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686B1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4686B1 KR101484686B1 KR20130102229A KR20130102229A KR101484686B1 KR 101484686 B1 KR101484686 B1 KR 101484686B1 KR 20130102229 A KR20130102229 A KR 20130102229A KR 20130102229 A KR20130102229 A KR 20130102229A KR 101484686 B1 KR101484686 B1 KR 101484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food
- drying
- crush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을 배출시킨 상태로 분쇄하고, 음식쓰레기에 물을 분사하면서 분쇄하며,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작동을 일시정지 시키고, 설정된 시간동안에 음식쓰레기를 분쇄되게 하며, 건조부재가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서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을 배출시킨 상태로 분쇄하고, 음식쓰레기에 물을 분사하면서 분쇄하며,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작동을 일시정지 시키고, 설정된 시간동안에 음식쓰레기를 분쇄되게 하며, 건조부재가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서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의 음식물 조리대에는 싱크대(세정대)가 설치된다. 싱크대의 상부에는 배수통이 형성되고, 배수통의 하부에는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를 통해 하수구가 연결된다.
음식쓰레기의 처리는 위생적이고도 효율적인 처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음식쓰레기의 분쇄처리 및 탈수처리를 병행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처리절차를 수행하는 기존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를 통해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2)와 분쇄기(2)로부터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3)를 포함하여 음식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처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일예로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분쇄기(2)를 지나 탈수기(3)를 거친 음식쓰레기는 적재통(4)에 적재되고 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배출호스(5)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기와 탈수기가 각각 독립된 장치로 나뉘어져 있어 단순히 대량의 음식쓰레기를 처리한다는 측면에 있어서는 그 나름대로 효과적이라고 볼 수는 있겠으나, 음식쓰레기에서 염분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분쇄됨에 따라 재활용되지 못하고 쓰레기로만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건조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서 장시간이 지나는 경우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특허공개번호 10-2003-0042158(2003.05.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을 배출시킨 상태로 분쇄하고, 음식쓰레기에 물을 분사하면서 분쇄하며,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작동을 일시정지 시키고, 설정된 시간동안에 음식쓰레기를 분쇄되게 하며, 건조부재가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서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홀(2)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홀(110)이 일측에 형성되고, 분쇄부재(1000)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통(130)과,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배수통(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통(130)을 싱크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링(140)과, 고정링(140)의 테두리에 걸쳐져서 배수통(130)에 수용된 상태로 싱크대(1)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거름망(150) 및 배수통(130)의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폐쇄하는 뚜껑(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수통(130)은 상부내주면에 암나사산(131)이 형성되고, 고정링(140)은 싱크대(1)의 배수홀(2)에 걸쳐지도록 상단의 테두리에 외향플랜지(17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배수통(130)의 암나사산(131)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141)이 형성되며, 고정링(140)은 상단의 테두리에 거름망(150)이 걸리도록 내향플랜지(180)가 형성되고, 내향플랜지(180)의 내측 테두리에 배수홈(19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스위칭동작되는 작동스위치(121)와, 작동스위치(121)에 자력을 제공하도록 뚜껑(160)에 설치되는 자석(161) 및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여 소정시간동안 분쇄부재(100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200)는 카운팅시간을 설정하는 카운팅시간설정부(210)와, 작동스위치(121)가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부(220)와,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면 카운팅시간설정부(210)에서 설정된 카운팅시간동안 카운팅하고,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면 카운팅을 중단하는 카운팅부(230) 및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면 카운팅부(230)의 카운팅시간동안 분쇄부재(10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고,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면 분쇄부재(10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작동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200)는 카운팅시간설정부(210)를 통해 카운팅시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카운팅을 중단한 카운팅부(230)가 잔여카운팅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조작하고, 분쇄부재(1000)의 전원을 차단한 작동부(240)가 다시 전원을 인가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쇄부재(1000)는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수용공간(10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1020)와, 분산부재(10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1030)과, 고정칼(10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10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1040)와, 회전칼(10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10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1050) 및 타공판(1050)과 고정칼(10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1040)와 분산부재(1020)에 키결합된 회전축(10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칼(1040)은 중앙에 키홀(1041)이 형성되는 회전몸체(1042) 및 회전몸체(104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고정칼(103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고정칼(1030)의 외측을 관통하는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회전칼날(1043)을 포함하며, 회전칼날(1043)은 고정칼(103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면(1044)과, 상부면(104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타공판(1050)으로 가압하여서 으깨는 가압면(1045) 및 가압면(1045)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공판(1050)에 접촉되는 하부면(10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공판(105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에 키결합되어, 타공판(1050)을 관통하여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에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1070)를 더 포함하며, 배출부재(1070)는 중앙에 키홀(1071)이 형성되는 배출몸체(1072) 및 배출몸체(107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배출몸체(1072)와 함께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날개(1073)를 포함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은 하부에서 일측에 배출구(1012)가 형성되며, 배출날개(1073)는 탄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건조부재(5000)는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5110)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건조통(5100)과, 건조통(5100)의 수용공간(5110)을 상하로 분할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건조하며, 건조된 음식쓰레기가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5211)이 형성되는 히터부재(5200)와, 히터부재(5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가열되면서 건조되는 음식쓰레기를 외측으로 분산시키도록 정회전되고, 분산되어서 건조된 음식쓰레기를 내측으로 모아서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역회전되는 분산/모집부재(5300) 및 분산/모집부재(5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부재(5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히터부재(5200)는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는 히터판(5210) 및 히터판(5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선(5220)을 포함하며, 히터판(5210)은 원판형태이면서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음식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홀(5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산/모집부재(5300)는 중앙에 키홀(5311)이 형성되는 분산몸체(5310)와, 분산몸체(53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면서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분산날개(5320) 및 분산날개(5320)의 상부에 근접되도록 건조통(5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저지날개(5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건조통(5100)은 상부로 개구된 수용공간(5110)을 덮어서 폐쇄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상판(5150)을 더 포함하며, 상판(5150)에는 탈수부재(3000)에 연통되어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상부연통홀(5153)이 형성되고, 건조부재(5000)에 연통되어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상부투입홀(5152)이 형성되어, 상부투입홀(5152)과 상부연통홀(5153)은 이송부재(4000)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건조통(510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부재(5400)의 구동에 의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재(5500)를 더 포함하며, 교반부재(5500)는 중앙에 키홀(5511)이 형성되는 교반몸체(5510)와, 교반몸체(55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는 교반날개(5520) 및 교반날개(5520)의 상부에 근접되면서 건조통(5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저지샤프트(5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분쇄부재(1000)와 탈수부재(3000)와 이송부재(4000) 및 건조부재(5000)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서 설치되는 본체케이스(6000)를 더 포함하며, 본체케이스(6000)는 탈수부재(3000)의 하부로 배수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6100)이 형성되고, 드레인(6100)으로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모여지도록 구배(6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부재가 싱크대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와 세정수가 함께 버려져도 세정수는 배출시키고 음식쓰레기만 따로 분리하여서 분쇄할 수 있으므로, 음식쓰레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음식쓰레기에 물을 분사하면서 분쇄하여 염분의 함유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동물사료나 작물의 비료로 재활용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가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작동을 일시정지 시켜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에 음식쓰레기를 분쇄되게 할 수 있어서, 에너지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건조부재가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서 수분을 증발시키고, 수분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공기를 제공하여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포집부재와 분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트롤러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쇄부재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분쇄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탈수부재와 이송부재 및 건조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조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건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건조부재의 단면도.
