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823B1 - 식용유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식용유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823B1
KR100662823B1 KR1020060019969A KR20060019969A KR100662823B1 KR 100662823 B1 KR100662823 B1 KR 100662823B1 KR 1020060019969 A KR1020060019969 A KR 1020060019969A KR 20060019969 A KR20060019969 A KR 20060019969A KR 100662823 B1 KR100662823 B1 KR 10066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oil
oil
refining
main body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케미칼
Priority to KR102006001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08Fat fryer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는, 상,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태로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 폐식용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바닥면에 배출구(21)가 구비된 저유호퍼(20)와; 상기 저유호퍼(20)의 내부 일측에 일정 높이를 갖고 구비되어 폐식용유 정제과정에서 폐식용유에 포함된 고형의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는 스크린망(30)과; 상기 저유호퍼(20)의 배출구(21)에 설치되어 저유호퍼(20)에 수용된 폐식용유를 자유낙하방식으로 정제할 수 있도록 폐식용유를 정제하는 필터체(50)를 수용함과 아울러 그 바닥면에 필터체(50)에 의해 정제된 식용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43)를 갖는 배출관(42)이 구비된 정제통(40)과; 상기 정제통(40)의 외주면을 감싸고 설치되어 상기 필터체(50)를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히터(41)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41) 등과 연계하여 폐식용유의 정제작업 조건을 설정함은 물론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스위치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컨트롤박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용유, 정제장치, 저유호퍼, 필터체, 폐식용유, 히터, 스크린망

Description

식용유 정제장치{Refiner for food oil}
도 1은 종래 개시된 식용유 정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개시된 다른 실시예로써, 가압형 식용유 정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 가압형 식용유 정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개시된 또 다른 식용유 정제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도 5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뚜껑
20 : 저유호퍼 21 : 배출구
22 : 고정턱 30 : 스크린망
40 : 정제통 41 : 히터
42 : 배출관 43 : 개폐밸브
44 : 조작레버 45 : 회전노브
46 : 연결링크 47 : 고정커버
50 : 필터체 60 : 컨트롤박스
70 : 받침통 71 : 개폐도어
72 : 저장통
본 발명은 식용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 작업 후 정제가 필요한 폐식용유를 일정시간 냉각하여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를 1차 분리한 상태에서 정제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 및 기타 불순물이 혼합된 뜨거운 상태의 폐식용유 상태에서 곧바로 정제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조 자체를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식용유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식용유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튀김할 때 사용하는 식용기름의 일종으로서, 최근 성업 중인 치킨, 튀김종류 등과 같은 패스트푸드(Fast Food)를 만드는 데 특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옥수수기름이나 콩기름과 같은 식물성식용유를 튀김유로 사용하여 치킨이나 기타 육류 등을 튀길 경우, 치킨이나 기타 육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성 지방분이 용해되어 튀김유에 혼합됨과 동시에 불순물, 현탁된 고체제, 지방산, 산화물 등이 함께 혼합, 오염됨으로 인해 튀김유가 혼탁해져서 신선한 튀김유를 사용 할 때보다 튀김효과가 떨어지고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식용유는 처음 음식물을 튀길 때에는 식용유의 오염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튀겨진 음식물 또한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튀김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튀기는 음식물이나 음식물에 첨가하는 첨가제 및 기타 양념 등에 의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 할수록 식용유의 질이 저하되고, 튀겨진 음식물 또한 깨끗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상기와 같이 튀김작업이 일정시간 경과하여 오염된 폐식용유는 재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는 요인이 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식용유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식 재료비의 상승을 가져오고, 버려진 폐식용유에 의하여 환경오염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국내에서 연간 사용되는 식용유의 량은 약 20만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사람이 흡수하여 소비하는 비율은 약 30% 정도이고, 재활용이 되는 비율은 약 25% 정도이며, 나머지 45% 정도는 무단방류가 되고 있는 것으로 잠정적으로 파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의 유지회사에서 사용되는 원유의 70% 정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인데, 상기와 같이 엄청난 량으로 무단 방류가 되는 폐식용유를 정제하여 재활용을 할 수 있다면, 국가적인 차원에서 막대한 금액의 경제적 손실을 막으면서 폐처리로 낭비되는 원유 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무단 방류가 되는 폐식용유로 인한 심각한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어 환경보호 적인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폐식용유를 정제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 재사용하도록 하는 식용유 정제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렇게 개발되어 제안된 대표적인 실시예들로써, 아래와 같이 기 출원되어 제안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우선,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1-02319호(1991. 2. 25. 공개)는 하부에 호퍼형의 흡입부재를 구성하고 이에 흡입과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펌프를 연결하여 압착형 착유기에서 압출되는 식용유를 흡입시켜 집유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여과장치를 본체의 전방으로 길게 늘어놓게 되므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여 일반 업소용으로는 사용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며 여과부재를 나사식으로 고정시켜 정제 작업할 때 균일한 흡입력으로 흡입할 수 없었다.
