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608B1 -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608B1
KR100844608B1 KR1020060085857A KR20060085857A KR100844608B1 KR 100844608 B1 KR100844608 B1 KR 100844608B1 KR 1020060085857 A KR1020060085857 A KR 1020060085857A KR 20060085857 A KR20060085857 A KR 20060085857A KR 100844608 B1 KR100844608 B1 KR 10084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flow
dryer
clogging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2438A (ko
Inventor
김주현
김경훈
배순철
허진석
김양환
민주영
구자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608B1/ko
Priority to CA2599353A priority patent/CA2599353C/en
Priority to CA2599375A priority patent/CA2599375C/en
Priority to US11/849,531 priority patent/US8387272B2/en
Priority to DE102007042060.0A priority patent/DE102007042060B4/de
Priority to US11/850,080 priority patent/US7926201B2/en
Priority to DE102007042061.9A priority patent/DE102007042061B4/de
Priority to CN2007101487325A priority patent/CN101139793B/zh
Priority to CN2007101487306A priority patent/CN101139792B/zh
Priority to CN2010101554374A priority patent/CN101792967B/zh
Publication of KR2008002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 동작의 수행 시에 공기 유로의 온도에 따른 건조 동작의 제어 경향으로부터 공기 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은 건조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막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CLOGGING DETECTING METHOD FOR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 방법의 적용된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 방법을 수행하는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도에 따른 건조 동작의 온/오프 그래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 방법에 따른 표시예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70: 스위치 72a, 72b: 온도센서
90: 마이컴
본 발명은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 동작의 수 행 시에 공기 유로의 온도에 따른 건조 동작의 제어 경향으로부터 공기 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세탁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감싸며, 세척수가 집수되는 터프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과 연결되어 세척수 또는 상기 세제통의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세탁행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끝단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 및 배수호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드럼속에 빨랫감과 세척수를 넣고 드럼이 회전될 때 빨랫감이 중력방향으로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세척수와의 마찰에 의하여 세탁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이 부가되어 세탁뿐만이 아니라, 빨래감을 열풍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 세탁기는, 다시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응축식은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를 송풍팬에 의하여 드럼측으로 보내어 드럼내의 빨랫감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빨래를 건조시킨 드럼내의 공기는 고온다습한 상태가 되며 터브와 연통된 배기구로 이동된다. 이때, 배기구의 일측에는 차가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이 부설되어 상기 고온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다시 송풍팬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식은 드럼내의 빨래감에 히터와 송풍팬에서 발생된 열풍을 통과시킨 후 상기 열풍을 세탁기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그대로 세탁기의 외 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는 터프와 연결되는 주름진 호스로 연결되며,이 배기구는 유아나 애완동물등이 세탁기 내에 갇히었을 때 숨구멍의 역활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식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건조시 빨랫감에서 린트(미세한 보푸라기)가 발생하게 된다. 린트는 세탁기 내의 드럼에서 열풍을 따라 순환하여 배기구를 따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세탁 후 빨랫감으로부터 발생되는 린트가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에 쌓이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린트를 수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탁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린트가 배기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구 내에 린트 필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의류 건조기 사용시마다 필터 청소를 권고하고 있으나, 청소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으로 인해 거의 필터 청소를 소홀히 하게 되어, 건조를 수행함에 따라 필터의 막힘 정도가 심해져서, 건조시간이 증가하게 되거나 전력소비가 증가하게 되며, 그 막힘 정도가 심할 수록 미세한 린트가 필터에 포집되지 않고 부유하다가 의류 및 건조기 내부에 달라붙어 의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건조기 외부로 건조작용을 수행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자체에 린트가 적층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러한 배기구의 막힘을 확인하는 것을 상당히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조작용을 위해 가열된 공기의 유로의 막힘 상태를 확인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린트필터 및 배기덕트의 막힘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린트의 발화와, 건조시간의 증가 및 전력소비의 증가를 방지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린트 필터 또는 배기 덕트 중에서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은 