도 13은 건조부재의 분산날개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건조부재의 분산날개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개폐부재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6은 개폐부재의 개폐판이 건조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17은 개폐부재의 개폐판이 건조배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포집부재와 분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트롤러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쇄부재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분쇄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탈수부재와 이송부재 및 건조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조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건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건조부재의 단면도.
도 13은 건조부재의 분산날개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건조부재의 분산날개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개폐부재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6은 개폐부재의 개폐판이 건조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17은 개폐부재의 개폐판이 건조배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홀(2)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홀(110)이 일측에 형성되고, 분쇄부재(1000)의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통(130)과,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배수통(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통(130)을 싱크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링(140)과, 고정링(140)의 테두리에 걸쳐져서 배수통(130)에 수용된 상태로 싱크대(1)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거름망(150) 및 배수통(130)의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폐쇄하는 뚜껑(160)을 포함한다.
배수통(130)은 상부내주면에 암나사산(131)이 형성되고, 싱크대(1)의 측방으로 배출되는 수분이 유입되도록 타측에 수분유입홀(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통(130)은 하단이 전술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이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수용공간(1011)에 연통된다. 즉, 뚜껑(160)이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개방하면 음식쓰레기가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으로 수용될 수 있다.
고정링(140)은 싱크대(1)의 배수홀(2)에 걸쳐지도록 상단의 테두리에 외향플랜지(17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배수통(130)의 암나사산(131)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산(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링(140)은 상단의 테두리에 거름망(150)이 걸리도록 내향플랜지(180)가 형성되고, 내향플랜지(180)의 내측 테두리에 배수홈(190)이 형성된다.
거름망(150)은 상부가 개구되면서 내부에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도록 용기형태이면서 수분이 관통되는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고정링(140)의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상부의 테두리에 걸림플랜지(151)가 형성된다.
여기서, 거름망(150)의 걸림플랜지(151)는 고정링(140)의 내향플랜지(180)에 걸려도 배수홈(190)이 걸림플랜지(151)에 의해 커버되어서 폐쇄되지 않으므로, 싱크대(1)에 버려지는 물이 배수홈(190)을 통해 배수통(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싱크대(1)에는 물이 남지 않게 된다. 특히, 싱크대(1)에서 설거지를 하는 과정에서 김치나 김칫국물이 포함된 음식쓰레기가 거름망(150)에 걸러지는 경우, 김치나 김칫국물에 포함된 고춧가루가 거름망(150)을 막게 되어서 김칫국물이나 설거지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세정수가 거름망(150)을 통해 배수되지 못하면서 배수홈(190)을 통해 배수통(130)으로 유입되게 된다. 즉, 고춧가루가 거름망(150)을 막아도 김칫국물이나 세정수가 배수통(130)으로 유입되어서 수분배출홀(110)을 통해 하수관(미도시)으로 배출될 수 있다.
뚜껑(160)은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폐쇄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통해 음식쓰레기의 악취를 차단한다. 또한, 뚜껑(160)은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상부로 볼록한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뚜껑(160)에 의해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이 폐쇄된 상태에서 배수통(130)에 물이 투입되어도 뚜껑(160)의 상부에서 흘러내려서 고이지 않으면서 배수통(130)의 하부에서 수분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수통(130)에는 김칫국물이나 세정수가 남지 않게 되므로 배수통(130)의 오염과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160)이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폐쇄한 상태에서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 재료를 손질하거나 설거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와 함께 세정수가 싱크대(1)에 버려지게 된다. 이때, 음식쓰레기와 세정수가 싱크대(1)의 배수홀(2)을 통해 배출되면서 세정수는 거름망(150)을 통과하여 배수통(130)에 유입되면서 음식쓰레기는 거름망(150)에 걸러지게 된다. 이어서, 세정수가 배수통(130)에 유입되면서 수분배출홀(110)을 통해 배출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배수통(130)에서 거름망(150)을 분리시키면서 뚜껑(160)을 제거하여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개방한 후에 거름망(150)의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투입홀(120)에 투입시킨다. 이때, 음식쓰레기투입홀(120)에 투입되는 음식쓰레기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에 투입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전술한 회전부재(1060)를 작동시켜서 회전축(1061)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에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분쇄한다. 여기서, 세정수와 함께 음식쓰레기가 버려짐에 따라 세정수가 거름망(150)을 통해 배출되면서 음식쓰레기는 모여지게 되므로, 세정수의 배출시 음식쓰레기에 포함되었던 염분도 함께 배출된다. 즉, 음식쓰레기는 염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분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쇄된 음식쓰레기는 전술한 배출부재(1070)에 의해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배출구(10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서 별도로 마련된 수집통(미도시)에 모여져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스위칭동작되는 작동스위치(121)와, 작동스위치(121)에 자력을 제공하도록 뚜껑(160)에 설치되는 자석(161) 및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여 소정시간동안 분쇄부재(100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200)를 더 포함한다.
