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817B1 -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817B1
KR102413817B1 KR1020210029984A KR20210029984A KR102413817B1 KR 102413817 B1 KR102413817 B1 KR 102413817B1 KR 1020210029984 A KR1020210029984 A KR 1020210029984A KR 20210029984 A KR20210029984 A KR 20210029984A KR 102413817 B1 KR102413817 B1 KR 10241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food waste
drying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준
Original Assignee
박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준 filed Critical 박민준
Priority to KR102021002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2Absorbing means
    • B65F2210/1023Absorbing means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2Absorbing means
    • B65F2210/1026Absorbing means for smell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21Carr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부와 본체부의 하부면의 중앙에 분리 결합되어 음식물의 수분을 낙하시키는 탈수체결부 및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리 결합되고, 음식물의 수분 또는 탈수된 음식물이 수용되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FOOD WASTE BINS FOR DEHYDRATION, DRYING AND STORAGE}
본 발명은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음식물을 탈수하는 본체부와 탈수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부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밀폐하고, 컨테이너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버리거나 본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버리거나 개인 기호에 맞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풍족함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양이 넘쳐나고, 그에 따라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여 그 처리에 큰 고심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젖은 상태로 연소하면 다이옥신이라는 유해물질이 발생하고, 그대로 땅에 묻어도 부패하여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어 있는바, 예컨대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화학 약품을 이용한 처리 방법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안이 있다.
그런데 미생물이나 화학약품을 이용한 처리 방법은 처리결과물이 발생하지 않고 완벽하게 처리할 수가 있기는 하지만, 미생물이나 화학 약품을 구입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처리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와 같이 미생물 또는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은 많은 설비와 기술적 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처리할 수가 없고,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모아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해 오는데 따른 기본적인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가정에서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하여 두면 따뜻하게 가열된 가열공기가 순환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게 된 것으로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그 종류가 셀 수가 없을 정도로 많이 개발되어 있다.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대부분 음식물을 저장 건조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과, 쓰레기 저장통을 넣는 캐비티를 갖춘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 공기순환장치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는 공기 순환장치에서 발생하는 가열공기가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이 내장된 캐비티의 내부에 충분하고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빠르고 제대로 건조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이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저장하는 용기의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공기순환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저장통의 위쪽에서 주입되어 저장통에저장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위를 스쳐 지나가면서 건조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통의 바닥쪽이나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은 잘 건조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음식물 저장통은 저장통속으로 공기 순환장치에서 발생한 공기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저장통속으로 유입된 공기가 음식물 쓰레기와 충분하게 접촉되지 못하기 때문에 건조 속도가 느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쓰레기 저장통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 후 별도 컨테이너 또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용 비닐에 담을 경우 역으로 음식물을 통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밀폐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하게 손으로 통을 거꾸로 들어 배출용 컨테이너 또는 비닐에 붓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주변에 오물이 튀거나 다량의 음식물이 한 번에 쏟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탈수된 음식물 이동 배출에 청결하고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240호(2012.03.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려지는 음식물을 탈수하는 본체부와 탈수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부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밀폐하고, 컨테이너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버리거나 본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버리거나 개인 기호에 맞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외측벽부를 싱크대의 개수대에 결합시켜 탈수되는 수분을 배출하여 음식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에 형성된 본체손잡이와 컨테이너부에 형성된 컨테이너손잡이를 각각 파지하고 회전하여 자유롭고 편리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려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의 중앙에 분리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을 낙하시키는 탈수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리 결합되고, 상기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이 수용되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부의 내측으로부터 하측 중앙을 향해 지름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말단으로부터 중앙이 관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탈수체결부의 내측에 나선 결합된 내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사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분을 낙하할 수 있게 한 통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상부 내측면에 나선 결합된 외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부는 하부의 둘레를 따라 아치형으로 홈을 형성하고, 싱크대의 개수대의 크기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용기부를 상기 싱크대에 설치 시, 상기 음식물의 탈수되는 수분이 상기 개수대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탈수체결부는 내부가 관통된 관으로 형성된 바디관부; 및 상기 바디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의 