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059B1 -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059B1
KR101682059B1 KR1020150175401A KR20150175401A KR101682059B1 KR 101682059 B1 KR101682059 B1 KR 101682059B1 KR 1020150175401 A KR1020150175401 A KR 1020150175401A KR 20150175401 A KR20150175401 A KR 20150175401A KR 101682059 B1 KR101682059 B1 KR 10168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blade
module
filter plat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섭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오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장섭 filed Critical 오장섭
Priority to KR102015017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주방용 오물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며 내측에 거름망을 수용하고 일 측에 제1배수관이 연결된 배수통, 배수통 하부에 연결되어 배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모듈, 및 분쇄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분쇄모듈을 통과한 음식물 분쇄물이 유입되는 슬러지통을 포함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하고 보다 손쉽게 처리 가능하다.

Description

주방용 오물처리장치{Kitchen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보다 손쉽게 처리 가능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취식이 가능한 곳이면 어디서든 발생한다. 음식물쓰레기는 식재료로 이루어진 쓰레기로 요리전 발생하는 부산물, 조리 후 남은 음식물, 버려진 잔반, 주방의 식재료 찌꺼기 등을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함유하는 경우가 많아 부패가 쉽고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되며, 악취도 심하여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처리가 요구된다.
음식물쓰레기는 건조하거나 분쇄하여 처리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음식물쓰레기를 그대로 투기하면 부피가 커 운반이 어렵고 부패되어 처리가 곤란해진다. 반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처리하면 부피가 줄고 건조도 빨라 부패도 지연된다. 현재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용기 등에 담아 배출하는 방식이 시행되고 있으나 음식물쓰레기의 건조나 분쇄가 동반되지 않는 한 효과적인 처리방식이라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근래 가정에도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분쇄하여 처리하는 장치의 보급이 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온풍을 이용한 건조기능이나, 교반기능, 분쇄기능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처리 후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사용자는 처리장치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밀봉하여 옥외로 배출하여야 한다.
즉, 종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과 배출과정이 단절되어 있어 불편하였다. 특히, 종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 여러 식재료가 뒤섞인 음식물쓰레기를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하기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 후에도 배출이 불편하였다. 또한, 이로 인해 배출과정에서 쉽게 부패되기도 하였으며,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쓰레기는 배관 등을 배출로로 활용하기 어려워 이를 재차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 가능한 보다 효과적인 처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942호, (2002.03.1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보다 손쉽게 처리 가능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며 내측에 거름망을 수용하고 일 측에 제1배수관이 연결된 배수통; 상기 배수통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모듈; 및 상기 분쇄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모듈을 통과한 음식물 분쇄물이 유입되는 슬러지통을 포함한다.
상기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상기 슬러지통 일 측에 연결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며 하수구에 연결되는 혼합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모듈은, 복수 개의 제1회전날이 중첩되어 제1회전축에 결합된 제1분쇄날, 복수 개의 제2회전날이 중첩되어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날과 상기 제2회전날이 서로 근접하거나 교차하도록 상기 제1분쇄날과 나란히 배치된 제2분쇄날, 및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러지통의 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 분쇄물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된 거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름판은 상면에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을 향해 돌출된 분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돌기는 상기 배출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쇄돌기는 복수 개의 상기 제1회전날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회전날 사이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판은 복수 개의 상기 제1회전날 사이와, 복수 개의 상기 제2회전날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거나,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거름판과 상기 제1분쇄날 사이 또는 상기 거름판관 상기 제2분쇄날 사이의 간격이 상기 배출홀의 직경 또는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거름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의 중첩부를 향하여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쇄모듈의 입구를 밀폐하는 중간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상기 슬러지통의 내측 하면에 상기 제2배수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모듈은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적어도 일부가 복수 개의 상기 제1회전날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회전날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작은 크기로 