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232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232A
KR20150017232A KR1020130093241A KR20130093241A KR20150017232A KR 20150017232 A KR20150017232 A KR 20150017232A KR 1020130093241 A KR1020130093241 A KR 1020130093241A KR 20130093241 A KR20130093241 A KR 20130093241A KR 20150017232 A KR20150017232 A KR 2015001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ood waste
hot air
cutt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진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윤원진
이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진, 이호진 filed Critical 윤원진
Priority to KR102013009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232A/ko
Publication of KR2015001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도록 거름망을 구비한 탈수부와, 거름망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도록 커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탈수부(10)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11)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되고 바닥에 인접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는 커터(21)가 배치된 거름망(12)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퍼(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음식물 탈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저수조를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음식물 탈수와 탈염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탈염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건조통을 순환하도록 열풍순환장치를 구비한 건조수단을 포함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배출되는 열풍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응축부가 제공되고 그 응축부를 통해 건조된 열풍은 유입부쪽으로 연통되어 열풍이 건조통을 계속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열풍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함과 함께 외부로 건조 열풍이 배출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전처리로서 탈수한 다음, 분쇄하기에 앞서 고온열풍을 순환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며 순환되는 열풍에 혼합된 건조분을 제거하는 스크러버를 갖춘 열풍 건조구조를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 방법은 매립과 소각에 의하고 있으나, 매립은 매립지의 고갈과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소각은 최종 처리하게 되는 량은 감소되지만 소각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문제와 함께 고비용의 문제가 있다.
음식물 쓰레기와 관련하여 최선의 방법은 배출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최근 정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 관련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무게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도록 관련법을 개정하였다.
음식물 쓰레기의 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탈수, 건조 및 분쇄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분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점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 건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각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발생되는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배출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도록 여러가지의 음식물 처리기가 시판되고 있으나 만족스럽지 못하고 있다.
2005.06. 16자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497259호의 "열풍 순환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2중 건조기"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내부에 1차 건조를 위한 보조건조통과, 2차 건조를 위한 주건조통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열풍에 의해 보조건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1차 건조되면 주건조통에서 재차 건조가 행해지도록 하고, 외기 도입구 부근, 보조건조통 부근 및 배출구 부근에 각각 팬을 설치하여 강제적인 열풍순환이 가능토록 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기술에서 주건조통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2차건조를 행한 열풍은 배기팬으로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이중 건조를 위한 주건조통과 보조건조통을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012.12.03자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30376호의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에는 음식쓰레기가 절단부로 내려와 2중으로 형성된 커터에 의해 절단되며, 하단커터와 일정 간격으로 타공이 되어 있는 원형 고정판과 교차되며 잔류물이 타공의 구멍보다 적은 것은 회전축에 고정된 커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며, 하부의 연동되어 회전하는 임페라에 의해 압축 탈수되고, 압축 탈수된 잔류물은 건조 통 내부 상단에 있는 개폐 디스크가 열리고, 임페라의 회전 운동에 의해 건조부의 건조 통 내부로 낙하되며, 건조통의 일측면에는 열풍기가 있어 히터에 가열된 열을 팬으로 불어 건조 통 내부로 주입하며, 낙하된 잔류물은 건조 통의 중심에 있는 교반 축 하단의 커터에 의해서 회전되며 건조가 완료된 잔류물은 배출 모타의 축이 수직운동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에 의해 건조 통의 하부 배출구가 열리며 수납함으로 낙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탈수과정에서 음식물이 구멍에 끼여 탈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열풍기에 의한 잔류물 건조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 및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97259호 (2005.06. 16 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30376호 (2012.12.0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순환되는 열풍에 의해 효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건조시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후속적인 분쇄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최소화도록 개선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도록 거름망을 구비한 탈수부와, 거름망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도록 커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되고 바닥에 인접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는 커터가 배치된 거름망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퍼는 그 상단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그 톱니부에 기어가 맞물려서 탈수통 외측에 젝오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거름망 내측을 쓸어 거름망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탈수 성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수통에는 복수개의 세척 노즐들이 배치되어 거름망으로 물을 분사하여 거름망의 구멍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름망 내측으로 밀어 넣음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희석하여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수통에는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이 제공되고 그 탈수배출관에는 저수통이 배치되어 저수통을 통해 다시 탈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거름망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반복적으로 탈염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수통의 바닥에는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방수게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방수게이트는 일측의 저면이 웜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웜의 상단에 일체화된다.
