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09Y1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1009Y1 KR200431009Y1 KR2020060016781U KR20060016781U KR200431009Y1 KR 200431009 Y1 KR200431009 Y1 KR 200431009Y1 KR 2020060016781 U KR2020060016781 U KR 2020060016781U KR 20060016781 U KR20060016781 U KR 20060016781U KR 200431009 Y1 KR200431009 Y1 KR 2004310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dirt
- grinding
- purification laye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9 har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6—Purg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는 분쇄수단 일측에 절단날을 구비하여 음식물의 탈수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쓰레기를 1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1분쇄구(120)와, 상기 제1분쇄구(120)에 의해 분쇄 및 압축된 음식쓰레기를 2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2분쇄구(140)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절단날(160)이 구비된 분쇄수단(100)과;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탈수된 찌꺼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200)과;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탱크(300)와; 상기 오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 및 절단날(160)은 중심에 회전축(182)이 삽입 고정되어 동심원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 능력이 향상되며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음식쓰레기, 스크류, 절단, 압축, 정화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인 분쇄수단을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인 액혼합수단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분쇄수단 102. 투입구
104. 건조관 106. 오물관
110. 하우징 110'. 원통관
110". 차폐판 112. 분쇄공간
112'. 제1분쇄공간 112". 제2분쇄공간
120. 제1분쇄구 122. 제1스크류
140. 제2분쇄구 142. 제2스크류
160. 절단날 180. 동력장치
182. 회전축 184. 동력전달밸트
200. 건조수단 202. 증기배출관
220. 건조공간 240. 발열체
300. 오물탱크 302. 오물이동관
320. 임시저장공간 340. 희석수단
342. 물유동관 344. 수위감지센서
346. 차단밸브 400. 정화수단
420. 제1정화층 422. 제1유로
424. 제1밸브 440. 제2정화층
442. 제2유로 444. 제2밸브
460. 제3정화층 462. 제3유로
464. 제3밸브 480. 수조
482. 배수관 484. 배수차단밸브
500. 액혼합수단 502. 저장용기
503. 보조공급관 508. 연결호스
510. 혼합부 520. 오물안내관
522. 오물혼합관 530. 첨가제안내관
532. 첨가제혼합관 536. 개폐밸브
540. 배출관 D . 배수구
L . 첨가액체 P . 펌프
S . 씽크대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는 분쇄수단의 내부 일측에 음식쓰레기를 잘게 자르는 절단날을 구비함으로써 음식쓰레기의 탈수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쓰레기를 압축 탈수한 후 가열하여 건조시킴과 동시에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함으로써 음식쓰레기의 위생적인 처리를 돕는 장치이다.
오늘날 폭발적인 인구증가로 인해 음식쓰레기 또한 증가하여 전세계적으로 하루에 수백만톤의 음식쓰레기가 발생되는 실정이다. 그리고, 늘어나는 음식쓰레기를 전량 처리할 수 있는 실정이 아니므로 대부분 매립장에 매립되어 처리됨으로써 악취가 발생되고, 매립된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으로 인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등 음식쓰레기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는 심각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음식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1997-0006559, 쓰레기 처리장치" 역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상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의 일측에는 음식쓰레기(W)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12)의 하측에는 음식쓰레기(W) 중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함과 동시에 분쇄시키는 분쇄탈수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탈수실(13)의 내부에는 구동수단(14)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음식쓰레기(W)를 분쇄 및 압축함과 동시에 탈수시키는 스크류축(1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쓰레기(W)중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탈수실(13)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공(13a) 내부로 배출된 수분을 배수통로(16a)를 통하여 배수관(17)으로 배출시키기는 저수부(16)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수부(16)의 하측에는 상기 분쇄탈수실(13)에서 배출된 음식쓰레기(W)를 저장하는 저장박스(18)가 슬라이딩에 의해 인출/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박스(18)의 우측면에는 상기 저장박스(18)의 인출/입을 위한 손잡이(18b)가 구비된다.
