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061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061A
KR20100040061A KR1020080099109A KR20080099109A KR20100040061A KR 20100040061 A KR20100040061 A KR 20100040061A KR 1020080099109 A KR1020080099109 A KR 1020080099109A KR 20080099109 A KR20080099109 A KR 20080099109A KR 20100040061 A KR20100040061 A KR 2010004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housing
motor shaft
funnel
seal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332B1 (ko
Inventor
박노형
김동회
Original Assignee
박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형 filed Critical 박노형
Priority to KR102008009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3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처리장치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배출관이 연통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모터 축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송하는 깔때기 유닛; 및 상기 모터 축에 대해 상하이동 및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며, 상기 깔때기 유닛이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 폐기물, 음식쓰레기, 원심력, 절단 분쇄, 분쇄력, 메시, 탈수, 이송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에 의한 절단 분쇄에 의해 분쇄력을 향상시키고 탈수와 이송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 혹은 음식 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토양 및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및 찌꺼기는 음식물 쓰레기처리법에 의거하여 침출수가 없는 상태로 건조한 상태에서 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하여야 함에 불구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고, 침출수가 없는 상태로 건조하는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 아직도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로 쓰레기 봉투에 담아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여름철과 같은 혹서기에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주위로 파리 등이 모이거나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을 제공되고, 이 침출수가 하천 혹은 지하수로 스며들어 환경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더욱더 진보하여서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분해하고 교반 하여 히터로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이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플라즈마 부재, 이온부재 및 필터부재 등으로 된 탈취장치를 사용하여서 악취를 제거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일반 가정 및 업소에서는 싱크대 즉,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이를 탈수시키는 음식물 처리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대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하천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이를 걸러내어 분쇄 및 탈수과정을 통해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국내등록특허 제753808호와 제745458호에 개시된 것처럼, 한 축으로 형성된 스크류에 이송, 분쇄 및 압착 기능을 제공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남은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배출함으로써 음식물이 수분에 의해 부패하여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스크류가 음식물 쓰레기를 짓이겨 분쇄하기 때문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경우, 분쇄력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나 분쇄 기어에 의하여 음식물을 분쇄 및 압착할 경우, 스크류의 특성상 스크류 후면에서 계속적인 음식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스크류 후단의 반 이상 부분에 음식물 쓰레기가 낀 상태에서 잔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부패하여 냄새를 유발하여 비위생적인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여 냄새 및 위생상의 큰 저해요소가 된다.
특히, 싱크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많은 경우 스크류를 통해 물이 다음의 건조실로 넘어가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계의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와 이송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하여 분쇄력을 향상시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와 탈수 및 이송을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배출관이 연통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모터 축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송하는 깔때기 유닛; 및 상기 모터 축에 대해 상하이동 및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며, 상기 깔때기 유닛이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배출관이 연통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하 연통하고, 상기 투입구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의 배출공이 다수 개 형성된 투입 헤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모터 축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상기 투입 헤드의 하단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축의 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분쇄를 위한 다수의 커터가 표면에 형성된 절단분쇄 유닛;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송하는 깔때기 유닛; 및 상기 모터 축에 대해 상하이동 및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며, 상기 깔때기 유닛이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절단 분쇄하기 때문에 분쇄력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이 깔때기의 경사진 내측면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처리장치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잔류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쇄와 탈수 및 이송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밀폐 공간 내에서 하나의 구동 모터(20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및 이송이 한꺼번에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의 상부 중앙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투입구(104)의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rib; 102)를 돌출하고, 여기에 뚜껑(106)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투입구(104)의 형태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입 헤드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표면 가장자리에는 분쇄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관(400)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깔때기(11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배출관(400)에는 밸브실(410)이 연통되며, 밸브실(410)에는 배출관(400)과 하우징(100)의 경계에서 개폐하는 밸브(414)를 제어하는 제어유닛(412), 가령 솔레노이드 장치가 설치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의해 밸브(414)가 개폐되는 구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412)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밸브(414)의 개폐를 제어한다.