작동스위치(121)는 음식쓰레기투입홀(120) 테두리의 하부에 설치되고, 습기에 의해 오작동되지 않도록 습기가 침투를 방지하는 비닐이나 고무로 감싸진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161)은 뚜껑(160)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즉, 자석(161)은 음식쓰레기투입홀(120) 테두리의 하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121)에 용이하게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카운팅시간을 설정하는 카운팅시간설정부(210)와, 작동스위치(121)가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부(220)와,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면 카운팅시간설정부(210)에서 설정된 카운팅시간동안 카운팅하고,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면 카운팅을 중단하는 카운팅부(230) 및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면 카운팅부(230)의 카운팅시간동안 분쇄부재(1000)의 회전부재(106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고,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면 분쇄부재(1000)의 회전부재(106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작동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20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된 PC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운팅시간설정부(210)를 통해 카운팅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뚜껑(160)을 열어서 음식쓰레기를 투입시킨 후에 뚜껑(160)을 닫으면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 되므로, 카운팅부(230)의 카운팅시간동안 컨트롤러(200)의 작동부(240)부가 회전부재(1060)를 작동시킨다.
이때, 작동부(240)가 회전부재(1060)를 작동시키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160)을 열면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므로, 작동부(240)가 회전부재(1060)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시킨다. 즉, 사용자는 뚜껑(160)을 개방함에 따라 분산부재(1020)와 회전칼(1040)이 정지되므로 안전하게 추가로 음식쓰레기를 더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카운팅시간설정부(210)를 통해 카운팅시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카운팅을 중단한 카운팅부(230)가 잔여카운팅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조작하고, 분쇄부재(1000)의 회전부재(106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작동부(240)가 다시 전원을 인가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25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부(250)의 조작에 의해 뚜껑(160)이 열렸다 닫혀도 설정된 카운팅시간동안 회전부재(1060)가 계속 작동될 수 있어서, 추가로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잔여카운팅시간동안 분쇄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재(1000)는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수용공간(10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1020)와, 분산부재(10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1030)과, 고정칼(10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10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1040)와, 회전칼(10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10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1050) 및 타공판(1050)과 고정칼(10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1040)와 분산부재(1020)에 키결합된 회전축(10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060)을 포함한다.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수용공간(1011)에 수용된 음식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12)가 하부에서 일측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고정돌기(1013)가 형성된다. 또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은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노즐(1015)이 설치된다. 이러한, 물분사노즐(1015)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에서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 물을 공급하므로 음식쓰레기가 용이하게 분쇄될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음식쓰레기의 분쇄가 완료된 후에 물을 분사하여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을 청소할 수도 있다.
분산부재(102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대략 "U"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이 키결합되는 키홀(10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산부재(1020)는 회전부재(106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에 수용된 음식쓰레기를 분산시켜서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칼(1030)은 장방형의 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부분에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이 관통되는 관통홀(1031)이 형성되고, 양단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고정돌기(1013)에 끼워지는 고정홈(1032)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1031)은 내주면이 회전축(1061)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축(10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칼(1030)은 장방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측으로 음식쓰레기가 통과될 수 있고, 양단의 고정홈(1032)이 고정돌기(1013)에 끼워져서 고정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칼(1040)와 상호작용하여서 외측으로 통과되는 음식쓰레기가 절단되게 한다.
회전칼(1040)은 중앙에 키홀(1041)이 형성되는 회전몸체(1042) 및 회전몸체(104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고정칼(103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고정칼(1030)의 외측을 관통하는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회전칼날(1043)을 포함한다.
회전칼날(1043)은 고정칼(103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면(1044)과, 상부면(104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타공판(1050)으로 가압하여서 으깨는 가압면(1045) 및 가압면(1045)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공판(1050)에 접촉되는 하부면(104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면(1044)에서 가압면(1045)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회전칼날(1043)의 상부의 끝단이 날카롭게 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이 회전몸체(1042)의 키홀(1041)에 키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면, 회전칼날(1043)이 고정칼(1030)의 저면과 타공판(1050)의 상면에 상부면(1044)과 하부면(1046)이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절단한다. 이때, 절단된 음식쓰레기가 가압면(1045)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타공판(1050)의 상부에서 가압되면서 으깨지는 상태로 타공판(1050)을 통과하게 된다. 즉, 회전칼날(1043)은 고정칼(1030)과 타공판(1050)의 사이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어 고정칼(1030)과 가위운동식으로 스쳐지나면서 음식쓰레기를 절단하고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으깬다.
타공판(1050)은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테두리가 근접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부분에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이 관통되는 관통홀(1051)이 형성되고, 양측에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고정돌기(1013)에 끼워지는 고정홈(1052)이 형성되며, 절단된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타공홀(1053)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1051)은 내주면이 회전축(1061)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축(1061)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칼(1040)에 의해 절단되면서 으깨진 음식쓰레기가 타공홀(1053)을 통과하여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에 쌓여서 모여지게 된다.
회전부재(1060)는 회전축(1061)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061)이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분산부재(1020)의 키홀(1021)과 회전칼(1040)의 키홀(1041)에 키결합되므로 회전축(1061)의 회전에 의해 분산부재(1020)와 회전칼(1040)이 동시에 회전된다. 즉, 음식쓰레기가 분산되면서 절단되므로 미세한 크기로 용이하게 분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061)는 상단에 볼트가 나사결합 되도록 나사홀(1062)이 형성된다. 즉, 볼트가 회전축(1061)의 나사홀(1062)에 결합됨에 따라 분산부재(1020)와 회전칼(1040)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판(105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에 키결합되어, 타공판(1050)을 관통하여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에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1070)를 더 포함한다.
배출부재(1070)는 중앙에 키홀(1071)이 형성되는 배출몸체(1072) 및 배출몸체(107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배출몸체(1072)와 함께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날개(1073)를 포함한다.