상기 분쇄탈수실(13)과 쓰레기 저장박스(18)에는 배출관(19)이 연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쓰레기 저장박스(18)의 하측에는 음식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수단(20)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저장박스(18)의 상측에는 증발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관(18a)이 상기 배수관(17)과 연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수관(17)의 상측에는 음식쓰레기(W)에서 발생된 냄새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2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21)의 상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 등의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탈취수단(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상기 배기관(21)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23)이 팬모터(24)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음식쓰레기(W)가 분쇄 및 압축으로 탈수되는 분쇄탈수실(13)에는 스크류축(15)만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축(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단단한 음식쓰레기(W), 예컨대 생선머리가 분쇄탈수실(13) 내부로 투입되면 상기 스크류축(15)은 이를 분쇄하지 못하고 탈수 기능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탈수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음식쓰레기(W)가 덩어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배수공(13a)을 막게 되면 스크류축(15)의 날에 무리한 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스크류축(15)의 파손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류축(15)이 파손되면 수리비용이 발생되므로 사용자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10)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쓰레기를 분쇄 및 탈수하는 분쇄수단의 내부 일측에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더 구비하여 큰 부피의 음식쓰레기가 잘게 잘리도록 함으로써 분쇄수단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쇄수단 내부 일측에 다수개의 스크류를 구비하고 다수개의 스크류 외주면에 형성된 날의 간격을 상이하게 형성하여 음식쓰레기에 대한 탈수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쓰레기를 1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1분쇄구와, 상기 제1분쇄구에 의해 분쇄 및 압축된 음식쓰레기를 2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2분쇄구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구비된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수단 내부에서 탈수된 찌꺼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분쇄수단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탱크와; 상기 오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분쇄구와 제2분쇄구 및 절단날은 중심에 회전축이 삽입 고정되어 동심원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물탱크와 정화수단 사이에는 상기 오물탱크 내부의 오물이 정화수단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물이동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물이동관의 일측에는, 상기 정화수단으로 유동하는 오물에 첨가액체를 공급하는 액혼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수단에는, 내부에 분쇄공간을 형성하여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음식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외부로 천공된 투입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쇄구와 제2분쇄구의 외주면에는 나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나선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는 제2스크류보다 나선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쇄구와 제2분쇄구 및 절단날은 동심원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 하측에는 제1분쇄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혼합수단은, 상기 오물과 첨가액체가 혼합되는 혼합부와, 상기 오물이동관과 연통되어 오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물안내관과, 상기 오물안내관과 연통되어 오물이 상기 혼합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물혼합관과, 저장용기에 저장된 첨가액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보조공급관과, 상기 보조공급관과 연통되어 첨가액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첨가제안내관과, 상기 보조공급관 내부를 유동하는 첨가액체가 상기 혼합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첨가제혼합관과,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된 오물과 첨가액체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물혼합관과 첨가제혼합관은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물탱크 일측에는, 오물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오물을 희석하는 희석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희석수단은, 상기 오물탱크 내부와 연통되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물유동관과, 상기 오물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물유동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오물탱크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순차적으로 정화하는 제1정화층과, 제2정화층 및 제3정화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정화층, 제2정화층 및 제3정화층은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정화층의 하측에는 정화된 물이 집수되는 수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정화층, 제2정화층 및 제3정화측의 일측에는, 상기 제1정화층, 제2정화층 및 제3정화층에서 정화된 오물 또는 물이 상기 제2정화층, 제3정화층 및 수조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유로, 제2유로 및 제3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로, 제2유로 및 제3유로는, 상기 제1정화층, 제2정화층 및 제3정화층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정화층, 제2정화층 및 제3정화층 내부에는 굴패각, 자갈, 돌, 숯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혼합되어 적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오물 정화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일반 가정의 주방에 설치된 씽크대(S) 하측에 연결되어 음식쓰레기를 분쇄 및 탈수하는 분쇄수단(100)과,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탈수된 찌꺼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200)과,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탈수된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탱크(300)와, 상기 오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400)과, 상기 정화수단(400)과 오물탱크(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탱크(300)에서 정화수단(400)으로 유동하는 오물에 첨가액체(도 4의 도면부호 L)를 공급하는 액혼합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쇄수단(100)은 씽크대(S) 바닥면에 천공된 배수구(D)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D)의 하측에는 투입구(10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02)는 상단부가 상기 배수구(D)와 하면과 연통되고, 하단부는 상기 분쇄수단(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씽크대(S) 내부에 버려진 음식쓰레기는 상기 배수구(D) 및 투입구(102)를 통해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수단(100)의 우측단에는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와 건조수단(200)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건조관(104)이 설치된다. 