건조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막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막힘 감지 방법은 상기 공기 유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건조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건조 동작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산정된 온/오프 듀티비에 따라 상기 막힘 상태를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힘 감지 방법은 상기 공기 유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건조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건조 동작의 최초 오프 시점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 여, 상기 산정된 최초 오프 시점에 따라 상기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힘 감지 방법은 상기 공기 유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건조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건조 동작의 온 또는 오프 횟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산정된 온 또는 오프 횟수에 따라 상기 막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힘 상태는 상기 공기 유로의 막힘 정도 또는 상기 공기 유로에서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막힘 상태를 문자, 도형, 숫자, 그래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은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와, 공기 유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건조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추가적으로 상기 건조의 수행/중지에 대한 듀티비를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산정된 듀티비에 대응하는 상기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인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은 건조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공기 유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건조 동작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 동작의 온 또는 오프 횟수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 방법의 적용된 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건조기(10)의 본체는 상판 플레이트(1)와 하판 플레이트(2)에 캐비넷(3)이 고정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이 공간에는 구동모터(11)와 드럼(13)과 같은 장치가 내설된다. 표시부(5)는 건조기(10)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 및,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예를 들면, 막힘의 정도,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 등)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5)는 시각적 표시수단뿐만 아니라, 청각적 표시수단(예를 들면, 스피커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모터(11)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축(12)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12)은 드럼(13)의 후면에 고정되어 드럼(13)을 회전시키게 된다. 드럼(13)은 구동축(12)이 고정된 타측으로 즉, 본체에 형성된 도어(4)측으로 개구된다.
또한, 드럼(13)은 터브(14)에 감싸이게 된다. 이러한, 터브(14)의 외부에 구동모터(11)가 설치되며, 구동축(12)이 드럼에 고정되도록 터브(14)를 관통되여 설치된다.
그리고, 터브(14)와 상판 플레이트(1)의 사이에 송풍덕트(40)가 설치되어 드럼(13)내에 열기를 공급하게 된다. 송풍덕트(40)는 건조시 열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기의 외부에서 유입되어 드럼(13)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42)이 설치되고, 송풍팬(42)은 모터(43)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송풍덕트(40)에는 저항열을 이용하는 히터(41)가 설치된다.
한편, 터브(14)는 배기덕트(30)와 연통되어 드럼(13)내의 열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덕트(30)는 터브(14)의 후미상부에서 연통되어 건조기 본체의 배면으로 연결되어, 외벽(5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열기를 배출한다.
이러한, 배기덕트(30)에 린트 필터 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 린트 필터 어셈블리(20)는 건조기(10)의 상판 플레이트(1)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린트 필터가 배기덕트(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린트 필터 어셈블리(20)는 배기덕트(30)와 인접하고 상판 플레이트(1)의 하부에 설치된다. 린트 필터 어셈블리(20)는 크게 미세한 매쉬(Mesh)형상의 필터(21)와, 필터(21)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구(22)와, 손잡이(25)로 구성된다.
또한, 배기덕트(30)에는 빨랫감에 대한 건조 동작을 수행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2)가 구비되는데, 이 온도센서(72)는 린트 필터 어셈블리(20)의 후단에 장착되어, 린트 필터 어셈블리(2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빨랫감의 건조를 개시하게 되면, 모터(43)가 회전하게 되어 송풍팬(42)이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이렇게 개시된 송풍팬(42)은 송풍덕트(40)로 공기 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송풍덕트(40)에는 히터(4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13)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뜨겁고 건조한 상태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공기는 회전되는 드럼(13) 내의 빨랫감을 건조시킨 후 터브(14)에 형성된 배기덕트(30)측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여기서, 터브(14)와 배기덕트(30)을 연결하기 위하여 주름이 형성된 배기호스(31)가 설치된다. 배기호스(31)에 형성된 주름진 관은 드럼(13)의 회전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터브(14)가 떨리게 되어, 배기덕트(30)와의 연결이 불안하게 되는데 상기 배기호스(31)에 형성된 주름진 관이 자유롭게 탄성력을 갖고 그 길이가 변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배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터브(14)를 빠져나가는 공기에는 빨랫감에서 발생된 린트들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린트는 뜨거운 열기에 의해 대류되어 배기덕트(30)로 배기된다.