배출몸체(1072)는 상부로 뾰족한 콘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측에 삽입홈(1074)이 형성된다. 즉, 배출몸체(1072)는 상부에 음식쓰레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날개(1073)는 배출몸체(1072)의 삽입홈(1074)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삽입돌기(1075)가 형성되고, 삽입돌기(1075)측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타공판(1050)을 관통한 음식쓰레기가 배출몸체(1072)의 상부에 쌓이지 않고 배출날개(1073)의 상단에 걸쳐지지 않으면서 배출날개(1073)의 일측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배출날개(1073)는 배출몸체(1072)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및 청소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날개(1073)는 탄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에 형성된 배출구(1012)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배출날개(1073)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배출몸체(1072)의 외주면에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까지의 길이(D1)보다 큰 길이(D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출날개(1073)는 삽입돌기(1075)가 삽입홈(1074)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끝단이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휘어지게 된다. 휘어진 상태의 배출날개(1073)가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과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에 키결합된 배출몸체(1072)와 함께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배출날개(1073)가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배출구(1012)에 위치되면 휘어진 상태에서 강하게 펴지면서 음식쓰레기를 배출구(1012)로 튕기듯이 밀어서 배출시킨다.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부재(3000)는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는 탈수투입홀(301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외측으로 배출하는 타공관(3010)과, 타공관(3010)이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타공관(3010)을 통해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탈수케이스(3020)와, 탈수케이스(3020)의 바닥을 상부로 관통하여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수모터축(3031)을 회전시키는 탈수모터(3030)와, 탈수모터(3030)의 탈수모터축(3031)에 축결합된 상태로 타공관(301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탈수모터(3030)의 구동에 의해 탈수모터축(3031)과 함께 회전되어서 탈수투입홀(3011)을 통해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상승시키는 스크류(3040)와, 타공관(30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스크류(3040)에 의해 상승되는 음식쓰레기의 상승을 안내하는 안내관(3050) 및 안내관(3050)의 상단에 마련되어 스크류(3040)에 의해 상승되는 음식쓰레기가 가압되어 수분을 하부로 배출시키면서 상부로 토출되는 토출판(3060)을 포함한다.
타공관(3010)은 외주면에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다. 즉, 타공관(3010)의 외측을 통해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배출된다.
탈수케이스(3020)는 타공관(3010)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서 일측으로 관통되게 탈수홀(3021)이 형성되며, 바닥면(3022)의 중앙이 상부를 향해 배나오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면(3022)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타공관(3010)을 통해 배출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상부로 볼록한 바닥면(3022)에 의해 탈수홀(3021)로 용이하게 안내되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탈수홀(3021)에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하수관으로 배수시키는 관이 연결될 수 있다.
탈수모터(3030)는 탈수케이스(3020)의 하부에 위치된다.
스크류(3040)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게 형성된다.
안내관(305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게 형성되어 하광상협의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크류(3040)와 안내관(3050)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스크류(3040)의 외측단이 안내관(3050)의 내주면에 근접되게 되므로, 스크류(3040)에 의해 상승되는 음식쓰레기가 안내관(3050)의 내측에서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다.
토출판(3060)은 토출홀(3061)이 형성된다. 즉, 수분이 배출된 음식쓰레기가 스크류(3040)에 의해 가압되면서 토출홀(3061)을 통해 상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토출판(3060)은 토출홀(3061)이 후술되는 상판(5150)의 상부연통홀(5153)과 연통되는 상태에서 볼팅으로 상판(5150)에 고정된다.
따라서, 탈수부재(3000)는 탈수투입홀(3011)을 통해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스크류(3040)가 회전되어서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상승시킨다. 이때, 안내관(3050)과 토출판(3060)에 의해 음식쓰레기가 가압되면서 토출판(3060)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고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스크류(3040)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타공관(301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수분이 탈수케이스(3020)의 하부에 모여지면서 탈수홀(30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분쇄부재(1000)와 탈수부재(3000)와 이송부재(4000) 및 건조부재(5000)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서 설치되는 본체케이스(6000)를 더 포함한다. 본체케이스(6000)는 탈수부재(3000)의 하부로 배수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6100)이 형성되고, 드레인(6100)으로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모여지도록 구배(6200)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케이스(6000)에는 싱크대(1)에 고정된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가 분쇄부재(1000)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고,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5150)에 의해 분쇄부재(1000)와 탈수부재(3000)와 이송부재(4000) 및 건조부재(500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음식쓰레기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를 통해 포집되어 분쇄부재(1000)에 투입되어서 분쇄되면서 탈수부재(3000)로 이동되고,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되면서 상승됨에 따라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되어서 건조부재(5000)로 투입되며,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건조부재(5000)에서 건조된다. 즉, 음식쓰레기는 전술한 과정을 거쳐서 되어서 분쇄되면서 건조되어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600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6300)이 일측에 형성되고, 공기유입홀(630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홀(6400)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유입홀(6300)에는 벌레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타공망(미도시)이 설치되고, 공기배출홀(6400)에는 실외에 설치되는 공기배출용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재(4000)는 내부공간이 하부의 양측으로 각기 개방되는 이송케이스(4010)와, 이송케이스(40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이송모터축(4021)을 회전시키는 이송모터(4020) 및 이송모터(4020)의 이송모터축(4021)에 결합된 상태로 이송모터축(4021)과 함께 회전되어서, 이송케이스(4010)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투입되는 음식쓰레기를 이송케이스(4010)의 하부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4030)를 포함한다.
이송케이스(4010)는 내부에서 아래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캡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케이스(4010)는 볼팅으로 후술되는 상판(5150)에 고정된다. 이때, 이송케이스(4010)는 상판(5150)의 상부투입홀(5152)과 상부연통홀(5153)을 덮어서 커버하는 상태로 상판(5150)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판(5150)의 상부연통홀(5153)과 토출판(3060)의 토출홀(3061)이 연통된다.