입자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고 부패 진행을 최대한 억제하여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분쇄되어 작은 크기로 입자화된 음식물쓰레기는 재차 수거할 필요 없이 배관 등을 통해서 매우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로 음식물쓰레기를 구성하는 식재료의 종류나 형상에 관계 없이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를 충분히 작은 크기로 입자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가정의 배관에 결합하거나 주방 등에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로 각 가정에서 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음식물쓰레기를 매우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 중 거름판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거름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쇄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쇄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분쇄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분쇄모듈의 음식물쓰레기 분쇄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거름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거름판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거름판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거름판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거름판과 분쇄날을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처리대상인 주방 오물은 음식물이나 식재료를 포함하는 고형 및 액상의 오물로 실질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동일한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는 이를 음식물쓰레기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주방 오물은 반드시 주방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 역시 주방 이외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는 싱크대(도 2 및 도 3의 A참조)의 배수구에 연결되며 내측에 거름망(110)을 수용하고 일 측에 제1배수관(11)이 연결된 배수통(10), 배수통(10) 하부에 연결되어 배수통(10)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모듈(20), 분쇄모듈(20)의 하부에 위치하여 분쇄모듈(20)을 통과한 음식물 분쇄물이 유입되는 슬러지통(30), 및 슬러지통(30) 일 측에 연결되는 제2배수관(31)과, 제1배수관(11)과 제2배수관(31)을 상호 연결하며 하수구에 연결되는 혼합관(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는 배수통(10), 분쇄모듈(20), 슬러지통(30)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단구조로 이루어지며 혼합관(40)을 통해 하수구에 직접 연결된다.
배수통(10)과 슬러지통(30)은 혼합관(4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투입된 음식물의 수분이나 음식물 분쇄물 중 어느 하나를 하수구로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본 발명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분쇄모듈(20)은 배수통(10) 아래에서 쌍을 이루어 회전하는 분쇄날(제1, 제2 분쇄날-도 3 및 도 4의 210, 220참조)과 분쇄날 하부에 위치하는 거름판(도 3 및 도 4의 230참조)이 상호작용하여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분쇄한다. 특히, 분쇄날과 거름판(230)은 음식물쓰레기의 입자화가 가능한 최적화된 배치구조를 이루어 다양한 식재료가 섞인 음식물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처리된 음식물 분쇄물도 하수구 배관을 활용하여 문제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는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날과 거름판(230)에 의한 분쇄작용으로 미세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부피가 크게 감소되고, 미분화되어 부패도 억제되므로, 하수구 배관 등을 활용하지 않고 수집하여 배출하는 경우에도 매우 유용하다. 즉,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는 반드시 전술한 제2배수관, 및 혼합관 등 관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슬러지통(30)을 관로와 분리하고 슬라이딩 방식 등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방식 등으로 슬러지통(30)에 모인 음식물쓰레기 입자를 수거하여 배출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이하 실시예에서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가 배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예들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이러한 특징 외에도,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이나 작동과정에 있어서의 특징 등 또 다른 특징들이 보다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 작동방식,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과정 등에 대해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배수통(10)은 내부가 빈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수통(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거름망(11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배수통(10)을 변형할 수 있다. 거름망(110) 역시 배수통(10)과 같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거름망(110) 또한 배수통(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배수통(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싱크대(A) 바닥의 배수구(싱크대 바닥의 개구된 부분)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배수통(10)의 일 측에는 제1배수관(11)이 연결된다. 제1배수관(11)은 배수통(10)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배수관(1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10)의 측하방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배수관(11)은 배수통(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된 후 배수통(1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통(10)의 형상이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제1배수관(11)의 직경, 연장방향, 경사도, 형태 등을 적절히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절한 형태의 제1배수관(11)을 형성하여 배수통(10)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킬 수 있다.