또한, 교환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필터의 카트리지 상부에 설치되는 캡과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사용중에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결점이 발생되며, 카트리지에 결합된 캡이 쉽게 분리되어 내부의 흡착제를 손실함으로 정화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국내 등록특허 제0416582호(2004. 1. 15. 등록)에 개시된 식용유 정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탱크(102)의 하부에 통상의 흡착제가 삽입된 복수의 필터체(100)를 상하로 직렬 연결하여 하부 쪽 필터체(100)의 하부 외측에 연결된 펌프(104)를 구동시켜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필터체(100) 중 상부 쪽 필터체(100)의 상측으로 누름판 (103)과 공급파이프(106)가 연결되는 공급구를 형성한 연결구의 돌출부에 삽입된 나사축이 고정대(105)에 고정되어 상, 하측으로 이송되는 핸들(101)로 이루어진 필터 고정장치를 구비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개시된 상기 정제장치는 튀김작업 후 식지 않은 상태의 폐식용유를 곧바로 정제할 수 없고, 장시간 냉각시켜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를 1차 분리한 상태에서 정제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어 정제작업을 준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 하루 이상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정제작업을 위한 절차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활한 정제를 위해 반드시 강제 흡입할 수 있는 펌프(104)를 필요로 하는 등 장비 자체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65315호(2004. 10. 11. 등록)에 개시된 가압형 식용유 정제장치는, 일체형으로 된 백필터의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저유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저유호퍼의 하부에는 광물성 여과제가 충진된 필터체를 설치하여, 상기 백필터에서 1차 동물성 유지(기름)를 여과시키고, 필터체에서 탈취, 불순물, 현탁된 고체제, 지방산, 각종 중금속 등을 제거하여 순도 높고 질 좋은 식물성식용유를 재사용 가능하게 하되, 상기 저유호퍼와 필터체의 사이에는 호스로 연결된 가압펌프가 설치되어 저유호퍼 내의 식물성식용유를 필터체에 가압시킴으로써, 정밀 여과된 식물성식용유의 정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형 식용유 정제장치 는, 투입구(211)가 형성된 캡(210)이 상부외측에 결합된 몸체(200)의 내부 상부측에는 다수개의 필터고정핀(2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브라켓(230)이 설치되고, 상기 필터고정핀(231)에는 단일체로 되어 역 돔형을 이룬 백필터(2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백필터(240)의 하부면에는 하부로 둥글게 완곡된 필터지지봉(241)의 양단이 상기 고정브라켓(230)의 하부 양측에 고정된 채 지지되고, 상기 백필터(240)의 하부측에는 하부에 배출공(251)이 형성된 저유호퍼(2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유호퍼(250)의 하부 일측에는 상부중앙에 주입구(261)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구(262)를 갖는 하부캡(263)에 의해 밀봉된 채 내부에 미립체인 광물성 여과제가 충진된 필터체(2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유호퍼(250)의 배출공(251)에는 몸체(200) 내부 중간부에 설치된 가압펌프(270)의 입수부(271)에 한단이 연결된 연결호스(280)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필터체(260)의 주입구(261)에는, 상기 가압펌프(270)의 출수부(272)에 한단이 결합된 주입호스(290)의 타단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시된 식용유 정제기의 경우, 1차 백필터(240)에서 동물성 유지(기름)을 여과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이 분리될 수 있는 온도인 5~15℃ 정도로 폐식용유가 식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튀김작업 후 고온 상태의 폐식용유를 그대로 정제하지 못하고, 일정시간 냉각시킨 후 정제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국내 등록특허 제0416582호와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폐식용유를 식혀서 정제하는 정제기의 경우, 필터체(260)를 통과하는 일부 잔류된 동물성기름이 광물성 여과제에 엉겨 붙을 우려가 높아 자유낙하 형태로 정제되지 못하고, 가압펌프(270)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여 강한 흡입 압력으로 정제해야만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04604호(2005. 12. 20. 등록)에 개시된 식용유 정제기는 식용유 정제작업을 더욱 단축시키면서 제1 및 제2필터체가 몸체의 내부 일측에 횡으로 병렬 설치되어 있어 상기 몸체의 높이를 낮추어 사용이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이동가능 하도록 하여 그 사용을 더욱 간편 용이하게 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용유 정제기는, 하부에 개폐밸브(321)가 설치된 착탈식 투입구(320)가 장방형의 몸체(310) 일측에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백필터(330)를 교체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백필터(330)의 하부에는 저유호퍼(340)가 설치되되, 상기 저유호퍼(340)의 하부에는 가압펌프(350)와 몸체(310)의 타측에 횡으로 병렬 설치된 제1 및 제2필터체(360,361)가 흡입펌프(370)와 관(380)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404604호에 개시된 식용유 정제기의 경우에도, 상기한 국내 등록특허 제0416582호 및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65315호와 마찬가지로, 폐식용유를 장시간 식힌 다음, 정제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 개시된 대부분의 식용유 정제장치는, 폐식용유를 정제함에 있 어서, 튀김작업 등이 끝난 상태에서 고온 상태의 폐식용유를 그대로 정제하지 못하고, 장시간 폐식용유를 식힌 다음, 동물성기름을 식물성식용유를 어느 정도 1차 분리하거나 백필터를 이용하여 동물성기름을 여과한 다음에, 그 다음 단계인 동물성 흡착제로 이루어진 필터체에서 식물성식용유만을 정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대부분의 식용유 정제장치는, 강제 흡입을 위한 별도의 가압펌프를 구비하여 강제 흡입하여 식용유를 정제하도록 되어 있어 장비 자체가 상대적으로 복잡해지고, 생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개시된 식용유 정제장치는, 식물성식용유가 아닌 튀김작업 후 일정시간 식히게 되면 쉽게 엉겨붙는 쇼팅류와 같은 식용유는 거의 정제할 수 없거나 정제하더라도 그 정제효율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 출원되어 제안된 식용유 정제장치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식용유 정제과정에서 필터체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정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식용유로 튀김작업 후 폐식용유를 일정시간 냉각하여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를 1차 분리한 상태에서 