따라서, 토출판(3060)의 토출홀(3061)을 통해 음식쓰레기가 토출되어서 상부연통홀(5153)을 통해 이송케이스(4010)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이때, 이송모터(4020)의 구동에 의해 이송날개(4030)가 회전되면서 상부연통홀(5153)을 통해 투입되는 음식쓰레기를 상부투입홀(5152)로 투입시킨다. 즉, 탈수부재(3000)에 의해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건조통(5100)으로 바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재(5000)는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5110)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건조통(5100)과, 건조통(5100)의 수용공간(5110)을 상하로 분할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건조하며, 건조된 음식쓰레기가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5211)이 형성되는 히터부재(5200)와, 히터부재(5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가열되면서 건조되는 음식쓰레기를 외측으로 분산시키도록 정회전되고, 분산되어서 건조된 음식쓰레기를 내측으로 모아서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역회전되는 분산/모집부재(5300) 및 분산/모집부재(5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부재(5400)를 포함한다.
건조통(510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에 음식쓰레기가 배출되는 건조배출구(5120)가 형성되며, 하부에서 일측에 공기유입구(5130)가 형성되고, 후술되는 히터판(5210)의 외측 테두리가 걸려서 고정되는 내주면에 걸림턱(5160)이 형성된다.
또한, 건조통(5100)은 상부로 개구된 수용공간(5110)을 덮어서 폐쇄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상판(515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판(5150)에는 후술되는 구동축(5410)이 공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상판홀(5151)이 형성된다. 즉, 구동부재(5400)가 상판(515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판(5150)은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상부투입홀(51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판홀(5151)은 상판(515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부투입홀(5152)은 상판홀(5151)과 이격되면서 상판(5150)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판(5150)은 타측에 토출판(3060)의 토출홀(3061)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상부연통홀(5153)이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판(5150)은 건조통(5100)의 공기유입구(5130)과 대응되는 공기배출구(5140)가 형성된다. 즉, 공기유입구(5130)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홀(5211)을 통해 상부로 관통되면서 공기배출구(5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공기배출구(5140)에는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배출송풍팬(5141)이 설치될 수 있다.
히터부재(5200)는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는 히터판(5210) 및 히터판(5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선(5220)을 포함한다.
히터판(5210)은 원판형태이면서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음식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홀(5211)이 형성된다.
열선(5220)은 금속판(5210)에서 중심을 벗어나서 외측에 나선형태로 배선되어, 전기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되는 니크롬선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열선(5220)은 250~300도(5℃)의 열을 방생하되, 270도의 열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음식쓰레기는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5220)은 270도의 열을 방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후술되는 분산날개(5320)가 연속으로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교반 및 유동시킴에 따라 히터판(5210)에서 타거나 눌러 붙지 않게 하면서 건조되게 한다.
또한, 열선(5220)은 히터판(5210)의 하부방향으로도 열이 방출되므로 건조통(5100)의 하부에 모여지는 음식쓰레기에도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판(5210)은 열선(52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서 안착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한다. 즉, 히터판(5210)은 음식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분산/모집부재(5300)는 중앙에 키홀(5311)이 형성되는 분산몸체(5310) 및 분산몸체(53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면서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분산날개(5320)를 포함한다.
분산몸체(5310)의 키홀(5311)은 후술되는 구동부재(5400)의 구동축(5410)이 키결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날개(5320)는 원호형태로 휘어지는 샤프트로 구성되면서 단축의 단면이 삼각형태로 형성된다. 즉, 분산날개(5320)는 전면과 후면이 대칭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산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분산날개(5320)는 삼각형태의 저면이 히터판(52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밀어서 히터판(5210)에 붙지 않게 하면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산날개(5320)는 구동부재(5400)에 의해 정회전되는 경우 원호형태인 볼록한 부분이 음식쓰레기를 밀어서 건조통(5100)의 외측으로 분산시킨다. 즉, 음식쓰레기가 히터판(5210)의 외측으로 분산되어서 열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날개(5320)는 구동부재(5400)에 의해 역회전되는 경우 원호형태인 오목한 부분이 음식쓰레기를 끌어서 건조통(5100)의 내측으로 모은다. 그리고, 모아지는 음식쓰레기가 히터판(5210)의 배출홀(5211)을 통해 건조통(5100)의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분산날개(5320)의 상부에 근접되도록 건조통(5100)의 내측에 저지날개(510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지날개(5101)는 히터판(5210)의 하부에 상단이 나사결합 되어서 고정되는 나사축(5102) 및 나사축(5102)의 하단에 경사상태로 고정되는 날개판(510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지날개(5101)는 분산날개(5320)에 의해 분산되면서 이동되는 음식쓰레기가 분산날개(5320)의 상부를 넘어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저지한다. 즉, 분산날개(5320)는 저지날개(5101)의 하부를 스치면서 음식쓰레기를 으깨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음식쓰레기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건조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분산날개(5320)는 소정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정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고 분산된 음식쓰레기를 반복적으로 교반시키므로, 히터판(5210)에서 음식쓰레기가 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면서 히터판(521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산날개(5320)는 소정시간동안 정회전된 후에 역회전되어서 분산되었던 음식쓰레기를 히터판(5210)의 중앙으로 모아서 배출홀(5211)을 통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구동부재(5400)를 조작함에 의해 분산날개(5320)가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될 수 있다.
또한, 분산날개(5320)는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는 돌출팁(53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팁(5321)은 분산날개(5320)와 함께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됨에 따라 건조통(5100)의 외측으로 분산되어서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음식쓰레기를 히터판(52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분산날개(5320)는 원호형태인 볼록한 부분에 분산돌기(53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산돌기(5322)는 분산날개(5320)의 볼록한 부분이 음식쓰레기를 밀어서 분산시키는 과정에서 음식쓰레기를 좌우로 헤치면서 분산시킨다. 여기서, 분산돌기(5322)는 삼각이나 쐐기형태로 형성되면서 복수로 구성되어, 분산날개(5320)의 볼록한 부분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모집부재(5300)는 분산몸체(53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분산날개(5320)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면서 건조통(5100)의 내주면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원호형태의 방지막(533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지막(5330)은 분산날개(5320)와 함께 정회전되면서 분산날개(5320)에 의해 분산되면서 이동되는 음식쓰레기가 히터판(5210)의 배출홀(52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날개(5320)와 함께 역회전되면서 분산날개(5320)에 의해 모여지는 음식쓰레기가 히터판(5210)의 배출홀(5211)로 배출되게 안내한다.
