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676B1 -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676B1
KR100592676B1 KR1020000002149A KR20000002149A KR100592676B1 KR 100592676 B1 KR100592676 B1 KR 100592676B1 KR 1020000002149 A KR1020000002149 A KR 1020000002149A KR 20000002149 A KR20000002149 A KR 20000002149A KR 100592676 B1 KR100592676 B1 KR 10059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filter
discharge duct
air discharge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538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6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가 막혔을 때에만 이를 정확하게 감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필터 청소시기를 경보하며, 열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90)에 의하면, 세탁물 보푸라기 등에 의해 필터(51)가 막혀 열풍배출덕트(50)내에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에만 마이크로스위치(93)가 온 되도록 플런저(92)가 작동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보고 필터(51) 청소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제품 사용이 보다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51)가 막히지 않은 경우에는 열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플런저(92)의 플랜지(92a)가 열풍배출덕트(50)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열풍이 원활하게 유동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Filter choking alarm of clothing dryer}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막힘 경보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만을 도시한 제어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막힘 경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회전조 50..열풍배출덕트
51..필터 60..배기팬
90..필터막힘 경보장치 91..공기유입공
92..플런저 92c..탄성부재
93..마이크로스위치 95..필터막힘 알림수단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건조 중에 발생 하는 보푸라기 등에 의해 필터가 막힌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회전조내로 강제 송풍시켜 회전조에 투입되어 있는 젖은 세탁물을 자동으로 건조하는 기기이다.
종래 의류건조기는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조와, 히터에서 가열된 열기를 회전조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열풍안내덕트와, 회전조내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 안내하기 위한 열풍배출덕트 및 배기팬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조 내부와 연통된 열풍배출덕트의 일단부, 즉 배기팬의 상류측에는 배기되는 열풍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는 세탁물에 붙어 있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건조되면서 열풍과 함께 열풍배출덕트를 통해 회전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의류건조기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필터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걸러져 열풍배출덕트를 통한 열풍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 건조율이 급격히 떨어짐과 동시에 히터 온도가 과승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의류건조기에서는 사용자가 필터의 이물질 채집량을 수시로 확인하거나 경험적으로 청소주기를 파악하여 필터를 청소해야 하는 제품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의 막힘 현상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출원번호 실1995-009673, 등록번호 실0120396)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0120396호에 개시된 종래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의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2)에 힌지결합되어 열풍덕트(3)내를 유동하는 열풍의 풍량 및 유속의 변화에 따라 변위되는 감지레버(4)와, 감지레버(4)의 변위량에 연동하도록 설치된 작동레버(5)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6)와, 감지레버(4)와 브라켓(2) 사이에 설치되며 열풍의 압력을 받아 감지레버(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압축된 후 필터(미도시)가 막혀 열풍덕트(3) 내의 풍압이 낮아질 때 복원되어 감지레버(4)를 복귀시키도록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8)를 구비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스위치(6)는 필터의 막힘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가 막히지 않고 의류건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열풍덕트(3)를 따라 유동하는 열풍의 풍압에 의해 감지레버(4)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8)를 압축시키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작동레버(5)가 연동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6)가 오프되고 필터가 막혔음을 알리는 표시부의 램프는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많은 세탁물의 건조가 반복 수행됨에 따라 이물질이 필터에 쌓여 막히게 되면, 열풍덕트(3)를 지나는 풍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유속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열풍덕트(3)내에 삽입된 감지레버(4)에 작용하는 풍압이 탄성부재(8)의 복원력보다 약화되면, 감지레버(4)는 탄성부재(8)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며, 이에 연동하여 작동레버(5)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마이크로스위치(6)가 온됨으로써, 표시부 에 필터막힘을 알리는 램프가 점멸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필터의 막힘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필터막힘 감지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초기구동할 때, 필터가 막히지 않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스위치(6)가 감지레버(4)에 의해 온 된 상태이기 때문에 표시부가 작동하게 된다. 