정제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 및 기타 불순물이 혼합된 뜨거운 상태의 폐식용유 상태에서 곧바로 정제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대부분은 채용하고 있는 강제 흡입을 위 한 가압펌프를 설치할 필요없이 자유낙하에 의한 정제방식만으로도 원활한 정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조 자체를 간소화시키면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성식용유가 아닌 쇼팅류를 사용한 폐식용유에서도 원활한 정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태로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 폐식용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바닥면에 배출구가 구비된 저유호퍼와; 상기 저유호퍼의 내부 일측에 일정 높이를 갖고 구비되어 폐식용유 정제과정에서 폐식용유에 포함된 고형의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는 스크린망과; 상기 저유호퍼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저유호퍼에 수용된 폐식용유를 자유낙하방식으로 정제할 수 있도록 폐식용유를 정제하는 필터체를 수용함과 아울러 그 바닥면에 필터체에 의해 정제된 식용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를 갖는 배출관이 구비된 정제통과; 상기 정제통의 외주면을 감싸고 설치되어 상기 필터체를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히터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 등과 연계하여 폐식용유의 정제작업 조건을 설정함은 물론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스위치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구성된 식용유 정제장치를 제공함 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별도의 저장통을 구비하여 정제된 식용유를 받아낼 수 있도록 본체에 대응되게 서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2단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갖으면서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된 받침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단 개구면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회전노브가 마련되고, 이 회전노브와 개폐밸브 사이에 연결링크가 연결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노브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밸브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참조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30)는, 상,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빈 사각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에는 그 내부에 폐식용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저유호퍼(20)가 구비되고, 상기 저유호퍼(20)의 내부 일측 에는 저유호퍼(20)에 폐식용유를 수용하여 폐식용유 정제하는 과정에서 폐식용유에 포함된 불순물, 현탁된 고체제와 같은 고형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스크린망(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유호퍼(20)의 저면에는 수용된 폐식용유를 자유낙하방식으로 정제할 수 있도록 폐식용유를 정제하는 필터체(50)를 수용하기 위한 정제통(4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정제통(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체(50)를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히터(41)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정제작업 조건을 설정함은 물론 전원공급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조작스위치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컨트롤박스(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정제통(40)의 하단인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별도의 저장통(72)을 구비하여 정제된 식용유를 받아낼 수 있도록 본체(10)에 대응되게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사각케이스 형태의 받침통(7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와 받침통(70)는 서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2단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 시 그 내부가 완전히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부에는 뚜껑(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11)은 본체(10) 내의 저유호퍼(20)에 폐식용유를 수용하여 정제하 는 과정에서 개구된 상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과 함께 폐식용유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전반전으로 제품의 외관미를 고려하여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11)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뚜껑(11)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 하부에 조립되는 받침통(70)는 경우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받침통(70)는 본체(10) 하부에서 정제된 식용유를 받아내는 저장통(72)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제공되어 외관적으로 별도의 저장통(7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본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제작업 환경 등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받침통(7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저유호퍼(20)는 본체(10)의 사방 측벽 상단면에 걸고리 형태로 안착 체결되어 본체(10)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로 장착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저유호퍼(20)의 바닥면에는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유호퍼(20)의 사방 내주면에는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위치에 고정턱(22)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턱(22)에는 상기 스크린망(30)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망(30)은 액상 상태는 빠져나가고 일정크기를 갖는 고형 상태의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는 부직포 형태의 스크린필터와, 이 스크린필터를 고정할 수 있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2)의 사방 테두리에는 필터체(50)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정제통(40)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제통(40)은 