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194B1 -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 Google Patents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194B1
KR101530194B1 KR1020130123232A KR20130123232A KR101530194B1 KR 101530194 B1 KR101530194 B1 KR 101530194B1 KR 1020130123232 A KR1020130123232 A KR 1020130123232A KR 20130123232 A KR20130123232 A KR 20130123232A KR 101530194 B1 KR101530194 B1 KR 10153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main body
baffle board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477A (ko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강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기 filed Critical 강신기
Priority to KR102013012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1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 B23Q11/0096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protecting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입홀이 형성된 구획벽이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면에 유출홀이 형성된 함체와, 상기 작업대와 함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어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 물공급밸브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배출밸브가 구비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함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업대의 양측단을 개폐하는 테두리벽으로 이루어진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배플보드(Baffle Board)와, 상기 제1배플보드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타공홀을 통해 유입된 함진가스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제2배플보드(Baffle Board)로 이루어진 와류형성부재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본체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형성부재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필터링하는 데미스터필터(Demister Filter)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함체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데미스터필터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상기 구획벽의 유입홀을 통해 흡입한 후 상기 함체의 유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팬;으로 구성되어, 집진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장의 환경개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삭이나 절삭과 같은 가공과정 중에 발생되는 스파크나 불꽃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A One Body Wet Type Dust Collector for Work Table}
본 발명은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고 집진을 할 때 연삭이나 절삭과 같은 가공과정 중에 발생되는 스파크나 불꽃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연삭 작업이나 연마 작업 등과 같은 수작업은 대부분 단순한 형태의 테이블 위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들의 경우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별다른 집진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관계로 작업자가 그대로 흡입하는 문제가 있고,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을 하는 테이블 상측에 후드를 설치하고 이 후드에 긴 덕트를 연결하여 테이블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들을 작업장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진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집진기는 설비가 너무 커져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작업장 밖으로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작업장 주위가 오염된 공기로 둘러싸이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원번호 10-2009-0008905 (등록번호:10-1104076, 발명의 명칭: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의 발명이 제시되었으나, 이 발명은 금속제품의 연마시에 발생되는 스파크나 불꽃에 의하여 내부의 집진 설비, 특히 필터 등에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테이블과 집진을 위한 장치들을 일체로 형성시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고, 집진을 할 때 연삭이나 절삭과 같은 가공과정 중에 발생되는 스파크나 불꽃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는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입홀이 형성된 구획벽이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면에 유출홀이 형성된 함체와, 상기 작업대와 함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어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 물공급밸브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배출밸브가 구비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함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업대의 양측단을 개폐하는 테두리벽으로 이루어진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배플보드(Baffle Board)와, 상기 제1배플보드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타공홀을 통해 유입된 함진가스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제2배플보드(Baffle Board)로 이루어진 와류형성부재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본체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형성부재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필터링하는 데미스터필터(Demister Filter)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함체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데미스터필터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상기 구획벽의 유입홀을 통해 흡입한 후 상기 함체의 유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팬;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테이블 본체의 바닥면은 일정각도로 경사진다.
그리고, 상기 작업테이블 본체에는 투명윈도우, 히터,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는 작업테이블과 집진을 위한 장치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집진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장의 환경개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삭이나 절삭과 같은 가공과정 중에 발생되는 스파크나 불꽃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닥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을 배출밸브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투명윈도우를 통하여 작업테이블의 본체 내부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작업테이블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작업테이블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는 작업테이블(100)과,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와류형성부재(2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데미스터필터(Demister Filter,3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전동모터(400)와, 상기 전동모터(4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팬(500)과,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소음기(6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는 히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테이블(100)은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일측에 돌출 설치되는 함체(120)와, 상기 작업대(110)와 함체(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130)와, 상기 함체(1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테두리벽(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10)는 작업자가 연삭가공이나 절삭가공과 같은 작업을 하는 곳으로서, 이 작업대(110)에는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의 타공홀(1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공홀(111)은 상기 본체(1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되어, 연삭가공이나 절삭가공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 금속가루와 같은 것들을 포함하는 함진가스가 본체(1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함체(12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로서, 그 내부공간에는 구획벽(121)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팬(500)이 설치된다.
