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315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315A
KR20110118315A KR1020100037834A KR20100037834A KR20110118315A KR 20110118315 A KR20110118315 A KR 20110118315A KR 1020100037834 A KR1020100037834 A KR 1020100037834A KR 20100037834 A KR20100037834 A KR 20100037834A KR 20110118315 A KR20110118315 A KR 2011011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ain
coupled
dry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언호
원호연
Original Assignee
(주)큐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앤엘 filed Critical (주)큐앤엘
Priority to KR102010003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8315A/ko
Publication of KR2011011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 배수구 하방에 설치하여 싱크대에서 설거지와 함께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수구로 배출되는 도중 절단, 탈수 및 건조의 과정을 거쳐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싱크대의 배수구로 배출하면서 먼저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여 하방으로 이동한 후, 작은 크기로 분쇄 및 교반하면서 열풍을 가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한 후, 별도의 수집장치로 이동 보관 처리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절단, 분쇄, 건조방식으로, 건조시간이 짧으며,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이 적으며, 특히 건조과정 중 악취 및 검출수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싱크대의 하방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고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는 싱크대(100) 하방에 결합되는 배수구(12)와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는 몸체(11)를 가지며, 상기 배수구(12)에는 통상의 여과망(13)이 삽입되며, 배수구(12)의 측벽에는 배수통로(12-1)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는 몸체(11)에는 상부통로(11-1)와 하부통로(11-2)를 가지며, 상기 상부통로(11-1), 하부통로(11-2) 및 배수구(12)의 배수통로(12-1)를 연결하는 배수관(14)이 몸체(11)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2) 하방에 결합되는 몸체(11)의 상단부 내측에는 덮개(15)를 가지며, 상기 덮개(15)를 지지하는 덮개 하방지지턱(15-2)과 덮개(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 상방지지턱(15-1)이 몸체(11) 상단 내측 테두리에 가지며 몸체(11) 내측 중앙 부위에는 원추형홉퍼(17)와, 상기 원추형홉퍼(17) 가운데에는 회전칼날(21)을 가지며, 상기 회전칼날(21)은 몸체(11) 하방 외측 모터(31)와 구동축(22)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22)에는 구동축(22)과 고정되는 원형회전판(23)과, 구동축과 고정되지 않는 유동회전날(24)과 몸체(11)와 볼트(25-1)로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11)에는 열풍팬(27)을 장착한 열풍순환관(26)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11) 측벽에는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건조물취출구(28)를 가지며,
상기 건조물취출구(28)에는 이송관(29)이 결합되며, 상기 이송관(29)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는 진공모터하우징(43)과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건조물보관통(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은 상방에는 공기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된 덮개(44)가 결합되며, 내측에는 팬(46)을 갖는 진공모터(45)와, 가운데 흡입구멍(47-1)을 갖는 흡입유도판(47)을 가지며, 상기 흡입유도판(47) 하방 상,하에 필터홀더(49)로 지지되는 필터(48)를 가지며, 건조물을 이송하는 이송관(29)이 결합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 배수구 하방에 설치하여 싱크대에서 설거지와 함께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수구로 배출되는 도중 절단, 탈수 및 건조의 과정을 거쳐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 하방 배수구에 부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절단, 분쇄, 건조를 수행하는 제 1단계 분쇄 및 건조 처리부와, 건조되어진 분말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이동하여 보관하는 2단계 보관 처리부로 구성되어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 밑에 간단히 설치 가능한 장착의 용이성을 가지며,
기존의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검출수의 발생이 없어 주변이 청결하게 되며, 음식물쓰레기를 여과망으로부터 세척 및 수집된 것을 절단 분쇄함으로 염분이나 기름기의 상당량 물에 미리 세척되어 제거됨으로 최종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 찌꺼기는 동물의 사료나 식물의 비료로 재활용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발생하는 용량별로 전문요식업소나, 대형 급식 시설에서 발생되는 대용량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가정에서 매일같이 발생되는 소용량의 음식물 쓰레기처리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소용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배수구 하방에 설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종래의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그 처리방법에 따라 2-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음식물쓰레기를 별도로 건조 및 살균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통으로 이동하여 처리하는 것과,