그러나, 배기덕트(30)로 배기되는 린트 중에는 배기덕트(30)를 완전히 빠져 나가지 못하고 배기덕트(30)에 침적되기 때문에 상기 린트를 배기덕트(30) 내에 설치된 린트 필터(21)에 의해 걸러 낸다. 상기 린트 필터는 내열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망사로에 의해 필터링 되고, 린트가 제거된 공기만이 세탁기 외부로 배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 방법을 수행하는 건조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히터(41)에 공급되도록 하되, 히터(41)의 온도 또는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60)와, 마이컴(10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됨으로써 히 터(41)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70)와, 공기 유로 내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2)와, 온도센서(72)로부터의 온도에 따라 히터(41)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 상태에 따라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결정하는 마이컴(90)과, 마이컴(90)에 의해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 유로는 송풍덕트(40)와, 건조대상인 빨랫감을 수용하는 드럼(13)과, 터브(14)와, 건조작용을 수행한 공기를 터브(14)로부터 배출하는 배기 덕트(30)로 이루어지되, 배기 덕트(30) 내에는 린트를 걸러내는 린트 필터 어셈블리(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스위치(60)는 써모스탯(thermostat)으로 구성되어, 히터(41)의 측면 또는 근방에 장착되어, 히터(41)의 온도 또는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소정의 과열온도(예를 들면, 히터(41)의 과열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온상태를 유지하고, 과열온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오프상태로 변하여 히터(41)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스위치(60)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반응하기 위해, 공기 유로 상의 송풍덕트(40) 내에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스위치(60)은 종래의 건조기에서 전원 차단으로 사용되는 써모스탯이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스위치(60)의 오프 조건인 온도는 스위치(70)이 제어되는 온도보다 높도록, 스위치(60)의 특성이 결정된다.
또한, 스위치(70)는 릴레이와 같은 소자로 구성되어, 마이컴(90)의 온 제어에 따라 건조 수행 중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마이컴(90)의 오프 제어에 따라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스위치(70)는 공기 유로의 온도에 따라, 특히 배기덕 트(30)의 온도(린트 필터 어셈블리(2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2)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마이컴(90)이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온도센서(72)는 배기덕트(30)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써모스탯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컴(90)은 배기덕트(30)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100~110℃)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센서(72)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스위치(70)를 온/오프시킴으로써, 히터(41)의 발열을 제어한다. 다만, 마이컴(90)은 스위치(6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으며, 이 스위치(60)는 온도에 따라 독자적으로 히터(41)로의 전원공급을 수행/차단하는 안전장치이다.
마이컴(90)이 이용하는 상황은 하기와 같다. 예를 들면, 공기 유로(특히, 배기 덕트(30) 또는 린트 필터(20))가 막힌 정도가 심할 수록, 외부와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히터(41)의 온도 또는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는 더욱 상승하게 되고, 온도센서(72)에 의한 감지된 온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상승하게 된다. 이에 마이컴(90)은 스위치(70)에 대한 온/오프 제어가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이용하여,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여기서,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는 막힘 정도와, 공기 유로 상의 막힌 부분의 위치에 대한 사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린트 필터(20)가 다소 막힌 경우는 막힌 정도가 약한 상태이고, 배기 덕트(30)가 막힌 경우는 막힌 정도가 심한 상태이다.
공기 유로의 막힌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스위치(60)에 미치는 공기 온도와, 온도센서(7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차이는 작게 되어,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더라도, 스위치(60)에 의한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또는 스위치(60)에 의한 전원 차단이 적게 수행된 후, 마이컴(90)이 스위치(70)의 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반면에, 공기 유로의 막힌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스위치(60)에 미치는 공기 온도가 온도센서(7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보다 현저하게 높게 되므로, 마이컴(90)에 의한 스위치(70)의 제어가 요구되기 이전에 스위치(60)의 오프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컴(90)에 의한 스위치(70) 제어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어(즉, 스위치(60)에 의한 전원 차단이 다수 수행된 이후에), 배기덕트(30)의 공기 온도가 소정의 범위까지 상승된 경우에야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한 예는 하기의 도 4와 함께 기재된다.