상기 건조관(104)은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건조수단(200)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 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쇄수단(100)의 외면 하측에는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와 오물탱크(300)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오물관(106)이 구비된다. 상기 오물관(106)은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오물이 상기 오물탱크(300) 내부로 낙수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건조수단(200)과 오물탱크(300) 사이에는 증기배출관(202)이 구비된다. 상기 증기배출관(202)은 건조수단(200)과 오물탱크(300)의 상부 일측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건조수단(200)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증발된 수분이 상기 오물탱크(300)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오물탱크(300)와 정화수단(400)은 오물이동관(302)에 의해서 연통된다. 즉, 상기 오물이동관(302)의 우측단부는 오물탱크(300)의 하부 좌측면에 연결되고, 좌측단부는 상기 액혼합수단(500)과 연결되며, 상기 액혼합수단(500)은 정화수단(400) 상측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오물이동관(302)의 하측에는 오물탱크(300) 내부의 오물을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펌프(P)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P)가 오물을 상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이러한 오물은 상기 오물이동관(302)과 액혼합수단(500)을 경유하여 상기 정화수단(4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쇄수단(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인 분쇄수단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수단(100)은 내부에 음식쓰레기가 수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투입구(10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1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1분쇄구(120)와, 상기 제1분쇄구(120)에서 분쇄 및 압축된 음식쓰레기를 2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2분쇄구(140)와, 상기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 사이에 설치된 절단날(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대략 좌/우로 긴 원통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는 분쇄공간(112)이 형성된다. 상기 분쇄공간(112)은 상기 투입구(102)와 건조관(104) 및 오물관(106)과 연통되어 상기 투입구(10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음식쓰레기가 압축 및 분쇄되는 공간이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기 분쇄공간(112)이 형성되는 원통관(110')과, 상기 원통관(110')의 좌측단에서 내부를 차폐하는 차폐판(1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공간(112)은 제1분쇄구(120)를 수용하는 제1분쇄공간(112')과, 제2분쇄구(140)를 수용하는 제2분쇄공간(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분쇄공간(112')과 제2분쇄공간(112")은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의 외경 크기와 각각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쇄구(120)의 좌측단에는 상기 차폐판(110")이 결합되어 분쇄공간(112)은 차폐된다.
상기 제1분쇄공간(112') 내부에는 상기 제1분쇄구(1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분쇄구(120)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모양의 제1스크류(122)를 이용하여 음식쓰레기에 압력을 가하여 분쇄 및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크류(122)의 외경은 상기 제1분쇄공간(112')의 내경과 대응되며, 음식쓰레기의 진행(압축) 방향인 우측으로 갈수록 나선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분쇄공간(112') 우측에 형성된 제2분쇄공간(112") 내부에는 제2분쇄구(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분쇄구(140)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모양의 제2스크류(142)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분쇄구(120)에 의해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재차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크류(142) 역시 제1스크류(122)와 마찬가지로 우측으로 갈수록 제2스크류(142)의 나선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외경의 크기는 감소하여 상기 제2스크류(142)의 나선 외경은 제2분쇄공간(112")의 내경과 대응된다.
상기 제2스크류(142)의 우측에는 상기한 건조관(10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크류(122) 및 제2스크류(142)에 의해 분쇄 및 탈수된 음식쓰레기는 상기 건조관(104)을 통해 건조수단(200)으로 안내된다.
상기 제1스크류(122)와 제2스크류(142) 사이에는 절단날(160)이 구비된다. 상기 절단날(160)은 다수개의 날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스크류(122)에서 분쇄되어 뭉쳐진 음식쓰레기를 잘게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분쇄구(140)는 잘게 절단된 음식쓰레기를 압축하게 되므로 제2스크류(142)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되며, 제2스크류(142)의 파손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날(160)과 제1스크류(122) 및 제2스크류(142)는 회전중심이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여 동심원을 이룬다.
즉, 상기 절단날(160)과 제1스크류(122) 및 제2스크류(142)의 중심을 이은 연장선상에는 상기 차폐판(110")을 관통하는 회전축(182)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82)은 상기 절단날(160)과 제1분쇄구(120) 및 제2분쇄구(140)의 중심을 동시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82)의 좌측 외주면에는 동력전달밸트(184)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밸트(184)는 동력장치(18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182)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동력장치(180)의 동력축(186)에 둘러진다.
