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473B1 -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473B1
KR100604473B1 KR1020030091223A KR20030091223A KR100604473B1 KR 100604473 B1 KR100604473 B1 KR 100604473B1 KR 1020030091223 A KR1020030091223 A KR 1020030091223A KR 20030091223 A KR20030091223 A KR 20030091223A KR 100604473 B1 KR100604473 B1 KR 10060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llection box
collection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139A (ko
Inventor
전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펜비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펜비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펜비아이에프
Priority to KR102003009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4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바닥면 중앙의 구멍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수거함(10); 상기 구멍에 끼워져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축봉이 돌출 형성된 마개(20); 상기 수거함의 내부 걸림턱에 걸려지며, 양단의 절개홈과 상단에 돌출된 손잡이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플레이트(30);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의 통공을 중심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뚜껑(4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거함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자연 배수에 의해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게 되고, 이렇게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건조로로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수거함의 이동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환경을 깨끗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물기제거, 수거함.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a gather box wetness removal food trash}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거함이 받침대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거함이 받침대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검함을 들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거함 15: 손잡이
20: 마개 22: 패킹
30: 플레이트 32: 절개홈
40: 뚜껑 50: 받침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거함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자연 배수에 의해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게 되고, 이렇게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건조로로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수거함의 이동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환경을 깨끗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전국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는 47,774여 톤, 이 가운데 요즘 일반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31.6%인 15,095톤 이나 된다. 경제 사정이 좋지 않았던 7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음식물 쓰레기는 아예 사회적 관심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80년대 중반부터는 음식물쓰레기가 주택가와 음식업소 등에서 쓰레기통에 마구 버려지고 발생량 자체가 급속도로 늘어감에 따라 환경오염의 큰 원인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생활폐기물의 한 항목으로 설정하여 발생량을 집계하기 시작한 것은‘85년도부터이고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은 ’95년부터이다. 8톤 트럭 2,000여대 분에 해당하는 전국 하루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돈으로 환산하면 국민 총생산량의 4%인 8조원에 달하고 있다. 한편 국민 1인당 쓰레기 배 출량도 46㎏에 달해 일본의 0.37㎏, 독일의 0.27㎏에 비해 20% ∼ 30%가 많은 실정이다. 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이들 음식물 쓰레기중 97.1%는 매립되며,1.8%는 소각, 그리고 나머지 고작 1.1%만이 사료나 퇴비로 처리되고 있을 뿐이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하여 식단개선, 분리수거, 퇴비, 사료로의 재활용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적극적으로 줄여나가는 대책들을 근년에 들어서야 정책을 마련, 시행중에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식단개선, 분리수거는 쓰레기양의 감소 효과는 있으나 그 한계가 있으며, 매립을 통한 처리방법은 많은 양의 침출수를 발생시켜 하천수나 지하수 및 토양을 오염시키며, 또한 악취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지의 사용기간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소각처리 할 경우에는 발열량이 낮고 수분함량이 많아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며, 그에 따른 보조연료의 사용증가, 대기오염의 발생등 소각효율의 저하와 대기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료화나 퇴비화에도 문제점이 많다. 즉,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술이 발전했다고는 해도 한국음식의 자극성, 특히 염분제거의 기술적면에서큰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2차 부산물로 생성되는 퇴비화에는 거의 실패로 돌아가고 있으며, 사료화면에서도 이에 대한 적정여부의 단기적인 효과가 있기는 하겠지만 가축의 성장과 건강문제에 더 큰 문제점이 예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상의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폐기물 관리법상의 근간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1차 현장에서 완전소멸화 할 수 있 는 기술을 개발, 2차 오염으로 인한 여러 가지 폐해를 줄여 나가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종래에는 비닐봉지에 담아 일정한 수거함에 버리거나 또는 채, 망사형 자루 등을 이용하여 자연탈수 또는 기계-기구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리게 되나, 버리는 과정에서 전술한 비닐봉지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후술한 채, 망사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손에 묻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된 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개와 플레이트 그리고 뚜껑이 설치된 수거함을 받침대와 상호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수거함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자연 배수에 의해 물기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이렇게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건조로로 이동하여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수거함의 이동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환경을 깨끗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모아서 버릴 수 있도록 한 수거함에 있어서, 바닥면 중앙의 구멍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수거함; 상기 구멍에 끼워져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축봉이 돌출 형성된 마개; 상기 수거함의 내부 걸림턱에 걸려지며, 양단의 절개홈과 상단에 돌출된 손잡이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의 통공을 중심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뚜껑;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물기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모아서 물기를 제거한 후 건조로에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구성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 중앙의 구멍(12)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13)이 형성되고, 내주면 양측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형성된 수거함(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거함(10)의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1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멍(12)에 끼워져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축봉(21)이 돌출 형성된 마개(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개(20)의 외측 주연부에는 패킹(22)이 설치됨은 물론 마개(20)의 상부는 돌출된 곡면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거함(10)의 내부 걸림턱(14)에 걸려지며, 양단의 절개홈(32)과 상단에 돌출된 손잡이(33)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31)이 형성된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거함(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의 통공(42)을 중심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뚜껑(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뚜껑(40)의 상부 둘레에는 단턱부(43)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검함(10)의 하부에 수거함(10)을 받치는 받침대(50)가 더 구비되되, 이 받침대(50)의 상면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51)이 형성되고, 하부는 다수의 다리(5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검함의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10)의 내부 바닥면에 마개(20)를 설치하되, 이 마개(2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축봉(21)이 구멍(12)에 끼워지게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수거함(10)의 내부에는 플레이트(3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플레이트(30)의 양단에 형성된 절개홈(32)을 걸림턱(14)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33)를 잡고 플레이트(30)를 약간 누른 후 어는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플레이트(30)의 상부 외주면이 걸림턱(14)의 밑면에 위치하게 되어 플레이트(30)가 수거함(10)의 내부에 걸려지게 설치된다. 