구동부재(5400)는 구동축(5410)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부재(5400)의 구동축(5410)은 상판(5150)의 상판홀(5151)을 관통하면서 히터판(5210)의 배출홀(5211)을 관통하여 분산몸체(5310)의 키홀(5311)에 키결합되고, 후술되는 교반부재(5500)의 키홀(5511)에 키결합되어, 구동부재(5400)의 구동에 의해 분산/모집부재(5300)와 교반부재(5500)를 동시에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통(510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부재(5400)의 구동에 의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재(55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교반부재(5500)는 중앙에 키홀(5511)이 형성되는 교반몸체(5510) 및 교반몸체(55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는 교반날개(5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날개(5520)는 아크형태로 휘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수평형태의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부재(5400)의 정구동에 의해 교반날개(5520)가 정회전되면서 볼록한 부분이 음식쓰레기를 건조통(5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반하고, 구동부재(5400)의 역구동에 의해 교반날개(5520)가 역회전되면서 오목한 부분이 음식쓰레기를 건조통(5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반한다.
그리고, 교반날개(5520)의 상부에 근접되도록 건조통(5100)의 내측에 저지샤프트(5105)가 설치될 수 있다. 저지샤프트(5105)는 볼트형태로 구성되어 건조통(5100)을 수평으로 관통되게 나사결합 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교반날개(5520)의 상부에 근접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저지샤프트(5105)는 교반날개(5520)에 의해 분산되면서 이동되는 음식쓰레기가 교반날개(5520)의 상부를 넘어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저지한다. 즉, 교반날개(5520)는 저지샤프트(5105)의 하부를 스치면서 음식쓰레기를 으깨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음식쓰레기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건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통(5100)의 건조배출구(5120)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6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개폐부재(5600)는 건조통(510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어서 건조배출구(5120)를 개폐하며, 타단의 외주면에 기어산(5611)이 형성되는 개폐판(5610)과, 개폐판(5610)의 기어산(5611)에 교합되는 구동기어(5620) 및 구동기어(562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도록 모터축(5631)이 축결합되는 개폐모터(5630)를 포함한다.
개폐판(5610)은 일단이 건조통(5100)의 하부에서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정회되거나 역회전되어서 건조통(5100)의 건조배출구(512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판(5610)은 건조통(5100)의 하부면에 상부면이 면접촉됨에 따라 건조배출구(5120)를 정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건조통(5100)의 높이가 증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모터(5630)가 모터축(5631)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면 구동기어(5620)에 교합된 개폐판(5610)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어서 건조통(5100)의 건조배출구(5120)를 개폐한다.
도 1,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부재(5600)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건조통(5100)의 건조배출구(5120)에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가 수집되는 수집통(57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수집통(5700)은 건조통(5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건조통(5100)의 건조배출구(51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쓰레기가 수집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통(5100)의 공기유입구(5130)에 장착되어 외부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송풍팬(58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송풍팬(5800)에 의해 공기가 공기유입구(5130)를 통해 유입되어서 건조통(5100)의 내부에 공급되면, 건조통(5100)에서 음식쓰레기의 건조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가 공기와 함께 공기배출구(5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공기의 배출에 의해 음식쓰레기가 빠르게 건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도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580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열선(5220)에서 방출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서 음식쓰레기에 공급되므로 음식쓰레기를 더욱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5800)은 본체케이스(6000)의 공기유입홀(630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건조통(5100)의 내측으로 공급하므로 건조통(5100)의 음식쓰레기가 신선한 공기에 의해 용이하게 건조되고, 공기배출구(51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본체케이스(6000)의 공기배출홀(640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더욱이, 송풍팬(5800)은 전기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5810)가 내장될 수 있다. 즉, 송풍팬(5800)은 발열체(5810)를 통해 열풍을 공급할 수 있어서 건조되는 음식쓰레기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다.
특히, 송풍팬(5800)은 공기유입홀(630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함께 본체케이스(6000)에 설치된 건조부재(5000)의 열선(5220)에서 방출되는 열기를 건조통(5100)에 재공급하여, 폐열을 이용하므로 음식쓰레기의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쇄부재(1000)가 싱크대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와 세정수가 함께 버려져도 세정수는 배출시키고 음식쓰레기만 따로 분리하여서 분쇄할 수 있으므로, 음식쓰레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음식쓰레기에 물을 분사하면서 분쇄하여 염분의 함유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동물사료나 작물의 비료로 재활용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200)가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작동을 일시정지 시켜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에 음식쓰레기를 분쇄되게 할 수 있어서, 에너지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건조부재(5000)가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서 수분을 증발시키고, 수분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공기를 제공하여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어서, 가정이나 식당 등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싱크대 2 : 배수홀
100 : 음식쓰레기포집부재
110 : 수분배출홀 120 : 음식쓰레기투입홀
130 : 배수통 131 : 암나사산
140 : 고정링 141 : 숫나사산
150 : 거름망 151 : 걸림플랜지
160 : 뚜껑 170 : 외향플랜지
180 : 내향플랜지 190 : 배수홈
1000 : 분쇄부재
1010 : 음식쓰레기분쇄통 1011 : 수용공간
1012 : 배출구 1013 : 고정돌기
1020 : 분산부재 1021 : 키홀
1030 : 고정칼 1031 : 관통홀
1032 : 고정홈 1040 : 회전칼
1041 : 키홀 1042 : 회전몸체
1043 : 회전칼날 1044 : 가압면
1045 : 평탄면 1050 : 타공판
1051 : 관통홀 1052 : 고정홈
1053 : 타공홀 1060 : 회전부재
1061 : 회전축 1062 : 나사홀
1070 : 배출부재 1071 : 키홀
1072 : 배출몸체 1073 : 배출날개
1074 : 삽입홈 1075 : 삽입돌기
3000 : 탈수부재
3010 : 타공관 3011 : 탈수투입홀
3020 : 탈수케이스 3030 : 탈수모터
3031 : 탈수모터축 3040 : 스크류
3050 : 안내관 3060 : 토출판
4000 : 이송부재
4010 : 이송케이스 4020 : 이송모터
4021 : 이송모터축 4030 : 이송날개
5000 : 건조부재
5100 : 건조통 5110 : 수용공간
5120 : 배출구 5130 : 공기유입구