따라서, 상기 동력장치(180)가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동력축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동력축(186)은 동력전달밸트(184)에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18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 및 절단날(160)을 회동시키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쇄수단(100)의 하측에는 상기 건조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수단(200)은 건조관(104)을 통해서 내부로 유입된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건조수단(200)의 내부에는 건조공간(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수단(200)의 내부 일측에는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물기를 빠른 시간내에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체(24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발열체(240)의 발열에 의해 증발된 수분은 상기 증기배출관(202)을 통해 상기 오물탱크(300)로 유입된다.
상기 건조수단(200)의 좌측에는 오물탱크(300)가 구비된다. 상기 오물탱크(300)는 내부에 음식쓰레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임시저장공간(320)이 형성되며, 상기 임시저장공간(320)은 전술한 오물이동관(302)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임시저장공간(320)에 저장된 오물은 상기 펌프(P)에 의해 강제되어 상기 정화수단(400)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임시저장공간(320)의 상측에는 희석수단(340)가 구비된다. 상기 희석수단(340)은 상기 오물탱크(300) 내부의 오물을 희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임시저장공간(320)의 상부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물(수도물)이 상기 임시저장공간(32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물유동관(342)과, 상기 오물탱크(3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44)와, 상기 수위감지센서(344)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물유동관(34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밸브(3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임시저장공간(320) 내부에 음식쓰레기가 쌓이게 되면, 상기 물유동관(342)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희석되며, 상기 임시저장공간(320) 내부의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감지센서(344)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차단밸브(346)는 차폐되어 더 이상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물론 상기 펌프(P)는 작동하여 상기 임시저장공간(320) 내부의 오물을 상기 정화수단(400) 상측으로 강제 유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싱크대의 외부에는 정화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정화수단(400)은 임시저장공간(320)으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정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굴패각, 자갈, 돌, 숯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혼합되어 절재된다.
따라서, 상기 오물에 포함된 미세한 찌꺼기는 상기 굴패각, 자갈, 돌, 숯 등에 의해 걸러져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단(400)은 오물을 다수회에 걸쳐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화수단(400)은 상기 오물탱크(300)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순차적으로 정화하는 제1정화층(420)과,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과, 상기 제3정화층(460) 하측에서 정화된 불이 집수되는 수조(4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정화층(420)과,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은 별도의 물유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물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의 바닥면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그재그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1정화층(420)과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에서 순차적으로 정화된 오물 또는 물이 상기 제2정화층(440), 제3정화층(460) 및 수조(480)로 낙수되도록 제1유로(422), 제2유로(442) 및 제3유로(4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물이동관(302)을 통해 정화수단(400) 내부로 유입된 오물은 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제3정화층(460)을 지그재그 형태로 유동한 후 상기 수조(480) 내부로 낙수된다.
상기 제1유로(422), 제2유로(442) 및 제3유로(462)의 일측에는 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밸브(424), 제2밸브(444) 및 제3밸브(46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밸브(424), 제2밸브(444) 및 제3밸브(464)는 상기 수조(480)에 집수된 물이 만수시에 더 이상 상기 제2정화층(440), 제3정화층(460) 및 수조(480)로 물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3정화층(460)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지지다리(49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다리(490)는 제3정화층(460)이 수조(480) 내부에 잠기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수조(480) 바닥면에서 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단부가 상기 제3정화층(460) 하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480)의 좌측단 하부에는 수조(480)에 저장된 물이 수조(480)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482)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482)의 일측에는 배수관(482) 내부의 물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수차단밸브(484)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오물이동관(302)의 상부 일측에는 전술한 