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958A -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958A
KR20120032958A KR1020100094535A KR20100094535A KR20120032958A KR 20120032958 A KR20120032958 A KR 20120032958A KR 1020100094535 A KR1020100094535 A KR 1020100094535A KR 20100094535 A KR20100094535 A KR 20100094535A KR 20120032958 A KR20120032958 A KR 2012003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ousing
food waste
sink
cap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오향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958A/ko
Publication of KR2012003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하강하는 캡 푸셔(cap pusher)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며 교체 가능한 생분해성 소재의 망을 포함하는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건조 과정이 없어짐에 따라 처리 시간을 단축 및 부패에 의한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Net changing type food wast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에서 압착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생분해성 망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에 생분해성 망과 같이 버릴 수 있게 함으로써, 건조 처리 과정이 없는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폐기되거나 단순히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음식물 처리기의 사용이 점점 필요해지는 추세이다.
근래에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점차 증가하는 쓰레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많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용 비닐봉투에 담아서 완전하게 포장한다고 하다라도 침출수가 쓰레기봉투 사이로 누출되거나 쓰레기봉투가 충격에 약해서 터지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나 재배지의 비료로 사용하기 어려운 도시지역에서는 특히 중요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한 다양한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 음식물 처리기는 건조식, 분쇄건조식, 소멸식 음식물 처리기가 있다. 건조식은 온풍 또는 열풍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말리는 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냄새가 나지 않고 부피가 많이 줄어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자주 비워주지 않아도 되지만 건조 처리를 하는 동안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분쇄건조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먼저 분쇄한 후 건조를 진행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부피가 건조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시간이 덜 걸린다. 그러나 분쇄 과정에서 분쇄날이 고장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뼈나 조개껍질 등 딱딱한 쓰레기를 따로 분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소멸식은 미생물 발효 소멸 형식으로 친환경적으로 음식물을 처리하고 전력 소모가 건조방식에 비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악취가 심한 단점이 있다.
이 중 분쇄건조식은 일반 가정에서의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싱크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싱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싱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볼(1),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기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2), 투입부(2)로 투입된 음식물이 이송되는 투입로(3), 투입로(3) 내부의 음식물을 분해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스크류(4), 스크류(4)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5), 스크류(4)에 의해 이송된 음식물에서 이탈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로(8), 분쇄된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부(6) 및 회수함(7),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9),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0)을 포함한다.
스크류(4)는 사선방향으로 날이 형성되어 있어 투입구(2)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이송하도록 작동되고, 모터(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다. 모터(5)의 작동으로 스크류(4)는 회전 운동을 하고, 음식물의 이송과정에서 음식물에 존재하는 수분은 스크류(4) 하단에 구비된 배수로(8)를 통하여 배출된다.
스크류(4)를 통해 분쇄 및 탈수되며 이송된 음식물은 저장부(6)에 수용되고, 이렇게 모인 음식물은 저장부(6)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수함으로 이송되어 사용자가 버릴 수 있게 된다. 저장부(6)의 상부에 위치하는 탈취필터(9)는 악취를 흡수하여 배기구(10) 밖으로 배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스크류(4)에 음식물이 많이 끼게 되고, 이렇게 스크류(4)에 낀 음식물은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오래 남아 있게 된다. 스크류 내에 잔류하는 음식물은 부패가 진행되어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그 악취는 주방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더운 계절에는 파리 등의 해충이 싱크대 주변에 모이거나 각종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하부에 일정한 격자를 지닌 생분해성 메쉬망을 장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처리기 안에서 처리 및 건조되는 시간을 최소화 혹은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 스크류에 잔류하는 음식물이 부패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는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하강하는 캡 푸셔를 장착함으로써,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하강하는 캡 푸셔(cap pusher)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며 교체 가능한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하우징 외주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푸셔는 외주면에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푸셔는 외주면에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푸셔는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한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은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복수의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하우징이 싱크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이 이송되는 이송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하부에 일정한 격자를 지닌 생분해성 메쉬망을 장착함으로써, 건조 과정이 없어짐에 따라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하강하는 캡 푸셔를 장착함으로써, 부패에 의한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가 싱크대에 장착된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및
도 4은 도 3의 일 방향에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처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 설치형 또는 프리스탠딩형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단, 피스톤 구동부의 체적이 커질 경우, 구동부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싱크대 설치형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싱크대 설치형에 적용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처리'라는 용어는 음식물 처리기에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들이 투입되고, 그 부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교반, 분쇄, 건조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지칭한다. 즉, 음식물 처리기에 투입된 쓰레기를 서로 골고루 섞이게 하고, 작은 크기의 입자 형태로 잘게 부수고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 형태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루어져도, 이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로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싱크대와 상기 싱크대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싱크대는 주택 및 아파트 등의 주방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식사 후 음식물을 담았던 그릇 또는 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싱크볼(1), 상기 싱크볼(1)의 중앙부 상단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 상기 투입구(2)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입로(3) 및 상기 투입로(3)의 하부와 연결되어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로(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는 상기 싱크볼(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투입구(2)와 배수로(8) 사이에 위치하며 투입로(3)의 내부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식물 처리기(100)의 상단은 투입구(2)와 연결되고 음식물 처리기(100)의 하단은 배수로(8)의 상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100)는 투입로(3)의 내부에 장착되어 투입구(2)로 들어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처리되어 분리된 수분은 배수로(8)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할 것이다.