상기 웜은 내부의 홀에 나사가 형성되어 축부가 나사결합되어서 웜기어에 의해 웜이 회전될 때 축부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면서 탈수통의 배출구를 밀폐하는 폐쇄위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하측으로 배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건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건조통을 순환하도록 열풍순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순환장치는 건조통의 외측에 제공된 히터와 팬을 구비하여 열풍을 건조통으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와, 그 반대쪽의 건조통에 배치되어 건조통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 다음 배출되는 열풍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풍 배출부에는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배출되는 열풍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응축부가 제공되고 그 응축부를 통해 건조된 열풍은 유입부쪽으로 연통되어 열풍이 건조통을 계속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부의 파이프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접촉되어 배치된 냉각수파이프가 제공되어 응축부를 통과하는 열풍을 냉각하여 건조통을 순환하는 열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면서 함유한 수분을 응축시켜 배출되게 하여 건조된 열풍이 히터와 열풍 공급부를 통해 다시 건조통으로 유입되어 건조통에서 음속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풍을 계속적으로 순환되게 한다.
상기 응축부의 내부에는 건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배출되는 열풍에 함유되는 음식물 쓰레기 미립자를 분무되는 물입자로 응집하여 제거하도록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상기 건조통 저면에는 바닥에 인접하여 원형의 분쇄링이 배치되고 분쇄링의 내측에는 건조통의 바닥 저면에 배치된 메인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임펠러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임펠러는 분쇄링 내측에 인접하게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의 중앙에 'V'자 형상으로 된 컷터와, 상기 분쇄링 내측에서 양단이 인접하게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의 중앙에 'V'자 형상으로 된 컷터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분쇄링(32)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컷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된 다음 유입되는 건조통에서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건조통을 순환하도록 열풍순환장치를 구비한 건조수단을 포함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배출되는 열풍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응축부가 제공되고 그 응축부를 통해 건조된 열풍은 유입부쪽으로 연통되어 열풍이 건조통을 계속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순환되는 열풍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함과 함께 외부로 건조 열풍이 배출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탈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탈수부의 탈수통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방수게이트 개폐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방수게이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건조부와 분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과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열풍순환장치와 탈수통에서의 탈수 배출관 및 게이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7에 있어서, 도면 도시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염과 컷팅을 함께 하는 탈수부(10)와, 탈수부에서 탈염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분쇄하는 분쇄부(30) 및 상기 분쇄부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탈수부(10)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11)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된 거름망(12)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퍼(13),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안전 투입구(14)를 포함한다.
상기 거름망 내측에 배치되는 스위퍼(13)는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수평지지부재에 의해 연결된 환형의 하측 링부재와, 하측 링부재의 상면에 복수개소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측 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퍼 내에는 바닥에 커터(21)가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한다.
상기 투입구(14)에는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넣게 될 때 걸려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위퍼(13)는 그 상단에 톱니부(15)가 형성되고 그 톱니부에 기어(16)가 맞물려서 탈수통 외측에 제공된 모터(17)에 의해 스위퍼가 회전되면서 거름망 내측을 쓸어 거름망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탈수 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수통에는 복수개의 세척 노즐(18)들이 배치되어 거름망으로 물을 분사하여 거름망의 구멍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름망 내측으로 밀어 넣음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희석하여 제거되게 한다.
상기 탈수통(11)에는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19)이 제공되고 그 탈수배출관에는 저수통(20)이 배치되며, 상기 저수통(20)에는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에 개방되는 수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밸브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예를들어 미리 설정되는 수위가 탈수배출관까지인 경우 된 수위가 탈수배출관(19) 보다 높은 경우에만 배수되므로 탈수배출관까지 수위에 의한 탈수된 물은 탈수통으로 유입되어 마치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세척하는 것과 같이 탈수통내의 거름망에 음식물 쓰레기를 탈염되게 하여 탈염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탈수통의 바닥에는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방수게이트(23)가 배치되고, 상기 방수게이트는 일측의 저면이 웜(24)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웜(24)은 웜기어(25)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웜(24)은 내부의 홀에 나사가 형성되어 축부(26)가 나사결합되어서 웜기어(25)에 의해 웜(24)이 회전될 때 축부(26)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면서 탈수통의 배출구를 밀폐하는 폐쇄위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하측으로 배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부는 거름망 내측에서 스위퍼가 배치되어 거름망을 청소하여 탈수성능이 유지되게 하며, 세척수 분사노즐에 의해 그리고 저수조로 부터의 물이 유입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 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수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분쇄부(30)는 건조통(31)을 포함하며, 건조통의 바닥에 인접하여 원형의 분쇄링(32)이 배치되고 분쇄링의 내측에는 분쇄임펠러(33)이 설치되어 건조통의 바닥 저면에 배치된 메인 모터(34)에 의해 분쇄임펠러가 회전된다. 상기 건조통의 바닥에는 모터(35)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 게이트(36)가 제공된다.