액혼합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액혼합수단(500)은 오물이동관(302)을 따라 정화수단(400)으로 이동하는 오물에 첨가액체(L)를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첨가액체(L)는 꽃 등에서 추출한 천연향료 등이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액혼합수단(5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인 액혼합수단(500)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혼합수단(500)은 상기 오물과 첨가액체(L)가 혼합되는 공간인 혼합부(510)와, 상기 오물이동관(302)과 연통되어 오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물안내관(520)과, 상기 오물안내관(520)과 연통되어 오물이 상기 혼합부(5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물혼합관(522)과, 저장용기(502)에 저장된 첨가액체(L)의 유동을 안내하는 보조공급관(503)과, 상기 보조공급관(503)과 연통되어 첨가액체(L)의 유동을 안내하는 첨가제안내관(530)과, 상기 보조공급관(503) 내부를 유동하는 첨가액체(L)가 혼합부(5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첨가제혼합관(532)과, 상기 혼합부(510)에서 혼합된 오물과 첨가액체(L)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합부(510)는 액혼합수단(500) 내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이 줄어드는 깔대기 형상의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상기 저장용기(502) 내부의 첨가액체(L)와 오물이동관(302)을 통해 이동한 오물이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혼합부(510)의 경사는 중심선에 대해 약 13.8°정도가 되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물혼합관(522)을 통해 상기 혼합부(510)로 유입되는 오물이 아래에서 설명할 첨가제혼합관(532)으로 역류되지 않고 관성에 의해 상기 배출관(54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오물이동관(302)의 좌측단에는 대략 ""형상으로 절곡된 오물안내관(520)이 구비된다. 상기 오물안내관(520)은 상기 액혼합수단(500)의 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물이동관(3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오물안내관(520)의 직경은 상기 오물이동관(30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물안내관(520)의 일단에는 오물혼합관(5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오물혼합관(522)은 상기 오물안내관(5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물안내관(520) 및 상기 혼합부(5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물혼합관(522)은 상기 오물안내관(520)을 통과한 오물을 상기 혼합부(51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물혼합관(5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510)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할 첨가제혼합관(532)과 예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물혼합관(522)은 아래에서 설명할 첨가제혼합관(532)과 약 15°의 사이각(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공급관(503)의 일단에는 첨가제안내관(530)이 구비된다. 상기 첨가제안내관(530)은 첨가제혼합관(53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안내관(530)과 첨가제혼합관(532) 사이에는 개폐밸브(536)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밸브(536)는 상하로 작동되어 보조공급관(503)을 통해 혼합부(510)로 유동하는 첨가액체(L)의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첨가제안내관(530)의 하단에는 첨가제안내관(5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첨가제혼합관(532)이 형성된다.
상기 첨가제혼합관(532)은 상기 첨가제안내관(530) 및 상기 혼합부(510)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첨가제혼합관(532)은 상기 첨가제안내관(530)을 통과한 첨가액체(L)를 상기 혼합부(510)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오물혼합관(522)과 첨가제혼합관(532)의 하단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오물혼합관(522)과 첨가제혼합관(53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각(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혼합관(532)의 직경은 상기 오물혼합관(522)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물혼합관(522)의 직경이 상기 첨가제혼합관(532)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하고, 상기 오물혼합관(522)과 첨가제혼합관(532)의 사이각(α)이 예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은, 상기 오물혼합관(522)을 통해 상기 혼합부(510)로 유입되는 오물이 상기 첨가제혼합관(532)으로 역류하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한 배출관(540)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관(540)은 상기 혼합부(5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관(540)은 상기 혼합부(510)의 하단에 연결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540)은 상기 혼합부(510)에서 혼합된 오물과 첨가액체(L)가 토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액체와 첨가액체(L)가 혼합된 혼합액체가 상기 정화수단(400)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540)에는 별도의 연결 호스(도 2의 도면부호 508) 등이 더 연결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씽크대(S) 내부의 음식쓰레기가 상기 배수구(D) 및 투입구(102)를 관통하여 상기 분쇄수단(100) 내부 즉, 제1분쇄공간(112')으로 투입되면, 상기 제1스크류(122)는 회전하여 음식쓰레기를 압축 및 분쇄하면서 우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때 음식쓰레기의 일차 탈수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제1스크류(122)에 의해 1차 분쇄된 음식쓰레기는 절단날(160)을 지나면서 절단되며, 상기 절단날(160)을 지나온 음식쓰레기는 제2분쇄공간(112")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분쇄공간(112") 내부로 유동한 음식쓰레기는 상기 제2스크류(142)에 의해 압축되어 재차 탈수 및 분쇄되며, 2회에 걸쳐 탈수된 음식쓰레기는 상기 건조관(104)을 통해 건조수단(200) 내부로 낙하된다.