하우징(100)의 저면 외측에는 배수관(420)이 연통하여 탈수에 의해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한다. 바람직하게, 탈수된 물이 잘 배수되도록 하우징(100)의 저면은 배수관(420)까지 일정한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 하부에는 구동 모터(200)가 설치되고, 모터 축(210)은 하우징(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하우징(100) 저면의 관통공에는 모터 축(2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 블록(220)이 끼워진다.
모터 축(210)의 중간 부분에는 꼭지점 부분이 편평한 고정판(112)을 이루어진 깔때기(110)가 고정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2)이 모터 축(210)에 고정된다. 깔때기(110)는 그 단부가 하우징(100)의 상부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인접하는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깔때기(110)는 고정판(112)을 중심으로 일정한 경사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데, 경사각은 원심력에 의해 깔때기(110) 내부의 경사진 측면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될 수 있는 각도이면 된다. 여기서, 깔때기(110)는, 가령, 플라스틱 몸체에 다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부재이거나, 프레임에 금속 메시를 씌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깔때기(110)는 모터 축(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을 탈수하는 기능과 내부의 경사진 측면을 따라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위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고정판(112)의 상부에는 베어링 블록(122)이 끼워지고, 베어링 블록(122)의 외측에 한 쌍의 블레이드(120, 121)가 대칭으로 설치되며, 블레이드(120)의 가장자리는 깔때기(11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하우징(100)의 상부 내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접촉한다. 이때, 블레이드(120, 12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120, 121)의 폭을 좁게 할 필요가 있으며, 회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베어링 블록(122)의 높이를 가능한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블레이드(120, 121)는 모터 축(210)이 회전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베어링 블록(122)에 의해 이격한 간극에서 상하로 운동함으로써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음식물 쓰레기를 긁거나 충격을 가해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예비 건조하기 위한 건조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가령, 깔때기(110)를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제작하고 외측면에서 관통공(1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열선을 설치하거나, 하우징(100)에 열풍 공급관을 연통하여 열풍을 공급하여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화살표 a로 나타낸 것처럼, 뚜껑(106)을 열고 투입구(104)를 통하여 절단 분쇄되고 물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이어, 구동 모터(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면, 모터 축(210)에 결합한 고정판(112)과 이에 연결된 깔때기(110)가 회전하며, 투입구(104)로 투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깔때기(1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이 관통공(111)을 통하여, 도 2의 화살표 b로 나타낸 것처럼, 깔때기(110) 밖으로 배출된다.
깔때기(110) 밖으로 배출된 물은, 도 2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 저면에서 외측에 연통된 배수관(4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하우징(100) 저면에는 배출된 물이 배수관(420)으로 잘 흐르도록 일정한 각도로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모터 축(210)에 끼워진 베어링 블록(122)은 모터 축(210)의 회전에 관계없이 회전하거나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블록(122)에 고정된 블레이드(120)도 모터 축(210)의 회전에 대응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모터 축(210)이 회전하는 동안, 블레이드(120)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거나 일시 정지하거나 상하운동을 한다.
결과적으로, 블레이드(120)는 깔때기(110)의 내측면과 하우징(10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어 모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모터 축(210)의 회전에 의해 깔때기(110)가 회전하는데 반해, 블레이드(120)는 독립하여 느린 속도로 회전하거나 일시 정지하거나 또는 상하운동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상부 내면이나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가 블레이드(120)에 긁히거나 충격을 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깔때기(110)의 내측면을 타고 올라가는데, 이때 블레이드(120)가 상하운동으로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충격을 주기 때문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을 더욱 받기 쉬운 상태가 되어 모인 상태에서 잘 오르게 된다.
한편,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탈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지시하면, 제어유닛(412)은 이를 감지하여 밸브(414)를 연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깔때기(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열선을 이용하여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깔때기(110) 내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깔때기(110)의 회전에 의해 여전히 원심력을 받고 있으며, 이 원심력에 의해 경사진 깔때기(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송하다가, 밸브(414)가 열리면, 도 2의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400)을 통하여 다음의 처리유닛, 가령 건조유닛으로 이송된다.
상기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이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도 처리장치 내에 잔류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수와 이송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분쇄판(130)이 모터 축(210)에 장착되고, 투입 헤 드(300)가 하우징(100)의 투입구(104)에 끼워져 설치되어 절단분쇄와 탈수 및 이송이 하나의 모터 축(210)에 의해 수행된다는 점에서 상기의 일 실시 예와 차이를 갖는다.