도 4는 도 3의 마이컴이 인식하는 온도에 따른 건조 동작의 온/오프 그래프들이다. 도 4에서, R은 배기덕트(30)의 직경을 의미하며, 그 숫자의 단위는 inch이다. 즉, 직경이 R(0), R(1.0), R(1.5), R(2.0), R(2.625)일 때, 마이컴(90)이 온도센서(72)로부터의 감지 온도에 따라 스위치(70)를 온/오프하는 것을 나타낸다. 직경이 넓을 수록,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막힘 정도)가 약한 것이고, 직경이 좁을 수록,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막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먼저,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스위치(70)의 오프에 의해 최초로 히터(41)에 대한 전원공급이 오프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R(0)의 최초 오프 시점(t1)과, (R1.0)의 최초 오프 시점(t2)과, (R1.5)의 최초 오프 시점(t3)과, R(2.0)의 최초 오프 시점(t4)과, R(2.625)의 최초 오프 시 점(t5)을 비교하면, 직경이 좁을 수록, 최초 오프가 느리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직경이 좁을 수록, 공기 유로(특히, 배기덕트(30))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량이 감소하게 되어, 온도센서(72) 부근의 온도가 느리게 상승하기 때문이다. 본 실험에서의 직경은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와 대응되는 것으로, 직경이 넓은 경우는 공기 유로의 막힘이 약한 경우이고, 직경이 좁은 경우는 공기 유로의 막힘이 심한 경우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마이컴(90)은 인식된 도 4의 온/오프 그래프와 같은 데이터를 통하여, 최초 오프 시점을 확인함으로써,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전원공급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 듀티비(x/y)와, 오프 듀티비(z/y)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를 포함하여, 실험결과에 따른 공기 유로의 막힘 상태는 표1과 같다.
오프 듀티비 막힘 정도 막힌 부분
0~0.30 - -
0.30~0.45 하(약함) 린트 필터
0.45~0.60 중(중간) 린트 필터
0.60~ 상(심함) 배기 덕트
마이컴(90)은 표 1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건조 동작을 수행하면서, 스위치(70)의 온/오프 제어 특성을 반영하는 오프 듀티비(또는 온 듀티비)를 산정하여, 기저장된 룩업 데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영역의 막힘 상태(막힘 정도, 막힌 부분)를 표시부(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감지 방법에 따른 표시예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는 막힘정도와, 막힌 부분을 도형과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는 막힘정도를 막대 그래프 및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막힌 부분을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는 막힘 정도를 %를 이용한 숫자로, 막힌 부분을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5)는 막힘 상태를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건조작용을 위해 가열된 공기의 유로의 막힘 상태를 확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린트필터 및 배기덕트의 막힘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린트의 발화와, 건조시간의 증가 및 전력소비의 증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린트 필터 또는 배기 덕트 중에서 막힌 부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한 청소를 적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건조 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에 있어서,
    공기 유로의 막힘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막힘 정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막힘 정도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막힘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막힘 정도를 문자, 도형, 숫자, 그래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상기 공기유로의 막힌 부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막힌 부분은 린트 필터 또는 배기덕트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확인 단계는 공기 유로에 대한 건조 동작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감지된 건조 동작의 온/오프에 따라 막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확인 단계는 공기 유로에 대한 건조 동작을 공기 유로의 온도에 따른 제어명령에 따라 온/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건조 동작의 온/오프에 따라 막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확인 단계는 건조 동작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0. 건조 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에 있어서,
    공기유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상태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감지 단계는 공기유로에 대한 건조 동작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2. 공기유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공기유로의 온도에 따라 건조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와;
    건조 동작의 온/오프에 따라 공기유로의 막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온/오프 단계는 공기유로의 온도에 따른 제어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판단 단계는 건조 동작의 온/오프 듀티비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막힘 감지 방법은 막힘 정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막힘 정도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막힘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막힘 정도를 문자, 도형, 숫자, 그래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표시 단계는 공기유로의 막힌 부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막힌 부분은 린트 필터 또는 배기덕트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KR1020060085857A 2006-09-06 2006-09-06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KR10084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57A KR100844608B1 (ko) 2006-09-06 2006-09-06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CA2599353A CA2599353C (en) 2006-09-06 2007-08-29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599375A CA2599375C (en) 2006-09-06 2007-08-29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US11/849,531 US8387272B2 (en) 2006-09-06 2007-09-04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DE102007042060.0A DE102007042060B4 (de) 2006-09-06 2007-09-05 Trockner mit Zusetzerkennungsfunktion