5140 : 공기배출구 5150 : 상판
5151 : 상판홀 5152 : 상부투입홀
5200 : 히터부재 5210 : 금속판
5210 : 히터판 5211 : 배출홀
5220 : 열선 5300 : 분산/모집부재
5310 : 분산몸체 5311 : 키홀
5320 : 분산날개 5320 : 분산날개
5321 : 돌출팁 5322 : 분산돌기
5330 : 방지막 5400 : 구동부재
5410 : 구동축 5500 : 교반부재
5510 : 교반몸체 5511 : 키홀
5520 : 교반날개 5600 : 개폐부재
5610 : 개폐판 5611 : 기어산
5612 : 공회전홀 5620 : 구동기어
5630 : 개폐모터 5631 : 모터축
5700 : 수집통 5710 : 수집홀
5720 : 평탄면 5800 : 공기팬
100 : 음식쓰레기포집부재
110 : 수분배출홀 120 : 음식쓰레기투입홀
130 : 배수통 131 : 암나사산
140 : 고정링 141 : 숫나사산
150 : 거름망 151 : 걸림플랜지
160 : 뚜껑 170 : 외향플랜지
180 : 내향플랜지 190 : 배수홈
1000 : 분쇄부재
1010 : 음식쓰레기분쇄통 1011 : 수용공간
1012 : 배출구 1013 : 고정돌기
1020 : 분산부재 1021 : 키홀
1030 : 고정칼 1031 : 관통홀
1032 : 고정홈 1040 : 회전칼
1041 : 키홀 1042 : 회전몸체
1043 : 회전칼날 1044 : 가압면
1045 : 평탄면 1050 : 타공판
1051 : 관통홀 1052 : 고정홈
1053 : 타공홀 1060 : 회전부재
1061 : 회전축 1062 : 나사홀
1070 : 배출부재 1071 : 키홀
1072 : 배출몸체 1073 : 배출날개
1074 : 삽입홈 1075 : 삽입돌기
3000 : 탈수부재
3010 : 타공관 3011 : 탈수투입홀
3020 : 탈수케이스 3030 : 탈수모터
3031 : 탈수모터축 3040 : 스크류
3050 : 안내관 3060 : 토출판
4000 : 이송부재
4010 : 이송케이스 4020 : 이송모터
4021 : 이송모터축 4030 : 이송날개
5000 : 건조부재
5100 : 건조통 5110 : 수용공간
5120 : 배출구 5130 : 공기유입구
5140 : 공기배출구 5150 : 상판
5151 : 상판홀 5152 : 상부투입홀
5200 : 히터부재 5210 : 금속판
5210 : 히터판 5211 : 배출홀
5220 : 열선 5300 : 분산/모집부재
5310 : 분산몸체 5311 : 키홀
5320 : 분산날개 5320 : 분산날개
5321 : 돌출팁 5322 : 분산돌기
5330 : 방지막 5400 : 구동부재
5410 : 구동축 5500 : 교반부재
5510 : 교반몸체 5511 : 키홀
5520 : 교반날개 5600 : 개폐부재
5610 : 개폐판 5611 : 기어산
5612 : 공회전홀 5620 : 구동기어
5630 : 개폐모터 5631 : 모터축
5700 : 수집통 5710 : 수집홀
5720 : 평탄면 5800 : 공기팬
Claims (15)
- 삭제
- 삭제
- 삭제
-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는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홀(2)을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수분배출홀(110)이 일측에 형성되고, 분쇄부재(1000)에 연통되는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통(130)과,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배수통(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통(130)을 싱크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링(140)과,
고정링(140)의 테두리에 걸쳐져서 배수통(130)에 수용된 상태로 싱크대(1)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거름망(150) 및
배수통(130)의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을 폐쇄하는 뚜껑(160)을 포함하며,
음식쓰레기투입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스위칭동작되는 작동스위치(121)와,
작동스위치(121)에 자력을 제공하도록 뚜껑(160)에 설치되는 자석(161) 및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여 소정시간동안 분쇄부재(100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컨트롤러(200)는
카운팅시간을 설정하는 카운팅시간설정부(210)와,
작동스위치(121)가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부(220)와,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면 카운팅시간설정부(210)에서 설정된 카운팅시간동안 카운팅하고,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면 카운팅을 중단하는 카운팅부(230) 및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면 카운팅부(230)의 카운팅시간동안 분쇄부재(10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고, 인식부(220)가 작동스위치(121)의 스위칭동작을 인식하지 않으면 분쇄부재(10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작동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컨트롤러(200)는 카운팅시간설정부(210)를 통해 카운팅시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카운팅을 중단한 카운팅부(230)가 잔여카운팅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조작하고, 분쇄부재(1000)의 전원을 차단한 작동부(240)가 다시 전원을 인가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하고,
분쇄부재(1000)는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1)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분쇄통(1010)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수용공간(10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1020)와,
분산부재(1020)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칼(1030)과,
고정칼(103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칼(1030)과 상호작용하여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회전칼(1040)와,
회전칼(1040)의 하부에 근접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설치되고, 회전칼(1040)와 상호작용하여서 분쇄된 음식쓰레기가 으깨어지도록 하면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타공판(1050) 및
타공판(1050)과 고정칼(1030)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칼(1040)와 분산부재(1020)에 키결합된 회전축(106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회전칼(1040)은
중앙에 키홀(1041)이 형성되는 회전몸체(1042) 및
회전몸체(104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고정칼(103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고정칼(1030)의 외측을 관통하는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회전칼날(1043)을 포함하며,
회전칼날(1043)은 고정칼(103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면(1044)과,
상부면(1044)의 끝단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타공판(1050)으로 가압하여서 으깨는 가압면(1045) 및
가압면(1045)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공판(1050)에 접촉되는 하부면(10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타공판(105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부재(1060)의 회전축(1061)에 키결합되어, 타공판(1050)을 관통하여서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하부에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1070)를 더 포함하며,
배출부재(1070)는
중앙에 키홀(1071)이 형성되는 배출몸체(1072) 및
배출몸체(107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배출몸체(1072)와 함께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날개(1073)를 포함하고,
음식쓰레기분쇄통(1010)은 하부에서 일측에 배출구(1012)가 형성되며,
배출날개(1073)는 탄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홀(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싱크대(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싱크대(1)에 버려지는 음식쓰레기를 모으는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와,
음식쓰레기포집부재(100)에서 모여진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면서 으깨어서 분쇄하는 분쇄부재(1000)와,
분쇄부재(1000)에서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가압하는 상태로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짜내는 탈수부재(3000)와,
탈수부재(30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00) 및
이송부재(4000)에 의해 이송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서 건조하는 건조부재(5000)를 포함하고,
건조부재(5000)는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5110)이 상부로 개방되어서 형성되는 건조통(5100)과,
