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76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765B1
KR101179765B1 KR1020100020071A KR20100020071A KR101179765B1 KR 101179765 B1 KR101179765 B1 KR 101179765B1 KR 1020100020071 A KR1020100020071 A KR 1020100020071A KR 20100020071 A KR20100020071 A KR 20100020071A KR 101179765 B1 KR101179765 B1 KR 10117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ying
food waste
ven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966A (ko
Inventor
천아름
Original Assignee
천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아름 filed Critical 천아름
Priority to KR102010002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76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수거통에 설치되어 수거통에 쌓이는 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통풍구멍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거통 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처리장치로부터 처리물이 투입될 때 처리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묻혀, 처리물 내에 통풍공간을 제공하는 통기부가 포함된 건조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는, 수거통 내에 쌓이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물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수거통이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 수거통을 자주 비우지 않더라도 벌레나 곰팡이나 악취의 발생이 없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Apparatus for inducing drying air into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테면 아파트단지나 식당 또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총 쓰레기 발생량의 30%를 상회할 정도로 그 양이 대단하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의 발생 증가는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각이나 매립 또는 비료화처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소각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로에 투입하여 소각하는 방법이다. 이는 소각과정에서 매우 많은 분진을 발생하고 특히 다이옥신과 같은 인체에 치명적인 공해물질을 배출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매립 방법은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은 물론 매립지로부터 새어나오는 침출수로 인한 토양이나 지하수의 오염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에 비해 상기 비료화처리방법은 소각이나 매립에 비하여 환경부하가 적다는 나름대로의 잇점이 있어, 그동안 여러 종류의 비료화 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비료화 처리장치의 성능이나 종류가 어떻든 간에, 비료화를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악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대도시에서는 운용 할 수 없었다.
한편, 예컨대 아파트의 경우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플라스틱 수거통에 따로 담아 집 바깥에 마련되어 있는 공동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공동 음식물쓰레기통이 없거나 그 위치가 집으로부터 멀 경우에는 귀찮아 다른 일반 쓰레기에 보이지 않게 섞거나 작게 잘라 하수구에 흘려버리기도 한다.
하수구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찌꺼기는 하수관을 통해 해당 지역의 지하수나 하천을 크게 오염시킬 수 있고, 하수관에 쌓인 찌꺼기들은 배수를 불량하게 하여 집중 호우가 내릴 때 하수가 역류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수거통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대부분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11) 하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15)를 통해 내려오는 음식물쓰레기를 받아, 물은 통과시키고 쓰레기는 걸러 분쇄처리하는 동작을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는, 상기 싱크대의 싱크볼(13) 아래에 배치되는 하우징(23)과, 상기 하우징(23) 내에 설치되고 배수구(15)를 통해 하부로 내려온 음식물찌꺼기를 통과시키며 분쇄하고 분쇄된 처리물을 수거통(33)으로 배출하는 처리기(37)와, 상기 수거통(33)에 건조용 공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수거통(33)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배기튜브(2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팬(29)을 포함한다.
