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090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090B1
KR101112090B1 KR1020090056644A KR20090056644A KR101112090B1 KR 101112090 B1 KR101112090 B1 KR 101112090B1 KR 1020090056644 A KR1020090056644 A KR 1020090056644A KR 20090056644 A KR20090056644 A KR 20090056644A KR 101112090 B1 KR101112090 B1 KR 10111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utting
unit
main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220A (ko
Inventor
조순애
Original Assignee
조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애 filed Critical 조순애
Priority to KR102009005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09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2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knives which both reciprocate and ro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구, 및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착 및 절단된 후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중공 실린더 형태의 본체; 상기 투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및 절단하는 압착절단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압착절단유닛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착절단유닛에 의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압착절단유닛을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압착절단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중공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제1내측배수구를 갖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단부에 복수의 절단날이 구비되고 후단부에 상기 조작유닛이 연결되는 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고장률을 낮춰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과정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5664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본체, 압착절단유닛, 지지유닛, 조작유닛, 수용챔버, 커버, 록킹부재, 복귀레버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업소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고장률을 낮춰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및 절단 과정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에서 음식물이 묻은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 발생되는 세척수 및 오수는 대부분 씽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오수는 대부분 음식물 찌꺼기로 포함되어 하수구로 버려지며, 이렇게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하수구가 막히거나 강이나 하천 등이 오염되는 등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주원인 중 하나로 알려졌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씽크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거름망이나 필터를 설치하여 오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가 걸러진 후 세척수만이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는 오수가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의 상태가 대부분 물기를 포함한 습한 상태이므로 쉽게 부패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를 자주 수거해야 하며,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 오수나 찌꺼기가 옷에 묻거나 바닥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찌꺼기나 쓰레기를 버릴 경우 처리과정에서 수분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및 부피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 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축소를 위하여 주로 탈수와 강제건조 및 분쇄 과정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 발생율이 매우 높으며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탈수와 분쇄 과정시 모터 등에 의한 전기소모가 과대하며, 강제건조를 위하여 히터 또는 열풍을 공급하기 때문에 이로인한 전기소모가 심하여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고장률을 낮춰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과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및 절단 과정을 수행하고 자연 건조 방식으로 압축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함으로써, 전력소모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하여 식기 등의 세척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간편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가 배출되는 하수배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과정시 발생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구, 및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착 및 절단된 후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중공 실린더 형태의 본체; 상기 투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및 절단하는 압착절단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압착절단유닛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착절단유닛에 의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압착절단유닛을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압착절단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중공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제1내측배수구를 갖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단부에 복수의 절단날이 구비되고 후단부에 상기 조작유닛이 연결되는 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몸체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제2내측배수구를 가지 며,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절단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절단지지부재와; 상기 압착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절단지지부재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몸체를 탄성 가압하는 압착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이동몸체를 이동시키는 복귀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압착절단유닛에 연결된 왕복이동로드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왕복이동로드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로드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회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외부와 연통된 통풍구를 갖는 수용몸체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고장률을 낮춰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 및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과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및 절단 과정을 수행하고 자연 건조 방식으로 압축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함으로써, 전력소모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하여 식기 등의 세척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 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압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와 단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이동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복귀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압착 및 절단된 후 배출되는 중공 실린더 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및 절단하는 압착절단유닛(200)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 타측에 상기 압착절단유닛(200)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에 의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300)과,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을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방의 씽크대(S)에 설치하여 식기 등의 세척과 함께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용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는 크게 상기 압착절단유닛(200)과 지지유닛(300) 등 본체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및 절단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실린더 형태의 제1본체(110)와, 상기 제1본체(110)의 양측 개구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3본체(120, 130)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110)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구(112)가 형성되며, 하부 타측에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착 및 절단된 후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배수구(112)로부터 배수되는 오수는 직접 주방의 싱크대(S)로 낙하하여 배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112)에 배수호스(812)를 연결하여 상기 배수호수(812)를 통해 상기 배수구(112)로 배수되는 오수를 상기 싱크대(S)를 거쳐 외부로 배수시키는 구조를 개시하며, 