용접을 통해 배출구(22)의 사방 테두리에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형태로 조립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제통(40)은 폐식용유 내의 지방산이나 과산화물 등을 정제할 수 있는 필터체(5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는 히터(41) 및 이 히터(4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도시안됨)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히터(41)는 대략 100~120℃ 정도의 온도로 정제통(40)의 벽면을 통해 필터체(5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바, 상기 히터(41)는 고정커버(47)를 통해 정제통(4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히터(41)와 연계하여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히터(41)를 통해 필터체(50)를 가열하는 이유는, 폐식용유의 정제작업이 필터체(50)에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히터(41)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의 감지 값을 인가받는 상기 컨트롤박스(60) 내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작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콘트롤러에는 미리 설정값을 입력하여 반복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통상적인 제어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60)에는 정제 과정에서 상기 히터(41)에 의한 가열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 스위치(61), 정제작업 시 작업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조작스위치(62),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 조작스위치(63)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스위치 및 표시장치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체(50)는 폐식용유 속에 포함된 지방산, 과산화물 및 각종 중금속을 정제하여 제거함과 동시에 탈취 작용 및 현탁한 폐식용유의 색상을 좀더 투명한 색상으로 정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필터체(50)는 상 하부가 개구된 합성수지재로 만든 원형의 몸통 내에 미세하게 파쇄된 세피오라이트와 같은 정제기능을 갖는 광물질을 넣고, 개구된 상 하부를 여과용 부직포로 막아줌으로써, 폐식용유가 상기 세피오라이트 사이를 흘러 내려가는 과정에서 식용유 정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히터(41)로 필터체(50)를 가열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폐식용유 정제작업 과정을 설명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제통(40)의 바닥면에는 필터체(50)에 의해 정제된 식용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43)가 마련된 배출관(42)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관(42)의 하부는 받침통(70)의 내부 공간으로써, 상기 받침통(70) 내부에 저장통(72)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42)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된 식용유를 저장통(72)으로 받아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통(70)의 일면에는 개폐도어(71)가 마련되어, 상기 개폐도어 (71)를 통해 상기 저장통(72)이 취출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43)에는 작업자가 수동 작업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조작레버(44)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3)의 개폐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본체(10) 외부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폐밸브(4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회전노브(45)가 마련되고, 이 회전노브(45)와 개폐밸브(43) 사이에 연결링크(46)가 연결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노브(45)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밸브(43)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때, 상기와 같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밸브(43)를 개폐하는 방식 외에도 전동식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개폐작업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식용유 정제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식용유 정제장치의 특징은 튀김작업 후 곧바로 식히지 않은 폐식용유를 정제할 수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종래 개시된 대부분의 식용유 정제장치는 튀김작업 후 일정시간 식혀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을 어느 정도 분리한 상태에서 정제작업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이 대략 5~15℃ 정도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동물성기름이 아래로 가라앉아 상하 층 분리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폐 식용유를 5~15℃ 정도까지 식혀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을 1차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통상적으로 튀김작업 후 발생한 폐식용유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폐식용유를 상온에서 5~15℃정도 까지 식히는 데, 여름철의 경우에는 대략 24~48시간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제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는 폐식용유를 식히지 않은 상태에서 고온의 폐식용유를 곧바로 저유호퍼(20)에 부어 정제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제통(40)의 외주면에 히터(41)를 구비하여 정제작업 중에 100~12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상기 필터체(50)에서 동물성기름이 엉겨붙지 않을 정도로 항상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동물성기름이 20℃ 이하의 온도일 때 엉겨 붙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폐식용유가 상기 필터체(50) 내에서 정제되는 과정에서 항상 최저 25~30℃정도의 일정온도를 유지할 경우에는 상기 필터체(50)에 동물성기름이 엉겨붙지 않고 액체 상태로 정제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는 폐식용유에서 1차적으로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를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식히지 않은 폐식용유를 그대로 정제장치에 넣어 상기 저유호퍼(20) 내에 설치된 상기 스크린망(30)을 통해 1차적으로 폐식용유에 포함된 고형의 불순물을 처리하고, 상기 저유호퍼(20)의 배출구(21) 에 조립된 정제통(40) 내의 필터체(50)로 