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131Y1 -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131Y1
KR200310131Y1 KR20-2002-0038188U KR20020038188U KR200310131Y1 KR 200310131 Y1 KR200310131 Y1 KR 200310131Y1 KR 20020038188 U KR20020038188 U KR 20020038188U KR 200310131 Y1 KR200310131 Y1 KR 200310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hamber
air
dus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석
Original Assignee
서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석 filed Critical 서현석
Priority to KR20-2002-0038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withou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 elements, e.g. fixed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과 동시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작업대 자체에 설치된 집진장치에 의해 집진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다수명의 작업자가 하나 또는 여러대의 집진장치에 의해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총괄하여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대 하부에 정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너트를 해지함으로서 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필터의 교환 및 청소 기타 체결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네개의 다리(L)와 상기 다리(L) 끝단부에는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여 할 수 있도록 정면만 개구되어 있고 상측면에 컨트롤 판(22)이 구비된 상태에서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제1흡입구(11)로 이루어져 있고 정면 상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120)이 천공된 제2흡입구(12)가, 그 하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130)이 천공된 제3흡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의 제1흡입구(11)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외부 정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28)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중앙에 통로(23)가 형성된 상태에서 구획판(2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24) 양단에 상기 삽입공(28)과 일치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지지체(25)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볼트(26)가 외부로 길게 고정되어 있는 공기여과실(2)과, 상기 삽입공(28)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25)의 볼트(26)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중앙에 볼트공(200)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판(20)이 선단부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필터(27)와, 상기 커버판(20) 중앙에 형성된 볼트공(200)으로 돌출된 볼트(26)에 체결 가능토록 된 너트(21)와, 상기 공기여과실(2)의 하측에는 호퍼(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퍼(30)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 바닥면 모서리 가까이에는 바퀴(31)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실(3)과, 상기 공기여과실(2)과 상기 통로(23)에 의해 통기되는 상태로서 외부 측면에는 압력게이지(4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압력게이지(40)와 연결된 에어압력탱크(41) 와 펄스밸브(42) 및 노즐(43)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통로(23)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소통키 위하여 통로공(44)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분사실(4)과, 상기 통로공(44)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면 일측에는 상기 작업대(1)와 구획된 격판(5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4흡입구(51)와 흡입팬(52)과 배출구(53) 및 모우터(5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면에는 상기 흡입팬(52)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구(53)를 따라 배출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550)이 무수히 많은 최종 배출구(55)가 천공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5)로 이루어진 것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우터구동실(5)의 내측면에 방음패드(6)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분사실(4) 및 모우터구동실(5)의 외측 배면에는 각각 커버판(45, 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는 기존 집진장치와는 달리 너트(21)를 볼트(26)로 부터 해지하면 커버판(20)이 선단부에 고정 부착된 필터(27)를 지지체(25)로 부터 탈거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필터(27)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필터(27)의 교환 및 청소, 수리가 용이하며 또한 필터(27) 외주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외부 측면에 형성된 압력게이지(40)에 별도의 컴퓨레샤등을 연결하여 에어를 에어분사실(4)내의 에어압력탱크(41)에 공급하고 그 공급량은 상기 압력게이지(40) 및 컨트롤 판(22)에서 자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에어압력탱크(41)에 에어가 충진되면 에어의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펄스밸브(42)의 노즐(43)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강력하게 에어를 상기 필터(27)의 내주면으로 분사함으로서 필터(3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켜 상기 필터(27)의 하부에 구비된 호퍼(30)을 거쳐서 집진실(3)에 낙하토록 함으로서 반영구적으로 필터(27)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1)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모우터구동실(5)의 외측 배면에 커버판(56)을 형성함으로서 개폐가 가능토록 하여 모우터구동실(5)에 구비된 모우터(54)나 기타 흡입팬(52)등등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고 상기 에어분사실(4)의 외측 배면에도 커버판(45)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분사실(4)의 내부 구성요소도 수리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모우터구동실(5)의 내측면에 방음패드(6)를 구비함으로서 모우터구동실(5)의 모우터(54) 및 흡입팬(52)의 구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Dust collector and work shelf to change filter}