배수통(10)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배수통(10) 상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3)와 캡(12)이 차례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밀폐구조를 형성한다. 반면 배수통(10) 하단부는 개구된 분쇄모듈(20)의 하우징(21) 상단부와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의 내부가 용이하게 상호 연통된다. 거름망(110)이 배수통(10) 내부에 수용되면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 사이가 차단되며 거름망(110)이 분리되면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이 상호 연통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거름망(110)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수분만을 배출하거나 음식물쓰레기 자체를 분쇄하여 처리하는 등 본 발명을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거름망(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10)의 내측에 수용된다. 거름망(110)이 배수통(10) 내측에 수용되면 거름망(110)에 의해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 사이가 차단된다. 거름망(110)에는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고형의 음식물쓰레기는 보존되고 수분이나 액상의 물질만이 거름망(110) 외부로 통과된다. 거름망(110)을 통과한 수분이나 액상 물질은 배수통(10)에 연결된 제1배수관(11)을 통해서 하수구로 배출된다. 거름망(110)은 구멍이 다수 형성된 통체나 망체 등 음식물쓰레기를 거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거름망(110)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배수통(10)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110)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덮개(120)가 결합된다. 중간덮개(120)는 분쇄모듈(20)의 입구(즉, 분쇄모듈의 하우징 상부에 형성된 개구된 부분)를 밀폐한다. 중간덮개(120)의 일 측에 결합돌기(121)(도 4의 121참조)를 형성하고 거름망(110) 하부에 결합돌기(121)를 수용하는 삽입공(도 4의 111참조)을 형성하여 거름망(110)과 중간덮개(12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거름망(110)의 하부는 중간덮개(120)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동시에 수분 배출도 용이하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덮개(120)는 분쇄모듈(20)의 하우징(21)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즉, 분쇄모듈의 입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덮개(120)를 이용하여 분쇄모듈(20)을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다. 중간덮개(120)는 분쇄모듈(20) 상부에 결합되어 분쇄모듈(20)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거름망(110) 하부에서 거름망(110)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역할도 한다. 거름망(110)과 중간덮개(1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분리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거름망(110)과 중간덮개(120)가 분리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분쇄하고자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수통(10)을 통해서 분쇄모듈(20)까지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중간덮개(120)는 분쇄모듈(20)에 착탈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쇄모듈(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10)의 하부에 연결된다. 분쇄모듈(20)은 배수통(10)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처리한다. 분쇄모듈(20)은 하우징(21) 내부에 제1분쇄날(도 3의 210참조), 제2분쇄날(도 3의 220참조), 및 거름판(230)이 수용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도 4의 22참조)를 포함한다. 분쇄모듈(20)의 하우징(21)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개구된 상단부는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입구의 역할을 하고 하단부는 분쇄된 음식물이 토출되는 출구의 역할을 한다. 분쇄모듈(20)은 회전하는 분쇄날(제1분쇄날 및 제2분쇄날)과 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독특한 형상의 거름판(230)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분쇄모듈(20)의 구조와 작동과정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슬러지통(30)은 분쇄모듈(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즉,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과, 슬러지통(30)이 상하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다단 구조를 형성한다. 슬러지통(30)은 다단구조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분쇄모듈(20)을 통과한 음식물 분쇄물(즉, 분쇄되어 입자화된 음식물쓰레기)을 유입하고 배출한다. 슬러지통(30)의 일 측에는 제2배수관(31)이 연결되며 유입된 음식물 분쇄물은 슬러지통(30)에 수용되었다가 제2배수관(31)을 통해서 하수구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분쇄모듈(20)의 분쇄작용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입자화하여 슬러지통(30)에 유입한 후 제2배수관(31)을 통해 하수구로 직접 배출한다.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처리가 매우 간편해진다.
