)의 하면 외주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234a)가 각각 끼워져 상기 반구형 압착부(234)가 상기 뚜껑(220)의 하면에 당접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삽입홈(220a-1)이 형성된 지지슬릿(22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압착부(234)가 뚜껑(220)과 당접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을 통행 지지돌기(234a)를 끼워 넣은 후 반구형 압착부(234)를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34a)가 지지슬릿(220a)에 지지되어 반구형 압착부(234)가 뚜껑(220)과 당접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원통망체(100)에 수용된 쓰레기(g)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g)에 포함된 수분(w)이 다수의 유수공(100h)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출된 수분(w)을 모으기 위해 후술하게 될 수분받침체(300)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240)가 본체(200)의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는 원통망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g)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g)에 포함된 수분(w)이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분받침체(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받침체(300)는 본체(200)의 압축수단에 의해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수분(w)이 모이는 부분으로서, 본체(200)의 투입구(240)를 통해 본체(20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수분받침체(300)의 바닥면이 당접되지 않는 본체(200)의 바닥면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분받침체(3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연장돌출부(202)는 수분받침체(300)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수분(w)이 수분받침체(300)의 내부로 원활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돌출부(202)에는 안내날개(204)가 형성되어, 수분(w)이 연장돌출부(202)와 수분받침체(300)의 사이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분받침체(300)의 내측에는 다수의 유수공(100h)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w)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352)링하기 위한 필터(352) 및 상기 필터(35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다리(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필터링수단(350)이 수용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20)의 안쪽에 활성탄(c)을 넣을 수 있는 주머니(221)를 구비하여,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원통망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 쓰레기통의 뚜껑 및 반구형 압착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원통망체 100h:유수공
110:수직간극돌출부 120:수평간극돌출부
200:본체 210:개구부
220:뚜껑 220a:지지슬릿
230:압착수단 232:볼트부
233:탄성스프링 234:반구형 압착부
234a:지지돌기 240:투입구
300:수분받침체 350:필터링수단
352:필터 354:다리

Claims (7)

  1.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뚜껑이 상기 개구부를 폐쇄 시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시킴에 따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뚜껑에 마련된 압착수단,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유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분받침체; 를 포함하되,
    측면과 하측에 다수의 유수공이 형성되며, 측면 외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수직간극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수평간극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원통망체;
    상기 수분받침체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유수공을 통해 상기 원통망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필터링수단; 이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면 중앙부분에 돌출 형성된 볼트부;
    상기 볼트부와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반구형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뚜껑의 하면 중앙부분에 구비된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반구형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쓰레기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압착부 상면 외주 부분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하면 외주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가 각각 끼워져 상기 반구형 압착부가 상기 뚜껑의 하면에 당접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쓰레기통.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받침체의 하면과 맞닿지 않는 본체의 바닥내면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돌출부에는 상기 수분이 수분받침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쓰레기통.
KR1020080090141A 2008-09-12 2008-09-12 탈수 쓰레기통 KR10101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41A KR101014830B1 (ko) 2008-09-12 2008-09-12 탈수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41A KR101014830B1 (ko) 2008-09-12 2008-09-12 탈수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179A KR20100031179A (ko) 2010-03-22
KR101014830B1 true KR101014830B1 (ko) 2011-02-15

Family

ID=4218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141A KR101014830B1 (ko) 2008-09-12 2008-09-12 탈수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010B1 (ko) 2021-05-03 2021-12-14 박유진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440A (zh) * 2019-03-28 2019-06-07 天津锐锟科技有限公司 一种社区生活垃圾物业监管系统
CN110371517A (zh) * 2019-07-28 2019-10-25 蚌埠惊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废弃物环保收集箱
CN111438977A (zh) * 2020-03-19 2020-07-24 弘达环保科技(深圳)有限公司 压缩装置
CN112607265A (zh) * 2021-01-28 2021-04-06 张瑜 一种市政环卫行业用便于倾倒的新型环保垃圾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971U (ko) 1977-07-30 1979-02-26
JPH0373663U (ko) * 1989-11-24 1991-07-24
KR20030005770A (ko) * 2001-07-10 2003-01-23 삼성카드 주식회사 고객 불만사항의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05770Y1 (ko) 2002-12-10 2003-02-27 박정남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20040010766A (ko) * 2001-06-22 2004-01-3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 제조 방법
KR200410766Y1 (ko) * 2005-11-19 2006-03-08 정기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971U (ko) 1977-07-30 1979-02-26
JPH0373663U (ko) * 1989-11-24 1991-07-24
KR20040010766A (ko) * 2001-06-22 2004-01-3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 제조 방법
KR20030005770A (ko) * 2001-07-10 2003-01-23 삼성카드 주식회사 고객 불만사항의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05770Y1 (ko) 2002-12-10 2003-02-27 박정남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200410766Y1 (ko) * 2005-11-19 2006-03-08 정기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010B1 (ko) 2021-05-03 2021-12-14 박유진 용기와 내용물의 자동분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179A (ko) 201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830B1 (ko) 탈수 쓰레기통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20040358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40069795A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968680B1 (ko) 압축 및 폐기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처리기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102326230B1 (ko) 드럼 수납 시스템을 구비한 음식물 압착기
KR19980063642U (ko) 싱크대의 개수대용 잔반 탈수장치
JP6328396B2 (ja) 流し台用生ごみ脱水装置
KR10166760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의 거름통 유닛
KR1011120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200239386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28814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2413817B1 (ko)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1168349B1 (ko) 스크류 압착장치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14139376U (zh) 一种茶叶储存装置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KR200159146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탈수기
KR200398953Y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9833Y1 (ko) 물기제거와 악취 누출이 방지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