본 고안은 작업과 동시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작업대 자체에 설치된 집진장치에 의해 집진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다수명의 작업자가 하나 또는 여러대의 집진장치에 의해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총괄하여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대 하부에 정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너트를 해지함으로서 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필터의 교환 및 청소 기타 체결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진장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유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로서 먼지등의 분진을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즉, 의류, 제사, 면방, 제분, 황토제품, 연마, 시멘트 등의 많은 공장이나 제철소와 같이 공기중에 많은 먼지와 분진이 떠다니는 곳에서는 아주 필수적인 장치로서, 종래 기술인 1991. 02. 11자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2058호의 산업용 집진장치의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하우징내에 설치된 팬의 일측에 필터하우징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필터를 고정하고 필터하우징의 상방에는 유량조절밸브와 후드를 가진 호스를 연결고정함과 함께 하방에는 분진포집용기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하우징의 배기구 끝단에는 소음기를 설치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집진장치"를 그 구성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중요한 단점으로서 필터의 교환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점이 있으며,
둘째, 따라서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의 교환 수리가 어려우며,
세째, 작업자가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작업과 동시에 직접 집진 수거 즉, 필터링 못함으로서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네째, 구조가 복잡하여 교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작업이 복잡하며 손상된 부위의 점검을 찾는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종래기술의 전체적인 문제점으로서 특히 필터의 자유로운 교환여부는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교환, 청소할 수 있어야 하나 종래의 집진장치는 그와 같이 간편하고 누구나 손쉽게 필터를 교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인 필터의 교환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즉, 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필터의 교환 및 청소 기타 체결의 편리성을 도모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필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터의 반영구적 사용을 가능케 하기 위한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작업대 2 : 공기여과실
3 : 집진실 4 : 에어분사실
5 : 모우터구동실 6 : 방음패드
11 : 제1흡입구
12 : 제2흡입구 13 : 제3흡입구
20 : 커버판 21 : 너트
22 : 컨트롤 판 23 : 통로
24 : 구획판 25 : 지지체
26 : 볼트 27 : 필터
30 : 호퍼 31 : 바퀴
40 : 압력게이지 41 : 에어압력탱크
42 : 펄스밸브 43 : 노즐
44 : 통로공 45 : 커버판
50 : 격판 51 : 제4흡입구 52 : 흡입팬 53 : 배출구
54 : 모우터 55 : 최종 배출구
56 : 커버판 110 : 흡입공
120 : 흡입공 130 : 흡입공
200 : 볼트공 550 : 배출공
상기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네개의 다리와 상기 다리 끝단부에는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여 할 수 있도록 정면만 개구되어 있고 상측면에 컨트롤 판이 구비된 상태에서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이 천공된 제1흡입구로 이루어져 있고 정면 상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이 천공된 제2흡입구가, 그 하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이 천공된 제3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제1흡입구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외부 정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세로방향으로 중앙에 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 양단에 상기 삽입공과 일치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지지체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볼트가 외부로 길게 고정되어 있는 공기여과실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의 볼트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판이 선단부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필터와, 상기 공기여과실의 하측에는 호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퍼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 바닥면 모서리 가까이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실과, 상기 공기여과실과 상기 통로에 의해 통기되는 상태로서 외부 측면에는 압력게이지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압력게이지와 연결된 에어압력탱크 와 펄스밸브 및 노즐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통로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소통키 위하여 통로공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분사실과, 상기 통로공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면 일측에는 상기 작업대와 구획된 격판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4흡입구와 흡입팬과 배출구 및 모우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면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구를 따라 배출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무수히 많은 최종 배출구가 천공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로 이루어진 것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우터구동실의 내측면에 방음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분사실 및 모우터구동실의 외측 배면에는 각각 커버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며,도 2는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네개의 다리(L)와 상기 다리(L) 끝단부에는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1은 작업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대(1)는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여 할 수 있도록 정면만 개구되어 있고 상측면에 컨트롤 판(22)이 구비된 상태에서 3방향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제1흡입구(11)로 이루어져 있고 정면 상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120)이 천공된 제2흡입구(12)가, 그 하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130)이 천공된 제3흡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업대(1)에서 작업시 바닥면은 물론이고 정면 상단 및 정면 하단에 흡입구들이 형성됨에 따라 작업시 비산되는 먼지 등도 작업자의 건강이나 작업장의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아니하도록 배려된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판(22)은 본 고안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 후 작업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키 위한 버튼 등이 집결된 것이다.
지시부호 2는 공기여과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여과실(2)는 상기 작업대(1)의 제1흡입구(11) 내부 하측에 연결 즉, 어떠한 장애물이나 격벽도 없이 관통되어 구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여과실(2)의 외부 정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28)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볼트공(200)이 중앙에 형성되어 너트(21)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커버판(20)이 선단부에 고정 부착된 복수개의 필터(27)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말하면 상기 커버판(20)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원통형 필터(27)의 선단부에 고정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판(20)이 탈거되면 당연히 필터(27)도 탈거되는 것이다.