상기 건조수단(200) 내부에 낙하된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발열체(240)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함으로써 상기 증기배출관(202)을 통해 상기 임시저장공간(32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분쇄공간(112)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오물은 상기 오물관(106)을 통해 오물탱크(300)로 낙수되어 모이게 된다.
상기 오물탱크(300)에 오물이 집수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344)는 오물탱크(3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밸브(346)와 펌프(P)의 동작을 위한 신 호를 발생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위감지센서(344)가 감지한 수위가 기설정 높이보다 높지 않으면 상기 희석수단(340)의 차단밸브(346)는 개방되어 오물탱크(300)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물공급으로 오물은 희석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펌프(P)는 작동이 정지된 상태이다.
반대로 상기 수위감지센서(344)가 감지한 수위가 기설정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차단밸브(346)를 차폐하여 오물탱크(300) 내부로 물공급을 중단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펌프(P)는 작동하여 상기 오물탱크(300) 내부의 희석된 오물을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펌프(P)의 펌프작용에 의해 오물은 상기 오물안내관(520)과 오물혼합관(522)을 경유한 후 상기 혼합부(51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개폐밸브(536)를 개방시키면, 상기 보조공급관(503)을 통해 상기 저장용기(502)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첨가액체(L)가 상기 액혼합수단(500)으로 공급된다. 상기 첨가액체(L)는 상기 보조공급관(503)과 첨가제안내관(530) 그리고 첨가제혼합관(53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혼합부(510)로 유입된다.
상기 혼합부(510)로 유입된 오물은 자체의 이동속도(관성)에 의해 상기 배출관(540)을 흘러간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오물이동관(302)을 통해 유입되는 오물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기 오물혼합관(522)을 통과하면서 그 유속이 증대되어, 상기 혼합부(510) 내부로 빠른 속도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오물혼합관(522)으로부터 분출되는 오물은 깔때기 형상의 상기 혼 합부(510) 내주면에 부딪히면서 하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배출관(540)을 통해 하측(도 2에서)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첨가제안내관(53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첨가액체(L)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첨가제혼합관(532)을 통과하면서 그 유속이 더 증대된 다음, 상기 혼합부(510) 내부로 분출된다. 상기 혼합부(510) 내부로 분출된 첨가액체(L)는 상기 오물혼합관(522)을 통해 분출되는 오물과 혼합되면서 상기 배출관(540)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배출관(540)을 통해 이동하는 오물은 연결호스(508)를 통해 상기 제1정화층(420)으로 낙수되며, 상기 제1정화층(420) 내부에서 좌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유로(422)를 통해 상기 제2정화층(440)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정화층(440)으로 유입된 오물은 우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미세한 이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제2유로(442)를 통해 하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3정화층(46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3정화층(460)으로 유입된 오물은 다시 한번 정화된 다음 좌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3유로(462)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수조(480) 내부로 낙수된다.
이때, 상기 제1밸브(424)와 제2밸브(444) 및 제3밸브(464)는 개방된 상태이며 상기한 과정을 통해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오물의 정화는 완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쓰레기를 분쇄 및 탈수하는 분쇄수단의 내부 일측에 음식쓰레기를 잘게 절단하는 절단날을 더 구성하였다.