또 다른 하나는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하여, 싱크대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및 압착시켜 처리하는 것과,
싱크대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물과 함께 배수하는 분쇄 배수처리 방식에 의한 처리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싱크대의 배수구로 배출하면서 먼저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여 하방으로 이동한 후, 작은 크기로 분쇄 및 교반하면서 열풍을 가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한 후, 별도의 수집장치로 이동 보관 처리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절단, 분쇄, 건조방식으로, 건조시간이 짧으며,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이 적으며, 특히 건조과정 중 악취 및 검출수의 발생이 없어 주변이 깨끗해 친환경적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싱크대 내측 배수구에 연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물과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회전하는 절단 칼날로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스크류로 이동하면서 포함된 수분을 일부 제거하고, 어느 정도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통으로 이동한 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싱크대 내측 배수구에 결합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절단 분쇄하는 분쇄부와, 수분을 일부 배출하는 여과망과 압착스크류로 구성되는 압착부와, 가열수단이 구비된 가열 및 저장부가 하나의 통체 내에 모두 구성됨으로 그 부품 수가 많아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그 부피가 크게 되며, 일반인은 임의로 분해청소를 수행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고장이 발생 시 쉽게 수리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종래 배수구에 연결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는 압착스크류를 통과하여 압착한 음식물쓰레기도 상당한 양의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건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많은 에너지(전기)를 소비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분쇄부와 압착부에 남겨진 잔여물이 부패되어,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싱크대 하방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갖는 복잡성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해 고장발생이 거의 없게 되며, 유지보수가 쉬운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절단 분쇄부와 건조부를 동시에 갖는 한편 건조된 음식물쓰레기 분말을 별도로 보관 수집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시중에서는 다양한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며, 또한 수많은 특허 및 실용신안 문헌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싱크대 내측 배수구에 설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특허 및 실용신안 문헌은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특허 등록 제 10-541056호 (발명의 명칭:싱크대 부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실용신안 등록 제 20-0366475호 (고안의 명칭: 싱크대용 분쇄기 고정장치) 특허 공개 제 10-2007-0082336호 (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특허 공개 제 10-2008-0048582호 (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특허 등록 제10-0615456호 (발명의 명칭: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본 발명은 가정에서 매일같이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위생적이고 편리하며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저소음 또는 무소음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주부가 작동하기 쉬우며, 빠른시간에 음식물쓰레기가 건조 후 이동보관되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통 냄새(악취)가 발생하며, 손으로 잡기 불편한 음식물쓰레기를 손쉽게 처리하는 편리성을 갖도록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과제를 구현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별도의 장치로 이동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싱크대로부터 직접 투여되는 싱크대 배수구 장착형태를 가지며, 배수구에 장착된 본 발명은 저소음, 무소음 모터로, 조용하게 음식물쓰레기의 절단 및 분쇄가 수행되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열풍을 가해 건조시키며, 건조 도중 교반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며, 건조가 끝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는 별도의 보관장치로 이동하여, 처리가 간편하도록 하는 장치를 해결하려는 과제로 개발된 것이다.
