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386Y1 -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386Y1
KR200239386Y1 KR2020010009968U KR20010009968U KR200239386Y1 KR 200239386 Y1 KR200239386 Y1 KR 200239386Y1 KR 2020010009968 U KR2020010009968 U KR 2020010009968U KR 20010009968 U KR20010009968 U KR 20010009968U KR 200239386 Y1 KR200239386 Y1 KR 200239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ollow portion
housing
food waste
low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인호
Original Assignee
차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인호 filed Critical 차인호
Priority to KR2020010009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386Y1/ko

Link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주방 또는 식당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된 상태로 분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분리판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중공부 및 하부 중공부을 갖고 상기 하부 중공부의 측벽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개방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면을 통하여 상기 하부 중공부에 수납되는 수납통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공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오폐수에 의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거나 악취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Garbage can for food waste}
본 고안은 가정주방 또는 식당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된 상태로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수분 또는 오폐수에 의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거나 악취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분 또는 오폐수만을 별도로 저장하는 오폐수 저장통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주방 또는 식당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가 일반 쓰레기와 함께 섞이어 쓰레기 처리장에서 폐기처분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토양에 스며들어 지하수 오염 및 악취발생 등의 환경오염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별도로 수거하는 음식물 분리수거작업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분리수거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통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음식물 저장부를 갖고, 상기 음식물 저장부의 하부에는 음식물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음식물 저장부에 음식물을 저장하면, 상기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은 자연적으로 배수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만을 별도로 분리수거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로부터 수분을 완전히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완전한 수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통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인위적으로 압축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강제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함으로써, 악취발생 또는 지하수 오염 등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통 내의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 만을 별도로 수거하여 제거함으로써 지하수 오염 및/또는 악취발생 등과 같은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음식물 수납용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통의 하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오폐수 수납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음식물 쓰레기통
12, 112 : 하우징
14, 114 : 수분 수납통
16, 116 : 상부덮개
18, 118 : 상부뚜껑
20 : 음식물 수납용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통은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분리판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중공부 및 하부 중공부을 갖고 상기 하부 중공부의 측벽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개방측면을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면을 통하여 상기 하부 중공부에 수납되는 수납통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공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0)은 중공형 원통형상의 하우징(12)을 갖는다. 하우징(12)의 중공부는 복수개의 배수공(H)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12c)에 의해 상부 중공부(12a)와 하부 중공부(12b)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부 중공부(12a)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음식물 수납부로 작용하고 하부 중공부(12b)는 상부 중공부(12a)에 수납된 음식물로부터 낙하하는 수분을 저장되는 오폐수 저장통(14)이 수납되는 오폐수 저장부로 작용한다.
하부 중공부(12b)의 일측면의 일부는 절취되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러한 개방측면은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덮개(A)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측면을 통해 하부 중공부(12b)에 수납되는 오폐수 저장통(14)은 그 내부에 저장되는 수분 또는 오폐수의 저장수위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작된다. 즉, 덮개(A)는 오폐수 저장통(14)에 저장되는 수분 또는 오폐수에 의해 야기되는 혐오감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하우징(12)의 상단부에는 상부덮개(16)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덮개(16)의 대략 중앙에는 음식물 투입구가 위치하고, 상기 음식물 투입구는 상부뚜껑(18)에 의해 개폐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2)의 상부 중공부(12a)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중공부(12a)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가 발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 투입구는깔대기 구조로 제작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뚜껑(18)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뚜껑(18)은 끈 또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하우징(12)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 중공부(12b)에 오폐수 저장통(14)이 수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10)에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먼저, 상부뚜껑(18)을 상부덮개(16)로부터 제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덮개(16)의 음식물 투입구를 통해 음식물을 투입한 후 상부뚜껑(18)으로 음식물 투입구를 폐쇄시켜 음식물의 악취가 발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투입된 음식물은 분리판(12c) 상에 축적되고, 축적된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은 분리판(12c)에 형성된 투수공(H)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 하부 중공부(12b)에 수납된 오폐수 저장통(14)에 저장된다.
하부 중공부(12b)의 개방측면을 폐쇄하고 있는 덮개(A)를 열어서 오폐수 저장통(14)에 저장된 수분의 저장레벨을 확인한다. 상기 수분의 저장레벨이 허용높이 이상으로 유지되어 있으면, 오폐수 저장통(14)을 하부 중공부(12b)로부터 인출하여 오폐수 저장통(14)에 저장된 수분을 별도로 처리한 후 다시 오폐수 저장통(14)을 하부 중공부(12b)에 장착하고 덮개(A)를 닫아 하부 중공부(12b)의 개방측면을 폐쇄시킨다.
하부 중공부(12b)로부터 오폐수 저장통(14)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오폐수 저장통(14)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손잡이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음식물 수납부로 작용하는 상부 중공부(12a)에 축적되는 음식물의 양이 허용용량을 초과하면, 상부덮개(16)를 하우징(12)으로부터 제거하여 상부 중공부(12a)에 축적된 음식물을 별도로 폐기처분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중공부(12a)에 축적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폐기처분할 수 있도록 상부 중공부(12a)에는 별도의 음식물 수납용기(20)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음식물 수납용기(20)의 하부면에는 음식물의 수분이 유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음식물 수납용기(20)에 어느 정도의 음식물이 저장되어 있으면, 상부덮개(16)를 하우징(12)으로부터 제거한 후, 음식물 수납용기(20)를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하여 음식물을 별도로 폐기처분한다. 그리고, 음식물 수납용기(20)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은 상기 음식물 수납용기 하부면의 투수공과 분리판(12c)의 투수공(H)을 통과하여 하부 중공부(12b)의 오폐수 저장통(14)에 저장된다.
이러한 음식물 수납용기(20)는 쓰레기봉투와 같은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로 제작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서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기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수납용기의 내부에 축적되는 음식물의 축적량이 허용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일회용 수납용기(20)는 그 상부가 묶여진 상태로 음식물과 함께 폐기처분되므로 새로운 일회용 수납용기(20)를 상부 중공부(12a)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반영구용 수납용기(20)는 그 내부의 음식물만을 폐기처분한 후 다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10)이 도시되어 있고, 이는 덮개(A)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10)과 상이하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통(110)은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분리판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중공부 및 하부 중공부을 갖고 상기 하부 중공부의 측벽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개방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2)과, 하우징(112)의 개방측면을 통하여 상기 하부 중공부에 수납되는 수납통(114)과, 하우징(112)의 상부 중공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116, 11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납통(114)의 외측면은 상기 하부 중공부에 수납되어 하우징(112)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납통(114)에는 상기 하부 중공부의 개방측면을 통해 노출되는 하우징(112)의 절개면에 대응하는 단턱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면이 상기 절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수납통(114)의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의 원호부는 상기 하부 중공부의 내측면에 인접하고, 수납통(114)의 상대적으로 큰 반경의 원호부는 외부에 노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116, 118)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된 개폐수단(16, 18)과 그 작용 및 구성이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비록 하우징(112)의 중공부를 상부 중공부와 하부 중공부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이 도 5 및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분리판이 하우징(112) 내에 내장되어 있고 또한 그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가정주방 또는 식당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분 또는 악취에 의하여 지하수 오염 및/또는 악취발생 등과 같은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4)