폐식용유 내의 지방산, 과산화물, 기타 중금속을 정제함과 동시에 탈취 및 폐식용유의 색상을 원래 깨끗한 식용유에 가깝게 정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체(50) 내에서 폐식용유 내의 지방산, 과산화물, 기타 중금속을 정제함과 동시에 탈취 및 폐식용유의 색상을 원래 깨끗한 식용유에 가깝게 정제할 수 있는 이유는, 필터체(50)를 구성하는 세피오라이트, 제오라이트, 산성백토와 같은 광물질로 이루어진 필터재질의 효능적 특성에 기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자유낙하방식을 취하고 있는 바,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폐식용유 내의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가 필터체(50) 내를 지나가면서 정제되는 과정에서 높은 온도로 인해 서로 엉겨붙지 않고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본 발명의 필터체(50)는 통상 25ℓ의 폐식용유를 대략 12시간 정도 걸려서 정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용유 정제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튀김작업이 끝나는 오후시간에 생성된 고온의 폐식용유를 저유호퍼(20)에 부은 다음, 컨트롤박스(60)에 마련된 시간 조작스위치(62) 및 온도표시 스위치(61)를 통해 정제시간 및 히터의 가열온도 등을 설정하고, 상기 받침통(70) 상부에 위치한 배출관(42) 하부에 저장통(72)을 놓아둔 상태에서 본체(10) 외주면에 마련된 회전노브(45)를 조작하여 개폐밸브(4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정제작업이 시작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정제작업이 시작되면, 25ℓ정도의 폐식용유가 대략 12시간 정도 걸려 정제됨에 따라, 사용자는 다음날 아침에 저장통(72) 내 정제되어 수거된 식용유를 꺼내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을 분리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 정제장치의 경우, 종래 대부분의 식용유 정제장치가 필터체(50)를 거쳐 배출시 동물성기름을 걸러낸 상태에서 식물성식용유만을 배출하도록 된 것과는 달리,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이 함께 뒤섞인 폐식용유가 그대로 정제되어 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어 정제된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이 함께 저장통(72)에 의해 수거되는 것이다.
이때, 12시간 가까이 정제되어 저장통(72)에 담겨 있는 동안에 어느 정도 식으면서 서서히 식물성식용유와 동물성기름이 분리된 상태로 저장통(72)에 담겨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 사용자는 저장통(72) 내에서 정제된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가 상하 층 분리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놓아두어 다가 상층에 위치한 식물성식용유만을 분리하여 재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식용유 정제장치를 통한 정제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낮은 온도에서 쉽게 엉겨붙는 성질이 있는 쇼팅류와 같은 식용유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쇼팅류와 같은 식용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히터(41) 가열을 통해 필터체(50)에 엉겨 붙지 않을 정도의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면, 충분히 쇼팅류로도 정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식용유를 정제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기타 산업 및 공업용의 기름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활용하여도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폐식용유 정제과정에서 필터체 내부 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정제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식용유로 튀김작업 후 정제가 필요한 폐식용유를 일정시간 냉각하여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를 1차 분리한 상태에서 정제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성기름과 식물성식용유 및 기타 불순물이 혼합된 뜨거운 상태의 폐식용유 상태에서 곧바로 정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대부분은 채용하고 있는 강제 흡입을 위한 가압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자유낙하에 의한 정제방식만으로도 원활한 정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용유 정제장치의 구조 자체를 간소화시키면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폐식용유를 식히지 않고 뜨거운 상태에서 곧바로 정제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성식용유가 아닌 쇼팅류를 사용한 폐식용유에서도 원활한 정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상,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태로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 폐식용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바닥면에 배출구(21)가 구비된 저유호퍼(20)와, 상기 저유호퍼(20)의 내부 일측에 일정 높이를 갖고 구비되어 폐식용유 정제과정에서 폐식용유에 포함된 고형의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는 스크린망(30)과, 상기 저유호퍼(20)의 배출구(21)에 설치되어 저유호퍼(20)에 수용된 폐식용유를 자유낙하 방식으로 정제할 수 있도록 폐식용유를 정제하는 필터체(50)를 수용함과 아울러 그 바닥면에 필터체(50)에 의해 정제된 식용유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43)를 갖는 배출관(42)이 구비된 정제통(40)과, 상기 정제통(40)의 외주면을 감싸고 설치되어 상기 필터체(50)를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히터(41)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41) 등과 연계하여 폐식용유의 정제작업 조건을 설정함은 물론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스위치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컨트롤박스(60)로 구성된 식용유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별도의 저장통(72)을 구비하여 정제된 식용유를 받아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대응되게 서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2단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갖으면서 일측에 개폐도어(71)가 마련된 받침통(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단 개구면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회전노브(45)가 마련되고, 이 회전노브(45)와 개폐밸브(43) 사이에 연결링크(46)가 연결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노브(45)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밸브(43)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유 정제장치.