상기 구획벽(121)은 함체(1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패널로서, 중앙에 유입홀(1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120)의 상면에는 다수의 유출홀(1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소음기(60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3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로서, 상기 작업대(110)와 함체(12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30)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어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30)의 측면 상부에는 물공급밸브(131)가 구비되어 본체(130) 내부의 물이 부족할 때 상기 물공급밸브(131)를 통하여 본체(130)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여기서 부연하면,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에는 수위센서(132)를 설치하여 본체(130) 내부의 물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위센서(132)가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적음을 감지하면 상기 물공급밸브(131)를 개방하여 본체(130)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30)의 측면 하부에는 배출밸브(133)가 구비되어, 연삭가공이나 절삭가공 등에서 발생된 분진, 금속가루 등이 포함된 물을 본체(130)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본체(130)의 바닥면은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분진이나 금속가루와 같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본체(130) 내부의 물을 한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부연하면, 본체(130)의 바닥면이 일정각도(θ)로 경사질 때 가장 낮은 곳에 상기 배출밸브(133)를 설치하여 물과 오염물질들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30)의 전면에는 투명윈도우(134)를 설치한다. 이 투명윈도우(134)를 통하여 본체(130)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벽(140)은 상기 본체(13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함체(1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업대(110)의 양측단을 개폐한다. 이러한 테두리벽(140)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상기 작업대(110)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류형성부재(200)는 상기 작업대(110)의 타공홀(111)을 통하여 상기 본체(130) 내부로 유입된 함진가스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제1배플보드(210)와, 제2배플보드(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배플보드(Baffle Board,21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함진가스가 충돌하면 함진가스가 자연스럽게 곡선운동을 한다.
상기 제2배플보드(22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배플보드(21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배플보드(220)는 중앙부분이 움푹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110)의 타공홀(111)을 통해 유입된 함진가스가 제1배플보드(210)와 제2배플보드(220) 사이를 통과할 때 와류를 형성시킨다.
부연하면, 상기 제1배플보드(210)는 하단 부분이 상기 제2배플보드(220)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배플보드(220)는 중앙부분이 상기 제1배플보드(210)를 향하여 움푹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배플보드(210)의 라운드진 하단 부분이 상기 제2배플보드(220)의 중앙부분에 삽입됨으로써 함진가스가 상기 제1배플보드(210)의 하단과 상기 제2배플보드(220)의 중앙 부분을 지날 때 와류가 형성된다.
상기 데미스터필터(Demister Filter,3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와류형성부재(200)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필터링한다. 즉, 함진가스는 상기 와류형성부재(200)를 통과할 때 와류현상에 의하여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에 희석되고, 이때 함진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분진이나 금속가루와 같은 오염물질은 물에 녹아들어간다. 이렇게 물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자연스럽게 본체(130)의 바닥면에 침전된다. 그리고, 와류형성부재(200)를 통과한 후 상승한 함진가스에는 아주 작은 크기의 미립자 오염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미립자 오염물질들을 상기 데미스터필터(300)가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동모터(4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함체(120)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팬(500)에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팬(500)은 상기 전동모터(40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데미스터필터(300)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상기 구획벽(121)의 유입홀(121a)을 통해 흡입한 후 상기 함체(120)의 유출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동모터(4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팬(500)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팬(500)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110)의 타공홀(111)을 통해 함진가스가 본체(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 함진가스는 와류형성부재(200)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큰 크기의 오염물질들이 물에 의해 걸러지고, 이후 상기 데미스터필터(300)를 통과하면서 작은 크기의 오염물질들이 걸러진다.
이렇게 데미스터필터(300)를 통과한 함진가스는 상승하여 상기 함체(120) 내부로 유입된다. 함체(120) 내부로 유입된 함진가스는 함체(120) 내부공간을 분리하는 구획벽(121)의 유입홀(121a)을 통해 회전팬(500)으로 빨려들어간다. 이렇게 회전팬(500)에 흡입된 함진가스는 함체(120)의 상면에 형성된 유출홀(1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소음기(6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함체(120) 상면에 설치되어 집진작업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최소화한다.
상기 히터(7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외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동절기에는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이 동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히터(70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에는 온도센서(135)가 설치된다. 이 온도센서(135)는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물의 온도가 낮음을 감지할 때 상기 히터(700)를 작동시켜 물이 가열되도록 한다.