투입 헤드(300)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고 외측면 중간 부분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턱(302)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 돌출 턱(302)은 투입 헤드(300)를 하우징(100)의 투입구(106)에 끼울 때, 리브(102)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배출공(310)이 다수 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배출공(310)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강재의 보강 스트립(312)이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터(140)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절단 분쇄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공(310)의 크기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 정도로 한정하여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출공(310)을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하는 깔때기(110) 내부에서 윗쪽으로 비산하지 않고 직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차단판을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투입 헤드(300)의 외주면에서 배출공(310)의 상단 쪽에 일단이 나사(321)에 의해 고정되고 배출공(310)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차단판(320)을 설치함으로써, 배출공(310)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차단판(3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직하 방향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차단판(320)은 투입 헤드(300)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투입 헤드(300)의 중간 부분에는 오버플로관(430)이 연통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이 오버플로관(430)을 통하여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음식물 쓰레기 자체는 배출되지 않도록 오버플로관(430)의 배출구에 거름망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투입 헤드(300)의 내측면에는 물 감지센서(413)가 설치되며, 투입 헤드(300)의 내측면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투입될 음식물 쓰레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물 감지센서(413)로부터 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유닛(412)은 밸브(414)를 열게 된다.
여기서, 물 감지센서(413)와 제어유닛(412)의 전기적 통로는, 가령, 도 3과 같이, 투입 헤드(300)의 돌출 턱(302)과 하우징(100)의 리브(102)가 접촉하는 부분에 도전패턴(415)을 만들어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쇄판(130)은 투입 헤드(300) 하단으로부터 내부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도록 투입 헤드(300)의 하단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분쇄판(130)의 표면에는 다수의 커터(140)가 설치되며, 각각의 커터(140)는 양단에서 직립한 제 1 커터날(141)과 제 2 커터날(142)을 구비하며, 한 쌍의 고정 핀(143)에 의해 분쇄판(130)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커터날(142)은 보강 스트립(312)과의 사이에 위치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한다. 또한, 분쇄판(130)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슬롯(132)이 다수 개 형성된다.
분쇄판(130)의 이면 중앙에는 축 결합 블록(304)이 돌출되는데, 축 결합 블록(304)에는 다수의 결합 돌기(305)가 형성되어 모터 축(21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홈(215)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분쇄판(130)의 중앙에 볼트(212)를 끼워 모터 축(210)의 볼트 홈(211)에 볼트 결합함으로써 분쇄판(130)과 모터 축(210)을 결합한다.
이하, 다른 실시 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살표 a로 나타낸 것처럼, 물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 헤드(300)의 상단 개구로부터 투입한다.
이어, 구동 모터(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면, 모터 축(210)의 단부에 결합한 분쇄판(130)이 회전하면서 분쇄판(130) 위에 설치된 커터(140)가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한다.
일정한 크기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도 2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쇄판(1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투입 헤드(300)의 배출공(310)을 통하여 배출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축(210)의 회전에 의해 분쇄판(130)이 회전함과 동시에 고정판(112)과 이에 연결된 깔때기(110)가 회전하며, 투입구(104)로 투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깔때기(1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깔때기(1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이 관통공(111)을 통하여, 도 2의 화살표 c로 나타낸 것처럼, 깔때기(110) 밖으로 배출된다. 깔때기(110) 밖으로 배출된 물은, 도 5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 저면에서 외측에 연통된 배수관(4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깔때기(110)의 내측면을 타고 올라간다.
한편,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절단 분쇄가 모두 이루어져서 깔때기(110)로 모두 이송되면, 물 감지센서(413)는 투입 헤드(300)의 내측면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투입될 음식물 쓰레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물 감지센서(413)로부터 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유닛(412)은 밸브(414)를 연다.