즉, 의류건조기를 작동시켜 팬모터가 정격회전수로 회전하기 전까지 열풍덕트(3)를 지나는 열풍의 풍압이 낮기 때문에, 감지레버(4)는 탄성부재(8)의 복원력에 의해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어 마이크로스위치(6)를 온 시키며, 이것에 의해 표시부가 일시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가 잘못 판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지레버(4)는 열풍의 풍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열풍덕트(3) 내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풍의 원활한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며 아울러 상당한 소음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열풍덕트에 내장된 필터에 이물질이 채집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에 이물질이 다량 채집되어 열풍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만 정확하게 작동하여 사용자가 잘못 판단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열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내에 설치된 회전조와, 회전조와 연통되며 열풍 유입측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유출측에는 팬이 설치된 열풍배출덕트를 갖춘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필터와 팬 사이의 열풍배출덕트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열풍배출덕트 내외의 기압차에 의해 진퇴운동 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진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필터의 막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와, 마이크로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필터의 막힘을 경보하기 위한 필터막힘 알림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열풍배출덕트내에 위치된 플런저의 일단에는 열풍배출덕트의 내면과 면접촉하도록 판상의 플랜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열풍배출덕트 외부로 연장된 플런저의 타단에는 플런저를 후향 지지하여 열풍배출덕트 내부가 대기압상태일 때 마이크로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열풍배출덕트의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류건조기를 보인 것이고,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막힘 경보장치의 상세구조와 제 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본체(10)와, 본체(10)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형상의 회전조(30)와, 회전조(30)내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열풍안내덕트(40) 및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열풍배출덕트(50)와, 열풍을 회전조(30)내로 강제 흡입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60)을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면판(11)에는 회전조(30)내로 세탁물 투입 및 인출을 위한 투입구(11a)가 형성되며, 도어(20)는 이 투입구(11a)를 개폐하도록 전면판(11)에 장착된다. 또한, 전면판(11)의 상부에는 각 구동요소들을 작동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13a)을 갖춘 제어부(13,PCB)가 마련된다. 제어부(13)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제어되도록 일련의 건조행정이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후면판(12)에는 히터(41)가 장착되며, 이 히터(41)를 감싸도록 열풍안내덕트(40)가 설치된다. 즉, 열풍안내덕트(40)의 외부공기 유입측에 히터(41)가 설치되며 유출측은 회전조(30)의 후방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외부 공기가 히터(41)를 지나면서 가열되며, 계속하여 이것은 열풍안내덕트(40)를 통해 회전조(30) 후방으로 유입되게 된다.
회전조(30)는 본체(10)내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축(32)지지되며, 본체(10)의 저부에 장착된 모터(70)에 의해 건조행정 시 45RPM 정도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70)는 회전조(30)와 배기팬(60)을 동시에 구동시키는데, 이를 위해 모터(70)의 구동축(71)은 양쪽으로 연장되며, 한쪽에는 배기팬(60)이 직결되고 다른쪽에는 풀리(71a)가 설치된다. 이 풀리(71a)에는 회전조(30)를 감싸도록 설치된 벨트(31)가 연결된다.
그리고 열풍배출덕트(50)는 본체(10)의 전면판(11)과 회전조(30)의 전방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조(30)내의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열풍배출덕트(50)의 일단(50a)은 열풍이 유입되도록 회전조(30)의 전방부와 연통되며, 열풍이 유출되는 타단(50b)에는 모터(70)에 의해 구동하는 배기팬(60) 및 본체(10) 외부로 연장된 배기덕트(80)가 연결되어 있어서, 배기팬(60) 구동 시 회전조(30)내를 지나면서 수분을 함유한 열풍이 열풍배출덕트(50)와 배기덕트(8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필터(51)는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데, 이물질 채집량이 많을 경우 청소가 가능하도록 열풍배출덕트(50)의 일단(50a)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열풍배출덕트(50)에는 필터(51)의 막힘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3)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필터막힘 경보장치(9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필터막힘 경보장치(90)는 필터(51)와 배기팬(60) 사이의 열풍배출덕트(50) 측면에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봉형상의 플런저(92)와, 플런저(92)의 위치변화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필터(51)의 막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93)를 구비한다.