상기 분쇄임펠러(3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쇄링(32) 내측에서 분쇄링의 내측면에 양단이 인접하도록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의 중앙에 'V'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김치조각과 같은 것을 세절하는 컷터(37)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컷터(38)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링(32)은 분쇄작용을 위해 분쇄요소로서 홀이 형성되거나 돌기가 형성되어 인접하여 회전하는 상기 컷터(38) 사이의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게 한다.
또한, 상기 건조통의 내측에는 상기 분쇄임펠러 보다 위쪽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컷터(39)가 형성된다. 상기 컷터(39)의 칼날은 분쇄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로써 회전하는 분쇄임펠러의 V자형의 컷터(37)와 양단의 돌출된 컷터(38)들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면서 회전하며, 그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양단의 돌출된 컷터(38)와 분쇄링(32) 사이에서 분쇄됨과 함께 컷터(39)에 의해서도 분쇄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미세 분말로 분쇄된다.
상기 건조통에는 유입된 탈수 및 탈염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에 의해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건조수단은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건조통을 순환하도록 열풍순환장치(41)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순환장치는 건조통의 외측에 제공된 히터와 팬을 구비하여 열풍을 건조통으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43)와, 그 반대쪽의 건조통에 배치되어 건조통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 다음 배출되는 열풍 배출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 배출부에는 배출되는 젖은 열풍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응축부(45)가 제공되고 그 응축부를 통해 건조된 열풍은 유입부쪽으로 연통되어 열풍이 건조통을 계속적으로 순환된다.
상기 응축부(45)는 열풍 배출부에서 열전달이 양호한 재질의 파이프(46)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응축부의 파이프(46)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접촉되어 배치된 냉각수파이프(47)가 제공되어 응축부를 통과하는 열풍을 냉각하여 건조통을 순환하는 열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면서 함유한 수분을 응축시켜 배출되게 하여 건조된 열풍이 히터와 열풍 공급부를 통해 건조통으로 유입됨으로써 본 발명에서 건조통을 거쳐 음속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풍은 계속적으로 순환된다. 상기 응축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건조통 바닥 하측에 제공된 메인 배수관(49)에 연통된다.
또한, 응축부(45)의 내부에는 노즐(55)에 의해 물이 분무되어 건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배출되는 열풍에 함유되는 음식물 쓰레기 미립자가 분무되는 물입자와 함께 응축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순환장치(41)의 파이프와, 상기 저수통(20)으로 부터 배수를 위한 배수파이프가 메인 배수관(49)에 연통되어 있어서, 열풍순환장치의 응축부(45)에서 응축된 물과 저수통에서의 탈수된 배출수가 메인 배수관을 통해 함께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콤팩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풍순환장치의 파이프가 메인 배수관의 수직연결관(50)에 연통되는 위치(51)는 저수통에서 탈수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가 연통되는 위치(52)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서 저수통에서의 배출수가 열풍순환장치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와 건조와 관련하여, 상기 건조통에서 건조수단으로서의 열풍순환장치에 의해 먼저 건조된 다음 진행되는 것이 분쇄효율을 위하여 바람직하지만, 분쇄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분쇄와 함께 열풍순환장치에 의한 열풍 공급으로 분쇄와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계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에서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탈수통과 건조통의 용량을 증대시켜 업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탈수시키고 건조 및 분쇄하여 배출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탈염처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10 : 탈수부 11 : 탈수통
12 : 거름망 13 : 스위퍼
18 : 세척 노즐 19 : 탈수배출관
20 : 저수통 21 : 커터
32 : 분쇄링 33 : 분쇄임펠러
37, 38, 39 : 컷터 41 : 열풍순환장치
43 : 열풍 공급부 44 ; 열풍배출부
45 : 응축부 47 : 냉각수파이프

Claims (12)

  1.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도록 거름망을 구비한 탈수부와, 거름망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도록 커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10)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11)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되고 바닥에 인접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는 커터(21)가 배치된 거름망(12)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퍼(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퍼(13)는 그 상단에 톱니부(15)가 형성되고 그 톱니부에 기어(16)가 맞물려서 탈수통 외측에 제공된 모터(17)에 의해 회전되면서 거름망 내측을 쓸어 거름망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탈수 성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에는 복수개의 세척 노즐(18)들이 배치되어 거름망으로 물을 분사하여 거름망의 구멍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름망 내측으로 밀어 넣음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희석하여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11)에는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19)이 제공되고 그 탈수배출관에는 저수통(20)이 배치되어 저수통을 통해 다시 탈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거름망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반복적으로 탈염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항, 2항,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의 하측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도록 건조통이 제공되고, 상기 건조통 저면에는 바닥에 인접하여 원형의 분쇄링(32)이 배치되고 분쇄링의 내측에는 건조통의 바닥 저면에 배치된 메인 모터(3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임펠러(33)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임펠러(33)는 김치조각과 같은 것을 