물론 플레이트(30)를 수거함(10)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작용의 역순으로 동작하면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수거함(10)의 상부에는 뚜껑(40)을 설치한 후 받침대(50)의 상면 에 놓고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방(가정은 물론 업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업소에서 대량으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됨)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뚜껑(40)의 통공(42)을 통해 수거함(10)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뚜껑(40)의 상면은 하향 경사면(41)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듯 통공(42)을 통해 수거함(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고, 상부 단턱부(43)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기가 쉽게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거함(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차곡차곡 쌓이면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물기가 배수공(3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마개(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21)이 받침대(5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거함(1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물이 마개(20)의 상면에 돌출 경사진 면을 타고 흘러내려 수거함(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3)을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받침대(5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51)을 통해 바닥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받침대(50)가 설치된 바닥면의 위치는 하수구 구멍 상부이므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된 물이 최종 하수구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여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수거함(10)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물이 제거되고, 이와 같이 물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로(도면상 미도시 됨)에 넣어 건조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된다. 이때 상기 수거함(10)을 이동하여 건조로에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물은 바닥으로 전혀 떨어지지 않게 되어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50)의 상면에 놓여진 수거함(10)을 들게 되면 수거함(10)의 내부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있던 마개(20)는 자체 중량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마개(20)는 하단에 돌출된 축봉(21)이 구멍(12)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로 작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바닥면으로 하강된 마개(20)는 바닥면의 배수공(13)으로 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마개(20)의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22)은 바닥면에 밀착되어 더욱 물이 배수공(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결국 수거함(10)을 들고 이동하더라도 물이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여 건조로에 투입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한 손은 수거함(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손잡이(11)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수거함(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15)를 잡고 수거함(10)을 기울여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14)에 걸려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수거함(10)을 기울이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만 배출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와 플레이트 그리고 뚜껑 이 설치된 수거함을 받침대와 상호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수거함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자연 배수에 의해 물기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렇게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건조로로 이동하여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수거함의 이동시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환경을 깨끗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모아서 버릴 수 있도록 한 수거함에 있어서,
    바닥면 중앙의 구멍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수거함(10);
    상기 구멍에 끼워져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축봉이 돌출 형성된 마개(20);
    상기 수거함의 내부 걸림턱에 걸려지며, 양단의 절개홈과 상단에 돌출된 손잡이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플레이트(30);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의 통공을 중심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뚜껑(4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1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는 패킹(2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부 둘레에는 단턱부(43)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5.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수검함의 하부에는 수거함을 받치는 받침대(50)가 더 구비되되, 이 받침대의 상면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는 다수의 다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KR1020030091223A 2003-12-15 2003-12-15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KR10060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223A KR100604473B1 (ko) 2003-12-15 2003-12-15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223A KR100604473B1 (ko) 2003-12-15 2003-12-15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24U Division KR200343420Y1 (ko) 2003-12-15 2003-12-15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139A KR20050060139A (ko) 2005-06-22
KR100604473B1 true KR100604473B1 (ko) 2006-07-28

Family

ID=3725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223A KR100604473B1 (ko) 2003-12-15 2003-12-15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90B1 (ko) * 2013-04-30 2014-02-19 이의진 음식물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139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4090C (en) A method for preparing a homogenous cellulosic product from cellulosic waste materials
WO2021129819A1 (zh) 一种餐厨垃圾资源化利用方法和处理系统
KR2012001803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044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KR20170029275A (ko)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43420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JP7250299B2 (ja) 使用済み紙おむつの回収方法
CN111495932A (zh) 一种垃圾处理工艺
CN211077184U (zh) 一种社区垃圾处理装置
CN211839515U (zh) 一种餐厨垃圾资源化处理系统
CN112404092A (zh) 一种垃圾处理方法及处理系统
KR10038357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5589833U (zh) 一种利用垃圾产生清洁剂的垃圾桶
KR101604729B1 (ko) 효율적인 퇴비화를 위한 음식물 종류별 가정용 분리 쓰레기통
KR1011797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JPH11104604A (ja) サイロ型消化塔を用いる生ゴミの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182640Y1 (ko) 음식물 찌꺼기 수거통
KR20170002017U (ko)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JP2005132945A (ja) 廃油類処理方法
CN217962794U (zh) 一种厨余垃圾无害化处理装置
KR200370682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통
CN211866160U (zh) 乡镇城市小区居民点餐厨垃圾集中处理装置
CN107052023B (zh) 城市生活垃圾蒸煮干馏综合分离处理方法
CN106925396A (zh) 一种食物垃圾处理器
BR102022021285A2 (pt) Usina de combustível sólido derivado de resíduos sólidos urban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