슬러지통(30)은 상단부가 개구되며 하단부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다. 슬러지통(30)의 내측 하면에 제2배수관(31)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2)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자중에 의해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이로 인해 분쇄된 음식물들이 제2배수관(31)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된다. 경사면(32)의 경사도, 위치, 형상 등은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경사면(32)의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배수관(11)과 마찬가지로, 제2배수관(31)의 직경, 연장방향, 경사도, 형태 등도 슬러지통(30)의 형상, 크기,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제1배수관(11)과 제2배수관(3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혼합관(40)은 적어도 세 개의 서로 다른 단부를 갖는 분기된 관로 형태로 형성된다. 혼합관(40)은 서로 다른 두 단부가 제1배수관(11) 및 제2배수관(31)에 연결되며 이와 다른 단부는 하수구(미도시)에 연결된다. 즉, 혼합관(40)에 의해 제1배수관(11)과 제2배수관(31)이 함께 하수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배수통(10)으로부터 제1배수관(11)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등이 하수구로 직접 배출되거나, 슬러지통(30)으로부터 제2배수관(31)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물이 하수구로 직접 배출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수구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나 액상물질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관(40)은 이와 같이 제1배수관(11), 제2배수관(31), 및 하수구를 상호 연결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혼합관(40)의 형태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혼합관(40)의 형상을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혼합관(40)은 분기된 관로의 수를 증가시켜 다른 배관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일부를 굴절시켜 U자관 구조, S자관 구조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매우 용이하게 배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분쇄모듈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 중 거름판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거름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쇄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분쇄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분쇄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분쇄모듈의 음식물쓰레기 분쇄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분쇄모듈(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분쇄날(210), 제2분쇄날(220), 및 거름판(230)을 포함하며 이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한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거름판(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배출홀(231)을 포함한다. 배출홀(231)은 슬러지통(도 1 내지 도 4의 30참조)의 입구(슬러지통 상단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음식물 분쇄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기준크기 이상의 분쇄물이 슬러지통(30)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즉, 배출홀(231)에 의해 음식물 분쇄물의 입자크기를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다. 배출홀(231)에 걸려 배출되지 못한 분쇄물은 거름판(230)과 분쇄날 사이에서 유동하면서 재차 분쇄되어 소형화된다. 이를 통해 하수구로 직접 배출 가능한 크기의 작은 분쇄물(입자화된 음식물쓰레기)만이 슬러지통(30)으로 유입된다.
배출홀(231)의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슬릿(Slit) 형상의 배출홀(231)을 형성하거나, 원형으로 개방된 배출홀(231)을 형성하거나 그 밖에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의 배출홀(231)을 형성할 수 있다. 통과 가능한 음식물분쇄물의 크기(즉, 앞서 언급한 기준크기로 하수구의 직경, 용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를 감안하여 배출홀(231)의 직경 또는 너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홀(231)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배출홀(231)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출홀(231)은 제1분쇄날(도7의 210참조)의 제1회전축(도 7의 212참조), 또는 제2분쇄날(도 7의 220참조)의 제2회전축(도 7의 222참조)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1회전축(212)과 제2회전축(222)의 회전방향은 이를 테면, 각각의 회전축과 수직한 가상의 회전면 위에 원형의 고리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향을 따라서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히 연장된 복수 개의 슬릿 형상 배출홀(23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홀(231)의 연장방향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이와 수직한 방향 즉, 제1회전축(212), 또는 제2회전축(22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의 배출홀(231)을 형성할 수도 있다.
거름판(23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거름판(230)은 제1분쇄날(도 7 내지 도 9의 210참조)과 제2분쇄날(도 7 내지 도 9의 220참조)의 중첩부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 제1분쇄날(210) 및 제2분쇄날(220)과 보다 긴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거름판(23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와 연속적으로 연결된 오목한 부분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제1분쇄날(210) 및 제2분쇄날(220)에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거름판(230)의 이와 같은 독특한 구조로 인해 분쇄모듈(20)의 음식물 분쇄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 개의 회전날이 중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분쇄날(210)은 복수 개의 제1회전날(211)이 중첩되어 제1회전축(212)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분쇄날(220)은 복수 개의 제2회전날(221)이 중첩되어 제2회전축(222)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은 제1회전날(211)과 제2회전날(221)이 서로 근접하거나 교차하도록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1회전날(211) 및 제2회전날(221)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주부에 뾰족하게 돌출된 엣지부(211a, 221a) 및 엣지부(211a, 221a)에 연결된 오목부(211b, 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날(211)과 제2회전날(221)의 엣지부(211a, 221a)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오목부(211b, 221b)는 이러한 엣지부(211a, 221a)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날(211)과 제2회전날(2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교차한다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회전날(211) 사이로 복수 개의 제2회전날(2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각 회전날의 단부가 서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해 제1회전날(211)과 제2회전날(221)이 서로 접촉하여 회전날의 사이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보다 용이하게 절단되고 분쇄될 수 있다. 