상기 팬(29)은 수거통(33)의 악취를 빨아들여 일부는 공기공급튜브(31)를 통해 수거통(33)으로 되돌려 보내고 일부는 배기튜브(25)와 배출관(27)을 거쳐 외부로 완전히 배출한다. 상기 공기공급튜브(31)를 통해 수거통(33)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건조용 공기로서, 수거통(33) 내부에 쌓여있는 처리물(35)을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수거통(33)의 내부에 쌓여있는 처리물(35)은 어느 정도의 습기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는, 수거통(33) 내에 모아진 처리물(35)의 건조효율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공기공급튜브(31)를 통해 수거통(33) 내부로, 건조용 공기를 아무리 공급한다 하더라도, 공급된 공기는, 쌓여있는 상태의 처리물(35) 내부에 도달하지 못하고 고작 처리물(35)의 표면만 스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처리물(35)의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수거통(33)의 내부가 항상 축축하여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바퀴벌레와 같은 각종 해충이나 곰팡이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수거통 내에 쌓이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물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수거통이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 수거통을 자주 비우지 않더라도 벌레나 곰팡이나 악취의 발생이 없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수거통에 설치되어 수거통에 쌓이는 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통풍구멍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거통 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처리장치로부터 처리물이 투입될 때 처리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묻혀 처리물 내에 통풍공간을 제공하며 상단부가 막히고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통기부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통기부를 수거통으로부터 들어 올릴 때 처리물을 받쳐 올리는 베이스부를 갖는 건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통기부의 상단부에는, 통기부를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뿔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유도체에는; 상기 건조망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거통내에 장착되며, 상기 처리장치로부터 투입되는 처리물을 받아 수용하는 통기성 바스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는, 수거통 내에 쌓이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물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수거통이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 수거통을 자주 비우지 않더라도 벌레나 곰팡이나 악취의 발생이 없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수거통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에서의 건조망이 수거통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건조망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에서의 건조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와 다른 형식의 건조망을 도시한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동체에서의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유도체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유도체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수거통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통풍유도체는 상기 수거통(33)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처리물(35)의 내부에 건조용 공기가 도달하도록 통풍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통풍유도체는 건조망과 바스켓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건조망만 별도로 사용할 수 도 있고, 건조망과 바스켓을 동시에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에서의 건조망이 수거통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건조망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풍유도체에서의 건조망(41)은, 대략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베이스부(43)와, 상기 베이스부(43)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뿔형 통기부(45)와, 상기 통기부(45)의 상단에 고정되는 손잡이(47)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베이스부(43)가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지만, 베이스부의 형상이나 넓이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부(43)의 넓이를 수거통(33)의 바닥면적과 비슷하게 하면 통기부(45)를 수거통(33)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쉽다.
또한 상기 통기부(45)는 원뿔의 형태를 취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43)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위치한다. 상기 통기부(45) 하단의 직경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47)는 통기부(45)를 들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손잡이(47)를 손으로 잡아 위로 올리면, 건조망(41)을 가령 수거통(33)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47)의 형태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부(43)와 통기부(45)는 소정 메시(mesh)의 금속망체(41a)로 제작된다. 상기 금속망체(41a)는 베이스부(43)와 통기부(45)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로서 대략 3메시 내지 100메시의 규격을 갖는다. 여러 가지 메시 규격의 금속망체(41a)를 재단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건조망(41)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금속망체(41a) 자체의 메시 규격은 처리물(35)이 통기부(45)의 내부로 침투하지 않을 정도면 충분하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부(43)의 중앙에 원형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통기부(45)의 내부공간을 하부로 개방시킬 수 도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거통(33)의 내부에 건조망(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건조망(41)의 주변에 처리물(35)이 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처리물(35)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된 것으로서 통기부(45)의 주연부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다.
상기 상태에서 팬(도 1의 29)을 가동하여 공기를 하향 공급하면,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통기부(45)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간다. 상기 통기부(45)로 유입한 공기는 바닥까지 도달하여 처리물(35)의 깊숙한 부분과 접하여 처리물(35)의 습기를 낮춘다.
상기 팬(29)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처리물(35)을 통과하여 통기부(45) 내부로 들어가기도 하고, 곧바로 통기부(45) 내로 들어갈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처리물(35) 내부에 빈공간을 제공하는 통기부(45)가 없다면 공기는 처리물(35)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처리물(35)의 표면에 부딪힌 후 반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통기부(45)로 들어간 공기는 처리물(35)내의 습기를 가지고 상기 팬(29)으로 되돌아가 배출된다. 상기한 공기의 흐름이 계속됨에 따라 수거통(33) 내에 쌓여있는 처리물(35)은 외부는 물론 내부로부터 서서히 건조된다.
