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211B1 -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211B1 KR101564211B1 KR1020140129457A KR20140129457A KR101564211B1 KR 101564211 B1 KR101564211 B1 KR 101564211B1 KR 1020140129457 A KR1020140129457 A KR 1020140129457A KR 20140129457 A KR20140129457 A KR 20140129457A KR 101564211 B1 KR101564211 B1 KR 101564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housing
- food waste
- screw
- cut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HKHKXVYLBGOIT-UHFFFAOYSA-N acetaldehyde Diethyl Acetal Natural products CCOC(C)OCC DHKHKXVYLBG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77 acetyl group Chemical class [H]C([H])([H])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호퍼(100)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고 가압하여 탈수하는 분쇄탈수수단(10)과, 상기 분쇄탈수수단(10)과 연결되어 분쇄탈수수단(10)에 의해 파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50)을 구비하며, 건조수단(50)은 건조하우징(51)과 건조스크류(5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건조하우징(51) 내벽면에 건조스크류(52)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어 완만한 경사를 갖는 변과 반대로 급격한 경사각을 갖는 변을 갖는 삼각형 형태의 커터를 구비하고, 건조스크류(52)의 이송날개(52w) 간격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의해 종래에 비해 건조 효율이 높고, 건조하우징(61) 내부에 잔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남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처리기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반대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 탈취성능 향상을 위한 관로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건조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건조수단에서 배출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일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건조수단을 구성하는 건조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건조수단을 구성하는 건조스크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분쇄탈수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분쇄탈수수단의 제1주축하우징의 일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분쇄탈수수단의 제2주축하우징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구비된 분쇄탈수수단의 주축스크류의 일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건조하우징 내벽면의 이송커터의 형상을 나타낸 평단면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건조하우징 내벽면의 이송커터와 건조스크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건조하우징 내벽면에 설치된 이송커터의 후단부 및 전단부의 타측변 경사진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건조하우징 원형 벽면 내부에 설치된 측벽커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10: 분쇄탈수수단 11: 제1주축하우징
11a : 개구부 11i: 투입구
11t: 이송커터 11w: 배수구
12: 제2주축하우징 12c: 분쇄커터
12o: 배출구 12t: 이송커터
13: 주축스크류 13c: 분쇄커터날
13w: 스크류날개 13r: 호형홈
20: 물공급수단 30: 배수트랩
30c: 분쇄배수관 30h: 호퍼배수관
30u: U트랩 40: 탈취수단
50: 건조수단 50b: 블로워
50p: 배기관 51: 건조하우징
51a : 일측변 51b : 타측변
51c : 일측변 51d : 타측변
51e : 몸체부 51f : 벽면
51g: 가스배출구 51h : 내주면
51i: 투입구 51o: 배출구
51t: 이송커터 51s: 측벽커터
52: 건조스크류 52a : 회전축
52b : 모터 52c: 분쇄커터
52w: 이송날개 53: 히터
54: 배출캡 54h : 배출홀
60: 수거함수납실 100 : 호퍼
200 : 음식물 쓰레기
Claims (5)
- 호퍼(100)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고 가압하여 탈수하는 분쇄탈수수단(10)과, 상기 분쇄탈수수단(10)과 연결되어 분쇄탈수수단(10)에 의해 파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50)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호퍼(100) 내부로 희석수를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을 희석시키는 물공급수단(20)과;
일측이 상기 분쇄탈수수단(10)과 연결되어 있는 분쇄배수관(30c)와, 중간에 블로워(50b)가 설치된 채 일측이 건조수단(50)과 연결되어 있는 배기관(50p)이 관로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단부는 하수관과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분쇄 및 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배출수와 악취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되, 관로 중간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U트랩(30u)이 설치되어 있는 배수트랩(30)과;
상기 배수트랩(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트랩(3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의 악취를 여과하는 탈취수단(40)과;
상기 건조수단(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건조수단(50)에서 배출되는 건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함수납실(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탈수수단(10)은,
상기 호퍼(100)와 연결되어 호퍼(10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1i)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 개의 배수구(11w)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 벽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이송커터(11t)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는 제1주축하우징(11)과,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원추형의 형상을 이루고 내부가 상기 제1주축하우징(11) 개구부(11a)와 연통되도록 일측 단부는 제1주축하우징(11)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 벽에는 수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이송커터(12t)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 배출구(12o)가 형성되어 있되, 배출구(12o)의 내벽에는 나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분쇄커터(12c)가 형성되어 있는 제2주축하우징(12)과,
상기 제1주축하우징(11) 및 제2주축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주축하우징의 배출구(12o)를 향해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고 외주면에 스크류날개(13w)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커터(12c)와 대향되는 단부에는 나선형의 분쇄커터날(13c)이 형성되어 있는 주축스크류(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수단(50)은,
일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벽면(51f)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 배출구(51o)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는 수평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원통형의 내부 형상을 취하는 몸체부(51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형 벽면에는 중심축으로부터 외주면 단부 측으로 일직선을 이룬 채 돌출된 다수 개의 측벽커터(51s)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51e)의 상부 중앙에는 배수트랩(30)과 배관 연결되는 가스배출구(51g)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제2주축하우징(12)의 배출구(12o)와 연결되는 투입구(51i)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51e)에는 내주면에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송커터(51t)가 서로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되, 상기 이송커터(51t)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취하되, 일측변(51a)과 몸체부(51e) 내주면 사이의 내각이 90°이상 180°미만의 각을 이루어 일측변(51a)은 몸체부(51e) 내주면으로부터 뾰족하게 형성되고, 타측변(51b)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커터(51t)의 타측변(51b)은 일측 단부 측으로부터 배출구(51o) 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타측변(51b)과 몸체부(51e) 내주면 사이의 내각이 배출구(51o) 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 건조하우징(51)과,