US11/850,080 US7926201B2 (en) 2006-09-06 2007-09-05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DE102007042061.9A DE102007042061B4 (de) 2006-09-06 2007-09-05 Zusetzerkennungssystem für einen Trockner
CN2007101487325A CN101139793B (zh) 2006-09-06 2007-09-06 干燥器的堵塞检测系统
CN2007101487306A CN101139792B (zh) 2006-09-06 2007-09-06 具有堵塞检测功能的干燥器
CN2010101554374A CN101792967B (zh) 2006-09-06 2007-09-06 具有堵塞检测功能的干燥器及其控制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57A KR100844608B1 (ko) 2006-09-06 2006-09-06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438A KR20080022438A (ko) 2008-03-11
KR100844608B1 true KR100844608B1 (ko) 2008-07-07

Family

ID=3919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857A KR100844608B1 (ko) 2006-09-06 2006-09-06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4608B1 (ko)
CN (2) CN1011397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17B1 (ko) * 2006-12-2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안전 장치
CA2610133C (en) * 2006-12-26 2010-09-21 Yang-Hwan Kim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N101929060B (zh) * 2010-08-03 2016-12-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智能提醒线屑清理的方法及干衣机
US20130139402A1 (en) * 2010-08-19 2013-06-06 Sangwook Hong 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435587B2 (en) 2012-03-30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and blockage detection method thereof
WO2018086717A1 (en) * 2016-11-14 2018-05-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7090702A (zh) * 2017-04-10 2017-08-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干衣机的线屑显示提醒方法
CN109234971B (zh) * 2018-08-27 2020-07-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检测洗干机风道洁净度的方法、系统和洗干机
CN111101357A (zh) * 2018-10-09 2020-05-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风路堵塞检测方法及干衣机
CN112301696A (zh) * 2019-07-26 2021-02-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设备及用于干衣设备的毛絮检测方法、可读存储介质
CN112981862B (zh) * 2021-03-09 2022-11-22 海信冰箱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衣物护理设备
CN113777663A (zh) * 2021-09-30 2021-12-10 中材科技(酒泉)风电叶片有限公司 一种手持式自动检测真空系统堵塞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348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필터 막힘 감지 장치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67066B1 (da) * 1991-05-07 1993-08-23 Nyborg Vaskerimaskiner As Toerretumbler med fnugfilter
JP2000102700A (ja) * 1998-09-30 2000-04-11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CN1190542C (zh) * 2000-10-16 2005-02-23 海尔集团公司 网络滚筒洗衣机
US6779279B2 (en) * 2002-07-09 2004-08-24 Lg Electronics Inc. Dryer having a filter sensing system
CN1467013A (zh) * 2002-07-12 2004-0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纱布过滤器的堵塞程度感知方法
KR20060036726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348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필터 막힘 감지 장치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9792B (zh) 2010-09-08
CN101139793A (zh) 2008-03-12
CN101139793B (zh) 2010-09-29
CN101139792A (zh) 2008-03-12
KR20080022438A (ko)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608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방법
KR100844617B1 (ko) 건조기의 안전 장치
AU2005203177B8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387272B2 (en)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KR101455774B1 (ko) 건조기 및 그 청소 운전 제어 방법
JP4439417B2 (ja) 乾燥機
US7926201B2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EP2039823B1 (en) Laundry machine
KR100651864B1 (ko)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174538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2008307416A (ja) 洗濯乾燥機
KR10109458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5963B1 (ko) 건조기
JP5598283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012455B1 (ko)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JP2008161396A (ja) 洗濯乾燥機
EP2019162B1 (en) Washer-drier machine
KR20080093829A (ko) 건조기의 표시장치
KR100844618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시스템
JP2005137503A (ja) 衣類乾燥機
JP201207080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KR100819594B1 (ko) 건조기의 안전 장치
JP2008307417A (ja) 洗濯乾燥機
KR100819595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JP2009072504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