아울러 도 2에서는 수거통(33)의 내부에 하나의 건조망(41)만을 설치하였지만, 건조망의 적용 갯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건조망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또한 건조망(41)과 더불어 바스켓(도 7의 61)을 함께 설치하면 건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처리물(35)의 건조가 완료된 후 손잡이(47)를 잡아 올리면, 건조된 상태의 처리물은 베이스부(43)에 받쳐진 상태로 따라 올라온다. 상기 과정을 통해 건조된 처리물은 푸석푸석한 상태로서 애초 쌓여있는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에서의 건조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건조망(49)은 금속망체(도 3의 41a)가 아닌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제작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건조망(49)은,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다수의 슬릿형 통풍구멍(51c)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관통구(51a)가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부(51)와, 상기 베이스부(51)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통기부(53)와, 상기 통기부(53)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47)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51)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사각판이다. 상기 베이스부(51)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형 통풍구멍(51c)은, 건조망(49)을 바스켓(61)에 장착했을 때 공기를 위 아래로 소통시키는 통로이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51)의 중앙 상부에는 수나사부(51b)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51b)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갖는 링형부재로서 상기 관통구(51a)를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한다. 상기 수나사산은 통기부(53)의 하단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미도시)와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통기부(53)도 베이스부(51)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통기부(53)는 원뿔의 형태를 취하며 그 하단부가 상기 수나사부(51b)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통기부(53)와 베이스부(51)를 일체로 성형할 수 도 있다.
상기 통기부(53)에도 다수의 통풍구멍(53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풍구멍(53a)은, 가령 팬(도 1의 29)으로부터 공급된 건조용 공기를 통과시켜 건조용 공기를 통기부(53)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통기부(53) 내부로 유입한 공기가 통기부(53)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로이다.
아울러 상기 통기부(53)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55)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통기부(53)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건조망을 도시한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건조망(56)은,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수거통(33)이나 바스켓(61)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부(59)와, 상기 베이스부(59)의 상부 중앙에 결합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통기부(57)와, 상기 통기부(57)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47)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59)와 통기부(57)의 기능은 상기한 다른 예의 건조망과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부(59)는, 일정직경의 관통구(59a)와, 상기 관통구(59a)를 중심으로 하는 다수의 체망고정구(59d)를 갖는 프레임(59c)과, 상기 프레임(59c)의 중앙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수나사부(59b)와, 상기 체망고정구(59d)에 고정되는 체망(57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망고정구(59d)는 관통구멍으로서 상기 관통구(59a)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룬다. 상기 체망고정구(59d)의 형상이나 개수는 경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59b)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링형부재로서 상기 관통구(59a)를 그 중심에 수용한다. 상기 수나사산은 통기부(57) 하단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체망(57b)은 공지의 체(sieve)에 사용되는 그물망으로서 처리물(35)을 받치며 공기는 통과시킨다.
상기 통기부(57)는, 프레임(57a)과, 상기 프레임(57a)에 지지되며 프레임(57a)과 함께 전체적으로 원뿔의 형태를 이루는 체망(57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57a)의 하단부에는 암나사산이 마련되어 베이스부(59)와 결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동체에서의 바스켓(6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바스켓(61)은 도 7이나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건조망(41,49,56)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바스켓(61)은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61d)을 제공하며 그 하부에 받침대(61c)를 갖는다. 상기 받침대(61c)는 바스켓(61)의 저면을 수거통(33)의 바닥면으로부터 띄워 바스켓(61) 하부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스켓(61)은 금속망체(61b)로 제작되어 그 내외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면부호 61a는 바스켓(61)을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유도체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바스켓(61)에 하나의 건조망(41)이 설치된 경우이고, 도 8은 3개의 건조망(41)이 적용된 경우이다. 아울러 도 7 및 도 8에는 도 2에 도시한 타입의 건조망(41)이 적용되어 있지만, 도 4나 도 5에 도시한 건조망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거통(33)의 내부에 바스켓(61)이 안착되어 있고, 바스켓(61) 내에 건조망(41)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스켓(61)의 내부에는 처리물(35)이 쌓여있다. 상기 처리물(35)은 바스켓(61)에 담겨진 상태로 건조망(41)을 부분적으로 덮어 둘러싸고 있다.