특히,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엣지부(211a, 221a)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한 식재료도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고, 오목부(211b, 221b)를 이용하여 완전히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를 다시 회전날 사이로 운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반복된 분쇄작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쓰레기를 용이하게 입자화할 수 있다.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2)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구동부(22)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2b)와 구동모터(22b)의 회전력을 제1회전축(212) 및 제2회전축(222)에 전달하는 기어부(22a)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22a)는 회전방향을 유지하고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웜기어 등을 활용하거나, 복수 개의 평기어를 결합하여 회전비를 조정하고 회전력을 각 회전축에 상호 분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로써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형태로 구동부(22)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분쇄모듈(20)의 내부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240)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240)은 특히, 제1분쇄날(210) 및 제2분쇄날(2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1회전날(211)과 복수 개의 제2회전날(221)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분사노즐(240)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복수 개의 제1회전날(211)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제2회전날(221) 사이로 돌출되는 빗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240)의 내부에는 각 회전날 사이의 돌출된 부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로(도 8 분사노즐의 점선부분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 돌출된 부분을 통해 물을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관로의 인렛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등을 연결하여 분사노즐(2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관로를 통해 물 대신 세척액을 공급할 수도 있다.
분쇄모듈(20)은 전술한 하우징(도 3 및 도 4의 21참조)의 내부에 상기한 거름판(230), 제1분쇄날(210), 제2분쇄날(220), 및 분사노즐(240)을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로 그 내부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게 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음식물쓰레기 분쇄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B)는 제1분쇄날(210) 및 제2분쇄날(220)의 상부로 투입된다. 음식물쓰레기(B)는 다양한 식재료가 섞인 더미의 형태로 투입되나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분쇄날(210) 및 제2분쇄날(220)에 의해 분쇄된다. 제1분쇄날(210) 및 제2분쇄날(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날(211)과 제2회전날(221)이 서로 교차하거나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B)를 분쇄한다. 제1회전날(211)과 제2회전날(22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술한 엣지부(도 9의 211a, 221a참조)및 오목부(도 9의 211b, 221b참조)를 상호 교차시킨다.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B)가 분쇄되어 입자화된다.
이때, 기준크기 이상의 음식물쓰레기 입자(C)는 배출홀(231)에 의해 걸러져 다시 분쇄된다. 특히, 거름판(230)의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의 중첩부를 향해 상부로 돌출된 부분과 그와 연결된 오목한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날(211)의 단부와 제2회전날(221)의 단부에 밀접하게 위치하여 음식물쓰레기 입자(C)의 보다 효과적인 분쇄를 유도한다(확대도 참조). 즉, 음식물쓰레기(B)는 배출홀(231)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분쇄되지 않는 경우 거름판(230)과 제1회전날(211) 사이, 또는 거름판(230)과 제2회전날(221)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되며 거름판(230)과 회전날 사이의 공간에서 압박되어 회전날에 의해 상기 공간을 통과할 수 있을 때까지 분쇄된다. 이를 위해, 거름판(230)과 제1분쇄날(210) 사이 또는 거름판(230)과 제2분쇄날(220) 사이의 간격은 배출홀(231)의 직경 또는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름판(230)과 회전날의 상호작용으로 음식물쓰레기(B)가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되고 입자화된다. 충분히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입자(C) 즉, 음식물 분쇄물은 배출홀(231)을 통과하여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대량으로 음식물쓰레기(B)가 투입되더라도 이를 매우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분사노즐(240)은 이러한 분쇄과정 동안 물(D) 또는 세척액 등을 분사하여 음식물쓰레기 입자(C)를 회전날 등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이로 인해 더욱 효과적인 분쇄가 가능하다. 분사노즐(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날의 사이로 돌출된 부분을 통해 분쇄날과 거름판(230)을 포함하는 분쇄모듈(20) 내측의 각 부위에 매우 효과적으로 물(D)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240)은 분쇄과정 동안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물(D)이나 세척액 등을 분사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도 1 내지 도 4의 12참조)을 분리하고 배수통(10)을 개방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싱크대(A) 바닥의 배수구 등 개방된 부분에 배수통(10)이 결합되고 혼합관(40)을 통해 하수구(미도시)와 직접 연결된다. 캡(12)만을 분리하는 경우, 배수통(10) 내부에는 거름망(110)이 수용된 상태이며 중간덮개(120)도 덮여있어 분쇄모듈(20)은 밀폐된다.