다음, 내부 안쪽에는 세로방향으로 중앙에 통로(23)가 형성된 상태에서 구획판(2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24) 양단에 상기 삽입공(28)과 일치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지지체(25)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볼트(26)가 외부로 길게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통로(23)를 두고 양측면에 구획판(24)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구획판(24)이 연결되지 못한 부분인 통로(23)사이에 상기 구획판(24) 양단에 복수개의 지지체(25)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체(25)의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볼트(26)가 돌출되도록 고정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복수개 지지체(25)의 외주부에는 각각 원통형의 필터(27)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체(25)의 외주부에 각각 원통형 필터(27)를 삽입한 후, 커버판(20)의 볼트공(200)에 상기 볼트(26)가 돌출되도록 끼우고 상기 돌출된 볼트(26) 부위에 너트(21)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3은 집진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진실(3)은 상기 공기여과실(2)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필터(27)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통로(23)를 통해 빠져 나가고 나머지인 먼지 또는 기타 이물질은 필터(27)에 붙어 있거나 또는 필터(27) 하단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낙하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받아 집진하는 곳이 집진실(3)로서 상기 집진실(3)의 상측에는 호퍼(3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 바닥면 모서리 가까이에는 바퀴(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상기에서 언급한 집진실(3)이다.
지시부호 4는 에어분사실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분사실(4)는 상기 공기여과실(2)과 상기 통로(23)에 의해 통기되는 상태이다.
상기 에어분사실(4)의 외부 측면에는 압력게이지(40)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에어분사실(4)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게이지(40)와 연결된 에어압력탱크(41) 와 펄스밸브(42) 및 노즐(43)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통로(23)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소통키 위하여 통로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분사실(4)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이 작동을 계속하면 상기 필터(27) 외주면에 많은 량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붙어 있을 것이고 이럴때 마다 너트(21)를 해지하고 커버판(20)를 분리한 후 필터(27)를 교환 또는 청소하는 것 자체도 작업자의 능률면에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필터(27)의 외주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을 경우 외부 측면에 형성된 압력게이지(40)에 별도의 컴퓨레샤등을 연결하여 에어를 에어분사실(4)내의 에어압력탱크(41)에 공급하고 그 공급량은 상기 압력게이지(40) 및 컨트롤 판(22)에서 자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에어압력탱크(41)에 에어가 충진되면 에어의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펄스밸브(42)의 노즐(43)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강력하게 에어를 상기 필터(27)의 내주면으로 분사함으로서 필터(3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켜 상기 필터(27)의 하부에 구비된 호퍼(30)을 거쳐서 집진실(3)에 낙하토록 함으로서 반영구적으로 필터(27)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분사실(4)의 외측 배면에 커버판(45)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분사실(4) 내부의 구성요소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커버판(45)를 개방하여 수리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5는 모우터구동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우터구동실(5)은 상기 에어분사실(4)의 통로공(44)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면 일측에는 상기 작업대(1)와 구획된 격판(5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4흡입구(51)와흡입팬(52)과 배출구(53) 및 모우터(5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면에는 상기 흡입팬(52)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구(53)를 따라 배출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550)이 무수히 많은 최종 배출구(55)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이 모우터구동실(5)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우터구동실(5)은 내측면에 방음패드(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우터구동실(5)의 외측 배면에는 커버판(56)이 형성되어 있어 만약 모우터(54), 흡입팬(52) 및 기타 구성요소가 손상되어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커버판(56)를 개방하여 손쉽게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7은 패킹을 지시한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자주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한번 위치시키면 장기간 그 자리에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부득이 할 경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곳까지 본 고안을 바퀴(R)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할 때 컨트롤판(22)의 버튼 중 구동버튼을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작업과 동시에 모우터(54)가 구동하여 흡입팬(52)이 작동하면 제4흡입구(51), 통로공(44)과 통로(23) 및 제1,2,3흡입구(11, 12, 13)를 통해서 먼지등이 흡입되는데 이와같은 작동상태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등은 