싱크대의 하방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고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크게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는 싱크대(100) 하방에 결합되는 배수구(12)와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는 몸체(11)를 가지며, 상기 배수구(12)에는 통상의 여과망(13)이 삽입되며, 배수구(12)의 측벽에는 배수통로(12-1)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는 몸체(11)에는 상부통로(11-1)와 하부통로(11-2)를 가지며, 상기 상부통로(11-1), 하부통로(11-2) 및 배수구(12)의 배수통로(12-1)를 연결하는 배수관(14)이 몸체(11)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2) 하방에 결합되는 몸체(11)의 상단부 내측에는 덮개(15)를 가지며, 상기 덮개(15)를 지지하는 덮개 하방지지턱(15-2)과 덮개(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 상방지지턱(15-1)이 몸체(11) 상단 내측 테두리에 가지며 몸체(11) 내측 중앙 부위에는 원추형홉퍼(17)와, 상기 원추형홉퍼(17) 가운데에는 회전칼날(21)을 가지며, 상기 회전칼날(21)은 몸체(11) 하방 외측 모터(31)와 구동축(22)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22)에는 구동축(22)과 고정되는 원형회전판(23)과, 구동축과 고정되지 않는 유동회전날(24)과 몸체(11)와 볼트(25-1)로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11)에는 열풍팬(27)을 장착한 열풍순환관(26)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11) 측벽에는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건조물취출구(28)를 가지며,
상기 건조물취출구(28)에는 이송관(29)이 결합되며, 상기 이송관(29)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는 진공모터하우징(43)과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건조물보관통(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은 상방에는 공기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된 덮개(44)가 결합되며, 내측에는 팬(46)을 갖는 진공모터(45)와, 가운데 흡입구멍(47-1)을 갖는 흡입유도판(47)을 가지며, 상기 흡입유도판(47) 하방에 상,하에 필터홀더(49)로 지지되는 필터(48)를 가지며, 건조물을 이송하는 이송관(29)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원추형홉퍼(17) 내측에는 분할고정판(18)을 삽입토록 하며,
상기 배수관(14) 내측에는 습도센서가 장착되며, 유동회전날(24)은 다수개의 칼날과 원형테두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와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은 다수개의 칼날과 원형테두리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스위치패널 과 컨트롤부이다.
본 발명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 내측 배수구에 설치하여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배수구를 통해 투입함으로, 가정주부나, 일반인 누구나 사용이 간편한 사용상의 잇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는 도중에도 배수구로 유입되는 배수물은 몸체 외측의 배수관을 통해 몸체 하방으로 바이패스시켜 이동시킴으로, 건조작업에 지장을 갖지 않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 음식물 분쇄기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되지 않음으로 소음발생이 적어 정숙한 작동이 가능한 무소음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교반하면서 건조됨으로 건조시간이 매우 빠른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처리 후 1/30-1/50의 부피 감소로 아주 적은 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는 별도의 건조물 흡입보관장치로 자동으로 이동됨으로 사용상의 매우 편리한 잇점과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냄새(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분말상태로, 식물의 비료나, 동물의 사료로 재사용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2 본 발명에 있어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의 단면도.
도3 본 발명에 있어 음식물 건조 및 분쇄장치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4 본 발명에 있어 건조물 흡입 보관장치의 단면도.
도5 본 발명에 있어 건조물 흡입 보관장치의 구성요소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와,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를 흡입 보관하는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는 이송관(29)을 서로 연결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는 싱크대(100) 하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배수구(12)와 몸체(11)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12)는 싱크대(100)와, 기밀이 유지되는 통상적인 결합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통상적인 결합구조는 나사식구조, 클램프식구조 등 다양한 체결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싱크대(100)에 고정되는 배수구(12)와 몸체(11) 하나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며, 배수구(12) 내측에는 통상의 여과망(13)이 삽입되며, 배수구(12) 측벽에는 배수통로(12-1)를 갖는다.
상기 몸체(11)의 상방과 하방에는 상부통로(11-1)와 하부통로(11-2)를 가지며, 상기 배수구(12)의 배수통로(12-1),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통로(11-1)(11-2)를 연결하는 배수관(14)을 몸체(11) 외측에 갖는다.
상기 몸체(11)의 상방에는 덮개(15)를 가지며,
상기 덮개(15)는 몸체(11)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덮개상방지지턱(15-1) 및 덮개하방지지턱(15-2)에 결합되어, 덮개(15)가 몸체(11) 상방에 결합될 시에는 기밀이 유지하게 된다.
몸체(11) 내측에는 원추형홉퍼(17)와, 원추형홉퍼(17) 저면 중앙부에는 회전칼날(21)과 분할고정판(18)을 가져, 원추형홉퍼(17) 내로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칼날(21)은 구동축(22)에 결합되어 구동되며, 상기 구동축(22)은 몸체(11) 하방 외측에 장착되는 모터(31)에 결합되어 진다.