이때, 깔때기(110) 내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깔때기(110)의 회전에 의해 여전히 원심력을 받고 있으며, 이 원심력에 의해 경사진 깔때기(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송하다가, 밸브(414)가 열리면, 도 5의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400)을 통하여 다음의 처리유닛, 가령 건조유닛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예에 의하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절단 분쇄하기 때문에 분쇄력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쇄와 탈수 및 이송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물 감지센서로는 우적 센서를 적용하거나 뚜껑과 같은 형태의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투입 헤드 대신에 별도로 설치된 절단 분쇄유닛으로부터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처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차단판을 구비한 투입 헤드를 나타낸다.

Claims (10)

  1.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배출관이 연통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모터 축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송하는 깔때기 유닛; 및
    상기 모터 축에 대해 상하이동 및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며, 상기 깔때기 유닛이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배출관이 연통하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하 연통하고, 상기 투입구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의 배출공이 다수 개 형성된 투입 헤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모터 축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
    상기 투입 헤드의 하단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축의 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분쇄를 위한 다수의 커터가 표면에 형성된 절단분쇄 유닛;
    경사진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송하는 깔때기 유닛; 및
    상기 모터 축에 대해 상하이동 및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하며, 상기 깔때기 유닛이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 헤드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절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과 배출관의 경계에는 상기 밀폐 공간과 배출관의 연통로를 열거나 닫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 헤드의 내측면에 설치된 물 감지센서; 및
    상기 물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밀폐 공간과 배출관의 경계에 설치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 유닛은 꼭지점에 편평한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몸체의 깔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모터 축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깔때기의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서 상기 밀폐 공간에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강재의 보강 스트립이 상기 투입 헤드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 유닛의 외측면에 열선이 설치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이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 헤드의 외주면에서 상기 배출공의 상단 쪽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배출공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차단판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차단판에 의해 가이드되어 직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80099109A 2008-10-09 2008-10-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09A KR101106332B1 (ko) 2008-10-09 2008-10-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09A KR101106332B1 (ko) 2008-10-09 2008-10-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61A true KR20100040061A (ko) 2010-04-19
KR101106332B1 KR101106332B1 (ko) 2012-01-18

Family

ID=4221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09A KR101106332B1 (ko) 2008-10-09 2008-10-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33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4129A1 (en) * 2009-07-03 2012-05-03 No Hyeong PARK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1318504B1 (ko) * 2009-11-05 2013-10-16 강주현 정제 알약의 원료 정립을 위한 라인 정립기
WO2014055633A1 (en) * 2012-10-02 2014-04-10 Urschel Laboratories, Inc. Material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1448503B1 (ko) * 2013-06-26 2014-10-13 박갑순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36790A (ko) 2014-05-28 2015-12-08 코웨이 주식회사 와이퍼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N106631194A (zh) * 2016-09-21 2017-05-10 爱唯科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的处理方法
CN110563488A (zh) * 2019-10-07 2019-12-13 广西宏发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动物粪便有机肥前段发酵装置
KR20210082023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76226A (ko) * 2021-11-24 2023-05-31 김현숙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254B1 (ko) * 2001-02-06 2004-01-24 (주)청강벤처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4129A1 (en) * 2009-07-03 2012-05-03 No Hyeong PARK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US8584977B2 (en) * 2009-07-03 2013-11-19 No Hyeong PARK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ith centrifugal dehydrator
KR101318504B1 (ko) * 2009-11-05 2013-10-16 강주현 정제 알약의 원료 정립을 위한 라인 정립기
WO2014055633A1 (en) * 2012-10-02 2014-04-10 Urschel Laboratories, Inc. Material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9033268B2 (en) 2012-10-02 2015-05-19 Urschel Laboratories, Inc. Material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1448503B1 (ko) * 2013-06-26 2014-10-13 박갑순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36790A (ko) 2014-05-28 2015-12-08 코웨이 주식회사 와이퍼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N106631194A (zh) * 2016-09-21 2017-05-10 爱唯科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的处理方法
CN110563488A (zh) * 2019-10-07 2019-12-13 广西宏发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动物粪便有机肥前段发酵装置
KR20210082023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76226A (ko) * 2021-11-24 2023-05-31 김현숙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332B1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06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7452B1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내에함유된 수분 및 염분의 제거방법
KR1007928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3261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55249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100539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1009Y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4003511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54407Y1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88470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50099423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301934B1 (ko) 음식쓰레기처리장치
KR100362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2148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7

Effective date: 2011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