따라서, 덩어리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축시에 분쇄구에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분쇄구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잘게 잘려진 음식쓰레기를 재차 압축함으로써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이물의 탈수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분쇄수단 내부 일측에 다수개의 스크류를 구비하고 다수개의 스크류 외주면에 형성된 날의 간격을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음식쓰레기에 대한 탈수 능력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 음식쓰레기를 1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1분쇄구(120)와, 상기 제1분쇄구(120)에 의해 분쇄 및 압축된 음식쓰레기를 2차로 분쇄 및 압축하는 제2분쇄구(140)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음식쓰레기를 절단하는 절단날(160)이 구비된 분쇄수단(100)과;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탈수된 찌꺼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200)과;상기 분쇄수단(100) 내부에서 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탱크(300)와;상기 오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상기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 및 절단날(160)은 중심에 회전축(182)이 삽입 고정되어 동심원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탱크(300)와 정화수단(400) 사이에는 상기 오물탱크(300) 내부의 오물이 정화수단(400)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물이동관(30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이동관(302)의 일측에는,상기 정화수단(400)으로 유동하는 오물에 첨가액체(L)를 공급하는 액혼합수단(5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100)에는,내부에 분쇄공간(112)을 형성하여 음식쓰레기가 수용되는 하우징(110)과,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음식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외부로 천공된 투입구(10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의 외주면에는 나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스크류(122)와 제2스크류(142)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122)와 제2스크류(142)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나선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122)는 제2스크류(142)보다 나선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구(120)와 제2분쇄구(140) 및 절단날(160)은 동심원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02) 하측에는 제1분쇄구(1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혼합수단(500)은,상기 오물과 첨가액체(L)가 혼합되는 혼합부(510)와,상기 오물이동관(302)과 연통되어 오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물안내관(520)과,상기 오물안내관(520)과 연통되어 오물이 상기 혼합부(5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오물혼합관(522)과,저장용기(502)에 저장된 첨가액체(L)의 유동을 안내하는 보조공급관(503)과,상기 보조공급관(503)과 연통되어 첨가액체(L)의 유동을 안내하는 첨가제안내관(530)과,상기 보조공급관(503) 내부를 유동하는 첨가액체(L)가 상기 혼합부(5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첨가제혼합관(532)과,상기 혼합부(510)에서 혼합된 오물과 첨가액체(L)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5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혼합관(522)과 첨가제혼합관(532)은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탱크(300) 일측에는,오물탱크(300)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오물을 희석하는 희석수단(3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수단(340)은,상기 오물탱크(300) 내부와 연통되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물유동관(342)과,상기 오물탱크(3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44)와,상기 수위감지센서(344)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물유동관(34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밸브(34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400)은,상기 오물탱크(300)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순차적으로 정화하는 제1정화층(420)과,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은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정화층(460)의 하측에는 정화된 물이 집수되는 수조(48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측의 일측에는,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에서 정화된 오물 또는 물이 상기 제2정화층(440), 제3정화층(460) 및 수조(480)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유로(422), 제2유로(442) 및 제3유로(46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422), 제2유로(442) 및 제3유로(462)는,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층(420), 제2정화층(440) 및 제3정화층(460) 내부에는 굴패각, 자갈, 돌, 숯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혼합되어 적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6781U KR200431009Y1 (ko) | 2006-06-22 | 2006-06-22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6781U KR200431009Y1 (ko) | 2006-06-22 | 2006-06-22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6150A Division KR100788470B1 (ko) | 2006-06-22 | 2006-06-22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1009Y1 true KR200431009Y1 (ko) | 2006-11-13 |
Family
ID=4177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6781U KR200431009Y1 (ko) | 2006-06-22 | 2006-06-22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100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1097B1 (ko) | 2008-12-19 | 2010-11-01 | 주식회사 대경테크노 |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101841940B1 (ko) * | 2016-06-27 | 2018-05-14 | (주)템스코 | 동물 사체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KR20180124240A (ko) * | 2017-05-11 | 2018-11-21 | 주식회사 동신기공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2006
- 2006-06-22 KR KR2020060016781U patent/KR20043100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1097B1 (ko) | 2008-12-19 | 2010-11-01 | 주식회사 대경테크노 |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101841940B1 (ko) * | 2016-06-27 | 2018-05-14 | (주)템스코 | 동물 사체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KR20180124240A (ko) * | 2017-05-11 | 2018-11-21 | 주식회사 동신기공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101940479B1 (ko) * | 2017-05-11 | 2019-04-10 | 주식회사 동신기공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7452B1 (ko) |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내에함유된 수분 및 염분의 제거방법 | |
KR10110633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RU2003127023A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отбросов, в частности, отбросов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для облегчения их ликвидации | |
KR10151728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50129281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40100823A (ko) |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KR200431009Y1 (ko)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564211B1 (ko) |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101365155B1 (ko) |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326195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788470B1 (ko)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036488B1 (ko) |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 |
KR101618096B1 (ko) | 오물 처리 장치 및 오물 처리 차량 | |
KR100753808B1 (ko) |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 |
KR200383227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40708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CN211070361U (zh) | 一种垃圾无尘粉碎干燥机 | |
KR100839377B1 (ko) | 음식쓰레기 배출량 감소장치 | |
KR20150017232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CN114472444A (zh) | 一种便携式环保餐厨垃圾处理装置 | |
KR10102045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05262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9990086396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320401B1 (ko) |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 |
KR102519897B1 (ko) | 음식물 처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07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