상기 구동축(22)에는 구동축(22)과 일체로 고정되어 구동축(22)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원판(23)을 가지며, 회전원판(23) 위에는 구동축(22)에 고정되지 않아 임의로 회전되는 유동회전날(24)과 그 위에 몸체(11)와 볼트(25-1)로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을 갖게 된다.
또한 몸체(11)에는 열풍팬(27)을 갖는 열풍순환관(26)이 상기 원형회전판(23) 및 원추형홉퍼(17) 사이에 형성되며, 원추형홉퍼(17) 아래의 몸체(11) 측벽에는 건조물을 취출 이송하는 이송관(29)을 가지며,
몸체(11) 하방에는 주배수관(30)을 갖는,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를 갖는다.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와 이송관(29)을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진공모터하우징(43)과,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에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건조물보관통(4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물보관통(42)은 투명하여 내측의 분말상의 건조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은 진공을 유발하는 팬(46)을 갖는 진공모터(45)가 내측에 장착되며, 진공모터(45) 앞에 흡입을 유도하는 흡입유도판(47)을 갖는바, 상기 흡입유도판(47)은 가운데 비교적 작은 흡입구멍(47-1)을 가져, 진공모터(45)의 팬(46)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흡입유도판(47)에는 이송관(29)으로 이송되는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가 진공모터(45)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48) 및 필터(48)를 상,하에서 지지하는 필터홀더(49)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진공모터하우징(43)은 공기배출구멍을 갖는 덮개(44)를 가지며, 진공모터하우징(43)을 작동하는 스위치패널(50)과 컨트롤부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1) 상방의 덮개(15)를 막은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12)에 삽입되는 여과망(13)은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게 되며, 여과망(13)을 통과한 물은 배수구(12) 측벽의 배수통로(12-1)를 거쳐 배수관(14)을 통해, 몸체(11) 하방의 하부통로(11-2)로 유입한 후 주배수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여과망(13)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는 덮개(15)를 벗겨낸 후 몸체(11) 내측 원추형홉퍼(17)로 유입한 후, 덮개(15)를 몸체(11) 상방에 닫은 후, 모터(31)를 작동시켜 구동축(22)에 결합된 원추형홉퍼(17) 하방에 위치한 회전칼날(21)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여 원추형홉퍼(17) 하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원추형홉퍼(17) 내측에는, 임의로 착탈되는 분할고정판(18)을 삽입할 경우 회전칼날(21)에 의해 절단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회전칼날(21)과 같이 회전되지 않아 빠른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는 원추형홉퍼(17) 하방의 원형회전판(23) 위로 낙하하게 되는바, 상기 원형회전판(23)은 구동축(22)에 고정되어, 구동축(22)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원형회전판(23) 위로 낙하된 음식물쓰레기는 원형회전판(23)과 같이 회전하면서, 몸체(11) 내측에 볼트(25-1)로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 및 구동축(22)에 고정되지 않는 유동회전날(24)에 의해 작은 크기로 분쇄되면서 서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원추형홉퍼(17) 하방에서 분쇄되며 교반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몸체(11) 외측에 설치되는 열풍팬(27)을 갖는 열풍순환관(26)으로 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다. 상기 열풍순환관(26)은 원형회전판(23) 상방에 공기배기구와, 원형회전판(23) 하방에 공기유입구를 가지며, 몸체(11)의 상부통로(11-1)와 하부통로(11-2)를 거쳐 순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축(22)에 고정되지 않는 유동회전날(24)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역할 이외에 원형회전판(23)에 음식물쓰레기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추형홉퍼(17) 하방의 음식물쓰레기에 가해지는 열풍은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기화시켜 몸체(11)의 상부통로(11-1)로 배기하게 되며, 상부통로(11-1)와 결합되는 배수관(14)은 몸체(11) 외측에 위치함으로 몸체(11)의 내부보다는 낮은 온도를 가져, 열풍으로 건조된 습기가 많은 배출공기를 응축하여, 수분상태로 몸체(11)의 하부통로(11-2)로 유입된 후 주배수관(30)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수관(14) 내측에는 습도센서가 장착되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습도를 측정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수분량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원형회전판(23) 상의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가 원하는 상태로 건조되었을 시 열풍팬(27)은 작동을 멈추게 되며,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의 진공모터(45)가 작동하여,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는 