이러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를 배수통(10)으로 투입하면 고형물은 거름망(110)의 내측에 유지되고 수분 등 액상의 물질만이 거름망(110)의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수분 등은 제1배수관(11) 및 제1배수관(11)에 연결된 혼합관(40)을 통과하여 하수구로 직접 배출된다(화살표 참조). 고형의 식재료가 많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음식물을 처리하거나, 싱크대(A)에서 사용하고 난 생활하수를 배수하거나, 국물 류 등 수분이나 액상의 물질이 대부분인 음식물을 처리는 경우에 이러한 처리방식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도 1 내지 도 4의 12참조)뿐만 아니라 플랜지부(도 3 및 도 4의 13참조)를 함께 분리하고, 거름망(도 12의 110참조)과 중간덮개(120)(도 12의 120참조)를 제거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캡(12), 플랜지부(13), 거름망(110), 및 중간덮개(120)가 제거되면 배수통(10) 상단이 개방되고 동시에 배수통(10)과 분쇄모듈(20)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B) 더미를 배수통(10)으로 투입하여 배수통(10)과 연결된 분쇄모듈(20)까지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투입된 음식물쓰레기(B)는 분쇄모듈(20) 상부로 유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분쇄날(210), 제2분쇄날(220), 및 거름판(230)의 상호작용에 의해 매우 효과적으로 분쇄된다. 분쇄모듈(20)에서 충분히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입자(C)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크기 보다 작아 거름판(230)의 배출홀(231)을 통과하여 슬러지통(30)으로 유입된다. 슬러지통(30)에 유입된 음식물쓰레기 입자(C)들은 경사면(32)을 따라 이동하여 제2배수관(31) 및 제2배수관(31)과 연결된 혼합관(40)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분쇄모듈(20)을 경유하는 또 다른 경로로 음식물쓰레기(B)를 매우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화살표 참조). 분쇄모듈(2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적인 분쇄구조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B)를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하므로 하수구로도 이를 문제 없이 배출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고형분이 많은 음식물이나 모아두었던 음식물쓰레기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이러한 처리방식이 보다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주방용 오물처리장치(1)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나 생활하수 등을 알맞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하수구 등 배관을 통해 이를 직접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거름판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거름판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의 작동도이다.
이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거름판(230-1) 상면에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을 향해 돌출된 분쇄돌기(232)가 형성된다. 분쇄돌기(232)는 배출홀(231)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출홀(231) 마다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분쇄돌기(232)는 예를 들어, 거름판(230-1)의 타공하고 남은 부분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홀(23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개구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배출홀(231)과 분쇄돌기(232)는 이와 다른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분쇄돌기(23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출홀(231) 둘레에 대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쇄돌기(232)는 단부가 뾰족한 웨지(wedg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분쇄돌기(232)는 칼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밖에도 분쇄날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된 분쇄돌기(232)를 형성할 수 있다. 분쇄돌기(232)는 배출홀(231) 둘레에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홀(231)의 둘레가 아닌 부분에 배출홀(231)과 독립적으로 분쇄돌기(23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분쇄돌기(23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판(230-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쇄돌기(232)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분히 분쇄되지 못한(즉, 기준크기보다 큰) 음식물 분쇄물은 배출홀(231)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1분쇄날(210)과 거름판(230-1)의 사이 또는 제2분쇄날(220)과 거름판(230-1)의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의 사이에 배열된 분쇄돌기(232)가 음식물 분쇄물과 접촉하여 음식물쓰레기 입자(C)의 미세화를 촉진하게 된다.