플런저(92)는 열풍배출덕트(50) 측면에 천공된 관통홀(52)을 통해 관통하여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열풍배출덕트(50)내에 부압형성 시 전진하여 그 위치가 변화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열풍배출덕트(50)내에 위치된 플런저(92)의 일 단에는 열풍배출덕트(50)의 내면과 면접촉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판상의 플랜지(9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열풍배출덕트(50) 외부에 위치된 플런저(92)의 타단 외주에는 탄성부재(92c)가 설치된다. 탄성부재(92c)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플런저(92)의 타단에는 이러한 탄성부재(92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94)가 결합된다. 또한, 플랜지(92a)와 면접촉하는 관통홀(52) 주변부에는 열풍배출덕트(50)내의 부압형성에 따라 플런저(92)의 전진 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모터(70)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유입공(91)이 천공되며, 플랜지(92)의 내면에는 의류건조기의 정상작동 시 공기유입공(91)을 밀폐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루버재질의 패킹(92b)이 부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런저(92)의 위치변화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의류건조기의 전반적인 작동이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제어부(13)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스위치(93)가 플런저(92)의 타단 인접부위에 배치된다. 마이크로스위치(93)에는 선단이 플런저(92)의 타단과 연동하도록 선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된 작동레버(93a)가 마련되는데, 플런저(92)의 위치변화에 따라 작동레버(93a)가 연동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93)가 온 또는 오프된다.
한편, 마이크로스위치(9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의 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어부(13)의 입력측에는 마이크로스위치(9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의 출력측에는 마이크로스위치(93)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거하여 본체(10)의 전면판(11)에 마련된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을 구동하는 구동부(95a)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터막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 은 정상운전 시에는 마이크로스위치(93)가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이 구동하지 않고, 반대로 필터(51)가 막혀 마이크로스위치(93)로부터 온 신호가 제어부(13)에 입력되면 구동부(95a)를 통해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이 구동하게 된다. 이 때,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은 전원이 인가되면 점등되는 경고램프 또는 경고음 발생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막힘 경보장치(90)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어(20)를 개방하여 회전조(30)내로 젖은 세탁물을 투입한 후 다시 도어(20)를 닫고 건조행정을 수행시키면, 히터(41) 및 모터(70)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조(30)가 회전하여 세탁물이 섞여짐과 동시에, 배기팬(60)이 구동되어 히터(41)를 지나면서 생성된 열풍이 열풍안내덕트(40)를 통해 회전조(30) 내부로 강제 유입된다. 계속하여 회전조(30)내로 유입된 열풍은 배기팬(60)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젖은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열풍배출덕트(50)와 배기덕트(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세탁물 건조가 수행된다.
한편,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달라붙어 있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열풍에 날리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열풍과 함께 배출되는 과정에서 열풍배출덕트(50)내에 설치된 망상의 필터(51)에서 채집된다.
이와 같이, 의류건조기를 장시간 사용하면 다량 채집된 이물질에 의해 필터(51)가 막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열풍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51)와 배기팬(60) 사이의 열풍배출덕트(50)내에 부압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우 필터막힘 경보장치(90)의 플런저(92)가 전진하고 마이크로스위치(93)가 온 된다. 계속하여 온 신호는 제어부(13)에 입력되고,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이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터(51) 청소시기를 경보하게 된다.
즉,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필터(51)가 막히지 않아 열풍배출덕트(50)를 따라 열풍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92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92)가 후향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패킹(92b)을 갖춘 플런저(92)의 플랜지(92a)가 공기흡입공(91)을 밀폐하도록 열풍배출덕트(5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열풍의 유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플런저(92)의 위치변화가 없어 마이크로스위치(93) 역시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반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많은 이물질(A)이 필터(51)에 채집되어 열풍배출덕트(50)를 따라 열풍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열풍배출덕트(50)내에 부압이 형성되며, 기압차에 의해 진퇴운동 가능한 플런저(92)가 탄성부재(92c)를 압축시키면서 열풍배출덕트(50) 내측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전진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92)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와 연동하여 마이크로스위치(93)의 작동레버(93a) 또한 자유단이 벌어짐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93)가 온 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3)로 전달한다.