수분을 낙하시키고 상기 음식물을 걸러내는 채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탈수체결부는 상기 바디관부의 외주면에 요철 또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분리 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컨테이너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본체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외측면에 컨테이너손잡이를 형성한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버려지는 음식물을 탈수하는 본체부와 탈수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부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밀폐함으로써, 냄새를 차단하여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외측벽부를 싱크대의 개수대에 결합시켜 탈수되는 수분을 배출하여 개수대 거름망의 양적 한계와 탈수 후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본체부에 형성된 본체손잡이와 컨테이너부에 형성된 컨테이너손잡이를 각각 파지하고 회전하여 자유롭고 편리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손잡이를 이용한 음식물 배출 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컨테이너부에 보관된 음식물을 버리거나 본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버리거나 또는 컨테이너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 비닐을 끼워서 사용하는 등 개인의 기호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경사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음식물을 중력에 의한 압축으로 탈수하고, 경사부에 형성된 통공부로 수분이 배출되어 탈수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탈수체결부를 내측벽부의 하부에 체결함으로써, 음식물이 채반에 걸러지고, 수분이 채반을 통해 낙하되는 단순한 구조로 탈수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탈수체결부를 내측벽부의 하부에서 분리시킨 후 본체부와 컨테이너부를 결합시키면, 밀폐된 상태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본체부 내 경사부를 따라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구조로 밀폐된 상태에서 청결하게 음식물 배출을 위한 컨테이너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본체부와 탈수체결부를 평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컨테이너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본체부와 탈수체결부를 평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컨테이너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은 본체부(100), 탈수체결부(200) 및 컨테이너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은 버려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 본체부의 하부면의 중앙에 분리 결합되어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을 낙하시키는 탈수체결부(200) 및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리 결합되고, 음식물의 수분 또는 탈수된 음식물이 수용되는 컨테이너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리 및 결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의 각각의 구성을 나선회전으로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것을 지시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핸들부(500)를 파지하여 각각의 구성을 회전시켜 분리 및 결합하는 것을 지시한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컨테이너부(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버려지는 음식물을 수용하고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수분이 낙하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용기부(110), 경사부(120) 및 내측벽부(130)를 더 포함한다.
용기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경사부(120)는 용기부(110)의 하부의 내측으로부터 하측 중앙을 향해 지름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경사부(120)는 용기부(110)의 내부로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부(110)의 하부로 모아지게 하고, 중력에 의해 모아진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용기부(11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가득 채울수록 경사부(120)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압착하여 많은 양의 수분을 배출시켜 탈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측벽부(130)는 경사부(120)의 말단으로부터 중앙이 관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탈수체결부(200)의 내측에 나선 결합된다.
특히, 내측벽부(130)는 컨테이너부(300)의 상부에 용기부(110)를 위치시켰을 때, 컨테이너부(300)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컨테이너부(300)로 낙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에 있어서, 본체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공부(140)는 경사부(120)의 일면을 관통하는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용기부(110)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분을 낙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통공부(140)는 경사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 하부방향으로 관통홀이 길게 형성되어 음식물의 토출을 방지하면서 수분만 배출시킨다. 이로 인해,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수분이 일부 배출되고, 후술하는 탈수체결부(200)로 수분이 배출되어 탈수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에 있어서, 본체부(100)는 외측벽부(150)를 더 포함한다.
외측벽부(150)는 용기부(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고, 컨테이너부(300)의 상부 내측면에 나선 결합된다.
즉, 외측벽부(150)는 용기부(110)를 컨테이너부(300)의 상부에 위치시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서로 연통하되 밀폐된 상태로 형성시킨다.
또한, 외측벽부(150)는 하부의 둘레를 따라 아치형으로 홈을 형성하고, 싱크대의 개수대의 크기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여 용기부(110)를 싱크대에 설치 시, 음식물의 탈수되는 수분이 개수대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외측벽부(150)는 주방에서 요리하고 버려지는 식자재 또는 식사를 끝낸 음식물을 용기부(110)에 버리기만 하면 음식물은 용기부(110)에 수용되고, 수분은 개수대를 통해 배출되어 탈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음식물 쓰레기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탈수체결부(200)는 본체부(110)의 하부면의 중앙에 분리 결합되어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을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탈수체결부(200)는 바디관부(210) 및 채반(220)을 더 포함한다.
바디관부(210)는 내부가 관통된 관으로 형성된 것으로 내측벽부(130)의 외주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지름을 형성한다.
즉, 바디관부(210)는 내측벽부(130)를 둘러싸는 관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나선이 형성되어 내측벽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에 결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채반(220)은 바디관부(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의 수분을 낙하시키고 상기 음식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채반(220)은 경사부(120)를 따라 내측벽부(130)의 내부로 수용된 음식물의 수분만 낙하시키고, 내측벽부(130)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탈수체결부(200)는 바디관부(210)의 외주면에 요철 또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부(2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230)는 내측벽부(130)에 바디관부(210)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회전 시, 마찰력을 형성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시켜준다.