건조통(5100)의 수용공간(5110)을 상하로 분할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수용되는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건조하며, 건조된 음식쓰레기가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5211)이 형성되는 히터부재(5200)와,
히터부재(5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가열되면서 건조되는 음식쓰레기를 외측으로 분산시키도록 정회전되고, 분산되어서 건조된 음식쓰레기를 내측으로 모아서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역회전되는 분산/모집부재(5300) 및
분산/모집부재(5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부재(5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히터부재(5200)는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외측테두리가 고정되는 히터판(5210) 및
히터판(5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선(5220)을 포함하며,
히터판(5210)은 원판형태이면서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음식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홀(5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분산/모집부재(5300)는
중앙에 키홀(5311)이 형성되는 분산몸체(5310)와,
분산몸체(53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면서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분산날개(5320) 및
분산날개(5320)의 상부에 근접되도록 건조통(5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저지날개(5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건조통(5100)은 상부로 개구된 수용공간(5110)을 덮어서 폐쇄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상판(5150)을 더 포함하며,
상판(5150)에는
탈수부재(3000)에 연통되어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상부연통홀(5153)이 형성되고,
건조부재(5000)에 연통되어 음식쓰레기가 통과되는 상부투입홀(5152)이 형성되어,
상부투입홀(5152)과 상부연통홀(5153)은 이송부재(4000)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건조통(510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동부재(5400)의 구동에 의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재(5500)를 더 포함하며,
교반부재(5500)는
중앙에 키홀(5511)이 형성되는 교반몸체(5510)와,
교반몸체(5510)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건조통(5100)의 내주면에 근접되는 교반날개(5520) 및
교반날개(5520)의 상부에 근접되면서 건조통(5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저지샤프트(5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2229A KR101484686B1 (ko) | 2013-08-28 | 2013-08-28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2229A KR101484686B1 (ko) | 2013-08-28 | 2013-08-28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4686B1 true KR101484686B1 (ko) | 2015-01-21 |
Family
ID=5259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2229A KR101484686B1 (ko) | 2013-08-28 | 2013-08-28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468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3046A (ko) * | 2020-02-12 | 2021-08-23 |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N115445525A (zh) * | 2022-09-14 | 2022-12-09 | 江西海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对虾养殖池塘肥水的添加剂的生产设备 |
KR102683582B1 (ko) * | 2023-11-29 | 2024-07-09 | 황동호 | 배출수식 발효건조 감량 음식물처리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6381Y1 (ko) * | 2009-07-15 | 2009-10-27 | 길풍섭 |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 |
KR20100113525A (ko) * | 2008-01-23 | 2010-10-21 | 코우이치 신야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20120124587A (ko) * | 2011-05-04 | 2012-11-14 | 박재현 | 간헐작동식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
KR101319883B1 (ko) | 2011-06-13 | 2013-10-29 | 서우람 |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
-
2013
- 2013-08-28 KR KR20130102229A patent/KR1014846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3525A (ko) * | 2008-01-23 | 2010-10-21 | 코우이치 신야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200446381Y1 (ko) * | 2009-07-15 | 2009-10-27 | 길풍섭 |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 |
KR20120124587A (ko) * | 2011-05-04 | 2012-11-14 | 박재현 | 간헐작동식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
KR101319883B1 (ko) | 2011-06-13 | 2013-10-29 | 서우람 |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3046A (ko) * | 2020-02-12 | 2021-08-23 |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102331542B1 (ko) | 2020-02-12 | 2021-11-29 | 주식회사 엑스바이오 |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N115445525A (zh) * | 2022-09-14 | 2022-12-09 | 江西海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对虾养殖池塘肥水的添加剂的生产设备 |
CN115445525B (zh) * | 2022-09-14 | 2023-10-24 | 江西海鼎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对虾养殖池塘肥水的添加剂的生产设备 |
KR102683582B1 (ko) * | 2023-11-29 | 2024-07-09 | 황동호 | 배출수식 발효건조 감량 음식물처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5425B2 (ja) | 生ゴミ処理装置 | |
JP4906838B2 (ja) | 生ごみ処理機の乾燥炉 | |
US8100352B2 (en) | Under-sink waste processing appliance | |
KR101517289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484686B1 (ko)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792851B1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 |
KR20090114501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210037055A (ko) | 스마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10118315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90041801A (ko) |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365155B1 (ko) |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927466B1 (ko) |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682059B1 (ko) |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 |
JPH10296110A (ja) | 生ごみ減容化処理装置 | |
KR101432666B1 (ko)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20150139280A (ko) | 다기능 음식물 쓰레기 디스포저 | |
KR102530299B1 (ko) |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 |
KR20150017210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50017232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064292B1 (ko) | 음식물처리기의 멸균 건조장치 | |
KR20150025079A (ko) | 음식쓰레기용 분쇄유닛 | |
KR20120130376A (ko) |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 | |
KR20170013656A (ko) | 슬러지 분리기가 내장된 음식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 |
KR20120032958A (ko) |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 |
KR20130005551U (ko) | 핸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