복수개의 원통형 필터(27)에 분진가루나 기타 먼지들이 붙거나 필터링되며 반면에, 여과된 공기는 통로(23)를 통해서통로공(44) 및 제4흡입구(51)을 거쳐서 흡입팬(52)을 지나 상기 흡입팬(52)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53)로 배출된 후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즉, 무수히 많이 천공된 배출공(550)이 형성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55)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우터(54) 및 흡입팬(52)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음패드(6)을 모우터구동실(5)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계속함에 따라 필터(27)의 외주면에는 많은 분진이나 기타 먼지들이 달라 붙어 있어 결국 필터(32)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될 것이고 이럴 경우 필터(27)의 교환 또는 청소가 필요할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1)를 볼트(26)로 부터 해지하면 필터(27)의 선단부에 고정 부착된 커버판(20)이 공기여과실(2)로 부터 이탈되며 즉, 필터(27)의 탈거가 자유롭게 되며, 이와 같이 커버판(20)이 공기여과실(2)로 부터 이탈이 되면 바로 원통형의 필터(27)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27)를 외부로 인출한 연후에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필터(27)로 교환하거나 기존의 필터(27)를 청소하여 사용하거나 아무튼, 다시 필터(27)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단, 필터(27)의 중앙에 지지체(25)가 삽입가능하도록 슬라이딩하여 밀어 넣어 더이상 즉, 구획판(24)에 필터(27)가 닿아 더이상 넣어지지 아니하면, 커버판(20)의 중앙에 형성된 볼트공(200)에 상기 볼트(26)가 일치되어 삽입되도록 한 다음, 너트(21)를 상기 볼트공(200)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모우터구동실(5)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 모우터(54), 흡입팬(52) 등등이 작동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모우터구동실(5)의 외부 배면에 형성된 커버판(56)를 이용하여 모우터구동실(5)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개방시킨 후 별도의 작업을 한 후 커버판(56)을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필터(27)로 필터링된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이 상기 필터(27)의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낙하된 먼지등은 호퍼(30)을 거쳐서 집진실(3)로 집진되며 상기 집진실(3)에 먼지 등이 충만할 경우에는 상기 집진실(3) 외부 바닥면 모서리 가까이에 형성된 바퀴(31)를 이용하여 인출한 후 먼지등을 버린 후 다시 수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실(4)은 에어압력탱크(41)와 펄스밸브(42) 및 노즐(43)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여과실(2)의 후반부에 구획판(24)에 의해 구분되어 설치된 것으로서 컨트롤 판(22)에 구비된 버튼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즉, 많은 분진이나 먼지를 필터링하면 필터(27)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분진이나 먼지등이 달라 붙어 있는 것이 상례이며 이때 마다 필터(27)를 공기여과실(2)로 부터 분리하여 세척, 청소 또는 교환한다면 작업의 능률 및 신속성에서 저하되므로 별도의 에어분사실(4)에서는 컨트롤 판(22)에 이미 입력하여 또는 일정시간에 버튼을 작동하든 어떤 경우이든간에 필터(27)의 내. 외주면에 먼지가 많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시점에서 에어압력탱크(41)에 충진된 에어를 펄스밸브(42) 및 노즐(43)를 통하여 강하게 분사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7)에 붙어있는 먼지등이 낙하하여 집진실(3)에 포집되며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 필터(27)의 교환 및 청소의 횟수보다 집진실(3)의 개폐가 자주 일어날 것이며 이는 작업자가 더욱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도 능률적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는 기존 집진장치와는 달리 너트(21)를 볼트(26)로 부터 해지하면 커버판(20)이 선단부에 고정 부착된 필터(27)를 지지체(25)로 부터 탈거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필터(27)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필터(27)의 교환 및 청소, 수리가 용이하며 또한 필터(27) 외주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외부 측면에 형성된 압력게이지(40)에 별도의 컴퓨레샤등을 연결하여 에어를 에어분사실(4)내의 에어압력탱크(41)에 공급하고 그 공급량은 상기 압력게이지(40) 및 컨트롤 판(22)에서 자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에어압력탱크(41)에 에어가 충진되면 에어의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펄스밸브(42)의 노즐(43)을 통하여 일시적으로 강력하게 에어를 상기 필터(27)의 내주면으로 분사함으로서 필터(3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켜 상기 필터(27)의 하부에 구비된 호퍼(30)을 거쳐서 집진실(3)에 낙하토록 함으로서 반영구적으로 필터(27)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작업대(1) 자체에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과 동시에 먼지의 비산없이 바로 먼지등을 집진할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은 물론이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모우터구동실(5)의 외측 배면에 커버판(56)을 형성함으로서 개폐가 가능토록 하여 모우터구동실(5)에 구비된 모우터(54)나 기타 흡입팬(52)등등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고 상기 에어분사실(4)의 외측 배면에도 커버판(45)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분사실(4)의 내부 구성요소도 수리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모우터구동실(5)의 내측면에 방음패드(6)를 구비함으로서 모우터구동실(5)의 모우터(54) 및 흡입팬(52)의 구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네개의 다리(L)와 상기 다리(L) 끝단부에는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여 할 수 있도록 정면만 개구되어 있고 상측면에 컨트롤 판(22)이 구비된 상태에서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제1흡입구(11)로 이루어져 있고 정면 상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120)이 천공된 제2흡입구(12)가, 그 하단에도 무수히 많은 흡입공(130)이 천공된 제3흡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의 제1흡입구(11)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서 외부 정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28)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중앙에 통로(23)가 형성된 상태에서 구획판(2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24) 양단에 상기 삽입공(28)과 일치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지지체(25)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볼트(26)가 외부로 길게 고정되어 있는 공기여과실(2)과,