상기 배수호스(812)는 상기 싱크대(S)의 배수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120)는 상기 제1본체(110) 중 상기 지지유닛(300)측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지지유닛(300)과 연결되는 중심축(140)이 축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본체(130)는 상기 제1본체(110) 중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측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조작유닛(400)이 연결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투입구(111)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투입구(111)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부 타측 즉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와 대향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중공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12)와 연통되는 제1내측배수구(210a)를 갖는 고정몸 체(210)와, 상기 고정몸체(210)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단부에 복수의 절단날(221)이 구비되고 후단부에 상기 조작유닛(400)이 연결되는 절단부재(220)와, 상기 절단부재(220)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은 상기 절단부재(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이 상기 절단부재(220)와 별개로 제작되어 절단부재(220)와 조립되는 것을 개시한다. 즉,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은 후단부에(221a)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단부재(220)의 수직벽부에 나사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과 상기 절단부재(220) 사이에는 제1탄성스프링(250)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압착부재(230)는 상기 절단부재(220)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재(230)는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이 통과 가능한 복수의 통과홀(231a)이 형성된 제1압착몸체부(231)와,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의 후단부(221a)가 관통되는 중앙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압착몸체부(231)와 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250)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제2압착몸체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의 고정몸체(210)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 타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몸체(310)와, 상기 절단부재(220)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절단지지부재(320)와, 상기 압착부재(230)와 대응되도록 상기 절단지지부재(320)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몸체(310)를 탄성 가압하는 압착지지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몸체(310)는 상기 제2본체(120)에 축결합된 중심축(140)이 관통되는 중앙관통홀이 형성된 제1이동몸체부(311)와, 상기 제1이동몸체부(311)와 나사방식 등으로 결합되고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본체(110)의 배출구(113)를 개폐하는 제2이동몸체부(312)와, 상기 제2이동몸체부(312)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절단시 상기 제1본체(110)의 배수구(112)와 연통되는 제2내측배수구(313a)가 형성된 제3이동몸체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지지부재(320)는 상기 절단부재(2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상기 중심축(140)의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이 삽입 가능한 복수의 칼날홈(3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지지부재(330)는 상기 압착부재(2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절단날(221)과 대응되는 복수의 칼날홈(321)이 통과 가능한 복수의 통과홀이 형성된 제1지지몸체부(331)와, 상기 중심축(140)이 관통되는 중앙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부(331)와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부(311)를 탄성 가압하는 제2지지몸체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2지지몸체부(332)와 상기 제1이동몸체부(311) 사이에는 제2탄성스프링(350)이 개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몸체부(332)가 상기 제1압착몸체부(231)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제2 지지몸체부(332)는 상기 제1이동몸체부(311)를 탄성 가압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이동몸체(310)가 상기 배출구(113)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310)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록킹부재(6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이 완료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몸체(310)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본체(110)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록킹부재(600)는 걸림돌기가 상기 제1본체(110)에 형성된 삽입홀(110a)을 통과하여 상기 제1이동몸체부(311)에 형성된 걸림홈(311a)에 걸림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부(311)의 이동을 구속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300)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및 절단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지지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300)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600)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기 압착지지부재(330)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제2탄성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310)를 상기 본체(10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1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3)를 개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개방된 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압착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이동몸체(310)가 상기 배출구(113)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13)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이동몸체(310)를 이동시키는 복귀레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귀레버(700)는 상기 압착절단유닛(200)과 상기 지지유닛(300)에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압착절단유닛(200)과 상기 지지유닛(300)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상호 중첩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복수의 레버(710, 720, 7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귀레버(700)는 상기 지지유닛(300)의 이동몸체(310)에 일측이 지지되는 제1레버(710)와, 상기 제1레버(710)에 중첩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레버(720)와, 상기 제2레버(720)에 중첩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이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에 지지되는 제3레버(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1~3레버(710, 720, 730)의 상호간 중첩 슬라이딩 이동은 상기 제1본체(110)에 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에 연결된 왕복이동로드(410)와,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왕복이동로드(410)와 링크방식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3본체(1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버(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제3본체(130)에 중앙부에 형성된 홀(130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회동레버(420)를 회동 조작함에 따라 상기 왕복이동로드(410)를 직선 왕복 이동시켜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을 왕복 이동시키며,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을 왕복 이동시켜 상기 본체(10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유닛(500)은 상기 배출구(113)와 연통된 유입구(512)를 갖는 외측몸체(510)와, 상기 외측몸체(5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몸체(520)와, 상기 내측몸체(5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512)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되는 필터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측몸체(520)에는 통풍구(521)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530)에 안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연건조 방식으로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530)는 철망과 같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압착절단유닛(200)과 지지유닛(30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과정시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투입구커버(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커버(15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투입구(111)를 회동방식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압착절단유닛(200)의 왕복 이동 방 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할 수도 있다.