음식물 처리기(100)는 원통형의 캡 푸셔(20), 상기 캡 푸셔(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바디(30), 상기 바디(30)의 하부에 형성하는 망(40) 및 상기 바디(3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50)을 포함한다.
캡 푸셔(20)는 원형판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누름부(21), 상기 원형판 부재의 하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주면의 중앙부를 둘러싸는 실링부(22), 상기 외주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3)을 포함한다.
누름부(21)는 캡 푸셔(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타원 및 직선 형상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링부(22)는 캡 푸셔(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캡 푸셔(20)의 회전에 의해 바디(30)의 내부로 하강하는 경우 바디(30)와의 밀착 상태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부재(23)는 상기 캡 푸셔(20)의 외주면 하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 명세상에는 2개의 가이드 부재(23)를 도시하였으나, 용도 및 쓰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캡 푸셔(20)는 바디(30) 상부에 위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30) 내측으로 하강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바디(30)는 중공의 원통형 구조를 지니며, 바디(30)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33), 바디(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4), 바디(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더(36)와 힌지(37) 및 상기 홀더(36)와 힌지(37)를 조절할 수 있는 홀더개폐버튼(35)를 포함한다.
삽입홈(33)은 가이드 부재(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3) 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이드홈(34)은 바디(30)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23)를 안내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삽입홈(33) 및 가이드홈(34)은 가이드 부재(23)의 이동 통로가 되며, 결과적으로는 캡 푸셔(20)가 바디(30) 상부에서부터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바디(30) 내측으로 하강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수직 하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나선형으로 하강하는 경우, 작은 힘으로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에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홀더(36)는 바디(30)의 하부 원주 상에 형성된다.
홀더(36)는 후술되는 망(40)을 바디(3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힌지(37)는 홀더(36)에 형성된다.
또한, 용도 및 쓰임에 따라 힌지(37)의 개수는 복수로 사용이 가능하며, 3개의 힌지(3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홀더개폐버튼(35)은 힌지(37)를 통해 홀더(36)의 개폐를 조절한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처리기(100)에서는 홀더개폐버튼(35)에 의한 수동작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타이머(timer)에 의한 조절, 프로그램에 의한 조절 등의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한 홀더(36)의 조절이 가능함에 유의한다.
망(40)은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하부 및 그 외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망(40)의 격자 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면서 수분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40)은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수준 이상을 수용한 후 함께 버리는 일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망(40)은 수거함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리고 상기 수거함을 세척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이를 위한 생분해성 소재로는 미생물의 체내에 축적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PHB, PHA 등)를 추출하여 제조하는 미생물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에스테르화전분계, 초산셀룰로오스, 키토산/셀룰로오스/전분계, 전분 화학합성 생분해성 플라스틱계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천연물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계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화학합성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생분해성 소재는 분해성, 가공성, 인장강도, 투명도, 가격 등의 차이가 있으므로 용도와 쓰임에 맞게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50)는 바디(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50)를 고정하되 회전 가능한 힌지(51)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잡이(50)는 바디(30)로부터 회전의 구속을 받지 않으므로 투입로(3) 내부에 착탈이 용이하며 투입로(3)에 설치된 경우 바디(30)의 일측으로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으로 인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는 바디(30) 상부에 위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30) 내측으로 하강하는 캡 푸셔(20)를 장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소재의 망(40)을 추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에서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건조 과정이 없어짐에 따라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싱크볼
2 : 투입부
3 : 투입로
4 : 스크류
5 : 모터
6 : 저장부
7 : 회수함
8 : 배수로
9 : 탈취필터
10 : 배기구
20 : 캡 푸셔
21 : 누름부
22 : 실링부
23 : 가이드 부재
30 : 바디
33 : 삽입홈
34 : 가이드홈
35 : 홀더개폐버튼
36 : 홀더
37 : 힌지
40 : 망
50 : 손잡이
51 : 힌지
100 : 음식물 처리기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여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하강하는 캡 푸셔(cap pusher);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위치하며 교체 가능한 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하우징 외주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푸셔는 외주면에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푸셔는 외주면에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푸셔는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한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복수의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로서,
    상기 하우징은 싱크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이 이송되는 이송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 처리기.
KR1020100094535A 2010-09-29 2010-09-29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KR20120032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35A KR20120032958A (ko) 2010-09-29 2010-09-29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35A KR20120032958A (ko) 2010-09-29 2010-09-29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58A true KR20120032958A (ko) 2012-04-06

Family

ID=4613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535A KR20120032958A (ko) 2010-09-29 2010-09-29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9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51Y1 (ko) * 2013-12-27 2014-10-16 이우승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504749B1 (ko) * 2013-01-29 2015-03-23 주식회사 루시 씽크대용 걸름망 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749B1 (ko) * 2013-01-29 2015-03-23 주식회사 루시 씽크대용 걸름망 탈수장치
KR200474751Y1 (ko) * 2013-12-27 2014-10-16 이우승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485533B2 (ja) 台所用食べ物残り生屑処理装置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5310B1 (ko) 씽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986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00000689A (ko) 싱크볼 매입형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32958A (ko)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CN215032235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餐厨垃圾处理装置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700268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15273B1 (ko) 주택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120130376A (ko)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
KR200485115Y1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KR20160004100U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KR100662743B1 (ko)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과립형 처리장치
KR200191297Y1 (ko) 젖은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KR20120026893A (ko) 피스톤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