이송관(29)을 통해,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의 건조물보관통(42)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에는 이송관(29)과 연결되는 건조물취출구(28)이 형성되어 건조물취출구(28)를 통해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는 몸체(11)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건조 및 분쇄장치(10)는 몸체(11) 상방에 덮개(15)를 체결할 시 싱크대(100)의 배수물이 몸체(11) 내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배수구(12) 측벽의 배수통로(12-1)를 거처 배수관(14)을 통해 몸체(11) 하방통로(11-2)로 유입됨으로, 몸체(11) 내측에서 건조작업이 수행되더라도 싱크대(100)의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구동축(22)에 고정되어 구동축(22)과 동시에 회전하는 원형회전판(23)은 몸체(11)와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몸체(11)와의 간격을 통해 초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며,
상기 원형회전판(23) 위의 유동회전날(24)은 구동축(22)에 고정되지 않지만, 회전하는 원형회전판(23)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원형회전판(23) 위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역할과,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빠른 건조가 진행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동회전날(24)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칼날부와 이를 지지하는 원형테두리를 갖는 구조나, 원형테두리가 형성되지 않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유동회전날(24) 상방의 고정분쇄날(25)은 볼트(25-1)로 몸체(11)에 고정되며, 구동축(22)에는 고정되지 않는 비회전칼날로, 회전되는 유동회전날(24) 및 원형회전판(23)에 의해 유동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빠른 건조가 이루어지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원형회전판(23)은 음식물쓰레기가 몸체(11) 내측으로 유입된 초기에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열풍팬(27)이 가동 중에는 정지하거나, 아주 저속으로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를 위한 교반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몸체(11) 외측에 설치되어 몸체(11) 내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순환관(26)은 원형회전판(24) 상하의 공기를 순환시켜 원형회전판(24) 위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되며, 한정된 공간 즉 몸체(11) 내측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순환하는 열풍은 배수관(14)을 통해 수분이 응축됨으로, 빠른 건조시간으로 인해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잇점을 갖게 된다.
건조되어진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는 몸체(11)의 건조물취출구(28)를 통해 배출되어 지며, 이송관(29)으로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의 건조물보관통(42)으로 이동되며, 일정량 수집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는 식물의 비료 또는 동물의 사료로 재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에서 매일 발생되는 소용량의 음식물쓰레기 뿐만 아니라 전문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 전용 가능하며, 그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며 처리 도중 냄새(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잇점을 갖게 된다.
100 싱크대
10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
11 몸체
11-1 상부통로 11-2 하부통로
12 배수구 12-1 배수통로
13 여과망 14 배수관
15 덮개 15-1 덮개상방지지턱
15-2 덮개하방지지턱
17 원추형홉퍼 18 분할고정판
21 회전칼날 22 구동축
23 원형회전판 24 유동회전날
25 고정분쇄날 25-1 볼트
26 열풍순환관 27 열풍팬
28 건조물취출구 29 이송관
30 주배수관 31 모터
41 건조물흡입보관장치 42 건조물보관통
43 진공모터하우징 44 덮개
45 진공모터 46 팬
47 흡입유도판 47-1 흡입구멍
48 필터 49 필터홀더
50 스위치패널

Claims (5)

  1. 싱크대의 하방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하고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크게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및건조장치(10)는 싱크대(100) 하방에 결합되는 배수구(12)와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는 몸체(11)를 가지며, 상기 배수구(12)에는 통상의 여과망(13)이 삽입되며, 배수구(12)의 측벽에는 배수통로(12-1)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는 몸체(11)에는 상부통로(11-1)와 하부통로(11-2)를 가지며, 상기 상부통로(11-1), 하부통로(11-2) 및 배수구(12)의 배수통로(12-1)를 연결하는 배수관(14)이 몸체(11)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2) 하방에 결합되는 몸체(11)의 상단부 내측에는 덮개(15)를 가지며, 상기 덮개(15)를 지지하는 덮개 하방지지턱(15-2)과 덮개(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 상방지지턱(15-1)이 몸체(11) 상단 내측 테두리에 가지며 몸체(11) 내측 중앙 부위에는 원추형홉퍼(17)와, 상기 원추형홉퍼(17) 가운데에는 회전칼날(21)을 가지며, 상기 회전칼날(21)은 몸체(11) 하방 외측 모터(31)와 구동축(22)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22)에는 구동축(22)과 고정되는 원형회전판(23)과, 구동축과 고정되지 않는 유동회전날(24)과 몸체(11)와 볼트(25-1)로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11)에는 열풍팬(27)을 장착한 열풍순환관(26)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11) 측벽에는 건조된 분말상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건조물취출구(28)를 가지며,