이 때,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투입구커버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할 경우, 상기 투입구커버는 전술한 복귀레버(70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귀레버(70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과 함께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압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와 단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이동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복귀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싱크대 100: 본체
200: 압착절단유닛 300: 지지유닛
400: 조작유닛 500: 수용유닛
600: 록킹부재 700: 복귀레버

Claims (8)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구, 및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착 및 절단된 후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중공 실린더 형태의 본체;
    상기 투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및 절단하는 압착절단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압착절단유닛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착절단유닛에 의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및 절단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압착절단유닛을 왕복 이동시키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압착절단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중공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제1내측배수구를 갖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단부에 복수의 절단날이 구비되고 후단부에 상기 조작유닛이 연결되는 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몸체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제2내측배수구를 가지며,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절단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절단지지부재와;
    상기 압착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절단지지부재의 전방에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몸체를 탄성 가압하는 압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상기 이동몸체를 이동시키는 복귀레버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압착절단유닛에 연결된 왕복이동로드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왕복이동로드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로드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회동레버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외부와 연통된 통풍구를 갖는 수용몸체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90056644A 2009-06-24 2009-06-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644A KR101112090B1 (ko) 2009-06-24 2009-06-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644A KR101112090B1 (ko) 2009-06-24 2009-06-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220A KR20100138220A (ko) 2010-12-31
KR101112090B1 true KR101112090B1 (ko) 2012-02-14

Family

ID=4351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644A KR101112090B1 (ko) 2009-06-24 2009-06-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2755B (zh) * 2023-11-07 2024-04-05 南京睿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余垃圾处理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977A (ja) * 1988-04-15 1989-10-19 Hitachi Ltd 厨芥処理機
KR20010038986A (ko) * 1999-10-28 2001-05-15 분 위 라우 개선된 용기
KR20040010006A (ko) * 2002-07-19 2004-01-31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수지 수성 분산체 및 수성 접착제
KR100549398B1 (ko) 2003-05-16 2006-02-08 설동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006Y1 (ko) * 2005-12-19 2006-03-03 이승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2977A (ja) * 1988-04-15 1989-10-19 Hitachi Ltd 厨芥処理機
KR20010038986A (ko) * 1999-10-28 2001-05-15 분 위 라우 개선된 용기
KR20040010006A (ko) * 2002-07-19 2004-01-31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수지 수성 분산체 및 수성 접착제
KR100549398B1 (ko) 2003-05-16 2006-02-08 설동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006Y1 (ko) * 2005-12-19 2006-03-03 이승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220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73312B1 (en) Microplastic compactor and method of compacting microplastics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20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14830B1 (ko) 탈수 쓰레기통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100723358B1 (ko)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1000313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KR100662947B1 (ko) 싱크대의 음식쓰레기 간편 수거장치
KR200388160Y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위한 거름망
KR19980063642U (ko) 싱크대의 개수대용 잔반 탈수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475500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누름장치
KR101184297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675367B2 (ja) 厨芥処理装置
KR20160088055A (ko) 음식물 분쇄 처리기
KR200216991Y1 (ko) 다목적 주방용 씽크대
KR100615456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15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101625994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KR19980060926U (ko) 주방 음식물쓰레기의 물기제거기
KR200338565Y1 (ko) 싱크대용 쓰레기 처리구
KR200240024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100126957A (ko) 싱크대용 거름망
KR200374095Y1 (ko) 압축 겸용 커버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