즉, 거름판(230-1) 상부로부터 제1분쇄날(210) 또는 제2분쇄날(220)을 향해 돌출된 분쇄돌기(232)들이 거름판(230-1)에 도달한 음식물쓰레기 입자(C)를 재차 절단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입자(C)가 더욱 미세화되며 배출홀(23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된다. 분쇄돌기(232)의 분쇄작용과 배출홀(231)의 배출작용 사이에 일부 간섭이 있다고 생각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돌기(232)와 독립된 배출홀(231)을 형성하여 불필요한 간섭을 줄이고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거름판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거름판의 정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거름판과 분쇄날을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의 분쇄모듈의 작동도이다.
이하, 역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는 거름판(230-2) 상면에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을 향해 돌출된 분쇄돌기(232)가 형성된다. 특히, 거름판(230-2)은 복수 개의 제1회전날(211) 사이와, 복수 개의 제2회전날(221)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233)를 포함하며, 분쇄돌기(232)는 복수 개의 제1회전날(211)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제2회전날(221) 사이를 따라서 형성된다(도 19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슬릿 형태의 배출홀(231)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배출홀(231)과 분쇄돌기(232)는 역시 이와 다른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돌출부(233)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판(230-2)의 상부에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231)은 이러한 돌출부(233)에 형성되거나 돌출부(233)가 아닌 곳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33)로 인해 거름판(230-2) 상에 서로 높이가 다른 분쇄돌기(232)를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다. 분쇄돌기(232)는 배출홀(231)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배출홀(231)과 독립된 곳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부가 뾰족한 웨지(wedge) 형상, 칼날 형상, 및 그 밖의 분쇄날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분쇄돌기(232)를 변형할 수 있다. 분쇄돌기(232)는 배출홀(231) 둘레에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의 사이로 돌출된 돌출부(233)에 분쇄돌기(232)를 형성하여 회전날(즉 제1회전날 및 제2회전날) 사이를 따라서 분쇄돌기(23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쇄돌기(232)를 이용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분쇄날(210)과 제2분쇄날(220)의 사이에 배열된 분쇄돌기(232)가 음식물 분쇄물과 접촉하여 음식물쓰레기 입자(C)의 미세화를 촉진하며, 거름판(230-2) 상부로부터 제1분쇄날(210) 또는 제2분쇄날(220)을 향해 돌출된 분쇄돌기(232)들이 거름판(230-2)에 도달한 음식물쓰레기 입자(C)를 절단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 특히,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날 사이로 돌출된 돌출부(233)와 돌출부(233)에 형성된 분쇄돌기(23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날이 회전하는 동안 서로 인접한 제1회전날(211)의 사이, 또는 서로 인접한 제2회전날(221)의 사이에 걸린 분쇄물과 보다 용이하게 접촉하여 이를 절단하거나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10: 배수통
11: 제1배수관 12: 캡
13: 플랜지부 20: 분쇄모듈
21: 하우징 22: 구동부
22a: 기어부 22b: 구동모터
30: 슬러지통 31: 제2배수관
32: 경사면 40: 혼합관
110: 거름망 111: 삽입공
120: 중간덮개 121: 결합돌기
210: 제1분쇄날 211: 제1회전날
211a, 221a: 엣지 211b, 221b: 오목부
212: 제1회전축 220: 제2분쇄날
221: 제2회전날 222: 제2회전축
230, 230-1, 230-2: 거름판 231: 배출홀
232: 분쇄돌기 233: 돌출부
240: 분사노즐
A: 싱크대 B: 음식물쓰레기
C: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입자 D: 물

Claims (14)

  1.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며 내측에 거름망을 수용하고 일 측에 제1배수관이 연결된 배수통;
    상기 배수통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모듈; 및
    상기 분쇄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모듈을 통과한 음식물 분쇄물이 유입되는 슬러지통을 포함하되,
    상기 분쇄모듈은,
    복수 개의 제1회전날이 중첩되어 제1회전축에 결합된 제1분쇄날,
    복수 개의 제2회전날이 중첩되어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날과 상기 제2회전날이 서로 근접하거나 교차하도록 상기 제1분쇄날과 나란히 배치된 제2분쇄날, 및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러지통의 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 분쇄물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된 거름판을 포함하고,