    상기 건조물취출구(28)에는 이송관(29)이 결합되며, 상기 이송관(29)은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물흡입보관장치(41)는 진공모터하우징(43)과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건조물보관통(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모터하우징(43)은 상방에는 공기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된 덮개(44)가 결합되며, 내측에는 팬(46)을 갖는 진공모터(45)와, 가운데 흡입구멍(47-1)을 갖는 흡입유도판(47)을 가지며, 상기 흡입유도판(47) 하방에 상,하에 필터홀더(49)로 지지되는 필터(48)를 가지며, 건조물을 이송하는 이송관(29)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홉퍼(17) 내측에는 분할고정판(18)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14) 내측에는 습도센서가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동회전날(24)은 다수개의 칼날과 원형테두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와 고정되는 고정분쇄날(25)은 다수개의 칼날과 원형테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00037834A 2010-04-23 2010-04-2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18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834A KR20110118315A (ko) 2010-04-23 2010-04-2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834A KR20110118315A (ko) 2010-04-23 2010-04-2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315A true KR20110118315A (ko) 2011-10-31

Family

ID=4503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834A KR20110118315A (ko) 2010-04-23 2010-04-23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831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8470A (zh) * 2013-08-15 2013-12-04 江阴市龙昌机械制造有限公司 立式分粒式超微粉碎机
CN104815730A (zh) * 2015-04-28 2015-08-05 上海电机学院 厨余垃圾处理器
CN104939649A (zh) * 2015-05-27 2015-09-30 宿州学院 一种多功能型生活用品集成放置装置
CN105951943A (zh) * 2016-05-09 2016-09-21 无锡昊瑜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粉碎功能的下水管道过滤器
CN110787513A (zh) * 2019-12-14 2020-02-14 安徽海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控释肥光亮剂生产用过滤装置
CN111203429A (zh) * 2020-01-15 2020-05-29 仰红星 一种废包装容器资源回收净化再利用的回收工艺
CN111332653A (zh) * 2020-03-26 2020-06-26 敖祖铭 湿垃圾处理装置及家用一体化多功能垃圾分类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8470A (zh) * 2013-08-15 2013-12-04 江阴市龙昌机械制造有限公司 立式分粒式超微粉碎机
CN104815730A (zh) * 2015-04-28 2015-08-05 上海电机学院 厨余垃圾处理器
CN104939649A (zh) * 2015-05-27 2015-09-30 宿州学院 一种多功能型生活用品集成放置装置
CN105951943A (zh) * 2016-05-09 2016-09-21 无锡昊瑜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粉碎功能的下水管道过滤器
CN110787513A (zh) * 2019-12-14 2020-02-14 安徽海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控释肥光亮剂生产用过滤装置
CN111203429A (zh) * 2020-01-15 2020-05-29 仰红星 一种废包装容器资源回收净化再利用的回收工艺
CN111332653A (zh) * 2020-03-26 2020-06-26 敖祖铭 湿垃圾处理装置及家用一体化多功能垃圾分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183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4166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건조장치용 냉각장치
KR200901145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0689A (ko) 싱크볼 매입형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96100A (ko) 탈수와 분쇄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CN209003729U (zh) 一种厨房物品收纳机构及具有该机构的厨房柜台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38868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1484686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98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4320388U (zh) 一种餐厨垃圾处理设备
KR200216991Y1 (ko) 다목적 주방용 씽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