100: 작업테이블 110: 작업대
111: 타공홀 120: 함체
121: 구획벽 121a: 유입홀
122: 유출홀 130: 본체
131: 물공급밸브 132: 수위센서
133: 배출밸브 134: 투명윈도우
135: 온도센서 140: 테두리벽
200: 와류형성부재 210: 제1배플보드
220: 제2배플보드 300: 데미스터필터
400: 전동모터 500: 회전팬
600: 소음기 700: 히터

Claims (6)

  1. 다수의 타공홀(111)이 형성된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입홀(121a)이 형성된 구획벽(121)이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면에 유출홀(122)이 형성된 함체(120)와, 상기 작업대(110)와 함체(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어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 물공급밸브(131)가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에 배출밸브(133)가 구비된 본체(130)로 이루어진 작업테이블(100)과;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배플보드(Baffle Board,210)와, 상기 제1배플보드(21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110)의 타공홀(111)을 통해 유입된 함진가스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제2배플보드(Baffle Board,220)로 이루어진 와류형성부재(2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본체(130)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형성부재(200)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필터링하는 데미스터필터(Demister Filter,300)와;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함체(120)에 설치되는 전동모터(400)와; 상기 전동모터(400)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데미스터필터(300)를 통과한 함진가스를 상기 구획벽(121)의 유입홀(121a)을 통해 흡입한 후 상기 함체(120)의 유출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팬(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배플보드(210)는 하단 부분이 상기 제2배플보드(220)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배플보드(220)는 중앙부분이 상기 제1배플보드(210)를 향하여 움푹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배플보드(210)의 라운드진 하단 부분이 상기 제2배플보드(220)의 중앙부분에 삽입됨으로써 함진가스가 상기 제1배플보드(210)의 하단과 상기 제2배플보드(220)의 중앙 부분을 지날 때 와류가 형성되며,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함체(120) 상면에는 소음기(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100) 본체(130)의 상측에는 일단이 상기 함체(1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업대(110)의 양측단을 개폐하는 테두리벽(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100) 본체(130)의 바닥면은 일정각도(θ)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100) 본체(130)의 전면에는 투명윈도우(1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100) 본체(130)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7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100) 본체(130)에는 수위센서(132)와 온도센서(135)가 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132)가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적음을 감지할 때 상기 물공급밸브(131)를 개방하여 본체(130)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온도센서(135)가 본체(13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낮음을 감지할 때 상기 히터(700)를 작동시켜 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KR1020130123232A 2013-10-16 2013-10-16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KR10153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232A KR101530194B1 (ko) 2013-10-16 2013-10-16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232A KR101530194B1 (ko) 2013-10-16 2013-10-16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77A KR20150044477A (ko) 2015-04-27
KR101530194B1 true KR101530194B1 (ko) 2015-06-19

Family

ID=5303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232A KR101530194B1 (ko) 2013-10-16 2013-10-16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4396A (zh) * 2019-10-29 2020-02-04 佛山市广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吸尘效果的打磨加工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7545B (zh) * 2017-10-10 2024-03-08 华信润邦(北京)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确保雕刻打磨车间环保化运行的方法
CN107813226A (zh) * 2017-11-07 2018-03-20 无锡智谷锐拓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可收集粉尘废料的陶瓷打磨装置
CN108326745A (zh) * 2018-03-26 2018-07-27 无锡康斯坦特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功能的打磨机
CN109317469A (zh) * 2018-09-19 2019-02-12 苏州创而丰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工件除尘装置
CN109623664B (zh) * 2018-12-12 2020-11-06 扬州伟鹏机械有限公司 一种模切自动修胶装置
CN112454089A (zh) * 2020-11-25 2021-03-09 浙江金科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聚乙烯芯料生产装置
CN114643509B (zh) * 2021-12-09 2023-02-14 宁波喜尔美厨房用品有限公司 一种锅体磨砂装置
CN114734356B (zh) * 2022-03-23 2024-01-12 温州富华安全设备有限公司 湿式除尘抛光机
CN115570463B (zh) * 2022-12-08 2023-12-26 宿迁中玻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光伏玻璃生产用高效除尘的抛光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133Y1 (ko) * 2002-12-23 2003-04-18 서현석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310131Y1 (ko) * 2002-12-23 2003-04-18 서현석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80003315U (ko) * 2007-02-09 2008-08-13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수위감지장치가 구비된 소형 습식 집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133Y1 (ko) * 2002-12-23 2003-04-18 서현석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310131Y1 (ko) * 2002-12-23 2003-04-18 서현석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80003315U (ko) * 2007-02-09 2008-08-13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수위감지장치가 구비된 소형 습식 집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4396A (zh) * 2019-10-29 2020-02-04 佛山市广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吸尘效果的打磨加工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77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194B1 (ko)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JP6638021B2 (ja) 煙霧フィルター方式の空気清浄装置
CN203901113U (zh) 一种旋转式打磨除尘工作台
JP4839814B2 (ja) レンジフード
JP6790247B2 (ja) 空気取入れ口を有する換気装置
KR20180130431A (ko) 연무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장치
KR20110007389U (ko) 그라인더 작업대
CN203725433U (zh) 一种玻璃生产线吹吸清扫装置
CN203790765U (zh) 防爆型无溅水静音水帘机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1417738B1 (ko) 오일미스트 집진기
KR200461282Y1 (ko) 그라인더 작업대
JP4087377B2 (ja) ミスト及び粉塵の小型捕集装置
CN102500182A (zh) 水洗空气净化器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KR100942900B1 (ko)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101347720B1 (ko) 분진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집진기 구조
CN106738125B (zh) 精密裁板锯收尘装置
KR101760901B1 (ko)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CN201659454U (zh) 油雾处理装置
KR200472781Y1 (ko) 그라인더 작업대
CN106984120A (zh) 一种用于铣床的烟气净化器
JP6958904B2 (ja) 集塵機前処理装置
JP6349005B1 (ja) ドラ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