    상기 거름판은 상면에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을 향해 돌출된 분쇄돌기를 포함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통 일 측에 연결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며 하수구에 연결되는 혼합관을 더 포함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돌기는 상기 배출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돌기는 복수 개의 상기 제1회전날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회전날 사이를 따라서 형성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은 복수 개의 상기 제1회전날 사이와, 복수 개의 상기 제2회전날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거나,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인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과 상기 제1분쇄날 사이 또는 상기 거름판과 상기 제2분쇄날 사이의 간격이 상기 배출홀의 직경 또는 너비보다 작은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분쇄날과 상기 제2분쇄날의 중첩부를 향하여 상부로 돌출된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쇄모듈의 입구를 밀폐하는 중간덮개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통의 내측 하면에 상기 제2배수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모듈은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적어도 일부가 복수 개의 상기 제1회전날 사이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회전날 사이로 돌출되는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1020150175401A 2015-12-09 2015-12-09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10168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401A KR101682059B1 (ko) 2015-12-09 2015-12-09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401A KR101682059B1 (ko) 2015-12-09 2015-12-09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059B1 true KR101682059B1 (ko) 2016-12-12

Family

ID=5757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401A KR101682059B1 (ko) 2015-12-09 2015-12-09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64B1 (ko) * 2017-09-27 2018-07-13 (주)더존코리아 슬러지 탈리 기능을 갖는 펌프 흡입장치
CN109954746A (zh) * 2019-04-11 2019-07-02 孙元盛 一种医疗废弃物处理装置
KR102222252B1 (ko) * 2020-10-06 2021-03-04 김윤철 음식물 쓰레기 이송 및 분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61Y1 (ko) * 1995-08-18 1998-09-15 우종섭 착즙기
KR200267942Y1 (ko) 2001-08-02 2002-03-13 이준혁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6409Y1 (ko) * 2010-03-03 2011-10-28 가루기술주식회사 경량 잡고체 폐기물 분쇄기
KR101340918B1 (ko) * 2012-08-02 2013-12-13 (주)주원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65033B1 (ko) * 2013-03-27 2014-02-20 김재우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61Y1 (ko) * 1995-08-18 1998-09-15 우종섭 착즙기
KR200267942Y1 (ko) 2001-08-02 2002-03-13 이준혁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6409Y1 (ko) * 2010-03-03 2011-10-28 가루기술주식회사 경량 잡고체 폐기물 분쇄기
KR101340918B1 (ko) * 2012-08-02 2013-12-13 (주)주원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65033B1 (ko) * 2013-03-27 2014-02-20 김재우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64B1 (ko) * 2017-09-27 2018-07-13 (주)더존코리아 슬러지 탈리 기능을 갖는 펌프 흡입장치
WO2019066144A1 (ko) * 2017-09-27 2019-04-04 (주)더존코리아 슬러지 탈리 기능을 갖는 펌프 흡입장치
CN109954746A (zh) * 2019-04-11 2019-07-02 孙元盛 一种医疗废弃物处理装置
KR102222252B1 (ko) * 2020-10-06 2021-03-04 김윤철 음식물 쓰레기 이송 및 분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940903B1 (ko) 개수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101202272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20150048021A1 (en) Separation devices for processing waste foods disposed of via sinks
KR102244898B1 (ko) 유성기어를 이용한 음식물 감량 처리장치
KR20170045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5033B1 (ko)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KR1016801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583279B1 (ko)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20844A (ko) 음식물 분쇄기용 커버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388560B1 (ko) 요리 폐수와 설거지 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94364B1 (ko)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15047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200245093Y1 (ko) 음식물쓰레기분쇄장치
KR101463574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소멸장치
KR101484686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