계속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3)는 구동부(95a)를 통해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을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보고 필터(51) 청소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 때, 플런저(92)가 전진함에 따라 공기유입공(91)이 개방되어 외부공기가 열풍배출덕트(50)내로 유입됨으로서, 배기팬(60)을 구동하는 모터(70)의 과부하가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필터(51)를 청소하여 열풍이 원활하게 순환하면, 탄성부재(92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92)는 다시 후향 지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93)는 다시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에 의하면, 세탁물 보푸라기 등에 의해 필터가 막혀 열풍배출덕트내에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에만 마이크로스위치가 온 되도록 플런저가 작동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보고 필터 청소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제품 사용이 보다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지 않은 경우에는 열풍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플런저의 플랜지가 열풍배출덕트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열풍이 원활하게 유동된다.






Claims (4)

  1. 본체내에 설치된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와 연통되며 열풍 유입측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유출측에는 팬이 설치된 열풍배출덕트를 갖춘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51)와 상기 팬(60) 사이의 상기 열풍배출덕트(50)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열풍배출덕트(50) 내외의 기압차에 의해 진퇴운동 하는 플런저(50)와,
    상기 플런저(92)의 진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필터(51)의 막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93)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51)의 막힘을 경보하기 위한 필터막힘 알림수단(9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배출덕트(50)내에 위치된 상기 플런저(92)의 일단에는 상기 열풍배출덕트(50)의 내면과 면접촉하도록 판상의 플랜지(92a)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배출덕트(50) 외부로 연장된 상기 플런저(92)의 타단에는 상기 플 런저(92)를 후향 지지하여 상기 열풍배출덕트(50) 내부가 대기압상태일 때 상기 마이크로스위치(93)를 오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92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92a)와 면접촉하는 상기 열풍배출덕트(50)의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91)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KR1020000002149A 2000-01-18 2000-01-18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KR10059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149A KR100592676B1 (ko) 2000-01-18 2000-01-18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149A KR100592676B1 (ko) 2000-01-18 2000-01-18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538A KR20010073538A (ko) 2001-08-01
KR100592676B1 true KR100592676B1 (ko) 2006-06-26

Family

ID=1963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149A KR100592676B1 (ko) 2000-01-18 2000-01-18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42B1 (ko) * 2006-10-09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필터배출장치 및 필터배출방법
DE102016123111A1 (de) * 2016-11-30 2018-05-30 Miele & Cie. Kg Verfahren zum Reduzieren einer Trockenzeit beim Trocknen von Wäsche in einem Trockner und Trockner mit einer Vorrichtung
CN112899989B (zh) * 2019-12-04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滚筒洗衣机
WO2023203833A1 (ja) * 2022-04-21 2023-10-26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乾燥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98A (ja) 1991-07-10 1993-01-26 Sharp Corp 衣類乾燥機
KR950008839A (ko) * 1993-09-17 1995-04-19 이헌조 빨래 건조기의 필터막힘감지장치
KR960037542U (ko) * 1995-05-09 1996-12-18 엘지전자주식회사 강제열풍식 빨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98A (ja) 1991-07-10 1993-01-26 Sharp Corp 衣類乾燥機
KR950008839A (ko) * 1993-09-17 1995-04-19 이헌조 빨래 건조기의 필터막힘감지장치
KR960037542U (ko) * 1995-05-09 1996-12-18 엘지전자주식회사 강제열풍식 빨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538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608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US3718982A (en) Excess lint indicator for a clothes dryer
JP405923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TWI360596B (ko)
KR101353421B1 (ko) 제습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이의 제습방법
EP204972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642729B2 (ja) 洗濯乾燥機
KR100762332B1 (ko) 필터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RU2407834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KR101513625B1 (ko) 의류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92676B1 (ko)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KR20060066970A (ko) 의류건조기
JP200711713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5223191A (ja) 洗濯乾燥機
KR100575674B1 (ko) 흡입공기 여과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JP2004089742A (ja) ドラム式乾燥洗濯機
JP2015167694A (ja) 乾燥機
KR20060038859A (ko) 의류건조기의 필터 막힘 감지장치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JPH04126199A (ja) 衣類乾燥機
JP4383960B2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GB2097106A (en) Laundry drier with fluff filter monitor
KR100662763B1 (ko)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JP2005137503A (ja) 衣類乾燥機
KR100678671B1 (ko) 건조기의 벨트 이상 방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