세절하는 중앙에 'V'자 형상으로 된 컷터(37)와, 상기 분쇄링(32)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인접하도록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에서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컷터(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항, 2항 및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의 바닥에는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방수게이트(23)가 배치되고, 상기 방수게이트는 일측의 저면이 웜기어(25)에 의해 회전되는 웜(24)의 상단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웜(24)은 내부의 홀에 나사가 형성되어 축부(26)가 나사결합되어서 웜기어(25)에 의해 웜(24)이 회전될 때 축부(26)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면서 탈수통의 배출구를 밀폐하는 폐쇄위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하측으로 배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건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건조통을 순환하도록 열풍순환장치(41)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순환장치는 건조통의 외측에 제공된 히터와 팬을 구비하여 열풍을 건조통으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43)와, 그 반대쪽의 건조통에 배치되어 건조통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 다음 배출되는 열풍 배출부(44)를 구비하고,
    상기 열풍 배출부에는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배출되는 열풍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응축부(45)가 제공되고 그 응축부를 통해 건조된 열풍은 유입부쪽으로 연통되어 열풍이 건조통을 계속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45)의 파이프(46)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접촉되어 배치된 냉각수파이프(47)가 제공되어 응축부를 통과하는 열풍을 냉각하여 건조통을 순환하는 열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면서 함유한 수분을 응축시켜 배출되게 하여 건조된 열풍이 히터와 열풍 공급부를 통해 다시 건조통으로 유입되어 건조통에서 음속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풍을 계속적으로 순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45)의 내부에는 건조통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배출되는 열풍에 함유되는 음식물 쓰레기 미립자를 분무되는 물입자로 응집하여 제거하도록 분사노즐(55)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 저면에는 바닥에 인접하여 원형의 분쇄링(32)이 배치되고 분쇄링의 내측에는 건조통의 바닥 저면에 배치된 메인 모터(3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임펠러(33)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임펠러(33)는 김치조각과 같은 것을 세절하는 중앙에 'V'자 형상으로 된 컷터(37)와, 상기 분쇄링(32) 내측에서 양단이 인접하게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의 중앙에 'V'자 형상으로 된 컷터(37)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분쇄링(32)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컷터(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통에서 건조하여 분쇄하도록 된 회전 컷터가 건조통에 제공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 저면에는 바닥에 인접하여 원형의 분쇄링(32)이 배치되고 분쇄링의 내측에는 건조통의 바닥 저면에 배치된 메인 모터(3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임펠러(33)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임펠러(33)는 분쇄링(32) 내측에서 양단이 인접하게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의 중앙에 'V'자 형상으로 된 컷터(37)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분쇄링(32)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컷터(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30093241A 2013-08-06 2013-08-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41A KR20150017232A (ko) 2013-08-06 2013-08-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41A KR20150017232A (ko) 2013-08-06 2013-08-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232A true KR20150017232A (ko) 2015-02-16

Family

ID=5304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41A KR20150017232A (ko) 2013-08-06 2013-08-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2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0894A (zh) * 2020-03-12 2020-07-03 许军 一种医疗用废弃输液管自动处理装置
CN114378101A (zh) * 2022-01-12 2022-04-22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WO2023128171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0894A (zh) * 2020-03-12 2020-07-03 许军 一种医疗用废弃输液管自动处理装置
CN111360894B (zh) * 2020-03-12 2021-04-30 杜长征 一种医疗用废弃输液管自动处理装置
WO2023128171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N114378101A (zh) * 2022-01-12 2022-04-22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CN114378101B (zh) * 2022-01-12 2023-11-28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583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18727A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006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261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953448B2 (ja) 台所用食べ物屑処理装置
KR101291524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WI624311B (zh) 廚餘處理裝置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3266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45258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04507A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JP2727452B2 (ja) 生ゴミの処理法と装置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5753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기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1500557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0645881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25073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