상기 건조하우징(51)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52a)이 구비되어 있고, 회전축(52a)은 단부가 상기 건조하우징(51)의 원형 벽면 외측으로 돌출된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모터(52b)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52a) 둘레에 나선형으로 이송날개(52w)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이송날개(52w)는 회전축(52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건조하우징(51)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원형의 벽면(51f) 측으로 후진 및 배출구(51o) 측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되, 배출구(51o) 측 방향으로 전진시에는 이송커터(51t)의 타측변(51b)에서 일측변(51a)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원형의 벽면(51f) 측으로 후진시에는 이송커터(51t)의 일측변(51a)에서 타측변(51b)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송날개(52w)는 배출구(51o) 측으로 갈수록 점차 사이 간격이 짧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건조스크류(52)와,
상기 건조하우징(51)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하우징(51)의 내주면을 가열시키는 히터(53)와,
상기 건조하우징(51)의 배출구(51o)에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배출홀(54h)이 형성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캡(5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스크류(52)는 회전축(52a)의 배출구(51o) 측 선단에 이송날개(52w)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분쇄커터날(52c)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우징(51)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측벽커터(51s)는 원형의 벽면(51f)을 밑변으로 하여 서로 인접한 일측변(51c)과 타측변(51d)이 형성된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되, 타측변(51d)과 원형의 벽면(51f) 사이의 내각이 90°이상 180°미만의 각을 이루어 타측변(51d)은 원형의 벽면(51f)으로부터 뾰족하게 형성되고, 일측변(51c)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변(51c)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51o) 측에서 원형의 벽면(51f) 측으로 후진시키는 건조스크류(52)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고, 타측변(51d)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51o) 측으로 전진시키는 건조스크류(52)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우징(51) 내벽면에는 마블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커터(51t)의 일측변(51a)이 건조하우징(51) 내주면과 접하는 경계선은 상기 건조하우징(51) 중심축(a)과 평행하게 이루어져 있고,
타측변(51b)과 건조하우징(51) 내주면이 접하는 경계선은 상기 건조하우징(51)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9457A KR101564211B1 (ko) | 2014-09-26 | 2014-09-26 |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9457A KR101564211B1 (ko) | 2014-09-26 | 2014-09-26 |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4211B1 true KR101564211B1 (ko) | 2015-10-28 |
Family
ID=5442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94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4211B1 (ko) | 2014-09-26 | 2014-09-26 |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421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116B1 (ko) * | 2020-06-12 | 2020-12-24 | 주식회사 명지미래솔루션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KR102320239B1 (ko) | 2021-08-09 | 2021-11-01 | 송용범 | 내부 순환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기 |
KR102359075B1 (ko) | 2021-12-01 | 2022-02-09 |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 전기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
KR20230071591A (ko) | 2021-11-16 | 2023-05-23 | 에이치투이에스케이주식회사(H2Esk) | 자기화 공기를 활용한 내부 순환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기 |
KR20240054779A (ko) | 2022-10-19 | 2024-04-26 | 에이치투이에스케이주식회사(H2Esk) | 자기화 공기 순환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기 |
-
2014
- 2014-09-26 KR KR1020140129457A patent/KR10156421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116B1 (ko) * | 2020-06-12 | 2020-12-24 | 주식회사 명지미래솔루션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KR102320239B1 (ko) | 2021-08-09 | 2021-11-01 | 송용범 | 내부 순환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기 |
KR20230071591A (ko) | 2021-11-16 | 2023-05-23 | 에이치투이에스케이주식회사(H2Esk) | 자기화 공기를 활용한 내부 순환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기 |
KR102359075B1 (ko) | 2021-12-01 | 2022-02-09 |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 전기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
KR20240054779A (ko) | 2022-10-19 | 2024-04-26 | 에이치투이에스케이주식회사(H2Esk) | 자기화 공기 순환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4211B1 (ko) |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101471168B1 (ko) |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 |
JP4959820B2 (ja) | ローターを備えた移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装置 | |
KR20160039401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70114115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40100823A (ko) |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1734153B1 (ko) | 디스크 건조기를 이용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스템 | |
KR101746184B1 (ko) |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
KR101033226B1 (ko) | 음식물쓰레기 탈수 분리장치 | |
KR101927466B1 (ko) |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50074442A (ko) |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563690B1 (ko) |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20050099424A (ko) |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 |
CN211099419U (zh) | 垃圾粉碎装置 | |
KR20150112204A (ko) | 오물 처리 장치 및 오물 처리 차량 | |
KR20160004702A (ko)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형성장치 | |
KR100839377B1 (ko) | 음식쓰레기 배출량 감소장치 | |
KR20160039403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 |
KR200354407Y1 (ko) |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 |
CN111001477B (zh) | 一种固体餐厨垃圾用粉粹设备 | |
KR200356326Y1 (ko) | 음식물 처리장치 | |
KR20140035115A (ko)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100418312B1 (ko)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난방연료 제작장치 및 방법 | |
KR20030054134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200133431A (ko) |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