    상기 삽입공(28)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25)의 볼트(26)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중앙에 볼트공(200)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판(20)이 선단부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필터(27)와,
    상기 커버판(20) 중앙에 형성된 볼트공(200)으로 돌출된 볼트(26)에 체결 가능토록 된 너트(21)와,
    상기 공기여과실(2)의 하측에는 호퍼(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퍼(30)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 바닥면 모서리 가까이에는 바퀴(31)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실(3)과,
    상기 공기여과실(2)과 상기 통로(23)에 의해 통기되는 상태로서 외부 측면에는 압력게이지(4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압력게이지(40)와 연결된 에어압력탱크(41) 와 펄스밸브(42) 및 노즐(43)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상기 통로(23)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소통키 위하여 통로공(44)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분사실(4)과,
    상기 통로공(44)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면 일측에는 상기 작업대(1)와 구획된 격판(5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4흡입구(51)와 흡입팬(52)과 배출구(53) 및 모우터(5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면에는 상기 흡입팬(52)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구(53)를 따라 배출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550)이 무수히 많은 최종 배출구(55)가 천공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구동실(5)의 내측면에 방음패드(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실(4) 및 모우터구동실(5)의 외측 배면에는 각각 커버판(45, 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2002-0038188U 2002-12-23 2002-12-23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KR200310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188U KR200310131Y1 (ko) 2002-12-23 2002-12-23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188U KR200310131Y1 (ko) 2002-12-23 2002-12-23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131Y1 true KR200310131Y1 (ko) 2003-04-18

Family

ID=4933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188U KR200310131Y1 (ko) 2002-12-23 2002-12-23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1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24B1 (ko) * 2013-01-24 2013-04-23 이경옥 필터교환이 용이한 집진기
KR101530194B1 (ko) * 2013-10-16 2015-06-19 강신기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CN114130585A (zh) * 2021-11-17 2022-03-04 计翔宇 一种板材热喷涂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24B1 (ko) * 2013-01-24 2013-04-23 이경옥 필터교환이 용이한 집진기
KR101530194B1 (ko) * 2013-10-16 2015-06-19 강신기 작업테이블 일체형 습식집진기
CN114130585A (zh) * 2021-11-17 2022-03-04 计翔宇 一种板材热喷涂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81846A (zh) 一种车间用打磨除尘工作台
CN105818001A (zh) 一体式打磨抛光除尘器
KR20090080228A (ko) 집진 테이블
CN206663163U (zh) 一种过滤式简易除尘工作台
CN205888903U (zh) 一体式打磨抛光除尘器
KR20110057944A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200310131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CN208231573U (zh) 一种打磨除尘工作台
KR20100089590A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200331097Y1 (ko) 작업대가 부설된 집진장치
KR200397193Y1 (ko) 제화용 그라인더 집진장치
KR200443514Y1 (ko) 집진기
JP2607079Y2 (ja) 作業環境改善装置
KR100925779B1 (ko) 다연식 집진기 구조
KR20040056194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KR200310134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실내 집진장치
CN214638977U (zh) 一种带有风幕的实验室通风柜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CN213912761U (zh) 一种脱硫脱硝除尘装置
KR200310132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CN201235504Y (zh) 整体家具打磨吸尘设备
CN102794287B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KR200310133Y1 (ko)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CN219128656U (zh) 一种空气污染物多级过滤设备
KR200186156Y1 (ko) 중앙집진식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