이러한 돌기부(230)는 반구형의 돌기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부(30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리 결합되고,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이 수용되는 역할을 한다.
즉, 컨테이너부(300)는 상부를 개방하고, 하부가 폐쇄되어 음식물 쓰레기 비닐 사용 시 용이하게 하고 탈수된 음식물을 최종 보관한다.
또한, 컨테이너부(300)는 본체부(110)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 시, 내측뿐 아니라 외측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게 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은 커버부(400)를 더 포함한다.
커버부(4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분리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의 상부 내측에 나선 결합되는 나선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커버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된 컨테이너부(30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를 생략하고 컨테이너부(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컨테이너부(300)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용기부(110)에서 탈수된 음식물을 컨테이너부(300)에 수용하여 음식물이 쌓일 때 까지 보관할 때, 커버부(400)로 컨테이너부(300)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용기부(110)를 세척하거나 싱크대의 개수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00)는 상면에 커버손잡이를 형성하여 본체부(100)로부터 손쉽게 분리 및 결합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10)은 핸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500)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본체손잡이(510)를 형성하고, 컨테이너부(300)의 외측면에 컨테이너손잡이(520)를 형성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쓰레기통(10)을 분리 하거나 결합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본체손잡이(510)를 파지하고, 컨테이너부(300)에 형성된 컨테이너손잡이(520)를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서로 회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100 : 본체부
110 : 용기부
120 : 경사부
130 : 내측벽부
140 : 통공부
150 : 외측벽부
200 : 탈수체결부
210 : 바디관부
220 : 채반
230 : 돌기부
300 : 컨테이너부
400 : 커버부
500 : 핸들부
510 : 본체손잡이
520 : 컨테이너손잡이

Claims (9)

  1. 버려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의 중앙에 분리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을 낙하시키는 탈수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리 결합되고, 상기 음식물의 수분과 탈수된 음식물이 수용되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부의 내측으로부터 하측 중앙을 향해 지름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말단으로부터 중앙이 관통된 홀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탈수체결부의 내측에 나선 결합된 내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사부의 일면을 관통하는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분을 낙하할 수 있게 한 통공부를 더 포함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상부 내측면에 나선 결합된 외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부는
    하부의 둘레를 따라 아치형으로 홈을 형성하고, 싱크대의 개수대의 크기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용기부를 상기 싱크대에 설치 시, 상기 음식물의 탈수되는 수분이 상기 개수대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체결부는
    내부가 관통된 관으로 형성된 바디관부; 및
    상기 바디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의 수분을 낙하시키고 상기 음식물을 걸러내는 채반을 더 포함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체결부는 상기 바디관부의 외주면에 요철 또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분리 및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컨테이너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를 생략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본체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외측면에 컨테이너손잡이를 형성한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210029984A 2021-03-08 2021-03-08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241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84A KR102413817B1 (ko) 2021-03-08 2021-03-08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84A KR102413817B1 (ko) 2021-03-08 2021-03-08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817B1 true KR102413817B1 (ko) 2022-06-27

Family

ID=8224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84A KR102413817B1 (ko) 2021-03-08 2021-03-08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8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10U (ko) * 1997-01-08 1998-10-15 신길선 음식물찌꺼기의 물기 제거층
KR200348719Y1 (ko) * 2004-02-09 2004-04-2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포트형 조립식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59240Y1 (ko) 2009-10-29 2012-03-23 조승혁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10U (ko) * 1997-01-08 1998-10-15 신길선 음식물찌꺼기의 물기 제거층
KR200348719Y1 (ko) * 2004-02-09 2004-04-2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포트형 조립식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59240Y1 (ko) 2009-10-29 2012-03-23 조승혁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1756A (en) Vegetable drying apparatus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6079B1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13817B1 (ko) 탈수, 건조 및 보관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0541056B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7899850U (zh) 厨余处理设备
KR100186965B1 (ko) 음식 폐기물 여과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439290Y1 (ko) 보조통을 구비한 야채 세척기
KR200406401Y1 (ko)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10224370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건조 퇴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건조 퇴비화 방법
KR100948962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KR100225389B1 (ko)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328814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08941Y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200409833Y1 (ko) 물기제거와 악취 누출이 방지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통
KR100781109B1 (ko)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별도로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건조기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KR101440841B1 (ko) 음식물폐기물 감량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