  1.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분리판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중공부 및 하부 중공부을 갖고 상기 하부 중공부의 측벽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개방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면을 통하여 상기 하부 중공부에 수납되는 수납통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공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음식물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깔대기 형상의 음식물 투입구가 대략 중앙부위에 위치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상부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공부에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일회용 또는 반영구용 음식물 수납용기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 수납용기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면에는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10009968U 2001-04-10 2001-04-10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39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968U KR200239386Y1 (ko) 2001-04-10 2001-04-10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968U KR200239386Y1 (ko) 2001-04-10 2001-04-10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386Y1 true KR200239386Y1 (ko) 2001-10-11

Family

ID=7306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968U KR200239386Y1 (ko) 2001-04-10 2001-04-10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56B1 (ko) 2006-12-28 2008-01-23 윤대현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56B1 (ko) 2006-12-28 2008-01-23 윤대현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58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239386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88086B1 (ko) 음식물 쓰레기통 뚜껑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0665464B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80871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192950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CN216995974U (zh) 一种防臭型玻璃钢垃圾桶
KR100629420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169738Y1 (ko) 젖은 쓰레기 처리통
KR20150001245U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20030577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CN215438006U (zh) 一种餐厨垃圾干湿分离收纳桶
KR20140101555A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62970Y1 (ko) 오물수거통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200367967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06044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KR20100110426A (ko) 빈농약병과 빈농약봉지 수거함
KR200322543Y1 (ko) 가정용 음식물 찌꺼기 수분 제거 용기
KR20021974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KR19990036345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수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