KR1020060019969A 2006-03-02 2006-03-02 식용유 정제장치 KR10066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69A KR100662823B1 (ko) 2006-03-02 2006-03-02 식용유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69A KR100662823B1 (ko) 2006-03-02 2006-03-02 식용유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823B1 true KR100662823B1 (ko) 2007-01-02

Family

ID=3786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969A KR100662823B1 (ko) 2006-03-02 2006-03-02 식용유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8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030B1 (ko) 2009-11-12 2012-04-18 박상일 식용유 정제장치
CN109603283A (zh) * 2019-01-14 2019-04-12 苏州小点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易清洁厨房废水处理设备
CN117431116A (zh) * 2023-12-08 2024-01-23 宁夏五谷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连续式食用油精炼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22Y1 (ko) 1998-05-09 2001-05-02 이정규 식용유 여과 정제기
KR200353620Y1 (ko) 2004-03-18 2004-06-18 홍동기 식물성 식용유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22Y1 (ko) 1998-05-09 2001-05-02 이정규 식용유 여과 정제기
KR200353620Y1 (ko) 2004-03-18 2004-06-18 홍동기 식물성 식용유 여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030B1 (ko) 2009-11-12 2012-04-18 박상일 식용유 정제장치
CN109603283A (zh) * 2019-01-14 2019-04-12 苏州小点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易清洁厨房废水处理设备
CN117431116A (zh) * 2023-12-08 2024-01-23 宁夏五谷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连续式食用油精炼设备
CN117431116B (zh) * 2023-12-08 2024-03-22 宁夏五谷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连续式食用油精炼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232B1 (ko) 성능 및 튀김유의 수명을 향상시킨 웰빙 수유식 튀김기
KR200438100Y1 (ko) 식용유 정제 시스템
KR100662823B1 (ko) 식용유 정제장치
CN203262163U (zh) 全自动豆腐机
KR20050119091A (ko) 부유물 정제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튀김기
KR20130027790A (ko) 폐식용유 정제장치
KR100825372B1 (ko) 식용유 정제장치용 필터체
KR200413631Y1 (ko) 부유물 정제장치 및 그 장치를 갖는 튀김기
KR100767750B1 (ko)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KR19980072207A (ko) 여과식 전기 튀김기
JP2009262063A (ja) 食用油ろ過装置におけるフィルター構造
KR200404603Y1 (ko)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JP6995848B2 (ja) プラスチック溶融物を濾過するための装置
JP2001089789A (ja) 食用油の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KR101123150B1 (ko) 식용유 정제장치 및 방법
KR101136030B1 (ko) 식용유 정제장치
KR200260768Y1 (ko) 폐식용유 여과장치
JPH06292483A (ja) 観賞魚飼育装置
KR200404604Y1 (ko) 식용유 정제기
CN113831962A (zh) 一种食用油生产流水线
KR200365315Y1 (ko) 가압형 식용유 정제장치
KR101011701B1 (ko) 폐식용유 재활용 장치
KR200405404Y1 (ko) 식용유의 정제 장치
KR200185432Y1 (ko) 기름여과시스템
CN215876554U (zh) 一种废油收集储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