상기 상태에서, 가령 팬(도 1의 29)을 동작시켜 수거통(33)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는 수거통(33)과 바스켓(6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해 유동하거나 건조망(41)의 내부로 들어간다. 건조망(41)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특히 건조망(41) 주변의 처리물(35)을 건조시킨다.
또한 상기 수거통(33)과 바스켓(61) 사이로 들어간 공기는 계속적으로 유동하며, 더러는 바스켓(61)의 내부로 들어가 처리물(35)과 접하여 처리물을 건조시킨 후 수거통(33)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바스켓(61)을 적용할 경우 처리물(35)의 건조속도가 현저히 빨라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유도체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수거통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상기 통풍유도체가 바스켓(61)과 건조망(41,49,56)을 조합한 것임은 상기한 바와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거통(33) 내에 설치된 바스켓(61)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7)로부터 배출된 처리물(35)이 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처리물(35)은 습기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서, 상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팬(29)을 동작시키면, 팬(29)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수거통(33)의 내부로 공급되어, 일부는 수거통(33)과 바스켓(61) 사이의 공간으로, 일부는 건조망의 내부로 들어가 처리물(35)을 건조시킨 후 배기튜브(25)와 배출관(27)을 통해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싱크대 13:싱크볼 15:배수구
17: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23:하우징 25:배기튜브
27:배출관 29:팬 31:공기공급튜브
33:수거통 35:처리물 37:처리기
41:건조망 41a:금속망체 43:베이스부
45:통기부 47:손잡이 49:건조망
51:베이스부 51a:관통구 51b:수나사부
51c:통풍구멍 53:통기부 53a:통풍구멍
56:건조망 57:통기부 57a:프레임
57b:체망 59:베이스부 59a:관통구
59b:수나사부 59c:프레임 59d:체망고정구
61:바스켓 61a:손잡이 61b:금속망체
61c:받침대 61d:내부공간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수거통에 설치되어 수거통에 쌓이는 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통풍구멍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거통 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처리장치로부터 처리물이 투입될 때 처리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묻혀 처리물 내에 통풍공간을 제공하며 상단부가 막히고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통기부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통기부를 수거통으로부터 들어 올릴 때 처리물을 받쳐 올리는 베이스부를 갖는 건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의 상단부에는, 통기부를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뿔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5.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유도체에는;
    상기 건조망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거통내에 장착되며, 상기 처리장치로부터 투입되는 처리물을 받아 수용하는 통기성 바스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KR1020100020071A 2010-03-05 2010-03-05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KR10117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71A KR101179765B1 (ko) 2010-03-05 2010-03-05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71A KR101179765B1 (ko) 2010-03-05 2010-03-05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66A KR20110100966A (ko) 2011-09-15
KR101179765B1 true KR101179765B1 (ko) 2012-09-04

Family

ID=4495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071A KR101179765B1 (ko) 2010-03-05 2010-03-05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0344B2 (en) * 2014-06-17 2018-02-13 Hankook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460A (ja) * 2002-10-03 2004-04-2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堆肥化乾燥装置及び堆肥化乾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460A (ja) * 2002-10-03 2004-04-2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堆肥化乾燥装置及び堆肥化乾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66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797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673382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2037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20180265421A1 (en) Composter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8412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포장배출이 가능한 분리수거장치
KR100715273B1 (ko) 주택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5095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착탈식 쓰레기통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CN211111755U (zh) 一种农村户用有机垃圾堆肥箱
KR1006044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KR200343420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제거하는 수거함
KR2009001564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H07324373A (ja) 排水桝
KR200238195Y1 (ko) 음식물쓰레기함볼을 형성한 씽크대상판
KR20120032958A (ko)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KR200496942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보관함
KR970014852A (ko) 음식물 쓰레기 악취소거장치
KR0126403Y1 (ko) 유기물 쓰레기 처리통
TW201628999A (zh) 固態資源回收處理方法
JP2812021B2 (ja) 生ごみ処理装置
MXPA04005069A (es) Aparato de desecho de desperdicio.
AU2011202514B2 (en) Treatment of organic waste
KR200262227Y1 (ko) 절단된 음식물 찌꺼기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